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634A -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 Google Patents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634A
KR20190071634A KR1020190036178A KR20190036178A KR20190071634A KR 20190071634 A KR20190071634 A KR 20190071634A KR 1020190036178 A KR1020190036178 A KR 1020190036178A KR 20190036178 A KR20190036178 A KR 20190036178A KR 20190071634 A KR20190071634 A KR 2019007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tenna
radome
band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4634B1 (en
Inventor
최춘화
신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3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34B1/en
Publication of KR2019007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5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jam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2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frequency or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3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 H04K2203/3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including a particular configuration of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system, portable, movable and capable of coping with intrus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like an air raid drone, comprising: a facility unit (1000) generating, converting and amplifying a digital signal to transmit disturbance waves; and an antenna unit (2000) provided with a shoulder unit (2030) and a trigger unit (2020) starting to radiate the disturbance wave, a bracket unit (2500) coupled to the body, and a first antenna (2300) and second antenna (2400) receiving the disturbance waves from the facility unit to radiate the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unit,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second antenna are provided with a first radome (2310) and second radome (2320) in a cylindrical shape holding an internal radiator structure and having a rear side coupled to the bracket unit, and with a fixation unit (2600)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first radome and second radome.

Description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0001]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무선통신의 차단 및 보호와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면서 공중으로 침투하는 드론과 같은 무인항공기의 침입에 대응 가능한 휴대용 전파 교란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radio disturbing apparatus capable of coping with the intrusion of an unmanned airplane such as a drone that can be carried and moved and penetrates into the air.

최근 드론에 관한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드론이 개발되어 대중에 공급되고 있다. 국제적인 기업인 아마존과 구글의 경우 상품의 배달에서 고속 인터넷 제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드론이 상용화되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드론은 무인항공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데 군사용의 무인항공기보다 더 작고 가벼우며 이는 탐지가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의미한다. 이러한 드론의 보급에 따라 저가형의 무인항공기인 드론이 상업용 항공시설, 필수인프라 및 기밀시설이나 군대에까지 잠재적인 위협요소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드론의 사진이나 영상 촬영장비와의 결합에 따라 오용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때문에 다양한 보안시설이나 사회기반시설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실제 워싱턴에서는 취미로 드론을 즐기는 사람의 실수로 백악관 내에 추락하여 보안경보가 발령된 사례가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 드론들이 나타난 사건에 대비하기 위하여 경찰과 공군이 새 크기의 드론을 격추시킬 수 있는 무기를 개발해달라고 요청한 사례도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북한의 무인 항공기가 청와대 및 서울 시내를 촬영하다 추락한 사건 이후 항공기의 비행금지구역 내 침입을 막을 수 있는 소위 안티드론 방어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drones have been developed and supplied to the public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drones. International companies Amazon and Google are in the process of commercializing drones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tasks, from delivering goods to providing high-speed Internet. These drones can be seen as a type of UAV, smaller and lighter than a military UAV, which means that detection is relatively difficult. With the spread of these drone, low-cost drone, a drone, has become a potential threat to commercial aviation facilities, essential infrastructure and confidential facilities and the military. That is,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use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drones' photographs and the image shooting equipment, which may be a threat to various securit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In fact, in Washington, there is a case where a hobbyist drunken man accidentally crashed into the White House and a security alert was issued. In France, police and the air force can shoot down a new size of drones to prepare for the appearance of drones in nuclear power plants. There is also a case that requested to develop a weapon.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a so-called anti-drones defense facility that can prevent intrusion of airplanes into non-flying areas after a North Korean unmanned airplane crashes down the Cheong Wa Dae and Seoul city.

그러나,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아직 드론과 같이 공중에서 주파수를 받아 활동하는 무인항공기 등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상당히 미미한 실정이다. However,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capable of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intrus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such as drone, which is still receiving frequencies in the air in the domestic as well as in the world, is very limited.

한편, 드론 등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망은 공중에 전파를 송출하여 일대일, 다대일, 일대다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교란하는 것을 무선통신 재밍(jamming)이라고 칭한다.On the other h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for a drone or the like transmits a radio wave to the public so that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in various forms such as one-to-one, many-to-one, one-to-many and so on. Is referred to as wireless communication jamming.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9-0083728호는 종래기술의 전파교란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블록도이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83728 discloses a radio disturbance device of the prior art, and FIG. 1 is a block diagram thereof.

*이를 살펴보면, 발진부(10)로부터의 발진신호는 버퍼(30)를 거쳐서 업컨버터(40)로 전달된다. 업컨버터(40)에서는 이 발진신호를 주파수 체배하여 방해하고자 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주파수 대역으로 업컨버젼(up-conversion)한다. 파워온 리셋부(20)는 본 기기에 전원이 인가될 때 업컨버터(40)가 프리런(free run)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이 인가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서 업컨버터(40)를 리셋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oscillation signal from the oscillation unit 10 is transmitted to the up-converter 40 via the buffer 30. [ The up-converter 40 up-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 signal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to be interrupted. In order to prevent the up-converter 40 from performing a free ru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on reset unit 20, the power-on reset unit 20 controls the up-converter 40 Reset.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전파교란기는 소정의 고정된 주파수대역에 작동하며, 제어전력의 입력을 위하여 고정되어 있고, 고정된 안테나를 구비하기 때문에 장비의 부피가 크고 이동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역의 주파수에 대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특히 드론과 같은 공중 침투가 가능한 무인항공기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However, this prior art radio disturbing apparatus operates in a predetermined fixed frequency band, is fixed for input of control power, and has a fixed antenna, so that the equipment is bulky and the mobility is remarkably deteriora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frequency, it is unreasonable to apply it to unmanned aerial vehicles such as drones capable of airborne penet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성과 휴대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RF 대역에 대응할 수 있고 무인항공기의 공중침투는 물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있는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drones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RF bands while having mobility and portab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 disturbance devi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신호생성부로부터의 주파수를 상용주파수 대역으로 업컨버징하는 상향변환부와, 상향변환부로부터의 변환신호를 증폭하되 두 개 이상의 증폭모듈이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장비부(1000); 및 견착부(2030)와 교란전파 방사를 개시하도록 하는 트리거부(2020)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브라켓부(2500)와,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지지되고 장비부로부터 교란전파를 수신하여 트리거부의 조작에 따라 방사하는 제1안테나(2300) 및 제2안테나(2400)를 구비하는 안테나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부는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증폭모듈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되 거리 또는 출력 단위가 표시되는 제어및표시부를 구비하여 차단대상물의 거리에 대응하여 출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digital signal, an up-conversion unit for up-converting the frequency from the signal generation unit to a common frequency band, (1000) having an amplification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amplification modul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by a switching unit; And a trunnion 2020 for initiating disturbance radio wave radiation with the stabbing portion 2030 and a bracket portion 2500 coupled to the body. And an antenna unit 2000 having a first antenna 2300 and a second antenna 2400 which receive and radi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rejecting a tree, and the antenna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ication modules connected in parallel, And a control and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to select the distance or the output unit so that the output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of the obstacle.

일실시예로서 상기 몸체는 파지가 가능한 후방손잡이부(2010)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파지 및 조준이 가능한 조준손잡이부(251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body may include a grip handle 2010 which can be gripped, and the bracket may include a grip handle 2510 for gripping and aiming.

또한, 상기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는, 내부의 방사체 구조를 수용하고 후방측에서 브라켓부에 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제1레이돔(2310)과 제2레이돔(2410)과, 상기 제1레이돔과 제2레이돔의 외면을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2600)를 구비하며, 상기 상향변환부는, 제1밴드인 GPS대역(1,160MHz ~ 1,790MHz), 제2밴드로서 조종주파수인 ISM 2.4GHz대역(2,400MHz ~ 2,483.5MHz) 및 제3밴드로서 영상송출 주파수인 ISM 5GHz대역(5,725MHz ~ 5,825MHz)에 대해 광대역 교란전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include a cylindrical first radome 2310 and a second radome 2410 which receive the inner radiator structure and are fastened to the bracket portion from the rear side, (1,160 MHz to 1,790 MHz), which is a first band, and ISM 2.4, which is a steering frequency, as a second band. It is desirable to generate a wideband disturbance propagation signal for the GHz band (2,400 MHz to 2,483.5 MHz) and the ISM 5 GHz band (5,725 MHz to 5,825 MHz), which is the image transmission frequency, as the third band.

상기 체결부는, 각각의 지지부가 독립적으로 반경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반경방향으로 긴 형상의 체결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slit having an elongated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each support portion can independently move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몸체는, 파지가 가능한 후방손잡이부(2010)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파지 및 조준이 가능한 조준손잡이부(25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부에 체결되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복수의 지지부와, 각각의 지지부에 직교된 어느 일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다이폴방사소자와, 복수의 지지부를 전방 단부측에서 상호 연결시키는 전방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ody includes a gripping part 2010 which can be gripped, and the bracket part has a gripping part 2510 capable of gripping and aiming,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art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coupled to the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formed in front of the plate portion and narrowed toward each other as they are moved forward; a plurality of dipole radiating elements protruding from one another orthogonally to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And a front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front end portion on the front end side.

본 발명에 따라, 상용화된 GPS주파수 및 원격조종주파수와 영상전송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공중의 항적운항 및 영상을 통한 원격조정이 불가능하도록 기능하여 효과적으로 무인항공기의 침투 등의 사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핵발전소 및 공항 등 국가 주요 시설물들에 대한 폭탄 테러위협, 국가 주요 시설물의 불법 촬영, VIP인사의 테러 위협, 경기장이나 인구밀집지역의 테러위협에 대처할 수 있으며, 마약 등과 물질의 반입으 차단은 물론, 비행금지구역에서의 무분별한 사용에의 대처가 가능하고, 사람이나 시설물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ercialized GPS frequency, remote control frequency, and imag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can be effectively blocked,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remotely control navigation through the air and images through the air, thereby effectively responding to situations of infiltration of the UAV. As a result, it can cope with threats of bombing terrorism against major national faciliti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and airports, illegal shooting of major national facilities, terrorist threats of VIP personnel, threats of terrorism in stadiums or densely populated areas, It is possible to cope with irrelevant use in the non-flying area as well as to advantageously prevent a collision with a person or a facility in advance.

이때,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차단대상물과의 거리에 유연하게 적응하여 송신출력을 관리함으로써 소요전력을 최소화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이동성은 물론 사용상의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sinc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portability and to flexibly adapt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to be blocked and to manage the transmission power, the required power is minimized and operated, thereby improving not only the mobility but also the reliability in use.

또한, 이중편파 구조의 신호를 방사함으로써 공간상에서 발새되는 페이딩 현상에 따른 조종 신호의 진폭과 위상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하며 재밍효율이 극대화된다. In addition, by radiating a signal having a dual polariz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changes in the amplitude and phase of the steering signal due to the fad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space, and the jamming efficiency is maximized.

도 1은 종래기술의 전파교란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안테나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제1안테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제2안테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장비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증폭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신호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상향변환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제어및표시부의 작동을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adio disturbing device of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ntenna structure in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irst antenna in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antenna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equipment part in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mplification unit in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gnal generator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up-conversion unit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part or device is connected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elem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디지털신호를 생성하고 변환 및 증폭하여 교란전파를 송신하는 장비부와, 상기 장비부로부터 교란전파를 수신하고 견착부와 트리거부를 구비하며 5GHz 대역의 교란전파를 발신하는 제1안테나와 GPS 및 2.4GHz대역의 교란전파를 발신하는 제2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n equipment unit for generating a digital signal, converting and amplifying a digital signal to transmit a disturbance radio wave, a device for receiving a disturbance radio wave from the equipment unit, 1 < / RTI >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disturbance radio waves in a GPS and 2.4 GHz band.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부가 총렬의 위치에 배치되어 전파를 발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와 견착부를 구비하는 소총의 형태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하는데, 다만 휴대가 가능하고 공중으로 소정의 조준이 가능한 형태라면 본 발명의 도면이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안테나부에 안테나와 제어및표시부가 구비되고, 이에 소정의 케이블로 연결된 장비부에 신호생성부, 상향변환부, 증폭부, 필터부, 컨트롤러부 또는 전원공급부 등의 장치들이 수납되어 있으나 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들이 상호 치환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unit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serial line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ifle having one or more antennas and a handgrip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However, if the antenna unit is portab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of FIG. Basically, the antenna unit is provided with an antenna, a control and a display unit, and devices such as a signal generating unit, an up-converting unit, an amplifying unit, a filter unit, a controller unit,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one or more of the configurations may be mutually substituted or additionally arranged.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안테나(2300) 및 제2안테나(2400)는 총렬의 형태로서 안테나부에 구성되고, 신호생성부(1100), 상향변환부(1200), 증폭부(1300) 및 전원공급부(1600)는 장비부(1000)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생성부(1100), 상향변환부(1200), 증폭부(1300) 및 전원공급부(1600)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rial array in the antenna unit and the signal generator 1100, the up-converter 1200, the amplifier 1300, and the power supply unit 1600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equipment unit 1000. The signal generating unit 1100, the up-converting unit 1200, the amplifying unit 1300, and the power supply unit 1600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안테나부(2000)는 견착 및 조준이 가능하도록 소총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전방측에 구성되는 제1안테나(2300) 및 제2안테나(2400)와 어깨나 신체에 견착이 가능한 견착부(2030), 어느 하나의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후방손잡이부(2010), 교란전파의 출력을 가동하는 트리거부(20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nna unit 20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fle so that the antenna unit 2000 can be attached and sight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And a trunnion 2020 that operates the output of the disturbance radio waves. The trunnion 202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2030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a rear handle portion 2010 that is gripped by one hand, and a tree rejection portion 2020 that operates the output of the disturbing radio wave.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안테나부(20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안테나들의 위치에 대한 견착부(2030)의 배치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고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With reference to the state illustra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holding portion 2030 with respect to the positions of the antenna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enna unit 2000 is defined as the rear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orward direction.

또한, 각각의 안테나와 견착부(2030)를 연결하고 트리거부(2020)를 구비하는 몸체(참조번호 미표시)의 상단에는 드론과 같은 공중 침투장비에 대하여 육안으로 조준이 가능한 조준부(2040)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조준부(2040)는 레이저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한 광학적 측량수단을 통하여 차단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n aiming unit 20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not shown) having the tree rejection unit 2020 connecting the respective antennas and the attachment unit 2030 and capable of aiming the airborne equipment such as a drone with the naked eye . In addition, the aiming unit 2040 may measure and display the distance to the object to be blocked through an optical measuring unit using a laser or an infrared ray.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는 각각 소정의 대역에 대한 전파를 발신함으로써 공중에서 운행하는 드론의 무선조종주파수, 항적운항주파수 및/또는 영상전송주파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향성이 우수하고 다른 위치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빔폭은 20도 이내로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차단대상물을 지향하여 교란전파를 발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function to block the radio control frequency, wake-up frequency, and / or imag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dron operating in the air by transmitting radio waves for a predetermined band, respectively Therefore, the beam width is formed within 20 degrees so that the directivity is excellent and the influence to other positions is minimized, and the disturbing radio waves can be transmitted by effectively directing the object to be located at a distance.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는 소정의 지향성을 가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총열의 외형을 가질 수 있는데, 내부에는 지향성의 광대역 다이폴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may have an outward shape of a long ro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irectivity, and a directional broadband dipole antenna may be provided therein.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regard.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는 브라켓부(2500)에 의하여 고정지지되고 견착부(2030)가 배치되는 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라켓부(2500)와 함께 제1안테나(2300) 및 제2안테나(2400)는 몸체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may be coupled to the body where the holding portion 2030 is fixed by the bracket portion 2500 and the bracket portion 2500 is fixed to the body,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dy.

장비부(1000)는 휴대가 가능한 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비부(1000)에 수납되는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경우에 따라 안테나부에 구비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equipment unit 1000 may be configured as a portable type box. It is needless to say that some or all of the structures stored in the equipment unit 1000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 the antenna unit.

한편, 본 발명은 휴대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력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며, 또한 조준되는 드론과 같은 차단대상물의 거리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송신출력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증폭부(1300)가 복수의 증폭모듈이 선택되어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거리에 따른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도록 몸체의 일부 또는 장비부(1000)에는 제어및표시부(210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manage power in order to enhance portability, and since it is necessary to have an effective transmission output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of a shielding object such as a drone to be aimed, The module will be selected and activated.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may be disposed on a part of the body or the equipment unit 1000.

이러한 제어및표시부(2100)는 조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트리거부(2020)에 인접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다이얼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ree rejection unit 2020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dial so that the set value can be adjusted. However,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어및표시부(2100)는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램프와 같은 발광부 또는 LCD패널 등을 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출력의 제어 또는 표시의 기능은 선택적 또는 추가적일 수 있다. Also,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such as an LED lamp or an LCD panel, which can confirm the operation state. The function of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output may be optional or additional.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안테나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ntenna structure in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는 브라켓부(2500)에 의하여 지지되어 브라켓부(2500)의 연결부(2520)에서 견착부(2030)가 배치되는 몸체와 전기적, 기계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are supported by the bracket 2500 and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body where the coupling 2030 is disposed at the connection 2520 of the bracket 2500 Lt; / RTI >

이러한 브라켓부(2500)는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의 후방측을 지지하는데, 각각의 안테나는 외부에 상시 노출되고 이동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내부의 소자나 구조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레이돔 구조에 의하여 외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안테나(2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레이돔(2310)과 제2안테나(2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레이돔(2410)이 브라켓부(25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의 배치나 크기 및 형상은 선택적이다. The bracket portion 2500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Each of the brackets 2500 protects an internal element or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at the antenna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earance is formed by the radome structure. The first radome 2310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radome 2410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ntenna 2400 may be combined with the bracket portion 2500. [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size and shape of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are optional.

상기 제1레이돔(2310)과 제2레이돔(2410)은 전방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소자나 패턴 형태의 방사체 및 그 지지체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하게 된다. 이때, 내부의 방사체와 레이돔과의 사이에서는 진동이나 기울기에 따라 충격이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될 안테나 방사체 구조물의 보호를 위하여 레이돔들의 내부에는 폼(Foam)과 같은 충진재가 주입되어 고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radome 2310 and the second radome 24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losed front side and accommodate a radiator in the form of a device or a pattern and a support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impact or deformation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radar and the radome inside. In order to prevent the antenna radar structure, a filler such as foam is injected into the radome So that it can perform a fixed function.

이러한 제1레이돔(2310)과 제2레이돔(2410)의 후방측은 브라켓부(250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가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형의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1레이돔(2310)과 제2레이돔(2410)의 사이에는 그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600)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600)는 제1레이돔(2310)과 제2레이돔(2410)의 외면을 감싸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돔들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삽입구(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radome 2310 and the second radome 2410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bracket 2500.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may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preferable to add a fixing portion 2600 between the first radome 2310 and the second radome 2410 to fix the interval therebetween. The fixing part 2600 may be formed to enclose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adars 2310 and 2410 and may have an insertion port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dome .

또한, 레이돔들과 브라켓부(2500)의 체결 부위에 인접하여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제1레이돔(2310)과 제2레이돔(2410)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2301)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리브(2301)들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되 브라켓부(2500)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넓고 전방측으로 갈수록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 plurality of ribs 2301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radome 2310 and the second radome 241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fastening portions of the brackets 2500 with respect to the radomes It is preferable that the ribs 2301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at the widths of the ribs 2301 are larger toward the bracket portion 2500 and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한편, 상기 브라켓부(2500)의 후방측에는 몸체와 연결을 위한 연결부(2520)가 배치되고, 하방으로는 파지가 가능한 조준손잡이부(25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후방손잡이부(2010)에서 파지가 이루어지더라도 안테나들의 길이가 비교적 길고 무게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준이 어려우며 이를 지지하는 구조인 브라켓부(2500)에 조준손잡이부(2510)가 배치되는 경우 정확한 위치에의 조준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안테나들의 길이는 후술될 교란전파의 게인값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a connection portion 2520 for connection with the body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racket portion 2500, and a collar knob 2510 capable of gripping the lower portion may be provided. 2, since the length of the antennas is comparatively long and the weight is difficult to be grasped by the rear handle 2010, precise aiming is difficult and the aiming knob 2510 is attached to the bracket 2500 If deployed, aiming at the correct position will be possible. The length of the antennas may be selected by a gain value of a disturbance radio wave to be described later.

다만,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의 형상, 크기 또는 기능은 서로 치환되거나 일부 구조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shapes, sizes, and functions of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laced with each other, or some structures may be selectively appli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제1안테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irst antenna in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안테나(2300)는 제1레이돔(2310)과 결합하며 브라켓부(2500)와 체결 가능한 플레이트부(2320)와, 상기 플레이트부(2320)의 전방측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부(2330)와, 상기 지지부(2330)들에서 직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다이폴방사소자(2331)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2300 includes a plate portion 2320 coupled to the first radome 2310 and fastened to the bracket portion 2500, a plurality of supports 2330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portion 2320, And a plurality of dipole radiating elements 2331 protrud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rtions 2330.

상기 플레이트부(2320)는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방측으로는 브라켓부(2500) 내부를 통항 장비부(10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자부(23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부(232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치결홀(참조번호 미표시)들을 구비하여 제1레이돔(2310)과 브라켓부(250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late portion 2320 may have a disk shape and the terminal portion 2322 may receive the signal from the passage equipment unit 1000 inside the bracket portion 2500 at the rear side. The plate portion 23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not shown)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radome 2310 and the bracket portion 2500.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지지부(2330)는 4개로 구성되어 플레이트부(2320)에서 상호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서 배열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조를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s 2330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2320, and the specific structure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플레이트부(2320)의 전방측으로는 십자형태로 체결부(2321)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부(2321)들은 플레이트부(2320)에 직교되고 체결슬릿(2323)이 형성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s 2321 may be arranged in a cross shape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portion 2320 and the fastening portions 232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s 2321 are orthogonal to the plate portions 2320 and fastening slits 2323 are formed Lt; / RTI >

구조적인 견고성을 고려하면, 상기 지지부(2330)들은 체결부(2321)에서 연결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인접되어 전체적으로 원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레이트부(2320)에서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부(2321)의 체결슬릿(2323)은 반경방향으로 각각의 지지부(2330)들의 체결부위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330)의 후방 단부측에는 체결슬릿(2323)에 관통되어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s 23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fastening portions 2321 and have a conical shape as a whole and are spaced closer to each other as they go forward. The fastening slits 2323 of the fastening portions 2321 can move the fastening portions of the respective supporting portions 2330 in the radial direc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not shown) can be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slit 2323 may be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330.

상기 지지부(2330)들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호 인접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전방 단부에서는 서로 접촉되어 횡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말단에서의 고정력 제공을 위하여 전방연결부(2340)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방연결부(2340)는 지지부(2330)들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단부측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연결부(234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십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s 2330 are as described above as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contact each other at the front end so as to support the lateral loa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connecting portion 2340 is added to provide a fixing force at the distal end, and the front connecting portion 2340 is coupled to the end side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portions 23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the front connecting portion 2340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다이폴방사소자(2331)는 각각의 지지부(2330)에서 정단면상 사각형의 면 중에서 어느 일방으로 직교방향에 돌출되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공간적인 효율성을 고려하면 어느 하나의 지지부(2330)에서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이폴방사소자(2331)는 인접되는 지지부(2330)의 다이폴방사소자(2331)의 전후방 간격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호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ipole radiating elements 2331 may be regularly arranged in a protruding direction orthogonally to any one of the quadrangular planes on the respective supporting portions 2330. In view of spatial efficiency, The dipole radiating elements 2331 protruding from the dipole radiating elements 2331 of the adjacent supporting portions 2330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pacings of the dipole radiating elements 2331 of the adjacent supporting portions 2330.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2330)들이 사각 형태로 배열되되 후방에서 플레이트부(2320)에 간격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전방에서 상호 접촉되어 전방연결부(2340)에 의하여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에 확실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이폴방사소자(2331)들이 효율적인 공간활용성을 가질 수 있어 주파수 발신 효율과 방향성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portions 2330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fixed to the plate portion 2320 so as to be adjustable in distance from the rear, are mutually contacted at the front side and fixed by the front connecting portion 2340,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 certain fixing force in a lon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ipole radiating elements 2331 can have efficient space utilization, and the frequency transmission efficiency and directionality can be maximized.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제2안테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antenna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플레이트부(2420)는 제2레이돔(2410)과 브라켓부(2500)에 체결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1안테나(2300)의 플레이트부(232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second plate portion 2420 functions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radome 2410 and the bracket portion 2500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plate portion 2320 of the first antenna 2300 will be omitted.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제2안테나(2400)의 바디부(2430)는 판상의 기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란전파 방사를 위한 패턴부(2431)가 2차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구조에 대해서는 공지의 다양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nsider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 body portion 2430 of the second antenna 2400 may have a plate-like substrate shape, and a pattern portion 2431 for disturbing radio wave radiation may be formed two-dimensionally.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to such a radiating structure.

본 발명에서 안테나부(2000)는 지향성을 가지고 각각의 안테나들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말단으로 갈수록 처짐이 발생되어 효율성 저하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제2안테나(2400)의 바디부(2430)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unit 2000 has directivity and each antenna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ntenna unit 2000 may be deflected toward the distal end, leading to a problem of efficiency deterio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2430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ont.

여기서, 상기 제1안테나(2300)와 제2안테나(2400)의 구조는 상호 치환되거나 추가적 및 교환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전파특성이나 구조적 견고성을 고려하여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antenna 2300 and the second antenna 2400 may be replaced with each other, or additionally or interchangeably, and may be adopt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al robustness.

레이돔의 내부에서 상기된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발포재와 같은 충전재의 주입 및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러한 충전재는 수지물로서 주입 후 경화를 통하여 내부 구조를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a foaming material can be injected and filled so as to mak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ore robust inside the radome. The filling material is a resin material, There will be.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장비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equipment part in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는 안테나부를 통하여 교란전파 내지는 재밍시그널(Jamming Signal)을 소정의 조준된 영역 내지는 위치로 송출할 수 있다.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disturbance radio wave or a jamming signal to a predetermined collimated region or position through an antenna unit.

상기 안테나부(2000)는 기본적으로 통신용 신호의 수신을 차단하기 위한 교란목적으로 소정의 RF신호를 방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다만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다면 교란의 대상이 되는 주파수대역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ntenna unit 2000 basically radiates a predetermined RF signal to disturb the recep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However, if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requency band to be disturbed may vary Of course, can be set.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재밍시그널은 소정의 차단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주요한 예로서 공중의 무인항공기를 대상으로 하여 교란 신호를 생성 및 송출하고 이를 통하여 무력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차단대상물이란 기본적으로 무인항공기를 들 수 있으나, 무인항공기의 제어신호송수신장치나 휴대용 통신장비 등의 다양한 전파 송신 및/또는 수신장비를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jamming sig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cut-off frequency band. For example, as a main example, a disturbance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public, and the signal is disabl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blocked is basically an unmanned airplane, bu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it excludes various radio transmission and / or reception devices such as a control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of a UAV 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차단하는 주파수의 기능으로 분류하면, 무선조종주파수, 항적운행(GPS)주파수 및 영상전손주파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Also, if classified as the function of the frequency to be blocked,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radio control frequency, the navigation frequency (GPS) frequency, and the image loss frequency.

드론의 무력화를 위하여 재밍시그널을 발신하는 경우 예를 들어, 원격 조종기 송수신 모듈을 무력화하기 위하여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적용하거나 Spread Spectrum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ransmitting a jamming signal to disable a drone, a frequency hopping method or a spread spectrum method may be applied to disable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이때, 공중의 무인항공기를 무력화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선택적이나, 바람직하게는 GPS(1,160MHz ~ 1,790MHz), ISM 2.4GHz대역(2,400MHz ~ 2,483.5MHz), ISM 5GHz대역(5,725MHz ~ 5,825MHz)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1,570MHz 에서 2.5GHz 대역의 광대역 고이득 안테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requency band that can be applied to neutraliz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the public is optional but preferably GPS (1,160 MHz to 1,790 MHz), ISM 2.4 GHz band (2,400 MHz to 2,483.5 MHz), ISM 5 GHz band To 5,825 MHz), and it is preferable that a broadband high-gain antenna at 1,570 MHz to 2.5 GHz is applied.

여기서, 상기 GPS대역은 GPS L1(1575.42MHz), GLONASS L1(1601.156MHz)와 BeiDou B1(1561.098MHz) 대역을 포함하는 A대역(1560~1605MHz)과, GPS L2(1227.6MHz), GPS L5(1786.45MHz), GLONASS L2(1245.34MHz), GLONASS L3(1201.7MHz)와 BeiDou B2(1207.14MHz), BeiDou B3(1268.62MHz)대역을 포함하는 B대역(1160~1280MHz)으로 볼 수 있다. The GPS band includes an A band (1560 to 1605 MHz) including GPS L1 (1575.42 MHz), GLONASS L1 (1601.156 MHz) and a BeiDou B1 (1561.098 MHz) band, a GPS L2 (1227.6 MHz), a GPS L5 MHz), GLONASS L2 (1245.34MHz), GLONASS L3 (1201.7MHz), BeiDou B2 (1207.14MHz) and BeiDou B3 (1268.62MHz).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대역 고이득 안테나로서 수직과 수평편파를 동시 송출하는 이중편파 안테나가 적용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이득 및 구조는 10dBi이상이고 공중에의 방사 및 원격 전파송신의 정확성을 고려하여 안테나의 3dB빔폭은 20도 이내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More preferably, a dual polarized antenna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ed waves as the wideband high gain antenna may be considered. Also, it is desirable that the gain and structure are 10 dBi or more, and that the 3 dB beam width of the antenna is limited to 20 degrees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accuracy of transmission to the air and transmission of remote radio waves.

본 발명에서 상기 안테나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전파신호를 송신하도록 장비부에 수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that are connected to the antenna unit and are accommodated in the equipment unit to transmit a radio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은 상기 안테나부와, 신호생성부(1100), 상향변환부(1200), 증폭부(1300), 필터부(1400) 및 컨트롤러부(1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성을 고려하여 배터리부(1610)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부(16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전원공급부(1600)가 경우에 따라 현장의 외부전력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ntenna unit, the signal generation unit 1100, the up-conversion unit 1200, the amplification unit 1300, the filter unit 1400, and the controller unit 1700 And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600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1610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that the power supply unit 1600 uses external power of the site in some cases.

이러한 신호생성부(1100)는 전파차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후술될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에 스윕(sweep)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은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어 컨트롤러부(170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1100 may generate a radio wave blocking signal, and may sweep two or more signals to IF (Intermediate Frequency) bands as described later. The frequency band may be selected by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controller unit 170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신호 생성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가 선택되고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부(1100)는 백색잡음을 이용하여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후술될 바와 같이 채널별로 서로 독립적인 신호의 생성을 위하여 개별 신호생성부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채널의 수에 해당되는 개별 신호생성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적용되는 대역은 GPS 및/또는 ISM 2.4GHz대역 및/또는 ISM 5GHz대역인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At this time, one or more DDS (Direct Digital Synthesizer) and / or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be selected and combined for generating two or more signals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generator 1100 may generate a jamming signal using white noi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ignal generator 110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independent signals for each channel. In some cases, And the individual signal genera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signal generating units.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 applied here is GPS and / or ISM 2.4 GHz band and / or ISM 5 GHz band.

컨트롤러부(1700)에서 제어되는 제어전력은 전원공급부(1600)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데, 상기 전원공급부(1600)는 파워서플라이유닛(PSU; Power Supply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배터리부(1610)와 조합될 수 있다. The control power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unit 1700 may be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1600. The power supply unit 1600 may be formed of a power supply unit (PSU). In this case,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battery unit 1610 for supply.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공급부(1600)는 외부로부터 소정 전압, 일실시예로서 단상 교류(AC) 220V, 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호생성부(1100), 상향변환부(1200), 증폭부(1300) 등에 소정의 직류(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전원공급부가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와 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600 may receive a predetermined voltage (e.g., 220 V) of a predetermined voltage from an external source and supply the power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1100, the up-conversion unit 1200, the amplification unit 1300 (DC) power source,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t can be combined with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부(1600)는, 과열 현상에 따른 성능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냉각부와 함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열 또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열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은 알림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전원공급부가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검출한 경우,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림을 발생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1600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cooling unit in order to suppress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the overheating phenomenon. Further, the power supply unit 1600 can detect the heat or the overcurrent and inform the user that the heat or the overcurrent has occurred . To this end,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When the power supply unit detect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the user can visually or audibly It may generate an alert.

상향변환부(1200)는 전원공급부(1600)로부터 소정 DC 전원을 수신하여, 신호생성부(1100)가 생성하는 IF 대역의 신호를 보호주파수 대역인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한다. 이러한 상향변환부(1200)는 신호생성부(1100)에서 생성된 IF주파수를 상용주파수 대역으로 업컨버젼(Upconversion)시키도록 기능한다.The up converter 1200 receives the predetermined D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600 and up converts the IF band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100 into an RF band which is a protection frequency band. The up-converter 1200 functions to up-convert the IF frequency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100 to a commercial frequency band.

상향변환부(1200)는 신호생성부(1100)에서 생성하는 각 채널의 캐리어 신호에 대하여, 각각 소정 대역의 RF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다. The up-converter 1200 converts the carrier signal of each channe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100 into an RF frequency band of a predetermined band.

증폭부(1300)는 전원공급부(1600)로부터 소정 DC 전원을 수신하여, 상향변환부(120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부(1300)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전력레벨은, 교란 대상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전력레벨보다 더 큰 전력레벨을 가질 수 있다. The amplification unit 1300 receives the predetermined D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600 and amplif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up-conversion unit 1200.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cation section 1300 may have a power level that is greater than the power level for the signal of the band to be disturbed.

본 발명에서는 휴대성을 위하여 전력관리를 수행하되 이동되는 드론과 같은 무인항공기에 대하여 조준 및 거리에 따른 적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복합적인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증폭부(1300)가 복수의 증폭모듈을 조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증폭모듈의 작동은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제어및표시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management is performed for portability, but an unmanned aircraft such as a drone, which is to be moved, must be adjusted for aiming and distance.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such a complex requirement, Can be operated in combination. The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an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antenna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필터부(1400)는 증폭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원하지 않는 대역의 불요파 신호를 억제하여, 지정된 대역내 신호만을 선택하고 재밍신호로써 컴바이닝(Combining)하여 안테나부(1500)로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필터부(1400)에서는 증폭부(1300)의 출력주파수로 인한 인접주파수에 대한 간섭에 따른 영향을 줄이도록 기능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400 suppresses spurious signals in an undesired band from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mplification unit 300, selects only the in-band signals, combines them with the jamming signal, and outputs the combined signals to the antenna unit 1500 Output. In this filter unit 14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due to the interference on the adjacent frequency due to the output frequency of the amplifier unit 1300.

컨트롤러부(1700)는, 교란을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 경우, 해당 선택에 대한 입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무인항공기를 대상으로 무력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부(1700)가 Input Frequency Range로서 GPS 및 ISM의 주파수대역을 미리 설정하고 광대역으로 결합하여 단일 출력으로서 안테나로 송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ler unit 1700 can select the input for the selection when the frequency band for which disturbance is desired is selec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700 may set the frequency bands of the GPS and the ISM as the Input Frequency Range in advance and combine them into a wide band to transmit them as a single output to the antenna will be.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가장 효율적인 무인항공기에 대한 무력화를 수행할 수 있는 송신 출력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송신 출력의 계산을 위하여 아래의 식을 적용하였다.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which is capable of neutralizing the most efficient unmanned aerial vehicle. In order to calculate the transmission power, the following formula is applied.

주파수별 Path Loss(400m):Path Loss by Frequency (400m):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400m 지점의 재밍신호 출력:Jamming signal output of 400m point: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술한 바와 같이 증폭부(1300)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전력레벨은, 교란 대상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전력레벨보다 더 큰 전력레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험 결과 원신호의 수신 레벨보다 18dB이 높아야 효과적으로 전파를 차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cation unit 1300 is higher than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of the band to be disturbed, and it is required to be 18 dB higher than the reception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It is confirmed that it can effectively block the radio wave.

이에 기초하여 전파차단신호의 송신출력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Based on this, the transmission output of the radio wave blocking signal is calculated as follows.

주파수대역
(MHz)
Frequency band
(MHz)
안테나
게인
(dBi)
antenna
Gain
(dBi)
아웃풋
파워
(dBm)
Output
Power
(dBm)
송신출력 EIRP
(dBm)
Transmission output EIRP
(dBm)
자유공간
손실
(dB)
Free space
Loss
(dB)
재밍신호
수신레벨
(dBm/Total)
Jamming signal
Reception level
(dBm / Total)
드론의 조종신호
예상 수신레벨
(dBm/Total)
Drones control signal
Expected reception level
(dBm / Total)
11601160 17901790 1010 4040 5050 88.488.4 -38.0-38.0 -110.0-110.0 24002400 2483.52483.5 1212 4040 5252 92.292.2 -39.8-39.8 -59.2-59.2 57255725 58255825 1212 4040 5252 99.799.7 -47.3-47.3 -66.7-66.7

한편, 상기 컨트롤러부(1700)는 모니터링및조작부(17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능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인데, 출력, 배터리 잔량, PLL 알람, VSWR 알람, 내부 온도 등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출력의 On/Off, Gain값의 조절, FPGA의 리셋의 제어기능과, 알람상태의 확인, 출력상태의 확인, 배터리 잔량확인의 상태출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 규격은 아래와 같이 결정되었다.The controller unit 1700 may be connected to the monitoring and operating unit 171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monitor a predetermined state and to control the functions of the controller 1700. The controller unit 1700 may include an output, a remaining battery level, a PLL alarm, a VSWR alarm, It can perform monitoring function of output, on / off of output, adjustment of gain value, control function of reset of FPGA, check of alarm status, check of output statu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ystem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s follows.

항목Item 규격standard 비고Remarks 재밍신호주파수

Jamming signal frequency

GPSGPS 1,160~1,790MHz1,160-1,790MHz
ISM 2.4GISM 2.4G 2,400~2,483.5MHz2,400 to 2,483.5 MHz 조종control ISM 5GISM 5G 5,725~5,825MHz5,725 to 5,825 MHz 영상video 최대출력

Maximum output

GPSGPS 100Watt100 Watt
ISM 2.4GISM 2.4G 100Watt100 Watt 조종control ISM 5GISM 5G 50Watt50 Watt 영상video 대역평탄도Band flatness 서비스대역별 3dB이하Less than 3dB per service band 환경포함Include environment 출력변화Output change 서비스대역별 3dB이하Less than 3dB per service band 환경포함Include environment 이득조절범위Gain adjustment range 0~15dB/1dB Step0 ~ 15dB / 1dB Step 이득조절오차Gain adjustment error Step: ±0.7dBStep: ± 0.7dB 커플링 ValueCoupling Value 50dB ± 2dB50dB ± 2dB VSWRVSWR 1.5 : 1 이하1.5: 1 or less 작동온도Operating temperature -30 ~ 50℃-30 ~ 50 ℃

상기의 규격은 드론에 대응하는 동시에 휴대와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고정형의 전파교란장비와 차이를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도 8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증폭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standard corresponds to a dron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ensure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s different from a general fixed type radio disturbing device. Block diagram.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는 출력의 거리에 따른 제어를 위하여 증폭부(1300)가 복수의 증폭모듈(300a, 300b,...)이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ing apparatus, a plurality of amplification modules 300a, 300b,...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amplification unit 1300 for controlling the output distance.

각각의 증폭모듈(300a)을 살펴보면, 상향변환부(1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구동증폭부(1320)와, 왜곡신호를 제거하고 증폭하는 주증폭부(1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증폭기의 구성은 공지의 다양한 증폭소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Each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300a includes a driving amplifier 1320 for amplify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up-converter 1200 and a main amplifier 1330 for removing and amplifying the distortion signal And the configuration of such an amplifier can be made up of a combination of various known amplification elements.

이러한 증폭기들의 배열 입력단과 출력단에는 커플러 및 서큘레이터를 구비하여 소정의 검출부를 통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입력측에 구비되는 입력측커플러(1310)는 상향변환부(1200)로부터의 신호를 분기하여 라우팅하고 입력검출부(1311)에서 입력 전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출력측에 구비되는 출력측커플러(1340)는 증폭된 신호를 출력검출부(1341)에서 검출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서큘레이터(1350)는 말단측에 구비되어 RF 출력 경로에서 추가적인 손실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사신호검출부(1351)에서 반사신호(VSWR)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The input side coupler 1310 provided on the input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upler 1310 through the up-conversion unit 1200. The input side coupler 1310 may include a coupler and a circulator, And the output side coupler 1340 provided on the output side can function to detect the amplified signal by the output detection unit 1341 . In addition, the circulator 1350 may be provided at the distal end to perform a function of removing additional loss in the RF output path, and may detect the reflection signal VSWR in the reflection signal detection unit 1351.

이러한 검출부(1311, 1341, 1351)의 구성에 따라 컴팩트한 휴대용 장비로서의 한계를 극복하여 과출력에 의한 장비의 보호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ctors 1311, 1341, and 1351,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mpact portable equipment and to implement the protection function of the equipment by over-power.

각각의 증폭모듈(300a...)들은 상호 병렬로 연결되어 선택된 조합으로서 안테나부(1500)에서 소정의 출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증폭모듈(300a)이 20W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주파수대역인 제1밴드(1,160~1,790MHz)에서 20W 및 45%의 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제2밴드(2,400~2,483.5MHz)에서 20W 및 45%의 효율을, 제3밴드(5,725~5,825MHz)에서 20W 및 35%의 효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출력은 일예시이며 반드시 설명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ach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300a ...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have a predetermined output in the antenna unit 1500 as a selected combination. For example, when each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300a is set to 20W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have 20W and 45% efficiency in the first band (1,160 ~ 1,790MHz) and 20W and 45% efficiency in the second band (2,400 ~ 2,483.5MHz) 5,725 to 5,825 MHz),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iciency of 20 W and 35%. However, the output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ample described.

이러한 증폭모듈들의 조합 및 선택은 소정의 스위칭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The combination and selection of such amplification module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predetermined switch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는 증폭모듈들이 병렬로 누적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배치의 개수는 선택적이다. 종래기술의 증폭기의 경우 인접주파수 내에서 간섭증폭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출력을 제한하게 되는데, 본 발명과 같이 병렬로 연결하고 조합할 때 실질적인 증폭기능을 보장하면서 신호 간섭의 방지 기능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cation modules are accumulated in parallel and the number of such arrangements is optional.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mplifier, since the interference amplification occurs within the adjacent frequency, the output of the amplifier is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allel connection is made and combined, a function of preventing a signal interference can be simultaneously achieved .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신호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상향변환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gnal generator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up-conversion unit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신호생성부(1100)는 전파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신호 발생장치로 이해될 수 있고, 전원공급부(1600)로부터 제어전력을 입력받아 기능하는 CPU(1110), FPGA(1120), DDS(1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지의 다양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ignal generator 1100 can be understood as a digita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adio wave shutoff signal and includes a CPU 1110, an FPGA 1120, a DDS 1130, As shown in FIG.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in this regar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신호생성부(1100)에서 스윕 스피드(Sweep Speed) 조절 기능(6.67ns~1us 조절 가능), 스윕 스텝(Sweep Step) 조절 기능(5KHz~1MHz), 대역폭(Bandwidth) 설정 기능, FPGA 알람(Alarm) 기능, FPGA 리셋(Reset)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generating unit 1100 may include a sweep speed adjusting function (6.67ns to 1us adjustable), a sweep step adjusting function (5KHz to 1MHz), a bandwidth setting function, a FPGA alarm Alarm function, an FPGA reset function, and the like.

상향변환부(1200)는 신호생성부(1100)에서 생성되는 IF신호를 전파 차단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기능하는데, 이를 위하여 복수의 BPF와 IF 믹서(Mixer) 및 RF 믹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p-converter 1200 functions to convert the IF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100 into a radio frequency cutoff frequency. The up-converter 1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PFs, an IF mixer, and an RF mixer.

이러한 상향변환부(1200)는 광대역 믹서를 이용한 주파수 변환 기능, 근거리 표적에 대한 출력제어 기능, 필터를 이용한 간섭 최소화 특성을 갖는다.The up-converter 1200 has a frequency conversion function using a wide-band mixer, an output control function for a near target, and interference minimization using a filter.

이때, 상향변환부(1200)는 제1 LO와 제2 LO(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LO(2nd LO)의 가변에 의하여 광대역 재밍시그널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10MHz의 대역폭을 갖는 제1밴드(1,160MHz ~ 1,790MHz), 83.5MHz의 대역폭을 갖는 제2밴드(2,400~2,483.5MHz) 및 100MHz의 대역폭을 갖는 제3밴드(5,725~5,825MHz)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대역이나 광대역의 형성을 위한 조합은 반드시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up-converter 1200 may include a first LO and a second LO (not shown), and may generate a wideband jamming signal by varying the second LO (2nd LO) A first band (1,160 MHz to 1,790 MHz) having a bandwidth of 10 MHz, a second band (2,400 to 2,483.5 MHz) having a bandwidth of 83.5 MHz, and a third band (5,725 to 5,825 MHz) having a bandwidth of 100 MHz . However, the combination for forming the band or the wide b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에서 제어및표시부의 작동을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제어및표시부(2100)는 안테나부에 구비되고, 이러한 제어및표시부(2100)는 증폭부(1300)의 증폭모듈(300a, 300b, 300c,...)의 작동을 선택하도록 스위칭부(1301)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antenna unit and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300a, 300b, 300c, ... of the amplification unit 13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1301 to select it.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증폭모듈(300a)만이 작동되도록 스위칭부(1301)를 제어할 때 400m 거리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어및표시부(2100)에는 이러한 거리 단위 또는 출력단위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및표시부(2100)의 조정에 따라 스위칭부는 병렬로 조합되는 증폭모듈을 상호 연결하여 게인 값을 증가함으로써 차단대상물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다이얼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어및표시부의 조작에 따라 병렬로 연결되는 증폭모듈의 개수가 증가되어 출력이 거리에 따라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1301 so that only one of the amplifying modules 300a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a distance of 400m, and such a distance unit or an output unit may be displayed on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of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the switching unit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of the object to be blocked by connecting the amplification modules connected in parallel and increasing the gain value. The number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connected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ial type and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rt is increased, so that the output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조준부(2040)에서 조준이 이루어지면 자동적으로 차단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및표시부(2100)가 스위칭부(1301)를 제어하여 거리에 따라 증폭부의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and display unit 2100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1301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amplifying unit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re will be.

상기된 실시예들의 구성의 적용예들은 상호 간에 치환되거나, 추가 또는 교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used mutually, additionally, or alternately.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은 상용화된 원격조종주파수와 영상전송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공중의 항적운항 및 영상을 통한 원격조정이 불가능하도록 기능하여 효과적으로 무인항공기의 침투 등의 사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핵발전소 및 공항 등 국가 주요 시설물들에 대한 폭탄 테러위협, 국가 주요 시설물의 불법 촬영, VIP인사의 테러 위협, 경기장이나 인구밀집지역의 테러위협에 대처할 수 있으며, 마약 등과 물질의 반입으 차단은 물론, 비행금지구역에서의 무분별한 사용에의 대처가 가능하고, 사람이나 시설물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blocks the commercialized remote control frequency and the imag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wake-up operation of the air and the imag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infiltration of unmanned aircraft Can respond. As a result, it can cope with threats of bombing terrorism against major national faciliti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and airports, illegal shooting of major national facilities, terrorist threats of VIP personnel, threats of terrorism in stadiums or densely populated areas, It is possible to cope with indiscreet use in the no-fly zone as well as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a person or a facility in advance.

이때,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차단대상물과의 거리에 유연하게 적응하여 송신출력을 관리함으로써 소요전력을 최소화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이동성은 물론 사용상의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portability and to flexibly adapt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to be blocked and to manage the transmission power, the required power can be minimized and operated, thereby improving not only the mobility but also the reliability in us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0...장비부 1100...신호생성부
1120...FPGA 1130...DDS
1200...상향변환부 1300...증폭부
1301...스위칭부 1310...입력측커플러
1311...입력검출부 1320...구동증폭부
1330...주증폭부 1340...출력측커플러
1341...출력검출부 1350...서큘레이터
1351...반사신호검출부 1400...필터부
1600...전원공급부 1610...배터리부
1700...컨트롤러부 1710...모니터링및조작부
2000...안테나부 2010...후방손잡이부
2020...트리거부 2030...견착부
2040...조준부 2100...제어및표시부
2300...제1안테나 2301...후방리브
2310...제1레이돔 2320...플레이트부
2321...체결부 2322...단자부
2323...체결슬릿 2330...지지부
2331...다이폴방사소자 2340...전방연결부
2400...제2안테나 2410...제2레이돔
2420...제2플레이트부 2421...슬릿부
2430...바디부 2431...패턴부
2440...제2체결부 2500...브라켓부
2510...조준손잡이부 2520...연결부
2600...고정부
1000 ... equipment part 1100 ... signal generating part
1120 ... FPGA 1130 ... DDS
1200 up-conversion unit 1300 amplification unit
1301 ... switching part 1310 ... input side coupler
1311 ... input detection section 1320 ... drive amplification section
1330 ... main amplifying unit 1340 ... output side coupler
1341 ... output detection unit 1350 ... circulator
1351 ... reflected signal detecting section 1400 ... filter section
1600 power supply unit 1610 battery unit
1700 ... controller section 1710 ... monitoring and control section
2000 ... antenna part 2010 ... rear handle part
2020 ... tree rejection 2030 ...
2040 ... aiming unit 2100 ... control and display unit
2300 ... first antenna 2301 ... rear rib
2310 ... first radome 2320 ... plate portion
2321 ... fastening portion 2322 ... terminal portion
2323 ... fastening slit 2330 ... support
2331 ... dipole radiating element 2340 ... front connection
2400 ... second antenna 2410 ... second radome
2420 ... second plate portion 2421 ... slit portion
2430 ... body part 2431 ... pattern part
2440 ... second fastening part 2500 ... bracket part
2510 ... aiming handle portion 2520 ... connecting portion
2600 ... fixed portion

Claims (3)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신호생성부로부터의 주파수를 상용주파수 대역으로 업컨버징하는 상향변환부와, 상향변환부로부터의 변환신호를 증폭하되 두 개 이상의 증폭모듈이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장비부(1000); 및
견착부(2030)와 교란전파 방사를 개시하도록 하는 트리거부(2020)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브라켓부(2500)와,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지지되고 장비부로부터 교란전파를 수신하여 트리거부의 조작에 따라 방사하는 제1안테나(2300) 및 제2안테나(2400)를 구비하는 안테나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부는,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증폭모듈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되 거리 또는 출력 단위가 표시되는 제어및표시부를 구비하여 차단대상물의 거리에 대응하여 출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
A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digital signal; an up-conversion unit for up-converting the frequency from the signal generation unit to a common frequency band; and a demodulation unit for amplifying the converted signal from the up-conversion unit, An equipment unit 1000 having an amplification unit connected in parallel; And
A bracket part 2500 fixed to the bracket part and receiving a disturbance radio wave from the equipment part; and a bracket part 2500 coupled to the body, And an antenna unit 2000 including a first antenna 2300 and a second antenna 2400 that radi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ee rejection,
The antenna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switching unit that selects an operation of a plurality of amplification modules connected in parallel and displays a distance or an output unit so that the output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of the obstacle, Anti-drones RF disturba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는, 내부의 방사체 구조를 수용하고 후방측에서 브라켓부에 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제1레이돔(2310)과 제2레이돔(2410)과, 상기 제1레이돔과 제2레이돔의 외면을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2600)를 구비하며,
상기 상향변환부는, 제1밴드인 GPS대역(1,160MHz ~ 1,790MHz), 제2밴드로서 조종주파수인 ISM 2.4GHz대역(2,400MHz ~ 2,483.5MHz) 및 제3밴드로서 영상송출 주파수인 ISM 5GHz대역(5,725MHz ~ 5,825MHz)에 대해 광대역 교란전파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include a cylindrical first radome 2310 and a second radome 2410 which receive the inner radiator structure and are fastened to the bracket portion at the rear side, And a fixing portion 2600 for connect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radome to maintain the gap,
The up-conversion unit includes a GPS band (1,160 MHz to 1,790 MHz) as the first band, an ISM 2.4 GHz band (2,400 MHz to 2,483.5 MHz) as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ISM 5 GHz band 5,725MHz to 5,825MHz), which is a portable anti-drone RF disturbanc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파지가 가능한 후방손잡이부(2010)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파지 및 조준이 가능한 조준손잡이부(25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부에 체결되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복수의 지지부와, 각각의 지지부에 직교된 어느 일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다이폴방사소자와, 복수의 지지부를 전방 단부측에서 상호 연결시키는 전방연결부를 구비하는 휴대가 가능한 안티드론 RF교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has a rear grip part 2010 which can be gripped,
The bracket portion includes a collar knob portion 2510 capable of gripping and aiming,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coupled to the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formed in front of the plate portion and narrowed toward each other as they are moved forward; a plurality of dipole radiating elements protruding from one another orthogonally to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And a front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anti-drones RF at the front end side.
KR1020190036178A 2019-03-28 2019-03-28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KR1020946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78A KR102094634B1 (en) 2019-03-28 2019-03-28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78A KR102094634B1 (en) 2019-03-28 2019-03-28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842 Division 2017-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634A true KR20190071634A (en) 2019-06-24
KR102094634B1 KR102094634B1 (en) 2020-03-27

Family

ID=6705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78A KR102094634B1 (en) 2019-03-28 2019-03-28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3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234A (en) *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Anti-drone jamming device detachably mountable to weapons
CN112925339A (en) * 2020-12-01 2021-06-08 理工雷科电子(西安)有限公司 Intrusion prevention system equipment for unmanned small aircraft
KR102428558B1 (en) * 2021-08-25 2022-08-04 주식회사 뉴젠테크 Anti-Drone Gun
KR20230018752A (en) 2021-07-30 2023-02-07 다인시스템(주) Anti-drone camera image jamming device and its method
KR20230032590A (en) 2021-08-31 2023-03-07 다인시스템(주) Anti-drone RF doppl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00390A (en) 2021-12-28 2023-07-05 다인시스템(주) Anti-drone laser doppl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242B1 (en) * 2020-04-28 2021-08-18 유승인 Jamming signal generation system using direct digital signal generator and drone access control method using same
KR102307311B1 (en) * 2021-06-01 2021-09-30 주식회사 담스테크 Battery-integrated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KR102368652B1 (en) * 2021-08-25 2022-02-28 주식회사 뉴젠테크 Radio Jamming Apparatus for Explosive Ordnance Dispos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080B1 (en) * 2015-12-17 2016-08-17 최춘화 Cw jamming system
US20170237520A1 (en) * 2015-09-23 2017-08-1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ortable countermeasure device against unmanned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37520A1 (en) * 2015-09-23 2017-08-1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ortable countermeasure device against unmanned systems
KR101649080B1 (en) * 2015-12-17 2016-08-17 최춘화 Cw jamm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234A (en) *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Anti-drone jamming device detachably mountable to weapons
CN112925339A (en) * 2020-12-01 2021-06-08 理工雷科电子(西安)有限公司 Intrusion prevention system equipment for unmanned small aircraft
KR20230018752A (en) 2021-07-30 2023-02-07 다인시스템(주) Anti-drone camera image jamming device and its method
KR102428558B1 (en) * 2021-08-25 2022-08-04 주식회사 뉴젠테크 Anti-Drone Gun
KR20230032590A (en) 2021-08-31 2023-03-07 다인시스템(주) Anti-drone RF doppl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00390A (en) 2021-12-28 2023-07-05 다인시스템(주) Anti-drone laser doppl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634B1 (en)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1634A (en)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KR101969431B1 (en)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ES2724571T3 (en) Deterrence system for unmanned aerial systems
TWI655848B (en)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system and a method of interference therewith
US20160036515A1 (en) Integrated wafer scale, high data rate, wireless repeater placed on fixed or mobile elevated platforms
KR102298763B1 (en) Anti-drone jamming device detachably mountable to weapons
KR102334679B1 (en) Anti-drone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219450B1 (en) Smart jamming system
EP3576324A1 (en)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system and method of interference therewith
KR101653218B1 (en) Gnss rf disturbance apparatus
Dixon et al. Performance test of unmanned aerial systems communication links in a severe multipath environment
CN111641472B (en) Anti-unmanned aerial vehicle interference equipment based on phased array
US10587335B1 (en) Direct-to-user Earth observation satellite system
KR20200099818A (en) Anti-drone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EP1514133B1 (en) Towed decoy and method of improving the same
KR102670206B1 (en) Jammer for small uav interlocked with hard-kill
KR20220122021A (en) Radio frequency jamming device for preventing unmanned aerial vehicle approach
KR102219452B1 (en) Vehicular jamming system
KR102307311B1 (en) Battery-integrated portable anti-drone jamming system
KR20220122065A (en) Electronic counter measure device and method for denying unmanned aerial vehicle approach
KR20240035104A (en) Hard-kill convergence type jamming apparatus
KR20230134219A (en) Jammer for anti-drone having firearm mounting and dismounting structure
KR102657507B1 (en) Portable hybrid-dron defending equipment
KR20220170309A (en) Jammer for small uav interlocked with hard-kill
KR20240054636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portable anti-drone g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