KR20190071881A - 헬스케어 스트랩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스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1881A KR20190071881A KR1020170172763A KR20170172763A KR20190071881A KR 20190071881 A KR20190071881 A KR 20190071881A KR 1020170172763 A KR1020170172763 A KR 1020170172763A KR 20170172763 A KR20170172763 A KR 20170172763A KR 20190071881 A KR20190071881 A KR 201900718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p
- user
- fixing part
- straps
- a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송대상을 넣어 이동 중에 짊어지고 다닐 수 있게 만들어진 휴대용구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스트랩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구를 짊어질 때 사용자의 등이 위치하는 상기 휴대용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어깨를 집어넣어 멜 수 있게 마련되는 제1 스트랩과, 상기 제1 스트랩 상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상기 제1 스트랩의 어느 일지점에 고정되고 반대편 타단은 상기 제1 스트랩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1 고정부를 통한 타단의 고정 위치 변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스트랩을 통해 상기 휴대용구를 짊어진 상태에서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스트랩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송대상을 넣어 이동 중에 짊어지고 다닐 수 있게 만들어진 휴대용구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구를 장시간 짊어져야 할 상황에서 팔을 지지 및 거치할 수 있게 하여 목, 어깨, 팔의 긴장 및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사용 시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팔을 거치함으로써 팔의 무게로 인한 육체적 부담과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는 헬스케어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근래 스마트폰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단순 전화기의 용도를 넘어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기능을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과 오락성을 포함한 여러 이점에 의해 현대인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스몸비(Smombie)'라는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 신조어가 생겨났듯이, 현대인들은 지하철이나 버스를 비롯해 길거리를 걸으면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실태이다.
한편, 과도한 스마트폰의 사용은 목, 어깨, 팔 등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되며, 거북목 증후군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기도 하여 문제가 되고 있으며, 더욱이 백팩, 아기띠(hipseat carrier)와 같은 휴대용구를 맨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경우, 휴대용구의 무게로 인한 목, 어깨의 긴장 및 피로에 더불어 스마튼폰을 들고 있는 팔의 무게로 인한 유체적 부담이 더해져 사용자의 피로감은 배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백팩, 아기띠와 같은 휴대용구, 나아가 의복에까지 적용할 수 있게 마련되어, 이동 중의 스마트폰 사용시 사용자의 육체적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이송대상을 넣어 이동 중에 짊어지고 다닐 수 있게 만들어진 휴대용구에 적용되어, 휴대용구를 장시간 짊어져야 할 상황에서 팔을 지지 및 거치할 수 있게 하여 목, 어깨, 팔의 긴장 및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사용 시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팔을 거치함으로써 팔의 무게로 인한 육체적 부담과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는 헬스케어 스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은, 사용자가 이송대상을 넣어 이동 중에 짊어지고 다닐 수 있게 만들어진 휴대용구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스트랩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구를 짊어질 때 사용자의 등이 위치하는 상기 휴대용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어깨를 집어넣어 멜 수 있게 마련되는 제1 스트랩; 상기 제1 스트랩 상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상기 제1 스트랩의 어느 일지점에 고정되고, 반대편 타단은 상기 제1 스트랩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1 고정부를 통한 타단의 고정 위치 변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스트랩을 통해 상기 휴대용구를 짊어진 상태에서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트랩은, 길이방향에 따른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벨크로(hook-and-loop fasten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버클(buckle)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고정부는, 고리 또는 섀클(shackle)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고리 또는 섀클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후크(hook)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트랩이 한 쌍으로 구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스트랩에 구비된 제2 스트랩의 제2 고정부는 다른 하나의 제1 스트랩의 제1 고정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한 쌍의 제1 스트랩 사이를 연결하는 팔걸이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트랩은, 내부에 주머니 형태로 마련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을 개방 가능하게 마련된 포켓입구를 통해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휴대용구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스트랩을 이용해 짊어 졌을 때, 사용자의 옆구리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 또는 팔꿈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백팩, 아기띠 등의 휴대용구를 장시간 짊어져야 할 상황에서 팔을 지지 및 거치할 수 있게 하여 목, 어깨, 팔의 긴장 및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의 사용 시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팔을 거치함으로써 팔의 무게로 인한 육체적 부담과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팔을 지지 및 거치할 때 아래쪽으로 눌러지는 힘을 이용해 휴대용구에 의해 등에 작용하는 무게감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 또는 보조배터리와 등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하여 스마트폰의 휴대와 사용의 편리함을 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일례 중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의 활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구에 추가될 수 있는 보조거치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일례 중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의 활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구에 추가될 수 있는 보조거치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은 사용자가 이송대상을 넣어 이동 중에 짊어지고 다닐 수 있게 만들어진 휴대용구(1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1 스트랩(110) 및 제2 스트랩(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구(10)라 함은 백팩, 아기띠(hipseat carrier), 유아용 캐리어 등과 같이 무언가를 넣어 등에 메고 다닐 수 있게 만든 용구나 기구 따위를 일컬으며,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언급하는 휴대용구(10)의 종류는 제한없이 다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의 경우 적용범위가 위에서 언급한 휴대용구(10)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도면을 통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의복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대상에도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인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하였을 뿐 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은 제한없이 다양한 범위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본론으로 돌아와, 제1 스트랩(110)은 사용자가 휴대용구(10)를 짊어질 때 사용자의 등이 위치하게 되는 휴대용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어깨를 집어넣어 멜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스트랩(110)에는 복수 개의 제1 고정부(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120)의 경우 후술할 제2 스트랩(210)이 고정되는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스트랩(210)은 제1 스트랩(110) 상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보조 스트랩으로서, 통상시에는 제1 스트랩(110)과 일체를 이루어 사용되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할 경우 팔을 거치 및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육체적 피로감 없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스트랩(21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제1 스트랩(110)의 어느 일지점에 고정되고, 반대편 타단은 제1 스트랩(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고정부(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스트랩(210)의 타단에는 제1 고정부(120)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고정부(2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스트랩(210)은 이러한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220)를 이용한 고정 위치 변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1 스트랩(110)을 통해 휴대용구(10)를 짊어진 상태에서 팔을 거치할 수 있는 고리 또는 띠 형상의 팔걸이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트랩(210)의 타단에 구비된 제2 고정부(220)가 제1 스트랩(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최상단에 위치한 제1 고정부(120)에 고정될 경우에 제2 스트랩(210)은 제1 스트랩(110)과 일체를 이루며 일반적인 스트랩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 스트랩(210)을 팔걸이로 이용할 경우에는 제2 고정부(22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다른 제1 고정부(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킴으로써 제2 스트랩(210)을 고리 형태의 팔걸이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팔걸이로 변형된 제2 스트랩(210)에 있어서 팔을 넣을 수 있는 고리의 크기는 제2 고정부(220)의 고정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제2 고정부(220)가 제1 스트랩(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하단에 가깝게 위치한 제1 고정부(110)에 고정될수록 팔을 넣을 수 있는 고리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사용자는 팔걸이로 변형된 제2 스트랩(210)에 스마트폰을 든 팔을 넣어 거치할 수 있게 되며, 이동 중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팔의 육체적 부담과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팔걸이 형태로 변형된 제2 스트랩(210)에 팔을 넣어 지지 및 거치할 때 팔의 무게로 인해 전방 아래쪽으로 눌러지는 힘을 이용함으로써, 반대편인 후방에서 작용하는 휴대용구(10)에 의한 무게감 또한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 따른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220)의 경우,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쉽게 제2 고정부(220)를 제1 고정부(120)로부터 분리하여 제2 스트랩(210)을 팔걸이로 변형시킬 수 있게끔 착탈의 편리성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120) 및 제2 고정부(220)는 서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벨크로(Velcro, hook-and-loop fastener)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제2 고정부(220)를 어느 하나의 제1 고정부(120)로부터 떼어 내어 다른 고정부(120)로 옮겨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120)의 경우 후크(hook) 따위를 걸 수 있는 고리 또는 섀클(shackl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220)는 이에 대응하여 후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면을 통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120) 및 제2 고정부(220)의 경우 결합의 견고성이 유지되는 선에서 요면인 암단추와 철면인 수단추의 결합을 이용하는 스냅 패스너(snap fastner, 일명 '똑딱이 단추')로 각각 구성될 수 있을 것이고, 연결이 간편하고 용이한 회전마운트(mount) 또는 자석회전버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냅 패스너, 회전마운트 또는 자석회전버클과 같은 구성은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220)의 착탈을 수행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랩(210)의 경우 사용자가 보다 안정감을 갖고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그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10)이 한 쌍으로 구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스트랩(110b)에 구비된 제2 스트랩(210b)의 제2 고정부(220b)는 다른 하나의 제1 스트랩(110a)의 제1 고정부(120a)에 고정됨으로써, 제2 스트랩(210b)은 한 쌍의 제1 스트랩(110a, 110b) 사이를 연결하는 팔걸이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다른 하나의 제1 스트랩(110a)에 구비된 제2 스트랩(210a)은 또 다른 제1 고정부(120a) 중 하나에 고정됨으로써 또 하나의 팔걸이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팔을 보다 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6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랩(210)의 경우, 내부에 주머니 형태로 마련된 포켓(214)과 상기 포켓(214)을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포켓입구(212)를 통해 스마트폰 또는 보조배터리와 같은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의 휴대와 사용의 편리함을 더할 수 있다.
이때 보조배터리는 충전케이블의 연결단자를 포켓입구(212)를 통해 앞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함과 동시에 충전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랩(210)은 앞서 설명한 포켓(214)을 이용하여 저전력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비콘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포켓(214)을 대신하여 무선 충전 보조배터리가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에 적용되는 휴대용구(10)의 경우, 도 7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스트랩(110)을 이용해 휴대용구(10)를 짊어 졌을 때, 사용자의 옆구리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 또는 팔꿈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거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거치부(300)는 팔걸이 형태로 변형된 제2 스트랩(210)과 더불어 이동 중의 스마트폰 사용에 편의성을 더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팔이나 팔꿈치를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스트랩(210)을 팔걸이로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잠시 팔을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거치부(300)에는 휴대영구(10)의 양쪽 옆 각각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추가적인 수납을 위한 수납주머니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제1 스트랩
120: 제1 고정부
210: 제2 스트랩
220: 제2 고정부
300: 보조거치부
120: 제1 고정부
210: 제2 스트랩
220: 제2 고정부
300: 보조거치부
Claims (8)
- 사용자가 이송대상을 넣어 이동 중에 짊어지고 다닐 수 있게 만들어진 휴대용구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스트랩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구를 짊어질 때 사용자의 등이 위치하는 상기 휴대용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어깨를 집어넣어 멜 수 있게 마련되는 제1 스트랩;
상기 제1 스트랩 상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이 상기 제1 스트랩의 어느 일지점에 고정되고, 반대편 타단은 상기 제1 스트랩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1 고정부를 통한 타단의 고정 위치 변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스트랩을 통해 상기 휴대용구를 짊어진 상태에서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스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은,
길이방향에 따른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스트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벨크로(hook-and-loop fastener)로 구성되는 헬스케어 스트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버클(buckle)로 구성되는 헬스케어 스트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고리 또는 섀클(shackle)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고리 또는 섀클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후크(hook)로 구성되는 헬스케어 스트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이 한 쌍으로 구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스트랩에 구비된 제2 스트랩의 제2 고정부는 다른 하나의 제1 스트랩의 제1 고정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한 쌍의 제1 스트랩 사이를 연결하는 팔걸이로 변형되는 헬스케어 스트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은,
내부에 주머니 형태로 마련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을 개방 가능하게 마련된 포켓입구를 통해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헬스케어 스트랩.
- 제1항에 따른 헬스케어 스트랩이 적용된 휴대용구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구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스트랩을 이용해 짊어 졌을 때, 사용자의 옆구리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 또는 팔꿈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2763A KR101995342B1 (ko) | 2017-12-15 | 2017-12-15 | 헬스케어 스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2763A KR101995342B1 (ko) | 2017-12-15 | 2017-12-15 | 헬스케어 스트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1881A true KR20190071881A (ko) | 2019-06-25 |
KR101995342B1 KR101995342B1 (ko) | 2019-07-02 |
Family
ID=6706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2763A KR101995342B1 (ko) | 2017-12-15 | 2017-12-15 | 헬스케어 스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534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36576B1 (en) * | 1998-07-30 | 2002-01-08 | Michael D. Easter | Front pack and belt support assembly |
KR20090054768A (ko) * | 2007-11-27 | 2009-06-01 | 이호승 | 하중분산용 보조끈이 구비된 가방 또는 배낭 |
KR101202844B1 (ko) * | 2010-10-19 | 2012-11-22 | 박수철 | 끈처리가 가능한 가방 |
KR20130133530A (ko) * | 2012-05-29 | 2013-12-09 | 이순주 | 스피커 기능을 갖는 멜빵 |
KR101525044B1 (ko) * | 2013-12-13 | 2015-06-03 | 백승훈 | 어깨 착용식 의료용 팔걸이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2763A patent/KR1019953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36576B1 (en) * | 1998-07-30 | 2002-01-08 | Michael D. Easter | Front pack and belt support assembly |
KR20090054768A (ko) * | 2007-11-27 | 2009-06-01 | 이호승 | 하중분산용 보조끈이 구비된 가방 또는 배낭 |
KR101202844B1 (ko) * | 2010-10-19 | 2012-11-22 | 박수철 | 끈처리가 가능한 가방 |
KR20130133530A (ko) * | 2012-05-29 | 2013-12-09 | 이순주 | 스피커 기능을 갖는 멜빵 |
KR101525044B1 (ko) * | 2013-12-13 | 2015-06-03 | 백승훈 | 어깨 착용식 의료용 팔걸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5342B1 (ko) | 2019-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8122B2 (en) | Tablet accessory system | |
US8328055B1 (en) | Wrist holder for a smartphone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 |
US9407742B2 (en) | Cell phone holster | |
US9405172B2 (en) | Wearable mount for handheld image capture devices | |
JP3207032U (ja) | ネックストラップ構造及びその補助具 | |
US20160183685A1 (en) | Portable neck pillow | |
US20080023515A1 (en) | Mommy tool belt | |
US20090283561A1 (en) | Anti-slip apparatus | |
US20190191853A1 (en) | Article carrying sling systems | |
KR20140010301A (ko) | 장신구 고정용 옷핀 | |
KR200396918Y1 (ko) | 핸드폰 줄 | |
KR101995342B1 (ko) | 헬스케어 스트랩 | |
US20110215126A1 (en) | Convertible adjustable strap and harness system | |
KR200465653Y1 (ko) | 들거나 멜 수 있는 손가방 | |
US20190328153A1 (en) | Shoulder strap for an infant car seat carrier | |
US10602790B2 (en) | Shoulder sling and pillow system | |
KR20140047756A (ko) | 보관함을 갖는 핸드폰 케이스 | |
KR200176892Y1 (ko) | 휴대품 착용용 멜빵 | |
JP3077024U (ja) | 携帯電話保持具 | |
JP3016256U (ja) | 携帯電話等の携帯具 | |
CN204015422U (zh) | 用于户外运动的手机臂套 | |
KR101530283B1 (ko) | 어깨 걸이식 아기띠 | |
CN211910761U (zh) | 一种商务手提包 | |
US20190191854A1 (en) | Article carrying sling systems | |
KR200403010Y1 (ko) | 멜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