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056A -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056A
KR20190068056A KR1020170168059A KR20170168059A KR20190068056A KR 20190068056 A KR20190068056 A KR 20190068056A KR 1020170168059 A KR1020170168059 A KR 1020170168059A KR 20170168059 A KR20170168059 A KR 20170168059A KR 20190068056 A KR20190068056 A KR 2019006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amount
concentrated water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택
홍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7016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8056A/ko
Publication of KR2019006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8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concentrate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RO필터로부터 여과되어 배출되는 농축수(RO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버려지는 폐수를 의미한다) 량을 제어하기 위한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은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해 세디먼트필터와, 프리카본필터와, RO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와, 상기 포스트카본필터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1유량센서와, 상기 RO필터의 농축수 라인에 설치되는 제2유량센서와, 상기 제2유량센서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스텝핑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2유량센서에 의해 정수 및 농축수 출수량을 실시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미리설정된 임의설정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는 경우 종료하고,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지않을 경우 정수 및 농축수 량과 임의설정값의 대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텝핑밸브를 개방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증대되도록 보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텝핑밸브를 폐쇄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감소되도록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waste water outflow for RO filter of 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O필터로부터 여과되어 배출되는 농축수(RO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버려지는 폐수를 의미한다) 량을 제어하기 위한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RO필터가 구비된 일반적인 정수시스템은,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수도수, 지하수 등을 말함) 중에 포함되는 녹, 흙, 모래, 부유되는 고형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세디먼트 필터(1)와,
활성탄의 흡착방식에 의해 수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 유기화학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프리카본 필터(2)와,
폴리아마이드 복합막에 의해 수중의 세균, 오염물질, 무기물질, 중금속 등을 여과하기 위한 역삼투막 필터(RO필터)(3)와,
수중의 냄새, 가스성분 등을 정수처리하여 물맛을 개선하기 위한 포스트카본 필터(4);
세디먼트 필터(1)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저수탱크(storage tank)(5)의 정수가 만수위되는 경우 정수필터측으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ASV(auto shut-off valve)(6);를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7은 RO필터(3)로부터 배출되는 정수 량과 농축수 량의 비율이 임의비율(일 예로서, 1:1 ∼ 1:3)을 유지하도록 농축수 량을 조절하기 위한 폐수방(flow restrictor)이다.
즉, RO필터의 특성상, RO필터에 유입되는 원수 유입량에 대해, RO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정수수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 량(일반적으로 3:1 비율을 갖게 됨)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므로 회수율이 매우 낮은 단점을 갖게 된다.
한편, RO필터(3)를 사용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RO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량이 RO필터(3) 멤브레인의 단면적, 수압 또는 계절 변동에 따른 수온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RO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량이 계절 변동에 따른 수온 또는 정수기 사양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게 되므로 정수 량에 대한 농축수 량의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RO필터(3)가 구비된 정수기를 사용하는 일반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비전문가인 소비자가 계절 변동에 따라 직접 폐수방(7)의 개구량을 조절하여 농축수 배출량을 조절하기란 쉽지않게 된다.
이로 인해, 농축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폐수방(7) 개구량을 조절하는 작업을 정수기를 관리하는 전문업체에 의뢰할 경우 출장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가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24777호(2004.03.22.공개.)에 폐수절감형 정수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RO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 량에 대한 폐수 량을 자동 조절하여 소비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RO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량 및 폐수 량을 조절하고, 소비자에게 수질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여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해 세디먼트필터와, 프리카본필터와, RO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와, 상기 포스트카본필터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1유량센서와, 상기 RO필터의 농축수 라인에 설치되는 제2유량센서와, 상기 제2유량센서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스텝핑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2유량센서에 의해 정수 및 농축수 출수량을 실시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미리설정된 임의설정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는 경우 종료하고,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지않을 경우 정수 및 농축수 량과 임의설정값의 대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텝핑밸브를 개방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증대되도록 보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텝핑밸브를 폐쇄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감소되도록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RO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 량에 대한 폐수 량을 자동 조절하여 소비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RO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량 및 폐수 량을 조절하고, TDS센서 및 온도센서에 의해 소비자에게 수질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여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RO필터가 구비된 일반적인 정수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정수기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은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해 세디먼트필터(미 도시됨)와, 프리카본필터(10)와, RO필터(11) 및 포스트카본필터(12)와, 포스트카본필터(12)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1유량센서(13)와, RO필터(11)의 농축수 라인에 설치되는 제2유량센서(14)와, 제2유량센서(14)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스텝핑밸브(15)를 구비하는 정수기(A)의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RO필터(11)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포스트카본필터(12)를 통과하는 정수 량을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실시간 검출하고, RO필터(11)에 의해 여과되는 농축수 출수량을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실시간 검출하는 단계(S100);
제1,2유량센서(13,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미리설정된 임의설정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제1,2유량센서(13,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는 경우 종료하고, 제1,2유량센서(13,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지않을 경우 정수 및 농축수 량과 임의설정값의 대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A,S300B);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거나, 또는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을 경우 스텝핑밸브(15)를 개방(ON상태로 전환됨을 말함)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증대되도록 보정하는 단계(S400);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거나, 또는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스텝핑밸브(15)를 폐쇄(OFF상태로 전환됨을 말함)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감소되도록 보정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수기(A)는
프리카본필터(10)와 RO필터(11)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RO필터(11)에 유입되는 원수 온도를 실시간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수기(A)는
프리카본필터(10)와 RO필터(11)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RO필터(11)에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TDS를 실시간 검출하기 위한 제1TDS센서(17);
스텝핑밸브(15)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고, RO필터(11)로부터 농축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 중에 포함되는 TDS를 실시간 검출하기 위한 제2TDS센서(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TDS센서(17)에 의해 RO필터(11)에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TDS를 실시간 검출하고, 제2TDS센서(18)에 의해 RO필터(11)로부터 농축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 중에 포함되는 TDS를 실시간 검출하되, 검출된 TDS값을 제어기에 전송함에 따라 검출된 원수 또는 농축수 중에 포함된 TDS를 포함하는 수질 정보를 미 도시된 표시기(display)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정수기(A)는
프리카본필터(10)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19);
제2TDS센서(18)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수돗물 등의 원수를 직렬형으로 이음연결된 세디먼트필터(미 도시됨), 프리카본필터(10), RO필터(11), 포스트카본필터(12)에 의해 순차적으로 정수처리하되 정수를 저수탱크(미 도시됨)에 저장하거나 파우셋(미 도시됨)을 통해 배출하고, RO필터(11)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를 싱크대의 계수대(미 도시됨)로 버리게 되는, RO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A)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의하면,
S100에서와 같이, RO필터(11)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포스트카본필터(12)를 통과하는 정수 량을 포스트카본필터(12) 하류측 관로에 설치된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검출한다.
또한, RO필터(11)에 의해 여과되는 농축수(또는 폐수 라고 함) 출수량을 RO필터(11) 농축수 라인에 설치된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한다.
제1유량센서(13) 및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량 및 농축수 량에 대한 검출치는 제어부(미 도시됨)에 전송된다.
S200에서와 같이, 제1유량센서(13) 및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정수 량 및 농축수 량이 검출됨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제1유량센서(13) 및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미리설정된 임의설정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제1,2유량센서(13,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제1,2유량센서(13,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지않을 경우에는 정수 및 농축수 량과 임의설정값의 대소여부를 판단하는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S300A에서와 같이, 제1,2유량센서(13,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지않을 경우 정수 및 농축수 량과 임의설정값의 대소여부를 판단하되,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거나, 또는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을 경우 S400으로 진행한다.
S400에서와 같이,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거나,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은 경우로서,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폐수조절용 솔레노이드밸브(도면부호 미 표기됨)를 제어하여 스텝핑밸브(15)를 개방(ON상태로 전환됨을 말함)시킴에 따라, RO필터(11)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 량을 늘려 임의설정값으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S300B에서와 같이, 제1,2유량센서(13,14)에 의해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지않을 경우 정수 및 농축수 량과 임의설정값의 대소여부를 판단하되,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거나, 또는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S500으로 진행한다.
S500에서와 같이, 제1유량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거나, 제2유량센서(14)에 의해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은 경우로서,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폐수조절용 솔레노이드밸브(도면부호 미 표기됨)를 제어하여 스텝핑밸브(15)를 폐쇄(OFF상태로 전환됨을 말함)시킴에 따라, RO필터(11)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 량을 줄여 임의설정값으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리카본필터
11; RO필터
12; 포스트카본필터
13; 제1유량센서
14; 제2유량센서
15; 스텝핑밸브
16; 온도센서
17; 제1TDS센서
18; 제2TDS센서
19; 제1솔레노이드밸브
20; 제2솔레노이드밸브
A; 정수기

Claims (4)

  1.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해 세디먼트필터와, 프리카본필터와, RO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와, 상기 포스트카본필터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1유량센서와, 상기 RO필터의 농축수 라인에 설치되는 제2유량센서와, 상기 제2유량센서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스텝핑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2유량센서에 의해 정수 및 농축수 출수량을 실시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미리설정된 임의설정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는 경우 종료하고, 상기 검출된 정수 및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과 일치되지않을 경우 정수 및 농축수 량과 임의설정값의 대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텝핑밸브를 개방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증대되도록 보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텝핑밸브를 폐쇄시켜 농축수 량이 임의설정값으로 감소되도록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프리카본필터와 상기 RO필터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RO필터에 유입되는 원수 온도를 실시간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프리카본필터와 상기 RO필터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RO필터에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TDS를 실시간 검출하기 위한 제1TDS센서;
    상기 스텝핑밸브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RO필터로부터 농축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 중에 포함되는 TDS를 실시간 검출하기 위한 제2TDS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프리카본필터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TDS센서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KR1020170168059A 2017-12-08 2017-12-08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KR20190068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59A KR20190068056A (ko) 2017-12-08 2017-12-08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59A KR20190068056A (ko) 2017-12-08 2017-12-08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56A true KR20190068056A (ko) 2019-06-18

Family

ID=6710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059A KR20190068056A (ko) 2017-12-08 2017-12-08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80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91433A1 (en) * 2019-12-20 2021-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4368802A (zh) * 2022-03-07 2022-04-19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系统的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748929A (zh) * 2022-04-29 2022-07-15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过滤器滤芯寿命检测方法、设备、滤水系统及热水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91433A1 (en) * 2019-12-20 2021-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4368802A (zh) * 2022-03-07 2022-04-19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系统的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368802B (zh) * 2022-03-07 2023-11-07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系统的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748929A (zh) * 2022-04-29 2022-07-15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过滤器滤芯寿命检测方法、设备、滤水系统及热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0640A1 (en) Water conditioning systems having diversion devices
KR101804485B1 (ko)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US20170129795A1 (en)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KR20190068056A (ko) 정수기의 ro필터용 농축수 배출량 제어방법
CN106396160B (zh) 净水系统及其控制方法
Riera et al. Nanofiltration of UHT flash cooler condensates from a dairy factory: Characterisation and water reuse potential
US9616388B2 (en) Reverse osmosis system with an automated modulated bypass
JP2007512944A (ja) 水処理用流水式タンク
US8066887B1 (en) Wastewater concentrator
US200701197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rrosivity of purified water
US8142656B1 (en) Wastewater concentrator system
CN116040703A (zh) 净水机及净水机控制方法
CN215288228U (zh) 一种自动调压中央净水器
RU2671323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100872340B1 (ko) 보조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장치
CN111003765A (zh) 一种纯废水比例恒定的净水系统及净水器
CN107165221B (zh) 分质给水设备及其供水方法
CN207062005U (zh) 一种可自动调节废水比的家用净水器
KR20190068053A (ko) Ro필터용 정수 량 확인 및 농축수 배출량 조절밸브
US201901122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hardness in a dwelling
JP2023522550A (ja) 水濾過システムにおけるスケーリングを最小化する方法
TWI797807B (zh) Ro淨水裝置
CN220201663U (zh) 一种节水净水器
CN112919714B (zh) 水处理装置以及方法
KR102511504B1 (ko) Nf막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