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279A -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279A
KR20190069279A KR1020180085480A KR20180085480A KR20190069279A KR 20190069279 A KR20190069279 A KR 20190069279A KR 1020180085480 A KR1020180085480 A KR 1020180085480A KR 20180085480 A KR20180085480 A KR 20180085480A KR 20190069279 A KR20190069279 A KR 2019006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ry
fixed plate
open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996B1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ublication of KR2019006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 ;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고정판 ;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을 갖는 일측면이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여 중첩배치되는 회전판 ; 및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피동부와 접하는 구동부를 갖추어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어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서 상기 제1개구부를 덮어 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접하여 중첩된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켜 상기 제1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한다.

Description

환기시스템{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평상시나 미사용시에는 유체흐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체통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반면에 환기시에만 팬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유체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시스템은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강제로 흡입한 후 덕트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냄새를 배출하는 것으로, 건물의 욕실, 주방이나 화장실 등의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환기시스템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용 댐퍼가 설치되는데, 역류 방지용 댐퍼는 환기시스템이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환풍구 내부를 밀폐시키고 있다가 환풍구가 배기 동작을 실시하면 이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역류 방지용 댐퍼가 적용되는 환기시스템은 단순히 차단판이 힌지 결합되는 구성으로 평상시 차단판이 중력에 의해 환풍구를 폐쇄하고 있다가 환풍기가 구동되면 배기되는 풍압에 의해 차단판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환풍구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차단판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약간 들리게 되고 이로써 밀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차단판이 환풍구를 개폐할 때 타격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단판에 의한 환풍구의 개폐작동여부를 외부에 판단하기 곤란하였다.
(특허문헌 1) KR10-1201894 B1
그리고 특허문헌 1의 환기시스템은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을 전환시키거나 완전히 차단하도록 대략 일자형의 날개편을 동시에 회동시켜야 되고, 본체의 외부에 그릴을 갖는 환기시스템에 적용되어야 하는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변그릴은 팬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송풍력에 의존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팬구동모터 이외의 추가적인 모터사용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지만 가변그릴을 작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송풍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팬구동모터의 출력을 크게 설정해야만 하기 때문에 소음발생이 크고, 미사용시 송풍통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에 따라, 실내의 화장실에서 미사용되는 평상시에는 유로를 차단하여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고, 전원공급에 의한 사용시에만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시스템에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평상시나 미사용시에는 유체흐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체통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반면에 환기시에만 팬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유체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나 미사용시 차단부재의 밀착성을 확보하여 밀폐성을 높일 수 있고, 차단부재의 개폐작동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개폐작동여부를 외부에 확인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 ;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고정판 ;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을 갖는 일측면이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여 중첩배치되는 회전판 ; 및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피동부와 접하는 구동부를 갖추어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어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서 상기 제1개구부를 덮어 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접하여 중첩된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켜 상기 제1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회전판을 고정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가변이동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회전공에 인접하는 고정판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안내블럭과, 상기 회전축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내블럭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부와 접하여 회전축과 더불어 회전되는 접촉바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블럭의 외부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바가 접하여 안내되는 안내면을 포함하거나 상기 안내블럭의 몸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관통형성되어 상기 접촉바가 대응결합되어 안내되는 안내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 ;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고정판 ; 상기 고정판과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공을 관통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여 중첩배치되는 회전판 ;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피동부와 접하는 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어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고정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과 마주하도록 중첩배치되는 외부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판의 제1개구부를 덮어 유체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외부 고정판사이에 중첩배치된 회전판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과 외부고정판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켜 상기 제1개구부와 제2구부를 통한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판은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체와,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차단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져 틈새통로를 형성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공에 대응결합되는 회전축과 피동부를 구비하는 회전판체와, 상기 고정판과 대응하는 회전판체의 일측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차단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져 틈새통로를 형성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고정판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관통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고정판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은 상기 고정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공을 관통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를 관통형성한 회전판체와, 상기 외부고정판과 대응하는 회전판체에 연속적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 고정판에 전체적으로 접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지는 제3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고정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외부고정판체와, 상기 회전판과 대응하는 외부 고정판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에 전체적으로 접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지는 제4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피동기어로 이루어지는 피동부와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동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피마찰재로 이루어지는 피동부와 표면접촉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찰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 ;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유체흐름을 자유롭게 통과시키도록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추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형성하는 관통영역을 따라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갖는 고정판 ;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을 갖는 일측면에 상기 제1돌출부와 일대일 대응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갖추어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여 중첩배치되는 회전판 ; 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을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엇갈려 교차되면서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사이에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틈새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판상의 고정판과 회전판이 서로 중첩배치되어 대기하는 평상시나 미사용시에는 고정판에 구비된 제1돌출부와 회전판에 구비된 제2돌출부가 서로 일대일로 마주하여 면접하면서 밀착됨으로써 개구부룰 통한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유체통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실과 같은 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환기시스템을 통하여 인접하는 다른 공간으로 배출되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2)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이나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서 위치고정된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판이 상대회전되는 사용시에는 고정판의 제1돌출부와 회전판의 제2돌출부가 서로 엇갈려 교차됨으로써 서로 교차되는 제1,2돌출부에 의해서 개구부와 연결되는 틈새통로를 고정판과 회전판사이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를 통한 흡입력 및 송풍력에 기인하는 유체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환기능력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3) 고정판에 대한 회전판의 간편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송풍력과 흡입력에 기인하는 유체흐름을 차단하거나 허락하여 환기시스템의 온/오프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고정판과 회전판 및 구동모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회전판이 회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회전판이 회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회전판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회전판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 와 도 9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 적용되는 가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와 도 10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 적용되는 가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 와 도 13b 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회전판을 회전시킨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기시스템(100)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유체흐름을 허락하지 않도록 유로인 통로를 차단하는 반면에 필요시에는 유체흐름을 허락하기 위해서 유체통로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케이싱부(110), 고정판(120), 회전판(130) 및 구동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1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유체흐름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싱부(110)는 도면상 일측인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이 밀폐된 대략 육면체상의 케이싱본체(11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본체(111)는 주택,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건물 내부의 환기 또는 냉난방을 위하여 천장에 설치되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퓨저는 전원인가시 흡입력 또는 송풍력이 전달되는 덕트와 연결됨으로써 실외공기를 실내로 강제로 공급하거나 실내공기를 실외인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본체(111)는 디퓨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되는 팬날개에 의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거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본체(111)에는 흡입력이나 송풍력에 의해서 실외의 공기를 강제로 실내로 유입되는 통로역활을 수행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로역활을 수행하는 가이드베인(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114)의 일단은 상기 케이싱본체(111)의 벽면에 노출되어 개구되는 흡입구 또는 송풍구와 같은 개방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베인의 타단에는 상기 디퓨저 또는 팬모터와 연통연결되는 부위에 일정크기의 유출입 통로(11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부(110)에 팬모터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팬모터는 케이싱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원기둥상의 챔버(116)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챔버(116)와 가이드베인(114)사이는 지지리브로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퓨저 또는 팬모터와 같은 엑츄에이터에 의해서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케이싱본체의 벽면에 개방된 통로를 통하여 강제유입되는 실외공기는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베인(1140 및 통로(115)를 통하여 케이싱부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실내로 강제 공급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케이싱본체(111)의 내부에서 송풍력이 발생되면, 상기 케이싱본체와 연결된 가이드베인을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가이드베인과 연결된 케이싱본체의 벽면에 개구된 통로를 통하여 케이싱부의 외부와 연결된 실외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120)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본체(111)의 일측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유체흐름을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판(120)은 상기 케이싱본체(111)의 개구단과 일측면인 도면상 하부면이 접하면서 외측테두리가 고정설치되고 후술하는 회전공(124)을 중앙영역에 관통형성한 고정판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30)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고정판체(121)에는 상기 회전판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판상의 고정판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122)는 상기 제1개구부(123)를 복수개 형성하는 고정판체(121)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개구부(123)를 형성하는 관통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부(122)는 상기 회전판체와 대응하는 고정판체(121)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일체형 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일정두께를 갖는 별도의 프레임구조물로 미리 제작되어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도록 조립되는 독립형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판체(1212)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122)는 정지대기하는 회전판체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고정판체와 회전판체사이의 간격을 차단하여 밀봉하거나 회전변위된 회전판체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회전판체의 회전시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제1개구부와 연통되어 유체흐름을 허락하도록 고정판체와 회전판체사이에 틈새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개구부(123)는 상기 고정판의 고정판체(121)에 대략 사각형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흐름을 허락하도록 원형공, 타원공, 삼각공과 같은 다각공 형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홀들이 일정영역에 관통형성된 다공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123)에는 이를 통과하는 유체흐름에 포함하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여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은 개구형성된 제1개구부(123)의 부분적인 개방에 의해 유체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싱부(110)의 케이싱본체(111)에 형성되는 일측 개방단과 결합되어 케이싱부(110)와 서로 일체로 조립되는 고정구조물이다.
상기 회전판(130)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20)의 고정판체(121)의 중앙영역에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124)에 대응결합되어 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4)을 일측면에 구비하는 대략 판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134)을 갖는 회전판(130)은 상기 고정판(120)과 마주하여 상기 케이싱부의 설치위치 및 방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중첩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판(130)은 대략 시각판형의 고정판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사각판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이나 타원과 같은 서로 다른 형태의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판(130)은 상기 회전공에 대응결합되는 회전축(134)과 후술하는 구동모터의 구동부와 접하는 피동부(144)를 일측면인 도면상 하부면에 구비하는 회전판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의 타측면과 서로 마주하여 대응하는 회전판체(131)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판체(131)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제2돌출부(132)는 상기 고정판체의 제1개구부(123)를 형성하는 관통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돌출부(132)는 상기 제1돌출부(122)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판체(121)와 대응하는 회전판체(131)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일체형 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일정두께를 갖는 프레임구조물로 미리 제작되어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조립되는 독립형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판(120)의 고정판체(121)와 상기 회전판(130)의 회전판체(131)가 서로 동일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케이싱본체에 위치고정된 고정판(120)의 고정판체(121)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130)의 회전판체(131)가 도 4 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면, 회전되는 회전판체(131)의 각 모서리가 상기 고정판체(121)의 양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체(131)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덮어져 있던 고정판체의 제1개구부(123)의 일부를 노출시켜 개방하면서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판체(131)의 제2돌출부(132)가 위치고정된 고정판체의 외측테두리와 엇갈려 교차되거나 상기 고정판체의 외측테두리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122)와 서로 엇갈려 교차됨으로써 상기 제1개구부에는 이를 통한 유체흐름을 허락함과 동시에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제1,2돌출부에 의해서 고정판체와 회전판체사이에 틈새통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개방된 제1개구부(123)를 통한 유체흐름과 더불어 상기 제1,2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새통로(T)를 통한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환기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체의 각 모서리와 대응하는 고정판체와 회전판체사이에 형성되는 틈새통로(T)는 상기 고정판체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회전판체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가 서로 엇갈려 교차되면서 부분적으로 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판체나 회전판체의 각 외측테두리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제1,2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고정판체나 회전판체의 일측면에 부분적으로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40)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판체에 구비되는 피동부(144)와 접하는 구동부(143)를 구동축 선단에 갖추어 상기 고정판(120)에 고정설치되는 엑추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전원인가시 발생하는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130)을 케이싱부에 고정설치된 고정판에 대하여 일정각도 회전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모터(140)는 상기 고정판에 관통형성되는 축공을 통하여 구동축을 회전판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개구부의 관통형성시 잔류하게 되는 고정판의 잔류부(125)에 위치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3)는 피동기어로 이루어지는 피동부(144)와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동기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부(143)는 고무소재와 같은 피마찰재로 이루어지는 피동부(144)와 표면접촉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고무수재와 같은 마찰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34)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피동부(144)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143)와 외접하는 호형면을 갖추어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의 회전공(124)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부(110)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134)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공의 내측테두리에 걸림연결되어 상기 고정판과의 걸림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판(130)의 분리이탈없이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턱(13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는 회전축(134)에는 상기 회전공과의 탄력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구동시 구동기어와 피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구동부(143)와 피동부(144)간 기어물림이나 마찰재와 피마찰재로 이루어지는 구동부(143)와 피동부(144)간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을 위치고정된 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회전공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고정판체와 회전판체가 서로 동일한 사각판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고정판체(121)의 직선형 각 외측테두리와 상기 회전판체(131)의 직선형 각 외측테두리는 서로 교차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판체(131)의 각 모서리는 상기 고정판체(121)의 양측 모서리사이를 연결하는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판체에 관통형성된 제1개구부의 일부를 외부노출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는 회전판의 회전변위는 상기 회전판체의 각 모서리가 상기 고정판체의 양측 모서리사이를 연결하는 테두리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판체에 관통형성된 제1개구부를 최대한 부분 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구동에 의한 회전판의 회전변위량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회전변위시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제1개구부(123)의 개구면적 및 상기 제1,2돌출부에 의해서 고정판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통로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입량이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에 관통형성되는 회전공과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회전축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에 의한 상기 회전판의 회전변위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어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34)은 상기 회전판체(131)의 일측면에 일단이 일체로 구비되거나 교체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실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40)의 정방향 회전구동시 일정각도 회전변위되는 회전판체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체의 제1개구부(123)를 일부 외부노출시켜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판체(121)와 회전판체(131)사이에 배치되는 제1돌출부(122) 또는/그리고 제2돌출부(132)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틈새통로(T)를 회전판체와 고정판체사이에 형성하여 통로를 통하여 실외 공기를 내부로 강제 유입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로 배기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구동모터(140)를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회전변위된 회전판체(131)가 고정판체와 원상태로 중첩되어 제1개구부(123)를 덮음과 동시에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마주하여 전체적으로 접해지면서 고정판체와 회전판체사이에 틈새통로가 형성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즉, 회전복귀되는 회전판체(131)의 제2돌출부(132)가 위치고정된 고정판체의 외측테두리와 접해지거나 상기 고정판체(121)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122)와 일대일로 접해져 중첩됨으로써 상기 고정판체과 회전판체사이는 틈새발생이 없도록 접하여 유체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셔터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체(131)와 고정판체(121)간의 접촉에 의한 통로폐쇄는 상기 고정판체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122)와 상기 회전판체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132)가 전체적으로 서로 접해지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판체나 회전판체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제1,2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고정판체나 회전판체의 일측면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100a)은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110), 고정판(120), 회전판(130), 구동모터(140) 및 외부고정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부(110), 고정판(120), 회전판(130) 및 구동모터(1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하는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판(130)은 상기 고정판(120)과 외부고정판(150)사이에 중첩배치되고, 상기 고정판과 외부고정판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고정축(15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판(130)은 상기 고정축(15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공(135)을 몸체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유체인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133)를 관통형성한 회전판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개구부(133)는 상기 고정판에 관통형성되는 제1개구부(123)와 서로 대응하는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고정판(150)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회전판체(131)의 타측면에는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 고정판의 외측테두리에 전체적으로 접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지는 제3돌출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돌출부(132a)는 상기 제2돌출부(132)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판체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제2개구부(133)를 관통형성되는 관통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높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돌출부(132a)는 상기 회전판체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132)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120)과 대응하는 회전판(130)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부와 접하는 피동부(144)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피동부(144)는 상기 개구부(133)를 관통형성하면서 잔류하게 되는 회전판체의 잔류부(125)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130)은 상기 고정판(120)과 외부고정판(150)과의 사이에 중첩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공(13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부의 설치위치 및 방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중첩배치되어 상기 고정판 및 외부고정판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고정판(150)은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고정축(155)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외부 고정판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30)과 대응하는 외부 고정판체(151)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3돌출부(132a)와 대응하도록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돌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돌출부(152)는 상기 회전판체에 돌출형성된 제3돌출부(132a)와 서로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판체(121)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122)는 상기 회전판체(131)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132)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마주하고, 상기 회전판체(131)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된 제3돌출부(132a)는 상기 외부고정판체(151)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제4돌출부(152)와 서로 일대일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130)의 회전판체(131)가 도 7 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의 케이싱본체에 위치고정된 고정판(120)의 고정판체(121) 및 이에 연결된 외부고정판(150)의 외부고정판체(151)에 대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변위되면, 회전변위되는 회전판체(131)의 각 모서리는 상기 고정판체 및 외부 고정판체의 양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체와 외부 고정판체에 의해서 덮어져 있던 회전판체의 제2개구부(133)는 일부가 노출되어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변위되는 회전판체(131)의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3돌출부(132,132a)가 위치고정된 고정판체와 외부고정판에 형성된 제1돌출부 및 제4돌출부와 서로 엇갈려 교차됨으로써 상기 고정판체와 회전체사이 그리고 상기 회전판체와 외부고정판체사이에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되는 틈새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돌출부(122,132)의 형성높이 그리고 상기 제3,4돌출부(132a,152)의 형성높이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체와 회전체사이 그리고 상기 회전판체와 외부고정판체사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한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다른 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팬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흡입력 또는 송풍력에 의해서 유체를 통과시키는 환기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40)를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상기 회전판체(131)는 상기 고정판체와 외부고정판체와의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역방향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경우, 복귀되는 회전판체(13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3돌출부(132,132a)가 위치고정된 고정판체 및 외부 고정판체의 일측면과 접해지거나 상기 고정판체 및 외부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4돌출부(122, 152)와 접해져 중첩됨으로써 상기 고정판체와 회전판체사이 그리고 상기 회전판체와 외부 고정판체사이는 틈새발생이 없도록 접하여 유체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셔터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체와 고정판체간의 접촉 그리고 상기 회전판체와 외부 고정판체간의 접촉에 의한 통로폐쇄는 상기 고정판체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122)와 상기 회전판체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132)가 전체적으로 서로 접해지면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체에 구비되는 제3돌출부(132a)와 상기 외부 고정판체에 구비되는 제4돌출부(152)가 전체적으로 서로 접해지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판체의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제2,3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고정판체의 제1돌출부 또는 외부 고정판체의 제4돌출부와 전체적으로 서로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12)의 각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핀(112a)을 매개로 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외부고정판(150)은 고정축(155)을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판(120)과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축(155)은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내부판에 타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단일형 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분할부재와 상기 외부고정판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다른 분할부재가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형 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구동에 의한 상기 회전판(130)의 회전시 상기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회전판과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판과 더불어 고정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가변이동시키는 가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부(170)는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공에 인접하는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안내블럭(17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내블럭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부(171a)에 접하여 회전축(134)과 더불어 회전되는 접촉바(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블럭(171)은 상기 고정판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고정구조물이며,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구조물이며, 상기 안내블럭(171)은 상기 회전축의 외부면과 일측면이 접하여 회전축의 회전작동을 회전공과 더불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바(172)는 상기 회전축의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일체형 바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회전축의 외부면에 조립되는 조립형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171a)는 상기 안내블럭의 외부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바가 접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내블럭의 몸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관통형성되어 상기 접촉바가 대응결합되는 안내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판(120)과 회전판(130)이 서로 중첩되어 유체통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유체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회전판이 정방향인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안내블럭의 최정점에 위치하고 있고 있던 접촉바가 회전축과 더불어 회전되면서 안내블럭에 구비되는 안내부의 안내면이나 안내공을 따라 회전하강되어 최저점으로 위치이동되기 때문에 회전되는 회전축은 회전변위되는 회전판과 더불어 케이싱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직선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촉바(172)가 안내블럭(171)의 안내면에 접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기인하는 접촉바의 이동은 상기 고정판과 케이싱부사이에 해당하는 회전축에 구속되는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직선이동되는 회전축의 자유단에는 상기 회전공에 간섭되는 걸림턱을 갖추어 상기 고정판의 회전공으로부터 회전축이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판은 일방향 회전과 회전축과 더불어 직선이동되어 고정판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고정판과의 사이에 일정크기의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간격에 의해서 유체흐름이 형성되는 전체적인 통로면적을 증대시켜 환기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200)은 도 11, 도 12 및 도 13a, 도 1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110), 고정판(220), 회전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부(110)는 제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하는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시스템(100,100a)은 상기 회전판의 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각 외측테두리와 이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기시스템(100b)은 상기 회전판의 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각 외측테두리와 이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외측테두리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대시켜 유체통로의 개방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길이 중간이 내측으로 오목한 곡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2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본체(111)의 일측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유체흐름을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판(220)은 중앙영역에 상기 회전판(230)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234)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공(224)을 관통형성한 고정판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30)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고정판체(221)에는 상기 회전판과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형성된 개구부(223)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22)를 돌출형성하는 고정판체(221)의 일측면에는 서로 인접하는 개구부(223)들사이를 연결하여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연결용 요홈(222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부(122)는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판체와 대응하는 고정판체(121)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일체형 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일정두께를 갖는 별도의 프레임구조물로 미리 제작되어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도록 조립되는 독립형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23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220)의 고정판체(121)의 중앙영역에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224)에 대응결합되어 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34)을 일측면에 구비하는 대략 판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230)은 시각판형의 고정판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원형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판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판(230)은 상기 고정판의 고정판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223)를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회전판체(231)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223)는 상기 고정판체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판체의 회전반경 내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120)과 서로 마주하여 대응하는 회전판체(231)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판체(221)에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와 서로 마주하여 대응하는 제2돌출부(232)를 연속적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돌출부(232)는 상기 제1돌출부(222)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판체(221)와 대응하는 회전판체(231)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일체형 구조물로 구비되거나 일정두께를 갖는 프레임구조물로 미리 제작되어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조립되는 독립형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판(220)의 고정판체(221)는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판체(231)는 원형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케이싱본체에 위치고정된 고정판(220)의 고정판체(221)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판체(231)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면, 상기 고정판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는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판체(231)의 회전반경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으면서 덮어지게 된다.
그러나,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판체(231)의 제2돌출부(232)가 위치고정된 고정판체의 제2돌출부(232)와 서로 엇갈려 교차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체 및 고정판체사이에서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제1,2돌출부에 의해서 이들사이에 개구부와 연통되는 틈새통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223) 및 틈새통로를 통한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환기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체의 각 모서리와 대응하는 고정판체와 회전판체사이에 형성되는 틈새통로는 상기 고정판체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회전판체에 구비되는 제2돌출부가 서로 엇갈려 교차되면서 부분적으로 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판체나 회전판체의 각 외측테두리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제1,2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고정판체나 회전판체의 일측면에 부분적으로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케이싱부
111: 케이싱본체
112 : 플랜지
120 : 고정판
121 : 고정판체
122 : 제1돌출부
123 : 제1개구부
124 : 회전공
130 : 회전판
131 : 회전판채
132 : 제2돌출부
133 : 제2개구부
134 : 회전축
140 : 구동모터
143 : 구동부
150 : 외부회전판
151 : 외부회전판체
152 : 제3돌출부
170 : 가변부
171 : 안내블럭
172 : 접촉바

Claims (13)

  1.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 ;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고정판 ;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을 갖는 일측면이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여 중첩배치되는 회전판 ; 및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피동부와 접하는 구동부를 갖추어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어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서 상기 제1개구부를 덮어 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접하여 중첩된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켜 상기 제1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회전판을 고정판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가변이동시키는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회전공에 인접하는 고정판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안내블럭과, 상기 회전축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내블럭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부와 접하여 회전축과 더불어 회전되는 접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블럭의 외부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바가 접하여 안내되는 안내면을 포함하거나 상기 안내블럭의 몸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관통형성되어 상기 접촉바가 대응결합되어 안내되는 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4.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 ;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고정판 ;
    상기 고정판과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공을 관통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여 중첩배치되는 회전판 ;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는 피동부와 접하는 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고정판에 고정설치되어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고정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과 마주하도록 중첩배치되는 외부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판의 제1개구부를 덮어 유체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외부 고정판사이에 중첩배치된 회전판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과 외부고정판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켜 상기 제1개구부와 제2구부를 통한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체와,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고정판체의 일측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차단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져 틈새통로를 형성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공에 대응결합되는 회전축과 피동부를 구비하는 회전판체와, 상기 고정판과 대응하는 회전판체의 일측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차단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져 틈새통로를 형성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고정판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관통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고정판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고정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공을 관통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를 관통형성한 회전판체와, 상기 외부고정판과 대응하는 회전판체에 연속적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 고정판에 전체적으로 접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지는 제3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고정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외부고정판체와, 상기 회전판과 대응하는 외부 고정판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에 전체적으로 접하거나 부분적으로 접해지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피동기어로 이루어지는 피동부와 기어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동기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피마찰재로 이루어지는 피동부와 표면접촉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찰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3. 내부공간에 일방향으로의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 ;
    상기 케이싱부의 개구단에 위치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유체흐름을 자유롭게 통과시키도록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추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형성하는 관통영역을 따라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갖는 고정판 ;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을 갖는 일측면에 상기 제1돌출부와 일대일 대응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갖추어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여 중첩배치되는 회전판 ; 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을 일정각도 상대회전 이동시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엇갈려 교차되면서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사이에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틈새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KR1020180085480A 2017-12-11 2018-07-23 환기시스템 KR102108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561 2017-12-11
KR20170169561 201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79A true KR20190069279A (ko) 2019-06-19
KR102108996B1 KR102108996B1 (ko) 2020-05-11

Family

ID=6710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480A KR102108996B1 (ko) 2017-12-11 2018-07-23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49B1 (ko) * 2019-12-27 2020-04-23 (주)바이오데이즈 탈취청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684A (ja) * 1992-10-16 1994-05-13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扇
KR950008555Y1 (ko) * 1993-02-05 1995-10-11 홍부희 송풍공이 가변조절되는 환기장치
JPH1089761A (ja) * 1996-09-09 1998-04-10 Kajima Corp ダンパー装置
JP2014202416A (ja) * 2013-04-04 2014-10-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684A (ja) * 1992-10-16 1994-05-13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扇
KR950008555Y1 (ko) * 1993-02-05 1995-10-11 홍부희 송풍공이 가변조절되는 환기장치
JPH1089761A (ja) * 1996-09-09 1998-04-10 Kajima Corp ダンパー装置
JP2014202416A (ja) * 2013-04-04 2014-10-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49B1 (ko) * 2019-12-27 2020-04-23 (주)바이오데이즈 탈취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996B1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3656B2 (en) Air handling system duct closure and heat trap
KR101916887B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JP2012180977A (ja) 換気口カバー
KR102239879B1 (ko) 환풍기 역류 방지 댐퍼
KR101551081B1 (ko) 천장형 실내기의 기류 확산팬
KR20190069279A (ko) 환기시스템
WO2022242113A1 (zh) 进风结构、新风装置及空调
WO2022242114A1 (zh) 进风结构、新风装置及空调
KR200446705Y1 (ko) 에어컨 풍향조절장치
KR102093936B1 (ko)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0612774B1 (ko) 공동주택용 건식 에어덕트의 배기조절차단판 개폐장치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KR101194721B1 (ko) 급기디퓨저의 역류방지장치
KR100723943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JP2007205643A (ja) 送風装置
KR100970054B1 (ko) 유로 개폐 장치 및 공기 조화기
KR200472462Y1 (ko) 디퓨져의 풍량조절장치
KR20170103150A (ko) 풍량비 조절이 가능한 환기시스템
KR101203703B1 (ko) 자력을 이용한 무동력 역류방지댐퍼유닛을 구비한 환기장치
JP3102225B2 (ja) 圧力調整ダンパ
KR20100002430U (ko) 다분지 배기팬의 풍량조절 장치
KR20190064053A (ko) 온풍기 겸용 환풍기
KR102673350B1 (ko) 배기덕트장치
KR20100077949A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741209B1 (ko) 유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