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107A -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107A
KR20190071107A KR1020170171853A KR20170171853A KR20190071107A KR 20190071107 A KR20190071107 A KR 20190071107A KR 1020170171853 A KR1020170171853 A KR 1020170171853A KR 20170171853 A KR20170171853 A KR 20170171853A KR 20190071107 A KR20190071107 A KR 20190071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om
heavy equipment
heav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815B1 (ko
Inventor
고만석
Original Assignee
한국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815B1/ko
Priority to PCT/KR2018/013308 priority patent/WO2019093727A1/ko
Priority to CN201811344082.6A priority patent/CN109778930A/zh
Publication of KR2019007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2Drive system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나 로더 등과 같이 붐이 구비된 중장비에서 붐을 내리는 동안에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붐을 들어올림으로써 붐의 상승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붐이 구비된 중장비의 붐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에 있어서, 중장비의 붐의 하강으로 감소되는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전환하여 상기 중장비의 붐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붐에 외력을 가하는 보상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보상수단은, 상하로 승강되면서 위치에너지가 증가 및 감소하도록 상기 중장비에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된 중량물과, 상기 중장비의 붐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붐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에 힌지 연결된 제1실린더와, 상기 중량물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중량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에 연결된 제2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로 전달되고, 상기 제2실린더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사이를 연결하는 유체 유동로가 구비되어 구성되되, 상기 중장비의 붐의 하강으로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로 유입되어 상기 제2실린더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중량물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중량물에 힘을 가하고, 상기 중량물의 하강으로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로 유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중장비의 붐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실린더가 상기 중장비의 붐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APPARATUS FOR COMPENSATING THE WEIGHT OF HEAVY MACHINERY BOOM}
본 발명은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나 로더 등과 같이 붐이 구비된 중장비에서 붐을 내리는 동안에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붐을 들어올림으로써 붐의 상승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는 흙이나 다른 물질을 파헤치고 운반하는 대규모 건설 공사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이러한 중장비 중에서 굴삭기나 로더와 같이 흙을 파헤치고 운반하는 중장비의 경우 길이가 길고 무게가 무거운 붐(Boom)을 유압 장치로 들어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붐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대표적인 중장비인 굴삭기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굴삭기는 주행을 위한 궤도(1), 상기 궤도의 상부에 놓인 상부 프레임(2), 상기 상부 프레임(2)의 상부에 놓여 조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는 캐빈(3), 상기 상부 프레임(2)과 연결되는 붐(Boom)(4), 상기 붐(4)과 연결되는 아암(Arm)(5), 상기 아암(5)에 연결되는 버켓(6)으로 크게 나뉘며, 붐(4)의 구동을 위해 상부 프레임(2)과 연결되는 붐 실린더(7), 아암(5)의 구동을 위해 붐(4)과 연결되는 아암 실린더(8), 버켓(6)의 구동을 위해 아암(5)과 연결되는 버켓 실린더(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기의 경우에도 붐(4) 및 아암(5), 버켓(6)은 강재로 이루어져 있어 그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굴삭기의 붐(4)을 비롯한 이와 일체로 회전되는 부분이 무거워지게 되면, 붐(4) 및 아암(5)의 작동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그로 인해 작업 속도 및 작업 능률이 저하되게 된다.
아울러, 위와 같이 굴삭기의 붐(4) 등의 전체 무게가 무거울 경우, 작업시 연료 소모량이 증대되어 연비가 좋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료의 사용 비용이 부담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9237호(복합 소재로 구성된 작업 장치를 갖는 굴삭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0675호(붐과 암이 경량화 구조를 가지는 굴삭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6063호(굴삭기의 경량형 작업장치)와 같이 붐 및 아암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아암의 작동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아암이나 붐의 경량화로 인하여 강성의 확보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중장비의 경우 결과적으로 아암 및 붐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는 여전히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9237호 : 복합 소재로 구성된 작업 장치를 갖는 굴삭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0675호 : 붐과 암이 경량화 구조를 가지는 굴삭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6063호 : 굴삭기의 경량형 작업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는 굴삭기나 로더 등과 같이 붐이 구비된 중장비에서 붐을 내리는 동안에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붐을 들어올림으로써 붐의 상승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붐이 구비된 중장비의 붐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에 있어서, 중장비의 붐의 하강으로 감소되는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전환하여 상기 중장비의 붐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붐에 외력을 가하는 보상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보상수단은, 상하로 승강되면서 위치에너지가 증가 및 감소하도록 상기 중장비에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된 중량물과, 상기 중장비의 붐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붐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에 힌지 연결된 제1실린더와, 상기 중량물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중량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에 연결된 제2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로 전달되고, 상기 제2실린더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사이를 연결하는 유체 유동로가 구비되어 구성되되, 상기 중장비의 붐의 하강으로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로 유입되어 상기 제2실린더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중량물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중량물에 힘을 가하고, 상기 중량물의 하강으로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로 유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중장비의 붐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실린더가 상기 중장비의 붐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상기 중량물은 상기 붐의 무게에 의해 상기 붐이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중장비가 전도되는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상기 중장비의 붐이 위치된 반대의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이 중장비에 연결되는 위치에는 상기 중장비로부터 외측으로 출몰이 가능하게 지지된 실린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은 상기 실린더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어 그 위치가 상기 제1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붐에 연결된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상기 제1실린더는 텔리스코픽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는 굴삭기나 로더 등과 같이 붐이 구비된 중장비에서 붐을 내리는 동안에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붐을 들어올림으로써 붐의 상승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가 장착된 굴삭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가 장착된 굴삭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굴삭기나 로더와 같이 붐이 구비된 중장비의 붐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중장비의 붐의 하강으로 감소되는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중장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중량물의 위치에너지로 축적하고, 그 축적된 위치에너지를 전환하여 상기 중장비의 붐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붐에 외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붐 부게 보상 장치는 중장비인 궤도(3)에 의해 주행하는 굴삭기(1)에서 아암 및 버킷이 연결된 붐(2)을 내리는 동안에 붐(2)과 그 붐(2)에 연결된 아암 등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보상수단에서 에너지로 축적하였다가 그 보상수단에 축적된 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붐(2)을 들어올림으로써 붐(2)을 들어올리는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아암 무게 보상 장치는 보상수단이 중량물(30)의 위치에너지의 변화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면, 상기 보상수단은 중량물(30)의 상승으로 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그 축적된 에너지를 전환하여 상기 붐(2)을 상승시키는 힘으로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붐(2)을 상승시키는 힘을 보완함으로써 붐(2)을 상승시키는데 굴삭기에서 출력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상수단은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하강으로 감소되는 붐(2)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전환하여 상기 중장비(1)의 붐(2)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붐(2)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상수단은 제1실린더(10), 제2실린더(20), 중량물(30), 유체 유동로(40), 실린더 지지부(50) 및 어큐뮬레이터(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실린더(10)는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중장비(1)의 전방에 구비된 실린더 지지부(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붐(1)에 연결된다. 통상 상기 중장비(1)는 상하로 충분한 작업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붐(2)은 중장비(1)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면 아래의 낮은 위치까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실린더(10)은 상기 중장부(1)와 붐(2)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신장시는 충분히 길이가 늘어나야 하고 반대로 수축시 그 길이가 충분히 줄어들어야 상기 붐(2)의 상하 회전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실린더(10)는 수축시 길이가 짧고 반대로 충분이 길게 신장되도록 다단의 실린더가 출몰되는 텔리스코픽 실린더(Telescopic Cylind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상기 제1실린더(10)이 2단의 실린더 로드가 출몰되게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실린더(20)는 상기 중량물(30)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중장비(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량물(30)에 연결된다.
상기 제1실린더(10) 및 제2실린더(20)는 상기 유체 유동로(40)에 의해 연결되어 일측 실린더에서 형성된 압력을 타측 실린더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중량물(30)은 상하로 승강되면서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가 증가 및 감소하도록 상기 중장비에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중량물(30)은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하강으로 상기 제1실린더(10), 유체 유동로(40) 및 제2실린더(30)를 통해 전달된 힘에 의해 상승되면서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가 증가되고 그 증가된 위치에너지는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상승에 이용된다. 상기 중량물(30)은 상하로 승강되면서 흔들리지 않도록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중량물(30)이 중장비(1)가 안정된 무게중심을 갖도록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중량물(30)은 상기 붐(2)의 무게에 의해 상기 붐(2)이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중장비(1)가 전도되는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상기 중장비(1)의 붐(2)이 위치된 반대의 위치에 구비된다. 도면에는 상기 중장비(1)의 붐(2)이 중장비(1)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중량물(30)이 중장비(1)의 후방에서 상하로 승강되게 구비되어 상기 중량물(30)에 의해 중장비 전체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중장부(1)은 상기 붐(2)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전도되려는 모멘트가 감소되어 안정적인 상태가 된다.
상기 유체 유동로(40)는 상기 제1실린더(10)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20)로 전달되고, 상기 제2실린더(20)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10)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10)와 제2실린더(2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통상 상기 제1실린더(10) 및 제2실린더(20)의 구동을 위한 압력 및 그 내부에서 형성되는 압력은 고압이기 때문에 상기 제1실린더(10) 등에 사용되는 유체는 고압의 압력 전달에 용이한 유압유가 이용된다. 상기 유체 유동로(40)는 이러한 유압유가 흐르는 관이나 유압호스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 지지부(50)는 상기 제1실린더(1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중장비(1)의 전방 위치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 지지부(50)가 상기 중장비(1)로부터 출몰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10)의 지지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10)가 상기 붐(2)에 가하는 힘의 대부분이 상기 붐(2)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실린더(10)의 타단을 곧바로 상기 중장비(1)의 전방 위치에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제1실린더(10)가 상기 붐(2)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실린더(10)가 상기 붐(2)에 가하는 힘은 분산되어 일부만이 상기 붐(2)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된다. 이는 축적된 에너지의 일부만이 상기 붐(2)을 들어올리는데 이용되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적으로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 지지부(50)이 필요에 따라 상기 중장비(1)의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10)가 거의 연직에 가까운 상태로 세워져 상기 붐(2)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상기 실린더 지지부(50)이 중장비(1)의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10)가 연직에 가깝게 세워진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 지지부(50)는 상기 제1실린더(10)의 타단이 중장비에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중장비(1)로부터 외측으로 출몰이 가능하게 상기 중장비(1)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장비(1)의 전방으로 출몰이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실린더 지지부(50)에 상기 제1실린더(10)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어 그 위치가 상기 제1실린더(10)의 일단이 상기 붐(2)에 연결된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하여 상기 제1실린더(10)의 자세가 세워지거나 기울어지게 변하게 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0)는 상기 유체 유동로(40)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 유동로(40)에 형성되는 맥동이나 충격압력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상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동함으로써 중장비(1)의 붐(2)의 하강시 상기 중량물(30)을 상승시켜 그 중량물(30)에 위치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상승 구동시 상기 중량물(30)에 축적된 위치에너지를 전환하여 상기 붐(2)을 상승시키는 구동을 보완하게 된다.
도 2는 상기의 보상수단의 구성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하강으로 상기 제1실린더(10)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유체 유동로(30)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20)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20)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20)가 상기 중량물(3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중량물(30)이 상승되면서 상기 중량물(30)에 위치에너지가 축적된다.
반대로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상승시에는 상기 중량물(30)의 하강으로 상기 제2실린더(20)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유체 유동로(40)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0)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제1실린더(10)가 상기 중장비(1)의 붐(2)에 힘을 가하여 상기 중장비(1)의 붐(2)을 상승시키는 구동에 힘을 보태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10)의 상하 이동량을 작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실린더(10)의 단면적(A1)을 상기 제2실린더(20)의 단면적(A2)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장비(1)의 붐(2)의 승강에 의한 위치에너지 변화량은 붐(1)의 연직 하중(W1)×붐의 승강 높이차(H1)이고, 중량물(30)의 승강에 의한 위치에너지 변화량은 중량물(30)의 연직 하중(W2)×중량물의 승강 높이차(H2)이며, 이들은 동일한 값을 갖는다. 즉 W1×H1 = W2×H2(식1)가 된다. 한편, 상기 제1실린더(10)가 붐(10)으로부터 연직 하중을 받도록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붐(1)의 연직 하중(W1)은 상기 제1실린더(10)의 단면적(A1)×제1실린더의 압력(P1)와 동일하고(붐의 하강시 붐의 자중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붐의 연직 하중은 상기 실린더의 단면적과 압력의 곱보다는 약간 크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물(1)의 연직 하중(W2)은 상기 제2실린더(20)의 단면적(A2)×상기 제2실린더의 압력(P2)과 동일하다. 즉, W1≥A1×P1(식2)이고, W2=A2×P2(식3)이다.
서로 연결된 공간의 압력이므로 제1실린더의 압력(P1)과 제2실린더의 압력(P2)는 동일하고, 식1 내지 식3으로부터 A1×H1 = A2×H2(식4)가 유도된다. 여기에서 제1실린더의 단면적(A1)보다 제2실린더의 단면적(A2)을 크게 하면, 상기 중량물의 승강 높이차(H2)를 상기 붐의 승강 높이차(H1)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도면 및 앞에서 설명된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실린더
20 제2실린더
30 중량물
40 유체 유동로
50 실린더 지지부
60 어큐뮬레이터

Claims (4)

  1. 붐이 구비된 중장비의 붐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에 있어서,
    중장비의 붐의 하강으로 감소되는 붐의 무게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전환하여 상기 중장비의 붐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붐에 외력을 가하는 보상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보상수단은, 상하로 승강되면서 위치에너지가 증가 및 감소하도록 상기 중장비에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된 중량물과,
    상기 중장비의 붐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붐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에 힌지 연결된 제1실린더와,
    상기 중량물의 승강으로 신축되게 일단은 상기 중량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에 연결된 제2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로 전달되고, 상기 제2실린더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사이를 연결하는 유체 유동로가 구비되어 구성되되,
    상기 중장비의 붐의 하강으로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로 유입되어 상기 제2실린더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중량물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중량물에 힘을 가하고,
    상기 중량물의 하강으로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로 유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상기 중장비의 붐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실린더가 상기 중장비의 붐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은 상기 붐의 무게에 의해 상기 붐이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중장비가 전도되는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상기 중장비의 붐이 위치된 반대의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이 중장비에 연결되는 위치에는 상기 중장비로부터 외측으로 출몰이 가능하게 지지된 실린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은 상기 실린더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어 그 위치가 상기 제1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붐에 연결된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는 텔리스코픽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KR1020170171853A 2017-11-13 2017-12-14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KR10217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53A KR102177815B1 (ko) 2017-12-14 2017-12-14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PCT/KR2018/013308 WO2019093727A1 (ko) 2017-11-13 2018-11-05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CN201811344082.6A CN109778930A (zh) 2017-11-13 2018-11-13 重型设备动臂重量补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53A KR102177815B1 (ko) 2017-12-14 2017-12-14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107A true KR20190071107A (ko) 2019-06-24
KR102177815B1 KR102177815B1 (ko) 2020-11-11

Family

ID=6705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853A KR102177815B1 (ko) 2017-11-13 2017-12-14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81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400A (ja) * 1993-03-24 1994-09-27 Sango Juki Kk 破砕装置
JPH081666U (ja) * 1990-08-03 1996-12-17 喜久真 下田 パワーショベルカー
JPH09242127A (ja) * 1996-03-06 1997-09-16 Kobelco Kenki Eng Kk 油圧式作業車
KR100559237B1 (ko) 1998-11-25 2006-05-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복합 소재로 구성된 작업 장치를 갖는 굴삭기
KR20100072721A (ko) * 2008-12-22 2010-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작업기 구동장치
KR20100075102A (ko) * 2008-12-24 2010-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위치 가변식 붐 실린더를 구비한 굴삭기
JP2012026245A (ja) * 2010-07-28 2012-02-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20120056063A (ko) 2010-11-24 2012-06-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경량형 작업장치
KR20140100675A (ko) 2013-02-07 2014-08-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붐과 암이 경량화 구조를 가지는 굴삭기
WO2015019594A1 (ja) * 2013-08-05 2015-02-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エネルギ回生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6U (ja) * 1990-08-03 1996-12-17 喜久真 下田 パワーショベルカー
JPH06272400A (ja) * 1993-03-24 1994-09-27 Sango Juki Kk 破砕装置
JPH09242127A (ja) * 1996-03-06 1997-09-16 Kobelco Kenki Eng Kk 油圧式作業車
KR100559237B1 (ko) 1998-11-25 2006-05-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복합 소재로 구성된 작업 장치를 갖는 굴삭기
KR20100072721A (ko) * 2008-12-22 2010-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작업기 구동장치
KR20100075102A (ko) * 2008-12-24 2010-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위치 가변식 붐 실린더를 구비한 굴삭기
JP2012026245A (ja) * 2010-07-28 2012-02-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20120056063A (ko) 2010-11-24 2012-06-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경량형 작업장치
KR20140100675A (ko) 2013-02-07 2014-08-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붐과 암이 경량화 구조를 가지는 굴삭기
WO2015019594A1 (ja) * 2013-08-05 2015-02-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エネルギ回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815B1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451B2 (en) Piece of working equipment
US8939699B2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hydraulic pipes
RU2389679C2 (ru) Кран харвестера
JP6138050B2 (ja) ホイールローダ等のワークマシンにおけるエネルギ再生のための油圧システム
JP5828061B1 (ja) 作業車両の昇降ステップ
US10618781B2 (en) Crawler crane car body weight supporting device
US3070244A (en) Loader
KR101248580B1 (ko) 작업장치 보조 구동수단이 구비된 굴삭기
KR20100072721A (ko) 건설기계의 작업기 구동장치
KR20190071107A (ko)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WO2019093727A1 (ko)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CN103626044A (zh) 平面两自由度十一杆双闭环子链式集装箱正面吊运起重机
US7546730B2 (en) Hydraulic vehicle stabilizer system with two-stage bi-rotational hydraulic pump system
KR101747100B1 (ko) 작업 장치의 유압식 가동 작업 요소의 작동 방법 및 작업 장치
CN205187052U (zh) 一种适用于特种车的工作装置
CN204266264U (zh) 多功能抓草机抓斗
KR20130008997A (ko) 보조 붐 가스실린더가 구비된 굴삭기
US4411584A (en) Optimized earthworking tool operating linkage
CN212689032U (zh) 一种轮式伸缩臂装载机工作装置
KR101684710B1 (ko)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장착 장치
JP4198860B2 (ja) リフトキャブを有する作業機
KR20190054315A (ko) 중장비 붐 무게 보상 장치
EP2438241B1 (en) Kingpost assembly with hydraulically driven sideshift sliding carriage
JP5353818B2 (ja) 作業機械
KR200397109Y1 (ko) 연장 가능한 붐을 가지는 스키드 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