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792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792A
KR20190065792A KR1020170165316A KR20170165316A KR20190065792A KR 20190065792 A KR20190065792 A KR 20190065792A KR 1020170165316 A KR1020170165316 A KR 1020170165316A KR 20170165316 A KR20170165316 A KR 20170165316A KR 20190065792 A KR20190065792 A KR 2019006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electronic device
encoded image
encod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재
김용태
권대형
전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792A/ko
Priority to US16/766,051 priority patent/US11184654B2/en
Priority to PCT/KR2018/014698 priority patent/WO2019112224A1/ko
Publication of KR2019006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05Controlling the feeding rate to the network, e.g. by controlling the video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04N21/23655Statistical multiplexing, e.g. by controlling the encoder to alter its bitrate to optimize the bandwidth util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장치는 음성 통신의 기능 외에 비디오 또는 동영상과 같은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 간 영상 변화량이 큰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트율(bit rate)이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보다 일시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트율이 상기 네트워크 대역폭보다 커지면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 중 패킷 손실 또는 전송 지연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송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고정 비트율(constant bit-rate; CBR)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트율 제어 방식이 있다. 이는 CBR로 설정된 인코더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인코딩하여 전송함으로써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고정 비트율(CBR)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도중 크기(예: 비트 수)가 큰 일부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실제 비트율이 목표 비트율보다 증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증가된 비트율에 대응하여 이후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 비트율을 낮추어 제어함으로써 목표 비트율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비트율(CBR)을 이용한 비트율 제어 방식의 경우, 실제로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하여 전송하기 전까지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목표 비트율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들에 적용될 양자화 계수(quantization parameter)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도중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가 큰 일부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실제 비트율이 목표 비트율보다 증가된 경우 비트율을 낮추어 목표 비트율을 제어하는 방식은 상기 데이터 크기가 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이후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에 반영되는 것이므로, 일시적으로 비트율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데이터 크기가 큰 해당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에는 반영되지 않아 일시적으로 비트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수)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 시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 여부, 전송 시간 또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인코딩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중 패킷 손실 및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실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신측에서의 상기 영상 데이터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의 비트율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또는, 영상 획득 장치)(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과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체제(142)는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체제(142)는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는 어플리케이션(146)이 운영 체제(142)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4)는 어플리케이션(146)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웨어(144)는 어플리케이션(146)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146)이 전자 장치(101)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텍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매니저,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는 커넥티비티 매니저,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는 그래픽 매니저 또는 전자 장치(101)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142) 또는 운영 체제(142)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146)은 홈 어플리케이션, 다이얼러 어플리케이션, SMS/MMS 어플리케이션, IM(instant message)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컨택트 어플리케이션, 음성 다이얼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앨범 어플리케이션, 와치 어플리케이션,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어플리케이션,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또는, 영상 획득 장치)(18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80)은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영상 통화 시 통신 모듈(190)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이하, '영상 통화용 영상'이라 칭함)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10), 통신 회로(220), 메모리(230), 카메라 모듈(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240), 디코더(250) 또는 표시 장치(2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부들만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부들 이외에 다른 구성 요소들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2c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입력 장치(예: 입력 장치(150)) 또는 표시 장치(260)(예: 표시 장치(16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비디오 또는 동영상과 같은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거나 영상 통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해당 영상 데이터(예: 비디오, 동영상 또는 영상 통화용 영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유지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프레임 획득부(frame capturer)(211), 인코더(encoder)(213), 패킷타이저(packetizer)(215), 전송 계층(217)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bit rate control module)(2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획득부(211)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거나 영상 통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송될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획득부(211)는 카메라 모듈(240)(예: 카메라 모듈(180))을 통해 촬영되어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의 휘발성 메모리(13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로우(raw) 데이터 상태의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되지 않은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는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240)을 통해 촬영되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예: 영상 통화용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획득부(211)는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의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된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모듈(240)(예: 카메라 모듈(180))로부터 촬영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수신되거나 다운로드된,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예: 비디오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시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로부터 획득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은 디코더(250)를 통해 로우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디코딩한 후 인코더(213)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로부터 순차적으로 획득되거나 또는 디코더(250)를 통해 디코딩된 상기 로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로부터 순차적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디코더(250)로부터 순차적으로 디코딩되어 상기 인코더(213)로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상기 순차적으로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크기(예: 비트수)를 확인하여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 각각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213)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인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크기가 포함된 크기 정보(예: 제1 크기 정보)를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인코더(213)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을 뒤따르는 두 번째 이미지 프레임인 제2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제2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크기가 포함된 크기 정보(예: 제2 크기 정보)를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n개(n은 정수)인 경우, 인코더(213)는 상기 n번째 이미지 프레임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의 제어에 따라 해당 이미지 프레임을 다양한 이미지 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프레임 타입은 I-프레임(intra-frame) 타입, P-프레임(predictive-frame) 타입 또는 B-프레임(bidirectional predictive frame)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프레임 타입은 다른 이미지 프레임(예: 이전 이미지 프레임 또는 이후 이미지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타입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순서열에서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은 항상 I-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I-프레임 타입은 빨리감기, 되감기 또는 무작위 재생기능 구현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프레임 타입은 앞의 이미지 프레임(예: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을 참조하여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타입일 수 있다. B-프레임 타입은 앞의 이미지 프레임(예: I-프레임 또는 P-프레임) 또는 뒤의 이미지 프레임(예: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을 참조하여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타입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크기에 기반한 비트율 제어 모듈(219)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상기 I-프레임 타입, 상기 P-프레임 타입 또는 상기 B-프레임 타입 중 하나로 각각 인코딩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이미지 프레임)은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패킷타이저(215)는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네트워크(299)(예: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로 전송할 수 있도록 패킷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타이저(215)는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기본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을 RTP(real-time protocol) 패킷으로 패킷화할 수 있다. 패킷타이저(215)는 상기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PES: packetized ES)의 헤더(header)에 상기 기본 스트림(ES) 내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더에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의 비디오 포맷, 컬러 포맷, 코딩 방식, 가로세로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수신측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에서 디코딩 시 사용될 수 있다.
전송 계층(217)은 상기 패킷화된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소켓(so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계층(217)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방식을 수행하는 TCP 소켓(socket)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전송 방식을 수행하는 UDP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전송 계층(217)의 소켓(예: PCT 소켓 또는 UDP 소켓)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양을 조절하여 상기 패킷화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서, 상기 패킷타이저(215)와 전송 계층(217)은 서로 구분되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패킷타이저(215) 및 전송 계층(217)은 하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비트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 시 상기 영상 데이터 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큰 움직임 또는 장면 전환 등으로 인해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 간 영상 변화량이 큰 경우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응되는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가 임계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을 외부 전자 장치(102, 104 또는 108)로 전송 시 비트율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을 외부 전자 장치(102, 104 또는 108)로 전송 시 상기 지정된 비트율이 일시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면,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의 외부 전자 장치(102, 104 또는 108)로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 하는데 사용된 평균 비트 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값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는 상수(constant value)이며, 상기 C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102, 104 또는 108)로 전송하는 네트워크(299)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C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값은 2~4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시 인코딩 프레임 타입에 따라 비트 수가 다르므로 인코딩 시 인코딩 프레임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값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인코더(213)로부터 전달된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장치(예: 입력 장치(150) 또는 표시 장치(260)) 또는 상기 표시 장치(26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GUI))를 통해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거나 영상 통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상기 해당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상기 메모리(230)(예: 메모리(130)) 중 휘발성 메모리(13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예: 영상 통화용 영상)로부터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를 이용하여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상기 메모리(230)(예: 메모리(130)) 중 비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예: 동영상 또는 비디오)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이미 인코딩되어 저장된 데이터이므로,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디코더(250)를 통해 디코딩하여 로우 데이터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인코더(21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를 이용하여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로 변환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상기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의 크기를 임계값(threshold)와 비교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한,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프레임 획득부(211), 인코더(213),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219)이 프레임 획득부(211), 인코더(213),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인코더(213) 또는 상기 패킷타이저(2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인코더(213)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가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로우 데이터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인코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로부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디코더(250)를 통해 로우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디코딩한 후 상기 인코더(213)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로부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도록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 정보(예: 제1 데이터 크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제1 데이터 크기)와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미리 지정되거나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기 위한 인코더 제어 신호(예: 제1 인코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코더(21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제1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되도록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기 위한 인코더 제어 신호(예: 제2 인코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코더(21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전송된 인코더 제어 신호(예: 제1 인코더 제어 신호 또는 제2 인코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213)는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제1 인코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인코더(213)는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제2 인코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13)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제어한 이후, 프레임 획득부(212)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102, 104 또는 108)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을 변경한 이후, 인코더(213)는 프레임 획득부(211) 또는 디코더(2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213)는 인코딩된 제i 이미지 프레임(예: i 번째 이미지 프레임, i는 정수임) 이후 프레임 획득부(211) 또는 디코더(2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 중 첫 번째 순서열에 있는 이미지 프레임(예: i+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인코더(213)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제2 인코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a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시 일시적으로 비트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때,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여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임계값보다 큰 크기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102, 104 또는 108)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는 인코더 제어 신호(예: 제1 인코더 제어 신호)를 상기 인코더(213)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인코더 신호에 따라 상기 인코더(213)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크기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정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시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유지하도록 비트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패킷타이저(215)나 전송 계층(217)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b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인코더(213)로부터 전달된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 시간 또는 인코더(213)에 전달될 이미지 프레임의 전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장치(예: 입력 장치(150) 또는 표시 장치(260)) 또는 상기 표시 장치(26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GUI)를 통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거나 영상 통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영상 통화를 위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해당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인 경우, 상기 인코더(213)가 상기 인코더(213)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로우 데이터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인코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로부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이미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인 경우, 상기 디코더(250)를 통해 로우 데이터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디코딩한 후 인코더(213)로 전달되며, 상기 인코더(213)를 통해 순차적으로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예: 비트수)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을 제어하도록 전송 계층(217)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더(213)로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 정보(예: 제1 크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와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인코더(213)로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미리 지정되거나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이상이면,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산출된 제1 전송 시간을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에 대응되어 지정된 전송 시간(예: 제2 전송 시간)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되도록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이상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제어 신호(예: 제1 전송 제어 신호)를 상기 전송 계층(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 이후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레임이 인코더(213)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이상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인코더(213)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예: 제1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를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미만이면, 목표 비트율에 대응되어 지정된 전송 시간(예: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 계층(217)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제어 신호(예: 제2 전송 제어 신호)를 상기 전송 계층(217)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Th) 미만이면, 상기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인코더(213)에 전달되도록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예: 제2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를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계층(217)은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전송된 전송 제어 신호(예: 제1 전송 제어 신호 또는 제2 전송 제어 신호)에 따라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계층(217)은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제1 전송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회로(220)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제2 전송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더 클 수 있다.
프레임 획득부(211)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예: 제1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 또는 제2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에 따라 프레임 획득부(211)로부터 획득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인코더(213)로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획득부(211)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제1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 이후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인코더(213)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출력을 스킵(skip)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킵된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은 인코더(213)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스킵된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인코딩되지 않은 로우 데이터의 이미지 프레임인 경우 해당 이미지 프레임의 인코딩 또한 스킵(skip)될 수 있다. 프레임 획득부(211)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로부터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제2 프레임 획득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인코더(213)에 전달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인코더(213)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시 일시적으로 비트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때, 상기 전송 계층(217)을 제어하여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해당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인코더(213)로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패킷타이저(215)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지정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도록 패킷타이저(215)를 제어하는 패킷타이저 제어 신호(예: 제1 패킷타이저 제어 신호)를 패킷타이저(21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패킷타이저(215)를 제어하는 패킷타이저 제어 신호(예: 제2 패킷타이저 제어 신호)를 패킷타이저(215)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시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을 유지하도록 비트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거나,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에 대한 두 개의 임계값(예: 제1 임계값(Th1) 및 제2 임계값(Th2))을 설정하고, 인코더(213)를 통해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으로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 또는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나머지 이미지 프레임들(예: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인코더(213)로의 전달 여부 또는 전송 계층(217)에서의 전송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거나 영상 통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2c의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가 상기 인코더(213)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로우 데이터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인코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로부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를 포함하는 크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거나,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 상기 패킷타이저(215) 또는 상기 전송 계층(217)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인코더(213)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와 제1 임계값(예: Th1) 및 제2 임계값(예: Th2)을 비교할 수 있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는 것과, 또는 상기 프레임 획득부(21)나 상기 패킷타이저(215)나 상기 전송 계층(217)을 제어하는 것 중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은 미리 지정되거나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임계값(Th2)은 상기 제1 임계값(Th1)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size'로 표기함)(예: 비트 수)가 상기 제1 임계값(Th1)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Th2) 미만(예: Th1 ≤ size < Th2)이면,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과 같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b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size)(예: 비트 수)가 상기 제2 임계값(Th2) 이상(예: size ≥ Th2)이면,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과 같이 인코더(213)를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size)(예: 비트 수)가 상기 제1 임계값(Th1)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Th2) 미만(예: Th1 ≤ size < Th2)이면,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과 같이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size)(예: 비트 수)가 상기 제2 임계값(Th2) 이상(예: size ≥ Th2)이면,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트율 제어 모듈(219)과 같이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b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c에 도시된 비트율 제어 모듈(219)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시 일시적으로 비트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때,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에 대한 제1 임계값(Th1) 또는 제2 임계값(Th2)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더(214)를 제어하는 것과,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 상기 패킷타이저(215) 또는 전송 계층(217)을 제어하는 것 중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지정된 비트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210)(예: 비트율 제어 모듈(219))의 동작은 도 3 내지 6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회로(220)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모듈(19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20)는 프로세서(210)(예: 비트율 제어 회로(219))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2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프로세서(210)(예: 비트율 제어 회로(219))로부터 제어된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 또는 제2 전송 시간)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3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8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예: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수신되거나 다운로드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메모리(23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해 미리 지정된 임계값(Th), 제1 임계값(Th1) 또는 제2 임계값(Th2)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 지정된 비트율 또는 상기 지정된 비트율에 대응되는 지정된 전송 시간(예: 제2 전송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상기 임계값(Th), 제1 임계값(Th1) 또는 제2 임계값(Th2)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시적인 연산값 또는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시적인 연산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240)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8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은 스틸 이미지와 같은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은 초당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연속적으로 획득되는 비디오 또는 동영상 또는 영상 통화용 영상과 같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에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따라 초당 획득되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설정된 경우 카메라 모듈(240)은 초당 30개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획득되는 상기 영상 통화용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230)의 휘발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동영상 또는 비디오 촬영 시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230)의 비휘발성 메모리(예: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될 수 있다.
디코더(250)는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25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더(250)는 카메라 모듈(240)로부터 동영상 또는 비디오 촬영 시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시, 디코더(250)는 상기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압축 해제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로우 데이터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250)를 통해 디코딩된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들은 인코더(213)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서는, 상기 디코더(250)가 프로세서(210)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디코더(250)는 상기 프로세서(21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260)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6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상기 카메라 모듈(240)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디코더(250)를 통해 디코딩되며, 상기 표시 장치(260)는 상기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서 상술한 프로세서(210) 또는 프로세서(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레임 획득부(211), 인코더(213), 패킷타이저(215), 전송 계층(217))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거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210) 또는 상기 프로세서(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레임 획득부(211), 인코더(213), 패킷타이저(215), 전송 계층(217))은 메모리(230)로부터 상기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의 미들웨어(144))에 저장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 등을 로드하여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는, 무선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 메모리(예: 메모리(230))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 및 상기 메모리(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1)는 이미지 획득 장치(예: 카메라 모듈(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23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240)로부터 획득된 로우(raw)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제1 영상 데이터(예: 영상 통화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13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2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디스플레이(260) 상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지정된 제1 전송 시간을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설정된 제2 전송 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메모리(예: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된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을 뒤따르는(following)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intra frame) 타입으로 인코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하고, 상기 패킷화된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지정된 제1 전송 시간 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지정된 비트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송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산출된 제1 전송 시간을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패킷화된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3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예: 입력 장치(150)) 또는 표시 장치(예: 표시 장치(260))의 터치 회로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프레임 획득부(예: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프레임 획득부가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240))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메모리(예: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프레임 획득부가 상기 메모리(230)의 휘발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로우 데이터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거나 상기 메모리(230)의 비휘발성 메모리(예: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은 디코더(예: 디코더(250))를 통해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디코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획득부 또는 상기 디코더를 통해 획득된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인코더(예: 인코더(213))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 또는 제2 영상 데이터부터 획득된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상기 인코더에 전달되면, 상기 인코더를 통해 순차적으로 인코딩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로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로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intra frame) 타입, P-프레임(predictive frame) 타입 또는 B-프레임(bidirectional predictive frame)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로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 한 후,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로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두 번째 이미지 프레임인 제2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intra frame) 타입, P-프레임(predictive frame) 타입 또는 B-프레임(bidirectional predictive frame)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로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n개(n은 정수)인 경우, 상기 인코더를 통해 n 번째 이미지 프레임까지 순차적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 하는데 사용된 평균 비트 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값은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시 인코딩 프레임 타입에 따라 비트 수가 다르므로 인코딩 시 인코딩 프레임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미리 지정되거나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에 대한 정보를 비트율 제어 모듈(예: 비트율 제어 모듈(219))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이 변경된 이후,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들이 로우 데이터 상태의 이미지 프레임들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intra frame)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패킷타이저(예: 패킷타이저(215)) 또는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로 전달되도록 상기 인코더(213)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전송 계층(예: 전송 계층(217)) 또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서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인코더로의 전달을 스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인코더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획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상기 인코더(213)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전송 계층 또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비트율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외부 장치로의 전송 이후,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상기 인코더(213)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 하는데 사용된 평균 비트 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클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41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프레임 획득부(예: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인코더(예: 인코더(213))에 전달되는 i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 P-프레임 타입 또는 B-프레임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이미지 프레임)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42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동작 430을 수행하고,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동작 45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 하는데 사용된 평균 비트 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값은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미리 지정되거나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해당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43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동작 440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서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예: i+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한 후 동작 420을 반복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패킷타이저(예: 패킷타이저(215))를 통해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타이저를 통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기본 스트림(ES)을 RTP(real-time protocol) 패킷으로 패킷화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PES: packetized ES)의 헤더에 상기 기본 스트림(ES) 내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더에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의 비디오 포맷, 컬러 포맷, 코딩 방식, 가로세로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화된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 계층(예: 전송 계층(217)) 또는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프레임 획득부(예: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 획득부를 통해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이 디코더(예; 디코더(250))를 통해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인코더(예: 인코더(213))에 전달되는 i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 P-프레임 타입 또는 B-프레임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이미지 프레임)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2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동작 530을 수행하고,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동작 58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 하는데 사용된 평균 비트 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값은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계값은 미리 지정되거나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해당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지정된 비트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송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송 시간은 상술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산출된 제1 전송 시간을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클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해당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9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패킷타이저(예: 패킷타이저(215))를 통해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카이저를 통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기본 스트림(ES)을 RTP(real-time protocol) 패킷으로 패킷화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PES: packetized ES)의 헤더에 상기 기본 스트림(ES) 내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더에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의 비디오 포맷, 컬러 포맷, 코딩 방식, 가로세로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패킷화된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 계층(예: 전송 계층(217)) 또는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5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해당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i 번째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5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동작 560을 수행하고,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 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인코딩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프레임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서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인코더로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획득부(예: 프레임 획득부(211))를 제어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전송 계층(예: 전송 계층(217)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패킷타이저(예: 패킷타이저(215))를 제어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전송 계층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57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안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제2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7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동작 510을 반복하고,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한 이후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58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패킷타이저(예: 패킷타이저(215))를 통해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타이저를 통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기본 스트림(ES)을 RTP(real-time protocol) 패킷으로 패킷화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PES: packetized ES)의 헤더에 상기 기본 스트림(ES) 내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더에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의 비디오 포맷, 컬러 포맷, 코딩 방식 또는, 가로세로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패킷화된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 계층(예: 전송 계층(217)) 또는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송 시간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지정된 비트율에 기반하여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 또는 비트율 제어 모듈(219))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6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프레임 획득부(예: 프레임 획득부(211))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예: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거나 또는 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 획득부를 통해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이 디코더(예; 디코더(250))를 통해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인코더(예: 인코더(213))에 전달되는 i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 P-프레임 타입 또는 B-프레임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첫 번째 이미지 프레임(예: 제1 이미지 프레임)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i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 수)를 제1 임계값(Th1) 또는 제2 임계값(Th2)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예: 비트수)가 제1 임계값(예: Th1) 이상이고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62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제1 임계값(예: Th1) 이상이고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이면, 동작 625를 수행하고,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제1 임계값(예: Th1) 이상이고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이 아니면 동작 6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된 평균 비트 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임계값(Th2)은 상기 제1 임계값(Th1)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은 미리 지정되거나 메모리(230)(예: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동작 625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제1 임계값(예: Th1) 이상이고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이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및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625는 도 5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 530 내지 57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6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제1 임계값(예: Th1) 이상이고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이 아니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예: Th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63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ㅓㅌ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예: Th2) 이상이면, 동작 635를 수행하고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이면 동작 64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35에서, 예컨대,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예: Th2) 이상이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i+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상기 동작 635는 도 4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 430 및 동작 44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64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640 동작은 도 4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 450 또는 도 5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 58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625 및 동작 635는 서로 반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625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제1 임계값(예: Th1) 이상이고 제2 임계값(예: Th2) 미만이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i+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작 635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예: Th2) 이상이면,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예: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i 번째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및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201)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의 무선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intra frame) 타입으로 인코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201)의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서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인코딩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제1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201)의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뒤따르는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시간으로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클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의 비트율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율(예: 목표 비트율)(700) 대비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제 비트율들(710 내지 730)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가로축은 시간[t]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초당 비트수인 비트율[bits/s]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에 대해 지정된 비트율(700) 대비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 전자 장치에서의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측정된 제1 실제 비트율(700),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에서의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측정된 제2 실제 비트율(720)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에서의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 측정된 제3 실제 비트율(730)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실제 비트율(710)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전송하는 도중 일부 구간(예: t1)에서 일시적으로 비트율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1 구간에 해당하는 이미지 프레임들 간 오브젝트의 큰 움직임 또는 장면 전환 등으로 인해 상기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 간 영상 변화량이 큰 경우 해당 이미지 프레임들의 인코딩 시 비트 수가 평균 비트 수 또는 지정된 비트 수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t1 구간에서 해당 이미지 프레임의 비트율이 일시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지정된 비트율도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1 구간에서 일시적으로 증가된 비트율로 인해, 해당 전송 구간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 지연 및 패킷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수신측에서의 화면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제 비트율(720)과 같이,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에서는 상기 제1 실제 비트율(710)에서 일시적으로 비트율이 증가된 전송 구간(예: t1)에서도 상기 지정된 비트율(700)에 가까운 비트율로 상기 제2 실제 비트율(720)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의 비트율 제어 모듈(219)의 비트율 제어에 따라 상기 지정된 비트율에 가깝도록 제2 실제 비트율(720)이 제어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시 일부 전송 구간(예: t1 구간)에 일시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비트율의 증가를 미연에 방지하여 해당 전송 구간(t1)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전송 지연 및 패킷 손실과 같은 전송 실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실제 비트율(730)과 같이,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에서는 상기 제1 실제 비트율(710)에서 일시적으로 비트율이 증가된 전송 구간(예: t1)에서도 상기 지정된 비트율(700)에 가까운 비트율로 상기 제3 실제 비트율(730)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의 비트율 제어 모듈(219)의 비트율 제어에 따라 상기 지정된 비트율에 가깝도록 제3 실제 비트율(730)이 제어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 시 일부 전송 구간(예: t1 구간)에 일시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비트율의 증가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송 지연 및 패킷 손실과 같은 전송 실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210)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의 무선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220))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210)가, 상기 전자 장치(201)의 이미지 획득 장치(예: 카메라 모듈(240))로부터 획득된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201)의 메모리(예: 메모리(230)) 중 휘발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132))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13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210)가, 상기 전자 장치(201)의 메모리(230) 중 비휘발성 메모리(예: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된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210)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시,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시,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서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인코딩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시,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무선 통신 회로(220)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클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1: 전자 장치 210: 프로세서
211: 프레임 획득부 213: 인코더
215: 패킷타이저 217: 전송 계층
219: 비트율 제어 모듈 230: 메모리
240: 카메라 모듈 250: 디코더
260: 표시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 획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획득된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인코딩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 따라 상기 제1 전송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을 인코딩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 상태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하고, 상기 패킷화된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바로 뒤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지정된 제1 전송 시간 보다 큰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큰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패킷화하고,
    상기 패킷화된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의 각 데이터 크기를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한,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시,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시,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의 순서열에서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순서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속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큰 기록 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시,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전송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을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을 지정된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제1 전송 시간은 상기 지정된 제2 전송 시간보다 큰 기록 매체.
KR1020170165316A 2017-12-04 2017-12-0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90065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316A KR20190065792A (ko) 2017-12-04 2017-12-0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US16/766,051 US11184654B2 (en) 2017-12-04 2018-11-2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of electronic device
PCT/KR2018/014698 WO2019112224A1 (ko) 2017-12-04 2018-11-2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316A KR20190065792A (ko) 2017-12-04 2017-12-0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792A true KR20190065792A (ko) 2019-06-12

Family

ID=6675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316A KR20190065792A (ko) 2017-12-04 2017-12-0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84654B2 (ko)
KR (1) KR20190065792A (ko)
WO (1) WO2019112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5646B1 (en) 2016-07-15 2022-09-07 Koninklijke KPN N.V. Streaming virtual reality vide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7506B2 (ja) * 2001-02-27 2010-04-28 ソニー株式会社 パケット化装置およびパケット化方法
US7418037B1 (en) * 2002-07-15 2008-08-26 Apple Inc. Method of performing rate control for a compression system
KR20040046055A (ko) 2002-11-26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전송 비트율 조절방법
US7940843B1 (en) * 2002-12-16 2011-05-10 Apple Inc. Method of implementing improved rate control for a multimedia compression and encoding system
US8565301B2 (en) * 2005-03-10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Quasi-constant-quality rate control with look-ahead
KR101176213B1 (ko) 2005-08-23 2012-08-22 주식회사 케이티 화면내?프레임을 위한 부호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55427A1 (en) * 2005-12-30 2007-07-05 Tran Bao O Wireless mobile video
KR101371507B1 (ko) 2007-02-20 2014-03-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저지연 영상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518358B1 (ko) 2007-06-19 2015-05-08 밴트릭스 코오퍼레이션 비디오 코딩에서 프레임 복잡성, 버퍼 레벨 및 인트라 프레임들의 위치를 이용하는 버퍼 기반의 비율 제어
US8259816B2 (en) * 2009-03-12 2012-09-04 MIST Innov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video to a mobile device
US9232244B2 (en) * 2011-12-23 2016-01-05 Cisco Technology, Inc. Efficient frame forwarding in large scale real-time screen content sharing meetings
US9609340B2 (en) * 2011-12-28 2017-03-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Just-in-time (JIT) encoding for streaming media content
US20130268621A1 (en) * 2012-04-08 2013-10-10 Broadcom Corporation Transmission of video utilizing static content information from video source
CN103634698B (zh) * 2012-08-21 2014-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流的帧类型检测、帧大小检测方法及装置
US9106887B1 (en) 2014-03-13 2015-08-11 Wowza Media Systems, LLC Adjusting encoding parameters at a mobile device based on a change in available network band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51532A1 (en) 2020-11-05
WO2019112224A1 (ko) 2019-06-13
US11184654B2 (en)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46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07986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of content data, and recording medium
US102373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ncoding image data thereof
WO2019205831A1 (zh) 视频编码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0536168B (zh) 视频上传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69705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itrate in realtim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7041551A1 (zh) 基于spice协议的图像传输方法及装置
US2017019561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996117B (zh) 视频转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00259880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295780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12584049A (zh) 远程交互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3424548A (zh) 播放高动态范围视频的电子装置及其方法
CN110996122B (zh) 视频帧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7493478B (zh) 编码帧率设置方法及设备
KR2019006579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CN113965553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464757B1 (ko) 비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5379168A (zh) 电子签约方法和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573004A (zh) 视频会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56733A (ko)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JP2016096395A (ja) テレビ会議装置、テレビ会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68725A (ko) 비디오 호 녹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140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4025083A (zh) 云设备的视频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