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670A -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670A
KR20190065670A KR1020170165082A KR20170165082A KR20190065670A KR 20190065670 A KR20190065670 A KR 20190065670A KR 1020170165082 A KR1020170165082 A KR 1020170165082A KR 20170165082 A KR20170165082 A KR 20170165082A KR 20190065670 A KR20190065670 A KR 2019006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ug
lug grooves
control
l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5902B1 (en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9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6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6Shift head arrangements, e.g. forms or arrangements of shift heads for preselection or sh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a manual transmission comprises: a control shaft connected to a shift lever to rotate; a control finger provided on the control shaft to slide in an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rotation of a select finger, and provided to rotate along with the control shaft; and a plurality of shift lugs individually provided on a plurality of shift rails, and having a lug groove into which the control finger is selectively inserted. The shift lugs are formed for a height of the lug groov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0001]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0002]

본 발명은 변속단 별로 기어치합력을 저감하여 운전자의 저단변속단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ft operating mechanism of a manual transmission that reduces the gear summing force for each gear position to improve the driver's feeling of downshift opera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속기가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는 작동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무단변속기 등으로 구분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for converting engine power into an appropriate driving force, and the transmission is divided into a manual transmission,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이 중, 수동변속기에 적용되는 변속 조작기구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수동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써, 변속레버의 변속 조작에 따른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셀렉트 케이블 및 시프트 케이블과, 상기 셀렉트 및 시프트 케이블과 연결되는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로 구성된다.The shift operating mechanism applied to the manual transmission includes a select cable and a shift cable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force corresponding to a shift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to the transmission, And a control shaft assembly connected to the select and shift cables.

상기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는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컨트롤 샤프트의 회동 및 축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해당 변속단별로 구비된 싱크로 기구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시프트레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shaft assembly is linked to a shift lever and linked to the rotation and axial movement of a control shaft that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a rotational motion by the operation force of the shift lever, And a shift rai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는 컨트롤핑거가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레일에는 컨트롤핑거와 접촉되어 조작력을 전달받는 시프트러그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시프트레일 상에는 변속단별로 설치된 싱크로기구와 접촉되는 포크가 각각 장착된다.A control finger is mounted on the control shaft, and a shift lug is mounted on the shift rail, the shift lug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rol finger to receive the operation force. On the shift rail, a fork that is in contact with a synchromesh mechanism provided for each speed change stage is mounted.

일반적으로 상기 컨트롤핑거가 삽입되도록 시프트러그의 삽입홈이 형성되는데, 그 크기나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되었다. 그에 따라 고단기어를 치합시킬 때보다 기어비가 큰 저단 기어를 치합시킬 때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상대적으로 조작하기 어렵다고 느끼게 되어 변속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hift lug is formed such that the control finger is inserted, and the size and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are constant. Therefore, when the lower gear having a larger gear ratio is engaged than when the higher gear is meshed, the driver feel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relatively operate the gearshift lever.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10-2005-0046397 AKR10-2005-0046397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단 별로 낮은 기어치합력을 가지도록 시프트러그의 러그홈 높이를 다양화함으로써, 차량의 저단변속단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ift operating mechanism of a manual transmission that improves the feeling of operation of a downshift gear of a vehicle by diversifying the height of a lug groove of a shift lug,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시프트레버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컨트롤샤프트; 상기 컨트롤샤프트 상에 구비되어 셀렉트핑거의 회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컨트롤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된 컨트롤핑거; 및 다수의 시프트레일 상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핑거가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러그홈이 형성된 다수의 시프트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는 상기 러그홈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ift operating mechanism of a manual transmission, including: a control shaft connected to and rotating with a shift lever; A control finger provided on the control shaft and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lect finger, and configured to rotate with the control shaft; And a plurality of shift lug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hift rails and formed with lug grooves into which the control fingers are selectively inserted, wherein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r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lug groov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 ≪ / RTI >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의 러그홈들은 바닥면이 서로 수평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lu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s are formed at a horizontal height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컨트롤핑거는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들의 러그홈 상부 측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finger may be formed to hav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lug grooves.

상기 돌기들은 상기 컨트롤핑거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까운 지점에 위치할수록 돌출량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protrud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control finger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의 러그홈들은 각각 그 높이가 높을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u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may have a larger width as the height of the lug grooves increases.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의 러그홈들은 각각 인접한 시프트러그의 러그홈과 설정높이만큼 높이차이가 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lu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r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lug grooves of the adjacent shift lugs by a set height.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들은 구현하는 변속단이 낮은 시프트레일 상에 구비될수록 상기 러그홈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hift lug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lug grooves is increased as the speed change stages to be implemented are provided on the lower shift rail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에 따르면 차량의 저단변속단 조작감을 향상시켜 차량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ift operating mechanism of the manual transmiss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down-shifting step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vehicle commerciality.

또한, 종래과 같이 기어치합력을 개선하기 위해 마찰면을 다수로 하는 더블 싱크로장치나 트리플 싱크로장치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바, 부품 원가 및 부피를 저감하면서도 동일하게 기어치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gear tooth force as in the prior art,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double synchro device or a triple synchro device having a large number of friction surface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mponent cost and volume while improving the gear tooth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핑거 및 시프트러그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핑거 및 시프트러그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컨트롤핑거가 저단 측 시프트러그에 인입된 경우의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컨트롤핑거가 고단 측 시프트러그에 인입된 경우의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ift operation mechanism of a manu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control finger and a shift 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ide view of a control finger and a shift 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ft operation mechanism of a manual transmission in a case where a control finger is pulled into a low-stage side shift lug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ft operation mechanism of a manual transmission when a control finger is pulled into a high-stage side shift lug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shift operation mechanism of a manu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핑거 및 시프트러그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핑거 및 시프트러그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control finger and a shift 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A control finger and a shift 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시프트레버(12)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컨트롤샤프트(10); 상기 컨트롤샤프트(10) 상에 구비되어 셀렉트핑거(14)의 회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컨트롤샤프트(10)와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된 컨트롤핑거(20); 및 다수의 시프트레일(40) 상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핑거(20)가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러그홈(32)이 형성된 다수의 시프트러그(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30)는 상기 러그홈(32)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 to 3, the speed change operation mechanism of the manual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shaft 10 connected to the shift lever 12 to rotate; A control finger (20) provided on the control shaft (10) and sliding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lect finger (14) and rotating with the control shaft (10); And a plurality of shift lugs (30)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hift rails (40) and each having a lug groove (32) in which the control finger (20) is selectively inserted, The lugs 30 may have different heights of the lug grooves 32.

상기 시프트레버(12)는 변속레버에 연결된 시프트 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되어 회동하고, 상기 셀렉트핑거(14)는 변속레버에 연결된 셀렉트 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된 셀렉트레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도록 설치된다.The shift lever 12 is connected to a shift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hift lever and rotates. The select finger 14 receives power from a select lever connected to a select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hift lever, .

따라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시프트 케이블 및 셀렉트 케이블이 움직이면서 상기 시프트레버(12)와 상기 셀렉트핑거(14)가 회동하고, 그에 따라 컨트롤샤프트(10) 상에 구비된 컨트롤핑거(20)가 이동 또는 회동하면서 다수의 시프트러그(30) 중 어느 하나를 셀렉트하여 시프트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Accordingly, as the driver operates the shift lever, the shift lever 12 and the select finger 14 rotate while the shift cable and the select cable move, and the control finger 20 provided on the control shaft 10 accordingly rotates. So as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30 to transmit the force in the shift direction.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30) 중 하나가 컨트롤핑거(20)로부터 시프트방향 힘을 전달받으면, 그와 연결된 시프트레일(40)이 시프트방향으로 이동하고, 시프트레일(40) 상에 구비된 포크(미도시)가 싱크로장치(미도시)의 슬리브를 이동시킴으로써 변속단기어를 체결하여 변속이 이루어진다.When one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30 receives a shift direction force from the control finger 20, the shift rail 40 connected thereto is moved in the shift direction and the fork (Not shown) moves the sleeve of the synchromesh device (not shown) to engage the speed change gear to effect shifting.

여기서, 본 발명의 시프트러그(30)들에는 각각 컨트롤핑거(20)가 인입되도록 러그홈(32)이 형성되는데, 그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설계됨으로써 각 시프트러그(30)마다 컨트롤핑거(20)를 통해 힘을 전달받는 지점이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다.The shift lug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with lug grooves 32 to allow the control fingers 20 to be drawn in. The lug grooves 32 are designed to have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control fingers 20 are provided for each shift lug 30, And the point at which the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two points are design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여기서, 컨트롤핑거(20)가 시프트러그(30)과 맞닿아 힘을 전달하는 지점이 컨트롤핑거(20)의 중심축과 가까울수록, 동일 힘 대비 시프트러그(30)로 전달되는 힘이 증가하여 적은 힘으로도 변속을 수행할 수 있어 차량 변속감이 향상된다.As the point at which the control finger 20 contacts the shift lug 30 and transmits the force is closer to the center axis of the control finger 20,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shift lug 30 with respect to the same force increases, The shift can be performed even with the force, and the vehicle transmission feeling is improv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30)의 러그홈(32)들은 바닥면이 서로 수평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ug grooves 32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ir bottom surfaces are formed at horizontal heights.

아울러, 상기 컨트롤핑거(20)는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30)들의 러그홈(32) 상부 측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22)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finger 20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2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hift lugs 3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lug grooves 32.

즉,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다수의 시프트레일(40)들과 시프트러그(30)들이 서로 수평하게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시프트러그(30)들의 러그홈(32) 높이는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인입되는 러그홈(32)의 높이에 따라 컨트롤핑거(20)가 서로 다른 반경으로 맞닿도록 마련하여 기어치합력을 저감할 수 있다.That is, the shift operating mechanism of the manual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shift rails 40 and the shift lugs 3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lug grooves 32 of the shift lugs 30, The height of the control fingers 20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coming lug grooves 32 so that the gear tooth force can be reduced.

여기서, 상기 컨트롤핑거(20)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22)가 형성되는데, 다수의 러그홈(32)들 상부 측과 맞닿을 수 있는 지점에 돌기(22)들이 형성됨으로써, 각 시프트러그(30) 별로 상기 컨트롤핑거(20)의 최소 반경으로 러그홈(32)과 맞닿아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22 are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rol finger 20. The protrusions 22 are formed at points where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lug grooves 32 can abut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 lug 30 abuts against the lug groove 32 at a minimum radius of the control finger 20 to transmit the force.

따라서, 각 시프트러그(30) 별로 서로 다른 컨트롤핑거(20)의 반경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shift lugs 30 at a radius of the different control fingers 20.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기(22)들은 상기 컨트롤핑거(20)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까운 지점에 위치할수록 돌출량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jections 2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amount of the protrusions 22 is larger as the protrusions 22 are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axis of the control finger 20 in the radial direction.

즉, 돌기(22)들이 컨트롤핑거(20)의 중심축과 가까울수록 돌출량이 커지도록 설계됨으로써, 컨트롤핑거(20)가 회동할 경우 돌기(22)들 중 컨트롤핑거(20)의 중심축과 가장 가까운 돌기가 먼저 시프트러그(30)의 러그홈(32)에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 fingers 20 are rotated, the protrusions 22 are designed to have a greater protrusion amount as the center of the control fingers 20 approaches the central axis of the control fingers 20, So that the projections close to each other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lug grooves 32 of the shift lug 30 first.

다만, 셀렉팅된 시프트러그(30)의 러그홈(32)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된 돌기(22)는 컨트롤핑거(20)가 회동하여도 러그홈(32)과 맞닿지 않는바, 컨트롤핑거(20)가 다수의 시프트러그(30) 별로 서로 다른 반경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However, the protrusion 22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ug groove 32 of the selected shift lug 3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lug groove 32 even when the control finger 20 is rotated, 20 can transmit rotational forces to different shift lugs 30 at different radii.

아울러,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30)의 러그홈(32)들은 각각 그 높이가 높을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g grooves 32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30 may have a larger width as the height thereof increases.

즉, 돌기(22)들의 돌출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상태에서 다수의 시프트러그(30)의 러그홈(32) 폭을 동일하게 설계하면, 컨트롤핑거(20)는 시프트러그(30) 별로 맞닿는 회동 각도가 서로 상이하게 될 것이다.That is, if the widths of the lug grooves 32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30 are designed to be equal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s 22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 finger 20 has a rotation angle They will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에서 러그홈(32)들은 그 높이가 높을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컨트롤핑거(20)가 동일한 회전각도로 회동할 경우에만 시프트러그(30)와 맞닿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변속레버의 조작을 완료하지 않음에도 변속이 완료되거나, 조작을 완료하였음에도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ug grooves 32 are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lug grooves 32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lug grooves 32, so that the lug grooves 32 are designed to contact the shift lug 30 only when the control finger 20 rotates at the same rotation ang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ift from being completed even if the driver does not complete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or the shift is not performed even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프트레일(40)이 제1,2,3시프트레일(40a,40b,40c)로 구성되고, 상기 시프트러그(30)가 제1,2,3시프트러그(30a,30b,30c)로 구성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시프트레버(12)를 통해 컨트롤핑거(20)로 동력을 전달하는 비율인 시프트ratio는 시프트레버(12)의 회전반경(y)을 컨트롤핑거(20)의 동력전달반경으로 나눈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hift rail 4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shift rails 40a, 40b, and 40c, and the shift lug 30 includes first and second The shift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control finger 20 through the shift lever 12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radius y of the shift lever 12 ) Divided by the power transmission radius of the control finger (20).

만약, 컨트롤핑거(20)가 제1시프트러그(30a)에 인입된 경우라면 제1돌기(22a)가 제1러그홈(32a)에 가장 먼저 맞닿는바, 시프트ratio는 시프트레버(12)의 회전반경(y)을 컨트롤핑거(20)의 중심축과 제1돌기(22a) 사이의 거리(a)로 나눈 값(y/a)로 산출될 수 있다.If the control finger 20 is pulled into the first shift lug 30a, the first projection 22a contacts the first lug groove 32a first, and the shift ratio is set such that the rotation of the shift lever 12 (Y / a) obtained by dividing the radius y by the distance a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control finger 20 and the first projection 22a.

이런 방식에 따라, 컨트롤핑거(20)가 제2시프트러그(30b)에 인입된 경우라면 시프트ratio는 y/b로 산출되고, 제3시프트러그(30c)에 인입된 경우라면 시프트ratio는 y/c로 산출될 것이다.According to this method, the shift ratio is calculated as y / b when the control finger 20 is pulled into the second shift lug 30b, and when the control finger 20 is pulled into the third shift lug 30c, the shift ratio is calculated as y / c.

여기서, 컨트롤핑거(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돌기(22a)와의 사이 거리(a)는 제2돌기(22b)와의 사이 거리(b)보다 짧고, 제2돌기(22b)와의 사이 거리(b)는 제3돌기(22c)와의 사이 거리(c)보다 짧은 바, 시프트ratio는 y/a가 가장 크게 산출된다. Here, the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22a and the second projection 22b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22b and the second projection 22b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control finger 20 b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c to the third projection 22c, and the shift ratio is calculated to have the largest y / a.

산출된 시프트ratio가 클수록 기어치합력을 저감량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변속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발생한다.As the calculated shift ratio is larger, the reduction amount of the gear teeth summing force is increased and the shift lever can be operated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30)의 러그홈(32)들은 각각 인접한 시프트러그(30)의 러그홈(32)과 설정높이(△W)만큼 높이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3, the lug grooves 32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30 have a height difference ΔW between the lug grooves 32 of the adjacent shift lug 30 and the set height ΔW,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설정높이(△W)는 컨트롤핑거(20)에 형성된 돌기(22)의 높이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핑거(20) 회전시 러그홈(32)의 높이와 대응되는 돌기(22)가 아닌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 돌기(22)가 맞닿는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set height? W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22 formed on the control finger 20. [ Therefore, when the control finger 20 is rotated, the height of the lug groove 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with the projection 22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rojection 22 corresponding to the height.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30)들은 구현하는 변속단이 낮은 시프트레일(40) 상에 구비될수록 상기 러그홈(32)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hift lugs 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lug grooves 32 is increased as the speed change stages to be implemented are provided on the lower shift rail 40.

즉, 본 발명은 저단 변속단기어를 치합시키는 포크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시프트레일(40) 상에 구비된 러그홈(32)이 다른 러그홈(32)보다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컨트롤핑거(20)가 짧은 회전반경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ug groove 32 provided on the shift rail 40 provided to engage with the fork coupling the lower-stage speed change gear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lug grooves 32, ) Is design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with a short turning radius.

따라서,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큰 저단기어를 체결하는데 요구되는 기어치합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어, 차량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gear summing force required to engage the lower gear having a relatively large gear ratio, thereby improving the vehicle shift feeling.

예를 들어, 제1,2,3시프트레일(40a,40b,40c)의 순서대로 구현하는 변속단의 높이가 높아진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시프트러그(30a)가 상대적으로 저단 변속단을 구현하는 제1시프트레일(40a) 상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1시프트러그(30a)의 러그홈은 다른 시프트러그(30b,30c)의 러그홈에 비해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될 것이다.For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height of the gear stage implemented in order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hift rails 40a, 40b, and 40c is increased, the first shift lug 30a relatively implements the downshift The lug grooves of the first shift lug 30a will be designed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the lug grooves of the other shift lugs 30b and 30c because they are provided on the first shift rail 40a.

도 4는 본 발명에서 컨트롤핑거가 저단 측 시프트러그에 인입된 경우의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컨트롤핑거가 고단 측 시프트러그에 인입된 경우의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ft operation mechanism of the manual transmission when the control finger is pulled into the low-stage side shift 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ual shift lever when the control finger is pulled into the high- And Fig.

즉, 저단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핑거(20)는 셀렉트방향으로 이동하여 러그홈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1시프트러그(30a)에 인입되고, 컨트롤샤프트(10)가 회전하면서 제1돌기(22a)가 제1시프트러그(30a)를 밀면서 시프트레일에 회전력을 전달한다.4, the control finger 20 is moved in the select direction to enter the first shift lug 30a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of the lug groove, and the control shaft 10 is moved in the left- The first projection 22a pushes the first shift lug 30a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hift rail.

반대로, 고단기어를 구현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핑거(20)가 셀렉트방향으로 이동하여 러그홈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3시프트러그(30c)에 인입된다. 이 상태에서 컨트롤샤프트(10)가 회전하여 제3돌기(22c)가 제3시프트러그(30c)를 밀면 시프트레일이 이동하면서 고단변속이 이루어진다.On the contrary, when the high gear is to be implemented, the control finger 20 moves in the select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5, and enters the third shift lug 30c having a relatively low lug groove height. In this state, when the control shaft 10 rotates and the third projection 22c pushes the third shift lug 30c, the shift rail is moved to perform the high-speed shif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에 따르면 차량의 저단변속단 조작감을 향상시켜 차량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ift operating mechanism of the manual transmiss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down-shifting step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vehicle commerciality.

또한, 종래과 같이 기어치합력을 개선하기 위해 마찰면을 다수로 하는 더블 싱크로장치나 트리플 싱크로장치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바, 부품 원가 및 부피를 저감하면서도 동일하게 기어치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gear tooth force as in the prior art,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double synchro device or a triple synchro device having a large number of friction surface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mponent cost and volume while improving the gear tooth forc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컨트롤샤프트
12: 시프트레버
14: 셀렉트핑거
20: 컨트롤핑거
22: 돌기
30: 시프트러그
32: 러그홈
40: 시프트레일
10: Control shaft
12: Shift lever
14: Select finger
20: Control finger
22: projection
30: shift lug
32: lug home
40: Shift rail

Claims (7)

시프트레버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컨트롤샤프트;
상기 컨트롤샤프트 상에 구비되어 셀렉트핑거의 회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컨트롤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된 컨트롤핑거; 및
다수의 시프트레일 상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핑거가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러그홈이 형성된 다수의 시프트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는 상기 러그홈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A control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ift lever;
A control finger provided on the control shaft and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lect finger, and configured to rotate with the control shaft; And
And a plurality of shift lug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hift rails and having lug grooves into which the control fingers are selectively inserted,
And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re formed such that the heights of the lug groov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의 러그홈들은 바닥면이 서로 수평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u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re formed such that bottom surfaces thereof are formed at a horizontal height with respect to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핑거는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들의 러그홈 상부 측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finger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on both sid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lu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컨트롤핑거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까운 지점에 위치할수록 돌출량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trusions have a larger protrusion amount as the protrusions are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axis of the control finger in the radi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의 러그홈들은 각각 그 높이가 높을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re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as the heigh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increas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의 러그홈들은 각각 인접한 시프트러그의 러그홈과 설정높이만큼 높이차이가 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u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re formed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lug grooves of the adjacent shift lugs by a set heigh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프트러그들은 구현하는 변속단이 낮은 시프트레일 상에 구비될수록 상기 러그홈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shift lugs ar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lug grooves is increased as the speed change stages to be implemented are provided on the lower shift rails.
KR1020170165082A 2017-12-04 2017-12-04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02465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82A KR102465902B1 (en) 2017-12-04 2017-12-04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82A KR102465902B1 (en) 2017-12-04 2017-12-04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70A true KR20190065670A (en) 2019-06-12
KR102465902B1 KR102465902B1 (en) 2022-11-11

Family

ID=6684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082A KR102465902B1 (en) 2017-12-04 2017-12-04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9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95A (en) * 2002-10-09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etus for operation a change of speed for manual transmission
KR20050046397A (en) 2003-11-14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lect return apparatus for shifting control system
KR100680839B1 (en) * 2005-11-29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anual transmission
KR101496566B1 (en) * 2013-08-30 2015-0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Interlock system of manual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95A (en) * 2002-10-09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etus for operation a change of speed for manual transmission
KR20050046397A (en) 2003-11-14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lect return apparatus for shifting control system
KR100680839B1 (en) * 2005-11-29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anual transmission
KR101496566B1 (en) * 2013-08-30 2015-0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Interlock system of manual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902B1 (en)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629B1 (en) Shift apparatu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US7597024B2 (en) Gear-shift device of manual transmission
US7628089B2 (en) Transmission
KR20210006035A (en) Shifting actuator for transmission
CN101563557A (en) Shifting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of a vehicle
KR20190065670A (en)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20150049132A (en) Appartus for preventing wrong gear shift of manual transmission
KR102167734B1 (en) Control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CN110219979B (en) Gear shifting assembly, gear shifting head thereof and gear shifting block thereof
KR101283597B1 (en) Operating shift apparatus for the manual transmission
KR101394045B1 (en) Operating shift apparatus for the manual transmission
KR101519242B1 (en) Shif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00558299B1 (en) Shift Actuator of Transmission for Automobile
KR101181049B1 (en) Shifting Apparatu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592643B1 (en) Gear shift unit
KR20110121275A (en) Actuator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KR20140129901A (en) Park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EP3249265A1 (en) Shift fork module
KR20230011670A (en) Shif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00551085B1 (en) Shift Actuator of Transmission for Automobile
KR100642545B1 (en) Shifting Apparatus of Manual Transmission
JP2009121656A (en) Interlock structure of transmission having plurality of inner levers
KR100941720B1 (en) Shif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00360641B1 (en) interlock system of manual transmission
KR20180067114A (en) Shifting control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