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775A -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 Google Patents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775A
KR20190066775A KR1020170166518A KR20170166518A KR20190066775A KR 20190066775 A KR20190066775 A KR 20190066775A KR 1020170166518 A KR1020170166518 A KR 1020170166518A KR 20170166518 A KR20170166518 A KR 20170166518A KR 20190066775 A KR20190066775 A KR 2019006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se
housing
block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7016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775A/en
Publication of KR2019006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4Electronic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controlling the winding or unwinding process, e.g. with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or unwinding a hos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such as a hose of pesticid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nding device for a hose, wherein a speed control member mounted on a housing of the winding apparatus is formed to control a rotation speed of a driving motor rotating a winding roller in accordance with a circumference length of bundles of hoses formed by the hose wound on the winding roller, thereby allowing the hose to be wound or unwound on the winding roller at a predetermined speed.

Description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본 발명은 농약 호스와 같이 일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호스를 감거나 푸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권취장치의 하우징에 장착된 속도조절부재가 권취롤러에 감긴 호스에 의하여 형성된 호스 다발의 원주 길이에 따라 권취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권취롤러에 호스가 일정의 속도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분야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and unscrewing a hos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such as an agricultural chemical h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se bundle which is formed by a hose wound around a ta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that is configured to adjust a rotational speed of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a winding roller according to a circumferential length so that a hose can be wound or unwound at a constant speed on a winding roller.

최근에는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의 이주가 가속화되면서 발생하는 농촌인구의 고령화 및 농업인력의 감소라는 사회문제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social problems such as the aging of the rural popul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agricultural manpower, which are caused by the rapid migration from the rural area to the urban area, are occurring.

그리고 농약의 살포, 농업용수의 살수 등 농업에는 다양한 종류의 분무 또는 살수작업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작업에서 살포ㆍ살수위치와 농약ㆍ급수탱크 위치는 서로 일정거리이상 떨어져 있기 마련이고, 결국 급수탱크로부터 살수위치까지 호스를 이용하여 농업용수 또는 농약을 공급하게 된다.In most cases, spraying and spraying positions and pesticide / water supply tank posi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In most cases, the water supply tank The hose is used to supply agricultural water or agricultural chemicals.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PTO(Power Train Output)출력을 이용하여 호스를 권취시킬 수 있는 장치가 있으나, 상기 트랙터는 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농가 보급율이 경운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실정이어서, PTO출력을 이용한 호스의 권취장치의 실용성 역시 낮은 실정이다.To this end, there is a device that can wind a hose by using a PTO (Power Train Output) output of an agricultural machine such as a tractor. However, since the tractor has a high price, the farming rat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 tiller, The practicality of the hose winding device using the PTO output is low.

또한, 일반적으로 권취롤러에서 호스를 인출하는 과정은 사람의 손에 의하여 수동으로 이루어 지는데, 이때 권취롤러의 관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권취롤러의 과도한 공회전으로 인출 작업시 호스가 엉키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the process of pulling the hose out of the winding roller is manually performed by a human hand.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se becomes entangled during the drawing operation due to excessive idling of the winding roller caused by inertia of the winding roller.

이와 같이, 농약을 살포하기 위해서 농약호스를 권취롤러에서 푼 다음 살포한 후에 다시 권취롤러로 호스를 감게 되는데, 이때 상기 농약호스가 권취롤러에 골고루 감기지 않아 사용자가 호스를 잡고 일일히 가이드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불필요한 인원과 시간적 낭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this way, in order to spray the pesticide, the agricultural chemical hose is loosened from the take-up roller and then sprayed, and then the hose is wound again by the take-up roller. At this time, the agricultural chemical hose is not wound around the take- It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personnel and time are wasted due to troublesome work.

다음은 농약호스와 같은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The following is a typical conventional technique for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such as an agricultural chemical hos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346호는 호스 자동 감김 및 인출장치를 갖는 생력형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격조정신호 인가에 따라 릴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릴 회전축으로 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시 상방에 결합되는 이동편을 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회전축과, 제1구동모터와 연동되도록 이동편상에 설치되며 원격조정신호 인가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이동편상에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시 호스 외측면을 가압지지하여 릴로 부터 호스를 인출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35346 is directed to a biofuel control system having a hose retracting and withdrawing device. In this system, a reel is rotated in a positive direction and a reverse direction, A rotation shaft which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a reel rotary shaft and moves upwardly and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el in a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 relative to the reel; A pair of rollers installed on the moving piec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while rotating to draw the hose from the reel, Respectively.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원격조정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릴에 호스가 자동으로 감기도록하여 자동화함으로써 동력분무기용 호스의 권취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하여 노동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모터의 회전속도가 일정하더라도, 릴에 호스가 많이 감긴 경우에는 릴에 호스가 적게 감긴 경우보다 호스의 권취속도가 빨라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hose is automatically wound on a reel rotated by a motor that is remotely controlled, thereby automating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hose for the power atomizer, thereby reducing the labor for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nding speed of the hose becomes faster than the case where the hose is wound on the reel less than when the hose is wound on the reel.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346호(2005.04.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5346 (April 18, 20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2109호(2005.08.2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82109 (Aug. 22, 20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969호(2005.02.03.)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5969 (Feb. 3, 2005)

본 발명은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가 항상 일정의 속도로만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권취롤러에 호스가 많이 권취되어 권취된 호스 다발의 원주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호스의 감김 또는 풀림 속도가 빨라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winding apparatus for a hose.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winding apparatus for a hose, since the winding roller rotating by the driving motor can always be rotated at a constant speed, A problem arises that the winding speed of the hose is increased whe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wound hose bundle is long,

또한 펌프와 연결된 호스를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로 인입시킬 때,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호스의 일부분이 하우징 외부에 단순히 늘어져 있는 상태를 가져, 상기 호스의 일부분이 잦은 굽힘, 펼침, 당겨짐 또는 외부 물체에 대한 걸림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Further, when the hose connected to the pump is drawn into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the hose, a part of the hose led into the housing of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 is simply han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part of the hose is bent, And a problem that it is damaged due to pulling or anchoring to an external object occurs, and a mai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olution poi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재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권취롤러에 감긴 호스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권취된 호스 다발의 원주가 길수록 권취롤러가 더 느린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를 제시한다.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includes a housing rotatably driven by a drive motor.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peed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Wherein the member is configured to deceler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winding roller rotates at a slower speed as the circumference of the wound hose bundle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hose wound on the winding roller.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는 하우징에 장착된 속도조절부재가 권취롤러에 감긴 호스에 의하여 형성된 호스 다발의 원주의 길이에 따라 권취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권취롤러에 호스를 일정의 속도록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In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adjusting member mounted on the housing chang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winding roll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hose bundle formed by the hose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Thereby obtaining an effect that the hose can be wound around the take-up roller with a certain amount of time;

또한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하우징에 호스 체결부재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펌프와 하우징의 사이에 위치되는 호스의 일부분을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하우징 외부 일정부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호스 일부분의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when the hose fasten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hose automatic retractor, a part of the hose located between the pump and the housing can be fixed in a rotatable state to a certain portion outside the housing of the hose automatic retractor ,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a part of the hos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속도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가이드바의 기울기 변화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호스 체결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호스 체결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에 포함된 고정블럭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에 포함된 체결블럭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에 포함된 클램프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에 포함된 체결블럭에 호스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에 포함된 체결블럭을 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 체결부재에 포함된 내부하우징의 상하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ed adjust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hange in inclination of a guide ba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a hos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in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se fasten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se fastening member provided in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se fasten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block included in a hose fasten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state of a fastening block included in a hose fasten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se fasten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lamping process of the clamp included in the hose fastening member of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a hose to a fastening block included in a hose fasten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astening block included in a hose fastening member of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housing included in the hose fastening member of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농약 호스(40)와 같이 일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호스(40)를 감거나 푸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재(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권취롤러(20)에 감긴 호스(40)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원주가 길수록 권취롤러(20)가 더 느린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or unscrewing a hose (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such as an agricultural chemical hose (40), and comprises a housing (12) rotatably provided with a winding roller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peed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speed adjust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take- Which is configured to deceler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winding roller 20 rotates at a slower speed as the circumference of the wound hose bundle 41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hose 40 wound on the hose 20 To an automatic winding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이하, ‘권취장치’라 칭함.)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하여 유체를 유동시키는 호스(40)를 감거나 풀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호스(40)의 일단에는 유체를 펌핑시키는 펌프가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First,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nding device) is used for winding or unscrewing a hose 40 for flowing a fluid through a hollow formed in the hose 40, Is connected to a pump for pumping the fluid.

또한 상기 호스(40)는 일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권취장치에 포함된 권취롤러(20)에 감기거나, 권취롤러(20)에서 풀릴 수 있다.The hose 4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can be wound around the take-up roller 20 included in the take-up device or unwound from the take-up roller 20.

아울러 상기 권취장치는 권취롤러(20)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권취롤러(20)가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되어, 권취롤러(20)에 호스(40)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winding device, the winding roller 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winding roller 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hose 40 is wound on the winding roller 20 And the drive motor is operated by receiving external power.

더불어 상기 권취장치는 도 1과 같이 일정의 형태를 가지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권취롤러(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롤러(20)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권취롤러(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에 호스(40)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1, the winding roller 20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a housing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the winding roller 20 has a rotation ax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winding roller 20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se 40 can be wound or unwound on the rotating shaft.

아울러 상기 권취롤러(20)의 회전축의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회전축의 내부에는 호스(40)가 내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winding roller 20 are longitudin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and 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rotation shaft to allow the hose 40 to be inserted therein .

즉, 상기 호스(40)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하우징(10)의 일측 측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일단의 중공으로 내입된 후,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고,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hose 40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nto the hollow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housing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be wound or unwound on the rotating shaft.

또한 상기 호스(40)의 타단 쪽은 하우징(10)의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된 인출공(11)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상기 인출공(11)은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출공(11)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호스(40)가 상기 권취롤러(20)의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균일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호스 지지유닛(12)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hose 40 may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a draw-out hole 11 formed in an upper portion or a side portion of the housing 10, 11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hose 40 drawn into or drawn out of the housing 10 reciproc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winding roller 20 A hose supporting unit 12 for uniformly winding or unwinding the hose can be provided.

이때, 상기 호스 지지유닛(12)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공(11)이 형성된 하우징(10)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하우징(10)에 더 구비되어 구동모터(상기 권취롤러(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또는 별도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자동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ose support unit 12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having the draw-out holes 11 so as to be reciprocal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nd can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a driving motor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winding roller 20 or another driving motor).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하우징(10)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재(3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권취롤러(20)에 감긴 호스(40)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원주의 길이에 따라 권취롤러(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the speed adjusting member 30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The speed adjusting member 30 is provided on the hose And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ake-up roller 2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ound hose bundle 41,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hose bundle 40.

구체적으로, 권취롤러(20)에 호스(40)가 감기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20)에 감기는 호스(40)는 권취롤러(20)(보다 상세하면 권취롤러(20)의 회전축)에 감기면서 원형의 원주를 가지는 다발 형태로 형성되고(이하, ‘호스 다발(41)’이라 칭함.), 상기 호스 다발(41)의 원주는 권취롤러(20)에 호스(40)가 짧은 길이로 감긴 경우보다 긴 길이로 감긴 경우에 더 긴 길이를 가진다.The hose 40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20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20 and the hose 4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20.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se bundle 41")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while being wound arou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bundle 41 (more specifically, the rotating shaft of the winding roller 20) And has a longer length when the hose 40 is wound on the roller 20 in a longer length than when the hose 40 is wound in a shorter length.

즉, 상기 호스(40)가 권취롤러(20)에 감길수록 호스(40)에 의하여 형성된 호스 다발(41)의 원주는 더 길어지기 때문에, 상기 권취롤러(20)는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더라도 권취롤러(20)에 감기는 호스(40)의 감김 속도는 더 빨라지게 된다. That is, since the circumference of the hose bundle 41 formed by the hose 40 becomes longer as the hose 40 is wrapped around the winding roller 20, even if the winding roller 20 is rotated at the same rotating speed, The winding speed of the hose 40 wound on the roller 20 becomes faster.

이에 대하여,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권취롤러(20)에 감긴 호스(40)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원주가 길수록 권취롤러(20)가 더 느린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어, 권취롤러(20)에 감기는 호스(40)의 감김 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The speed regulating member 30 is rotated such that the winding roller 20 rotates at a slower speed as the circumference of the wound hose bundle 41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hose 40 wound on the winding roller 20 So that the winding speed of the hose 40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20 can be kept constant at all times.

아울러 권취롤러(20)에서 호스(40)가 풀리는 경우 역시,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호스 다발(41)의 원주가 긴 상태에서 짧아지는 상태로 갈수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권취롤러(20)에서 풀리는 호스(40)의 풀림 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when the hose 40 is unwound from the take-up roller 20, the speed adjusting member 30 also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as the circumference of the hose bundle 41 goes from a long state to a short state, The pulling speed of the hose 40 released by the take-up roller 20 can be kept constant at all times.

더불어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권취롤러(20)에 감기거나 풀리는 호스(40)에 의하여 형성된 호스 다발(41)의 원주 길이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에 안착되는 가이드바(31);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31)의 중간 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바(31)의 타측이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 쪽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2) 및; 상기 하우징(10)과 가이드바(31)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가 서로 다르도록 조절시키는 스위칭 유닛(33);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adjusting member 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can chan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hose bundle 41 formed by the hose 40 wound or unwound by the winding roller 20 Preferably, the speed regulating member 30 includes a guide bar 31,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e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ound hose bundle 41;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s pulled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ound hose bundle 41. [ An elastic body 32 for providing an elastic member 32; A switching unit 33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guide bar 31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Can be included.

즉, 상기 구성의 속도조절부재(30)는 거시적으로 가이드바(31), 탄성체(32) 및 스위칭 유닛(33)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speed regulating member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croscopically includes the guide bar 31, the elastic body 32, and the switching unit 33.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바(31)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에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권취롤러(20)에 감긴 호스(40)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호스 다발(41)의 직경 변화(호스 다발(41)의 직경 변화는 호스 다발(41)의 원주 변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에 의하여 기울어짐이 변화되는 구성이다.Specifically, the guide bar 31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guide bar 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is se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ound hose bundle 41, (The change in diameter of the hose bundle 41 has the same meaning as the change in the circumference of the hose bundle 41),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hose bundle 40 .

또한 상기 가이드바(31)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하우징(10)의 일정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된 권취롤러(20)의 회전축 쪽에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guide bar 31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side of the guide bar 31 is coupl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rotatabl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otation axis of the take-up roller (20) positioned in the take-up roller (20).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된 권취롤러(20)의 전방 또는 후방이 외부에서 확인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바(31)의 타측 일부분이 권취롤러(20) 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n opening is form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front or rear of the winding roller 20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the guide bar 31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take-up roller 20, as shown in FIG.

아울러 상기 가이드바(31)의 타측은 권취롤러(20)에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권취롤러(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호스(40)에 의하여 형성된 호스 다발(41)의 직경이 커질수록 기울기 각이 커지고, 호스 다발(41)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기울기 각이 작아지도록 가이드바(31)의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s se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se bundle 41 wound on the winding roller 20 and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of the winding roller 20 by a hose 40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can be rotated arou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becomes larger as the diameter of the formed hose bundle 41 becomes larger and the inclination angle becomes smaller as the diameter of the hose bundle 41 becomes smaller .

아울러 상기 탄성체(32)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31)의 중간 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바(31)의 타측이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 쪽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바(31)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구성이다.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ody 32 is fasten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guide bar 31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s w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hose bundle 41 And is configured to appl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guide bar (31).

즉, 상기 탄성체(32)는 용수철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 일측은 하우징(10)의 일정부분에 체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31)의 중간 부분에 해당하는 일정부분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가이드바(31)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바(31)의 타측이 계속적으로 하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In other words, the elastic body 32 may be made of a spring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asten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guide bar 31 rotates about one side of the guide bar 31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s continuously downward.

이때, 상기 탄성체(32)는 가이드바(31)의 하부에 해당하는 가이드바(31)와 하우징(10) 일정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바(31)를 하우징(10) 일정부분 쪽을 계속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32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bar 31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ar 31 and a certain portion of the housing 10,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pulled continuously.

또한 상기 가이드바(31)는 탄성체(32)에 의하여 가이드바(31)가 당겨져 가이드바(31)의 타측 이 권취롤러(20)에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바(31)는 상기 권취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바(31)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1)의 타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31)를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34)가 가이드바(3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bar 3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uide bar 31 is pulled by the elastic body 32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can be se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se bundle 41 wound on the take- The guide bar 31 may include a pair of guide bars 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ke-up roller 20, and the pair of guide bars 31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34 for connecting the pair of guide bars 31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s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구성의 가이드바(31)는 권취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1) 사이에 가이드롤러(34)가 한 쌍의 가이드바(31)를 서로 연결시키며 배치되는 구성을 하여, 권취롤러(20)에 형성된 호스 다발(41)의 전체적인 부분의 직경을 가이드바(31)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That is, the guide bar 3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stituted by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ke-up roller 20, and a guide roller 34 is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guide bars 31,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that the guide bar 31 can detect the diameter of the entire portion of the hose bundle 41 formed on the winding roller 20. [

보다 상세하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1)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바(31)는 권취롤러(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고, 다른 가이드바(31)는 권취롤러(20)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어, 한 쌍의 가이드바(31)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1) 타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31)를 서로 연결시키는 가이드롤러(34)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한 쌍의 가이드바(31)가 동시에 기울기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ny one of the pair of guide bars 3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take-up roller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guide bar 31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take- And the pair of guide bars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on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guide bars 31, a guide roller 34 connecting the pair of guide bars 31 is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so that the pair of guide bars 31 are inclined at the same time .

아울러 상기 가이드롤러(34)는 권취롤러(20)에 형성된 호스 다발(41)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권취롤러(2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탄성체(32)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하향하는 가이드바(31)의 타측의 하향력이 가이드롤러(34)를 통하여 호스 다발(41)의 외주면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호스 다발(41)의 외측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호스(40)가 호스 다발(41)에서 쉽게 이탈되어 엉키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The guide roller 34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se bundle 41 formed on the take-up roller 20 and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take-up roller 20 and is continuously downward The downward force of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can be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bundle 41 through the guide roller 34 so that the hose 40 wound or unwound from the outside of the hose bundle 41 is guided by the hose bundle 41 41) so as not to be tangled.

더불어 상기 가이드롤러(34)는 가이드바(3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복수 개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4와 같이 권취롤러(20)에 짧은 길이의 호스(40)가 감겨진 경우에는 하향된 상태로 경사진 가이드바(31)의 타측에 위치된 가이드롤러(34a)가 호스 다발(41)의 외주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도 5와 같이 권취롤러(20)에 긴 길이의 호스(40)가 감겨진 경우에는 상향된 상태로 경사진 가이드바(31)의 타측보다 일측에 위치된 다른 가이드롤러(34b)가 호스 다발(41)의 외주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롤러(34)가 계속적으로 호스 다발(41)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34 ar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31. This is because the hose 40 having a short length is wound around the take- The guide roller 34a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nclined downward can be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bundle 41 and a long length The other guide roller 34b located at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nclined upwards can be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bundle 41 when the hose 40 of the hose 40 is wound, The effect that the roller 34 can continuously pres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se bundle 41 can be realized.

더불어 상기 스위칭 유닛(33)은 상기 하우징(10)과 가이드바(31)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가 서로 다르도록 조절시키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에 대한 가이드바(31)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시키는 구성이다.The switching unit 33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guide bar 31 and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 The power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by sensing a change in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즉, 상기 스위칭 유닛(33)은 상기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권취롤러(20)에 형성된 호스 다발(41)의 직경이 길수록 권취롤러(20)가 더 느린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호스(40)가 항상 일정의 감김속도 또는 풀림속도를 유지하며 권춰롤러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switching unit 33 continuously detects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and as the diameter of the hose bundle 41 formed on the take-up roller 20 becomes longer, the take-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is reduced so that the hose 40 can always be wound or unwound on the excitation roll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nding or unwinding speed.

이때, 상기 스위칭 유닛(33)은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서로 다르게 조절시켜, 호스(40)의 감김속도 또는 풀림속도를 조절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 유닛(33)은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고, 구동모터에 서로 다른 세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33a) 및;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의 누름 및 누름 해제를 조절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31)에 체결되는 스위칭 로드(3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로드(33b)는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스위치(33a)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를 눌러, 작동단자(33c)가 눌러진 스위치(33a)에 의한 전원이 구동모터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33 senses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and adjusts the intensity of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tilted state of the guide bar 31, The switching unit 33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 and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motor of different intensities. The switching unit 33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 A plurality of switches (33a); One side of the switch 33a is located at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to control the pressing and unclamping of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the switch 33a, Wherein the switching rod 33b presses the operating terminal 33c of the switch 33a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 The operation terminal 33c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power by the pressed switch 33a is supplied to the drive motor.

즉, 상기 구성의 스위칭 유닛(33)은 거시적으로 작동단자(33c)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33a) 및 가이드바(31)와 연결된 스위칭 로드(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switching unit 33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33a having a working terminal 33c macroscopically and a switching rod 33b connected to the guide bar 31.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권치장치에는 전원공급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외부 전원공급부와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구동모터에 전달하는 구성을 하며,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저항이 구비되어 항상 일정한 전원 세기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a power supply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manual w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and the drive motor, and transmits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to the drive motor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re provided to adjust the intensity of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that is always supplied with a constant power.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는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이 각각의 스위치(33a)와 연결된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을 통과한 후 구동모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passes through resistor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witches 33a, .

즉,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33a)는 구동모터에 서로 다른 세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any one of the switches 33a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can supply power to the drive motor of different intensity.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는 도 4, 5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성을 하여, 하기의 스위칭 로드(33b)가 복수 개의 스위치(33a) 각각에 구비된 작동단자(33c)를 누를 때마다 각각 스위치(33a)가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순차적으로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are sequentially stacked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ever the following switching rod 33b presses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The switches 33a may be sequentially operated to sequentially or intensify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스위칭 로드(33b)는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의 누름 및 누름 해제를 조절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31)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에 각각 구비된 작동단자(33c)를 순차적으로 눌러 작동시키는 구성이다.One end of the switching rod 33b is located at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to control the depression and depression of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the switch 33a, And is structured to be engaged with the bar 31 so as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and to sequentially actuate the actuating terminals 33c respectively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즉, 도 4와 같이 권취롤러(20)에 짧은 길이의 호스(40)가 감겨진 상태(호스 다발(41)의 직경이 짧은 경우)에서는 상기 스위칭 로드(33b)의 타측은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 중 하부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스위치(33a-1)에 구비된 작동단자(33c)를 눌러, 구동모터에 전달되는 전원의 세기가 비교적 크도록 하여 구동모터가 비교적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여 권취롤러(20)가 비교적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고; 도 5와 같이 권취롤러(20)에 긴 길이의 호스(40)가 감겨진 상태(호스 다발(41)의 직경이 긴 경우)에서는 상기 스위칭 로드(33b)의 타측은 가이드바(31)의 상향 이동에 의하여 상승되어,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 중 상부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스위치(33a-3)에 구비된 작동단자(33c)를 눌러, 구동모터에 전달되는 전원의 세기가 비교적 작도록 하여 구동모터가 비교적 느리게 회전하도록 하여 권취롤러(20)가 비교적 느리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권취롤러(20)에 감기거나 풀리는 호스(40)는 일정의 감김속도 또는 풀림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short length hose 40 is wound on the winding roller 20 (the diameter of the hose bundle 41 is short) as shown in Fig. 4, the other side of the switching rod 33b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witches The drive motor is relatively rapidly rotated so that the intensity of power supplied to the drive motor is relatively increased by pressing the operation terminal 33c provided on any one of the switches 33a-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ke- 20 to rotate relatively quickly; 5, the other side of the switching rod 33b is moved upwardly of the guide bar 31 in a state in which the long hose 40 is wound on the take-up roller 20 (the diameter of the hose bundle 41 is long) And the operation terminal 33c provided on the other switch 33a-3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is pressed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drive motor is relatively small The driving motor can rotate relatively slowly, and the winding roller 20 can be rotated relatively slowly. As a result, the hose 40 wound or unwound on the take-up roller 20 can maintain a constant take-up speed or unwind spe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에 호스(40)를 고정시키는 호스 체결부재(10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se fastening member 100 for fastening the hose 40 to the housing 10.

즉, 상기 호스 체결부재(100)는 하우징(10)과 펌프 사이에 해당하는 호스(40)의 일부분을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호스(40)의 일부분이 잦은 굽힘, 펼침, 당겨짐 또는 외부 물체에 대한 걸림으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That is, the hose fastening member 100 may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hose 40, which is part of the hose 40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pump, into the housing 10 by frequent bending, So that it is not damaged due to the engagement with the object.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에는 호스(40)에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사이에 위치되는 호스(40)의 일부분을 하우징(10)에 체결시키는 호스 체결부재(100)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 체결부재(10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고정체결되는 고정블럭(110); 상기 고정블럭(110)에 체결되는 체결대(121)가 전방에 구비되고, 호스(40)의 일부분을 체결시키는 체결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대(121)는 상기 고정블럭(110)에 대하여 상기 체결블럭(120)을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hose fastening member 100 for fastening a part of the hose 40 located between the pump for pumping fluid to the hose 40 and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the hose to the housing 10, The hose fastening member 100 includes a fixing block 110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a fastening block 120 having a fastening block 121 fastened to the fixed block 110 and fastening a part of the hose 40. The fastening block 121 is fixed to the fixed block 110, The coupling block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lock 110 such that the coupling block 120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즉, 상기 구성의 호스 체결부재(100)는 거시적으로 고정블럭(110)과 체결블럭(120)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hose fastening membe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the fixed block 110 and the fastening block 120 macroscopically.

더불어 상기 고정블럭(110)과 체결블럭(120)은 ⅰ) 도 6, 7과 같이 체결블럭(120)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길이를 가져, 체결블럭(120)에 체결된 호스(40)가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ⅱ) 도 8, 9와 같이 체결블럭(120)이 지면과 수직한 상태로 길이를 가져, 체결블럭(120)에 체결된 호스(40)가 지면과 수직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6 and 7, the fixing block 110 and the fastening block 120 have the same length as the fastening block 120, and the hose 40 fastened to the fastening block 120, The hose 4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and ii) the coupling block 120 may have a length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as shown in Figs. 8 and 9,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이하, 도 8 내지 16을 참고하여, 상기 ⅱ)의 경우를 일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8 to 16,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ase (ii) by way of example.

즉, 상기 고정블럭(110)은 하우징(10)의 외부(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의 외측부)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일측은 하우징(10)에 고정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부분에는 체결블럭(120)에 구비된 체결대(121)를 고정체결시키는 구성이다.That is, the fixed block 11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preferably,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10), and one side of the fixed block 110 is fixedly fastened to the housing 10, The fastening bolt 121 provided in the fastening block 120 is fixedly fastened.

보다 상세하면, 상기 고정블럭(110)은 도 9와 같이 일정의 부피를 가지는 블럭형태의 것으로 구성되고, 고정블럭(110)의 일측은 하우징(10)의 외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121a-1)재에 의하여 고정체결되며, 고정블럭(110)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 등의 일정부분에는 체결블럭(120)에 구비된 체결대(121)가 체결되어, 호스(40)가 체결된 체결블럭(12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한다.9, one end of the fixed block 11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by fastening portions 121a-121d such as bolts. The fixing block 110 is formed as a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s shown in FIG. The fastening bolt 121 provided in the fastening block 120 is fasten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or the side portion of the fixing block 110 so that the hose 40 is fastened And the block 120 is fixed to the housing 10.

아울러 상기 체결블럭(120)은 상기 고정블럭(110)에 체결대(121)가 전방에 구비되고, 호스(40)를 체결시키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하우징(10)에 고정체결되는 호스(40)를 상기 고정블럭(110)에 고정체결시키는 구성이다.The fastening block 12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lock 110 at the front and fastened to the hose 40. The fastening block 12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 10 fixedly fastened to the fixed block 110.

즉, 상기 체결블럭(120)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원형의 수직단면을 가지는 호스(40)를 파지할 수 있는 관 형태 또는 블럭 형태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호스(40)의 길이방향으로 호스(40)를 체결블럭(120)의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호스(40)를 파지하기 위하여 체결블럭(120)의 일부분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astening block 120 is preferably formed in a tubular shape or a block shape capable of gripping the hose 40 having a circular vertical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ortion of the fastening block 120 may be opened or closed to hold the hose 40 while the hose 40 is positioned inside the fastening block 120. [

또한 상기 체결블럭(120)의 전방에 구비되는 체결대(121)는 일측은 상기 고정블럭(110)에 체결되고, 타측은 체결블럭(12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져 상기 고정블럭(110)과 체결블럭(12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체결대(121)의 선단(상기 전방 및 일측과 동일한 방향임.)이 고정블럭(110)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이다.The fastening block 121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fastening block 12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fixed block 1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block 120, So that the fixing block 110 and the fastening block 120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block 121 Direction) is fixedly fastened to the fixed block 11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체결대(121)의 선단과 고정블럭(110)의 체결부분, 체결대(121)의 중간부분 또는 체결대(121)의 후단과 체결블럭(120)의 전방 체결부분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의 부분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체결블럭(120)이 고정블럭(110)에 체결대(121)에 의하여 고정체결된 상태에서 호스(40)의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체결블럭(120)에 고정블럭(110)에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ny one of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band 121 and the fastening part of the fixing block 110,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fastening band 121 or the rear end of the fastening band 121 and the front fastening part of the fastening block 120 When the hose 40 is shaken while the fastening block 12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lock 110 by the fastening block 121, the fastening block 120 is fixed to the fastening block 12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block 110.

구체적으로, 호스(40)의 일부분은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흔들릴 수 있고, 이때, 상기 체결대(121)는 상기 고정블럭(110)에 대하여 상기 체결블럭(120)을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구성을 하여, 상기와 같은 호스(40) 일부분의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고정블럭(110)에 대한 호스(40) 일부분의 흔들림을 강제적으로만 억제시키지 않고 자연스러운 흔들림 유격을 형성시켜줌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흔들리는 호스(40) 일부분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A part of the hose 40 may be shaken by an external force in a state where the hose 40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10. At this time, the fastening bolt 12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lock 120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block 110, When the swing of a part of the hose 40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swing of the hose 40 relative to the fixed block 110 is not restricted forcibly,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reakage of a part of the hose 40 swung by the external force.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블럭(110)에 대한 체결대(121)의 고정체결 관계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작업자가 호스(40)가 파지된 체결블럭(120)을 보다 용이하게 고정블럭(110)에 고정체결시킬 수 있고, 상기와 반대로 호스(40) 일부분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고정블럭(110)에서 체결대(121)를 분리하여 고정블럭(110)에서 체결블럭(120)을 분리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고정블럭(110)에 대한 체결대(121)의 고정체결 관계를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블럭(120)의 체결대(121)는 체결대(121)의 선단에 해당하고, 하부로 돌출된 체결부(121a-1)를 구비하는 체결헤드(121a); 상기 체결헤드(121a)의 후방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블럭(120)의 외부와 연결되며, 중간 부분은 회전축(121b-1)에 의하여 일측부와 타측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체결바(12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럭(110)은 상기 체결헤드(121a)의 하부 일부분을 내입 체결시키는 체결홀(111)이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The fixing block 121 of the fixed block 110 may be easily fix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fix the fastening block 120 on which the hose 40 is gripped. The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the fastening bolt 121 from the fastening block 121 and fasten the fastening block 121 to the fastening block 110. In this case, The fixing block 121 can be fixedly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110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block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lock 121. Preferably, A fastening head 121a having a fastening portion 121a-1 protruding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fastening base 121;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astening head 121a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block 120. The intermediat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by a rotation shaft 121b- And a fastening bar 121b. The fastening block 110 may have a fastening hole 111 for fastening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즉, 상기 구성의 체결대(121)는 체결헤드(121a)와 체결바(12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헤드(121a)는 고정블럭(110)에 형성된 체결홀(111)에 내입 체결됨으로써 고정블럭(110)과 체결대(121)가 상호 끼움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astening table 12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a fastening head 121a and a fastening bar 121b. The fastening head 121a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1 formed in the fastening block 110, So that the fixed block 110 and the fastening bolt 121 can be fastened together.

보다 상세하면, 상기 체결헤드(121a)는 체결대(121)의 선단에 해당하고, 하부로 돌출된 체결부(121a-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고정블럭(110)의 체결홀(111)에 내입 체결되어 고정블럭(110)에 대한 체결대(121)의 주된 체결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체결헤드(121a)는 도 10과 같이 하기의 체결바(121b)의 하부면보다 더 낮은 수평위상을 가지도록 체결헤드(121a)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체결부(121a-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고정블럭(110)에 형성된 체결홀(111)은 상기 체결헤드(121a)에 구비된 체결부(121a-1)와 체결헤드(121a)의 하부 일부분(또는 체결헤드(121a)의 전체, 이하, “체결헤드(121a)의 하부 일부분”이라 함은 체결헤드(121a)의 상부를 포함한 전체부분을 포함하는 개념임.)이 내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head 121a has a fastening portion 121a-1 protruding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block 121, and includes a fastening hole 111 of the fastening block 110, So that the main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table 121 with respect to the fixed block 110 is formed. The fastening head 121a has a fastening part 121a-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head 121a so as to have a lower horizontal phase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bar 121b as shown in FIG. 10, And a fastening hole 111 formed in the fastening block 110 is formed by a fastening part 121a-1 provided on the fastening head 121a and a lower part of the fastening head 121a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 includes the entire portion inclu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

또한 상기 체결헤드(121a)는 체결부(121a-1)를 포함한 체결헤드(121a)의 하부 일부분이 고정블럭(110)에 형성된 체결홀(111)에 정확히 끼워 들어갈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수평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구성의 체결헤드(121a)가 내입되는 상기 체결홀(111) 역시 상기 체결헤드(121a)와 대응되는 형태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head 121a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including the fastening portion 121a-1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formed in the fastening block 110, The fastening head 121 having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head 121a may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ead 121a, .

더불어 상기 체결헤드(121a)는 하기의 체결바(121b)보다 더 큰 폭(직경)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홀(111)은 고정블럭(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체결홀(111)에 끼워진 체결헤드(121a)가 고정블럭(110)의 상부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는 체결홀(111)에 내입되지 않거나 체결홀(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head 121a is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having a larger width (diameter) than the fastening bar 121b described below, and the fastening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block 110 So that the fastening head 121a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is no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or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111 in the other direction except for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block 110 desirable.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홀(111)이 고정블럭(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11)에 체결헤드(121a)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체결홀(111)에 끼워지는 구성을 하면, 체결대(121)에 연결된 체결블럭(120)을 통하여 고정블럭(110)으로 전달되는 호스(40)의 하중을 보다 고정블럭(1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계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체결홀(111)에 내입된 체결헤드(121a)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hole 111 is formed on the fixing block 110 and the fastening head 121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hole 111, Since the load of the hose 40 that is transmitted to the fixed block 110 through the coupling block 120 connected to the coupling block 121 can be continuously support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lock 110,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fastening head 121a which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

아울러 상기 체결부(121a-1)는 체결헤드(121a)의 수평단면의 외경보다 더 작은 크기의 수평단면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체결헤드(121a)를 체결홀(111)에 내입시킬 때, 외경이 작은 체결부(121a-1)가 수평단면의 내경이 큰 체결홀(111)의 상부에 용이하게 먼저 내입된 후 수평단면이 작은 내경의 체결홀(111) 하부쪽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121a-1 is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so that the operator inserts the fastening head 121a into the fastening hole 111 The fastening portion 121a-1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can be easily inserted first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11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and then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11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So that the ease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더불어 상기 체결바(121b)는 상기 체결헤드(121a)의 후방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블럭(120)의 외부와 연결되며, 중간 부분은 회전축(121b-1)에 의하여 일측부와 타측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호스(40)가 체결된 체결블럭(120)을 상기 체결헤드(121a)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fastening bar 121b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astening head 121a,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block 120, and the intermediate par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astening bar 121b-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lock 120. The coupling block 12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ead 121a so as to be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이때, 상기 체결바(121b)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체결바(121b)의 일측은 체결헤드(121a)의 타측인 후방에 연결되며, 체결바(121b)의 타측은 체결블럭(120)의 측부의 외부에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One side of the fastening bar 121b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head 121a and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ar 121b is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bar 121b. The connecting block 1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portion.

또한 상기 체결블럭(120)이 복수 개의 절편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바(121b)의 타측은 복수 개의 절편 중 어느 하나의 절편의 외부에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Further, when the fastening block 12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lices,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bar 121b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any one of the slices.

아울러 상기 체결바(121b)의 중간 부분은 체결바(121b)의 일측 일부분과 타측 일부분이 분리된 후 회전축(121b-1)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고정블럭(110)에 고정체결된 체결헤드(121a)와 연결된 체결바(121b)의 일측 일부분은 고정블럭(110)에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블럭(120)에 연결된 체결바(121b)의 타측 일부분은 호스(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21b-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astening bar 121b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bar 121b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121b-1 after th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astening bar 121b are separated, A part of one side of the fastening bar 121b connected to the fastening head 121a is held in position fixed to the fastening block 110 and a part of the other fastening bar 121b connected to the fastening block 120 is fastened to the hose 40 The rotation shaft 121b-1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rotation axis 121b-1.

더불어 상기 고정블럭(110)에 형성되는 체결홀(111)은 상기 체결부(121a-1)가 구비된 체결헤드(121a)만을 내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0, 12와 같이 상기 체결홀(111)의 상부 타측에서 고정블럭(110) 후방(체결블럭(120) 쪽)의 측부로 통기되는 지지체결홀(112)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111 formed in the fixed block 110 may be configured to allow only the fastening head 121a having the fastening portion 121a-1 to be inserted therein, A support fastening hole 112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le 111 so as to be vented to the side of the fixing block 110 rear side (fastening block 120 side).

이때, 상기 지지체결홀(112)은 상기 체결홀(111) 중 체결헤드(121a)가 내입되는 체결홀(111) 상부 일부분(체결헤드(121a)의 하부면이 위치되는 체결홀(111)의 일정부분)과 동일한 수평위상을 가지는 하부면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121b)의 일측 일부분을 내입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지지체결홀(112)에 내입된 체결바(121b)의 일측 일부분은 지지체결홀(112)에 측부가 지지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체결헤드(121a)를 중심으로 체결바(121b)가 측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fastening hole 112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11 in which the fastening head 121a is inserted (the fastening hole 111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head 121a is located) A part of one side of the fastening bar 121b can be inserted and a part of one side of the fastening bar 121b inserted into the support fastening hole 112 can be inserte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astening bar 121b from being rotated sideways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head 121a since the side portions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fastening holes 112. [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홀(111)과 지지체결홀(112)에 상기 체결헤드(121a)와 체결바(121b)의 일측 일부분이 각각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체결헤드(121a)의 상부면, 체결바(121b)의 상부 및 고정블럭(110)의 상부면은 동일한 수평위상을 가져 고정블럭(110)의 상부가 평평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head 121a and the fastening bar 121b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and the fastening hole 112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head 121a,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bar 121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110 may have the same horizontal phas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lock 110 has a flat state.

아울러 상기와 같이 체결대(121)가 체결헤드(121a)와 체결바(1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블럭(110)의 상부에 체결홀(11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121a-1)의 하부에는 제1자성체(1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홀(111)의 하부에는 상기 제1자성체(130)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성체(13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astening band 121 includes the fastening head 121a and the fastening bar 121b and the fastening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block 110, The first magnetic body 13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magnetic body 121a-1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31 having the attraction force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130 is provided under the coupling hole 111 can do.

즉, 상기 구성의 제1자성체(130)와 제2자성체(131)는 상호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체결부(121a-1)가 구비된 체결헤드(121a)를 체결홀(111)에 끼워넣으면 체결홀(111)의 안쪽 하부에 구비된 제2자성체(131)와 체결헤드(121a)의 체결부(121a-1)에 구비된 제1자성체(130)를 잡아당겨, 체결헤드(121a)가 보다 용이하게 체결홀(111)로 내입될 수 있도록 하고, 체결헤드(121a)가 체결홀(111)에 내입된 상태에서는 체결헤드(121a)가 체결홀(111)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magnetic body 130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3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t on each other, a worker moves the fastening head 121a provided with the fastening portion 121a-1 to the fastening hole 111 The first magnetic body 130 provided on the coupling part 121a-1 of the coupling head 121a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31 provided o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coupling hole 111 is pulled and the coupling head 121a So that the fastening head 121a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fastening hole 111 when the fastening head 121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An effect of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can be realized.

이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체결홀(111)에 끼워진 상태로 내입 체결된 체결헤드(121a)의 상부를 눌러서 시건시킬 수 있는 클램프(14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lude a clamp 140 that can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inserted and fastened in the fastening hole 111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고정블럭(110)의 양쪽 측부에는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41) 체결되는 한 쌍의 클램프(1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140)는 상기 클램프(140)의 상부에 고정블럭(110) 상부의 중앙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11)에 내입 체결된 체결헤드(121a)의 상부를 눌러서 시건시키는 클램프 헤드(142); 상기 클램프 헤드(142)의 일측에 연결되고, 고정블럭(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이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고정블럭(110)의 측부에 힌지(141) 체결되는 클램프 바디(143); 상기 클램프 바디(143) 하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110)을 관통한 후 상기 체결부(121a-1)의 하부면에 말단이 위치되는 누름핀(144);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The clamp 1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clamps 140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 110 to which the hinge 141 is coupled so that the lower portion can be rotated. A clamp head 142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lock 110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lock 110 and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internally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1; A clamp body 14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lamp head 142 and forming a length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lock 110 and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side of the fixed block 110 with a hinge 141; And a push pin 144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lamp body 143 and having a distal end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121a-1 af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block 110 can do.

즉, 상기 구성의 클램프(140)는 거시적으로 클램프 헤드(142), 클램프 바디(143) 및 누름핀(14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정블럭(110)의 양쪽 측부에 클램프(140)가 각각 구비되어 체결홀(111)에 내입 체결된 체결헤드(121a)의 상부를 하방으로 눌러 시건시키는 구성이다.That is, the clamp 14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the clamp head 142, the clamp body 143, and the pressing pin 144 macroscopically, and clamps 1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 110 And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head 121a, which is internally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1, is pressed downward.

보다 상세하면, 상기 클램프 헤드(142)와 클램프 바디(143)는 도 13과 같이 “ㄱ”자 형태로 구성되어, “ㄱ”자 형태의 상부인 클램프 헤드(142)의 하부 일부분은 상기 체결홀(111)에 내입된 체결헤드(121a)의 상부를 눌러 시건시키고, 상기 클램프 헤드(142)이 일측에 상부가 연결된 클램프 바디(143)는 고정블럭(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clamp head 142 and the clamp body 143 are formed in an "a" shape as shown in FIG. 13, so that a lower portion of the clamp head 142, which is an upper portion of the " The clamp body 143 having the uppe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lamp head 142 forms a length in the lower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block 110, do.

이때, 상기 클램프 바디(143)의 하부 일정부분에는 고정블럭(110)의 측부에 클램프 바디(143)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힌지(1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힌지(141)가 위치되는 고정블럭(110)의 측부에는 측부홀(113)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측부홀(113)에는 상기 힌지(141)의 하부에 위치된 클램프 바디(143)의 하단 일부분이 힌지(141)를 중심으로 클램프 바디(143)가 회전될 때 내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hinge 141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amp body 143 to couple the clamp body 143 rotatably to the side of the fixed block 110. A side hole 113 is formed on a side of the fixed block 110 where the hinge 141 is located and a clamp body 143 located below the hinge 141 is formed in the side hole 113. [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when the clamp body 143 is rotated about the hinge 141.

아울러 상기 누름핀(144)은 상기 클램프 바디(143) 하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110)을 관통한 후 상기 체결부(121a-1)의 하부면에 말단이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체결홀(111)에 체결헤드(121a)의 체결부(121a-1)가 내입되면, 상기 체결부(121a-1)에 누름핀(144)의 말단이 간섭되어 누름핀(144)이 눌러지고, 그 결과 누름핀(144)이 연결된 클램프 바디(143)를 힌지(141)를 중심으로 고정블럭(110)에서 회전시켜 클램프(140)가 체결헤드(121a)를 고정블럭(110)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pressing pin 144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lamp body 143 and has a distal end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121a-1 aft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block 110 1 of the fastening head 121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so that the end of the pushing pin 144 is interfered with the fastening portion 121a-1 and the pushing pin 144 is pressed The clamp body 140 rotates the clamp body 143 connected to the pressing pin 144 about the hinge 141 by the fixing block 110 so that the clamping head 121a is moved to the fixing block 110 So that they can be firmly fastened.

즉, 상기 누름핀(144)은 상기 클램프 헤드(142)와 같이 클램프 바디(14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으로 굽어진 상태로 구성되되, 누름핀(144)의 타측은 클램프 바디(143)의 하부 일측면에 연결되고, 일측은 체결홀(111)의 안쪽 상부로 향하며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pressing pin 144 is bent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amp body 143 like the clamp head 142, and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in 144 is connected to the clamp body 143 And one side thereof is protruded in an inclined state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inside of the fastening hole 111.

이때, 상기 누름핀(144)은 고정블럭(110) 측부의 외부에서 체결홀(111) 쪽으로 관통되는 구성을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부홀(113)을 통하여 고정블럭(110)에 대한 누름핀(144)의 관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in 144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fixing block 110, preferably through the side hole 113, The through hole 144 may be formed.

구체적으로, 도 13과 같이, 상기 구성을 하는 한 쌍의 클램프(140)는 체결헤드(121a)가 고정블럭(110)의 체결홀(111)에 끼워지기 이전에는 각각의 힌지(141)를 상기 고정블럭(110)의 측방으로 벌어진 상태를 가져 클램프 헤드(142)가 체결홀(111)의 상부에서 바깥쪽으로 빠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헤드(121a)가 체결홀(111)에 내입되어 체결헤드(121a)의 하부에 구비된 체결부(121a-1)가 체결홀(111)의 안쪽에 위치된 누름핀(144)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누름핀(144)에 의하여 힌지(14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램프 바디(143)는 고정블럭(110)의 측부에 인접 또는 밀착되고, 상기 클램프 바디(143)의 상부에 구비된 클램프 헤드(142)는 체결홀(111)에 내입된 체결헤드(121a)의 상부를 누르며 체결헤드(121a)가 체결홀(111) 내에서 시건될 수 있도록 한다.13, before the fastening head 121a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of the fastening block 110, the pair of clamps 140 having the above- So that the clamp head 142 is slid sideways of the fixed block 110 to keep the clamp head 142 ou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11; The fastening head 121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and the fastening part 121a-1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head 121a presses the pushing pin 144 located inside the fastening hole 111 downward The clamp body 143 which is rotated about the hinge 141 by the pressing pin 14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side of the fixing block 11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lamp body 143 The clamp head 142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head 121a which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so that the fastening head 121a can be caught in the fastening hole 111. [

이때, 상기 체결부(121a-1)의 하부에 구비된 제1자성체(130)와 체결홀(111) 하부에 구비된 제2자성체(131)는 상호 인력이 작용하여, 체결헤드(121a)가 체결홀(111)에 끼워질 때 체결헤드(121a)가 체결홀(111)에 더욱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121a-1)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지는 누름핀(144)이 더욱 용이하게 클램프 바디(143) 및 클램프 헤드(142)를 힌지(141)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t this time, the first magnetic body 13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1a-1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31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111 mutually act to attract the coupling head 121a The fastening head 121a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when the fastening head 12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and the pushing pin 144 pressed downward by the fastening portion 121a-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otate the clamp body 143 and the clamp head 142 about the hinge 141. FIG.

상기와 반대로, 호스(40)의 교체를 위하여 작업자가 체결대(121)를 고정블럭(110)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작업자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 헤드(142)를 고정블럭(110)의 상부에서 벌리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클램프 헤드(142)와 연결된 클램프 바디(143)는 힌지(1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클램프 바디(143)의 하부에 구비된 누름핀(144)의 말단이 상기 체결부(121a-1)의 하부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그 결과 체결홀(111)에 내입된 체결부(121a-1)와 체결헤드(121a)는 상기 클램프 헤드(142)의 간섭없이 체결홀(111)의 상부로 돌출되어 체결홀(111)에서 빠질 수 있다.When the operator disconnects the fastening bolt 121 from the fixing block 110 in order to replace the hose 40, the operator places the pair of clamp heads 142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lock 110 The clamp body 143 connected to the clamp head 142 rotates about the hinge 141 so that the end of the push pin 144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lamp body 143 is rotated about the hinge 141, The clamping part 121a-1 and the clamping head 121a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lamping hole 111 can be clamped in the clamping hole 121a-1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clamping head 142. [ 111) and can escape from the fastening hole 111.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체결홀(111)에 내입된 상태를 가지는 누름핀(144)의 말단(일측)에 대한 체결부(121a-1)의 누름 또는 누름핀(144) 말단에 의한 체결부(121a-1) 하부의 들어올림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111)의 내부에는 누름판(145)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ushing of the fastening part 121a-1 against the distal end (one side) of the pushing pin 144 having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1 or the fastening by the end of the pushing pin 144 A pressing plate 145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fastening hole 111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hole 121a-1 can be lifted more easily.

즉, 상기 누름판(145)은 체결홀(111)의 내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외경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고, 누름판(145)의 하부에는 상기 누름핀(144)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pressing plate 145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outer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111, and the pressing pin 144 can be positioned below the pressing plate 145.

이때, 상기 체결부(121a-1)가 누름핀(144)을 누르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부(121a-1)는 누름판(145)을 누르고, 상기 누름판(145)은 누름핀(144)을 누르는 구성을 하여, 체결부(121a-1) 하부의 전체적인 누름력이 누름핀(144)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반대로 누름핀(144)이 체결부(121a-1)를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상기 누름핀(144)은 상기 누름판(145)을 들어올리고, 들어올려진 누름판(145)은 체결부(121a-1) 하부의 전체적인 부분을 들어올려 체결헤드(121a)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체결홀(111) 내에서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engaging portion 121a-1 presses the pressing pin 144, the engaging portion 121a-1 presses the pressing plate 145 and the pressing plate 145 presses the pressing pin 144 So that the overall pressing for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121a-1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pressing pin 144. When the pressing pin 144 lifts the fastening portion 121a-1, The pressing pin 144 lifts up the pressure plate 145 and the lifted pressure plate 145 lifts the entir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1a-1 so that the coupling head 121a is not tilted sideways So that it can be drawn upward in the fastening hole 111. [

또한 누름판(145)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 또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1자성체(130) 및 제2자성체(131)에 의한 인력을 제1자성체(130)와 제2자성체(131) 각각이 서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ush plate 145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magnetic material that can be attached to the magnet so that the attracting force of the first magnetic body 130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31 is appli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130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31 Can be configured to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더불어 상기 체결블럭(120)은 하우징(10)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호스(40) 일부분의 일정부분을 파지하는 형태로 체결시키고, 체결블럭(120)의 전방에 구비된 체결대(121)를 통하여 고정블럭(110)에 분리 및 결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블럭(120)은 상기 호스(40) 일부분의 외부를 가압하며 결속시키는 복수 개의 내부하우징(120a);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호스(4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힌지(120f) 결합되어 여닫힘 가능하며, 상기 체결대(121)의 후단이 외부에 체결되는 외부하우징(120b); 상기 내부하우징(120a)과 외부하우징(120b)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120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The fastening block 120 fastens a portion of the hose 40 having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n a gripping manner and fastens the fastening block 121 in front of the fastening block 120. [ The coupling block 12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preferably, the coupling block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ner housings (not shown) that press and bind the outer portion of the hose 40, (120a); A hinge 120f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housing 120a and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by a hinge 120f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se 40 and an outer housing 120b); And at least one leaf spring 120c provided between the inner housing 120a and the outer housing 120b.

즉, 상기 구성의 체결블럭(120)은 거시적으로 내부하우징(120a), 외부하우징(120b) 및 판스프링(120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fastening block 12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the inner housing 120a, the outer housing 120b, and the leaf spring 120c macroscopically.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하우징(120a)은 상기 호스(40) 일부분의 외부를 가압하며 결속시키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서, 호스(40)의 외주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내부 형태를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내부하우징(120a)을 수평방향으로 상호 연결한 가상의 수평단면은 호스(40)의 수평단면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inner housing 120a has a plurality of structures for pressing and binding the outer portion of a part of the hose 40, and has an inner shape which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se 40,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se 40a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se 40. [

즉, 일실시예로서, 상기 호스(40) 일부분의 수평단면이 원형(링형태)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내부하우징(120a)은 링형태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내부하우징(120a)은 상기 호스(40) 일부분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을 감싸며 호스(40)의 외부를 가압하며 결속시킬 수 있다.That is, in one embodiment, whe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se 40 is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ring shape), the inner housing 120a may be a pair of ring- And each of the inner housings 120a surrounds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a part of the hose 40 and can press and bind the outside of the hose 40. [

또한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내측면에는 상기 호스(40) 일부분의 외부면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돌출된 돌기(120a-1)가 복수의 층을 이루며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0a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ed protrusions 120a-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a part of the hose 40 Can be configured.

아울러 상기 외부하우징(120b)은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호스(40) 일부분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힌지(120f) 결합되어 여닫힘 가능하며, 상기 체결대(121)의 후단이 외부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호스(40) 일부분이 파지된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안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내부하우징(120a)을 호스(40) 쪽으로 가압하여 호스(40)에 대한 내부하우징(120a)의 가압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The outer housing 120b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housing 120a and is hinged to the hinge 120f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art of the hose 40 so that the outer housing 120b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inner housing 120a is pressurized toward the hose 40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ose 4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0a, Thereby forming a pressing force of the housing 120a.

즉, 상기 외부하우징(120b)은 도 14와 같이 호스(40) 일부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힌지(120f)에 의하여 상호 여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housing 120b may have a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art of the hose 40, as shown in FIG. 14, and a pair of hinges 120f fastened to each other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이때, 상기 한 쌍의 외부하우징(120b)을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120f)는 호스(40) 일부분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외부하우징(120b)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120f)의 반대쪽에는 매미고리(122)와 같은 체결장치가 장착되는 구성을 하여, 작업자가 상기 체결장치를 체결시킴으로써 한 쌍의 외부하우징(120b)을 상호 체결시킬 수 있다.The hinge 120f connecting the pair of outer housings 120b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outer housings 120b can be opened or closed in a width direction of a part of the hose 40. The hinge 120f Is fastened to the pair of outer housings 120b by fastening the fastening device by an operator.

또한 상기 한 쌍의 외부하우징(120b) 중 고정블럭(110)에 위치되는 쪽의 외부하우징(120b)의 외부에는 상기 체결대(121)의 후단이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The rear end of the fastening bolt 121 is fastened to the outer side of the outer housing 120b of the pair of outer housings 120b.

아울러 상기와 같이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는 외부하우징(120b)은 상호 결합되어 닫혀 있는 상태에서 호스(40) 일부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상기 내부하우징(120a)이 내입되는 구성을 하며,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안쪽에는 호스(40) 일부분이 파지되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outer housing 120b, which is formed as a pair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with a hollow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art of the hose 40 in a state where the outer housing 120b is closed to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hose 40 is gripp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housing 120a.

더불어 상기 판스프링(120c)은 상기 내부하우징(120a)과 외부하우징(120b)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로서, 외부하우징(120b)이 상기 힌지(120f)를 중심으로 닫힌 상태를 가질 경우에, 상기 판스프링(120c)에 의한 탄성력은 내부하우징(120a)을 외부하우징(120b)의 안쪽으로 가해지고, 상기 판스프링(120c)에 탄성력은 내부하우징(120a)의 내측에 위치되는 호스(40) 일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력으로 작용되어, 호스(40) 일부분이 체결블럭(1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eaf spring 120c is one or more elastic members provided between the inner housing 120a and the outer housing 120b. When the outer housing 120b has a closed state around the hinge 120f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120c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120b while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120c is applied to the inner housing 120a 40 to provide a biasing force to allow a portion of the hose 4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lock 120.

즉, 상기 판스프링(120c)은 외부하우징(120b)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의 중앙이 판스프링(120c)의 어느 한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굽어진 구성으로서, 판스프링(120c)의 양쪽 말단은 내부하우징(120a)의 외부를 가압하고, 판스프링(120c)의 중앙 부분은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를 가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한 쌍의 외부하우징(120b)이 닫힐 때 판스프링(120c)에 의한 탄성력은 내부하우징(120a)에 가해져 내부하우징(120a)의 안쪽에 위치된 호스(40)에 대한 가압력(파지력)을 작용시킨다.That is, the plate spring 120c has a length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housing 120b, and a center of the plate spring 120c is bent in a shape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plate spring 120c. Both ends of the spring 120c press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 120a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af spring 120c presses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120b so that the pair of outer housings 120b The resilient force by the leaf spring 120c is applied to the inner housing 120a to exert a pressing force (gripping force) against the hose 40 located inside the inner housing 120a.

아울러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120c)을 사이에 두는 외부하우징(120b)과 내부하우징(120a)은 외부하우징(120b)의 안쪽에 상기 내부하우징(120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5와 같이 외부하우징(120b)의 안쪽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내입시킬 수 있는 내입홈(120b-1)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120b-1)은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두께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housing 120b and the inner housing 120a, which hold the plate spring 120c therebetween, may have a connecting relationship to prevent the inner housing 120a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housing 120b An inner groove 120b-1 is formed in an inner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120b so as to allow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housing 120a to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120b-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housing 120a.

즉, 상기 구성의 내입홈(120b-1)은 외부하우징(120b)의 안쪽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내부하우징(120a)이 외부하우징(120b)의 상방 및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내입홈(120b-1)이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두께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판스프링(120c)에 의하여 외부하우징(120b)의 안쪽으로 가압되는 내부하우징(120a)이 외부하우징(120b)의 안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가능하여, 내부하우징(120a)이 호스(40) 일부분을 가압하며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inner groove 120b-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outer housing 120b so that the inner housing 120a is not separ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housing 120b, Since the groove 120b-1 is configur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housing 120a, the inner housing 120a, which is pressed inside the outer housing 120b by the leaf spring 120c, The inner housing 120a can be mo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120b so that a part of the hose 40 can be pressed and gripped.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상부와 외부하우징(120b)의 상부의 내부 사이 및 내부하우징(120a)의 하부와 외부하우징(120b)의 하부의 내부 사이 각각에는 탄성스프링(120d)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An elastic spring 120d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120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120b an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120a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120b, Can be further provided.

보다 상세하면, 상기 탄성스프링(120d)은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하우징(120a)이 호스(40)의 흔들림에 의하여 외부하우징(120b)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호스(40)의 당겨지는 힘(이하, “당김력”이라 칭함.)을 완화시키는 구성이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inner housing 120a located inside the outer housing 120b is pulled upward or downward of the outer housing 120b due to the swing of the hose 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ulling force ") of the hose 40 is relieved.

즉, 상기 탄성스프링(120d)이 위치되는 내부하우징(120a)의 상부와 외부하우징(120b)의 상부의 내부 사이 및 내부하우징(120a)의 하부와 외부하우징(120b)의 하부의 내부 사이는 상기 내입홈(120b-1)과 동일한 부분이 될 수 있고, 상기 내입홈(120b-1)에 내입된 탄성스프링(120d)의 상부는 외부하우징(120b)에 의하여 지지되고, 탄성스프링(120d)의 하부는 내부하우징(120a)을 지지시킨다.That is,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housing 120a where the elastic spring 120d is positioned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outer housing 120b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housing 120a and the inn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outer housing 120b,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120d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120b-1 is supported by the outer housing 120b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120d And the lower portion supports the inner housing 120a.

이때, 호스(40)가 외력에 의하여 흔들릴 경우, 호스(40) 일부분을 파지한 내부하우징(120a)은 고정블럭(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외부하우징(120b)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려는 당김력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20d)은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에서 내부하우징(120a)만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완충되며 이동 및 복귀할 수 있는 복원력(완충력)을 생성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hose 40 is shaken by an external force, the inner housing 120a holding a part of the hose 40 is moved upward or downward relative to the outer housing 120b which is fixed to the fixed block 110 And the resilient spring 120d generates a restoring force (buffering force) that allows only the inner housing 120a to be buffered upward or downward within the outer housing 120b.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스프링(120d)과 내부하우징(120a)의 사이에 가압판(120e)을 더 구비시켜, 탄성스프링(120d)에 의한 완충력이 내부하우징(120a)의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essing plate 120e between the elastic spring 120d and the inner housing 120a so that the buffe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20d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housing 120a, And may be configured so as to be uniformly operated.

이때, 상기 가압판(120e)은 상기 내입홈(120b-1)의 수평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plate 120e is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inner groove 120b-1.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20d)이 내입홈(120b-1)에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하우징(120a)은 내입홈(120b-1)의 깊이 방향(호스(40) 일부분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판스프링(120c) 역시 내부하우징(120a)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판스프링(120c)의 상하이동시에 판스프링(120c)과 내부하우징(120a)의 외부면 또는 판스프링(120c)과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면 간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줄여, 외부하우징(120b)에 대한 내부하우징(120a)의 상하이동 및 복귀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resilient spring 120d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ner groove 120b-1, the inner housing 120a is positioned in a depth direction of the inner groove 120b-1 (a length of a portion of the hose 40 At this time, the leaf spring 120c also moves up and down in the outer housing 120b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120a.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friction between the leaf spring 120c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0a or between the leaf spring 120c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20b at the same time by vertically moving the leaf spring 120c , And the inner housing 120a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outer housing 120b more smoothly.

보다 상세하면, 상기 내부하우징(120a)의 중간 부분 외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판스프링 내입홈(120a-2)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 내입홈(120a-2)의 양쪽 말단에는 판스프링(120c)의 양쪽 말단이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 내입홈(120a-2)에 내입된 판스프링(120c)의 중간 부분은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면에 안착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상태의 판스프링(120c) 중간 부분은 내부하우징(120a)이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및 복귀될 때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면에서 자연스럽게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2, a plate spring inner groove 120a-2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utside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120a, and a plate spring 120a-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spring inner groove 120a-2.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 120c are fitte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eaf spring 120c received in the leaf spring inner groove 120a-2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20b,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eaf spring 120c in the above- When the inner housing 120a is vertically moved and returned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120b, the inner housing 120a can be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natur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20b.

즉,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 내입홈(120a-2)에 판스프링(120c)의 양단이 내입되고, 판스프링(120c)의 중간 부분은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면에 안착되는 구성을 하면,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에서 내부하우징(120a)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복귀되는 판스프링(120c)의 중간 부분만이 외부하우징(120b)에 마찰되기 때문에, 판스프링(120c)의 양쪽 말단이 외부하우징(120b)의 내부면에 마찰되는 경우보다 더 작은 마찰력이 생성되어, 판스프링(120c)과 외부하우징(120b) 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내부하우징(120a)의 상하이동 및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는 우려를 해결할 수 있다.That is, if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120c are inserted into the leaf spring inner groove 120a-2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eaf spring 120c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20b, Since only the middle portion of the leaf spring 120c that moves and retur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inner housing 120a inside the outer housing 120b rubs against the outer housing 120b,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eaf spring 120c and the outer housing 120b causes the inner housing 120a to move up and down smoothly and return smooth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may not be supported.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changes in the present invention.

10 : 하우징 11 : 인출공
12 : 호스 지지유닛 20 : 권취롤러
30 : 속도조절부재 31 : 가이드바
32 : 탄성체 33 : 스위칭 유닛
33a : 스위치 33b : 스위칭 로드
33c : 작동단자 34, 34a, 34b : 가이드롤러
40 : 호스 41 : 호스 다발
100 : 호스 체결부재 110 : 고정블럭
111 : 체결홀 112 : 지지체결홀
113 : 측부홀 120 : 체결블럭
120a : 내부하우징 120a-1 : 돌기
120a-2 : 판스프링 내입홈 120b : 외부하우징
120b-1 : 내입홈 120c : 판스프링
120d : 탄성스프링 120e : 가압판
120f : 힌지 121 : 체결대
121a : 체결헤드 121a-1 : 체결부
121b : 체결바 121b-1 : 회전축
122 : 매미고리 130 : 제1자성체
131 : 제2자성체 140 : 클램프
141 : 힌지 142 : 클램프 헤드
143 : 클램프 바디 144 : 누름핀
145 : 누름판
10: Housing 11: Drawer
12: hose support unit 20: winding roller
30: speed adjusting member 31: guide bar
32: elastic body 33: switching unit
33a: Switch 33b: Switching rod
33c: Operation terminal 34, 34a, 34b: Guide roller
40: Hose 41: Hose bundle
100: Hose fastening member 110: Fixing block
111: fastening hole 112: fastening hole
113: side hole 120: fastening block
120a: inner housing 120a-1: projection
120a-2: leaf spring inner groove 120b: outer housing
120b-1: Inner groove 120c: Plate spring
120d: elastic spring 120e: pressure plate
120f: hinge 121: fastening base
121a: fastening head 121a-1: fastening part
121b: fastening bar 121b-1:
122: cicada ring 130: first magnetic body
131: second magnetic body 140: clamp
141: Hinge 142: Clamp head
143: clamp body 144: push pin
145: Presser plate

Claims (7)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재(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권취롤러(20)에 감긴 호스(40)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원주가 길수록 권취롤러(20)가 더 느린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1.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comprising a housing (10) provided so that a winding roller (20) rotating by a driving motor is rotatable,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speed adjusting member (30)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The speed adjusting member (30)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is reduced so that the winding roller 20 rotates at a slower speed as the circumference of the wound hose bundle 41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hose 40 wound on the winding roller 20 Wherein the hos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재(30)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에 안착되는 가이드바(31);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31)의 중간 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바(31)의 타측이 권취된 호스 다발(41)의 외주 쪽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2) 및;
상기 하우징(10)과 가이드바(31)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가 서로 다르도록 조절시키는 스위칭 유닛(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ed adjusting member (30)
A guide bar (31) fastened at one side to the housing (10)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side being se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ound hose bundle (41);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31 is pulled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ound hose bundle 41. [ An elastic body 32 for providing an elastic member 32;
A switching unit 33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guide bar 31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Wherein the hose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a ho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31)는,
상기 권취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바(31)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1)의 타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31)를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34)가 가이드바(3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bar (31)
And a pair of guide bars 31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ke-up roller 20,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34 connecting the pair of guide bars 31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guide bars 3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s 31 Characterized in that the hose is an automatic wind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33)은,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고, 구동모터에 서로 다른 세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33a) 및;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의 누름 및 누름 해제를 조절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31)에 체결되는 스위칭 로드(3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로드(33b)는 가이드바(31)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스위치(33a)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33a)의 작동단자(33c)를 눌러, 작동단자(33c)가 눌러진 스위치(33a)에 의한 전원이 구동모터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witching unit (33)
A plurality of switches (33a) fastened to the housing (10)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with different intensities;
One side of the switch 33a is located at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to control the pressing and unclamping of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the switch 33a, And a rod 33b,
The switching rod 33b pushes the operation terminal 33c of the switch 33a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33a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bar 31 so that the operation terminal 33c is pushed 33a are supplied to the driv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호스(40)에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사이에 위치되는 호스(40)의 일부분을 하우징(10)에 체결시키는 호스 체결부재(100)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 체결부재(10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고정체결되는 고정블럭(110);
상기 고정블럭(110)에 체결되는 체결대(121)가 전방에 구비되고, 호스(40)의 일부분을 체결시키는 체결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대(121)는 상기 고정블럭(110)에 대하여 상기 체결블럭(120)을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housing 10,
And a hose fastening member (100) for fastening a part of the hose (40) positioned between the pump for pumping fluid to the hose (40) and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the hose to the housing (10)
The hose fastening member (100)
A fixing block 110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a fastening block 120 having a fastening band 121 fastened to the fixed block 110 and fastening a part of the hose 40,
Wherein the fastening block (121)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astening block (120) to the fixed block (110) such that the fastening block (120)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럭(120)의 체결대(121)는,
체결대(121)의 선단에 해당하고, 하부로 돌출된 체결부(121a-1)를 구비하는 체결헤드(121a);
상기 체결헤드(121a)의 후방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블럭(120)의 외부와 연결되며, 중간 부분은 회전축(121b-1)에 의하여 일측부와 타측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체결바(12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럭(110)은,
상기 체결헤드(121a)의 하부 일부분을 내입 체결시키는 체결홀(111)이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astening tabs 121 of the fastening block 120 may be formed,
A fastening head 121a having a fastening portion 121a-1 protruding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fastening base 121;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astening head 121a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block 120. The intermediat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by a rotation shaft 121b- And a fastening bar 121b,
The fixed block 110 includes:
Wherein a fastening hole (111) for internally fastening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ead (121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1a-1)의 하부에는 제1자성체(1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홀(111)의 하부에는 상기 제1자성체(130)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성체(131)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자동 권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magnetic body 130 is provided under the coupling portion 121a-1,
And a second magnetic body (131) to which attraction force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130) is applied is provided below the coupling hole (111).
KR1020170166518A 2017-12-06 2017-12-06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KR201900667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18A KR20190066775A (en) 2017-12-06 2017-12-06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18A KR20190066775A (en) 2017-12-06 2017-12-06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75A true KR20190066775A (en) 2019-06-14

Family

ID=6684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18A KR20190066775A (en) 2017-12-06 2017-12-06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77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3347A1 (en) * 2020-04-21 2021-10-28 深圳市熙锦科技发展有限公司 Automatic wire taking-up device
KR102522902B1 (en) * 2022-05-23 2023-04-17 이종영 A stage system equipped with a displacement detector
KR102551687B1 (en) 2022-10-14 2023-07-04 박주호 Automatic Winding and Pack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69Y1 (en) 2004-11-09 2005-03-11 윤도원 Apparatus for automatic winding for hose of movable power sprayer
KR20050035346A (en) 2003-10-13 2005-04-18 협우물산 주식회사 Reduction of labor spading system of automatic device hose winding and drawing out
KR20050082109A (en) 2004-02-17 2005-08-22 이재명 The winding and disentangleing apparatus of ho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346A (en) 2003-10-13 2005-04-18 협우물산 주식회사 Reduction of labor spading system of automatic device hose winding and drawing out
KR20050082109A (en) 2004-02-17 2005-08-22 이재명 The winding and disentangleing apparatus of hose
KR200375969Y1 (en) 2004-11-09 2005-03-11 윤도원 Apparatus for automatic winding for hose of movable power spray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3347A1 (en) * 2020-04-21 2021-10-28 深圳市熙锦科技发展有限公司 Automatic wire taking-up device
KR102522902B1 (en) * 2022-05-23 2023-04-17 이종영 A stage system equipped with a displacement detector
KR102551687B1 (en) 2022-10-14 2023-07-04 박주호 Automatic Winding and Pack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6775A (e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hoses
KR20050035346A (en) Reduction of labor spading system of automatic device hose winding and drawing out
US4826099A (en) Automatic cord reel for duck decoys
KR20150101194A (en) hose winding apparatus
KR20190092778A (en) Functional electric agricultural chemicals sprayer using solar energy
US4991788A (en) Foldable spool
US2753131A (en) Handle reel
CA2016877A1 (en) Flexible member reeling device
US4456198A (en) Welding wire dispenser
KR100687052B1 (en) Longline apparature for fishing gear
KR101441969B1 (en) Agricultural Hose Reel
KR20090002911A (en) Coiling guide apparatus of hose reel for agriculture
KR101296867B1 (en) Seaweed plantlet binding apparatus
KR102475043B1 (en) Apparatus for auto inserting fishing bait
KR200339596Y1 (en) hose winding and drawing out device of reduction labor of spading system
KR200339595Y1 (en) hose winding and drawing out position swing device of redution labor of spading system
US699763A (en) Reel.
KR100986489B1 (en) Hosereel for farming
KR101952891B1 (en) Vinyl roll mounting module for vinyl covering apparatus
JP2006212018A (en) Reel winding auxiliary apparatus for fishline
JPH028938Y2 (en)
US20210307308A1 (en) Fishing Device
KR0116615Y1 (en) Hose rolling apparatus for sprayer of agricultural chemicals
KR200353878Y1 (en) Structure of the cropduster scatter agricultural chemicals for trailer
KR102540483B1 (en) Guide tape Attacher for imag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