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207A -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207A
KR20190069207A KR1020170169690A KR20170169690A KR20190069207A KR 20190069207 A KR20190069207 A KR 20190069207A KR 1020170169690 A KR1020170169690 A KR 1020170169690A KR 20170169690 A KR20170169690 A KR 20170169690A KR 20190069207 A KR20190069207 A KR 2019006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rame
neck
batte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556B1 (ko
Inventor
김용국
조성래
김용진
김준세
Original Assignee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556B1/ko
Priority to US16/770,541 priority patent/US20210105417A1/en
Priority to PCT/KR2017/014789 priority patent/WO2019117377A1/ko
Publication of KR2019006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252
    • H04N5/2257
    • H04N5/23206
    • H04N5/23241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탄성프레임(110)과;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에 결합되어 사용자 주변의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데이터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과; 상기 탄성프레임(110)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배터리(130)와; 상기 배터리(130)와 상기 탄성프레임(110)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을 상기 탄성프레임(110)으로 안내하는 배터리연결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고, 복수개의 카메라모듈로 다양한 각도의 영상데이타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카메라장치{WEARABLE CAMERA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사용자의 목에 편안하게 착용하여 다각도의 영상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카메라는 사람의 머리나 귀에 장착되어 주변환경을 촬영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를 말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카메라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05-0089371호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찰영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웨어러블 카메라는 이어셋(Ear-set)이나 고글 형태로 이루어진 바디(Body)에 카메라모듈을 설치하여, 귀에 장착하기만 하면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주변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런데,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웨어러블 카메라는 항상 귀에 장착되어야지만 한다는 제한조건과, 일부 시야를 가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웨어러블 카메라는 프레임이 견고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져 장시간 착용시 피로감과 이물감 및 불편함을 줄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카메라는 다큐멘터리 작가가 목표한 환경을 촬영하거나, 위급한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이 현장상황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웨어러블 카메라는 한 대의 카메라만 장착되므로 특정 방향의 영상만 촬영할 수 있어 다각도의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 웨어러블 카메라는 전원공급라인의 매립과 활동성의 제약 때문에 카메라에 배터리가 일체로 내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이에 의해 활동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배터리의 충전량이 적어 영상 촬영시간이 짧은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카메라를 함께 지지하여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목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안정적인 영상 획득이 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감이 우수하여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며, 장시간 영상 촬영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카메라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탄성프레임(110)과;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에 결합되어 사용자 주변의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데이터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과; 상기 탄성프레임(110)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배터리(130)와; 상기 배터리(130)와 상기 탄성프레임(110)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을 상기 탄성프레임(110)으로 안내하는 배터리연결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프레임(110)은, 사용자의 목 뒤에 거치되며 하부에 상기 배터리연결관(140)과 결합되는 연결관결합공(11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이 수용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상기 목뒤거치프레임(111)의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목 앞까지 연장형성되는 좌측프레임(112) 및 우측프레임(113)과: 상기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상기 좌측프레임(112) 사이에 구비되며 제1카메라모듈(120)이 수용되는 제1카메라홀더(114)와; 상기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상기 우측프레임(113) 사이에 구비되며 제2카메라모듈(120a)이 수용되는 제2카메라홀더(115)와; 상기 좌측프레임(112)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3카메라모듈(120b)이 수용되는 제3카메라홀더(116)와; 상기 우측프레임(113)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4카메라모듈(120c)이 수용되는 제4카메라홀더(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30)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하는 충전크래들(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관리자서버로 무선통신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각각 생성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23,123a,123b,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측프레임(112)과 상기 우측프레임(113)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상기 탄성프레임(110)을 고정시키는 신체고정밴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목에 결합되는 탄성프레임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을 동시에 생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눈으로 보지 못하는 후방영상을 비롯한 전방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는 탄성을 갖는 탄성프레임이 목에 장착되므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프레임 내부에 복수개의 전선이 수용되어 복수개의 카메라모듈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배터리를 교체하여 카메라모듈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는 신체고정밴드를 이용해 탄성프레임을 목에 고정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에도 카메라모듈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의 복수개의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의 영상전송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가 충전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는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프레임(110)과, 탄성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과, 탄성프레임(110)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배터리(130)와, 탄성프레임(110)과 배터리(130)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연결관(140)과, 배터리(130)를 충전하는 충전크래들(150)과, 탄성프레임(110)을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키는 신체고정밴드(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탄성프레임(110)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이 서로 다른 높이와 다른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의 다양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성프레임(1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로 휘어져 사용자의 목을 감는 형태로 거치되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을 지지한다. 탄성프레임(110)은 앞쪽에 개구(도 3의 119)가 형성되고, 목에 착용시 개구(119)를 탄성적으로 벌려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다. 탄성프레임(110)의 착용 안정성을 위해 개구(119)는 일반 성인의 목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119)가 크면 탄성프레임(110)이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탄성프레임(110)은 사용자의 목뒤에 거치되는 목뒤거치프레임(111)과, 목뒤거치프레임(111)의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목앞으로 연장형성되는 좌측프레임(112) 및 우측프레임(113)과,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좌측프레임(112) 사이에 구비되는 제1카메라홀더(114)와,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우측프레임(11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카메라홀더(115)와, 좌측프레임(1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3카메라홀더(116)와, 우측프레임(113)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4카메라홀더(117)를 포함한다.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 복수개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는 사출성형 등을 통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목뒤거치프레임(11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구형상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돌기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고, 그 사이로 바람이 유입될 수 있어 땀의 발생을 줄이고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의 전방에는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의 장착을 위해 좌측프레임커버(112a)와 우측프레임커버(113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좌측프레임커버(112a)와 우측프레임커버(113a)도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렇게 탄성프레임(110) 전체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목에 거치될 때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어 장시간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목뒤거치프레임(1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의 목뒤에 거치된다. 목뒤거치프레임(111)은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에는 제1카메라홀더(114)와 제2카메라홀더(115)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연결관결합공(111a)이 구비된다. 목뒤거치프레임(111)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연결관(140)을 통해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이 목뒤거치프레임(111)으로 유입된다. 4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은 2개씩 나뉘어 목뒤거치프레임(111)의 양측으로 이동되고, 각각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 안내된다.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은 양측 목옆을 감싸게 배치되며, 제3카메라홀더(116)와 제4카메라홀더(117)로 제3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과 제4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을 안내한다.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은 좌측프레임커버(112a)와 우측프레임커버(113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프레임커버(112a)와 우측프레임커버(113a)가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에 해당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이 삽입되고, 각각의 위치로 안내된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이 해당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카메라홀더(114)는 제1카메라모듈(120)이 수용되고, 제2카메라홀더(115)는 제2카메라모듈(120a)을 수용하고, 제3카메라홀더(116)는 제3카메라모듈(120b)이 수용되고, 제4카메라홀더(117)는 제4카메라모듈(120c)을 수용한다.
제1카메라홀더(114)와 제2카메라홀더(1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모듈(120)과 제2카메라모듈(120a)이 사용자의 후방을 향하도록 지지하여, 후방영상을 생성하도록 지지한다.
제3카메라홀더(116)와 제4카메라홀더(11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카메라모듈(120b)과 제4카메라모듈(120c)이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하여, 전방영상을 생성하도록 지지한다.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은 목 뒤에서 목 앞으로 사용자의 목이 형성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자연스러운 각도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형상이 가변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체형과 목 두께 등에 맞게 탄성프레임(110)의 형상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탄성프레임(110)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땀을 흡수하는 면과 같은 섬유소재의 땀흡수커버(미도시)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각각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에 결합되어 각 위치에서의 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는 네 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을 포함한다.
제1카메라모듈(120)은 제1카메라홀더(114)에 결합되어 후방 좌측 영상을 생성하고, 제2카메라모듈(120a)은 제2카메라홀더(115)에 결합되어 후방 우측 영상을 생성하고, 제3카메라모듈(120b)은 제3카메라홀더(116)에 결합되어 전방 좌측 영상을 생성하고, 제4카메라모듈(120c)은 제4카메라홀더(117)에 결합되어 전방 우측 영상을 생성한다.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탄성프레임(110)이 목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의 위치와 높이가 상이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해당 위치에서 전방을 향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모듈(120)은 제1화각(α)에 해당하는 범위의 영상을 생성하고, 제2카메라모듈(120a)은 제2화각(β)에 해당하는 범위의 영상을 생성하고, 제3카메라모듈(120b)은 제3화각(γ)에 해당하는 범위의 영상을 생성하고, 제4카메라모듈(120c)은 제4화각(δ)에 해당하는 범위의 영상을 생성하다.
이 때, 이웃하는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들의 화각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게 탄성프레임(110)에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 주변의 360°방향의 영상을 한꺼번에 획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카메라홀더(114), 제2카메라홀더(115), 제3카메라홀더(116) 및 제4카메라홀더(117)는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의 화각을 고려하여 배치위치가 설계된다.
한편, 각각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들은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미도시)와, 촬상소자(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영상으로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는 사용자의 목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위치가 이동되며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촬영된 영상에 흔들림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이미지처리부(미도시)에서는 원본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보다 선명한 보정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의 영상저장 및 영상전송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관리자서버(1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121,121a,121b,121c)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각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는 관리자서버(10)로 즉시 전송되고, 관리자서버(10)의 영상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각각의 영상데이터들은 관리자서버(10)에서 지정된 관리자단말기, 일례로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내부에 별도의 저장부(123,123a,123b,123c)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SD카드와 같은 소형 메모리 형태의 저장부(123,123a,123b,123c)가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 내부에 삽입되고, 사용자는 좌측프레임커버(112a)와 우측프레임커버(113a)를 분리한 후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부터 저장부(123,123a,123b,123c)를 분리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130)는 내부에 충전된 전원을 배터리연결관(140)을 통해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 공급한다. 배터리(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된다. 배터리(130)는 바지 뒷주머니, 허리띠, 점퍼 주머니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터리(130)을 수용하여, 배터리(130)를 사용자의 옷 또는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경찰일 경우, 신체 활동이 많은데 배터리(13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배터리(130)를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해 신체 또는 의복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미도시)은 고정클립 또는 고정밴드, 또는 고정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30)의 상면에는 배터리연결관(140)의 커넥터(141)가 결합되는 커넥터소켓(131)이 구비된다. 배터리(130)의 하면에는 충전크래들(150)의 플러그(151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충전단자(133)가 구비된다.
배터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크래들(150)을 통해 충전된다. 충전크래들(150)의 배터리충전홈(151)에 삽입되고, 충전단자(133)가 플러그(151a)와 접촉되어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배터리(130)의 표면에는 현재 충전잔량을 나타내는 잔량표시램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현재 충전잔량을 인식하고,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의 사용가능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배터리(1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배터리(130)가 방전될 때 휴대한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연결관(140)은 배터리(130)에 충전된 전원을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 공급한다. 배터리연결관(140)은 내부에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을 수용하며, 탄성프레임(110)으로 안내한다. 배터리연결관(140)은 사용자의 신체활동에 의해 내부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연결관(140)은 PVC나 고무 등으로 피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연결관(140)의 하부에는 배터리(130)의 커넥터소켓(131)에 결합되는 커넥터(141)가 구비된다. 커넥터(141)를 통해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배터리연결관(140)의 상단은 목뒤거치프레임(111)의 연결관결합공(111a)에 결합된다. 연결관결합공(111a)과 배터리연결관(140)의 결합영역에는 실링처리되어 내부로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한다.
충전크래들(150)은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크래들(150)은 상면에 복수개의 배터리충전홈(151,153)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배터리(13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충전홈(151,153)에는 배터리(130)가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배터리(130)를 지지하는 배터리지지판(15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탄성프레임(110)의 개구(119)에는 신체고정밴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신체고정밴드(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프레임(113)과 좌측프레임(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를 포함한다.
신체고정밴드(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했을 때, 탄성프레임(110)이 사용자의 목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활동시 탄성프레임(1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선명한 영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에는 각각 암수벨크로(161a,163a)가 구비되어 서로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본인의 목의 두께에 맞게 암수벨크로(161a,163a)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의 조립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연결관(140) 내부에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의 개수에 대응되는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을 수용한다. 배터리연결관(140)에 삽입된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의 단부는 연결관결합공(111a)을 토해 목뒤거치프레임(111)으로 유입되고, 2개씩 나뉘어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 측으로 이동된다.
좌측프레임커버(112a)와 우측프레임커버(113a)가 개방된 상태에서 각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 해당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이 연결된다. 그리고, 각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해당 카메라홀더(114,115,116,117)로 삽입된다.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의 결합이 완료되면, 좌측프레임커버(112a)와 우측프레임커버(113a)를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에 끼움결합한다.
그리고, 연결관결합공(111a)에 배터리연결관(140)의 상부를 고정시키고, 실링한다. 배터리연결관(140)의 하단에는 커넥터(141)를 부착한다.
웨어러블 카메라장치(100)의 사용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30)를 충전크래들(150)의 배터리충전홈(151)에 삽입시켜 충전한다. 충전이 완료되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탄성프레임(110)을 결합시킨다.
사용자는 개구(119)를 벌려 목에 탄성프레임(110)을 끼운다. 사용자의 목 뒤에 목뒤거치프레임(111)이 거치되고, 목의 양측으로 좌측프레임(112)과 우측프레임(113)이 위치된다. 사용자는 배터리(130)를 허리 또는 주머니 등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를 서로 결합시켜 사용자의 목에 탄성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탄성프레임(11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목에 고정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리모컨(미도시) 등을 이용해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 전원을 인가하면, 배터리(130)의 전원이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로 전달되고 각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해당 화각의 범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에서 생성된 서로 다른 방향의 영상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21,121a,121b,121c)를 통해 관리자서버(10)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원거리에 떨어진 관리자서버(10)에서 사용자 주변의 상황을 360도 방향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경찰의 현장진압의 경우, 관리자서버가 위치한 관리자가 현장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주변의 범인의 도주로를 확인하거나 범죄상황을 다각도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목에 결합되는 탄성프레임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을 동시에 생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눈으로 보지 못하는 후방영상을 비롯한 전방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는 탄성을 갖는 탄성프레임이 목에 장착되므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프레임 내부에 복수개의 전선이 수용되어 복수개의 카메라모듈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배터리를 교체하여 카메라모듈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는 신체고정밴드를 이용해 탄성프레임을 목에 고정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에도 카메라모듈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110 : 탄성프레임
111 : 목뒤거치프레임 111a : 연결관결합공
112 : 좌측프레임 112a : 좌측프레임커버
113 : 우측프레임 113a : 우측프레임커버
114 : 제1카메라홀더 115 : 제2카메라홀더
116 : 제3카메라홀더 117 : 제4카메라홀더
119 : 개구
120,120a,120b,120c : 제1,제2,제3,제4카메라모듈
121,121a,121b,121c : 제1,제2,제3,제4무선통신부
123,123a,123b,123c : 제1,제2,제3,제4저장부
130 : 배터리 131 : 커넥터소켓
133 : 충전단자 140 : 배터리연결관
141 : 커넥터 142 : 제1카메라전원공급선
143 : 제2카메라전원공급선 144 : 제3카메라전원공급선
145 : 제4카메라전원공급선 150 : 충전크래들
151 : 배터리충전홈 151a : 플러그
152 : 배터리지지판 153 : 보조배터리 충전홈
160 : 신체고정밴드 161 : 제1밴드
161a : 암벨크로 163 : 제2밴드
163a : 수벨크로

Claims (6)

  1.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탄성프레임(110)과;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홀더(114,115,116,117)에 결합되어 사용자 주변의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데이터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과;
    상기 탄성프레임(110)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배터리(130)와;
    상기 배터리(130)와 상기 탄성프레임(110)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을 상기 탄성프레임(110)으로 안내하는 배터리연결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프레임(110)은,
    사용자의 목 뒤에 거치되며 하부에 상기 배터리연결관(140)과 결합되는 연결관결합공(11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142,143,144,145)이 수용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상기 목뒤거치프레임(111)의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목 앞까지 연장형성되는 좌측프레임(112) 및 우측프레임(113)과:
    상기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상기 좌측프레임(112) 사이에 구비되며 제1카메라모듈(120)이 수용되는 제1카메라홀더(114)와;
    상기 목뒤거치프레임(111)과 상기 우측프레임(113) 사이에 구비되며 제2카메라모듈(120a)이 수용되는 제2카메라홀더(115)와;
    상기 좌측프레임(112)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3카메라모듈(120b)이 수용되는 제3카메라홀더(116)와;
    상기 우측프레임(113)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4카메라모듈(120c)이 수용되는 제4카메라홀더(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30)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하는 충전크래들(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관리자서버로 무선통신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모듈(120,120a,120b,120c)은 각각 생성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23,123a,123b,12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프레임(112)과 상기 우측프레임(113)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상기 탄성프레임(110)을 고정시키는 신체고정밴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KR1020170169690A 2017-12-11 2017-12-11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KR10208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90A KR102085556B1 (ko) 2017-12-11 2017-12-11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US16/770,541 US20210105417A1 (en) 2017-12-11 2017-12-15 Wearable camera device
PCT/KR2017/014789 WO2019117377A1 (ko) 2017-12-11 2017-12-15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90A KR102085556B1 (ko) 2017-12-11 2017-12-11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07A true KR20190069207A (ko) 2019-06-19
KR102085556B1 KR102085556B1 (ko) 2020-03-06

Family

ID=6682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690A KR102085556B1 (ko) 2017-12-11 2017-12-11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05417A1 (ko)
KR (1) KR102085556B1 (ko)
WO (1) WO201911737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097A (ko) * 1998-02-17 1999-09-06 구자홍 카메라를 갖는 개인용 디스플레이와 그 영상표시방법
JP2014230271A (ja) * 2013-09-17 2014-12-08 中村 正一 医療用撮像記録再生装置
JP2017510133A (ja) * 2014-01-14 2017-04-06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立体的視野及び内部処理機能を備えたスマート・ネックレ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842A (ja) * 2004-10-20 2006-06-08 Daimei Kk ウェアラブル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070113067A (ko) * 2006-05-24 2007-11-28 김용제 휴대용 입체 카메라
JP2010256534A (ja) * 2009-04-23 2010-11-11 Fujifilm Corp 全方位画像表示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583256B1 (ko) * 2013-10-24 2016-01-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다중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출력 방법
KR20170021453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097A (ko) * 1998-02-17 1999-09-06 구자홍 카메라를 갖는 개인용 디스플레이와 그 영상표시방법
JP2014230271A (ja) * 2013-09-17 2014-12-08 中村 正一 医療用撮像記録再生装置
JP2017510133A (ja) * 2014-01-14 2017-04-06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立体的視野及び内部処理機能を備えたスマート・ネック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377A1 (ko) 2019-06-20
US20210105417A1 (en) 2021-04-08
KR102085556B1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863B2 (en) Eyeglasses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US9971232B2 (en) Bracket for terminal with camera module
US10310296B2 (en) Eyewear with printed circuit board
US10757311B2 (en) Wearable device
CN109407757B (zh) 显示系统
US20130342981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17161726A1 (zh) 一种虚拟现实设备和虚拟现实系统
TW200937947A (en) A photographic device
CN210181299U (zh) 一种穿戴眼镜
CN205450971U (zh) 一种虚拟现实设备和虚拟现实系统
JP2023153773A (ja) 着用可能なモバイル電子システム
KR2016000412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20190069207A (ko) 웨어러블 카메라장치
KR101254468B1 (ko) 카메라 모듈 장착용 헤드셋
US11688905B1 (en) Curve retention for curved batteries
KR101682049B1 (ko) 실시간 후방 인지 멀티 안경
WO2016175347A2 (ko)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CN215818392U (zh) 一种rgbd数据传输与音频反馈协同视障辅助装置及穿戴装置
EP3275206A2 (en) Ear-mounted device
US20190191060A1 (en) Shoulder mount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2270886B1 (ko) 웨어러블 카메라 및 넥 가이드
CN216160915U (zh) 一种便于使用的5gvr眼镜
CN216625807U (zh) 一种带有补光灯的手机壳
JP7395953B2 (ja) 撮像装置
CN218243031U (zh) 充电装置和眼镜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