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029A -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029A
KR20190067029A KR1020170167001A KR20170167001A KR20190067029A KR 20190067029 A KR20190067029 A KR 20190067029A KR 1020170167001 A KR1020170167001 A KR 1020170167001A KR 20170167001 A KR20170167001 A KR 20170167001A KR 20190067029 A KR20190067029 A KR 2019006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liness level
level
air cleanlines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029A/en
Publication of KR2019006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0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sensing air quality through a sensor device and determining an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in accordance with a sensed result; discharging an initial air volu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a blowing fan based on the determined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re-sensing air quality through the sensor device and then additionally determining a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mparing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with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and increasing or reducing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in accordance with a comparison result. Accordingly, a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purifier can be optimally controlled.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is understood to be an apparatus for sucking contaminated air to purify it, and then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n air blowing devic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air cleaner,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의 청정도(또는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기 센서장치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기초하여, 공기 청정기에서 토출되는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includes a sensor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degree of cleanliness (or contamination) of the air. The air cleaner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based on the degree of cleanliness detected by the sensor device.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본 출원인의 선행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The applicant ' s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is technique are as follows.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05-0110100 (2005년 11월 17일)1. Public number (publication date): 10-2005-0110100 (November 17, 2005)

2. 발명의 명칭 :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2.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 선행문헌에는, 복수 개의 오염도 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오염도값을 조합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값에 따라 풍량이 결정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The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of combining the pollution degree value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pollution degree sensors and determining the air amount based on the highest pollution degree value.

이러한 선행문헌의 기술에 의하면, 공기청정 속도는 개선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과도한 풍량을 토출하여 공기 청정기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prior art description, the air cleaning rate can be improved, but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cleaner by discharging a relatively excessive air volume may occur.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개의 오염도 감지센서의 센싱 정확도가 정확하지 않아, 실제보다 공기의 오염도가 나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불필요하게 과도한 토출풍량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ensing accuracy of the plurality of three sensors is not accurate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is judged to be worse than the actual one, unnecessarily excessive air flow may be generated.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의 공기 청정도와 과거의 공기청정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토출 풍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n air purifier capable of comparing the current air cleanliness degree with the past air cleanliness degree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resul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특히,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높아진 경우, 즉 공기청정도가 개선된 경우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감소하고,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낮아진 경우, 즉 공기청정도가 나빠진 경우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증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articularly,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when the air cleanliness degree is improved,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cleaner is decreased and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And an air cleaner capabl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when the air cleanliness is deteriora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때,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에 따라 미리 결정된 토출풍량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ier and its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 predetermined discharge air volume in accordance with a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when performing control to reduce or increase the air volume to be blown out of the air cleaner .

이 경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하더라도,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로부터 높아졌는지 또는 낮아졌는지 여부에 따라, 토출풍량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is case, even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rresponds to a certain level, the size of the air volume to be blown can be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air cleanliness level has been raised or lowered from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또한, 장시간 공기 청정도의 나쁜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 토출풍량을 최대로 발생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maximize the amount of air to be blown when a bad state of air cleanliness for a long time is continuously maintained.

이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과거와 현재의 공기청정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토출풍량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쾌적감을 제공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that can provide a pleasant feeling to a user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by comparing an air cleanliness degree of the air cleaner with the past air cleanliness degree and generating an optimum discharge air volume do.

또한, 현재의 공기청정 레벨에 관한 정보 및 공기 청정기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display information on the current air cleaning level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leaner to the user.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는, 센서장치를 통하여 공기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에 기초하여, 송풍팬이 초기 설정시간동안 초기풍량을 토출하는 단계; 상기 센서장치를 통하여 공기질을 다시 감지하고,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추가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과,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공기청정기의 토출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an air quality through a sensor device and determining an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according to a sensed result; Based on the determined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the blowing fan discharging the initial air volume for the initial set time; Sensing air quality again through the sensor device and further determining a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mparing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with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And a step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whereby the discharge air flow rate of the air purifier can be controlled optimally.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감소되고,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은 제 2 설정시간 동안 증가되어, 공기청정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is decreased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The air volume of the fan is increas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so that the air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할 때,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높아진 경우와,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낮아진 경우의, 상기 송풍기의 송풍량은 서로 다르게 결정되어, 신속한 공기정화 및 소비전력 저감을 꾀할 수 있다.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and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is determin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air purification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apidly reduced.

상기 송풍팬의 풍량이 제 2 설정시간 동안 증가되는 제어의 수행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큰 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의 수행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크게 되면,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에 관계없이, 상기 송풍팬은 미리 설정된 최대풍량을 토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공기질이 매우 안좋을 경우 공기 청정기는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A step of recognizing whether the number of times of execution of the control in which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ing fan is increas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And when the number of times of performing the control is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the air blowing fan discharges a predetermined maximum air volume irrespective o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When the air quality is very poor, The ability to demonstrate.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토출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공기질을 감지하는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장치에서 감지된 공기질을 감지하여 공기청정도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기청정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결정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blowing fan for generating an air flow rate; A sensor device for sensing air quality;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air cleanliness level by sensing the air quality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ing fan based on the determined air cleanliness level.

상기 제어부는,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과,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with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and performs control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fa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감소하며,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증가한다.Wherein the control unit decreases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and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is increas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할 때,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하였을 때의 송풍팬의 풍량은,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하였을 때의 송풍팬의 풍량보다 크게 발생되도록 제어된다.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blowing fa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rresponds to a specific level, Is controlled to be larger than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er fan when the level of the blower fan is higher than that of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과, 상기 송풍팬의 송풍량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된다.And a memory unit for mapping and storing the air cleanliness level and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fan.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송풍량을 서로 다르게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mory unit may store the air blowing amounts of the blowing fans in different mappings according to whether the current air cleaning level is higher or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ing degree level.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된다.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ir cleanliness level.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 및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에 관한 정보가 비교 가능하게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and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n a comparable manner.

상기한 해결수단에 의하면, 현재의 공기 청정도와 과거의 공기청정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토출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current air cleanliness degree with the past air cleanliness degree, and to optimally control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result.

특히,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높아진 경우, 즉 공기청정도가 개선된 경우에는, 공기 청정도가 향후 계속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하에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감소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하면서도 공기 청정기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when the air cleanliness degree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cleaner in the expectation that the air cleanliness degree will continue to improve in the futur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cleaner can be reduced.

반면에,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낮아진 경우, 즉 공기청정도가 나빠진 경우에는, 공기 청정도가 향후 계속 나빠질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하에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증가함으로써, 공기 질을 최대한 신속하게 정화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when the air cleanliness degree is deteriorated, it is judged that the air cleanliness level may deteriorate further in the future, Can be cleaned as quickly as possible.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때,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에 따라 미리 결정된 토출풍량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to decrease or increase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cleaner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air flow rate according to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상세하게는,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하더라도,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로부터 높아져서 현재의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는 토출풍량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로부터 낮아져서 현재의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는 토출풍량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even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rresponds to a specific level, the air cleanliness level can be determined relatively weakly when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raised from the past level to reach the current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and reaches the current level, the discharge air volume can be determined relatively strongly.

따라서, 공기 청정도의 변화되는 양상에 따라, 특정 청정도 레벨에서도 서로 다른 토출풍량이 발생되어, 최적 공기청정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nging aspect of air cleanliness, different discharge air amounts are generated even at a specific cleanliness level, and optimal air cleaning control can be achieved.

또한, 장시간 공기 청정도의 나쁜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 토출풍량을 최대로 발생시킴으로써, 신속한 공기청정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when the bad state of the air purifying degree for a long time is continuously maintained, rapid air purifying control can be achieved by maximizing the discharge air volume.

또한, 현재의 공기청정 레벨에 관한 정보 및 공기 청정기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air cleaning level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leaner to the user,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30) 및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1 and 2, an air clea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 forming an internal space. The case 11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ion 3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ion 4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상세히, 상기 케이스(11)에는, 다수의 흡입그릴(32)이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흡입그릴(32)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에는, 다수의 토출그릴(42)이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토출그릴(42)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case 11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grills 32, and the suction unit 30 may be formed between the suction grills 32. The case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grilles 42 and the discharge unit 40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ischarge grilles 42.

상기 케이스(11)에는, 다수의 패널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패널(12)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패널(12)에는 상기 흡입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11 includes a plurality of panels. In detail, the plurality of panels includes a front panel 12 forming a front portion of the air cleaner 10. The suction unit 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12.

상기 전면패널(12)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패널(12)은 상기 케이스(11)의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의 양측에는, 상기 전면패널(12)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이 닫힐 때, 상기 전면패널(12)의 상단부는 상면패널(16)의 하단부에 맞춰질 수 있다.The front panel 12 may be provided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 For example, the front panel 12 may be rotatable abou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11 forwar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nel 12, a grip portion 12a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for opening the front panel 12 may be provided. When the front panel 12 is closed,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2 can be alig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16.

상기 전면패널(12)이 개방되면, 상기 전면패널(12)의 후측에 설치되는 필터 부재(11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분리하거나, 상기 필터부재(110)를 상기 전면패널(12)의 후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When the front panel 12 is opened, the filter member 11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12 may be exposed. The user can separate the filter member 110 or connect the filter member 110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12 with the front panel 12 opened.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전면패널(12)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측면패널(1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측면패널(14)은 상기 전면패널(12)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se 11 further includes a side panel 14 disposed at a side of the front panel 12 and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air cleaner 10. The side panels 14 may be configured to extend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panel 12.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후면패널(18)이 더 포함된다. 상기 후면패널(18)은 상기 전면 패널(12)을 바라보도록 연장되며, 상기 양측의 측면패널(14)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se 11 further includes a rear panel 18 forming a rear portion of the air cleaner 10. The rear panel 18 may extend to face the front panel 12 and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rear ends of the side panels 14 on both sides.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부를 형성하는 상면패널(1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상면패널(16)은 상기 양측의 측면패널(14) 및 후면패널(18)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16)에는, 상기 토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11 further includes a top panel 16 forming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leaner 10. The top panel 16 may be coupled to the top ends of the side panels 14 and the back panel 18 on both sides. The discharge portion 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nel 16. [

상기 상면패널(16)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 또는 필터부재(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0)가 구비된다. The upper panel 16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20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 or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filter member 110.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공기청정도 정보가 레벨화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청정도의 레벨이 1~4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도의 레벨이 "1"인 경우 공기질이 "매우 나쁨" 상태인 것으로 인식되며, 공기청정도의 레벨이 "2"인 경우 공기질이 "나쁨" 상태, 공기청정도의 레벨이 "3"인 경우 공기질이 "보통" 상태, 공기청정도의 레벨이 "4"인 경우 공기질이 "좋음" 상태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For example, on the display unit 20, the air cleanliness degree information can be level-displayed. For example, the level of air cleanliness can be displayed as 1 to 4. When the level of the air cleanliness degree is "1 ", it is recognized that the air quality is" very bad ", and when the air cleanliness degree is & If the air quality is "normal" and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4 ", then the air quality can be recognized as being in the" good "state.

물론, 이와 반대로, 공기청정도 레벨 "4"가 "매우 나쁨" 상태이고,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낮아질수록 공기질이 점점 좋아지는 것으로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conversely, the air cleanliness level "4" is "very bad ", and as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ed,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현재의 공기청정도 정보가 상기와 같이 레벨화 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the display unit 20, current air cleanlines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a level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현재의 공기청정도 정보 및 과거의 공기청정도 정보가 비교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정보는 설정시간 이전의 공기청정도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0 can display current air cleanliness information and past air cleanliness information in a comparable manner. The past air cleanliness information may include an air cleanliness level before the set time. For example, the set time may be 10 minutes.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과거의 공기청정도 정보는 레벨 "1"인 매우 나쁨상태였지만,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한 이후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은 레벨 "3"인 보통"상태로 개선되었는 것을 비교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display section 20, the past air cleanliness degree information is in a very bad state of level "1 ", but after the elapse of the set time, the current air cleanliness degree level is" Can be displayed comparatively.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저면을 구성하며, 상기 측면패널(14)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3)는 지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case 11 further includes a base 13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air cleaner 10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panel 14. The base 13 may be supported by a ground.

상기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는, 공기 중 이물 또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필터부재(110)가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110)에는,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하전된 입자를 집진극에 포집하는 전기 집진필터, 공기 중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을 필터링 하는 이물제거 필터로서의 헤파필터(HEPA FILTER) 또는 공기 냄새입자를 필터링 하는 탈취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 a filter member 11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or dust in the air is provided. For example, the filter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collect charged particles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 HEPA filter (HEPA filter) for removing microorganisms such as fine dust and viruses in the air, FILTER) or a deodorization filter for filtering air odor particles.

상기 필터부재(110)는 상기 베이스(13)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110)는 대략 사각 패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부재(1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1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파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2)의 흡입부(3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10 may be arrang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3. In one example, the filter member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ne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lter member 110 is not limited. A filter grasping portion 112, which can be grasped by the user, may be provided on the filter member 110.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30 of the front panel 12 can be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110.

상기 필터부재(110)의 출구측에는, 송풍팬(60)이 배치된다. 일례로, 상기 송풍팬(6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 또는 시로코팬(siro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송풍팬(60)을 통과하면서,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A blowing fan (60) is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ilter member (110). For example, the blowing fan 60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or a sirocco fan that sucks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air in a radial direction. The air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filter member 110 can flow up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60.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송풍팬(6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모터(61)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팬모터(61)는 상기 송풍팬(60)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패널(18)의 내측면에는, 상기 팬모터(61)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18a)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cleaner 10 further includes a fan motor 61 coupled to the blowing fan 60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he fan motor 61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60.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anel 18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support portion 18a for supporting the fan motor 61. [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와 상기 팬모터(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를 송풍실과 포집실로 구획하는 배리어(65)가 포함된다. 상기 배리어(65)는 상기 베이스(1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면패널(1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air cleaner 10 includes a barrier 65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member 110 and the fan motor 60 and divides the inside of the case 11 into a blowing chamber and a collecting chamber. The barrier 65 is configur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base 13 and to be coupled to the top panel 16.

상기 배리어(65)에는,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으로 개구된 팬 유입부(65a)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 단부는 상기 팬 유입부(65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유입부(65a)를 경유하여, 상기 송풍팬(60)으로 흡입될 수 있다.The barrier 65 includes a fan inlet portion 65a that is open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side of the blowing fan 60. [ The suction side end of the blowing fan 6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fan inlet 65a.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ember 110 can be sucked into the blowing fan 60 via the fan inlet 65a.

상기 송풍팬(60)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상면패널(16)에 구비되는 토출부(40)를 통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that has flowed upward through the air blowing fan 6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40 provided on the top panel 16. [

상기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박스(2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2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하측에 배치된다.A control box 25 provided with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2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 [ The control box 25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unit 20.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재(110)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컨트롤박스(25)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는 상기 전면패널(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리어(65)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이 개방될 때,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는 상기 전면패널(12)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A partition plate 120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11 to divide a space where the filter member 110 is installed and a space where the control box 25 is installed. The partition plate 120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front panel 12 and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rrier 65. When the front panel 12 is opened, the partition plate 120 can be moved forward together with the front panel 12.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필터부재(110)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는 상기 필터삽입부(122)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13)에 놓여지는 필터지지부(111)에 안착될 수 있다.The partition plate 120 may be formed with a filter insertion portion 122 into which the filter member 110 is inserted. The filter member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 122 and extend downward and may be seated in the filter support 111 placed on the base 13.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는 케이스(11)의 하부공간과, 상기 컨트롤박스(25)가 설치되는 상부공간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e lower space of the case 11 where the flow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110 is generated by the partition plate 120 and the upper space where the control box 25 is installed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흡입부(30)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청정도(또는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장치(1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70)는 상기 필터부재(111)의 흡입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se 11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device 170 for sensing the degree of cleanliness (or contamination) of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30. [ The sensor device 170 may be dispos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filter member 111.

일례로, 상기 센서장치(170)는 상기 흡입부(30)의 주변 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패널(12,14,16,18) 중 어느 하나의 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장치(170)는 상기 측면패널(14)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장치(170)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ensor device 17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nels 12, 14, 16, 18 at a peripheral position of the suction unit 30. [ For example, the sensor device 17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anel 14. [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device 17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센서장치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치에는,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sensor device may include a dust sensor for sens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The sens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as sensor for sensing an amount of gas in the ai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4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3, an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40 that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상기 입력부(140)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전원입력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40)에는, 토출풍량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풍량입력부 및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운전시간 입력부가 포함된다. The input unit 140 includes a power input unit that can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air cleaner 10. The input unit 140 includes an air flow rate input unit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air flow rate and an operation time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air purifier 10.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 청정기(10)이 운전시간을 적산할 수 있는 타이머(15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타이머(150)는,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한 공기 청정도 감지시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한 공기 청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타이머(150)에 의하여 적산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한 추가적인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cleaner 10 includes a timer 150 for allowing the air cleaner 10 to accumulate the operation time. In one example, the timer 150 may be used to determine when air cleaning through the sensor device 170 is sens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 is started, the degree of air cleanliness through the sensor device 170 is sensed, and when the time accumulated by the timer 150 elapses, Additional detection can be accomplished through.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하여 감지한 공기 청정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공기 청정도의 레벨화 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air cleaner 10 further includes a memory unit 160 for storing information on air cleanliness sensed through the sensor device 170. For example,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the leveled information of the air cleanliness.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한 공기청정도에 관한 감지횟수를 카운팅 하는 카운터(18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에 비하여 낮아진 경우, 즉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가 악화된 경우,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설정시간 운전 및 공기청정기의 감지횟수는 설정횟수 만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정횟수의 도달여부는 상기 카운터(18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air cleaner 10 further includes a counter 180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sensing the air cleanliness degree through the sensor device 170.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degree is deteriorated, the set tim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 and the number of sensed times of the air cleaner are set The number of times can be made. Whether or not the set number of times has been reached may be performed by the counter 180.

그리고, 상기 카운터(180)에 의하여 카운팅 된 횟수가 상기 설정횟수 이상이 되면, 공기청정도 레벨이 좋아질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송풍팬(60)은 최대풍량을 토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imes counted by the counter 18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is recognized that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unlikely to be improved, and the blowing fan 60 can be controlled to discharge the maximum air volume.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입력부(140), 타이머(150), 메모리부(160), 센서장치(170) 및 상기 카운터(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들 제어부품에서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6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더 포함된다. The air cleaner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140, the timer 150, the memory unit 160, the sensor device 170, and the counter 180, And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60 or the display unit 20 based thereon.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장치(170)에서 감지된 감지값으로부터 공기 청정도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장치(170)에서 감지된 전압 또는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청정도의 레벨을 "레벨 1"에서 "레벨 4" 중 어느 하나의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60)의 토출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e level of air cleanliness from the sensed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device 170. [ For example, the level of the air cleanliness degree can be determined as any one of "level 1" to "level 4" based on the voltage or resistance value sensed by the sensor device 170. Then,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level,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60 can be determined.

아래 [표 1] 및 [표 2]는 공기 청정도의 레벨에 따라 송풍팬(60)의 토출풍량이 결정 또는 변경되도록, 매핑된 정보를 보여준다. 이러한 매핑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Table 1] and [Table 2] below show mapped information so that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blowing fan 60 is determin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ir cleanliness. The mapp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공기청정도 레벨Air cleanliness level 1 (매우 나쁨)1 (very bad) 2 (나쁨)2 (poor) 3 (보통)3 (usually) 4 (좋음)4 (good) 기본 토출풍량Basic discharge air volume 강풍gale 중풍Strike 약풍The 미풍breeze

공기 청정기(10)의 전원이 온 되고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센서장치(170)로부터 공기질이 감지되어 공기청정도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공기청정도 레벨에 매핑된 토출풍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송풍팬(60)이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결정된 공기청정도 레벨을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 상기 매핑된 토출풍량을 "초기 풍량"이라 이름할 수 있다.When the power of the air cleaner 10 is turned on and operation is started, air quality is detected from the sensor device 170 to determine the air cleanliness level, and the air volume mapped to the determined air cleanliness level is generated. The blowing fan 60 can be driven. At this time, the determined air cleanliness level may be referred to as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and the mapped discharge air volume may be referred to as "initial air volume."

상세히,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청정도 레벨이 "레벨 1(매우나쁨)"이면,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상대적으로 많은 풍량을 토출하는 "강풍" 모드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2(나쁨), 레벨 3(보통) 및 레벨 4(좋음)이면, 차례로 토출풍량이 줄어드는 "중풍", "약풍" 및 "미풍" 모드가 각각 수행된다.In detail, 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1 (very bad)", the air cleaner 10 performs a "strong wind" mode in whic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When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2 (bad), level 3 (normal) and level 4 (good)," paranoia ", "gentle wind"

공기청정도 레벨Air cleanliness level 레벨 4(좋음)Level 4 (good) 레벨 3(보통)Level 3 (normal) 레벨 2(나쁨)Level 2 (Poor) 레벨 1(매우 나쁨)Level 1 (very bad) 레벨 증가(공기질 개선)Increased level (improved air quality) 미풍breeze 약풍The 중풍Strike 강풍gale 레벨 감소(공기질 악화)Reduced level (worse air quality) 미풍breeze 중풍Strike 강풍gale 터보풍Turbo wind

상기 [표 1]에서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청정기(10)가 초기 설정시간 동안 운전되면,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하여 추가적인 공기질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된 공기질로부터 공기청정도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Based on the information mapped in Table 1 above, additional air quality can be sensed through the sensor device 170 when the air purifier 10 is operated for an initial set time.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an air cleanliness level from the sensed air quality.

그리고, [표 1]에서 감지된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로부터 추가적으로 감지된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비교될 수 있다. Further,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detected additionally from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detected in [Table 1] can be compared.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되었으면, 즉 공기질이 개선되었으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토출풍량은 감소될 수 있다.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 that is, if the air quality is improved,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cleaner 10 may be reduced.

일례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2(나쁨)"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3(보통)"인 상태로 증가하였으면, 토출풍량은 "중풍"에서 "약풍"으로 감소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1(매우 나쁨)"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3(보통)"인 상태로 증가하였으면, 토출풍량은 "강풍"에서 "약풍"으로 감소된다. For example,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increased to "level 3 (normal)" while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2 (bad)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3 (normal)" in a state where the above-described "pas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1 (very bad) , The discharge air amount is reduced from "strong wind" to "soft wind ".

이는, [표 1]에 매핑된 풍량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즉, [표 2]에 개시된 각 레벨별 토출풍량은 [표 1]에 개시된 풍량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This can be matched with the air volume information mapped in [Table 1]. That is, the discharge air volume for each level disclosed in [Table 2] may be the same as the air volume information disclosed in [Table 1].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되었으면, 즉 공기질이 악화되었으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토출풍량은 증가될 수 있다.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 that is, if the air quality has deteriorated,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cleaner 10 can be increased.

그리고, [표 2]에 개시된 풍량정보는, [표 1]에 개시된 풍량정보와 다를 수 있다. 상기 [표 2]에 개시된 풍량정보는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을 기준으로 토출되는 풍량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The air volume information disclosed in [Table 2] may be different from the air volume information described in [Table 1]. The air volume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above [Table 2] can be understood as the air volume discharged based o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일례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4(좋음)"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3(보통)"인 상태로 감소하였으면, 토출풍량은 "미풍"에서 "중풍"으로 증가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3(보통)"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1(매우 나쁨)"인 상태로 증가하였으면, 토출풍량은 "약풍"에서 "터보풍"으로 증가된다. 여기서, 상기 "터보풍"은 상기 "강풍"보다 많은 토출풍량을 발생시키는 풍량모드로서,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최대 풍량을 토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reduced to "level 3 (normal)" while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4 (good) In the state where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1 (very bad)" in the state that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s the level 3 (normal) , The discharge air amount is increased from "soft wind" to "turbo wind ". Here, it is understood that the above-mentioned "turbo wind" is an air flow mode in which the discharge air flow rate is larger than the above "strong wind ", and the air cleaner 10 discharges the maximum air flow.

이와 같이,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에 비하여 증가하였는지, 아니면 감소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토출되는 풍량은 달라질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rresponds to a specific level,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increased or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e amount of air to be supplied may vary.

일례로,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3(보통)"인 상태에 있는 경우, 만약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로부터 증가하여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는, [표 2]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토출풍량 "약풍"을 토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in the "level 3 (normal)" state and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has reached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discharge air amount "weak wind ".

반면에,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로부터 감소하여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레벨 3)에 도달한 경우에는,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로부터 증가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토출풍량 "중풍"을 토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leanliness level has dropped from the past level and reached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level 3),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 relatively strong discharge air volume " can do.

이와 같이,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을 감지하여, 단순히 그에 매핑된 풍량을 토출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청정도가 변화되는 양상, 즉 공기질이 개선되고 있는지 아니면 악화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최적의 풍량을 토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쾌적감을 주고 소비전력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In this manner, the present air cleanliness level is sensed and it is judged whether the air cleanliness degree is improved, that is, whether the air quality is improving or not, instead of simply discharging the air volume mapped thereto, By discharging the air volume,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of the air clea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공기 청정기(10)의 전원이 "ON" 되어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송풍팬(60)의 구동이 시작된다. 일례로, 상기 송풍팬(60)은 가장 약한 "미풍"을 토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S11).When the air purifier 10 is turned on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is started, the driving of the air blowing fan 60 is started. For example, the blowing fan 60 can be controlled to discharge the weakest "breeze" (S11).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하여 공기질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공기질로부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S12).The air quality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device 170, and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an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from the sensed air quality. The determined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S12).

그리고, [표 1]에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60)은 초기 풍량을 토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레벨 "1~4"에 대히여, 각각 강풍, 중풍, 약풍 및 미풍이 초기 풍량으로 토출될 수 있다 (S13).Then, based on the information mapped in [Table 1], the blowing fan 60 can be controlled to discharge the initial air flow rate.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strong winds, strokes, weak winds, and breezes can be discharged at an initial air flow rate (S13).

카운터(180)가 초기화 된다 (n=0)(S14).The counter 180 is initialized (n = 0) (S14).

상기 초기 풍량이 토출된 이후, 초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인식된다. 일례로, 상기 초기 설정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S15). 상기 초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센서장치(170)를 통하여 공기질이 다시 감지되며 공기청정도 레벨이 추가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공기청정도 레벨은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로서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After the initial air volume has been discharged, it is recognized whether or not the initial set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the initial setting time may be 10 minutes (S15). If the initial set time has elapsed, the air quality is again sensed through the sensor device 170 and the air cleanliness level can be further determined. The determined air cleanliness level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as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과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하였으면, 즉 공기질이 개선되었으면, 상기 송풍팬(60)의 풍량은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팬(60)의 감소된 풍량은 [표 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If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if the air quality is improved,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60 can be reduced. At this time, the reduced air flow rate of the blowing fan 6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able 2].

일례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1(매우 나쁨)"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4(좋음)"인 상태로 증가하였으면, 토출풍량은 "강풍"에서 "미풍"으로 감소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2(보통)"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1(좋음)"인 상태로 증가하였으면, 토출풍량은 "약풍"에서 "미풍"으로 감소된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increased to "level 4 (good)" while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1 (very bad)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1 (good)" in a state where the above-described "past air cleanliness level" , The discharge air amount is reduced from "soft wind" to "breeze ".

이러한 감소된 토출풍량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설정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S18).This reduced discharge air flow rat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first set time. For example, the first set time may be 10 minutes (S18).

반면에,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과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하였으면, 즉 공기질이 악화되었으면, 상기 송풍팬(60)의 풍량은 증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팬(60)의 증가된 풍량은 [표 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if the air quality deteriorates,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ing fan 60 can be increased. At this time, the increased air flow rate of the blowing fan 6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able 2].

일례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4(좋음)"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2(나쁨)"인 상태로 감소하였으면, 토출풍량은 "미풍"에서 "강풍"으로 증가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과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2(나쁨)"인 상태에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1(매우 나쁨)"인 상태로 증가하였으면, 토출풍량은 "중풍"에서 "터보풍"으로 증가된다. For example, i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reduced to "level 2 (bad)" while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4 (good)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1 (very bad)" in a state where the above-described "past air cleanliness level & , The discharge air flow rate is increased from "paranoia" to "turbo wind ".

이러한 증가된 토출풍량은 제 2 설정시간 동안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설정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S19). 그리고, 카운팅 횟수가 증가한다 (n=n+1)(S20).This increased discharge air flow rat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For example, the second set time may be 10 minutes (S19). Then, the counting number increases (n = n + 1) (S20).

상기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일례로 3 이하이면, 단계 S16 이하의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If the number of count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3, the steps after step S16 can be performed again.

반면에, 상기 카운팅 횟수가 상기 3보다 크면, 상기 카운터(180)를 초기화 하고(n=0), 현재 청정도 레벨에 관계없이 상기 송풍팬(60)을 최대풍량, 즉 "터보풍"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는, 공기질이 악화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공기 청정기(10)를 통한 공기질 개선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 청정기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unting number is greater than 3, the counter 180 is initialized (n = 0) and the blowing fan 60 is driven to the maximum air volume, i.e., " can do. This means that if the time for deteriorating the air quality is prolong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air quality through the air cleaner 10 is not easy, a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ir cleaner is maximized.

즉, 상기 단계 S19에서, 설정시간이 "10분"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가 3일 경우, S19 단계를 30분 수행하였음에도 공기질이 악화되어 공기청정도 레벨이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터보풍"을 출력하여 최대한 빨리 공기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S21,S22,S23).That i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9 that the set time is " 10 minutes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ed due to deterioration of the air quality even though the step S19 is performed for 30 minutes, 10 can output "turbo wind" to improve the air quality as soon as possible (S21, S22, S23).

이러한 제어방법은 공기 청정기(10)가 OFF 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S24).This control method can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air cleaner 10 is turned off (S24).

상기한 공기 청정기(10)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현재의 공기 청정도와 과거의 공기청정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토출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10 described above, the present air purifying degree is compared with the past air purifying degree, and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purifier can be controlled optimally according to the result.

예를 들어,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높아진 경우, 즉 공기청정도가 개선된 경우에는, 공기 청정도가 향후 계속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하에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감소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하면서도 공기 청정기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when the air cleanliness is improved, the user can reduce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air cleaner in the expectation that the air cleanliness will continue to improve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purifier while providing a pleasant feeling.

반면에,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낮아진 경우, 즉 공기청정도가 나빠진 경우에는, 공기 청정도가 향후 계속 나빠질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하에 공기 청정기의 토출풍량을 증가함으로써, 공기 질을 최대한 신속하게 정화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at is, when the air cleanliness degree is deteriorated, it is judged that the air cleanliness level may deteriorate further in the future, Can be cleaned as quickly as possible.

10 : 공기 청정기 20 : 디스플레이부
60 : 송풍팬 140 : 입력부
150 : 타이머 160 : 메모리부
170 : 센서장치 180 : 카운터
200 : 제어부
10: air cleaner 20: display unit
60: blower fan 140: input part
150: timer 160: memory unit
170: Sensor device 180: Counter
200:

Claims (15)

공기 청정기의 운전이 시작되는 단계;
센서장치를 통하여 공기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에 기초하여, 송풍팬이 초기 설정시간동안 초기풍량을 토출하는 단계;
상기 센서장치를 통하여 공기질을 다시 감지하고,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추가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과,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is started;
Sensing an air quality through the sensor device and determining an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according to the sensed result;
Based on the determined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the blowing fan discharging the initial air volume for the initial set time;
Sensing air quality again through the sensor device and further determining a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mparing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with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And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 또는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은,
상기 공기질이 좋아질수록 증가하도록 결정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or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air-
Wherein the air cleaner is determined to increase as the air quality is improv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is reduced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은 제 2 설정시간 동안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ing fan is increased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할 때,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높아진 경우와,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낮아진 경우의,
상기 송풍기의 송풍량은 서로 다르게 결정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rresponds to a certain level,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and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Wherein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is determined different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할 때,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낮아진 경우의 송풍기의 송풍량은,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높아진 경우의 송풍기의 송풍량보다,
크게 결정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rresponds to a certain level,
Wherein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Wherein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purifier largely determin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3이고,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4인 경우의 송풍기의 송풍량은 "중풍"이며,
상기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3이고, 상기 초기 공기청정도 레벨이 레벨 2인 경우의 송풍기의 송풍량은 "약풍"이며,
상기 "중풍"은, 상기 "약풍"보다 큰 풍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3 and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4 is "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3 and the initial air cleanliness level is level 2 is "
Wherein said " stroke "is a larger airflow than said " weak wind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풍량이 제 2 설정시간 동안 증가되는 제어의 수행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큰 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의 수행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크게 되면, 현재 공기청정도 레벨에 관계없이, 상기 송풍팬은 미리 설정된 최대풍량을 토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 step of recognizing whether the number of times of execution of the control in which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ing fan is increas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number of times of execution of the control is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discharging the predetermined maximum air volume regardless of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토출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공기질을 감지하는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장치에서 감지된 공기질을 감지하여 공기청정도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기청정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결정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과,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 청정기.
A blowing fan for generating an air flow rate;
A sensor device for sensing air quality;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air cleanliness level by sensing the air quality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the air volume of the air blowing fan based on the determined air cleanliness level,
Wherei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s compared with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And performs control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감소하며,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하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증가하는 공기 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fan is decreased,
And increases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fa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할 때,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감소하였을 때의 송풍팬의 풍량은,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하였을 때의 송풍팬의 풍량보다 크게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공기 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corresponds to a specific level,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ing fa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low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cleaner so that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greater than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fan whe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과, 상기 송풍팬의 송풍량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air cleanliness level and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fa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이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보다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송풍량을 서로 다르게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mory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has increased or decreased above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And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fan is mapped differently and stor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도 레벨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ir cleanliness leve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현재의 공기청정도 레벨 및 상기 과거의 공기청정도 레벨에 관한 정보가 비교 가능하게 표시되는 공기 청정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urrent air cleanliness level and the past air cleanliness level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a comparable manner.
KR1020170167001A 2017-12-06 2017-12-06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0670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01A KR20190067029A (en) 2017-12-06 2017-12-06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01A KR20190067029A (en) 2017-12-06 2017-12-06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029A true KR20190067029A (en) 2019-06-14

Family

ID=6684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001A KR20190067029A (en) 2017-12-06 2017-12-06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70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3528A (en) * 2019-12-06 2020-04-17 西安和光明宸科技有限公司 Indoor environment dete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3528A (en) * 2019-12-06 2020-04-17 西安和光明宸科技有限公司 Indoor environment det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7400B2 (en) Air cleaner
JP5800652B2 (en) Air cleaner
KR101948003B1 (en) Apparatus for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JP2012097955A (en) Air cleaner
CA2591480C (en) Tower ionizer air cleaner
WO2013047135A2 (en) Air purifier
KR19990084486A (en) How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filter of the air purifier
JP6725213B2 (en) Air cleaner
JP6209735B2 (en) Air cleaner
JP5980637B2 (en) Air conditioner
KR20190067029A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KR100543336B1 (en) A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dding air cleaning capacity
JP5593959B2 (en) Control device for air treatment equipment
KR102362051B1 (en) Air cleaning apparatus having pet mode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JP2017124363A (en) Air cleaner
KR101068045B1 (en) Air cleaner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701741B2 (en) Air cleaner
JP5003162B2 (en) Air conditioner
JP5817776B2 (en) Electric field gener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air purifier, and blow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0669026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KR20000001876A (en) Method of automatic adjustment of sensitivity for air purifier sensor
KR101535557B1 (en) Air cleaner having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64513B1 (en) Air cleane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119068A (en) Air-conditioner having cooling and air-clean road independently
JP5857192B2 (en) Air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