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93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936A
KR20190068936A KR1020170169208A KR20170169208A KR20190068936A KR 20190068936 A KR20190068936 A KR 20190068936A KR 1020170169208 A KR1020170169208 A KR 1020170169208A KR 20170169208 A KR20170169208 A KR 20170169208A KR 20190068936 A KR20190068936 A KR 2019006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acklight unit
high frequency
sound generating
genera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686B1 (ko
Inventor
임동균
김기덕
윤승환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6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에서 돌출된 고주파 방사부, 및 백라이트 유닛 또는 고주파 방사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유기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 또는 상하단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나, 고주파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이 저하되어 음색의 명료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이 저하되어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이 감소하고, 음압 레벨의 손실을 보강하기 위하여 인가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출원은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에서 돌출된 고주파 방사부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의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백라이트 유닛을 진동시켜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고, 고주파 방사부를 진동시켜 고주파 영역의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백라이트 유닛 및 고주파 방사부 각각을 직접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및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에서 돌출된 고주파 방사부, 및 백라이트 유닛 또는 고주파 방사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리의 진행 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에서 돌출된 고주파 방사부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의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을 진동시켜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고, 고주파 방사부를 진동시켜 고주파 영역의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고주파 방사부 각각을 직접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및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탄성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탄성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진동 발생 장치(200), 후면 구조물(300), 고주파 방사부(400), 접착 부재(500), 및 파티션 부재(6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Front Surface) 및 백라이트 유닛(12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후면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부착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Front Surface)과 이격될 수 있다. 광학 시트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부(112)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과 확산된 광을 집광하는 기능을 모두 가지는 복합 광학 시트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Front Surface)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마주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과 마주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진동 발생 장치(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패널 접착 부재(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진동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체 면을 진동시킬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패널 접착 부재(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도광판(121) 및 반사 시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21)은 반사 시트(123)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Front Surface)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121)은 입광면을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121)은 입광면을 통해서 입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광판(121)은 광투과성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121)은 사파이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 가이드 용도의 글라스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3)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을 구성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시트(123)는 그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된 도광판(121)을 지지할 수 있고, 도광판(12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 시트(123)는 도광판(121)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패널 접착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 가장자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패널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접착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 사이에 갭 공간(130S)을 마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진동 발생 장치(20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갭 공간(130S)의 음압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130S)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 쏠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광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패널 접착 부재(130)는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패널 접착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130S)을 감쌈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발생된 음압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게 할 수 있다. 패널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직접 전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 또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널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과 우레탄 계열의 재질 중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는 폼 패드, 및 폼 패드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마련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우레탄 계열의 재질은 아크릴 계열의 재질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빛샘 차단 특성을 가지므로, 패널 접착 부재(130)는 빛샘 방지를 고려하여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키거나, 고주파 방사부(400)의 후면에 배치되어 고주파 방사부(4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키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 및 고주파 방사부(400)를 진동시키는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좌측 영역(LA) 및 우측 영역(RA)을 포함하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에서 돌출된 제1 고주파 방사부(4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에서 돌출된 제2 고주파 방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좌측 영역(LA)에 중첩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 영역(LA)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후면 구조물(300)의 관통홀(310)에 삽입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 영역(LA)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전방으로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LFS)을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저중주파 영역이란 2k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저중주파 영역은 2k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에서 돌출된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전방으로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주파 영역이란 2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주파 영역은 2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 영역 또는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에서 음향(L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우측 영역(RA)에 중첩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 영역(RA)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은 후면 구조물(300)의 관통홀(310)에 삽입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 영역(RA)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 전방으로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LFS)을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4 음향 발생 모듈(240)은 제2 고주파 방사부(42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2 고주파 방사부(42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음향 발생 모듈(24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에서 돌출된 제2 고주파 방사부(420)의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 전방으로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30, 240) 각각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 영역 또는 제2 고주파 방사부(420)를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에서 음향(R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은 서로 다른 진동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하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에서 음향(LS)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하고, 제4 음향 발생 모듈(240)은 제2 고주파 방사부(420)를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에서 음향(RS)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LS)과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RS)은 파티션 부재(600)를 통해 서로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및 우측으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함으로써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고, 소위 2.0 채널 형태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부터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함으로써, 좌우 음향 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과 하방이 아닌 전방으로 출력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3 음향 발생 모듈(210, 230) 각각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우측에 배치된 차이점만 존재하고, 제2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20, 240) 각각은 제1 또는 제2 고주파 방사부(410, 420)에 배치된 차이점만 존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3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30, 24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후면 구조물(300)의 관통홀(310)에 삽입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을 직접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까지 전달시켜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LFS)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이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키면, 저중주파 영역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부착되고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진동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음향(LFS)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음향 장치의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과 하방이 아닌 전방으로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LFS)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스피커(speaker)로서,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익사이터(Excit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직접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고주파 방사부(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의 진동을 전달받아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진동시킬 수 있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진동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음향(HFS)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고주파 방사부(400)를 음향 장치의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과 하방이 아닌 전방으로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스피커(speaker)로서,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 즉, 압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일산화납(PbO), 산화지르코늄(ZrO2), 이산화티타늄(TiO2)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PZT 세라믹, 티탄산바륨(BaTiO3), 인산이수소암모늄(NH4H2PO4), 또는 페로브 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 세라믹 소재 중 압전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로트 스카이트는 티탄산칼슘(CaTiO3), 티탄산바륨(BaTiO3)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VDF Hom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 시아노폴리머(Cyano-polymer),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에조 폴리머(Piezo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는 PVDF-TrFE, PVDF-TFE, PVDF-CTFE, PVDF-CF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는 PVDF-TrFe-CFE, PVDF-TrFE-CTF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는 PVDCN-vinyl acetate, PVDCN-vinyl propionat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는 Polyaminoboran, Polyaminodifluoroboran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 구조물(30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을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구조물(30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전체를 이격되게 덮는 것으로,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루어진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 또는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공정 또는 코너 라운딩 공정에 의해 사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재질의 후면 구조물(300)은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후면 구조물(30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후면 구조물(300)은 금속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글라스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은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거울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이 삽입되는 관통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310)은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이 삽입되기 위하여, 후면 구조물(3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후면 구조물(300)의 설정된 일부 영역에 원형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관통홀(310)은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 및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완전 중첩될 수는 없지만,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주파 방사부(4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방사부(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고, 도광판(121)의 복수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의 좌측 및 우측에서 돌출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및 음향 출력 특성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주파 방사부(400)는 제2 음향 발생 모듈(22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판으로 작용함으로써, 음압 레벨(SPL)의 손실없이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제2 음향 발생 모듈(220)로부터 진동을 직접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은 상당 부분 손실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갭 공간(130S)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진동은 복수의 매개를 통해 전달될수록 미세하게나마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LFS)을 발생시키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과 별도로,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모듈(220) 및 고주파 방사부(400)를 포함함으로써, 제2 음향 발생 모듈(220)로부터 전달받는 진동을 손실 없이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진동을 전달하지 않고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을 향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고주파 방사부(400)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주파 방사부(400)는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도광판(121)과 결합될 수 있다. 고주파 방사부(400)는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광판(121)은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주파 방사부(400)는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광판(121)은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보다 강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일체로 형성된 후, 화학 공정을 통해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주파 방사부(400)에 적용되는 화학 공정은 고주파 방사부(400)의 표면에서 이온 교환 반응을 유도하고, 고주파 방사부(400)를 용융염에 담글 수 있다. 이 때, 용융염의 큰 이온이 고주파 방사부(400)의 표면의 작은 이온을 치환하여 고주파 방사부(400)의 밀도가 증가할 수 있다. 고주파 방사부(400)는 상기와 같은 화학 공정을 통해 강성이 증가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진동 전달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일체로 형성된 후, 열처리 공정을 통해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주파 방사부(400)에 적용되는 열처리 공정은 고주파 방사부(400)를 고온 소성한 후, 급냉시킬 수 있다. 고주파 방사부(400)는 상기와 같은 열처리 공정을 통해 강성이 증가할 수 있고, 고주파 영역에서의 진동 전달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일체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열처리 공정 또는 화학 공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고주파 방사부(400)는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도광판(121)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고주파 방사부(400)는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도광판(121)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방사부(4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덮인 탄성 강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방사부(400)는 도광판(121)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고주파 방사부(400)는 고주파 방사부(400)의 표면을 덮는 차광막(41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고주파 방사부(410, 420) 각각은 그 표면을 덮는 제1 또는 제2 차광막(411, 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막(411)은 도광판(121)의 측면에서 돌출된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표면을 덮음으로써, 도광판(121)에 입사된 광이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주파 방사부(410)는 도광판(121)의 좌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1 차광막(411)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전면, 후면, 및 도광판(121)과 마주한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방사부(400)가 도광판(121)의 측면에서 돌출되더라도, 차광막(411)을 통해 빛샘 현상 및 시감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차광막(41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및 은(Ag) 등의 금속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및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을 접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500)는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를 가지도록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5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가장자리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마련되어 후면 구조물(300)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사이에 갭 공간(500S)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갭 공간(500S)은 관통홀(310)에 삽입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이 배치되는 공간 및 진동 발생 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후면 구조물(30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500S)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 쏠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광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500)는 광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광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 또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파티션 부재(600)는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 부재(600)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과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파티션 부재(600)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이 배치된 영역과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이 배치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고,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 부재(6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LS, RS)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티션 부재(600)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과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LS, RS)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 부재(6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중앙에서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 영역에서의 음향(LS)이 우측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 부재(600)는 좌우 음향을 분리하고,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 부재(600)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과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고 소위 2.0 채널 형태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부터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 부재(600)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티션 부재(6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파티션 부재(600)는 일면 테이프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 부재(700)는 고주파 방사부(400)의 후면에 배치되어, 음향 발생 모듈(220)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쌀 수 있다. 보호 부재(700)는 제1 및 제2 고주파 방사부(410, 420) 각각의 후면에 배치된 제1 및 제2 보호 부재(720, 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보호 부재(72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보호 부재(74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보호 부재(720, 740) 각각은 제2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20, 240) 각각에 대응되어, 제2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20, 240) 각각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보호 부재(720, 740) 각각은 제2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20, 240)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쌈으로써, 제2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20, 240)에서 발생된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고주파 방사부(410)는 제1 보호 부재(720)에 대응하는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의 진동을 전달 받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 부재(720)는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의 후면에서 밀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밀폐 공간 내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호 부재(700)는 고주파 방사부(400)의 후면에 배치된 음향 발생 모듈(220)의 후면에서, 인클로저(Enclosur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호 부재(720, 740) 각각은 제1 및 제2 고주파 방사부(410, 420) 각각의 후면에 배치된 제2 및 제4 음향 발생 모듈(220, 240)에서 발생되는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높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후면 구조물(300)의 관통홀(310)에 삽입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을 직접 진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까지 전달시켜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LFS)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이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키면, 저중주파 영역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부착되고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진동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음향(LFS)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패널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으나, 진동 전달 과정에서 상당 부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저중주파 영역의 음향(LFS)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직접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고주파 방사부(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좌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의 진동을 전달받아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제1 고주파 방사부(410)를 진동시킬 수 있고, 고주파 방사부(400)는 진동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음향(HFS)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200)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고주파 방사부(400)를 음향 장치의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과 하방이 아닌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6a는 탄성 부재(8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6b는 도 6a의 B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8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의 측면을 덮으면서, 패널 접착 부재(13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탄성이 높을 수 있다. 즉, 탄성 부재(800)의 진동 전달 특성은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해 일직선으로 전달되어, 저주파 영역의 음향(LFS)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탄성 부재(80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탄성 부재(800)와 나란하게 배치된 패널 접착 부재(130)를 통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으나, 진동 전달 과정에서 음압 레벨(SPL)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800)의 진동 전달 특성이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탄성 부재(80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우선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탄성 부재(8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됨으로써, 패널 접착 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보다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800)는 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8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덮인 탄성 강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는 고주파 영역의 진동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800)는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탄성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7a는 탄성 부재(8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b는 도 7a의 C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800)는 후단부(810) 및 측면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후단부(8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측면부(8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동시에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측면부(830)는 고주파 방사부(400)의 일단 상에 배치되어, 고주파 방사부(40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탄성이 높을 수 있고, 탄성 부재(800)의 진동 전달 특성은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탄성 부재의 후단부(8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에 전달되어 바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발생시키거나, 탄성 부재의 측면부(8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후단부(810)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하고, 탄성 부재의 측면부(830)는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탄성 부재(8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탄성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8a는 탄성 부재(8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8a의 D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800)는 후단부(810), 측면부(830) 및 전단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후단부(8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측면부(8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덮을 수 있으며, 전단부(8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의 전면(Front Surface)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8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의 전면(Front Surface), 측면, 및 후면을 동시에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측면부(830)는 고주파 방사부(400)의 일단 상에 배치되고 전단부(850)는 측면부(830) 상에 배치되어, 측면부(830) 및 전단부(850)는 고주파 방사부(40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800)는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탄성이 높을 수 있고, 탄성 부재(800)의 진동 전달 특성은 패널 접착 부재(130)보다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탄성 부재의 후단부(8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제1 고주파 방사부(410)에 전달되어 바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발생시키거나, 탄성 부재의 측면부(830) 및 전단부(8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후단부(810)는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하고, 탄성 부재의 측면부(830) 및 전단부(850)는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탄성 부재(8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전단부(850) 및 후단부(8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의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의 진동 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변위가 크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공진 주파수가 감소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변위가 작으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공진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의 전단부(850) 및 후단부(810)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의 진동 변위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8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의 진동 변위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공진 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공진 주파수를 증가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고,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구조(Structure 1)는 고주파 방사부 및 고주파 방사부의 후면에 배치된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고, 제2 구조(Structure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조는 고주파 방사부 및 고주파 방사부의 후면에 배치된 음향 발생 모듈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구조(Structure 1)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2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뚜렷한 감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달되는 진동 전달 특성이 저하되어, 고주파 영역의 진동이 감쇄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제2 구조(Structure 2)의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2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감소가 제1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주파 방사부(400)가 제2 음향 발생 모듈(220)로부터 전달받은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바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하여,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는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가 제1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1)보다 뚜렷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는 고주파 방사부(400)를 통해 고주파 영역의 음향(HFS)을 직접 출력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고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켜,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패널 접착 부재
200: 진동 발생 장치 300: 후면 구조물
400: 고주파 방사부 500: 접착 부재
600: 파티션 부재 700: 보호 부재
800: 탄성 부재

Claims (22)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에서 돌출된 고주파 방사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또는 상기 고주파 방사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방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복수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연결된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된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방사부는 상기 도광판의 복수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방사부는 상기 도광판보다 강성이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면에 배치된 제1 음향 발생 모듈; 및
    상기 고주파 방사부의 후면에 배치된 제2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방사부는 상기 제2 음향 발생 모듈의 진동을 전달받아 2k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음향 발생 모듈의 진동을 전달받아 2kHz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모듈은 액츄에이터 또는 익사이터로 구현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소자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방사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음향 발생 모듈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싸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방사부는 상기 고주파 방사부의 표면을 덮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구조물은 두께 방향을 따라 천공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발생 모듈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진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고주파 방사부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좌측에서 돌출된 제1 고주파 방사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우측에서 돌출된 제2 고주파 방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영역에 중첩된 제1 음향 발생 모듈;
    상기 제1 고주파 방사부의 후면에 배치된 제2 음향 발생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 영역에 중첩된 제3 음향 발생 모듈; 및
    상기 제2 고주파 방사부의 후면에 배치된 제4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모듈이 배치된 영역과 상기 제3 음향 발생 모듈이 배치된 영역을 분할하는 파티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패널 접착 부재보다 탄성이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패널 접착 부재의 측면을 덮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후단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고주파 방사부의 일단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면에 배치된 제1 음향 발생 모듈; 및
    상기 고주파 방사부의 후면에 배치된 제2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2 음향 발생 모듈의 진동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의 전면(Front Surface)을 덮는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의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의 진동 변위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69208A 2017-12-11 2017-12-1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208A KR102445686B1 (ko) 2017-12-11 2017-12-1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208A KR102445686B1 (ko) 2017-12-11 2017-12-1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36A true KR20190068936A (ko) 2019-06-19
KR102445686B1 KR102445686B1 (ko) 2022-09-20

Family

ID=6710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208A KR102445686B1 (ko) 2017-12-11 2017-12-1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6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127A1 (en) * 2019-08-22 2021-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channel speaker system
WO2021241985A1 (ko) * 2020-05-27 2021-1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97961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2078143A (ja) * 2019-07-22 2022-05-2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を含む車両
CN115145074A (zh) * 2022-03-21 2022-10-0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232A (ja) * 2012-08-15 2014-02-27 Authentic International:Kk 薄型テレビなどディスプレイ用の平面スピーカー
KR20150078267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80302B1 (ko) * 2016-11-04 2017-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20170135673A (ko) * 2016-05-30 2017-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232A (ja) * 2012-08-15 2014-02-27 Authentic International:Kk 薄型テレビなどディスプレイ用の平面スピーカー
KR20150078267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135673A (ko) * 2016-05-30 2017-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80302B1 (ko) * 2016-11-04 2017-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8143A (ja) * 2019-07-22 2022-05-2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を含む車両
US11689835B2 (en) 2019-07-22 2023-06-2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21034127A1 (en) * 2019-08-22 2021-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channel speaker system
US11303979B2 (en) 2019-08-22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channel speaker system
WO2021241985A1 (ko) * 2020-05-27 2021-1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97961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145074A (zh) * 2022-03-21 2022-10-0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5145075A (zh) * 2022-03-21 2022-10-0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5145075B (zh) * 2022-03-21 2024-03-2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5145074B (zh) * 2022-03-21 2024-03-2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686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22573B (zh) 显示装置及包括该显示装置的计算装置
KR201900689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52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30876B (zh) 显示设备和包括该显示设备的计算设备
KR202201030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566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8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