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003A -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003A
KR20160096003A KR1020150079422A KR20150079422A KR20160096003A KR 20160096003 A KR20160096003 A KR 20160096003A KR 1020150079422 A KR1020150079422 A KR 1020150079422A KR 20150079422 A KR20150079422 A KR 20150079422A KR 20160096003 A KR20160096003 A KR 2016009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related contents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민
김동혁
안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14,58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034585A1/en
Publication of KR2016009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Abstract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컨텐츠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본 발명은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채널 중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채널을 통해 다양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영상 커넨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선택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복수의 채널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EPG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EPG 정보 서비스를 통해 복수의 채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EPG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채널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만을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장르별로 채널을 그룹핑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하고, 해당 채널로의 채널 전환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 같은 종래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복수의 채널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혹은 현재 시청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일 뿐, 그 검색된 채널 중에서 화질이 우수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이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선택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컨텐츠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화질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재생 시작이 빠른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범이 내에 존재하면,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복합 정렬 조건이면, 상기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테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상위 그룹 또는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하며, 상기 편성 유형 정보는, 라이브 방송, 본방송 및 재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료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리스트는,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시청 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채널로 전환하며, 시청 불가능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또다른 방송 수신 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화질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재생 시작이 빠른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범이 내에 존재하면,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합 정렬 조건이면, 상기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테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상위 그룹 또는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하며, 상기 편성 유형 정보는, 라이브 방송, 본방송 및 재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료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리스트는,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시청 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채널로 전환하며, 시청 불가능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이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선택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를 식별하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화질 정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복합 정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연속물 형태의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제1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연속물 형태의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제2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편성 유형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시간 정렬 조건에 따라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 수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로써, 예를 들어, 스마트 TV, 스마트 폰, 테블릿 PC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혹은 스마트 TV와 같은 단말 장치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에서 제공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방송 수신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영상 컨텐츠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국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사업자에의 의해 공급된 컨텐츠, 및 방송 수신 장치(100)에 기저장된 컨텐츠,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 및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touch)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또는 CRT(Cathod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컨텐츠 검색 서비스 관련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검색 서비스 관련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기저장된 복수의 채널별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한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로써, 각 채널별로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영상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및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관련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는 해당 영상 컨텐츠와 동일하며,한 컨텐츠 상이한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컨텐츠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인 경우,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는 해당 영상 컨텐츠와 동일하며, 한 컨텐츠상이한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일 뿐만 아니라, 해당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속하며, 는 컨텐츠이상이한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이거나 혹은 해당 동일 그룹과 연관된 또다른 그룹에 속하며, 상이한 해상도를 가지는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가 시리즈 형태의 컨텐츠인 경우,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는 해당 시리즈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가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인 경우,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시즌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연속된 시즌이 존재하는 경우, 연속된 시즌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면, 제어부(110)는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의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고,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방식에 대해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질에 대한 정렬 조건으로 기설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상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경우, 해상도 타입에 따라, 크게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UHD(Ultra High Definition)로 구분될 수 있다. SD는 720*480의 화소를 가지며, HD는 1920*1080의 화소를 가지며, UD는 7680*4320의 화소를 가지는 것으로써, SD < HD < UHD 순으로 고화질의 디지털 영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화질 정보를 이용하여 화질이 가장 우수한 연관 컨텐츠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연관 컨텐츠는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고, 제2 연관 컨텐츠는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3 연관 컨텐츠는 S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화질이 가장 우수한 제1 연관 컨텐츠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화질 정보는 뎁스 정보 및 화면 비율 정보 중 적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뎁스 정보 또는 화면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화질이 우수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으로 기설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재생 시간이 빠른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연관 컨텐츠는 오전 9시에 제공되며, 제2 및 제3 연관 컨텐츠는 오후 3시, 오후 4시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재생 시간이 가장 빠른 제1 연관 컨텐츠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데 있어,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으면,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준 시간은 10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의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의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하위 순위로 결정하거나, 제1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시점에 재생되거나 혹은 영상 컨텐츠보다 늦은 시점에 재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가 해당 영상 컨텐츠보다 빠른 시점에 재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하위 순위로 결정하거나, 제1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은 회차 정렬 조건, 편성 유형 정렬 조건 및 제공 출처 정렬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정렬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이 회차 정렬 조건이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회차별 컨텐츠이며,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에 기초하여 회차별로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회차별 컨텐츠이며,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낮은 회차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회차별 컨텐츠이며,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컨텐츠 및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회차의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나머지 연관 컨텐츠 중 낮은 회차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다음 순위로 결정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컨텐츠가 시즌제와 같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낮은 회차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한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다른 시즌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영상 컨텐츠가 속하는 시즌과 근접한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고, 나머지 연관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와 상이한 시즌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나머지 연관 컨텐츠 중 영상 컨텐츠가 속하는 시즌과 근접한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그 다음 순위로 결정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이 편성 유형 정렬 조건이면,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기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편성 유형 정보는 라이브 방송, 본방송 및 재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2 및 제3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관 컨텐츠는 재방송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제3 연관 컨텐츠는 본방송으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본방송인 제3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그 결정에 기초하여 제3,제1 및 제2 연관 컨텐츠 순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
한편, 시간 정렬 조건과 관련된 복수의 하위 정렬 조건 중 현재 설정된 하위 정렬 조건이 제공 출처 정렬 조건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료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가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로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공 출처 정렬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채널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질 및 방송 시간에 대한 복합 정렬 조건이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고화질 순으로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네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시리즈 혹은 시즌제와 같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해당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면,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한편, 해당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상위 그룹 또는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기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편성 유형 정보는 라이브 방송, 본방송 및 재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2 및 제3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관 컨텐츠는 재방송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제3 연관 컨텐츠는 본방송으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본방송인 제3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그 결정에 기초하여 제3,제1 및 제2 연관 컨텐츠 순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료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가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로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정렬 조건이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정렬되면, 제어부(110)는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컨텐츠 리스트는 상술한 다양한 정렬 조건에 의해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 같은 썸네일 이미지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화질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유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의 일 측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채널로 채널 전환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기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는 현재 시간보다 늦은 시간에 제공되는 방송 예정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가 방송 예정 컨텐츠임을 안내하는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가 방송 예정 컨텐츠임을 안내하는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팝업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연관 컨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방송 예정 컨텐츠인 연관 컨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전술한 제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 외에 수신부(130), 통신부(140),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튜너부(미도시)를 통해 공중파, 위성 및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30)는 기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채널을 튜너부(미도시)를 통해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는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가청음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또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 제어 명령, 채널 선국 명령, 컨텐츠 검색 명령 등의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란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컨텐츠 서버(미도시),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 등의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50)는 방송 수신 장치(10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 혹은 터치 패널(미도시)과 같은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 제어 명령, 채널 선국 명령, 컨텐츠 검색 명령 등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겨웅, 입력부(150)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를 통해 방송 채널 선국 명령, 요약 컨텐츠 생성 명령, 요약 컨텐츠 재생 명령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명령에 대한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방송 수신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써,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제어부(11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1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60)는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 각각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녹화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로써, 각 채널별로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영상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및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 및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영상 컨텐츠(310)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컨텐츠 검색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기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310)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고,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같은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컨텐츠(310)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측영역에 컨텐츠 리스트(320)를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컨텐츠(320)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3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이하 제1 내지 제3 썸네일이라 함)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320)를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리스트(32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썸네일은 기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된 제1 내지 제3 연관 컨텐츠에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아이템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연관 컨텐츠가 정렬될 경우, 컨텐츠 리스트(320)는 제1 내지 제3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연관 컨텐츠가 정렬될 경우, 컨텐츠 리스트(320)는 제1 및 제2 카테고리별로 제1 내지 제3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리스트(320)는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된 제1 내지 제3 연관 컨텐츠에 대한 제1 내지 제3 썸네일과,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정렬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된 제1 내지 제3 연관 컨텐츠에 대한 제1 내지 제3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리스트(320) 및 컨텐츠 리스트(320) 좌우에 컨텐츠 리스트(32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썸네일을 선택하기 위한 이동 아이콘(330,3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 리스트(32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썸네일 중 하나를 터치 입력으로 선택하거나 이동 아이콘(330.330')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제1 내지 제3 썸네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를 식별하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테츠를 기설정된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썸네일 이미지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 같은 썸네일 이미지는 정렬 조건 정보, 화질 정보, 타이틀 정보, 채널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회차 정보,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는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렬 조건은 화질 조건 및 방송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렬 조건이 화질 조건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 이미지(410)는 화질 조건에 해당하는 제1 카테고리에 따라 정렬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렬 조건 정보(411), 해당 썸네일 이미지(410)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413), 연관 컨텐츠의 화질을 나타내는 화질 정보(415) 및 연관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4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416)는 연관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 채널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회차 정보, 유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같은 썸네일 이미지(410)에 포함된 정렬 조건 정보(411), 식별 정보(413), 화질 정보(415) 및 부가 정보(416)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썸네일 이미지(410)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시청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화질 정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5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상위 채널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한 것을 나타내며, 도 5의 (b)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520)는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화질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정렬 조건이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화질 정렬 조건이면, 제어부(110)는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1 연관 컨텐츠는 S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2 연관 컨텐츠는 8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3 및 제5 연관 컨텐츠는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4 연관 컨텐츠는 4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순서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8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2 연관 컨텐츠, 4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4 연관 컨텐츠,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3 및 제5 연관 컨텐츠, S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1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이 같은 화질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가 정렬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 중 고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로 보다 신속하게 채널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제3 및 제5 연관 컨텐츠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연관 컨텐츠가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경우, 상위 채널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거나, 혹은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6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상위 채널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한 것을 나타내며, 도 6의 (b)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620)는 제2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정렬 조건이 제2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제어부(110)는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1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09시이며, 제2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5시이며, 제3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2시이며, 제4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1시이며, 제5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22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시작시간 순서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제1 연관 컨텐츠(9시), 제4 연관 컨텐츠(11시), 제3 연관 컨텐츠(12시), 제2 연관 컨텐츠(15시) 및 제5 연관 컨텐츠(22시)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가 정렬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정렬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시간대에 시청 가능한 연관 컨텐츠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로 채널 변경하거나, 해당 연관 컨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 혹은 예약 녹화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복합 정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710)는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화질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b)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720)는 제2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1 연관 컨텐츠는 S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2 연관 컨텐츠는 8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3 및 제5 연관 컨텐츠는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4 연관 컨텐츠는 4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8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2 연관 컨텐츠, 4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4 연관 컨텐츠,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3 및 제5 연관 컨텐츠, S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1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이 같은 화질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가 정렬되면, 제어부(110)는 정렬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는 화질 정렬 조건에 따라, 8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2 연관 컨텐츠, 4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4 연관 컨텐츠,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3 및 제5 연관 컨텐츠, S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1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순위에 포함되는 연관 컨텐츠는 8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2 연관 컨텐츠, 4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4 연관 컨텐츠 및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3 연관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 중 기설정된 순위에 포함되는 제2, 제4 및 제3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시작시간 순서로 제2, 제4 및 제3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한다.
예를 들어, 8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2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5시이며, 4K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4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1시이며,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는 제3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2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제2, 제4 및 제3 연관 컨텐츠를 제4, 제3 및 제2 연관 컨텐츠 순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및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정렬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질이 우수하면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시간대에 시청 가능한 연관 컨텐츠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10)는 제2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 후, 그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기설정된 순위에 포함되는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연속물 형태의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8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상위 채널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한 것을 나타내며, 도 8의 (b)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82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는 시리즈 혹은 시즌제와 같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제1 시즌의 2회차 컨텐츠이면,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 중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상위 그룹으로 설정하고, 영상 컨텐츠와 상이한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하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제1 시즌에 속하는 제2, 제4 및 제5 연관 컨텐츠를 상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1 및 제3 연관 컨텐츠를 하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각 그룹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하위 회차 순으로 정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4, 제5, 제2, 제3 및 제1 연관 컨텐츠 순으로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의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그룹에는 제2, 제4 및 제5 연관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중 제4 연관 컨텐츠는 제1 시즌의 1회차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회차의 제5 연관 컨텐츠를 상위 그룹 내에서 최상위 순위로 결정하고, 해당 영상 컨텐츠보다 낮은 회차의 제4 연관 컨텐츠를 상위 그룹 내에서 최하위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연속물 형태의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9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상위 채널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한 것을 나타내며, 도 9의 (b)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92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는 시리즈 혹은 시즌제와 같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로써, 예를 들어, 제1 시즌의 2회차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 중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제1 시즌에 속하는 제2, 제4 및 제5 연관 컨텐츠를 상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1 및 제3 연관 컨텐츠를 하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각 그룹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하위 회차 순으로 정렬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위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중 제4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 보다 낮은 회차의 컨텐츠이면, 제4 연관 컨텐츠를 상위 그룹 내에서 가장 낮은 순위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2, 제5, 제4, 제3 및 제1 연관 컨텐츠 순으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가 정렬된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연관 컨텐츠가 동일 회차인 경우, 제어부(110)는 동일 회차인 적어도 두 개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화질이 우수한 순서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5 연관 컨텐츠가 동일 회차인 경우, 제어부(110)는 동일 회차인 제2 및 제5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를 이용하여 화질이 우수한 제2 연관 컨텐츠를 제5 연관 컨텐츠보다 우선 순위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2 연관 컨텐츠는 HD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며, 제5 연관 컨텐츠는 8K UHD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5 연관 컨텐츠가 제2 연관 컨텐츠의 화질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5 연관 컨텐츠를 제2 연관 컨텐츠보다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가 정렬된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연관 컨텐츠가 동일 회차인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시간이 가장 빠른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편성 유형 조건에 따라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1010)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0의 (a)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1010)는 화질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b)에 도시된 정렬 리스트(1020)는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예와 같이, 제1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09시이며, 제2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5시이며, 제3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2시이며, 제4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11시이며, 제5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은 22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시작시간 순서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제1 연관 컨텐츠(9시), 제4 연관 컨텐츠(11시), 제3 연관 컨텐츠(12시), 제2 연관 컨텐츠(15시) 및 제5 연관 컨텐츠(22시)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가 정렬되면,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 중 제5 연관 컨텐츠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본방송되는 컨텐츠이며, 나머지 연관 컨텐츠는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재방송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본방송에 해당하는 제5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본방송에 해당하는 제5 연관 컨텐츠(22시), 1 연관 컨텐츠(9시), 제4 연관 컨텐츠(11시), 제3 연관 컨텐츠(12시) 및 제2 연관 컨텐츠(15시) 순으로 제1 내지 제5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110). 여기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국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사업자에의 의해 공급된 컨텐츠, 및 방송 수신 장치(100)에 기저장된 컨텐츠,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되고 있는 상태에서, 컨텐츠 검색 서비스 관련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채널별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한다(S1120).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로써, 각 채널별로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영상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및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방송 수신 장치(100)는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S1030S11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기설정된 조건이 화질 정렬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10). 판단 결과, 화질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질에 대한 정렬 조건으로 기설정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한다(S1220).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연관 컨텐츠는 U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고, 제2 연관 컨텐츠는 H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며, 제3 연관 컨텐츠는 SD 화질의 영상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는 화질이 가장 우수한 제1 연관 컨텐츠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화질 정보는 뎁스 정보 및 화면 비율 정보 중 적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뎁스 정보 또는 화면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화질이 우수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조건이 시간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으로 기설정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재생 시간이 빠른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한다(S1230,S124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검색된 제1 연관 컨텐츠는 오전 9시에 제공되며, 제2 및 제3 연관 컨텐츠는 오후 3시, 오후 4시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재생 시간이 가장 빠른 제1 연관 컨텐츠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데 있어,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으면,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준 시간은 10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의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의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하위 순위로 결정하거나, 제1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시점에 재생되거나 혹은 영상 컨텐츠보다 늦은 시점에 재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한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연관 컨텐츠가 해당 영상 컨텐츠보다 빠른 시점에 재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연관 컨텐츠를 최하위 순위로 결정하거나, 제1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조건이 복합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S1250,S1260).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조건이 복합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한다. 이후, 방송 수신 장치(100)는 고화질 순으로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네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단계 S1230에서 시간 정렬 조건과 관련하여 하위 정렬 조건이 설정된 경우, 하위 정렬 조건에 기초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시간 정렬 조건에 따라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조건이 시간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시간 정렬 조건과 관련된 복수의 하위 정렬 조건 중 현재 설정된 하위 정령 조건이 회차 정렬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0). 판단 결과, 회차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20).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회차별 컨텐츠이며,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후술한 단계 S1340을 통해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에 기초하여 회차별로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즉,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회차별 컨텐츠이며,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낮은 회차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회차별 컨텐츠이며, 시즌제 형태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 및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회차의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나머지 연관 컨텐츠 중 낮은 회차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다음 순위로 결정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320에서 영상 컨텐츠가 시즌제와 같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30). 판단 결과,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낮은 회차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S1340).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 및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회차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회차의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나머지 연관 컨텐츠 중 낮은 회차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다음 순위로 결정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330에서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와 다른 시즌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영상 컨텐츠가 속하는 시즌과 근접한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S1350).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고, 나머지 연관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와 상이한 시즌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나머지 연관 컨텐츠 중 영상 컨텐츠가 속하는 시즌과 근접한 시즌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를 그 다음 순위로 결정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질 및 방송 시간에 대한 복합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한다. 이후, 방송 수신 장치(100)는 고화질 순으로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네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시리즈 혹은 시즌제와 같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해당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100)는 해당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으면,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상위 그룹 또는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
한편, 시간 정렬 조건과 관련된 복수의 하위 정렬 조건 중 현재 설정된 하위 정령 조건이 편성 유형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S1360,S1370). 한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기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편성 유형 정보는 라이브 방송, 본방송 및 재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2 및 제3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관 컨텐츠는 재방송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제3 연관 컨텐츠는 본방송으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본방송인 제3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고, 그 결정에 기초하여 제3,제1 및 제2 연관 컨텐츠 순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
한편, 시간 정렬 조건과 관련된 복수의 하위 정렬 조건 중 현재 설정된 하위 정렬 조건이 제공 출처 정렬 조건이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한다(S1380,S1390).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공 출처 정렬 조건에 따라,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료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가 있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로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를 획득하고, 획득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공 출처 정렬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채널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다시 도 11에서, 전술한 이 같은 다양한 정렬 조건이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기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가 정렬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S1140). 여기서, 컨텐츠 리스트는 상술한 다양한 정렬 조건에 의해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 같은 썸네일 이미지는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화질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유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의 일 측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방송 수신 장치(100)는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실행한다(S1150).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채널로 채널 전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기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는 현재 시간보다 늦은 시간에 제공되는 방송 예정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가 방송 예정 컨텐츠임을 안내하는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팝업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연관 컨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입력된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방송 예정 컨텐츠인 연관 컨텐츠에 대한 시청 예약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방송 수신 장치 110 : 제어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수신부
140 : 통신부 150 : 입력부
160 : 저장부

Claims (20)

  1. 방송 수신 장치의 컨텐츠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화질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재생 시작이 빠른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범이 내에 존재하면,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복합 정렬 조건이면, 상기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테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상위 그룹 또는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하며,
    상기 편성 유형 정보는,
    라이브 방송, 본방송 및 재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료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는,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시청 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채널로 전환하며,
    시청 불가능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11.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질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시간에 대한 정렬 조건이면, 상기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재생 시작이 빠른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1 연관 컨텐츠가 재생된 총 재생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범이 내에 존재하면,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를 최우선 순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합 정렬 조건이면, 상기 화질 정보에 기초하여 고화질의 연관 컨텐츠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테츠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연속물 형태의 컨텐츠이면,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일 그룹에 포함된 연관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상위 그룹 또는 하위 그룹에 속하는 연관 컨텐츠 순으로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의 편성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재정렬하며,
    상기 편성 유형 정보는,
    라이브 방송, 본방송 및 재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 중 유료 서비스로 설정된 연관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및 방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연관 컨텐츠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는,
    상기 정렬된 복수의 연관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화질 정보, 방송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회차 정보, 채널 정보, 유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방송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시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시청 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의 채널로 전환하며,
    시청 불가능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 및 예약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150079422A 2015-02-04 2015-06-04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60096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14,589 US20170034585A1 (en) 2015-02-04 2016-02-03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501 2015-02-04
KR20150017501 2015-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003A true KR20160096003A (ko) 2016-08-12

Family

ID=5671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422A KR20160096003A (ko) 2015-02-04 2015-06-04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34585A1 (ko)
KR (1) KR20160096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47A1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3083B2 (en) * 2016-12-20 2018-11-06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programming information for inclusion in informational displays
CN110519621B (zh) * 2019-09-20 2022-06-1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20050240963A1 (en) * 2004-04-21 2005-10-27 Showtime Networks, Inc. Interactive gateway
CA2711054A1 (en) * 2008-01-04 2009-07-1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media assets for display in a screen of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8745668B2 (en) * 2011-05-09 2014-06-03 Lg Electronics Inc.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in digital receiver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47A1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4585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51368B (zh) 由远程控制器控制的电视
JP3645720B2 (ja) Epg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1924891B (zh) 一种数字电视频道切换方法及系统
US8368818B2 (en) Contents read-ahead control device and read-ahead control method
CN1224247C (zh) 用于在数字电视中提供频道图的装置和方法
US20060239640A1 (en) Contents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and method
JP50402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EP25555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ent list associating local media content to broadcast programs.
US20120180090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EP2056595B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list and sub-lis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016933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KR20120022490A (ko)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6003A (ko)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4023118A (ja) 個別番組表生成装置、個別番組表生成方法、個別番組表生成プログラム
EP2262234A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the same
JP4498093B2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914364B2 (en) Content notifying device, notifying method, and program
JP200321929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5158894B2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491960B2 (en) Customizable electronic program guide
KR20050005908A (ko) 그룹화된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장치 및그 방법
JP5432570B2 (ja) 番組情報検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01508988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KR20070058814A (ko) 컨텐츠 네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RU2814216C1 (ru) Способ контентной навигации для ott-сервиса с разнородным контенто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