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727A -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727A
KR20190070727A KR1020170171547A KR20170171547A KR20190070727A KR 20190070727 A KR20190070727 A KR 20190070727A KR 1020170171547 A KR1020170171547 A KR 1020170171547A KR 20170171547 A KR20170171547 A KR 20170171547A KR 20190070727 A KR20190070727 A KR 2019007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on
learner
record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이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호 filed Critical 이강호
Priority to KR102017017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727A/ko
Publication of KR2019007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어 수강생의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강사 단말로부터 레슨 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수강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내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을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강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강사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기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METHOD FOR AND MANAGEMENT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포츠와 관련된 레슨을 받는 수강생과 이를 지도하는 강사간 레슨 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생활체육(예: 테니스 등)에 대하여 일반인 또는 학생들은 특정 강사와 일대일 또는 다대일로 레슨을 통해 생활체육을 학습하게 된다.
그런데, 특정 레슨기관 또는 특정 강사에게 레슨을 받던 수강생이 다른 레슨기관이나 다른 강사에게 새롭게 레슨을 받게 될 경우, 새롭게 바뀐 강사는 해당 수강생이 어느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는지 또는 어떤 동작이 취약한지 등을 구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를 파악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레슨기록의 단절은 새로운 강사와 수강생 사이에 효율적인 레슨이 이루어지는데 비효율적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8533호, 2013.11.27 공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강사가 수강생의 레슨 과정을 기록하여 관리하고, 수강생은 기록된 레슨 과정을 확인하여 강사의 피드백을 확인하며, 다른 강사에게 자신의 레슨 기록을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레슨과정을 셀프진단하고, 강사가 바뀌어도 레슨 과정을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어 수강생의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강사 단말로부터 레슨 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수강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내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을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강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강사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기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는 상기 레슨내용 항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평가 항목 각각에 대한 스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상기 강사의 평가를 텍스트로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수강생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상기 레슨 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은 수강생 단말로부터 상기 레슨 기록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강생에 대한 날짜 별 레슨기록 리스트를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레슨기록 리스트 중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의 통계 정보를 레슨내용 항목별로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특정 날짜의 레슨 기록에 대한 상세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레슨내용 항목별로 각 레슨내용 항목에 포함된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섬네일을 상기 레슨내용 항목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코어 정보는 상기 수강생 단말 화면의 제1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섬네일은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섬네일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재생 화면 중 일 영역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은 수강생 단말로부터 다른 강사를 검색하는 정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입력된 정보와 매칭되는 강사의 정보를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강생 단말로부터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 기록을 상기 매칭된 강사에게 공유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강사의 단말로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 기록을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는 수강생의 스포츠 레슨기록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서, 저장부; 강사 단말 또는 수강생 단말과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 모듈; 및 강사 단말로부터 레슨 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수강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내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을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강사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강사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코어 및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레슨기록을 상기 수강생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레슨기록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레슨기록 관리부는, 상기 수강생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상기 레슨 기록에 포함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강생 단말로부터 상기 레슨 기록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강생에 대한 날짜 별 레슨 기록 리스트를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레슨 기록 리스트 중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의 통계 정보를 레슨내용 항목별로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레슨기록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슨기록 관리 방법을 통해서 수강생은 자신의 레슨 자세와 강사의 피드백을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수강생의 레슨 기록은 다른 강사에게도 손쉽게 공유되어 새로운 강사에게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레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레슨기록을 관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강사 단말에서 레슨기록을 입력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저장된 레슨기록을 수강생 단말 또는 강사 단말에 공유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강생의 레슨기록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수강생 단말을 통해 요청된 강사를 확인하고 해당 강사 단말로 레슨기록을 공유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시스템(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시스템(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강사 단말(100), 관리 서버(200) 및 수강생 단말(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시스템(10)은 강사와 수강생간 이루어지는 스포츠 레슨에 대한 레슨기록을 강사가 입력하고, 이를 수강생 또는 다른 강사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수가생의 셀프 진단이 가능하고, 강사가 바뀌어도 단절없이 효과적인 레슨이 이루어지게 한다.
강사 단말(100) 및 수강생 단말(300)은 예컨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PC(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강사 단말(100) 및 수강생 단말(300)에는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앱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관리 서버(200), 관리 서버(200)의 구성 또는 컴퓨팅 시스템을 지칭하거나 이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관리 서버(200)는 수강생의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스포츠 레슨기록의 관리 및 공유와 관련된 집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또는 프로그램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제어부(220), 레슨기록 관리부(221), 레슨기록 공유부(225)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무선통신 모듈, 네트워크 모듈 또는 기지국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를 강사 단말(100) 및 수강생 단말(300)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10)는 강사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레슨기록을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고, 수강생 단말(300) 또는 다른 강사의 단말로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레슨기록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관리 서버(2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관리 서버(200)의 내부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슨기록 관리부(221)는 강사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수강생의 레슨기록을 관리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레슨기록 관리부(221)는 수강생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수집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레슨 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레슨내용 항목’이란 특정 종류의 스포츠에 대한 레슨과정에서 수행되는 소정 기간별 또는 소정 기술 단위의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니스’에 대한 레슨내용 항목은 ‘스트로크’, ‘발리’, ‘스매쉬’, ‘로브’, ‘슬라이스’, ‘서브’, ‘리턴’, ‘풋워크’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예시도에서는 테니스를 예로써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레슨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와 기술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레슨기록 공유부(225)는 레슨기록 관리부(221)를 통해 저장된 레슨기록을 강사 단말(100), 수강생 단말(300) 또는 다른 강사의 단말(미도시)에 제공함으로써 수강생의 레슨기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레슨기록 공유부(225)는 수강생 단말(300)에 강사가 입력한 레슨기록을 제공함으로써 수강생이 자신의 레슨 내용을 셀프진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레슨기록 공유부(225)는 수강생 단말(300)에 의해 검색 및 요청된 강사의 단말에게 해당 수강생의 레슨기록을 제공함으로써 새롭게 바뀐 강사가 해당 수강생의 레슨이력을 검토할 수 있게 한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 관리 서버(200) 또는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정보 DB(231) 및 컨텐츠 DB(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DB(231)는 수강생 정보, 강사 정보, 레슨기록, 통계 정보 등 강사 단말(100)과 수강생 단말(300)에서 입력되거나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DB(235)는 정보 DB(231)에 저장된 정보를 컨텐츠화하여 강사 단말(100) 또는 수강생 단말(300)의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다양한 형태(예: UI 아이템 등)로 출력될 컨텐츠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또한, 컨텐츠 DB(235)는 외부 장치(예: 레슨 장소에 설치된 카메라 또는 강사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 등)에서 수집된 수강생의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레슨기록 관리부(221) 및 레슨기록 공유부(225)는 제어부(220)를 기능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류한 일부 구성으로서 제어부(220)와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220)와 하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 서버(200) 내에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들을 ~부의 형태로 표시하였으나, 각각의 부분들은 관리 서버(200) 내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각 동작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관리 서버(200)에서 레슨기록을 관리하고 공유하는 방법들에 대해 개시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에서 레슨기록을 관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의 각 단계들은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거나 상호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강사 단말(100)에서 레슨기록을 입력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스포츠 강사는 수강생에 대한 오프라인 레슨을 마친 후, 강사 단말(10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사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로그인 절차 또는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인증 절차를 마친 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인증 방식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특정 인증 방식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강사는 이러한 인증 절차 또는 자동로그인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시킨 뒤, 레슨을 진행한 수강생 정보(예: 이름, 나이, 성별, 고유 식별번호 등)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고(S310), 관리 서버(200)는 강사가 입력하거나 선택한 수강생 정보를 저장부(230)의 정보 DB(231)상에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강사 단말(100)에 메인 화면(401)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화면(403) 상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레슨기록이 어떤 종류의 스포츠인지 또는 어떠한 레슨업체에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출처 아이템(403)과, 강사의 이름(예: 김홍대) 및 레슨 날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화면(401)의 일 영역에는 수강생 정보 영역(405)이 표시되며, 이러한 수강생 정보 영역(405)에는 해당 수강생의 이름, 성별, 주소, 레슨 기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강사 단말(100)을 통해 레슨정보 아이템(407)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200)는 후술할 도 9의 통계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해당 수강생 정보가 확인되었으면, 관리 서버(200)는 해당 수강생에 대하여 레슨을 진행한 레슨내용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강사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도 4의 화면에서 강사 단말(100)을 통해 레슨 기록하기 영역(409)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200)는 도 5의 화면(501)과 같이 해당 수강생과 관련된 레슨내용 항목(503)을 강사 단말(100)에 제공한다. 예컨대, 레슨내용 항목(503)은 테니스와 관련된 것일 수 있으며, “스트로크”, “발리”, “스매쉬” 등을 포함한 총 8개의 레슨내용 항목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레슨내용 항목(503)의 종류와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200)는 강사 단말(100)을 통해 선택된 레슨내용 항목에 대해서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강사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S350).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 정보는 레슨내용 항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평가 항목 각각에 대한 스코어를 포함하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강사의 평가를 텍스트로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평가 항목은 각각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링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평가 항목은 ‘타점위치’, ‘테이크백’, ‘탑스핀’, ‘코일링’, 팔로우 스루’, ‘스텝’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100)을 통해 도 5의 화면(501)의 선택완료 영역(505)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200)는 도 6과 같은 화면(601)을 통해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레슨내용 항목(603, 605)으로서 ‘포핸드’및 ‘백핸드’가 표시되며, 각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평가 항목의 구체적인 점수가 스크롤러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러는 점수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기능 중에 하나이며, 해당 평가 항목에 대한 스코어링은 다른 방식(예: 숫자 기입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화면(601)상에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607)을 통해 강사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관리 서버(200)는 화면(601)상에 해당 수강생에 대한 동영상 즉,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불러올 수 있는 불러오기 아이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러오기 아이템은 화면(601)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불러오기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강사 단말(100)의 로컬 단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은 강사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거나, 레슨 장소에 구비된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 수집될 수 있다.
화면(601)을 통해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 피드백 정보 및 오프라인 레슨 영상이 입력/업로드된 후 저장하기 영역(609)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200)는 해당 정보들을 저장부(230)에 저장한다(S370). 즉, 관리 서버(200)는 스코어 정보, 피드백 정보 또는 오프라인 레슨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슨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슨기록에는 부가적으로 해당 수강생 정보, 날짜/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입력된 스코어 정보를 각 레슨내용 항목별로 가공하여 시각화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향후 레슨기록을 확인하는 수강생 또는 강사들이 한눈에 레슨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수강생이 레슨 과정에서의 자세를 시청하면서 직관적으로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 서버(200)는 피드백 정보와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수강생 단말(300)의 화면 상에 오프라인 레슨 영상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해당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피드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신의 레슨영상을 시청하던 수강생이 피드백 아이템을 터치함에 따라 피드백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동영상 재생 화면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강사의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일부 화면의 예시도는 도 11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피드백 아이템은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특정 구간에 따라 해당 구간과 관련있는 피드백 정보를 나타내는 피드백 아이템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동영상의 특정 구간 별로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고, 해당 인덱스가 설정된 구간 별로 강사 단말(100)을 통해 피드백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영상의 특정 구간 별로 매칭되는 피드백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저장하기 영역(609)을 누른 강사 단말(100)에서는 도 7과 같이 레슨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다는 팝업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렇게 저장이 완료된 레슨기록에 대해서, 강사 단말(100), 수강생 단말(300) 또는 다른 강사의 단말로부터 해당 레슨기록의 공유를 요청받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레슨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S39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에서 저장된 레슨기록을 수강생 단말(300) 또는 강사 단말(100)에 공유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8의 각 단계들은 도 3의 S390 단계의 일 예시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상호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8의 설명을 위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수강생의 레슨기록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먼저, 관리 서버(200)는 강사 단말(100), 수강생 단말(300) 또는 다른 강사의 단말로부터 해당 수강생에 대한 레슨기록의 공유를 요청받는 경우, 날짜 별 레슨기록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S810),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기록에 대하여 시각화된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830).
예로서 도 9의 화면(901)을 참조하면, 특정 수강생 ‘이강호’에 대한 날짜 별 레슨기록 리스트(905)가 도시되며, 레슨기록 리스트(905)의 상부에는 통계 정보(903)가 도시된다. 이러한 통계 정보(903)는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기록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날짜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평가 항목의 점수가 시각화된 자료로 표시된다. 따라서, 수강생 등이 레슨기록 리스트(905) 상에서 다른 날짜에 기록된 레슨기록을 선택(예: 터치)하면, 상기 통계 정보(903)는 선택된 날짜의 레슨기록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된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관리 서버(200)는 날짜 별 레슨기록과 무관하게 모든 날짜에 기록된 전체 평가 항목을 더한 후 평균값을 산정하여 통계 정보(903)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날짜의 레슨기록에는 파일 인디케이터(907)가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일 인디케이터(907)가 삽입된 날짜의 레슨기록은 동영상 파일이 첨부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레슨내용 항목 별로 스코어 정보 및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S850). 구체적으로, 도 9의 화면(901)에서, 특정 날짜의 레슨기록에 대한 상세정보 확인(905)이 선택되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도 10의 화면(1001)과 같이 레슨내용 항목(예: 포핸드 스트로크, 백핸드 스트로크)에 포함된 복수의 평가 항목(예: 타점위치, 스텝 등)에 대한 스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에 해당하는 스코어를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포핸드 스트로크’에 대해서는 9.2점의 스코어가 표시될 수 있고, ‘백핸드 스트로크’에 대해서는 8.6점의 스코어가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스코어는 평가항목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화면(1001)의 일영역에 오프라인 레슨 영상(1003)의 섬네일 이미지(1003)를 표시할 수 있다. 강사 또는 수강생에 의해 해당 섬네일 이미지(1003)가 선택(예: 터치)되면, 관리 서버(200)는 도 11과 같은 오프라인 레슨 영상(1101)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200)는 강사가 입력한 피드백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피드백 아이템(1103)을 화면의 일 영역에 출력시킬 수 있으며, 강사 또는 수강생이 피드백 아이템(1103)을 선택하면 해당 피드백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는 동영상 재생 화면(1101)상에서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새로운 창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수강생은 영상을 보는 도중 보다 직관적으로 자신의 레슨내용에 대한 코멘트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셀프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는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구간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드백 아이템(1103)이 색상과 형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수강생 단말(300)과 강사 단말(100)간 실시간으로 소통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창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해, 강사와 수강생은 언제든 레슨내용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에서 수강생 단말(300)을 통해 요청된 강사를 확인하고 해당 강사 단말로 레슨기록을 공유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2의 각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되거나 상호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이유와 경우에 따라, 수강생들은 강사를 바꾸어 스포츠 레슨을 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면, 수강생은 수강생 단말(300)을 통해 다른 강사를 검색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는 이러한 요청을 확인하여(S1210) 해당 조건에 매칭되는 강사를 확인할 수 있다(S1230). 예컨대, 관리 서버(200)는 정보 DB(231)에 저장된 강사의 경력, 성별, 위치, 나이 등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수강생이 입력한 강사 조건을 확인하여 매칭되는 강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수강생과 새로운 강사가 매칭이 되면, 관리 서버(200)는 수강생의 레슨기록을 새로운 강사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1250). 이 경우, 관리 서버(200)는 수강생의 인증 절차 및 새로운 강사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소정의 인증절차가 완료되는 것을 조건으로 레슨기록을 공유할 수 있다.
새로운 강사는 공유된 레슨기록을 검토함으로써 해당 수강생이 현재 어떤 수준에 있는지와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를 확인함으로써 교육 포트폴리오를 구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강생은 일일이 자신의 운동수준과 레슨 히스토리를 설명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으로 레슨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10: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시스템 100: 강사 단말
200: 관리 서버 300: 수강생 단말

Claims (10)

  1.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어 수강생의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강사 단말로부터 레슨 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수강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내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을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강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강사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레슨기록을 상기 수강생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는 상기 레슨내용 항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평가 항목 각각에 대한 스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상기 강사의 평가를 텍스트로 나타낸 정보인 것인,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생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상기 레슨 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수강생 단말로부터 상기 레슨 기록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강생에 대한 날짜 별 레슨기록 리스트를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레슨기록 리스트 중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의 통계 정보를 레슨내용 항목별로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날짜의 레슨 기록에 대한 상세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레슨내용 항목별로 각 레슨내용 항목에 포함된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섬네일을 상기 레슨내용 항목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코어 정보는 상기 수강생 단말 화면의 제1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섬네일은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섬네일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레슨 영상의 재생 화면 중 일 영역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 아이템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수강생 단말로부터 다른 강사를 검색하는 정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입력된 정보와 매칭되는 강사의 정보를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강생 단말로부터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 기록을 상기 매칭된 강사에게 공유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강사의 단말로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 기록을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포츠 레슨기록 관리 방법.
  8. 수강생의 스포츠 레슨기록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서,
    저장부;
    강사 단말 또는 수강생 단말과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 모듈; 및
    강사 단말로부터 레슨 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수강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강생에 대한 레슨내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을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강사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강사 단말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스코어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코어 및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레슨기록을 상기 수강생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레슨기록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슨기록 관리부는,
    상기 수강생의 레슨내용 항목에 대한 오프라인 레슨 영상을 상기 레슨 기록에 포함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관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생 단말로부터 상기 레슨 기록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강생에 대한 날짜 별 레슨 기록 리스트를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레슨 기록 리스트 중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한 레슨 기록의 통계 정보를 레슨내용 항목별로 상기 수강생 단말에 제공하는 레슨기록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관리 서버.
KR1020170171547A 2017-12-13 2017-12-13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20190070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47A KR20190070727A (ko) 2017-12-13 2017-12-13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47A KR20190070727A (ko) 2017-12-13 2017-12-13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27A true KR20190070727A (ko) 2019-06-21

Family

ID=6705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547A KR20190070727A (ko) 2017-12-13 2017-12-13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18B1 (ko) * 2021-03-29 2021-12-01 김도훈 건강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533A (ko) 2012-05-17 2013-11-27 (주)아이유웰 개인별 운동 이력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헬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533A (ko) 2012-05-17 2013-11-27 (주)아이유웰 개인별 운동 이력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헬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18B1 (ko) * 2021-03-29 2021-12-01 김도훈 건강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go et al. Information visualization evaluation using crowdsourcing
US11372709B2 (en) Automated testing error assessment system
US103735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education-based data while using calendar tools
US9262746B2 (en) Prescription of electronic resources based on observational assessments
US8483606B2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user align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electronic resources
US9575616B2 (en) Educator effectiveness
US11238375B2 (en) Data-enabled success and progression system
US20180158347A1 (en) Educational Proficiency Development and Assessment System
Cavada et al. Serious gaming as a means of facilitating truly smart cities: a narrative review
KR20210132336A (ko) 휘트니스 센터의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
Cybulski et al. The Role of the Magnitude of Change in Detecting Fixed Enumeration Units on Dynamic Choropleth Maps
US20230316429A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managing activities linked to multimedia content
KR20190070727A (ko) 스포츠 레슨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102071133B1 (ko)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US105406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Bayesian network-based intervention delivery
KR20210015832A (ko) 학생 및 교사 대시보드가 있는 학생 중심 학습 시스템
US201900190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bayesian network-based standard or skill mastery determination using a collection of interim assessments
KR102358495B1 (ko) 큐레이션을 통한 동영상 및 카드 뉴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1796846B (zh) 信息更新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090791B (zh) 一种基于双屏的内容查询方法及电子设备
Sanjeev et al. Intelligent Proctoring System
Krieter Looking inside-mobile screen recordings as a privacy friendly long-term data source to analyze user behavior
KR20160011769A (ko) 강의 평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68875B1 (ko) 멘토 추천 서비스 및 강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Jones et al. Engage: Early insights in measuring multi-device engag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