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402A -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402A
KR20190070402A KR1020170170847A KR20170170847A KR20190070402A KR 20190070402 A KR20190070402 A KR 20190070402A KR 1020170170847 A KR1020170170847 A KR 1020170170847A KR 20170170847 A KR20170170847 A KR 20170170847A KR 20190070402 A KR20190070402 A KR 20190070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tilever
weight
wood
thicknes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402A/ko
Publication of KR2019007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상부재,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하부재, 일단 측면의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일단 측면재, 타단 측면에 발생되는 상부 인장응력 및 하부 압축응력에 저항하면서 교량, 옹벽 등의 기존 구조체에 고정되는 타단 측면재로 구성된 캔틸레버, b) 상기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c)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연결시키는 연결대, d)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빔, 멍에, 장선, 거더, e) 이중 하나 또는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판, f)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난간이 포함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Expanded deck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등에 캔틸레버식으로 돌출되게 확장되는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토가 협소하고 산악 및 하천지형이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빈공간을 통행로,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큰 관건이 된다. 최근에는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사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펼쳐지고 있으며, 일예로, 일반 도로 보도부는 물론, 공원, 하천 변 등에 자전거 전용 도로의 신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4대강사업, 트루드 코리아 등의 국책사업에 의하여 하천주변, 산악지형 등의 빈공간에 자전거도로가 활발하게 조성되고 있다.
수변공간, 등산로, 공원, 하천, 산악지형, 하천변, 옹벽, 교량, 광장, 공원, 부교, 산책로, 연결통로, 쉼터, 수변로, 해안데크, 계단, 휀스, 등산로, 방파제, 전망대, 놀이시설 등의 공간에 통행로,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이의 하부, 기초, 일측, 양측 등이 산악지형, 하천변, 옹벽, 교량, 빈공간, 비탈면 등이 있는 경우 통행로,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의 안전보행 및 주행을 위해서는 멀리 우회하여 공사하거나 또는 확장 공사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수많은 토사를 이용하여 빈공간 또는 비탈면의 지반을 확장하고 상기 토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게 되며, 실제 지반의 내구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보다 더 넓은 지역을 확장해야한다.
또는, 통행로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존 지반이나 구조물을 굴착, 속파기, 훼손 등을 한 후 고정지지부재 등을 삽입하고 다시 통행로를 포함하는 도로를 재포장하는 방법은 이를 시공하기 위한 비용이 매우 높고, 기존의 지반이나 구조물을 훼손하고 재포장하는 등 작업이 용이치 않으며 공기가 늘어나게 되어 시공을 위한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의 대안으로 빈공간에 통행로 등의 공간을 확보하는 확장형 데크(expanded deck)가 대안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확장형 데크는 산업발달, 주5일근무제 실시, ?의질 향상, 생활문화 향상, 여가선용, 여행 증가, 놀이문화 확충 등에 의하여 앞으로 이의 적용성이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확장형 데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는 기존의 캔틸레버, 브라켓 등은 상부재, 하부재, 측면재 등에 있어서 일률적인 단면이나 두께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최대 하중에 저항하는 단면이나 두께를 가지고 있어 부재의 사용량이 많거나 무거운 점이 있다. 그러나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응력, 압축응력, 이의 크기, 정도 등을 고려하여 상부재, 하부재, 측면재 등에 있어서 차별화된 단면이나 두께를 적용한다면 부재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적정하게 하거나 또는 무게를 가볍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존의 확장형 데크는 바닥판, 난간 등에 철재, 목재 등을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합성목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합성목재 등을 이용한 확장형 데크의 바닥판, 난간 등은 원료, 제조, 시공이 분리되어 각각 기술개발되어 원료, 제조, 시공 간의 상호 유기적인 조합이 원활하지 않은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료, 제조, 시공이 조합된, 일체화된 합성목재 등을 이용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고안하게 되었다.
확장형 데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는 기존의 캔틸레버, 브라켓 등은 상부재, 하부재, 측면재 등에 있어서 일률적인 단면이나 두께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최대 하중에 저항하는 단면이나 두께를 가지고 있어 부재의 사용량이 많거나 무거운 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확장형 데크는 철재, 목재 등을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합성목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기존의 합성목재 등을 이용한 확장형 데크는 원료, 제조, 시공이 분리되어 각각 기술개발되어 원료, 제조, 시공 간의 상호 유기적인 조합이 원활하지 않은 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응력, 압축응력, 이의 크기, 정도 등을 고려하여 상부재, 하부재, 측면재 등에 있어서 차별화된 단면이나 두께를 적용하는 캔틸레버에 더하여 이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원료, 제조, 시공이 일체화되는 합성목재 바닥판, 난간 등의 고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상부재,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하부재, 일단 측면의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일단 측면재, 타단 측면에 발생되는 상부 인장응력 및 하부 압축응력에 저항하면서 교량, 옹벽 등의 기존 구조체에 고정되는 타단 측면재로 구성된 캔틸레버, b) 상기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c)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연결시키는 연결대, d)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빔, 멍에, 장선, 거더, e) 이중 하나 또는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합성목재 등의 바닥판, f)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합성목재 등의 난간이 포함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상부재,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하부재, 일단 측면의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일단 측면재, 타단 측면에 발생되는 상부 인장응력 및 하부 압축응력에 저항하면서 교량, 옹벽 등의 기존 구조체에 고정되는 타단 측면재로 구성된 캔틸레버, b) 상기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c)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연결시키는 연결대, d)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빔, 멍에, 장선, 거더, e) 이중 하나 또는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합성목재 등의 바닥판, f)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합성목재 등의 난간이 포함되는 캔틸레버식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안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데크시스템 시공시 사용되는 부자재인 고정조인트, 발포폼, 부가장선, 고정형 연결캡, 직각 고정형 연결캡, 경사 고정형 연결캡, 유동형 연결캡, 좌우 유동형 연결캡, 상하 유동형 연결캡,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등은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지형에서 최적의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판에 장착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데크시스템의 측면의 홀을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판에 장착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교량에 설치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교량에 설치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옹벽에 설치된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공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직선부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곡선부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경사부 확장형 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선을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조인트를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발포폼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장선을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직각 고정형 연결캡을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고정형 연결캡을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좌우 유동형 연결캡을 나타낸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 유동형 연결캡을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을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약은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상부재,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하부재, 일단 측면의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일단 측면재, 타단 측면에 발생되는 상부 인장응력 및 하부 압축응력에 저항하면서 교량, 옹벽 등의 기존 구조체에 고정되는 타단 측면재로 구성된 캔틸레버, b) 상기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c)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연결시키는 연결대, d)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빔, 멍에, 장선, 거더, e) 이중 하나 또는 켄틸레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판, f)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난간이 포함되는 캔틸레버식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를 설명하면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1)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30)에 의하여 a1) 상부(4)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12) 또는 하기 a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4), a2) 하부(5)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22) 또는 상기 a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222) 또는 a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5),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4)와 하부 또는 하부재(5)의 사이(10)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10),
a4) 일단(6)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6),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7)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8)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512) 또는 하기 a5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5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7), a52) 타단 하부(9)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522) 또는 상기 a4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5222) 또는 a5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5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7),
a6) 상기 타단 상부(8)와 하부(9)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7), a7) 상기 일단(6)과 타단(7) 사이(11)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11)로 구성된 캔틸레버(3),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31)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중 하나(3)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4)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21)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3)와 바닥판(21)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20) 이상과; c) 상기 바닥판(21)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22)과; d) 상기 켄틸레버(3) 또는 타단(7)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1)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15); e) 상기 캔틸레버(3) 또는 이의 관통홀(17)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16);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 또는 상기 것에 있어서 또는 더하여,
A)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15)의 두께, 개수, 단면적, 강도, 인장강도 중 하나가 상기 타단 하부(9)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8)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15)의 두께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8)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9)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들고, 이의 이유는 상기 타단 상부(8)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9)로 갈수록 인장응력이 작거나 줄어들기 때문이고,
B) 상기 합성목재(46)는 a) 목분, 수지, 안료의 혼합물, b) 목분, 수지, 안료, 황토의 혼합물, c)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의 혼합물, d) 함수율이 10~20%인 침엽수 분말,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갈색분말 더스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 e) 상기 더스트가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의 공정 중 교반 임펠러를 용선 중에 담가서 이를 회전시켜 탈황제(생석회, 돌로마이트)를 혼합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시키는 탈황방법에 의한 탈황공정 시 발생되는 분말인 것,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200~300mesh의 갈색 분말인 것, f) 목분 55~58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27~30 중량%, 황토 4~10 중량%, 활제 1~2 중량%, 결합제 2~3 중량%, 유브이 안정제 0.2~0.3 중량%, 안료 1.4~2.7 중량%의 혼합물, g) 상기 안료가 산화철 1~2 중량%, 산화황 0.3~0.5 중량%, 카본 블랙 0.1~0.2 중량%인 것, h)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23~25 중량%, 폴리에틸렌 4~5 중량%의 혼합물, i) 상기 혼합된 것이 입자화 또는 펠렛화된 것, j) 상기 목분이 폐목분, 침엽수목분, 활엽수목분 중 하나인 것, k) 상기 황토가 백색 황토, 백토, 철분함유 황토, 붉은 황토 중 하나인 것, l) 또는 소각장, 연소장, 발전소, 화력발전소, 석탄발전소 등의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상기 애쉬 내지 유화제 중 둘 이상이 100중량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것 중 하나(40)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함유된 것이고, 상기 합성목재는 바닥재(21), 난간재(22) 등에 사용되고,
C) 상기 바닥판(21)은 상기 켄틸레버(3), 빔, 멍에, 장선, 거더(20) 중 하나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판재가 부설된 후 이웃하는 판재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조인트, 발포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마감되어 직선부 또는 경사부 바닥판이 조성되고, b)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판 하부에 L형앵글의 부가재가 거치되어 추가의 기초없이 곡선부 바닥판이 형성되고,
D) 상기 난간(22)은 a) 상기 바닥판(21), 켄틸레버(3), 빔, 멍에, 장선, 거더(20) 중 하나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기둥재가 세워지고, b) 상기 기둥재에 횡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조건에서 고정형 연결캡 또는 직각 고정형 연결캡,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 유동형 연결캡, 경사부 조건에서 경사 고정형 연결캡 또는 상하 유동형 연결캡에 의하여 거치되고, c) 상기 횡방향 난간재의 상하 사이에 종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또는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경사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어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중 하나 이상 난간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2)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캔틸레버(3),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중 하나(3)의 상부(4), 이의 일단, 하부(5), 측면 또는 상기 타측(7), 이의 일단 등에는 연장재, 상부 연장재(12), 측면 연장재(13) 등의 장착, 부착, 연결, 연계, 형성, 조성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 캔틸레버(3),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중 하나(3)는 상하의 상부재(4), 상하의 하부재(5), 측면의 일측재(6), 측면의 타측재(7), 이외 보강재(10, 11), 상부 연장재(12), 측면 연장재(13), 형성 홀(17), 옹벽 등의 기존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연결수단(15), 옹벽 등의 기존 구조체에 지지, 거치 등이 되는 지지대, 경사대, 거치대(19) 등으로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연장재, 상부 연장재(12), 측면 연장재(13) 등에는 구멍, 볼트 구멍 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재, 상부 연장재(12), 측면 연장재(13) 등과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맞닿는 상기 연장재, 상부 연장재(12), 측면 연장재(13) 등은 이에 형성된 볼트 구멍 등을 통하여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15) 등이 설치되어 상기 연장재, 상부 연장재(12), 측면 연장재(13) 등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등의 설치를 위해서는 이가 설치되는 곳, 즉 상기 옹벽 내지 상면 등에 천공, 보링, 굴공, 드릴링 등이 선행되고, 이의 천공, 보링공, 보링홀, 드릴공 등에 상기 볼트 내지 연결재 등이 삽입, 매입 등이 되고, 필요시 상기 볼트 내지 연결재 등에 켄틸레버의 작용하중 전달, 이를 위한 상기 볼트 내지 연결재 등으로부터 켄틸레버의 이탈, 풀림 방지 등을 위하여 상기 볼트 내지 연결재 등이 회전, 돌림, 압입 등이 되면서 천공, 보링공, 보링홀, 드릴공, 이의 공벽, 내주 등에 압착, 밀착 등이 되도록 매입, 삽입 등이 되어 빠지지 않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볼트 내지 연결재 등이 매입, 삽입 등이 된 천공, 보링공, 보링홀, 드릴공 등에는 약액, 약품, 레진, 수지, 시멘트, 몰탈, 바인더, 고결제 등이 인젝션, 그라우팅 등이 되어 채움되어 긴결, 고정되고, 상기 볼트 내지 연결재의 노출부, 선단, 노출선단, 두부, 두부머리 등에는 판, 너트, 빗장, 걸쇠, 걸림쇠, 고정판 등이 장착, 조임, 체결 등이 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31)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에서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31)은 a) 베이스판, T형 베이스판, b) 일정의 두께, 면적 등을 거진 판, 평판, T형판, 사각판, 베이스판, T형 베이스판, 플랜지(32)와 웨브(33)를 가진 T형판, T형에서 플랜지 ㅡ부(32)와 웨브의 l부(33)를 가진 T형판, 하중에 의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는 플랜지 ㅡ부(32)와 압축력이 작용하는 웨브의 l부(33)를 가진 T형판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에는 캔틸레버,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등이 결합, 연결, 용접 등이 된다. 상기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을 사용하느 경우 캔틸레버, 브라켓은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옹벽, 시설 등에 고정이 된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등에 결합, 연결, 용접 등이 된다. 그리고 이의 캔틸레버, 브라켓의 상부에 인장보강재, 장선, 바닥판, 난간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T형의 ㅡ부(32)에는 상기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장선, 바닥판, 난간, 이중 하나의 하중, 사하중, 동하중, 풍하중, 지진하중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인장력, T형의 l부(33)에는 압축력 등이 작용한다. 상기 베이스판, 이의 홀, 관통 등에 설치, 매입 등이 되는 볼트, 고정수단 등은 b1) 볼트, 앙카볼트, 세트볼트, 웨지볼트, 쐐기볼트, b2) 상기 T형의 ㅡ부를 고정시키는 2열, 2개 n열, n개 중 하나 볼트, b3) 상기 T형의 l부를 고정시키는 1열, 1개, n-1열, n-1개, 상기 ㅡ부 보다 작은 개수 중 하나 볼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합성목재(46)는 압출(41), 포밍(42), 냉각(43), 절단(45) 등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a) 상기 압출은 압출기, 원료 또는 펠렛원료 등(40)을 가열 압출하는 압출기(41), 상기 가열이 180∼200℃인 압출기, 스크류 압출방식의 압출기, 상기 원료(40)의 가열물 또는 압출물을 하기 포밍기에 압력 또는 0.001∼1kg/cm2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압출기 등에 의하고, b) 상기 포밍은 포밍기(42), 상기 압출물이 통과되면서 합성목재 또는 바닥판, 기둥, 난간 중 하나 합성목재의 형상을 형성하는 포밍기, 포밍몰드, 금형, 다이 등에 의하고, c) 상기 쿨링은 쿨링기(43), 상기 포밍물이 통과되면서 냉각되는 쿨링기, 냉각오일 및 냉각수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포밍물을 냉각시키는 쿨링기, 상기 냉각오일 또는 냉각수의 온도가 0∼15℃인 쿨링기, 1차 냉각 및 2차 냉각이 되는 쿨링기, 상기 1차 냉각이 냉각오일과 냉각수가 순차적으로 분리 공급 또는 순환되는 쿨링몰드에 의한 것, 상기 포밍물이 상기 쿨링몰드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 상기 쿨링몰드가 상기 포밍물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것, 상기 냉각오일 통과후 상기 포밍물의 온도가 110∼160℃가 되도록 하는 쿨링몰드, 상기 냉각수 통과후 상기 포밍물의 온도가 50∼70℃가 되도록 하는 쿨링몰드, 상기 2차 냉각이 냉각수가 저류 또는 순환되는 쿨링수조에 의한 것, 상기 포밍물이 상기 쿨링수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 상기 쿨링수조 내부에 상기 포밍물이 통과 또는 가이드되도록 상기 포밍물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디스크가 내장된 것 등에 의하고, d) 상기 인출은 인출기(44), 상기 포밍물, 쿨링물 중 하나를 인출, 당김, 잡아당김 중 하나를 하는 인출기 등에 의하고, e) 상기 캇팅은 캇팅기(45), 자동캇팅기, 상기 인출물을 절단하는 캇팅기, 절단기, 칼, 날, 톱, 카타, 전기톱, 직쏘, 회전톱, 직선운동톱, 자동캇팅기 등에 의하고, 이에 의하여 합성목재 등(46)이 제조 완료된다.
상기 합성목재는 a) a1) SiO2 40∼60중량부, Al2O3 28∼35중량부, CaO 7∼15중량부, Fe2O3 4.5∼7중량부, MgO 0.5∼3중량부, 기타 화학성분 중 하나 이상 함유, a2) 또는 SiO2, Al2O3, Fe2O3, MgO, CaO 중 하나 이상 함유, a3) 또는 강열감량 0.1∼5%, 비중 1.5∼2.1, 분말도 2,000∼3,000cm2/g 중 하나 이상인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함유 합성목재, b) 상기 a1) 내지 a3) 중 하나 이상인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중 하나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중 하나 이상 함유 합성목재, c) 유해물질인 비소, 카드뮴, 크롬, 납 각각 0.1ppm 이하, 수은 0.005ppm 이하, 또는 비중 0.8∼1.5, 최대굴곡하중 3400 N 이상, 충격강도 3.0 Kj/m2 이상, 뒤틀림성 2% 이하, 나사못유지력 780N 이상, 미끄럼저항성 0.4(CSR) 이상, 수분흡수율 8% 이하, 동결융해 최대굴곡하중변화율 90% 이상, 길이선팽창계수 6.0×10-5/℃ 이하, 내후성 80% 이하, 폼알데하이드방산량 1.5mg/L, 탄화길이 20cm 이하, 나머지불꽃 10초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합성목재 등도 해당, 포함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데크시스템의 공사, 시공시 사용되는 빔, 멍에, 장선, 거더, 고정조인트, 발포폼, 부가장선, 고정형 연결캡, 직각 고정형 연결캡, 경사 고정형 연결캡, 유동형 연결캡, 좌우 유동형 연결캡, 상하 유동형 연결캡,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장선은 내부 중공형 철재, 금속재, 아연도장 중 하나 각관 또는 사각관, 50×50mm 단면의 각관 또는 사각관, 50×50mm 단면 및 두께 2.3mm의 각관 또는 사각관, 바닥판 합성목재 하부에 위치하는 각관 또는 사각관, 하기 고정조인트가 고정되는 각관 또는 사각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빔은 빔, I빔, H빔, beam 등이 해당된다. 멍에는 상기 장선보다 규격, 크기, 단면적 등이 동일 또는 큰 특징을 가진다. 상기 거더는 거더, girder, 빔, 드와프, 플레이트(plate) 등이 해당된다.
고정조인트는 캔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등에 바닥판 합성목재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 클립, T자, T자클립, 높이 17.5mm와 폭 26mm와 길이 47mm인 T자, T자클립, 플라스틱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클립, T자, T자클립, 중앙에 관통구 형성 T자 또는 T자클립,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핀, 못, 피스, 나사, 볼트 중 하나가 캔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등에 박혀 고정되고 상기 T자 중 ㅡ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바닥판 합성목재 측면에 형성된 홈이 끼워져 바닥판 합성목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 클립, T자, T자클립 등이 해당된다.
발포폼은 2개 바닥판, 바닥판 합성목재 등이 맞닿는 길이방향 선단 또는
Figure pat00001
형상 선단에 부착되는 발포폼,
Figure pat00002
형 발포폼, 장길이 145mm와 폭 15mm와 두께 7mm인
Figure pat00003
형 발포폼, EVA 또는 우레탄 재질의 발포폼, 상기
Figure pat00004
형상에 부착되는 발포폼,
Figure pat00005
형 발포폼, 상기 길이방향의 수축 또는 팽창에 대한 완충기능을 하는 발포폼, 상기 맞닿는부의 방수기능을 하는 발포폼 등이 해당된다.
부가장선은 L형앵글, 가로 50mm와 세로 50mm와 두께 2mm인 2개의 판이 L형을 이루는 L형앵글, 상기 캔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등에 비하여 이온화경향이 높은 물질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L형앵글, 상기 캔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등에 비하여 이온화경향이 높은 물질 또는 알루미늄으로 되어 상기 캔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등의 부식을 방지하는 L형앵글, 상기 물질 또는 알루미늄판이 부착된 L형앵글, 상기 캔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등에 부가되어 바닥판, 바닥판 합성목재 등을 지지하는 것, 곡선부에서 바닥판, 바닥판 합성목재 등을 하부에 위치하여 바닥판, 바닥판 합성목재 등을 지지하는 L형앵글 등이 해당된다. L형앵글의 설치예로는 캔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등의 측면에 역 L형, 즉 ㄱ형으로 부착되어 ㄱ의 상부에 바닥판, 바닥판 합성목재 등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고정형 연결캡은 직각 고정형 연결캡, 경사 고정형 연결캡로 구분되는데, 상기 직각 고정형 연결캡은 기둥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에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를 직각으로 고정하는 연결캡, 외주에 핀구멍 또는 3개의 핀구멍이 형성된 내부 중공형 연결캡, 가로 100mm와 세로 49mm와 높이 40mm 또는 가로 102mm와 세로 51mm와 높이 73mm인 일정 두께를 가진 내부 중공형 연결캡, 이의 외주에 핀구멍 또는 3개의 핀구멍이 형성된 내부 중공형 연결캡, 상기 핀구멍을 관통한 핀, 못, 피스, 나사, 볼트 중 하나가 상기 기둥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에 박혀 연결캡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캡의 중공에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이의 보강재 또는 일반목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캡, 지형이 직선부 조건에서 기둥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와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를 고정시키는 연결캡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 고정형 연결캡은 상기 직각 고정형 연결캡에서 2측의 높이가 상호 다른 연결캡, 이의 다름에 의하여 10도, 15도, 20도, 30도, 45도, 50도, 60도, 75도 중 하나의 경사를 이루는 연결캡, 상기 직각으로 고정하는 연결캡이 경사로 고정하는 연결캡인 것, 가로 114mm와 세로 51mm와 장높이 105mm와 단높이 50mm 또는 상기 장높이보다 짧은 것인 일정 두께를 가진 내부 중공형 연결캡 등이 해당된다.
유동형 연결캡은 좌우 유동형 연결캡, 상하 유동형 연결캡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좌우 유동형 연결캡은 좌우로 또는 좌우로 180도 유동되는 내부 중공형 연결캡, 힌지 또는 베아링이 장착되어 좌우로 또는 좌우로 180도 유동되는 내부 중공형 연결캡, 일측에 고리구멍이 형성된 내부 중공형 연결캡의 고리구멍이 관통구 또는 4개 관통구가 형성된 판에 부착된 2개 브릿지의 고리구멍과 볼트너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좌우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연결캡, 가로 100mm와 세로 49mm와 상기 판의 저면과 연결캡 상단까지의 높이 76mm인 내부 중공형 연결캡,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핀, 못, 피스, 나사, 볼트 중 하나가 상기 기둥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에 박혀 연결캡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캡의 중공에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이의 보강재 또는 일반목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캡, 지형이 곡선부 조건에서 기둥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와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를 연결시키는 연결캡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유동형 연결캡은 상기 좌우 유동형 연결캡에서 좌우가 상하인 것, 곡선부가 경사부인 것 등이 해당된다.
커넥션브라켓,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은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직선부 또는 곡선부 조건에서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의 상하 사이에 기둥형 또는 중공형의 종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를 거치 또는 고정하는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경사부 조건에서 상기 거치 또는 고정하는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관통구가 형성된 지지판의 양측에 윙이 세워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관통구 또는 2개 관통구가 형성된 가로 52mm와 세로 23mm 판의 양측에 높이 30mm 윙이 세워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핀, 못, 피스, 나사, 볼트 중 하나가 상기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에 박혀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이 고정되고 이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의 좌우윙이 기둥형 또는 중공형의 종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둥형 또는 중공형의 종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가 횡방향 난간 합성목재 또는 일반목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U형앵글의 실시예로는 U형앵글의 바닥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못을 횡방향 난간에 박아 횡방향 난간에 U형앵글의 바닥이 고정되고, U형앵글의 양측 윙이 중공형의 종방향 난간 기둥재에 매입, 삽입 등이 되어 횡방향 난간과 종방향 난간이 결합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이하 본 발명의 청구항 중에서 일부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청구항 1은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1)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30)에 의하여 a1) 상부(4)는 인장응력, 하부(5)는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a2) 또는 상기 응력에 저항하는 1) 캔틸레버, 이의 하나인 2)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3),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12),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13)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3) 중 하나와; b) 상기 캔틸레버(3)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21)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20)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21)과; d)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측면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15);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16);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4는 a) a1) a11) 상부재(4)와 그 하부에 하부재(5), a12)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재(6), 타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재(7), a13) 상기 타단의 수직재에 형성된 홀(18), a14)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 일단과 타단 사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보강재 또는 브레이싱재(10, 11), a2) 또는 a21)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상부재(4)와 그 하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하부재(5), a22)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의 a221)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자유단의 수직재(6), a222) 타단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단의 수직재(7), a23) 상기 타단의 수직재에 형성된 홀(18), a24)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 일단과 타단 사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보강재 또는 브레이싱재(10, 11),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3)와;
b) 상기 캔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21)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20)과; c) 상기 바닥판,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22)과; d) 상기 타단 또는 캔틸레버 또는 이의 측면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15); e) 상기 캔틸레버(3) 또는 이의 관통홀(17)의 둘 이상을 횡방향으로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16);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A) 상기 수직재(7)에 형성된 홀(18)의 크기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하부(9)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8)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홀(18)의 크기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8)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9)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들고, 이의 이유는 상기 타단 상부(8)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9)로 갈수록 인장응력이 작거나 줄어들기 때문이고, B) 상기 합성목재(46), C) 상기 바닥판(21), D) 상기 난간(22)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식적으로 살펴보면 아래 그림과 같다. 이의 그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설명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1 :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2 : 확장형 데크시스템
3 : 캔틸레버,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4 : 캔틸레버 상부재 5 : 캔틸레버 하부재
6 : 캔틸레버 측면재 7 : 옹벽 등에 고정되는 캔틸레버 측면재
8 : 옹벽 등에 고정되는 캔틸레버 측면재의 상부
9 : 옹벽 등에 고정되는 캔틸레버 측면재의 하부
10, 11 : 보강재 12 : 상부 연장재 13 : 측면 연장재
20 : 장선 21 : 바닥판 22 : 난간
30 : 하중 40 : 원료 41 : 압출기
42 : 포밍기 43 : 쿨링기 44 : 인출기
45 : 컷팅기 46 : 합성목재

Claims (14)

  1.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는 인장응력, 하부는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a2) 또는 상기 응력에 저항하는 1) 캔틸레버, 이의 하나인 2)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캔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측면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2.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a11) 상부는 인장응력, a12) 하부는 압축응력, a13) 일단은 자유단으로 무응력, a14) 타단은 고정단으로 타단 상부는 인장응력, 타단 하부는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a2) 또는 상기 응력에 저항하는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3.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4.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12) 또는 하기 a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22) 또는 상기 a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222) 또는 a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512) 또는 하기 a5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5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522) 또는 상기 a4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5222) 또는 a5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5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5.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또는 더하여,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개수, 단면적, 강도, 인장강도 중 하나가 상기 타단 하부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6.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12) 또는 하기 a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22) 또는 상기 a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222) 또는 a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512) 또는 하기 a5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5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522) 또는 상기 a4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5222) 또는 a5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5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또는 더하여,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개수, 단면적, 강도, 인장강도 중 하나가 상기 타단 하부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7.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또는 더하여,
    A)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개수, 단면적, 강도, 인장강도 중 하나가 상기 타단 하부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들고,
    B) 상기 합성목재는 a) 목분, 수지, 안료의 혼합물, b) 목분, 수지, 안료, 황토의 혼합물, c)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의 혼합물, d) 함수율이 10~20%인 침엽수 분말,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갈색분말 더스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 e) 상기 더스트가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의 공정 중 교반 임펠러를 용선 중에 담가서 이를 회전시켜 탈황제(생석회, 돌로마이트)를 혼합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시키는 탈황방법에 의한 탈황공정 시 발생되는 분말인 것,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200~300mesh의 갈색 분말인 것, f) 목분 55~58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27~30 중량%, 황토 4~10 중량%, 활제 1~2 중량%, 결합제 2~3 중량%, 유브이 안정제 0.2~0.3 중량%, 안료 1.4~2.7 중량%의 혼합물, g) 상기 안료가 산화철 1~2 중량%, 산화황 0.3~0.5 중량%, 카본 블랙 0.1~0.2 중량%인 것, h)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23~25 중량%, 폴리에틸렌 4~5 중량%의 혼합물, i) 상기 혼합된 것이 입자화 또는 펠렛화된 것, j) 상기 목분이 폐목분, 침엽수목분, 활엽수목분 중 하나인 것, k) 상기 황토가 백색 황토, 백토, 철분함유 황토, 붉은 황토 중 하나인 것, l) 또는 소각장, 연소장, 발전소, 화력발전소, 석탄발전소 등의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상기 애쉬 내지 유화제 중 둘 이상이 100중량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것 중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8.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12) 또는 하기 a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22) 또는 상기 a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222) 또는 a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512) 또는 하기 a5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5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522) 또는 상기 a4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5222) 또는 a5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5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또는 더하여,
    A)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개수, 단면적, 강도, 인장강도 중 하나가 상기 타단 하부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들고,
    B) 상기 합성목재는 a) 목분, 수지, 안료의 혼합물, b) 목분, 수지, 안료, 황토의 혼합물, c)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의 혼합물, d) 함수율이 10~20%인 침엽수 분말,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갈색분말 더스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 e) 상기 더스트가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의 공정 중 교반 임펠러를 용선 중에 담가서 이를 회전시켜 탈황제(생석회, 돌로마이트)를 혼합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시키는 탈황방법에 의한 탈황공정 시 발생되는 분말인 것,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200~300mesh의 갈색 분말인 것, f) 목분 55~58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27~30 중량%, 황토 4~10 중량%, 활제 1~2 중량%, 결합제 2~3 중량%, 유브이 안정제 0.2~0.3 중량%, 안료 1.4~2.7 중량%의 혼합물, g) 상기 안료가 산화철 1~2 중량%, 산화황 0.3~0.5 중량%, 카본 블랙 0.1~0.2 중량%인 것, h)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23~25 중량%, 폴리에틸렌 4~5 중량%의 혼합물, i) 상기 혼합된 것이 입자화 또는 펠렛화된 것, j) 상기 목분이 폐목분, 침엽수목분, 활엽수목분 중 하나인 것, k) 상기 황토가 백색 황토, 백토, 철분함유 황토, 붉은 황토 중 하나인 것, l) 또는 소각장, 연소장, 발전소, 화력발전소, 석탄발전소 등의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상기 애쉬 내지 유화제 중 둘 이상이 100중량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것 중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9.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또는 더하여,
    A)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개수, 단면적, 강도, 인장강도 중 하나가 상기 타단 하부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들고,
    B) 상기 합성목재는 a) 목분, 수지, 안료의 혼합물, b) 목분, 수지, 안료, 황토의 혼합물, c)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의 혼합물, d) 함수율이 10~20%인 침엽수 분말,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갈색분말 더스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 e) 상기 더스트가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의 공정 중 교반 임펠러를 용선 중에 담가서 이를 회전시켜 탈황제(생석회, 돌로마이트)를 혼합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시키는 탈황방법에 의한 탈황공정 시 발생되는 분말인 것,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200~300mesh의 갈색 분말인 것, f) 목분 55~58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27~30 중량%, 황토 4~10 중량%, 활제 1~2 중량%, 결합제 2~3 중량%, 유브이 안정제 0.2~0.3 중량%, 안료 1.4~2.7 중량%의 혼합물, g) 상기 안료가 산화철 1~2 중량%, 산화황 0.3~0.5 중량%, 카본 블랙 0.1~0.2 중량%인 것, h)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23~25 중량%, 폴리에틸렌 4~5 중량%의 혼합물, i) 상기 혼합된 것이 입자화 또는 펠렛화된 것, j) 상기 목분이 폐목분, 침엽수목분, 활엽수목분 중 하나인 것, k) 상기 황토가 백색 황토, 백토, 철분함유 황토, 붉은 황토 중 하나인 것, l) 또는 소각장, 연소장, 발전소, 화력발전소, 석탄발전소 등의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상기 애쉬 내지 유화제 중 둘 이상이 100중량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것 중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함유된 것이고,
    C) 상기 바닥판은 상기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판재가 부설된 후 이웃하는 판재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조인트, 발포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마감되어 직선부 또는 경사부 바닥판이 조성되고, b)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판 하부에 L형앵글의 부가재가 거치되어 추가의 기초없이 곡선부 바닥판이 형성되고,
    D) 상기 난간은 a) 상기 바닥판 또는 켄틸레버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기둥재가 세워지고, b) 상기 기둥재에 횡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조건에서 고정형 연결캡 또는 직각 고정형 연결캡,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 유동형 연결캡, 경사부 조건에서 경사 고정형 연결캡 또는 상하 유동형 연결캡에 의하여 거치되고, c) 상기 횡방향 난간재의 상하 사이에 종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또는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경사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어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중 하나 이상 난간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10.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확장 또는 돌출 또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12) 또는 하기 a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22) 또는 상기 a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222) 또는 a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11) 인장강도가 300∼1000MPa, a512) 또는 하기 a52)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121)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큰 또는 a5122) 인장응력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의 1.0∼2.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a521) 압축강도가 1000∼3000MPa, a522) 또는 상기 a41)의 구조 내지 단면적이 가진 a5221) 압축응력보다 큰 또는 1.0∼2.0배 되는 a5222) 또는 a52221) 두께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또는 a52222) 두께 또는 단면적에 0.5∼1.0배 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켄틸레버 또는 타단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또는 더하여,
    A)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개수, 단면적, 강도, 인장강도 중 하나가 상기 타단 하부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의 두께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들고,
    B) 상기 합성목재는 a) 목분, 수지, 안료의 혼합물, b) 목분, 수지, 안료, 황토의 혼합물, c)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의 혼합물, d) 함수율이 10~20%인 침엽수 분말,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갈색분말 더스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 e) 상기 더스트가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의 공정 중 교반 임펠러를 용선 중에 담가서 이를 회전시켜 탈황제(생석회, 돌로마이트)를 혼합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시키는 탈황방법에 의한 탈황공정 시 발생되는 분말인 것,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200~300mesh의 갈색 분말인 것, f) 목분 55~58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27~30 중량%, 황토 4~10 중량%, 활제 1~2 중량%, 결합제 2~3 중량%, 유브이 안정제 0.2~0.3 중량%, 안료 1.4~2.7 중량%의 혼합물, g) 상기 안료가 산화철 1~2 중량%, 산화황 0.3~0.5 중량%, 카본 블랙 0.1~0.2 중량%인 것, h)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23~25 중량%, 폴리에틸렌 4~5 중량%의 혼합물, i) 상기 혼합된 것이 입자화 또는 펠렛화된 것, j) 상기 목분이 폐목분, 침엽수목분, 활엽수목분 중 하나인 것, k) 상기 황토가 백색 황토, 백토, 철분함유 황토, 붉은 황토 중 하나인 것, l) 또는 소각장, 연소장, 발전소, 화력발전소, 석탄발전소 등의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상기 애쉬 내지 유화제 중 둘 이상이 100중량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것 중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함유된 것이고,
    C) 상기 바닥판은 상기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판재가 부설된 후 이웃하는 판재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조인트, 발포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마감되어 직선부 또는 경사부 바닥판이 조성되고, b)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판 하부에 L형앵글의 부가재가 거치되어 추가의 기초없이 곡선부 바닥판이 형성되고,
    D) 상기 난간은 a) 상기 바닥판 또는 켄틸레버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기둥재가 세워지고, b) 상기 기둥재에 횡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조건에서 고정형 연결캡 또는 직각 고정형 연결캡,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 유동형 연결캡, 경사부 조건에서 경사 고정형 연결캡 또는 상하 유동형 연결캡에 의하여 거치되고, c) 상기 횡방향 난간재의 상하 사이에 종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또는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경사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어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중 하나 이상 난간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11.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시 상기 캔틸레버의 측면 또는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조된 캔틸레버의 측면 또는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홀이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거나 또는 개수가 줄어들게 형성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또는 홀이 형성된 캔틸레버를 반입하는 단계;
    d) 상기 홀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를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를 하는 단계;
    e)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부위에 상기 홀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캔틸레버를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거치시키는 단계;
    f)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구멍 속으로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를 삽입하는 단계;
    g) 상기 삽입된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구멍 속을 인젝션 또는 그라우팅하는 단계;
    h) 상기 인젝션 또는 그라우팅 재료의 양생 후 상기 삽입된 상기 고정수단 내지 연결재 중 하나를 인장하거나 또는 인장하여 텐션, 인장력, 포스트텐션 중 하나를 가하는 단계;
    i) 상기 고정수단 내지 연결재 중 하나의 선단 또는 노출부에 너트, 고정판, 두부판, 인장저항판 중 하나를 설치 또는 조임하는 단계;
    j)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k)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의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를 설치하는 또는 둘 이상을 층상으로 설치하는 단계;
    l) 상기 바닥판,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을 설치하는 단계;
    m) 상기 캔틸레버, 바닥판, 난간 중 하나 이상을 반복으로 설치하는 단계,
    n)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대를 연결시키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시공방법
  12.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시 상기 캔틸레버의 측면 또는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조된 캔틸레버의 측면 또는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홀이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거나 또는 개수가 줄어들게 형성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또는 홀이 형성된 캔틸레버를 반입하는 단계;
    d) 상기 홀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를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를 하는 단계;
    e)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부위에 상기 홀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캔틸레버를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거치시키는 단계;
    f)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구멍 속으로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를 삽입하는 단계;
    g) 상기 삽입된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구멍 속을 인젝션 또는 그라우팅하는 단계;
    h) 상기 인젝션 또는 그라우팅 재료의 양생 후 상기 삽입된 상기 고정수단 내지 연결재 중 하나를 인장하거나 또는 인장하여 텐션, 인장력, 포스트텐션 중 하나를 가하는 단계;
    i) 상기 고정수단 내지 연결재 중 하나의 선단 또는 노출부에 너트, 고정판, 두부판, 인장저항판 중 하나를 설치 또는 조임하는 단계;
    j)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판재가 부설된 후 이웃하는 판재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조인트, 발포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마감되어 직선부 또는 경사부 바닥판이 조성되고, b)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판 하부에 L형앵글의 부가재가 거치되어 추가의 기초없이 곡선부 바닥판이 형성되는 단계;
    k)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의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를 설치하는 또는 둘 이상을 층상으로 설치하는 단계;
    l) 상기 바닥판,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a) 상기 바닥판 일측 또는 양측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기둥재가 세워지고, b) 상기 기둥재에 횡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조건에서 고정형 연결캡 또는 직각 고정형 연결캡,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 유동형 연결캡, 경사부 조건에서 경사 고정형 연결캡 또는 상하 유동형 연결캡에 의하여 거치되고, c) 상기 횡방향 난간재의 상하 사이에 종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또는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경사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어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중 하나 이상 난간이 구축되는 단계;
    m) 상기 캔틸레버, 바닥판, 난간 중 하나 이상을 반복으로 설치하는 단계,
    n)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대를 연결시키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시공방법
  13. a)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a1)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상부재, 수평재, 인장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2)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하부재, 수평재, 경사재, 압축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 상기 상부 또는 상부재와 하부 또는 하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직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a4) 일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31) 무응력 또는 0응력에 대응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32) 또는 하기 타단보다 작은 높이 또는 두께 또는 단면적,
    a5) 타단은 고정단으로 상기 하중에 대하여 a51) 타단 상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52) 타단 하부에 발생되는 압축응력 또는 이의 1.0∼3.0배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6) 상기 타단 상부와 하부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하나로 된 구조, 측면재, 수직재, 재료, 부재, 이의 두께, 단면적 중 하나,
    a7)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 중간재, 사이재, 수평재, 압축재, 브레이싱재 중 하나,
    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시 상기 캔틸레버의 측면 또는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조된 캔틸레버의 측면 또는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홀이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거나 또는 개수가 줄어들게 형성되는 단계;
    c) a) 목분, 수지, 안료의 혼합물, b) 목분, 수지, 안료, 황토의 혼합물, c)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의 혼합물, d) 함수율이 10~20%인 침엽수 분말,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갈색분말 더스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 e) 상기 더스트가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의 공정 중 교반 임펠러를 용선 중에 담가서 이를 회전시켜 탈황제(생석회, 돌로마이트)를 혼합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시키는 탈황방법에 의한 탈황공정 시 발생되는 분말인 것,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200~300mesh의 갈색 분말인 것, f) 목분 55~58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27~30 중량%, 황토 4~10 중량%, 활제 1~2 중량%, 결합제 2~3 중량%, 유브이 안정제 0.2~0.3 중량%, 안료 1.4~2.7 중량%의 혼합물, g) 상기 안료가 산화철 1~2 중량%, 산화황 0.3~0.5 중량%, 카본 블랙 0.1~0.2 중량%인 것, h)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23~25 중량%, 폴리에틸렌 4~5 중량%의 혼합물, i) 상기 혼합된 것이 입자화 또는 펠렛화된 것, j) 상기 목분이 폐목분, 침엽수목분, 활엽수목분 중 하나인 것, k) 상기 황토가 백색 황토, 백토, 철분함유 황토, 붉은 황토 중 하나인 것, l) 또는 소각장, 연소장, 발전소, 화력발전소, 석탄발전소 등의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상기 애쉬 내지 유화제 중 둘 이상이 100중량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것 중 하나 원료 또는 펠렛원료가 압출기, 포밍기, 쿨링기, 컷팅기에 의하여 압출, 포밍, 냉각, 절단되어 제조되는 단계,
    d) 상기 압출이 압출기, 원료를 가열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가열이 180∼200℃인 압출기, 스크류 압출방식의 압출기, 원료의 가열물 또는 압출물을 하기 포밍기에 압력 또는 0.001∼1kg/cm2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압출기 중 하나에 의하여 압출되는 단계;
    e) 상기 포밍이 포밍기, 상기 압출물이 통과되면서 합성목재, 또는 판재, 기둥재, 난간재 중 하나 이상 합성목재의 형상을 형성하는 포밍기, 포밍몰드, 금형, 다이 중 하나에 의하여 포밍되는 단계;
    f) 상기 쿨링이 쿨링기, 상기 포밍물이 통과되면서 냉각되는 쿨링기, 냉각오일 및 냉각수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포밍물을 냉각시키는 쿨링기, 상기 냉각오일 또는 냉각수의 온도가 0∼15℃인 쿨링기, 1차 냉각 및 2차 냉각이 되는 쿨링기, 상기 1차 냉각이 냉각오일과 냉각수가 순차적으로 분리 공급 또는 순환되는 쿨링몰드에 의한 것, 상기 포밍물이 상기 쿨링몰드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 상기 쿨링몰드가 상기 포밍물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것, 상기 냉각오일 통과후 상기 포밍물의 온도가 110∼160℃가 되도록 하는 쿨링몰드, 상기 냉각수 통과후 상기 포밍물의 온도가 50∼70℃가 되도록 하는 쿨링몰드, 상기 2차 냉각이 냉각수가 저류 또는 순환되는 쿨링수조에 의한 것, 상기 포밍물이 상기 쿨링수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 상기 쿨링수조 내부에 상기 포밍물이 통과 또는 가이드되도록 상기 포밍물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디스크가 내장된 것 중 하나에 의하여 쿨링되는 단계;
    g) 상기 인출이 인출기, 상기 포밍물, 쿨링물 중 하나를 인출, 당김, 잡아당김 중 하나를 하는 인출기 중 하나에 의하여 인출되는 단계;
    h) 상기 캇팅이 캇팅기, 자동캇팅기, 상기 인출물을 절단하는 캇팅기, 절단기, 칼, 날, 톱, 카타, 전기톱, 직쏘, 회전톱, 직선운동톱, 자동캇팅기 중 하나에 의하여 캇팅되는 단계;
    i) 상기 제조된 제조물, 또는 캔틸레버, 합성목재, 판재, 기둥재, 난간재 중 하나 이상을 반입하는 단계;
    j) 또는 상기 a) 내지 i) 중 하나 이상 단계에 더하여,
    k) 상기 캔틸레버에 형성된 홀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를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를 하는 단계;
    l)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부위에 상기 홀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캔틸레버를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거치시키는 단계;
    m) 상기 캔틸레버의 홀을 통하여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구멍 속으로 상기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이의 하나인 볼트, 핀, 쐐기, 앵카, 스크류, 스크류볼트, 앵카봉, 앵카선, 고정재, 연결재 중 하나를 삽입하는 단계;
    n) 상기 삽입된 상기 천공, 보링, 드릴링 중 하나 구멍 속을 인젝션 또는 그라우팅하는 단계;
    o) 상기 인젝션 또는 그라우팅 재료의 양생 후 상기 삽입된 상기 고정수단 내지 연결재 중 하나를 인장하거나 또는 인장하여 텐션, 인장력, 포스트텐션 중 하나를 가하는 단계;
    p) 상기 고정수단 내지 연결재 중 하나의 선단 또는 노출부에 너트, 고정판, 두부판, 인장저항판 중 하나를 설치 또는 조임하는 단계;
    q)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켄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판재가 부설된 후 이웃하는 판재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조인트, 발포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마감되어 직선부 또는 경사부 바닥판이 조성되고, b)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판 하부에 L형앵글의 부가재가 거치되어 추가의 기초없이 곡선부 바닥판이 형성되는 단계;
    r)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의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를 설치하는 또는 둘 이상을 층상으로 설치하는 단계;
    s) 상기 바닥판,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a) 상기 바닥판 일측 또는 양측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기둥재가 세워지고, b) 상기 기둥재에 횡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조건에서 고정형 연결캡 또는 직각 고정형 연결캡,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 유동형 연결캡, 경사부 조건에서 경사 고정형 연결캡 또는 상하 유동형 연결캡에 의하여 거치되고, c) 상기 횡방향 난간재의 상하 사이에 종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또는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경사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어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중 하나 이상 난간이 구축되는 단계;
    t) 상기 캔틸레버, 바닥판, 난간 중 하나 이상을 반복으로 설치하는 단계,
    u)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대를 연결시키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시공방법
  14. a) a1) a11) 상부재와 그 하부에 하부재,
    a12)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재, 타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재,
    a13) 상기 타단의 수직재에 형성된 홀,
    a14)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 일단과 타단 사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보강재 또는 브레이싱재,
    a2) 또는 a21) 작용 또는 통행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상부재와 그 하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하부재,
    a22)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의 a221)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자유단의 수직재, a222) 타단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옹벽, 교량, 사면, 법면, 지반, 하천, 해안, 시설, 도로, 연석,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콘크리트, 기존시설, 이중 하나 측면, 일면, 양면, 상단, 상면 중 하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단의 수직재,
    a23) 상기 타단의 수직재에 형성된 홀,
    a24) 상기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 일단과 타단 사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보강재 또는 브레이싱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1) 캔틸레버, 2) 이의 하나인 브라켓, 캔틸레버형 브라켓, 브라켓형 캔틸레버, 베이스판 또는 T형 베이스판 구비 캔틸레버 또는 브라켓, 3) 또는 상기 상부 연장재,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와 만나는 측면 연장재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캔틸레버 중 하나와;
    b) 상기 캔틸레버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 바닥판과,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켄틸레버와 바닥판 사이에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바닥판,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과;
    d) 상기 타단 또는 캔틸레버 또는 이의 측면을 상기 옹벽 내지 상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또는 연결수단;
    e) 상기 캔틸레버 또는 이의 관통홀의 둘 이상을 횡방향으로 또는 통행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A) 상기 수직재에 형성된 홀의 크기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하부에 비하여 상기 타단 상부가 큰 또는 많은 또는 1.0∼3.0배 큰 또는 많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홀의 크기 또는 개수가 상기 타단 상부에서 중간을 거쳐 하부로 갈수록 작거나 줄어들고,
    B) 상기 합성목재는 a) 목분, 수지, 안료의 혼합물, b) 목분, 수지, 안료, 황토의 혼합물, c) 폴리올레핀계 수지 25~30 중량%, 목분이나 왕겨 60~70 중량%, 커플링제 0.003~0.02 중량%, 목분용 왁스 0.5~2 중량%, 수분 방지제 0.1~2 중량%, 안료 0.5~10 중량%의 혼합물, d) 함수율이 10~20%인 침엽수 분말,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갈색분말 더스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 e) 상기 더스트가 제철소의 제강 및 정련의 공정 중 교반 임펠러를 용선 중에 담가서 이를 회전시켜 탈황제(생석회, 돌로마이트)를 혼합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시키는 탈황방법에 의한 탈황공정 시 발생되는 분말인 것, CaO 함량이 50~65 중량%인 200~300mesh의 갈색 분말인 것, f) 목분 55~58 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27~30 중량%, 황토 4~10 중량%, 활제 1~2 중량%, 결합제 2~3 중량%, 유브이 안정제 0.2~0.3 중량%, 안료 1.4~2.7 중량%의 혼합물, g) 상기 안료가 산화철 1~2 중량%, 산화황 0.3~0.5 중량%, 카본 블랙 0.1~0.2 중량%인 것, h)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23~25 중량%, 폴리에틸렌 4~5 중량%의 혼합물, i) 상기 혼합된 것이 입자화 또는 펠렛화된 것, j) 상기 목분이 폐목분, 침엽수목분, 활엽수목분 중 하나인 것, k) 상기 황토가 백색 황토, 백토, 철분함유 황토, 붉은 황토 중 하나인 것, l) 또는 소각장, 연소장, 발전소, 화력발전소, 석탄발전소 등의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 70∼80중량부, 수지 중 PP 또는 PE 또는 PP/PE 15∼20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활제 4.9∼8중량부, 커플링제 2.9∼4중량부, 유화제 2∼4중량부, 상기 애쉬 내지 유화제 중 둘 이상이 100중량부를 충족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것 중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함유된 것이고,
    C) 상기 바닥판은 상기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상부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판재가 부설된 후 이웃하는 판재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조인트, 발포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마감되어 직선부 또는 경사부 바닥판이 조성되고, b)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판 하부에 L형앵글의 부가재가 거치되어 추가의 기초없이 곡선부 바닥판이 형성되고,
    D) 상기 난간은 a) 상기 바닥판, 켄틸레버, 빔, 멍에, 장선, 거더 중 하나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목재, 천연목재, 합성목재 중 하나의 기둥재가 세워지고, b) 상기 기둥재에 횡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조건에서 고정형 연결캡 또는 직각 고정형 연결캡,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 유동형 연결캡, 경사부 조건에서 경사 고정형 연결캡 또는 상하 유동형 연결캡에 의하여 거치되고, c) 상기 횡방향 난간재의 상하 사이에 종방향 난간재가 직선부 또는 곡선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직각인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 경사부 조건에서 좌우윙이 경사진 U형앵글의 가변형 커넥션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되어 직선부, 곡선부, 경사부 중 하나 이상 난간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데크시스템

KR1020170170847A 2017-12-13 2017-12-13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70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847A KR20190070402A (ko) 2017-12-13 2017-12-13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847A KR20190070402A (ko) 2017-12-13 2017-12-13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402A true KR20190070402A (ko) 2019-06-21

Family

ID=6705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847A KR20190070402A (ko) 2017-12-13 2017-12-13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4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1243A (zh) * 2020-08-05 2020-12-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伸臂桁架结构
CN112081244A (zh) * 2020-08-05 2020-12-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伸臂桁架结构的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1243A (zh) * 2020-08-05 2020-12-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伸臂桁架结构
CN112081244A (zh) * 2020-08-05 2020-12-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伸臂桁架结构的施工方法
CN112081244B (zh) * 2020-08-05 2021-12-28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伸臂桁架结构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554B1 (ko)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CN106609562A (zh) 带底座的双坡屋顶活动房
KR20190070402A (ko) 확장형 데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Ramesh Appraisal of vernacular building materials and alternative technoligies for roofing and terracing options of embodied energy in buildings
Marsh et al. Reinforced concrete
CN107905084B (zh) Rpc钢桁组合桥面和连续梁桥
CN214573260U (zh) 一种施工临时跨河钢栈桥
KR101860054B1 (ko) 목재, 합성목재 이용 확장형 데크로드시스템
KR102208167B1 (ko) 곡선 장지간 시공과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교량 및 인도교의 브라켓 설치 구조물
CN207958955U (zh) 一种耐腐蚀桥梁
CN221255110U (zh) 一种悬空人行栈道结构
CN217949823U (zh) 一种高速公路上跨既有铁路防护棚架装置
RU18544U1 (ru) Тоннель, возводимый на пучинистых грунтах
KR20190070401A (ko) 캔틸레버식 확장형 데크로드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9490663U (zh) 一种桥梁路面伸缩缝结构
CN219886485U (zh) 一种固化土加筋复合路面基层加固体系
CN219297878U (zh) 一种预制化装配式地面道路系统
CN210657997U (zh) 一种市政桥梁桥面结构
CN220704228U (zh) 一种沥青混凝土道路的路面铺装结构
Bussell Use of iron and steel in buildings
AT412734B (de) Verkehrsfläche
Tveit Erection of Optimal Network Arches
Tveit An introduction to the optimal Network Arches
Ekeberg et al. Flisa Bridge, Norway—a record-breaking timber bridge
CN115976944A (zh) 用于桥梁的预制装配式墩柱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