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106A - Air ven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ven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106A
KR20190065106A KR1020180026156A KR20180026156A KR20190065106A KR 20190065106 A KR20190065106 A KR 20190065106A KR 1020180026156 A KR1020180026156 A KR 1020180026156A KR 20180026156 A KR20180026156 A KR 20180026156A KR 20190065106 A KR20190065106 A KR 2019006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ir
rotated
outer circumferential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7412B1 (en
Inventor
김경노
김춘하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6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nt for a vehicle which can minimize energy loss of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vent for a vehicle comprises: a housing buried in an inner trim of a vehicle and connected to an air duct; a first and a second shaft arranged to have a prescribed length in a crossing direction of a wind supplied from the air duct in the housing, wherein ends thereof facing each other are coupled on the same axis; a rack gear formed on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pproaching one end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in a prescribed length; a first link member engaged with the rack gear to be rotated to reciprocate forwards and backwards and perform pivot rotation; an inner shaft formed in the hollow space, and coupled to be rotated as one unit by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which has the hollow space; and a second link member having an arc-shaped gear rotat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pproaching the other end of the inner shaft as one unit, and engaged with the arc-shaped gear to be driven to vertically adjust a wind direction of the air duct.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VEHICLE}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의 장착 사이즈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v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vent capable of minimizing an energy loss of air while minimizing an installation size of the air vent.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in the vehicle for generating warm or cool air for cooling and heating to supply the air to the room or to keep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a pleasant condition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또한, 이러한 공조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In addition, such an air conditioner is also used for safe driving by eliminating the windshield glass and frost generated in the windshiel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such as during the rainy season or winter season.

통상적으로 공조 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및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Typically,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n inside / outside unit for sucking outside air or inside air and supplying the inside / outside unit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n air conditioner case in which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side to heat or cool the air, .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air condition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via the vehicle air vent communicated with the air conditioner case, so that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cooled and heated.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 벤트의 구조는, 내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일정한 형태의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전방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덕트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배플 부재로 이루어진다.The structure of a typical vehicle air vent includes a duct housing of a certain type in which the air cooled or heated flows therein and a duct housing arranged laterally and longitudinally in front of the duct housing to adjust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uct housing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baffle members.

그런데, 각각의 수평 배플과 수직 배플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가 길어져,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each of the horizontal baffle and the vertical baffle are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overall size of the horizontal baffle and the vertical baffle are increased, and a wid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아울러, 사이즈 및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에너지가 소실됨으로써 공기조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increased, the energy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conditioner is lost, thereby deteriorating th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일본등록특허 제3684414호(2005.06.10.)Japanese Patent No. 3684414 (Jun. 10, 20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축소함과 동시에 공기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ir vent which can reduce the size and minimize energy loss in the 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이너 트림에 매설되고,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풍향의 횡단 방향을 따른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동축 상에 결합되는 제1, 2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근접하는 외주면 일부분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전후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피벗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샤프트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샤프트 및 상기 이너 샤프트의 타단에 근접하는 외주면과 일체로 회동하는 호형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에어 덕트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ousing that is embedded in an inner trim of a vehicle and communicates with an air duct;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of a wind direction supplied from the air duct, A rack gear which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lose to one en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A first link member which reciproc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is pivotally rotated, and the second shaft has a hollow portion, and an inner member which is formed on the hollow portion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An arc-shaped gear which rotates integrally with a shaft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lose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shaft, And a second link member which is meshed with the first link member and is driven to adjust the airflow direction of the air duct upward and downwar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타단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동 브래킷, 상기 회동 브래킷의 홈부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link member may include: a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rack gear, the pinion gear being formed to pivot about a rotation axis, the pinion gear being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gear, A connecting rod that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is rotated, and a connecting rod that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shaft and opens and closes the inside of the air duct And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호형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치합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2 동력 전달 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의 각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브래킷, 상기 연결 브래킷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의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 각각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engaged with the arc-shaped gear and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rc-shaped gear, a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engaged with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A pair of connecting brackets hinged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branch portion, and a pair of connecting brackets hinged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 pair of adjusting shafts which are integrally rotated at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ing shaft, and a pair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formed to be integrally rot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adjusting shaf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후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포크 부재 및 상기 스포크 부재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haft may include a spoke member integrally formed on a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and protruding rearward, and a vertical baffle hinged to a rear end of the spoke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스포크 부재와 힌지 결합된 수직 배플의 양측으로 복수개 배열되되,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회동됨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고, 각각의 수직 배플이 동시에 회동되도록 각각의 수직 배플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 링크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baff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a vertical baffle hinged to the spoke member. The vertical baffles are hinged to the housing and are respectively rotated to adjust the air flow direction inside the air duct to left and right, And a horizontal link member hinged to the rotational axis of each vertical baffle so that the vertical baffles of the vertical baffles may be rotated simultaneous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와 상기 수직 배플 사이의 공기 유동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유도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induction member disposed in the air flow space between the pair of windshield regulating members and the vertical baffle, and thinner as the distance from the windshield regulating member is reduced,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회동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 부재가 피벗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를 상기 제1, 2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제2 샤프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너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shaft includes a pivoting member protruding for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and a knob coupled to pivot the pivoting memb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By rotating the knob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gripping the knob, The second shaft can be sli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haf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shaft by sliding the kno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while the member is pivo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 배플, 개폐 부재 및 풍향 조절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관상 슬림한 설계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baff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reby enabling a slim design to be apparent.

또한, 에어 벤트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함으로써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Also, by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air v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energy los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하우징 내부가 나타나도록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도 11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제1, 2 풍향 조절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vehicle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de views of a vehicle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partially exploded views show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1. Fig.
FIGS. 13 to 15 show airflows that are varied by rotation of first and second airflow control members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하우징 내부가 나타나도록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은 도 11의 사시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 FIG. 1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는 하우징(20), 제1, 2 샤프트(110, 120), 랙 기어(111), 제1 링크 부재(200), 이너 샤프트(130) 및 제2 링크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2, a vehicle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 first and second shafts 110 and 120, a rack gear 111, a first link member 200 An inner shaft 130, and a second link member 300. [

하우징(20)은 차량의 내부에서 에어 덕트(미도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10;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 덕트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는 차량 내부의 운전자 및 동승자를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The housing 2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air duct (not shown)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is located inside the driver's and passenger's front panel 10 (instrument panel or center pedestrian) And the exhaust port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inside the vehicle, so that warm or cool air can be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room.

상기 에어 덕트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 등의 다양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duct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hollow shapes such 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or polygonal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supply the air ventilated through the inner space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 벤트(ai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ir introduced by a blower unit (not shown) is selectively passed through an evaporator through which a coolant flows or a heater cor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of a vehicle engine flow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be configured to cool or heat the vehicle interior by distributing the air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a cold or warm condition through an air vent communicated with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oling / heating cycle as described above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20)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duct may be supplied to the housing 20 communicating with the air duct.

제1, 2 샤프트(110, 120)는 하우징(20)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풍향의 횡단 방향을 따른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동축 상에 결합되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shafts 110 and 120 are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wind direction supplied from the air duct inside the housing 20 so that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10 and 120 are coupled coaxially.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 간에는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제2 샤프트(120)는 제1 샤프트(110)와 각 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integr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haft 120 is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shaft 110 and the respective ends are coupled .

다시 말해, 제2 샤프트(120)의 일단이 제1 샤프트(110)의 마주보는 단부를 외주면을 따라 감싸도록 결합되면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은 상호 구속되되,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one end of the second shaft 120 is coupled so as to wrap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shaft 1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mutually constrained.

즉, 제1 샤프트(110) 또는 제2 샤프트(120)에 길이 방향을 따른 외력이 가해지면 제1, 2 샤프트(110, 1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2 샤프트(120)는 제1 샤프트(110)와 동축 상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irst shaft 110 or the second shaft 120,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10 and 120 are integr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haft 120 Is freely rotatable coaxially with the first shaft 110.

제1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근접하는 외주면 일부분에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랙 기어(111)가 형성될 수 있다.A rack gear 1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110 which is adjacent to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랙 기어(111)는 후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기어치(112)가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210)가 치합된 상태로 랙 기어(11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에 따라 제1 링크 부재(200)가 전후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피벗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ear teeth 112 may be formed so as to face the rear side of the rack gear 111. The rack gear 111 reciproc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pinion gear 210, 1 link member 200 reciproc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pivotally rotates.

여기서, 제1 링크 부재(200)는 랙 기어(111)와 치합되되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210), 피니언 기어(210)의 회전축(211)과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타단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동 브래킷(220), 회동 브래킷(220)의 홈부(221)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커넥팅 로드(230), 커넥팅 로드(23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축(250) 및 수평축(25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ink member 200 includes a pinion gear 210 meshed with the rack gear 111 and configured to pivot around the rotation shaft 211, a first link member 210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11 of the pinion gear 210, A connecting rod 230 whose one end is slid along the groove 221 of the pivotal bracket 220 and a connecting rod 230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30,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5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shaft 25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51 of the air duct.

회동 브래킷(220)의 일단은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타단에는 홈부(221)가 형성되며, 커넥팅 로드(230)의 수직 돌기(231)가 홈부(221)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회동 브래킷(220)의 회동에 따라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커넥팅 로드(23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한다.One end of the rotation bracket 22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211 and a groove 22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racket 220. The vertical protrusion 231 of the connecting rod 230 slides along the groove 221, So that the connecting rod 230 reciproc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홈부(221)는 소정 곡률을 갖는 곡선 형상의 홈일 수 있으며, 상기 홈부(221)의 곡선 형상은 회동 브래킷(2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커넥팅 로드(230)가 소정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는 정지 상태를 부여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회동 브래킷(220)의 회전이 더욱 진행되면 커넥팅 로드(230)가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제1 샤프트(110)의 소정 거리 이동 이후에 커넥팅 로드(230)가 후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개폐 부재(251)가 상기 에어 덕트를 폐쇄하도록 한다.The groove 221 may be a curv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curved shape of the groove 221 may be a stop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od 230 is not mov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racket 220 The connecting rod 230 is moved after the first shaft 110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by setting the time for the connecting rod 230 to move backward whe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racket 220 further progresses afte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51 closes the air duct.

커넥팅 로드(230)의 후단에는 수평축(250)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A horizontal axis 250 may be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rod 230.

수평축(250)은 하우징(20)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수평축(250)의 외주면에 개폐 부재(251)가 형성됨으로써 수평축(250)의 회전에 따라 개폐 부재(251)가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하우징(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horizontal shaft 25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horizontally transversely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5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shaft 250, (251) is rotated to selectively close or open the air flowing inside the housing (20).

제2 링크 부재(300)는 호형 기어(140)와 치합되되, 호형 기어(14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310), 제1 동력 전달 부재(310)와 치합되고, 제1 동력 전달 부재(3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320), 제2 동력 전달 부재(320)의 후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331), 분지부(331)의 각각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2 연결 브래킷(340, 350), 제1, 2 연결 브래킷(340, 350)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의 조절축(360) 및 조절축(360)의 각각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nk member 300 meshes with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310 and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310 that are engaged with the arc gear 140 and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c gear 140, A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320 tha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310, a branching portion 331 that branches in both directions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320, and a branching portion 331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rackets 340 and 35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rackets 340 and 350 hing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rackets 340 and 350. The pair of adjusting shafts 360 are integrally rotated at the other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rackets 340 and 350, And a pair of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form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adjusting shaft 360 and the adjusting shaft 360, respectively.

제1 동력 전달 부재(310)는 하우징(20) 내측에서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일단에 형성되는 기어치가 호형 기어(140)와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한다.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310 is rotated around a rotating shaft 311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20 so that the gear teeth formed at one end are engaged with the arc gear 140 and rotated.

또한, 제1 동력 전달 부재(310)의 타단에는 제2 동력 전달 부재(32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320 may b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310.

제2 동력 전달 부재(320)는 하우징(20)의 내측에서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제1 동력 전달 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후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320 is formed to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310 (rear side) while being rotated about a rotating shaft 321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20 .

제2 동력 전달 부재(320)의 후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320, a branched portion 331 that branches in both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특히, 분지부(3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분지부(331)의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 브래킷(340, 35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연결 브래킷(340, 350)의 슬롯(341, 351)을 중심으로 각각 소정 각도로 피벗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branch portion 331 can b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s of the branch portions 331 are hinged to the pair of connection brackets 340 and 350, So as to pivot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lots 341 and 351, respectively.

다시 말해, 연결 브래킷(340, 350)의 일단에는 각각 슬롯(341, 351)이 형성되고, 각각의 분지부(331)의 일단이 슬롯(341, 351)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연결 브래킷(340, 350)의 각각의 타단에는 한 쌍의 조절축(360)이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slots 341 and 351 are formed at one ends of the connection brackets 340 and 350 and one end of each branch portion 331 is slid along the slots 341 and 351, 350 may be formed so that a pair of adjustment shafts 360 are rotated.

한 쌍의 조절축(360)은 연결 브래킷(340, 350)의 각각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조절축(36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각각의 조절축(36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가 일체로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하우징(2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pair of adjustment shafts 360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adjustment shafts 360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each rota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s 340 and 350, The pair of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are integrally rot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perform a function of vertically adjus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side the housing 20. [

한편, 제1 샤프트(110)의 후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포크 부재(110a) 및 스포크 부재(110a)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 배플(380)이 포함될 수 있다.The spokes 110a and the vertical baffles 38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110 and may be hinged to the rear ends of the spoke members 110a.

수직 배플(380)은 하우징(20) 내부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고, 각각의 수직 배플(380)은 별도의 수평 링크 부재(미도시)가 배치되되, 각각의 수직 배플(380)이 수평 링크 부재(미도시)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수직 배플(380)이 동시에 좌우 방향을 따라 피벗되도록 할 수 있다.Vertical baffles 380 may be arranged in a row along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 and each vertical baffle 380 is disposed with a separate horizontal link member (not shown) 380 are hinged to a horizontal link member (not shown) so that a plurality of vertical baffles 380 can simultaneously pivot along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스포크 부재(110a)가 복수의 수직 배플(38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스포크 부재(110a)의 좌우 이동에 따라 복수의 수직 배플(380)이 일체로 피벗됨으로써 하우징(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유동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spoke member 110a is hing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baffles 380 so that the plurality of vertical baffles 380 are integrally pivoted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poke member 110a, The flow direction of the flowing air can be adjusted in the lateral direction.

풍향 조절 부재(370, 371)와 수직 배플(380)의 공기 유동 공간에는 유도 부재(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400 may be installed in the air flow space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and the vertical baffle 380.

유도 부재(400)는 풍향 조절 부재(370, 371)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단면이 유선형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도 부재(400)의 표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 또는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 각각에 와류가 형성되므로 효과적인 공기 유동 방향 제어가 가능해진다.The guide member 4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thereof becomes thinner as the distance from the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increases. For example, the vertical cross-section may be streamline, and due to this shape, a vortex is formed in each of the upwardly flowing air or the downwardly flowing air along th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00 during the flow of air, Direction control becomes possible.

더하여,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의 축 방향의 마주보는 연결부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부재(12) 및 고정 부재(12)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노브(1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member 1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axially opposit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nd a knob 11 coupled to vertically rotate the fixing member 12, . ≪ / RTI >

노브(1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노브(11)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피벗될 수 있으며, 노브(11)를 제1, 2 샤프트(110, 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제2 샤프트(1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너 샤프트(130)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The knob 11 can be pivoted when the knob 11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holding the knob 11 and the knob 11 can be pivoted to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10, 120 so that the second shaft 120 slide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shaft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제2 샤프트(120)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이너 샤프트(130)의 외주면에는 제2 샤프트(120) 간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도록 키홈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haft 130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shaft 12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120 by a method such as a key groove so that rotation between the second shafts 120 may be restricted.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제1, 2 풍향 조절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FIGS. 13 to 15 show airflows that are varied by rotation of first and second airflow control members of an air v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사용자가 노브(11)를 파지한 상태로 상측으로 피벗시키는 과정에서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가 제1, 2동력 전달 부재(310, 320)의 상대 운동에 의해 하측으로 향하도록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다.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are moved downwar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s 310 and 320 while the user pivots the knob 11 upward, As shown in Fig.

즉,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유도 부재(400)의 외표면 및 하우징(20)의 내측벽을 따라 재차 상측으로 유도되므로 차량의 탑승자의 상측을 향하도록 공기가 배출된다.That is, air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 is guided downward by the pair of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and is gu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00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0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occupant of the vehicle.

또한, 유도 부재(400)의 표면을 따라 굽이치는 공기 흐름이 유도되므로 와류가 발생됨으로써 효과적인 공기 유동 방향 제어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air flow that meanders along th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00 is induced, a vortex is generated, thereby enabling effective air flow direction control.

도 14는 사용자가 노브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13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노브(11)가 수직 방향을 따른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가 대략 수평 상태에 놓여있는 상태를 나타낸다.14 shows a state in which when the knob 11 is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knob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13 while the knob is grasped, the pair of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are approximately Indicates the state of being in a horizontal state.

이때,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고, 유도 부재(400)의 유선형 단면에 의해 외표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출된다. 즉, 차량의 탑승자를 향하여 직접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At this time, it is horizontally guided by a pair of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 and is discharged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surface by the streamlined end face of the guide member 400. That is, the air is directly discharged toward the occupant of the vehicle.

도 15는 사용자가 노브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13의 상태에 비하여 보다 하측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Fig. 15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rotates further downward compared to the state of Fig. 13 in a state in which the knob is grasped.

이때,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유도 부재(400)의 외표면 및 하우징(20)의 내측벽을 따라 하측으로 유도되므로 차량의 탑승자의 하측을 향하도록 공기가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 is guided downward by the pair of the airflow control members 370 and 371, and is gu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00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0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ccupant of the vehicle.

특히, 도 13 및 도 15의 경우에는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도 부재(400)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며, 하우징(20)과 유도 부재(40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속이 빨라짐과 동시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공기의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GS. 13 and 15,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duct is vortexed by the guide member 400, and the flow velocity is increas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20 and the guide member 400 Is directed upward or downward. As a result, the energy loss of the air can be minimized.

또한, 풍향 조절 부재(370, 371) 및 수직 배플(380)이 전측 패널(10)로부터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외부로 드러나는 사이즈는 물론,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게 되어 슬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370 and 371 and the vertical baffle 38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front panel 10,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siz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 slim structure can be formed do.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측 패널
20: 하우징
100: 샤프트 커버
110: 제1 샤프트
120: 제2 샤프트
130: 이너 샤프트
200: 제1 링크 부재
300: 제2 링크 부재
10: front panel
20: Housing
100: Shaft cover
110: first shaft
120: Second shaft
130: Inner shaft
200: first link member
300: second link member

Claims (7)

차량의 이너 트림에 매설되고,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풍향의 횡단 방향을 따른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동축 상에 결합되는 제1, 2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근접하는 외주면 일부분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전후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피벗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샤프트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샤프트; 및
상기 이너 샤프트의 타단에 근접하는 외주면과 일체로 회동하는 호형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에어 덕트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A housing embedded in the inner trim of the vehic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duct;
First and second shaft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wind direction supplied from the air duct at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opposed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 rack ge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lose to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A first link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rack gear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and pivotally rotate;
The second shaft includes a hollow portion, an inner shaft formed on the hollow portion and coup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And
And a second link member which is formed with an arc-shaped gear that rotates integrally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lose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shaft, and which is meshed with the arc-shaped gear and driven to adjust the airflow direction of the air duct vertic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타단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동 브래킷;
상기 회동 브래킷의 홈부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nk member comprises: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configured to pivot about a rotating shaft;
A rotating brack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pinion gear to rotate integrally and the other end reciproc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connecting rod having one end slid along the groove of the pivotal bracket;
A horizontal shaft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rotated; And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shaft for opening / closing the inside of the air du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호형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치합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2 동력 전달 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의 각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브래킷;
상기 연결 브래킷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의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 각각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link member comprises:
A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engaged with the arc-shaped gear and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rc-shaped gear;
A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engaged with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and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A branch portion branche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wer transmitting member;
A pair of connection brackets hinged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branch portion;
A pair of adjustment shafts integrally rotated at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connection brackets; And
And a pair of airflow control members formed to rotate integrally wi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control shaf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후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포크 부재; 및
상기 스포크 부재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 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The method of claim 3,
A spoke member integrally formed on a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and protruding rearward; And
And a vertical baffle hinged to a rear end of the spoke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스포크 부재와 힌지 결합된 수직 배플의 양측으로 복수개 배열되되,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회동됨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고, 각각의 수직 배플이 동시에 회동되도록 각각의 수직 배플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 링크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rtical baff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a vertical baffle hinged to the spoke member. The vertical baffles are hinged to the housing and are respectively rotated to adjust the air flow direction inside the air duct to left and right, And a horizontal link member hinged to the rotational axis of each of the vertical baffl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와 상기 수직 배플 사이의 공기 유동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유도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induction member which is disposed in the air flow space between the pair of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and the vertical baffle and whose thicknes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increa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회동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 부재가 피벗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를 상기 제1, 2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제2 샤프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너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6. The method of claim 5,
A pivoting member projecting for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And
And a knob coupled to rotate the tiltable member in an up-and-down direction, wherein the tiltable member is pivoted by rotating the knob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gripping the knob, and simultaneously sliding the kno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nd the second shaft is sli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sha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80026156A 2017-12-01 2018-03-06 Air vent for vehicle KR1020274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97 2017-12-01
KR20170164597 201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106A true KR20190065106A (en) 2019-06-11
KR102027412B1 KR102027412B1 (en) 2019-10-02

Family

ID=6684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156A KR102027412B1 (en) 2017-12-01 2018-03-06 Air ven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4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699A (en)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Automotive slim air v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459A (en)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Device for adjusting air flow direction of slim type air vent for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639A (en) * 2000-12-27 2002-07-10 Nippon Plast Co Ltd Wind direction adjuster for vehicle
KR20040035160A (en) * 2002-10-18 200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air vent
JP3684414B2 (en) 2002-04-18 2005-08-17 起亞自動車株式会社 Vent grill for vehicles
KR100851128B1 (en) * 2007-03-26 200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 air vent for a vehicle
KR101123775B1 (en) * 2010-02-23 2012-03-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vent system of button type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639A (en) * 2000-12-27 2002-07-10 Nippon Plast Co Ltd Wind direction adjuster for vehicle
JP3684414B2 (en) 2002-04-18 2005-08-17 起亞自動車株式会社 Vent grill for vehicles
KR20040035160A (en) * 2002-10-18 200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air vent
KR100851128B1 (en) * 2007-03-26 200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 air vent for a vehicle
KR101123775B1 (en) * 2010-02-23 2012-03-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vent system of button type for auto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699A (en)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Automotive slim air 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412B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965B1 (en) Air vent for vehicle
KR101952662B1 (en) Air vent for vehicle
JPH11235916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69681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190065106A (en) Air vent for vehicle
KR102412025B1 (en) Air vent for vehicle
KR101950312B1 (en) Air vent provided with multi-stage control knob
JP2017105235A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950311B1 (en) Air vent provided with control knob
JP6128373B2 (en) Vehicle heating system and instrument panel module with heating
JP2007216742A (en) Air-conditioning type sun visor
KR20070107933A (en) Car air conditioning system
JP681061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9012636A (en) Vehicular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KR102523593B1 (en) Interior panel assembly for ca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386481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412390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413018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960009639Y1 (en) Shower type air-ventilator for a vehicle
JP200528928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8155716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and air-conditioning controller
JP399795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003341351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JPH1126852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319290Y1 (en) Foot shower duct with air adjust structure of hvac uni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