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605A -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605A
KR20190065605A KR1020170164936A KR20170164936A KR20190065605A KR 20190065605 A KR20190065605 A KR 20190065605A KR 1020170164936 A KR1020170164936 A KR 1020170164936A KR 20170164936 A KR20170164936 A KR 20170164936A KR 20190065605 A KR20190065605 A KR 2019006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steel
austenitic stainless
stainless steel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박성진
송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605A/ko
Publication of KR2019006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51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7Refining the metal by treat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1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compacting surfaces, e.g. shot-pe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하여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함에 있어서,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MATHOD FOR MANUFACTURING AUSTENITIC STAINLESS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AUSTENITIC STAINLESS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하여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함에 있어서,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하여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방법은 용탕으로부터 두께 2~6mm의 주편을 직접 주조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슬라브 연주법에서의 열연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공정이다.
따라서, 제조원가가 슬라브 연주법에 비해 저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급속 응고에 의한 석출상을 억제하고, 개재물 미세화 등에 의해 주편 내부품질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쌍롤식 박판 주조기로부터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함에 있어서, 크랙 및 디프레션 등의 결함이 없는 양호한 주편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조롤 표면에 숏 블라스팅 등에 의해 표면 요철을 형성하여야 하며, 용해성 가스로서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몰리브덴(Mo)을 첨가하며, 고온 내산화성, 고온염 부식성 등의 향상을 위해서는 Al, Ti을 비교적 많이 첨가하고, Ni 함량을 높인다.
그런데, 강 내 Ni 함량이 높을 경우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도가 매우 높아, 응고모드가 초정 오스테나이트 모드로 응고(L → L+γ → γ)되어 강 중 P, S가 편석되고, TiN 등의 석출물이 형성됨에 따라 주편 표면에서 표면크랙 등의 표면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Al과 Ti 함량이 높을 경우 연속주조시 몰드플럭스에 Al, Ti 원소가 흡수되어 몰드플럭스의 변질이 발생하여 윤활성이 저하되면서, 판파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고합금의 스테인리스강을 잉곳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잉곳을 가열하고 단조하여 슬라브를 제조하여야 하는 등, 최종 제품까지 생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잉곳의 결함부가 최종 제품까지 전달되는 등, 실수율이 크게 하락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잉곳은 느린 응고속도로 제조되기 때문에 취성이 매우 높은 시그마상이 발생하여, 열간압연시 에지나 표면 등에 크랙 발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그 결함이 최종 제품에서도 잔류할 경우 성형성이 매우 악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Mo, Al, Ti 등을 일정 이상으로 함유하는 고합금 스테인리스 강을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있어서, 표면결함이 없는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쌍롤식 박판 주조법을 이용하여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는 명세서 전반적인 내용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08% 이하, Si: 1.0% 이하, Mn: 1.5% 이하, P: 0.045% 이하, S: 0.025% 이하, Cr: 20~23%, Ni: 15~23%, Mo: 2.0~3.0%, Ti: 0.30~0.60%, Al: 0.10~0.60%, N: 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강을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상기 주조롤 사이로 배출시킴으로써 주편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조롤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고, 상기 요철은 주조롤의 폭 방향 기준 끝단으로부터 5mm 이하의 지점에 해당하는 에지(edge)부는 숏 블라스팅으로 표면처리하고,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 기준 20~100mm 지점에 해당하는 센터(center)부는 레이저 표면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C: 0.08% 이하, Si: 1.0% 이하, Mn: 1.5% 이하, P: 0.045% 이하, S: 0.025% 이하, Cr: 20~23%, Ni: 15~23%, Mo: 2.0~3.0%, Ti: 0.30~0.60%, Al: 0.10~0.60%, N: 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델타 페라이트 10~60면적% 및 잔부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쌍롤식 박판 주조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면처리된 주조롤의 에지부 및 센터부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종 7과 강종 8의 주편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Mo, Al, Ti 등을 일정 이상으로 함유하는 고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하고, 이때의 주조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고합금을 가지는 강에서도 표면품질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방법은, 중량%로 C: 0.08% 이하, Si: 1.0% 이하, Mn: 1.5% 이하, P: 0.045% 이하, S: 0.025% 이하, Cr: 20~23%, Ni: 15~23%, Mo: 2.0~3.0%, Ti: 0.30~0.60%, Al: 0.10~0.60%, N: 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강을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상기 주조롤 사이로 배출시킴으로써 주편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는, 상기 주조롤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철은 폭 방향 기준 끝단으로부터 5mm 이하의 지점에 해당하는 에지(edge)부는 숏 블라스팅으로 표면처리하고,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 기준 20~100mm 지점에 해당하는 센터(center)부는 레이저 표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쌍롤형 박판 주조기(도 1)를 이용하여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경우, 균일한 응고를 위하여 숏 블라스팅(shot blasting)으로 주조롤 표면에 깊이 10㎛ 이상의 요철을 부여한다. 이러한 요철이 부여된 주조롤을 이용하여 용강을 주조하게 되면, 용강은 항상 조도산에 우선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조도산이 용강 응고의 핵 생성 위치가 된다. 그에 따라, 전폭으로 미세한 조도산의 공급은 응고시 핵생성 위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균일한 응고를 유발하여 결함이 없는 스트립(strip)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통상의 304, 301 강종의 경우 위와 같은 주조롤을 사용함으로써 표면크랙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고합금 스테인리스강 즉, Mo, Al, Ti 등을 일정 이상으로 함유함에 따라 초정 오스테나이트 모드로 응고하고, 응고 중 TiN 석출물 등의 발생으로 표면크랙 민감도게 크게 증가하여 상기와 같은 주조롤을 이용할 경우 표면크랙을 방지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쌍롤식 박판 주조법으로 의도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주조롤의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요철을 부여한 주조롤을 이용함으로써 표면크랙 등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조롤을 에지(edge)부와 센터(center)부로 구분하고,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 기준 끝단으로부터 5mm 이하의 지점에 해당하는 에지부는 숏 블라스팅으로 표면처리하고,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 기준 20~100mm 지점에 해당하는 센터부는 레이저 표면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숏 블라스팅으로 표면처리시 에지부에 10㎛ 이상의 조도(Ra)를 부여하며, 에지부 전체 면적 중 50% 이상의 면적에 조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
또한, 상기 레이저 표면처리시 센터부에 0.05~1.0mm의 폭을 갖는 사선골을 부여하며, 상기 사선골은 센터부 전체 면적 중 50% 이상의 면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
상기 사선골은 사선 형태의 골을 의미하며, 이러한 사선골을 주조롤 센터부에 형성함으로써, 주조시 주조롤에 응고셀이 고착되어 주조 중 응고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응고셀 들뜸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표면크랙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사선골의 폭이 너무 작으면 용강의 표면장력에 의해 골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므로 응고셀 들뜸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으며, 반면 그 폭이 너무 넓으면 응고수축 응력이 미세하게 분산되지 못하게 되어 표면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사선골의 폭은 0.05~1.0mm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한 바에 따라 표면처리된 주조롤을 이용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경우, 용강 내에 Ti을 0.30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주조롤의 에지부와 센터부를 서로 다른 방법으로 표면처리하여 상기 센터부 내에 일정 폭의 사선골을 형성한다. 이때, 용강 내 Ti 함량이 0.30% 미만이면 에지부에서는 응고셀의 전사가 양호하고, 가스 갭이 최소화되는 반면, 레이저 표면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센터부의 사선골은 가스 갭을 가지고 있어 응고능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에지부와 센터부의 응고능 차이가 커지면 경계부가 취약해지고, 에지핀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경계부가 찢어지는 결함이 발생하여 주조가 매우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용강 내 Ti 함량을 0.30% 이상으로 제어함으로써 용강 표면에 얇은 Ti 산화물 막이 형성되고, 응고시 상기 Ti 산화물 막에 의해 가스 분위기에서 용강으로의 흡질이 억제되어 에지부의 가스 갭이 커지고 응고능은 감소하여 폭 방향으로의 응고가 균일해짐에 따라 에지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주조롤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합금조성이 제어된 용강으로부터 주편을 제조함에 있어서, 크랙 등의 결함이 없는 양호한 주편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탕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고,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메니스커스 실드(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하는 분위기 가스는 용탕의 산화를 방지하고 응고시의 용강 메니스커스와 주조롤 계면의 계면에너지를 변화시켜 응고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위기 가스로는 용해성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아르곤(Ar)이나 질소(N2)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탕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위기 가스를 충분히 공급하여 산소 농도를 0.1부피%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주조롤을 이용하여 주조시, 응고속도는 100℃/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빠른 냉각속도를 적용함에 의해 편석을 감소시킴으로써 양호한 표면품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주편을 제조한 후에는 열간압연 및 권취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 공정은 열간압연 이후에 행할 수 있으나, 열간압연없이 주편을 직접 권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열간압연은 주조롤과 연속적으로 배치된 인라인 롤러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이때의 압하율은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나 설비 사양 등을 고려하여 20~50%의 압하율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권취 공정은 60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 온도가 600℃를 초과하게 되면 사방정계의 시그마상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취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권취 온도까지는 수냉장치에 의해 빠른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0.08% 이하, Si: 1.0% 이하, Mn: 1.5% 이하, P: 0.045% 이하, S: 0.025% 이하, Cr: 20~23%, Ni: 15~23%, Mo: 2.0~3.0%, Ti: 0.30~0.60%, Al: 0.10~0.60%, N: 0.05%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r 및 Ni을 다량 함유하고 Mo을 일정 함량 포함함으로써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Ti, Al의 함량을 일정 이상으로 함유함으로써 고온 내산화성, 부식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Ti을 0.30% 이상으로 제어함으로써 스트립의 에지(edge)부 응고능을 감소시켜 에지 크랙 등의 결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기지조직이 오스테나이트 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스테나이트 상은 면적분율 95%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잔부로는 5% 미만(0% 포함)의 델타 페라이트르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용강을 제조한 후,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하여 주편으로 연속 주조하였다. 이때, 응고속도는 100℃/s 이상으로 하였으며, 주조롤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방식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메니스커스 실드를 통해서는 질소를 공급하였다.
이후, 제조된 주편을 500~600℃에서 권취하여 각각의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였다.
상기 주조롤의 표면처리시 숏 블라스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전체 면적 중 50% 이상의 면적에 10㎛ 이상의 조도(Ra)를 부여하였으며, 레이저 표면처리하는 경우에는 전체 면적 중 50% 이상의 면적에 0.05~1.0mm의 폭을 갖는 사선골을 부여하였다.
상기 각각의 스테인리스강에 대해 에지 품질, 표면 품질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 품질은 표면 크랙이 없는 경우 '○', 표면 크랙이 발생한 경우 '×'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에지 품질에 대해서는 에지가 뜯겨지는 불량이 없는 경우 '○', 불량이 발생한 경우 '×'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강종 합금조성 (중량%)
C Si Mn P S Cr Ni Mo Ti Al N
1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21 0.30 0.04
2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23 0.30 0.04
3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34 0.30 0.04
4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18 0.30 0.04
5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23 0.30 0.04
6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20 0.30 0.04
7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26 0.30 0.04
8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32 0.30 0.04
9 0.04 0.6 1.2 0.02 0.005 22 20 3.0 0.34 0.30 0.04
주조롤 강종 표면 품질 에지 품질 스티킹(sticking)
전폭 숏 블라스팅
표면처리
1 ×
2 ×
3 ×
전폭 레이저
표면처리
4 ×
5 ×
에지부 숏 블라스팅
+
센터부 레이저
표면처리
6 ×
7 ×
8
9
(표 2에서 에지부는 강판의 폭 방향 기준 끝단(0mm로 칭할 수 있음)으로부터 25mm까지의 지점으로 설정하였으며, 센터부는 강판의 폭 방향 기준 25~1275mm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조롤의 전폭을 숏 블라스팅으로 표면처리하여 10㎛ 이상의 표면조도를 가지는 주조롤을 이용하는 경우(강종 1 내지 3), Ti 함량에 관계없이 표면 크랙이 발생하였다. 이는, 주조시 초정 오스테나이트 모드로 응고됨에 따라 모든 경우에서 표면 크랙이 발생한 것이다.
또한, 주조롤의 전폭을 레이저로 표면처리한 주조롤을 이용하는 경우(강종 4 및 5)에는 표면 크랙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스티킹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스티킹은 응고셀이 주조롤 표면 상의 골에 고착되어 주조롤로부터 분리되지 못하여 인발이 불가능해지고 주조가 중단되는 현상이다. 특히, 주조 중 에지부에 스컬이 혼입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과도한 주조롤 압하력이 발생하여 스티킹이 일어나게 된다.
반면, 에지부는 숏 블라스팅으로, 센터부는 레이저 표면처리한 강종 8과 9는 모든 물성이 우수하게 확보되었다. 다만, Ti 함량이 0.3% 미만인 강종 6 및 7에서는 에지 품질이 열위하였다.
도 3은 강종 7(a)과 강종 8(b)의 주편을 육안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강종 7의 경우 숏 블라스팅 처리된 에지부의 응고능이 너무 높아 주조시 에지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한 반면, 강종 8은 Ti을 0.3% 이상으로 함유함에 따라 에지부 응고능이 감소되어 에지 결함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주조롤 2...래들
3... 턴디쉬 4...침지노즐
5...메니스커스 실드 6...브러쉬롤
7...에지댐 8...주편
9...펀치롤 10...수냉장치
11...권취코일

Claims (8)

  1. 중량%로 C: 0.08% 이하, Si: 1.0% 이하, Mn: 1.5% 이하, P: 0.045% 이하, S: 0.025% 이하, Cr: 20~23%, Ni: 15~23%, Mo: 2.0~3.0%, Ti: 0.30~0.60%, Al: 0.10~0.60%, N: 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강을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상기 주조롤 사이로 배출시킴으로써 주편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조롤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고,
    상기 요철은 주조롤의 폭 방향 기준 끝단으로부터 5mm 이하의 지점에 해당하는 에지(edge)부는 숏 블라스팅으로 표면처리하고,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 기준 20~100mm 지점에 해당하는 센터(center)부는 레이저 표면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숏 블라스팅으로 표면처리시 에지부에 10㎛ 이상의 조도(Ra)를 부여하는 것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를 부여하는 면적은 50% 이상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표면처리시 센터부에 0.05~1.0mm의 폭을 갖는 사선골을 부여하는 것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골을 부여하는 면적은 50% 이상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롤 사이로 용강의 주입시 매니스커스 실드를 통해 상기 용강 내에 용해성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주조롤에 의한 응고속도는 100℃/s 이상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을 제조한 후 권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는 60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8. 중량%로 C: 0.08% 이하, Si: 1.0% 이하, Mn: 1.5% 이하, P: 0.045% 이하, S: 0.025% 이하, Cr: 20~23%, Ni: 15~23%, Mo: 2.0~3.0%, Ti: 0.30~0.60%, Al: 0.10~0.60%, N: 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170164936A 2017-12-04 2017-12-04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90065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36A KR20190065605A (ko) 2017-12-04 2017-12-04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36A KR20190065605A (ko) 2017-12-04 2017-12-04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05A true KR20190065605A (ko) 2019-06-12

Family

ID=6684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936A KR20190065605A (ko) 2017-12-04 2017-12-04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6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776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6369A (ko) 연속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제조방법
EP3239344A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922401B2 (ja) 表面に窪みを有する移動壁面上または壁面間での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ストリップの連続鋳造方法と鋳造設備
KR20160077370A (ko)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이를 이용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박강판의 제조방법 및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박강판
KR20060130745A (ko) 고동 저합금 강판
KR101795871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고Cu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20190065605A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286213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의 주조 방법 및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의 주조 장치
KR101286205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 주조용 쌍롤식 박판 주조기 및 쌍롤식 박판 주조기에 의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을 주조하는 방법
JPH0565263B2 (ko)
KR20130075015A (ko) 에지 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1758476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고Cu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Cu 스테인리스강
KR20190064896A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19644B1 (ko) 고 니켈함유강의 연주주편 제조방법
KR101528068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KR20190072321A (ko) 표면품질이 양호한 고Cu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방법
JP3298519B2 (ja) 水素性欠陥のな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74074A (ko) 표면 품질이 우수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방법
KR101243259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0536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0825571B1 (ko) Lng탱크용 고니켈 함유강의 연속주조방법
KR20120072497A (ko) 에지 품질이 우수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트립 제조용 쌍롤식 박판 주조기 및 그 주조 방법
WO2024053276A1 (ja) 鋼鋳片、連続鋳造方法及び、鋼鋳片の製造方法
KR20120074436A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의 주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