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145A -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145A
KR20190070145A KR1020170170677A KR20170170677A KR20190070145A KR 20190070145 A KR20190070145 A KR 20190070145A KR 1020170170677 A KR1020170170677 A KR 1020170170677A KR 20170170677 A KR20170170677 A KR 20170170677A KR 20190070145 A KR20190070145 A KR 20190070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viewing history
information related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466B1 (ko
Inventor
유영준
김성원
백인준
이봉석
이희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466B1/ko
Priority to US16/766,008 priority patent/US20200359097A1/en
Priority to PCT/KR2018/015512 priority patent/WO2019117547A1/ko
Publication of KR2019007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고,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청이력을 기초로 복수의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하여 수많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도 계속하여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IPTV, DTV와 같이 사용자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해주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받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장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수많은 컨텐츠들이 일방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해주기 위해 최근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종래에 총 컨텐츠 시청 시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을 파악하여 컨텐츠 추천을 하는 방식에선,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TV와 같은 장치의 경우 특정한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TV는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리니어(linear) 컨텐츠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스트리밍 동영상 컨텐츠와 같은 논 리니어 컨텐츠도 제공하는데, TV 자체적으로는 논 리니어(Non-linear) 컨텐츠의 시청 이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컨텐츠 추천이 가능하였다. 이 경우, 보통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사용자들이 많이 시청한 컨텐츠가 추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추천 방식은 어느 한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로그인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기반으로 컨텐츠가 추천되는 방식이 있었으나 이러한 추천 방식은 로그인 없이는 활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시청이력을 기초로 복수의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고,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및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1 정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2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워드는, 시청된 컨텐츠의 제목, 장르, 제작사 및 출연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추천 UI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되는 추천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시청된 컨텐츠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제공 소스 및 VOD 컨텐츠 제공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추천 UI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 UI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전자 장치의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1 정보,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2 정보 및 전자 장치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추천 UI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되는 추천 컨텐츠의 배치 순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시청된 컨텐츠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5는 시청 이력을 기초로 시간대별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컨텐츠 소스 사용 이력을 바탕으로 한 컨텐츠 추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제공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전자 장치(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V, 셋톱 박스(set-top box),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톱 PC, 노트북,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2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20)와 별도로 마련된 메모리, 또는 프로세서(120) 내 롬(미도시) 또는 램(미도시)일 수 있고,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란 텍스트, 오디오, 스틸 이미지, 동영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의미한다.
메모리(110)에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10)에는 리니어 컨텐츠 소스(또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제공 소스)의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와 논 리니어 컨텐츠 소스(또는 VOD 컨텐츠 제공 소스)의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리니어(linear) 컨텐츠는 방송사업자가 정한 편성에 따라 시청자가 시청하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논 리니어(Non-linear) 컨텐츠는 시간에 구애 없이 사용자가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컨텐츠 소스는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로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가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가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와 연결된 경우,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시청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가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예컨대, 게임 기기, 블루레이,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플레이어, OTT(Over The Top) 기기, 케이블방송,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위성방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 등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경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가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NETFLIX™, YouTube™, iTunes™, Hulu™, VUDU™ 등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이 밖에도, 인터넷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내장된 저장 매체 또는 외장된 저장 매체(예컨대 USB, 웹 서버) 등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가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는 시청된 컨텐츠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를 제공한 컨텐츠 소스명,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장르, 컨텐츠의 제작사, 컨텐츠의 출연자, 컨텐츠 시청 날짜, 요일, 시간(예컨대, 컨텐츠 시청 시작시간 및 컨텐츠 시청 종료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컨대, CPU, ASIC, SoC, MIC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 및 메모리(11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영상 분석 방식을 통해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현재 시청되고 있는 컨텐츠의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시청되는 컨텐츠가 어떤 것인지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기초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업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획득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는 컨텐츠의 제목, 장르, 제작사, 출연자 등과 같이 컨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여 시청 비중이 높은 컨텐츠의 이름, 장르 등을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시간대별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여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시청 비중이 높은 장르인 요리를 오전 10시 내지 11시에 해당하는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고, 오후 9시에서 10시 사이에 시청 비중이 높은 장르인 스포츠를 오후 9시 내지 10시에 해당하는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컨텐츠의 제공주체 별로 키워드를 이용해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키워드를 이용해서 전자 장치(100)가 가입된 IPTV 서비스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NETFLIX™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YouTube™ 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USB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컨텐츠를 검색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UI는 추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추천 UI는 추천 컨텐츠의 요약, 추천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추천 컨텐츠의 방영 채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텐츠 추천 UI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추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하이퍼링크 텍스트, 하이퍼링크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UI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컨텐츠 및 논 리니어 컨텐츠가 한 화면에서 동시에 추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추천 UI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추천 UI가 표시되도록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추천 UI는 전자 장치(100)와 별개의 장치인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TV, 스마트폰, 모니터 등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셋톱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UI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선 복수의 컨텐츠 소스에 대한 컨텐츠가 검색되어 추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복수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한 컨텐츠가 검색되어 추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튜너(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150), 입력부(160) 및 오디오 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전자 장치(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튜너(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3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30)는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130)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통신부(140)에 연결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40)는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예컨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미라캐스트(Miracast),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ex. 블루투스 클래식(Bluetooth Classic),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AirPlay, Z-wave, 4LoWPAN, LTE D2D, GPRS, Weightless, Edge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ANT+,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LTE(Long-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40)는 컴포넌트 입력 잭,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포트, USB 포트, RGB, DVI, HDMI, DP, 썬더볼트 등의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러한 입력 포트를 통해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HDMI입력 포트를 통해 셋톱 박스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상술한 것과 같은 통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기(transceiver)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튜너(13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영상 파일에 포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컨텐츠 추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튜너(13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또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 및/또는 헤드폰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160)는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추천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예컨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터치 패널(디스플레이(15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또는 리모컨의 IR 신호 수신부(전자 장치(100)가 외부의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는 경우)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를 저장한다. 메모리(11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11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자체 플랫폼상에서 동작하는 서드 파티(3rd party)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NETFLIX™, YouTube™ 등의 VOD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 결정에 이용되며, 컨텐츠 소스의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는 어떤 컨텐츠 소스를 이용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 1에서 설명한 프로세서(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22), ROM(123), GPU(124), CPU(121),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이때, RAM(122), ROM(123), GPU(124), CPU(121),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23)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전자 장치(100)에 대한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1)는 ROM(123)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RAM(12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1)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2)에 복사하고, RAM(122)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PU(121)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GPU(124)는 전자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PU(124)는 연산부 및 렌더링부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5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110, 130 내지 170)과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의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리니어(linear)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논 리니어(Non-linear)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리니어 컨텐츠는 방송사업자가 정한 편성에 따라 시청자가 시청하는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튜너(13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방송 컨텐츠,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연결된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등을 제공하는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예컨대, 셋톱 박스)를 통해 시청되는 방송 컨텐츠가 리니어 컨텐츠에 해당한다. 논 리니어 컨텐츠는 VOD 컨텐츠,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와 같이 시간에 구애 없이 사용자가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프로세서(120)는 튜너(13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4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시청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예컨대, 게임 기기, 블루레이,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플레이어, OTT(Over The Top) 기기, 케이블방송,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위성방송 등을 제공하는 셋톱박스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영상 분석 방식 또는 ACR(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등의 기술을 통해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영상으로부터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시청된 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식별하여, 시청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출력 중인 컨텐츠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특징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컨대, 컨텐츠 영상에 포함된 채널 번호, 채널명, 프로그램명, 채널 콜 사인(callsign), 컨텐츠 제목 등의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텍스트 획득을 위해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포함된 채널명을 OCR로 인식할 수 있고, YouTube™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의 컨텐츠 제목을 OCR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출력 중인 컨텐츠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를 특징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컨대 컨텐츠 영상에서 방송사 로고 등을 특징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출력 중인 컨텐츠 영상에서 비디오/오디오 핑거프린트를 특징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fingerprint)란, 컨텐츠의 일부 구간의 영상 또는 사운드에 대한 고유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메타 데이터와는 달리, 신호 자체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핑거프린트를 지문 데이터, DNA 데이터 또는 유전자 데이터라고도 한다. 예컨대 오디오 신호로부터 획득된 오디오 핑거프린트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진폭 등의 특징을 나타낸 정보이고, 영상 신호로부터 획득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는 영상 신호의 모션 벡터, 색상 등의 특징을 나타낸 정보이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한 영상 프레임 내의 특정 좌표 및 일정한 기준에 의한 그 좌표의 방향 값의 크기들을 포함하는 특징점을 획득하고, 방향 값이 큰 순서대로 몇 개의 특징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점들 간의 일정한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한 영상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특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 시간 간격에 포함되는 주파수들의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고 인접한 주파수 구간의 신호들 간의 크기 차를 구하여 주파수 기울기를 계산하고,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1로, 음수인 경우 0으로 양자화함으로써 오디오 핑거프린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특징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특징 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 외부의 매칭 서버로 상기 획득된 특징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매칭 서버는 핑거프린트와 그에 해당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매칭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특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식별 정보는 예컨대, 컨텐츠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에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이름, 장르, 출연자, 제작사 등과 같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이와 같이 기 저장된 정보와 매칭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정보는 예컨대 EPG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매칭 서버가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설명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매칭 서버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100)에 상술한 매칭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가 마련되어 상술한 매칭 서버의 기능을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가 충분히 획득된 것으로 판단되면, 획득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는 컨텐츠의 제목, 장르, 제작사, 출연자 등과 같이 컨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2 이상의 컨텐츠 소스에 대한 컨텐츠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튜너(13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1 정보,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2 정보 및 메모리(11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리니어(linear) 컨텐츠 소스 및 논 리니어(Non-linear) 컨텐츠 소스에 대한 시청 이력을 모두 고려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시간대별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최근 4주 동안 DIRECTV™를 통해 시청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와 최근 4주 동안 YouTube™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최근 4주 동안 DIRECTV™를 통해 시청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시간대 별로 어떤 컨텐츠 장르가 가장 많이 시청되었는지에 대한 이력 비중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최근 4주 동안 YouTube™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시간대 별로 어떤 컨텐츠 장르가 가장 많이 시청 되었는지에 대한 이력 비중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DIRECTV™의 이력 비중 정보와 YouTube™ 애플리케이션의 이력 비중 정보를 기초로 DIRECTV™를 통한 컨텐츠 시청과 YouTube™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컨텐츠 시청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시간대 별로 어떤 컨텐츠 장르가 가장 많이 시청 되었는지에 대한 이력 비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 별로 가장 많이 시청된 장르를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DIRECTV™를 통한 컨텐츠 시청과 YouTube™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컨텐츠 시청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스포츠 장르가 가장 많이 시청되었다면 '스포츠'가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키워드로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선 컨텐츠의 장르가 키워드로서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컨텐츠의 제목, 출연진 등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을 반영할 수 있는 어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라도 키워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리니어 컨텐츠(예컨대 DIRECTV™)에 대한 시청 이력뿐만 아니라, 논 리니어 컨텐츠(예컨대 YouTube™)에 대한 시청 이력까지 고려되어 키워드가 획득될 수 있는바, 다양한 컨텐츠 소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특정 컨텐츠 소스에만 편향되지 않고 사용자의 관심이 보다 정확히 반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키워드를 획득하고, 이 키워드를 기초로 다른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다. 예컨대, 리니어 컨텐츠 소스(예컨대 DIRECTV™)의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논 리니어 컨텐츠 소스(예컨대 YouTube™)의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키워드를 획득하는 좀 더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예시에선 장르가 키워드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장르 이외에 시청된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정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것과 같은 영상 분석을 통해, 또는 외부 업체로부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의 일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프로세서(120)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EPG 메타데이터의 장르 정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EPG 메타데이터의 장르 정보 테이블의 일 예시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프로세서(120)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의 컨텐츠 ID와 EPG 메타데이터의 장르 정보 테이블의 컨텐츠 ID를 매칭하여 장르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르 이력 정보의 일 예시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사용자 i의 5주 이상 누적된 시청 이력을 시각화한 것이다. 가로축은 24시간(GMT), 세로축은 일자를 나타낸다. 각각의 장르는 서로 다른 색의 표기로 구분된다. 데이터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24시간(24*60=1440분)을 10분 단위로 나누어 총 144단위(j)로 구분한다. 사용자 i의 t분 일 때의 시청 여부는 0, 1로 구분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03
로 표기하도록 한다.
그렇다면, d일자의 구간 j에서의 누적 시청 이력
Figure pat00004
은 식(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식(1)
또한, 데이터를 수집한 모든 일자(D)의 구간j 누적 시청 이력
Figure pat00006
은 아래 식(2)와 같다.
Figure pat00007
식(2)
평균 시청 이력을 구하기 위해 아래 식(3)을 이용하여, 구간 j의 D기간 동안의 평균 시청이력
Figure pat00008
을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식(3)
이렇게 구한
Figure pat00010
을 시각화하면 도 4와 같다.
시간대 별 선호 장르를 산출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i의 d 일자 구간j에서의 k장르 누적 시청 이력
Figure pat00011
을 아래 식(4)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식(4)
전체 일자 D에서의 누적 시청 이력
Figure pat00013
역시 아래 식(5)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식(5)
이렇게 구한
Figure pat00015
와 위에서 구했던
Figure pat00016
을 이용하여 전체 일자 D에서의 k 장르의 시청 이력 비중
Figure pat00017
을 다음 식(6)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8
식(6)
이렇게 구한 구간 j의 장르별 시청 이력 비중
Figure pat00019
들 중 최대 값
Figure pat00020
을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21
식(7)
이렇게 최종적으로 구한
Figure pat00022
을 시각화 하면 도 5과 같다.
표기 색상의 구분으로 각 시간대별 사용자의 선호 장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음영의 구분을 통해 해당 장르의 선호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시간대별 사용자의 선호 장르를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예컨대 TV 또는 셋톱 박스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장치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시간대에 따로 전자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행태를 고려해 보았을 때, 상술한 것과 같이 시간대별로 키워드를 획득하는 방식이 좀 더 개인화된 맞춤 컨텐츠를 추천해주는데 유리하다.
프로세서(120)는 현재 시간대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기초로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이벤트 발생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기초로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간이 오전 10시 30분이면, 오전 10시 내지 11시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검색 결과를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전자 장치(100)로 수신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가 특정 음성, 예컨대 "컨텐츠 추천해줘"를 발화하여 해당 음성 명령이 전자 장치(100)로 수신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가 턴온 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추천 메뉴를 선택하는 이벤트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미리 설정해 둔 시간이 도래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텐츠 추천이 요구되는 경우라면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로서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기초로 리니어 컨텐츠와 논 리니어 컨테츠를 모두 검색하여 추천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르면 리니어 컨텐츠와 논 리니어 컨텐츠가 동시에 추천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EPG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시간대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20)는 VOD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시간대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요일 오전 11시(GMT)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도 5의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통해 이 사용자는 해당 시간대에 주로 스포츠 장르를 시청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타데이터 세부 장르 테이블을 참고하면 좀 더 세부적인 장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부 장르가 사이클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예컨대 논 리니어 컨텐츠 소스인 YouTube™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이클링 관련 컨텐츠를 추천해 줄 수 있으며, 리니어 컨텐츠 소스인 현재 방송중인 컨텐츠 중에서 사이클링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이는 실제 해당 시간대에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 컨텐츠 추천이며 현재 방송중인 컨테츠를 함께 추천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도와 활용도 면에서 향상된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컨텐츠를 검색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컨텐츠 추천 UI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50)는 컨텐츠 추천 UI(610)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UI(610)는 AAA 컨텐츠 소스, BBB 컨텐츠 소스 및 CCC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한 화면에 동시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추천 UI(610)는 AAA 컨텐츠 소스가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들(611, 612), BBB 컨텐츠 소스가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621) 및 CCC 컨텐츠 소스가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631, 632)를 포함한다. 예컨대 AAA 컨텐츠 소스는 논 리니어 컨텐츠 소스인 YouTube™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고, BBB 컨텐츠 소스는 논 리니어 컨텐츠 소스인 NETFLIX™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고, CCC 컨텐츠 소스는 리니어 컨텐츠 소스인 DIRECTV™의 셋톱 박스에 대응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UI(610) 내에서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추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외부의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에 마련된 방향키 등을 조작하여 컨텐츠 추천 UI(610) 내의 추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추천 컨텐츠에 대해선 선택을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선택된 추천 컨텐츠(612)를 둘러싸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컨대 리모컨에 마련된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선택된 추천 컨텐츠(612)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선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컨텐츠 추천 UI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선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TV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컨텐츠 추천 UI가 표시되도록 컨텐츠 추천 UI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셋톱박스이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셋톱박스와 연결되는 TV, PC,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가 서버이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서버와 통신 연결된 TV, 스마트폰, PC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1에선 전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30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무선 연결도 가능하다.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할 컨텐츠 소스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컨텐츠 제공 장치의 이용 시간에 대한 정보,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VOD 컨텐츠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시간대별로 어떤 컨텐츠 소스가 많이 이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식(3)을 이용하여 평균 시청 이력을 산출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컨텐츠 소스의 시간대별 사용 이력을 산출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컨텐츠 소스의 시간대별 사용 이력의 예를 시각화하여 도시하였다. 도 8은 AAA 컨텐츠 소스의 시간대별 사용 이력을 나타내고, 도 9는 BBB 컨텐츠 소스의 시간대별 사용 이력을 나타낸다. 예컨대 AAA 컨텐츠 소스는 YouTube™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고 BBB 컨텐츠 소스는 NETFLIX™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이용 이력에 기초해서 컨텐츠 추천이 이루어지는 현재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n 개의 컨텐츠 소스를 컨텐츠를 추천할 소스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 이상의 숫자로, 구현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시간의 전자 장치(100) 사용자에게는 YouTube™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컨텐츠 및 NETFLIX™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컨텐츠를 추천해줄 수 있고, 오후 시간의 전자 장치(100) 사용자에게는 DIRECTV™를 통한 컨텐츠 및 YouTube™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컨텐츠를 추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이용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컨텐츠 추천이 이루어지는 현재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컨텐츠 소스가 AAA 컨텐츠 소스이고,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컨텐츠 소스가 BBB 컨텐츠 소스이고,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컨텐츠 소스가 CCC 컨텐츠 소스인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AA 컨텐츠 소스, BBB 컨텐츠 소스, CCC 컨텐츠 소스의 순서로 추천 컨텐츠가 나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순서는 컨텐츠 소스의 사용 이력이 업데이트되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CCC 컨텐츠 소스, AAA 컨텐츠 소스, BBB 컨텐츠 소스의 순서로 추천 컨텐츠의 배치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될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AAA 컨텐츠 소스가 CCC 컨텐츠 소스보다 많이 사용된 경우 AAA 컨텐츠의 추천 컨텐츠 개수(3개)가 CCC 컨텐츠의 추천 컨텐츠 개수(2개)보다 많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의 표시 영역보다 더 많은 추천 컨텐츠가 추천되는 경우, 추천 컨텐츠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추천 컨텐츠를 오른쪽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면, 화면 오른쪽 바깥에 존재하는 BBB 컨텐츠 소스의 추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선 복수의 컨텐츠 소스에 대한 컨텐츠가 검색되어 추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복수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한 컨텐츠가 검색되어 추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 (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한다(S1010).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는 전자 장치의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 및 전자 장치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는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오전 9시 내지 오전 10시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키워드, 오전 10시 내지 오전 11시에 대응하는 키워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키워드는 시청 이력 이외에도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웹 검색, VOD 검색 등을 위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검색어가 키워드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한다(S1020).
키워드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토대로 한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한 것이므로, 이러한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관심이 있어할 것으로 예상되는 컨텐츠가 검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한다(S1030).
컨텐츠 추천 UI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의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되는 추천 컨텐츠의 배치 순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많이 사용한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많은 양으로 추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간대 별로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되어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총 시청 시간을 기초로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관심을 만족시킬 수 있는 컨텐츠 추천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컨텐츠 소스의 이력을 바탕으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특정 컨텐츠 소스의 시청 이력을 바탕으로 다른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가능한바, 예컨대, TV에서 자체적으로 OTT 애플리케이션(논 리니어 컨텐츠, 예컨대 YouTube™ 컨텐츠)을 통한 컨텐츠 시청 이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방송 컨텐츠(리니어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을 가지고 있으면, 이를 바탕으로 OTT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컨텐츠 소스의 컨텐츠가 한 화면에 동시에 추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통합적으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덕분에 사용자는 최소의 리모컨 조작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 소스의 추천 컨텐츠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소스의 사용 이력을 바탕으로 추천의 순서를 조정하거나 추천 비중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장치가 수행하도록 한다.
예컨대, 특정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특정 장치로 하여금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고,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및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1 정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2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시청된 컨텐츠의 제목, 장르, 제작사 및 출연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것인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 UI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되는 추천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의 개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청된 컨텐츠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제공 소스 및 VOD 컨텐츠 제공 소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추천 UI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 UI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1 정보,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2 정보 및 전자 장치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 UI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되는 추천 컨텐츠의 배치 순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 UI 내에서 제공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의 추천 컨텐츠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시청된 컨텐츠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20.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컨텐츠 소스별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소스 각각이 제공하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70170677A 2017-12-12 2017-12-1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0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677A KR102503466B1 (ko) 2017-12-12 2017-12-1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6/766,008 US20200359097A1 (en) 2017-12-12 2018-12-07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8/015512 WO2019117547A1 (ko) 2017-12-12 2018-12-07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677A KR102503466B1 (ko) 2017-12-12 2017-12-1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145A true KR20190070145A (ko) 2019-06-20
KR102503466B1 KR102503466B1 (ko) 2023-02-27

Family

ID=6682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677A KR102503466B1 (ko) 2017-12-12 2017-12-1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59097A1 (ko)
KR (1) KR102503466B1 (ko)
WO (1) WO20191175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61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200033A1 (ko) * 2022-04-15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5024B2 (en) * 2017-12-29 2020-02-04 Facebook, Inc. Generating a feed of content for presentation by a client device to users identified in video data captured by the client device
KR20220040325A (ko) * 2020-09-23 2022-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058A (ko) * 2011-01-27 2012-08-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관 콘텐츠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84432A (ko) * 2013-11-13 2016-07-13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추천되는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721B1 (ko) * 2006-12-22 2008-07-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0506A (ko) * 2010-04-29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60096003A (ko) * 2015-02-04 2016-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058A (ko) * 2011-01-27 2012-08-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관 콘텐츠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84432A (ko) * 2013-11-13 2016-07-13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추천되는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61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25150B2 (en) 2020-09-14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3200033A1 (ko) * 2022-04-15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466B1 (ko) 2023-02-27
WO2019117547A1 (ko) 2019-06-20
US20200359097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638B2 (en) Metadata system for real-time updates to electronic program guides
US20120079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media guidance
US111002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mbiguating a term based on static and temporal knowledge graphs
US202101444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based on the geographic location at which the media assets are frequently consumed
KR102503466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30257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a multi-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US20150193448A1 (en) Server device,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18710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ly downloading media assets
US117213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 language spoken in a household
KR201501110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3087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ying recorded content for deletion
KR2018001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US201402453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media listings
US2019013264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410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
CN107615769A (zh) 广播接收设备及其信息提供方法
US9135245B1 (en) Filtering content based on acquiring data associated with language identification
US2018020599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ing schedule thereof
KR2019006560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94389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314757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082801B1 (ko) 스마트 서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290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601920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media assets
TW201249182A (en) Television device and information employ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