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667A -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667A
KR20190071667A KR1020190071860A KR20190071860A KR20190071667A KR 20190071667 A KR20190071667 A KR 20190071667A KR 1020190071860 A KR1020190071860 A KR 1020190071860A KR 20190071860 A KR20190071860 A KR 20190071860A KR 20190071667 A KR20190071667 A KR 2019007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cleaning module
air clean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772B1 (ko
Inventor
박재균
선종오
최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7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667A/ko
Priority to KR1020200160919A priority patent/KR102379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제 1,2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선택적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함께 운전될 때, 상기 순환팬 회전수가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 이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공기 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본체의 내부에는 하나의 송풍팬만이 제공됨으로써, 송풍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 될 공간(이하, 청정공간)의 크기에 따라, 토출되는 풍량이 조절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요구되는 공기청정량에 기초하여, 다수의 모듈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센서장치를 통하여 공기 오염도(또는 공기 청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공기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공기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운전되는 모듈의 수가 증가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운전모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수동 운전모드, 자동 운전모드 및 하부모듈 집중운전 모드를 통하여 청정공간를 용이하게 조화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모듈에 각각 구비되는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각 팬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를 중심으로 상방, 전방 및 좌우 방향을 향하여 토출기류가 용이하게 발생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공기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제 1,2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선택적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함께 운전될 때, 제 3 팬의 회전수가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 이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에는,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이 단독운전 되는 싱글모드가 포함된다.
상기 운전모드에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이 함께 운전되는 듀얼모드가 포함된다.
상기 운전모드에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함께 운전되는 순환모드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에는, 풍량을 입력할 수 있는 풍량 입력부가 포함된다.
상기 듀얼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팬의 회전수(N1')를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N1)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듀얼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팬의 회전수(N1'')를 상기 제 2 팬(260)의 회전수(N1)에 대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팬의 회전수(N1'')는 상기 제 2 팬(260)의 회전수(N1)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 3 팬의 회전수(N2'')를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N2)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값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팬의 회전수(N2')를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N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에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조절장치 중, 운전될 장치 및 풍량을 선택할 수 있는 수동 운전모드가 포함된다.
상기 운전모드에는, 센서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 중, 운전될 장치를 결정하는 자동 운전모드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과 상기 제 2 공기청정 모듈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판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팬 및 상기 순환팬은 세로 방향의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는, 운전모드 중 순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조절 장치를 운전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순환모드가 수행될 때, 상기 제 1 송풍팬의 회전수는 상기 제 2 송풍팬의 회전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드가 수행될 때, 상기 제 3 송풍팬의 회전수는 상기 제 2 송풍팬의 회전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 중 듀얼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을 운전할 수 있다.
상기 듀얼모드가 수행될 때, 상기 제 1 송풍팬의 회전수는 상기 제 2 송풍팬의 회전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 중 싱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이 운전되며, 입력된 풍량에 따라, 상기 제 1 송풍팬의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공기청정 모듈을 통과한 정화 공기를 먼 거리까지 토출할 수 있는 유동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모듈이 구비되고, 청정공간의 크기 또는 원하는 공기 청정량에 따라, 상기 다수의 모듈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 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 만족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운전모드가 설정되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수의 운전모드에는, 사용자가 운전조건, 즉 구동될 모듈의 수, 그리고 풍량을 선택할 수 있는 수동운전 모드가 포함되며, 사용자는 수동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공기 청정량 또는 공기청정 속도를 원하는 값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운전모드에는, 공기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조건이 결정될 수 있는 자동운전 모드가 포함되며, 상기 공기 오염도의 레벨에 따라 구동될 모듈의 종류 또는 수, 그리고 풍량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청정공간의 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공기 청정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 청정기에는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가 포함되어, 상기 공기 오염도에 관한 레벨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부 모듈을 통하여 공기의 상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모듈의 상측에 구비되는 유동 조절장치에 의하여 공기의 전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좌우방향으로의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결국,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 토출이 가이드 되고, 공기 청정기로부터 먼 거리까지 토출기류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공기청정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토출기류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동 조절장치에는 제 3 팬이 구비되므로, 제 2 송풍장치를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상기 제 3 팬에 의한 유동력을 더하여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한 토출기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기류가 도달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다수의 모듈이 제공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공기청정 모듈을 통하여 서로 독립된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공기유동 상호간에 서로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유동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다수의 모듈 중 운전되는 모듈에 따라, 각 운전되는 모듈에 구비되는 팬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유동에 작용하는 저항을 최소로 하고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유동 조절장치 및 상부모듈이 함께 운전할 때, 즉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방으로 돌출된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3 팬이 구동하고 상기 상부모듈의 제 2 팬이 구동할 때,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는 상기 제 3 팬의 회전수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하려는 경향이 작아지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를 통하여 전방 상측 또는 후방 상측을 향하여 토출되는 경향이 커질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로부터 먼 거리까지 토출공기가 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하부모듈과 상부모듈은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하부모듈만 운전되거나, 상부모듈만 운전되거나, 또는 하부모듈 및 상부모듈이 함께 운전될 수 있다. 상하부 모듈이 함께 운전되는 경우, 상기 하부모듈에 구비되는 제 1 팬의 회전수는 상기 상부모듈에 구비되는 제 2 팬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모듈의 흡입부로 다시 흡입되는 현상(회풍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하부모듈의 제 1 팬의 회전수를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부모듈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상기 상부모듈의 흡입량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상부모듈로 흡입되더라도, 상기 하부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적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모듈이 운전되는 경우,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제 3 팬의 회전수는 상기 상부모듈의 제 2 팬의 회전수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2 팬이 구동하는데 상기 제 3 팬이 구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3 팬은 상기 제 2 팬을 통과한 공기에 대하여 저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팬은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 2 팬을 통과한 공기가 상방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결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좌우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 1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상하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 2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청정기를 통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청정기를 통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하부모듈만 구동할 때 공기 유동모습읍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이 구동할 때 공기 유동모습읍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모듈 및 유동 조절장치가 구동할 때 공기 유동모습읍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조절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청정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각각 "제 1 공기청정 모듈(100)", 제 2 공기청정모듈(200)"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하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하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상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 1 분리부(101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분리부(101a)에는, 걸림돌기 또는 자석부재와 같은 걸림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걸림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 1 분리부(101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2 참조)의 제 1 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방향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걸림장치가 구비되는 제 2 분리부(2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흡입부(202)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거나,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는 상기 베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본체(111) 및 테두리부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흡입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은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 및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1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1 팬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는, 제 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는 후술할 제 2 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1 가이드벽(181)과,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 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유로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유로의 상측에는, 제 1 토출부(105)가 배치된다.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의 상측, 즉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기(10)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는, 구획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의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43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위치하며, 상기 이격공간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 지지장치(5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경유되는 공간이며, 상기 상부공간은,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10)를 이동할 때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200)에는, 레버 지지장치(560), 레버장치(242), 지지장치(240),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임(230), 제 2 팬하우징(250) 및 제 2 팬(260)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구성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에도 원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는 상기 레버장치(242)를 지지한다. 상세히,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레버 지지본체(561)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점에서, "차단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부(5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버장치(2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버장치(2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2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본체(243)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245)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장치(242)가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에 지지되면,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4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레버장치(242)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2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간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2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송풍장치(2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565)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2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필터프레임(2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2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231)과,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232) 및 상기 제 1 프레임(2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2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필터지지부(23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프레임(231,232) 및 제 2 필터지지부(235)에 관한 설명은,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제 1,2 프레임(131,132) 및 제 1 필터지지부(135)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1,2 프레임(231,232) 및 상기 다수의 제 2 필터지지부(235)에 의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외측에는, 제 1 지지부커버(2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센서장치(2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2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2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237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237a) 및 가스센서(237b)는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의 제 2 프레임(2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치(237)에는, 상기 먼지센서(237a) 및 가스센서(237b)를 덮는 센서커버(237c)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장치(237)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센서장치(237)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센서장치(237)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2 팬하우징(2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에는, 제 2 팬(2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 2 팬(260)의 구성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팬(16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 2 팬(260)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팬(16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2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258)는 상기 제 1 팬하우징(2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58)은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이오나이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결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좌우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 1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22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벽(271) 및 상기 외벽(2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벽(2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2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2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2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75)는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내벽(2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2 팬모터(2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2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2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일측에는 모터결합부(2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266)는 상기 제 2 팬모터(265)를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276,277)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276,277)에는, 상기 모터수용부(273)에 구비되는 제 1 랙(276) 및 축가이드 홈(277)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기어(360)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모터수용부(27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곡률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랙(276)의 길이는, 상기 제 1 기어(360)에 연동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소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축가이드 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축가이드 홈(277)에는, 상기 제 1 기어(360)의 제 1 기어축(36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외벽(281) 및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내벽(282)이 포함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은 상기 토출내벽(2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과,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제 2 공기유로(282a), 즉 토출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가이드 리브(275)가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로(272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유로(282a)에 배치되는 제 2 토출그릴(288)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토출유로(282a)의 하측으로 손가락을 집어넣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내벽(282)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판(283)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축삽입부(284)가 포함된다. 상기 축삽입부(284)에는, 상기 회전축(354)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삽입부(284)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축삽입부(28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베어링 홈(28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 홈(285)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3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홈(285)은, 상기 제 1 베어링(35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수용되는 제 3 팬하우징(31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은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팬(160) 및 상기 제 2 팬(260)을 "송풍팬"이라 이름하고, 상기 제 3 팬(330)을 "순환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상측에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 2 토출부(305)를 형성하는 토출그릴(315)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토출그릴(315)의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330)은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팬(260),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거쳐 상기 제 3 팬(330)을 향하여 상방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에서 토출되어,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 모터인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가지는 허브(331) 및 상기 허브(331)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33)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제 3 팬(33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팬모터(165,265,335)은 세로방향의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팬(160,260,330)은 세로방향의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거친 공기를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3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의 공기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325)이 포함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제 2 토출그릴(288)의 형상은, 상기 유입그릴(325)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3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1 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2 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 1 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1 기어(360)로부터 하방으로, 즉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또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기어축(36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 1 랙(276)에 기어 결합된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랙(276)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기어(360)는 회전하여, 상기 제 1 랙(276)에 연동한다. 이 때,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1 랙(27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 가이드홈(27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홈(277)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회전축(35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 1 회전반경"이라 이름한다.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축 삽입부(284)에 삽입되며,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축(362) 및 제 1 기어(360)는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세로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제 1 방향,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353,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353,355)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353)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베어링(353)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제 1 베어링(353)이 삽입되는 베어링홈(285)이 포함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제 1 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 2 회전반경"이라 한다. 상기 제 2 회전반경은, 상기 제 1 회전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의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 내벽(28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은, 상기 제 2 베어링(355)의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방향 회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작동하면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모터(363)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360) 및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360) 및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1 기어(36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베어링 홈(285)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좌우 방향으로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의 상하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 2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하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 부재(352)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하면에, 상기 중심축(3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하측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면(352a)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은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은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을 위하여, 제 2 기어(365)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기어삽입부(35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일측에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365)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기어(365)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기어모터(367)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2 기어모터(367)로부터 상기 제 2 기어(365)로 연장되는 제 2 기어축(3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축(366)은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의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기어축(366)과 상기 제 2 기어(365)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부(37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71)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면(37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면(372)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은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의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는 제 2 랙(37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365) 및 상기 제 2 랙(374)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 이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방향 회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작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기어(365)는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기어(36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 랙(374)은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랙(3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 및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팬 하우징(3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기어(36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 랙(374)은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랙(3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 및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팬 하우징(3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하방향으로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청정기를 통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조절장치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청정기를 통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 즉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팬 하우징(310)이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의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도 11에 표시된 "B"의 방향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여, 상기 제 1 위치(도 1 참조)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면에 안착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1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세히,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2 팬(160,260)은 회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팬(1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서의 공기 흡입 및 토출(제 1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2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서의 공기 흡입 및 토출(제 2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과 제 2 유동은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팬(330)은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이 작동하면, 상기 제 2 유동은 더욱 강력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팬(260) 및 제 3 팬(33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서의 강한 토출기류가 발생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3 팬(330)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2 팬(160,260)은 회전하여 상기 제 1,2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팬(330)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위치에 대하여, 상방으로 설정각도만큼 경사진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설정각도는 약 60도일 수 있다.
상세히,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팬(33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제 3 팬(330)을 거쳐 상기 제 2 토출부(305)에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향(도 11 기준 좌측방향)을 바라보도록 위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은 공기 청정기(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좌측 45도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타방향을 바라보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타방향은 공기 청정기(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우측 45도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회전각도는 약 9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원거리까지 토출기류를 보낼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센서장치(237)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장치(237)에는, 먼지센서(237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237a)는 상기 상부 모듈(200)로 흡입되는 공기 중 설정된 크기 이하의 불순물 또는 먼지의 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먼지센서(237a)는 2.5μm 이하의 초미세먼지의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센서(237a)를 "PM2.5 먼지센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237)에는, 가스센서(237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스센서(237b)는 상기 상부 모듈(200)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일례로 가연성 가스, 환원성 가스, 유기용제 가스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공기질 레벨 1 2 3 4 5 6 7
오염도(청정도)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디스플레이 색상 녹색 황색 주황색 적색
상기 먼지센서(237a) 및 상기 가스센서(237b)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상태, 즉 공기질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먼지센서(237a)와 상기 가스센서(237b)에서 출력된 값을 조합하여, 상기 공기질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질 레벨은 레벨 1부터 레벨 7까지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레벨이 높을수록 공기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질 레벨이 1~2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좋음상태"이며, 공기질 레벨이 3~4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보통상태"이고, 공기질 레벨이 5~6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나쁨상태"이고, 공기질 레벨이 7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매우나쁨 상태"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공기 오염도에 관한 레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오염도에 관한 정보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오염도가 "좋음상태"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녹색"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공기 오염도가 "보통상태" 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황색" 을 출력하며, 상기 공기 오염도가 "보통상태" 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주황색"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오염도가 "매우나쁨 상태"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적색"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오염도에 관한 정보가 구분 가능한 색상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공기질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7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710)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전원입력부(711)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710)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운전모드 입력부(7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에는, 수동 운전모드 및 자동 운전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운전모드 입력부(713)를 통하여, 상기 수동 운전모드 및 자동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운전모드 입력부(713)에는, 각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 입력부(713)를 통하여 상기 수동 운전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는 운전될 모듈(장치)의 수 또는 바람세기(풍량)을 입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710)에는, 운전될 모듈의 수를 결정하는 청정모드 입력부(71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듈에는, 3개의 모듈, 즉 제 1 공기청정 모듈(100), 제 2 공기청정 모듈(200) 및 유동 조절장치(3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모듈은 선택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청정모드 입력부(715)는, 상기 3개의 모듈 중, 운전될 모듈의 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청정모드 입력부(715)에는, "싱글청정 입력부", "듀얼청정 입력부" 및 "순환청정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싱글청정 입력부는, 상기 3개의 모듈 중, 제 1 공기청정 모듈(100)을 운전하기 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이며, 상기 듀얼청정 입력부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을 운전하기 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청정 입력부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를 운전하기 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로서 이해된다.
상기 싱글청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하부모듈(100)의 단독운전이 수행되는 "싱글모드"로 운전되며, 상기 듀얼청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상하부모듈(100,200)의 조합운전이 수행되는 "듀얼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청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상기 상하부모듈(100,200) 및 유동 조절장치(300)의 조합운전이 수행되는 "순환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모드"에서의 유동 조절장치(300)의 운전은,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상기 상부모듈(200)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상태에서 운전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입력부(710)에는, 운전될 모듈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 즉 풍량을 결정할 수 있는 풍량 입력부(717)가 더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청정모드 입력부(715)를 통하여 운전될 모듈을 결정한 이후, 상기 풍량 입력부(717)를 통하여 해당 모듈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풍량에는, "약풍", "중풍" 및 "강풍"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결정된 풍량에 따라, 상기 제 1 팬(160), 제 2 팬(260) 또는 제 3 팬(330)의 회전수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운전모드 입력부(713)를 통하여 상기 자동 운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상기 센서장치(237)로부터 인식된 공기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될 모듈의 수 및 바람세기(풍량)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오염도 레벨이 "좋음상태" 또는 "보통상태"인 경우, 상기 모듈 중 제 1 공기청정 모듈(100)이 운전되는 것으로 결정되며, 상기 공기 오염도 레벨이 "나쁨상태"인 경우, 상기 모듈 중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이 운전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보통상태"의 오염도 레벨, 즉 공기질 레벨 4는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100)만을 운전할 수 있는 제 1 기준오염도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나쁨상태"의 오염도 레벨, 즉 공기질 레벨 6은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을 운전할 수 있는 제 2 기준오염도로서 이해된다. 즉, 오염도 레벨이 상기 제 1 기준오염도 이상, 제 2 기준오염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이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오염도 이상의 오염도 레벨에서는, 상기 3개의 모듈 전부가 운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오염도 레벨이 "매우나쁨 상태"인 경우, 상기 3개의 모듈 전부, 즉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 및 유동 조절장치(300)이 운전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운전되는 모듈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제 2 위치(도 13 참조)로 이동하여 운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오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될 모듈이 결정되면, 상기 운전 결정된 모듈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설정된풍량은 "약풍"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운전모드를 통하여, 소정의 모듈이 "약풍"으로 운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풍량 입력부(717)가 입력되면 운전되는 모듈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은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풍량 입력부(717)를 입력한 것은, 사용자가 좀더 강한 풍량을 원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공기 오염도 레벨이 "좋음상태" 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100)이 "약풍"으로 운전되어도 공기청정 수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100)의 풍량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세지를 출력해 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메세지에는, "공기상태가 양호하며, 현재 동작만으로 청정상태 유지가능"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강한 풍량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수동 운전모드"로의 전환을 가이드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오염도 레벨이 "보통상태" 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100)의 풍량은 "중풍"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100)의 풍량이 "약풍"에서 "중풍"으로 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출력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오염도 레벨이 "나쁨상태" 인 경우에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의 풍량은 각각 "중풍"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의 풍량이 "약풍"에서 "중풍"으로 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출력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오염도 레벨이 "매우나쁨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풍량은 각각 "강풍"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풍량이 "약풍"에서 "강풍"으로 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출력해 줄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720)에는, [표 1]에 기재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장치(237)에서 감지된 값과, 공기질 레벨에 관한 매핑정보, 오염도 레벨에 관한 매핑정보, 디스플레이 색상에 관한 매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720)에는, 상기 자동 운전모드가 선택된 경우, 운전될 모듈의 수와, 풍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센서장치(237)에서 감지된 정보, 상기 입력부(71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부(7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팬모터(165), 제 2 팬모터(265), 제 3 팬모터(335), 제 1 기어모터(363), 제 2 기어모터(367)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3개의 모듈의 운전여부를 결정하고, 입력되거나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3개의 모듈의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10)가 온 되고 운전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11).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수동 운전모드이면, 사용자는 청정모드 입력부(715)를 통하여 3개의 모듈 중 운전될 모듈을 입력하며, 풍량 입력부(717)를 통하여 운전 결정된 모듈의 토출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의 싱글모드, 듀얼모드 및 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공기 청정기(10)를 운전할 수 있다(S13,S14).
그리고, 상기 결정된 토출풍량에 대응하여, 각 모듈에 구비되는 팬(160,260,330)의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팬 모터(165,265,335)의 회전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팬(160,260,330)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각 모듈을 운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싱글모드가 선택된 경우(도 16 참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선택한 풍량이 "약풍"일 경우,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는 N0이고, "중풍"일 경우,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는 N0'이며, "강풍"일 경우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는 N0''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N0''>N0'>N0이 성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듀얼모드가 선택된 경우(도 17 참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약풍"일 경우,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는 N1이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는 N1'일 수 있다.
상기 N1'는 상기 N1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모듈(200)의 제 2 흡입부(202)로 다시 흡입되는 현상(회풍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하부모듈(100)의 제 1 팬(160)의 회전수를 상기 제 2 팬(260)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부모듈(100)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상기 상부모듈(200)의 흡입량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상부모듈(200)로 흡입되더라도, 상기 하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적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팬모터(335) 또한 설정된 회전수로 구동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부모듈(200)이 운전되는 데, 상기 제 3 팬(330)이 구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에 대하여 저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팬(330)의 회전수(N1'')는 상기 제 2 팬(260)의 회전수(N1)에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팬(330)의 회전수는 상기 제 2 팬(260)의 회전수에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을 거쳐 상방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풍량이 "중풍"이거나, "강풍"이더라도,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는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수는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에 대응되는 회전수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순환모드가 선택된 경우(도 18 참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 팬모터(165), 제 2 팬모터(265) 및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약풍"일 경우,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는 N2이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는 N2'이며, 상기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수는 N2''일 수 있다.
상기 듀얼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수(N2')는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N2)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수(N2'')는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N2)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값일 수 있다. 만약, 상기 N2이 상기 N2''보다 크게 되면, 상기 상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풍량이 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를 통하여 토출되는 풍량은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방으로만 향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량은 적어질 수 있다. 결국,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먼거리가지 토출공기가 도달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N2''가 상기 N2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하려는 경향이 작아지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를 통하여 전방 상측 또는 후방 상측을 향하여 토출되는 경향이 커지게 될 수 있다. 결국, 토출공기는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먼 거리까지 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풍량이 "중풍"이거나, "강풍"이더라도, 상기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수는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회전수 이상으로 제어될 수 있다(S15).
S12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자동 운전모드이면, 센서장치(237)를 통하여 청정공간의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가스농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공기질 레벨, 즉 공기 오염도 레벨이 인식될 수 있다(S16,S17).
상기 인식된 공기 오염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운전될 모듈 또는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오염도에 관한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청정 모듈(100,200) 및 유동 조절장치(300) 중, 운전되는 장치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오염도에 관한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즉 오염도 레벨이 "좋음상태" 또는 "보통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 공기청정 모듈(100)이 운전되도록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 오염도에 관한 레벨이 중간 수준인 경우, 즉 오염도 레벨이 "나쁨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이 운전되도록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오염도에 관한 레벨이 높은 수준인 경우, 즉 오염도 레벨이 "매우나쁨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1,2 공기청정 모듈(100,200) 및 유동 조절장치(300)가 운전되도록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운전되는 모듈의 풍량은 "약풍"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나, 상기 풍량 입력부(717)가 입력되면 상기 운전되는 모듈의 풍량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풍량에 대응하는 팬 모터(165,265,335)의 회전수는, S15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S18).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하부모듈만 구동할 때 공기 유동모습읍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하부 모듈(100)만 운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 중, 수동 운전모드 및 자동 운전모드에서, 각각 이러한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듈(100)이 운전되면, 청정공간의 공기는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상기 하부 모듈(100)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오염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거치면서 정화되고,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기 청정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에 구비되는 3개의 모듈 중 1개의 모듈이 운전되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양, 즉 청정능력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청정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예를 들어 작은 방의 청정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동 운전모드를 선택하고 싱글모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청정능력은 1분당 Q1(m3)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청정능력(Q1)은, 상기 제 1 팬(160)의 회전속도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이 구동할 때 공기 유동모습읍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하부 모듈(100) 및 상부 모듈(200)이 운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 중, 수동 운전모드 및 자동 운전모드에서, 각각 이러한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듈(100) 및 상부 모듈(200)이 운전되면, 제 1,2 흡입부(102,202)를 통하여 상기 하부 모듈(100) 및 상부 모듈(200)로 각각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듈(100)로 흡입된 오염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거치면서 정화되고,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청정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모듈(200)로 흡입된 오염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거치면서 정화되고, 제 2 팬(260)을 거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에 있으며, 제 3 팬(330)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되어, 상기 제 2 팬(260)에서 토출된 공기에 송풍력을 가하여, 상기 제 2 토출부(305)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에 구비되는 3개의 모듈 중 2개의 모듈이 운전되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양, 즉 청정능력은 하부 모듈(100)만 운전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청정공간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예를 들어 큰 방의 청정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동 운전모드를 선택하고 듀얼모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청정능력은 1분당 Q2(m3)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청정능력(Q2)는, 상기 제 1,2 팬(160,260) 및 제 3 팬(330)의 회전속도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정능력(Q2)은 상기 청정능력(Q1)보다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모듈 및 유동 조절장치가 구동할 때 공기 유동모습읍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하부 모듈(100) 및 상부 모듈(200)과, 유동 조절장치(300)가 운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 중, 수동 운전모드 및 자동 운전모드에서, 각각 이러한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듈(100) 및 상부 모듈(200)과,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운전되면, 제 1,2 흡입부(102,202)를 통하여 상기 하부 모듈(100) 및 상부 모듈(200)로 각각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듈(100)로 흡입된 오염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거치면서 정화되고,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청정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모듈(200)로 흡입된 오염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거치면서 정화되고, 제 2 팬(260)을 거쳐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상기 청정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3 팬(330)이 함께 구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하면서 더 강한 송풍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상방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2 모듈(200)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10)를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상대적을 먼 거리까지 청정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도 11의 A 참조)을 수행하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기준으로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으로 청정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에 구비되는 3개의 모듈 모두 운전되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양, 즉 청정능력은 하부 모듈(100)만 운전되는 경우, 또는 상하부 모듈(100,200)이 운전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청정공간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예를 들어 사무실 또는 큰 거실(방)의 청정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동 운전모드를 선택하고 순환모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청정능력은 1분당 Q3(m3)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청정능력(Q3)는, 상기 제 팬(160,260,330)의 회전속도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정능력(Q3)은 상기 청정능력(Q1) 또는 청정능력(Q2)보다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의 운전에 의하면, 청정공간의 크기 또는 공기 오염도에 따라 최적화 된 공기 청정기의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0 : 공기 청정기 20 : 베이스
100 : 송풍장치 100 : 제 1 송풍장치
101 : 제 1 케이스 110 : 흡입그릴
120 : 제 1 필터부재 130 : 제 1 필터프레임
140 : 지지장치 142 : 레버장치
150 : 제 1 팬하우징 160 : 제 1 팬
170 : 제 1 에어가이드 장치 180 : 제 2 에어가이드 장치
190 : 제 1 토출가이드 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201 : 제 2 케이스 220 : 제 2 필터부재
230 : 제 2 필터프레임 237 : 센서장치
260 : 제 2 팬 270 :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280 :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300 : 유동 조절장치
310 : 제 3 팬하우징 320 : 유동 가이드부
330 : 제 3 팬 600 : 디스플레이 장치
700 : 제어부 710 : 입력부
711 : 전원 입력부 713 : 운전모드 입력부
715 : 청정모드 입력부 717 : 풍량 입력부

Claims (13)

  1. 송풍팬 및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순환팬이 구비되는 유동 조절장치;
    상기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운전을 위하여, 운전모드에 관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상단에 누워져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순환팬을 거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직상방으로 토출되며,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상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순환팬을 거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경사진 상방으로 토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기 누워져 있는 위치 또는 상기 경사지게 돌출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순환팬의 회전수가 상기 송풍팬의 회전수보다 작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기 누워져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팬의 회전수를 상기 송풍팬의 회전수와 동일하게 제어하여, 상기 순환팬에서의 공기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 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기 경사지게 돌출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팬의 회전수가 상기 송풍팬의 회전수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경사진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 모듈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하부 공기청정 모듈 및 상부 공기청정 모듈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에는,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이 단독운전 되는 싱글모드;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이 함께 운전되는 듀얼모드;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공기청정 모듈과,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함께 운전되는 순환모드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은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상방으로 토출하며,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은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흡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듀얼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의 제 1 팬의 회전수(N1')를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의 제 2 팬의 회전수(N1)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을 통한 공기의 토출량이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을 통한 공기의 토출량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팬의 회전수(N1'')를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N1)와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드에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는 상기 경사지게 돌출된 위치에 있도록 움직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팬의 회전수(N2'')를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의 제 2 팬의 회전수(N2)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값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의 제 1 팬의 회전수(N2')를 상기 제 2 팬의 회전수(N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에는,
    상기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조절장치 중, 운전될 장치 및 풍량을 선택할 수 있는 수동 운전모드; 및
    센서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 중, 운전될 장치를 결정하는 자동 운전모드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1. 송풍팬과,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토출부를 가지는 공기청정 모듈 및 상기 제 1 토출부에서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을 거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토출부가 구비되는 유동 조절장치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는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입력부를 통하여, 운전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는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상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된 위치에 있도록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순환팬이 구동하여, 상기 제 1 토출부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순환팬을 거쳐 상기 제 2 토출부로 토출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순환팬의 회전수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경사진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는 상기 경사지게 돌출된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 조절장치가 상기 공기청정 모듈의 상단에 누워져 있는 위치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순환팬의 회전수를 상기 송풍팬의 회전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순환팬에서의 공기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 모듈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하부 공기청정 모듈 및 상부 공기청정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 미 상기 공기청정 모듈이 함께 운전될 때,
    상기 하부 공기청정 모듈의 제 1 팬의 회전수는 상기 상부 공기청정 모듈의 제 2 팬의 회전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71860A 2019-06-17 2019-06-17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8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60A KR102185772B1 (ko) 2019-06-17 2019-06-17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0160919A KR102379754B1 (ko) 2019-06-17 2020-11-26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60A KR102185772B1 (ko) 2019-06-17 2019-06-17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846A Division KR101991952B1 (ko) 2016-10-21 2016-10-21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919A Division KR102379754B1 (ko) 2019-06-17 2020-11-26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667A true KR20190071667A (ko) 2019-06-24
KR102185772B1 KR102185772B1 (ko) 2020-12-02

Family

ID=6705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860A KR102185772B1 (ko) 2019-06-17 2019-06-17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500A (zh) * 2020-07-03 2020-10-09 天津商业大学 一种高仰角大风速下净化器启动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579A (ja) * 2001-09-26 200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KR20040056151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60026319A (ko) * 2004-09-20 200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형 공기청정기
JP2007209725A (ja) * 2006-02-09 2007-08-23 Kwk Gijutsu Kenkyusho:Kk 空気浄化モジュール
KR20160012796A (ko) * 2014-07-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JP2016114302A (ja) * 2014-12-16 2016-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579A (ja) * 2001-09-26 200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KR20040056151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60026319A (ko) * 2004-09-20 200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형 공기청정기
JP2007209725A (ja) * 2006-02-09 2007-08-23 Kwk Gijutsu Kenkyusho:Kk 空気浄化モジュール
KR20160012796A (ko) * 2014-07-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JP2016114302A (ja) * 2014-12-16 2016-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500A (zh) * 2020-07-03 2020-10-09 天津商业大学 一种高仰角大风速下净化器启动控制方法
CN111750500B (zh) * 2020-07-03 2024-02-06 天津商业大学 一种高仰角大风速下净化器启动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772B1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262B2 (e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leaner
KR101828936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6835849B2 (ja) 空気清浄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97353B1 (ko) 공기 청정기
KR102466664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3470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00121A (ko) 공기 청정기
JP2019512077A (ja) 空気清浄機
KR101902070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11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060199A (ko) 공기청정시스템
KR101991952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835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1667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79754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11320A (ko) 공기청정기
KR20190038978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0287A (ko) 공기 청정기
KR20180000285A (ko) 공기 청정기
KR102462680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9675A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9674A (ko) 공기 청정기
KR101902069B1 (ko) 공기 청정기
KR101931536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8434A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