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192A -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192A
KR20190066192A KR1020170165690A KR20170165690A KR20190066192A KR 20190066192 A KR20190066192 A KR 20190066192A KR 1020170165690 A KR1020170165690 A KR 1020170165690A KR 20170165690 A KR20170165690 A KR 20170165690A KR 20190066192 A KR20190066192 A KR 20190066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arasol
solar cell
suppor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하
방다영
박경빈
김성봉
Original Assignee
김무하
박경빈
방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하, 박경빈, 방다영 filed Critical 김무하
Priority to KR102017016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192A/ko
Publication of KR2019006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5/3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63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t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태양 전지셀을 파라솔의 차양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에 태양전지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파라솔; 및 반으로 접히게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다리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냉온 용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에는 제1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홈에 장착되는 냉온 용기에는 열전 소자가 마련되고,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상기 냉온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며, 상기 제1수용홈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냉온 용기의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냉온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PORTABLE PARASOL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태양 전지셀을 파라솔의 차양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의 발전에 의한 개인소득의 향상, 여가선용에 대한 욕구,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의 확충, 주 5일제 근무 등에 따라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증대되면서 여가선용 인구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각종 대중문화와 오락 및 스포츠를 통한 여가 선용, 강이나 바다 혹은 산 등에서 즐길 수 있는 각종 레포츠 활동을 통해 여가를 선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야외로 캠핑을 가거나 야외에서 음식을 먹는 일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 경우 야외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야외용 테이블, 그리고 햇빛이나 눈 또는 비를 피할 수 있는 파라솔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산 형상의 파라솔을 고정식 테이블(고정된 형상의 테이블) 또는 조립식 테이블 등에 단순히 지지시켜 설치하는 것이 현재의 일반적인 방식이므로, 이러한 방식에서의 야외용 테이블의 경우 그 설치 및 해체 뿐만 아니라 휴대, 이동, 보관 등이 그리 용이하지 않게 된다.
한편, 태양에너지는 무한한 청정연료로서 근래에 주목받고 있는 대체에너지 중 하나이다.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광을 이용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기술이 종래의 화석연료에 의존한 전기생산을 대체할 수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지 방식의 시설물 등이 다수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다방면에서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일례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실리콘 태양전지를 이용한 가로등이 있는데, 이러한 가로등은 낮에는 입사된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기로 충전하였다가 야간에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실리콘 태양전지를 사용한 발전설비는 일반적으로 태양광의 입사각이 수직일 경우 최대 효율을 나타내도록 하여 하루를 기준으로 하여 태양전기의 최대효율을 낼 수 있는 시간이 약 3~4시간에 국한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태양광을 추적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어 그 설치비용에 비해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미흡한 면이 없지 않았다.
또한, 실리콘 태양전지는 흐린 날에는 발전효율이 매우 저조하여 장마철 등에는 별도의 납산배터리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레저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해안가나 휴양지 등에 나들이객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햇볕을 피하고 시원한 그늘을 만들기 위하여 파라솔이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파라솔은 단순히 햇볕을 차단하고 그늘을 제공하는 기능만이 있어 파라솔 아래에서 전원을 요하는 기구 예를 들어, 선풍기나 조명, 휴대용전자기기의 전원 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파라솔을 벗어나 전원이 제공되는 곳까지 이동하거나 또는 파라솔까지 전기배선을 설치하여야 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KR 10-2011-0134806 A (2011.12.15.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 전지셀을 파라솔의 차양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태양전지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파라솔; 및 반으로 접히게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다리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냉온 용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에는 제1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홈에 장착되는 냉온 용기에는 열전 소자가 마련되고,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상기 냉온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며, 상기 제1수용홈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냉온 용기의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냉온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상기 제1수용홈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판에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에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가 수용되는 축전지함이 장착되며, 상기 축전지함에는 제2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전지함에는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가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공급되도록 하나 이상의 콘센트 또는 하나 이상의 USB 포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판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 지지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중앙부 측면은 상기 상판이 반으로 접힌 경우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부 측면에는 복수의 캐스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스터가 결합되는 중앙부 측면과 대향하는 반대쪽 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태양 전지셀을 파라솔의 차양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태양 전지셀로부터 얻어진 전기를 이용하여 테이블의 상판에 배치되는 냉온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배선을 설치할 필요없이 야외에서 별 어려움 없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셀, 차양막 및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고, 테이블을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테이블의 다리를 상판에 대해 절첩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서 태양 전지셀, 차양막 및 지지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서 테이블 상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 채용되는 냉온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 채용되는 축전지함과 축전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서 테이블을 아래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에서 상판이 반으로 접히고 다리가 절첩되며 중앙부 측면에 캐스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캐스터가 결합된 중앙부 측면과 반대쪽 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태양전지셀(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양막(2)과, 차양막(2)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차양막(2)을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대(3)로 이루어진 파라솔(P); 및 반으로 접히게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지지대(3)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상판(10)과, 상판(10)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다리(20)로 이루어진 테이블(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태양전지셀(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차양막(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공으로 이루어진 지지대(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대(3)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되 복수로 이루어져 상호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대(3)의 상단에는 내부의 전선이 태양전지셀(1)과 연결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지지대(3) 중 상판(10) 부근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내부의 전선이 후술할 제1접속단자(미도시) 및 제2접속단자(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된다.
상판(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판재를 측면이 맞닿도록 배치한 다음 서로 맞닿은 부분의 양측에 경첩(17)을 설치하여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테이블(T)의 상판(10)에는 냉온 용기(12)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H1)이 형성되는데, 제1수용홈(H1)에는 제1접속단자가 형성된다.
이때, 태양전지셀(1)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는 지지대(3)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제1수용홈(H1)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로 공급된다.
한편, 제1수용홈(H1)에 장착되는 냉온 용기(12)에는 열전 소자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열전 소자는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태양전지셀(1)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냉온 용기(12)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게 된다.
미설명부호 12a는 냉온 용기에 형성된 플러그이다.
또한, 제1수용홈(H1)의 일측에 위치한 상판(10)에는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냉온 용기(12)의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냉온 전환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냉온 용기(12)에 음료캔 등을 투입하여 필요에 따라 음료를 따뜻하거나 차갑게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냉온 용기(12)에 사용되는 열전소자(Thermo Electronic Module)의 원리를 살펴보면 고체 소자의 Heat-Pump로서 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Freon식 Compressor나 흡열식 냉동기와 비슷한 냉각기능을 소형으로 가능하게 만든 소자를 말하는 것으로, 펠티어(Peltier)에 의해 발견되었기 때문에 펠티어 소자라고도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펠티어가 발견한 현상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기적 양도체에 직류전원을 가하면 상하에 접점이 각각 냉각되고 가열되며 또 전류의 방향을 바꾸었을 때는 두 접점이 각각 가열되고 냉각된다는 이론이다.
이러한 이론을 기초로 소자를 본격적으로 만들게 된 시기는 반도체를 개발한 시기와 거의 비슷한 시기이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를 흔하게 기존 냉각방식의 시스템에 비유하여 설명하기도 하는데 이를 비교한다면 재래식 냉각장치는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증발기와 콘덴셔 및 응축기이다.
증발기는 찬 부분을 압축된 냉매가 확산 비등하여 증발하는 곳을 증발기라 한다. 액체에서 기체로 바뀌는 과정에서 열 형태의 에너지가 흡수하게 되며 콤프레셔에서 발생한 열을 외기로 뽑아내는 역할을 증발기에서 하는 것이다. 전자 냉각장치도 이와 유사한 구성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차가운 접합점에서는 전자가 한 반도체에서 다른 반도체로 이동하면서 열 형태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 고에너지 상태로 가게 된다.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가 시스템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뜨거운 접합점은 열교환기에 접속되어 발생하는 열을 외기로 방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 냉각기는 고체소자로서 유체나 기체 등 유동부품이 없는 히트펌프로, 열역학의 기본 법칙은 재래식 히트펌프와 흡열식 냉각기 및 열 전달을 매개로 하는 기타장치와 마찬가지로 이 장치에도 적용이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의 개발과 비슷한 시기부터 열전소자가 개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Thermocouple이 개발된 시기이다.
Thermocouple은 서로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는데, 대표적으로 구리/콘스탄트에 두선을 연결하여 두 접합점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 접합점은 일정한 온도에 맞추어 있고 다른 접합점은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어떤 점에서 회로를 개방하였을때 발생된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전자 냉각의 연결은 두 요소의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점으로 Bisimuth와 Telluride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전자의 N Type과 P Type을 만들어 낸다.
냉각용 플레이트(Cold Plate)에서 가열용 플레이트(Heat Plate)로 흡수된 열이 이송하는 것은 회로에 흐르는 자유전자와 반도체의 숫자와 비례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열전소자가 응용되는 분야를 설명하면 현대 산업은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변화되어가고 있으며 고정밀과 신뢰성에 더욱더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있다.
반도체가 첨단화되면서 온도 상승으로 인한 많은 문제와 기존의 냉각방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열전소자(Thermo Electronic Module)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해결할 수가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시스템이 기존의 냉각 장비를 대치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반드시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Thermo Electronic Module)를 응용하여 현재 실용화된 예를 열거하면 적외선 센서(Sensor)의 온도 보상용 냉각장치, CCTV Camera 냉각장치, 적외선 Sensor의 온도보상용 냉각장치, 수술용 침대, 정수기 및 Laser 냉각장치 등이 있다.
한편, 테이블(T)의 상판(10)에는 제2수용홈(H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수용홈(H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축전지(14)가 수용되는 축전지함(13)이 장착된다.
미설명 부호 11은 제2수용홈(H2)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이다. 이러한 덮개(11)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축전지함(13)에는 제2접속단자가 형성되고, 태양전지셀(1)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는 지지대(3)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제2접속단자로 공급되게 된다.
아울러, 축전지함(13)에는 태양전지셀(1)로부터 발생되는 전기가 지지대(3)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공급되도록 하나 이상의 콘센트(13a) 또는 하나 이상의 USB 포트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 각종 전자기기 등을 콘센트(13a) 또는 USB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판(10)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 지지대(3)가 끼워지는 끼움홈(15a)이 형성된 중앙부 측면(15)은 상판(10)이 반으로 접힌 경우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중앙부 측면(15)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캐스터(C)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C)가 결합되는 중앙부 측면(15)과 대향하는 반대쪽 면(16)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6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 테이블은 휴대 및 이동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도 9에서 미설명 부호 H4는 태양전지셀(1), 차양막(2) 및 지지대(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판(10)에 형성된 제4수용홈이고, 도 8 및 도 9에서 미설명 부호 H3는 다리(20)를 접어 수용할 수 있도록 상판(10)에 형성된 제3수용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P : 파라솔 1 : 태양 전지셀
2 : 차양막 3 : 지지대
T : 테이블 10 : 상판
12 : 냉온 용기 13 : 축전지함
20 : 다리

Claims (6)

  1. 상면에 태양전지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파라솔; 및
    반으로 접히게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다리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냉온 용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에는 제1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홈에 장착되는 냉온 용기에는 열전 소자가 마련되고,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상기 냉온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며, 상기 제1수용홈의 일측에는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냉온 용기의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냉온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상기 제1수용홈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에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가 수용되는 축전지함이 장착되며, 상기 축전지함에는 제2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함에는 상기 태양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가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선을 따라 공급되도록 하나 이상의 콘센트 또는 하나 이상의 USB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 지지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중앙부 측면은 상기 상판이 반으로 접힌 경우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부 측면에는 복수의 캐스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가 결합되는 중앙부 측면과 대향하는 반대쪽 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KR1020170165690A 2017-12-05 2017-12-05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KR20190066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90A KR20190066192A (ko) 2017-12-05 2017-12-05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90A KR20190066192A (ko) 2017-12-05 2017-12-05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192A true KR20190066192A (ko) 2019-06-13

Family

ID=6684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690A KR20190066192A (ko) 2017-12-05 2017-12-05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1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06B1 (ko) 2020-01-23 2020-05-15 신혜숙 야외용 조립식 더블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806A (ko) 2010-06-09 2011-12-15 김수로 태양전지가 구비된 파라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806A (ko) 2010-06-09 2011-12-15 김수로 태양전지가 구비된 파라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06B1 (ko) 2020-01-23 2020-05-15 신혜숙 야외용 조립식 더블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eri et al. Hybrid photovoltaic-thermoelectric system for concentrated solar energy conversion: Experimental realization and modeling
US4292579A (en) Thermoelectric generator
US9209650B2 (en) Solar powered tabletop charging station
US5379596A (en) Self-contained hand-held solar chest
CN108431512B (zh) 太阳能空气冷却器
Xi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olar-based thermoelectric technologies
WO2013099321A1 (ja) 熱電発電装置
Zimmermann et al. A high-efficiency hybrid high-concentration photovoltaic system
KR101681755B1 (ko) 휴대용 태양광 충전 및 전원공급장치
US20090025411A1 (en) Solar powered cooler
US20230288081A1 (en) Photovoltaic panel system assembly method
EP3151357A1 (en) Solar powerpack
KR20190066192A (ko) 휴대용 파라솔 테이블
RU166483U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Nohay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 portable solar powered thermoelectric refrigerator for insulin storage
Liang et al. Optimization and experimentation of concentrating photovoltaic/cascaded thermoelectric generators hybrid system using spectral beam splitting technology
Field Photovoltaic/thermoelectric refrigerator for medicine storage for developing countries
WO2002101912A1 (fr) Dispositif a effet thermoelectrique, systeme direct de conversion d'energie, et systeme de conversion d'energie
Najafi Evaluation of alternative cooling techniques for photovoltaic panels
Rajaram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olar panel cooling by the use of phase change material
CN216897603U (zh) 室内调温系统
RU2626242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генератора
Wang et al. Efficient Power Conversion Using a PV-PCM-TE System Based on a Long Time Delay Phase Change With Concentrating Heat
Yazawa et al. Thermal challenges on solar concentrated thermoelectric CHP systems
KR20120118529A (ko)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냉온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