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450A - 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 - Google Patents

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450A
KR20190071450A KR1020170172510A KR20170172510A KR20190071450A KR 20190071450 A KR20190071450 A KR 20190071450A KR 1020170172510 A KR1020170172510 A KR 1020170172510A KR 20170172510 A KR20170172510 A KR 20170172510A KR 20190071450 A KR20190071450 A KR 20190071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obile terminal
public
signal
public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스텍
Priority to KR102017017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450A/en
Publication of KR2019007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searching for a public restroom capable of easily searching for a location of a public restroom. The system searching for a public restroom comprises: a sculpture (5) provided in at least one public restroom (3); a signal transmitter (B) mounted on the sculpture (5) to transmit a location signal; a mobile terminal (9)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B) to grasp a location of the restroom (3); a server (S) providing applications related to restroom location and treasure lo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9) through a network; and a power supply unit (7) supplying power to the sculpture (5).

Description

공공 화장실용 조형물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찾기 시스템{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restroom locating system and a location search system us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공공 화장실용 조명장치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찾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공 화장실에 곤충형상의 조형물을 배치하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자가발전하며, 조형물의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기를 연동시킴으로써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system for a public restroom and a location system using a smart phone, in which an insect-shaped sculpture is disposed in a public restroom, self-generated by renewable energy, and a beacon of a sculpture is linked with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capable of easily searching for a position of a vehicle.

최근 들어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바, 태양전지판넬을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has increased, and technologies for supplying power by installing solar panels have been developed.

특히, 무인등대, 공공 화장실과 같이 상시전력이 공급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한다.In particular,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supply electricity at all times, such as an unmanned lighthouse or a public restroom, power is supplied by such renewable energy.

또한, 스마트폰의 확산과 태블릿 PC의 확대로 모바일 기기 활용 인구가 크게 늘어났으며, 무선 인터넷 인프라 확산으로 모바일 기기에 기반을 둔 다양한 서비스 개발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In addition,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expansion of tablet PCs, the number of people using mobile devices has greatly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s based on mobile devices is also on the rise due to the spread of wireless Internet infrastructure.

특히 NFC 칩(Chip)이 탑재된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의한 다양한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Especially, as smart phones equipped with NFC chips are widely used, various contents are being developed by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mart phone.

NFC는 두 대의 단말기간 약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데이터를 양방향The NFC is capable of bi-directionally transmitting data at distances of less than about 10 cm

으로 통신할 수 있는 근접 통신 기술로,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NFC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는 이용자가 스마트폰을 인식장치(결제기)에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이는 모바일 마케팅, 광고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어 모바일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The NFC-based mobile service using this technology can easily and conveniently exchange information by simply bringing a smartphone to a recognition device (a payment device) It can be used as a means of advertising, which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obile industry.

예를 들어, NFC 태그를 붙인 포스터에 NFC 모바일폰을 터치하면 모바일폰 웹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와 연결되며 포스터와 관련된 콘텐츠를 모바일폰으로 다운로드하는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if you touch an NFC mobile phone on a poster with an NFC tag, you can connect to the Internet service through a mobile phone web browser and download applications related to the poster to a mobile phone.

또한, 비콘, 와이파이 등을 이용하여 일반 가정, 사무실, 공장, 그리고 캠퍼스 등의 제한된 지역 내에서 R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광대역으로 양방향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beacons, Wi-Fi, etc. can be used to transmit bi-directional data in a broadband using RF frequency bands within a limited area such as a home, office, factory, and campus.

비콘(Beacon)의 경우 보통 70m 이내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며 사물 인터넷(IOT) 인프라 구축의 기본단위이다.In the case of beacons, it is usually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70m and it is the basic unit of building Internet (IOT) infrastructure.

와이파이(Wi-Fi)는 일반적으로 100m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Wi-Fi refers to a local area network (WLAN) that can travel over a distance of less than 100 meters.

또한, RFID 무선통신방식에 있어서, UHF방식은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5m 내지 10m 범위 이내이다. 이 UHF 방식은 데이터 리딩 거리가 길어서 물류 시스템에 주로 적용된다. In the RF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frequency of the 900 MHz band is used for the UHF system,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RFID tag is within the range of 5 m to 10 m. This UHF method is mainly applied to the logistics system due to the long data reading distance.

그리고, HF방식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T)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1cm 내지 3cm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HF방식은 보안과 안전상의 이유로 현재 교통카드, 신용카드용에 주로 사용된다.The HF method uses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RFID tag T is within a range of 1 cm to 3 cm. These HF methods are mainly used for traffic cards and credit cards for security and safety reasons.

듀얼 태그방식(Dual Tag)은 상기 UHF방식의 태그와 HF방식의 태그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UHF방식과 HF방식이 용도와 성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으로, 이 2가지 방식의 태그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UHF방식은 물류용으로 사용하고, HF방식은 제품별 정보 인식용으로 사용한다.The dual tag method is a method of simultaneously applying the UHF tag and the HF tag. That is, since the UHF scheme and the HF scheme are different in use and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the tags of the two schem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used. For example, the UHF method is used for logistics and the HF method is used for product-specific information recognition.

그러나, 종래의 공공 화장실은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 이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ublic toilet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not easy to find a location.

한국 특허출원번호 10-2014-109033(명칭: 비콘기반 미싱 객체 찾기 시스템, 미싱 객체찾기 방법, 그 컴퓨터 프로그램 및 미싱객체 찾기 서버)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109033 (titled Beacon-based Missing Object Finding System, Missing Object Finding Method, Its Computer Program and Missing Object Finding Server)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 화장실에 조명장치를 배치하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자가발전하며, 조명장치의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기를 연동시킴으로써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for a public toilet, self-generated by renewable energy,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search the position of the toilet.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 화장실(3)에 구비되는 조형물(5)와;A molding (5) provided in at least one public toilet (3);

조형물(5)에 장착되어 위치신호를 발신하는 신호 발신기(B)와; A signal transmitter (B) mounted on the molding (5) to transmit a position signal;

신호 발신기(B)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장실(3)의 위치를 파악하는 모바일 단말기(9)와; A mobile terminal 9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B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toilet 3;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9)에 화장실 위치 찾기 및 보물찾기 관련 앱을 제공하는 서버(S)와; 그리고A server (S) for providing the mobile terminal (9) with an application related to finding a toilet and treasure finding through a network; And

조형물(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를 포함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을 제공한다.And a power supply unit (7)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lding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화장실용 조명장치 및 위치찾기 시스템은, 공공 화장실에 조명장치를 배치하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자가발전하며, 조명장치의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기를 연동시킴으로써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ighting device and the locating system for a public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toilet, self-generated by renewable energy, a beacon of a light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retrieved.

또한, 공공 화장실의 위치 및 보물찾기 앱을 용이하게 다운받을 수 있도록 공중 화장실에 구비된 곤충 형상의 조명장치에 비콘을 설치하여 관련 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beacon can be installed in an insect-shaped lighting device provided in a public restroom so that a location of a public restroom and a treasure hunt app can be easily downloaded.

그리고, GPS 기능과 화장실 위치 및 보물찾기 앱을 연동시킴으로써 공공 화장실을 검색하는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linking GPS function with toilet location and treasure hunting app, it is possible to attract interest to search public toi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상에 화장실 찾기 및 보물찾기 메뉴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상에 표시된 지도상에 공공 화장실이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고장관리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ublic toilet fin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search and a treasure search menu ar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ublic toilet is displayed on a map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rver shown in FIG.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ailure management modul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erver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ublic toilet retrieva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은 복수의 공공 화장실(3)에 구비되는 조형물(5)과; 조형물(5)에 장착되어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 발신기(B)와; 신호 발신기(B)의 신호를 리딩하는 모바일 단말기(9)와; 모바일 단말기(9)에 화장실 위치 찾기 및 보물찾기 관련 앱을 제공하는 서버(S)와; 조형물(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를 포함한다.1 to 5, a public toilet finding system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ing 5 provided in a plurality of public restrooms 3; A signal transmitter (B) mounted on the molding (5) and emitting a signal; A mobile terminal (9) for reading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B); A server (S) for providing the mobile terminal (9) with an application related to finding a bathroom location and treasure hunting; And a power supply unit (7)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lding (5).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조형물(5)은 공공 화장실(3)에 장착되어 화장실임을 표시한다. 상기 조형물(5)은 다양한 종류의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엘이디(LED) 램프를 포함한다.In the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the molding 5 is attached to the public toilet 3 to indicate that it is a toilet. The molding 5 may be composed of various kinds of lamps, for example, an LED lamp.

이때, 엘이디 램프는 색온도가 약 4600K 정도가 바람직하며, 크기는 약 50-70cm 정도가 적절하다. 또한 외부에 노출되므로 IP67 상당의 방진방수가 적절하다.At this time, the LED lamp preferably has a color temperature of about 4600K, and a size of about 50-70cm is suitable. Sinc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dustproof waterproof equivalent to IP67 is suitable.

또한, 이러한 조형물(5)은 다양한 캐릭터 형태로 제조가능하며, 예를 들면 무당벌레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molding 5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character form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ladybug.

그리고, 조형물(5)에는 전원 공급부(7)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바, 이때 전원 공급부(7)는 태양전지판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7 supplies power to the molding 5, and the power supply unit 7 is preferably a solar panel.

즉, 화장실(3)의 지붕 등에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고, 이 태양전지판을 조형물(5)과 연결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전지판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조형물(5)은 상시전원의 공급없이도 자가발전이 가능하다.That is, a solar panel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toilet 3, and the power is supplied by connecting the solar panel to the molding 5. By supplying the power by the solar panel, which is a renewable energy, the molding 5 can be self-powered without supplying power at all times.

또한, 조형물(5)에는 조도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온(on)/오프(off)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lding object 5 is provided with an illuminance sensor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따라서, 곤충 형상의 조형물(5)은 태양전지판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점등될 수 있으며, 또한 주위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켜지거나 소등될 수 있다.Therefore, the insects-shaped molding 5 can be turned on or off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even when the power is supplied by the solar panel, so that the insulated lamp 5 can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그리고, 이러한 조형물(5)에는 신호 발신기(B)기 구비됨으로써 GPS 신호를 발신하여 공공 화장실(3)의 위치를 전송하게 된다.In the molding 5, a signal transmitter B is provided to transmit a GPS signal to transmit the location of the public toilet 3. [

신호 발신기(B)는 다양한 형태의 발신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비콘 발신기(B)를 포함한다.The signal transmitter B includes various types of transmitters, for example a beacon transmitter B.

이러한 비콘 발신기(B)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이며,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해 비콘 발신기(B)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규격의 블루투스 통신용 회로와 안테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con transmitter B is a Bluetooth beacon signal, and generates a Bluetooth beacon signal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To this end, the beacon transmitter B may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 antenna, and software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비콘 발신기(B)는 안테나를 통해 비콘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주변으로 송출하며, 최대 50미터 이내에 있는 다수의 단말들은 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eacon transmitter B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a beacon signal to the surroundings via an antenna,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within a maximum distance of 50 meters can receive the signal.

그리고, 비콘 신호는 신호에 인식코드가 포함됨으로써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9) 및 서버(S)는 각각의 비콘 발신기(B)를 구분할 수 있다. The beacon signal includes a recognition code in the sig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9 and the server S that receive this signal can distinguish each beacon transmitter B from each other.

이러한 비콘 발신기(B)는 모바일 단말기(9)와 같은 단말과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The beacon transmitter B directly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such as the mobile terminal 9. [

그리고 비콘 발신기(B)의 신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9) 및 서버(S)로 전송될 수 있다.And the signal of the beacon transmitter B can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9 and the server S via the network.

상기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와이파이(WiFi) 망 등의 무선 액세스 망을 포함한다.The network may be a closed network such as a LAN (Local Area Network) or a WAN (Wide Area Network), but may be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Herein, the Internet includes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upper layer of the TCP / IP protocol such a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Domain Name System (DNS),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And a wireless access network such as a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 Network File Service (NFS), a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and a WiFi network.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9)를 휴대한 상태로 공공 화장실(3)에 접근하는 경우, 비콘 발신기(B)에서 송출된 신호가 모바일 단말기(9)에 전송됨으로써 사용자는 화장실(3)이 근처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public toilet 3 while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9,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transmitter B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9, As shown in FIG.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9)는 스마트폰, 타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공 화장실(3) 찾기 앱을 탑재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9 may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and may be appropriately activated according to necessity by loading an app for searching for a public toilet 3.

모바일 단말기(9)는 서버(S)로부터 관련 앱을 다운로드하고, 탑재된 GPS 모듈에 의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9 can download the related application from the server S and can grasp the current position by the mounted GPS module.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9)는 관련 앱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화면상의 공중 화장실(3) 찾기 메뉴를 클릭하는 경우, 공중 화장실(3)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9 can search for the location of the public toilet 3 when the menu for searching the public toilet 3 on the screen is clicked while the related application is activated.

즉, 공중 화장실(3) 찾기 메유를 클릭하는 경우, 서버(S)로부터 제공된 지도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That is, when the user clicks on the search menu of the public toilet 3, a map provided from the server S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각 공중 화장실(3)은 스마트폰상의 지도창(11)에 표시된 지도상에 표시되며, 사용자의 위치도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도상에서 가장 가까운 화장실(3)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와 가까운 순서대로 공중 화장실(3)의 번호가 표시될 수도 있어서 쉽게 가장 가까운 공중 화장실(3)을 파악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public toilet 3 is displayed on the map displayed on the map window 11 on the smartphone,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is also displayed. Therefore, the user can grasp the closest toilet 3 on the map.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public toilet 3 may be displayed in the order close to the user, so that the nearest public toilet 3 can be easily grasped.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공중 화장실(3)에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폰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해당 공중 화장실(3)과의 거리,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user approaches the public toilet 3, the smartphone receives the beacon signal, so that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public toilet 3 can be grasped.

한편, 상기 서버(S)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9)와 공중 화장실(3)의 신호 발신기(B)와 연동함으로써 공중 화장실(3) 및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S can guide the public toilet 3 and the user's position in real time by interlocking with the user's mobile terminal 9 and the signal transmitter B of the public toilet 3.

이러한 서버(S)는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관리하고, 스마트폰의 요청에 따라 해당 URL에 연계된 인터넷 홈페이지를 출력한다.The server S manages the Internet home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and outputs the Internet homepage linked to the UR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mart phon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S)는 유무선 방식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9) 및 공공 화장실(3)의 신호 발신기(B)와 연결되는 입력모듈(13)과;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비콘 발신기(B)의 식별정보, 모바일 단말기(9)의 식별정보, 공공 화장실(3)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모듈(15)과; 지도 데이터가 포함된 앱을 모바일 단말기(9)에 제공하는 앱 제공모듈(17)과; 연산된 사용자 및 화장실(3)의 위치정보를 각 모바일 단말기(9)에 전송하는 출력모듈(19)과; 식별정보, 지도 정보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2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rver S includes an input module 13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er B of each mobile terminal 9 and public toilet 3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A calculation module 15 for calcul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ransmitter B,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9,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blic toilet 3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17)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containing map data to the mobile terminal (9); An output module (19)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us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troom (3) to each mobile terminal (9);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연산모듈(15)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9)기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공공 화장실(3)에 장착된 신호 발신기(B)에 의하여 공공 화장실(3)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module 15 can obtai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by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9 owned by the us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ublic toilet 3 can be grasped by the signal transmitter B mounted on the public toilet 3.

따라서, 각각의 공공 화장실(3) 위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공공 화장실(3)의 위치가 연산될 수 있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urrent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public toilet 3 can be calculated by interlocking the respective public toilet 3 position data and the user's position data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연산된 위치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와 연동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상에서 본인의 현재 위치와 각 공공 화장실(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calculated position data is linked with the map data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each public toilet 3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그리고, 사용자는 본 인이 목표하는 공공 화장실(3)로 이동하게 되며, 공공 화장실(3)에 접근함에 따라 비콘신호가 수신된다.Then, the user moves to the target public toilet 3, and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as he approaches the public toilet 3.

따라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이 비콘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목표하는 공공 화장실(3)과의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can receive the beacon signal and can grasp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with the target public toilet 3.

결국, 사용자는 이러한 화장실(3) 찾기 앱을 통하여 쉽게 목표하는 화장실(3)을 검색하여 접근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retrieve and access the target toilet 3 through the application for searching for the toilet 3.

한편, 서버(S)는 보물찾기모듈(23)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물이 숨겨진 공공 화장실(3)에 도달하였을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상품권 등을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S further includes a treasure hunting module 23 so that when the user reaches the public toilet 3 where the treasure is hidden, the server S provides the gift certificate to the user.

이때, 보물은 실제의 오프라인상의 보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상에서 해당 공공 화장실(3)의 식별코드에 보물코드를 포함시킨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treasure does not mean the actual offline treasure, but means that the treasure code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ublic toilet 3 on-line.

즉, 각 공공 화장실(3)은 고유의 식별코드가 부여되는 바, 이 식별코드에 보물을 의미하는 코드를 포함시킨 형태이다.That is, each public toilet 3 is given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 code indicating the treasure.

따라서, 사용자가 이 공공 화장실(3)에 접근하여 앱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보물찾기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온라인 상품권을 전송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public toilet 3 and activates the treasure hunt function while activating the app, the user transmits the online gift certificate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사용자는 수신된 상품권을 오프라인 혹은 온라인상에서 사용하게 된다.The user will use the received gift certificate offline or online.

이때, 보물은 상품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품권 이외에 포인트를 적립시키거나, 예약권을 발송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reasure is not limited to the gift certificate but can be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provide benefits to the us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points in addition to the gift certificate, or to send reservation tickets.

따라서, 상기 서버(S)의 보물찾기모듈(23)은 복수의 공공 화장실(3)에 있어서, 특정 공공 화장실(3)의 식별코드에 보물코드를 랜덤방식으로 포함시킨다.Accordingly, the treasure hunting module 23 of the server S includes the treasure code randomly i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specific public toilet 3 in the plurality of public toilet 3.

그리고, 해당 보물코드가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되면, 해당 공공 화장실(3)의 보물코드를 초기화하게 된다.Then, when the treasure chest code is retrieved by the user, the treasure chest of the public toilet 3 is initialized.

한편, 해당 화장실(3)이 고장 등으로 폐쇄된 경우, 다른 화장실(3)로 안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oilet 3 is closed due to a trouble or the like, it may be guided to another toilet 3.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화장실(3)에 도달한 경우, 만약 고장이 발생하여 화장실(3)을 이용할 수 없다면,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통하여 이러한 사실을 서버(S)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S)는 고장난 화장실(3)의 위치를 온라인을 통하여 고지하고 다른 화장실(3)로 안내하게 된다.5, when the user reaches the toilet 3, if the toilet 3 can not be used due to a failure, the user can recognize this fact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with the server S ). Then, the server S informs the other toilet 3 of the position of the broken toilet 3 on-lin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S)는 고장관리모듈(30)을 추가로 포함하며, 고장관리모듈(30)은 모바일 단말기(9)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32)와;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각 단말기(9) ID를 파악함으로써 각 화장실(3)의 위치를 파악하는 연산부(34)와; 고장난 화장실(3)의 인근에 다른 정상적인 화장실(3)을 결정하는 관리부(36)와; 정상 화장실(3)을 안내하는 출력부(40)와; 해당 화장실(3)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단말기(9)에 해당 화장실(3)의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38)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rver S further includes a failure management module 30, and the failure management module 30 includes an input unit 32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mobile terminal 9; An operation unit 34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toilet 3 by recognizing the ID of each terminal 9 by an inputted signal; A management unit (36) for determining another normal toilet (3) near the broken toilet (3); An output section (40) for guiding the normal toilet room (3); And a direction indicator 38 f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toilet 3 to the user's terminal 9 moving to the toilet 3. [

이러한 고장관리모듈(30)을 설명하면,Describing the failure management module 30,

1번 화장실(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S)의 연산부(34)는 고장난 화장실(3)을 파악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toilet 3, the operation unit 34 of the server S grasps the failed toilet 3 and notifies each user through the network.

그리고, 관리부(36)는 인근의 정상적인 화장실(3)을 파악하며, 1번 화장실(3)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모바일 단말기(9)를 통하여 안내하게 된다.Then, the management unit 36 grasps the normal toilet 3 in the vicinity, and guides the user in the first toilet 3 through the mobile terminal 9.

아울러, 방향 표시부(38)는 해당 화장실(3)로 이동하는 사용자들의 단말기(9)에 현재 위치에서 해당 화장실(3)이 어느 방향인지를 안내해 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display unit 38 can guide the terminal 9 of the users moving to the toilet 3 in which direction the toilet 3 is located at the current position.

예를 들면, 1번 화장실(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2번 화장실(3)이 1번 화장실(3)의 우측에 위치한 상태라면, 방향 표시부(38)는 단말기(9)의 화면상에 우측을 표시하는 엘이디 램프 등을 점멸시키거나,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하게 된다. For example, if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toilet 3, and the second toilet 3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toilet 3, the direction indicator 38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9 The LED lamp for displaying the right side is blinked or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따라서, 사용자는 정상적인 화장실(3)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easily move to the normal restroom 3.

Claims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 화장실(3)에 구비되는 조형물(5)과;
조형물(5)에 장착되어 위치신호를 발신하는 신호 발신기(B)와;
신호 발신기(B)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장실(3)의 위치를 파악하는 모바일 단말기(9)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9)에 화장실 위치 찾기 및 보물찾기 관련 앱을 제공하는 서버(S)와; 그리고
조형물(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를 포함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
A molding (5) provided in at least one public toilet (3);
A signal transmitter (B) mounted on the molding (5) to transmit a position signal;
A mobile terminal 9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B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toilet 3;
A server (S) for providing the mobile terminal (9) with an application related to finding a toilet and treasure finding through a network; And
A public toilet finding system (1) comprising a power supply (7) for supplying power to a molding (5).
제 1항에 있어서,
조형물(5)은 조도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주변 밝기에 따라 소등 혹은 점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blic toilet finding system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 objects (5) can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by mounting an illuminance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조형물(5)은 곤충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ublic toilet finding syste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 (5) has an insect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서버(S)는 유무선 방식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9) 및 공공 화장실(3)의 신호 발신기(B)와 연결되는 입력모듈(13)과;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비콘 발신기(B)의 식별정보, 모바일 단말기(9)의 식별정보, 공공 화장실(3)의 위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모듈(15)과; 지도 데이터가 포함된 앱을 모바일 단말기(9)에 제공하는 앱 제공모듈(17)과; 연산된 사용자 및 화장실(3)의 위치정보를 각 모바일 단말기(9)에 전송하는 출력모듈(19)과; 식별정보, 지도 정보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21)를 포함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S includes an input module 13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er B of each mobile terminal 9 and the public toilet 3 via a wire / wireless network; A calculation module 15 for calcul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ransmitter B,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9,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blic toilet 3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17)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containing map data to the mobile terminal (9); An output module (19)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us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troom (3) to each mobile terminal (9); (1) including a database (21)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stored.
제 4항에 있어서,
서버(S)는 보물찾기모듈(23)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물찾기모듈(23)은 공공 화장실(3)의 식별코드에 보물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공공 화장실(3)에 도달한 경우 온라인 상품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rver S further includes a treasure hunting module 23,
Wherein the treasure hunting module 23 provides the online voucher when the user reaches the public toilet 3 by including the treasure code i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ublic toilet 3. [ .
제 4항에 있어서,
서버(S)는 고장관리모듈(30)을 추가로 포함하며, 고장관리모듈(30)은 모바일 단말기(9)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32)와;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각 단말기(9) ID를 파악함으로써 각 화장실(3)의 위치를 파악하는 연산부(34)와; 고장난 화장실(3)의 인근에 다른 정상적인 화장실(3)을 결정하는 관리부(36)와; 정상 화장실(3)을 안내하는 출력부(40)와; 해당 화장실(3)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단말기(9)에 해당 화장실(3)의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38)를 포함하는 공공 화장실 찾기 시스템(1).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rver S further includes a failure management module 30, wherein the failure management module 30 includes an input 32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mobile terminal 9; An operation unit 34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toilet 3 by recognizing the ID of each terminal 9 by an inputted signal; A management unit (36) for determining another normal toilet (3) near the broken toilet (3); An output section (40) for guiding the normal toilet room (3); And a direction display section (38)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toilet (3) to the user's terminal (9) moving to the toilet (3).
KR1020170172510A 2017-12-14 2017-12-14 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 KR201900714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10A KR20190071450A (en) 2017-12-14 2017-12-14 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10A KR20190071450A (en) 2017-12-14 2017-12-14 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50A true KR20190071450A (en) 2019-06-24

Family

ID=6705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10A KR20190071450A (en) 2017-12-14 2017-12-14 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45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33A (en)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포스코 Process for production of co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33A (en)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포스코 Process for production of co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38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on finding using a portable device
KR101569660B1 (e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employing electronic ta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erminal program therein
US10445778B2 (en) Short distance user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same
US9245160B2 (en) Method for setting up a beacon network inside a retail environment
CN103200238A (en) Geography fencing intelligent network information system
KR20080025145A (en) Tag multiplication
CN102682257A (en) Object location system based 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and WIFI (Wireless Fidelity) technologies
CN103796164A (en) Advertisement information issuing system of mobile WIFI network
CN204374996U (en) A kind of hotel CUSTOM HOUSE HOTEL
WO2004006208A1 (en) Parking vehicle location guide system and its method
US7079008B2 (en) Proximity transaction control method
KR20060134506A (en) Selectiv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by mobile device and rfid tag
KR101517027B1 (en) Detecter For Identifing User At Close Range
CN112484716A (en) Indoor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based on 5G indoor distribution system
KR20190071450A (en) Sculpture for public restroom and system for searing thereof by smart phone
CN204375011U (en) A kind of hotel occupancy control system
Pfeifer et al. Commercial Hybrid IR/RF Local Positioning System.
KR20110059155A (en) Location-specific service offering system and method
KR20110115205A (en) Using wireless identification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KR101860944B1 (e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54537A (en) System for searching a location based on rfid tag
KR1003644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quipment control/location tracking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517656C2 (en)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KR101055885B1 (en) Locatio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ignal generator and tag
KR1006541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ng location and route with both of short-range and long-range tele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