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986A -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986A
KR20190064986A KR1020170164372A KR20170164372A KR20190064986A KR 20190064986 A KR20190064986 A KR 20190064986A KR 1020170164372 A KR1020170164372 A KR 1020170164372A KR 20170164372 A KR20170164372 A KR 20170164372A KR 20190064986 A KR20190064986 A KR 2019006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lexible cable
housing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7680B1 (en
Inventor
윤건영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80B1/en
Publication of KR2019006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with increased product reliability.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comprise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hole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hole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le, and an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hole, into which a flexible cable is inserted; a first terminal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hole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n actuator fixing unit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ignal unit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in the first direction to com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a first mounting unit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unit to connect the actuator fixing unit, the first signal unit, and the first mounting unit to each other; a second terminal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includes a second signal unit penetrating the housing to com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and a second m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uni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 actuator coupled to the actuator fixing unit to be rotated, opened and closed.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CABLE}CONNECTOR FOR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커넥터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cluding a connector signal terminal.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은 평판 형상의 케이블로 FPC(Flexible Printed Cable)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은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가지며, 내측에 전기선이 평형으로 배열되어 넓은 폭으로 상대 터미널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케이블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통해 전자 부품이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Flexible cable is a flat cable and can be classified into FPC (Flexible Printed Cable) type and FFC (Flexible Flat Cable) type. The flexible cable has flexibility that allows flexing freely, and the electric wires are arranged in equilibrium on the inner side so that the flexible cable can be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ith a wide width. Such a flexible cab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mponent or a circuit through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일반적인 구조는, 합성수지재로 된 절연 케이스와 상기 절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다수 개의 단자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삽입홈에는 다수 개의 금속재 단자가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금속재 단자는 절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속된다. 절연 케이스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여 금속재 단자와 접속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가진다. 절연 케이스 내측의 금속재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부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A general structure of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cludes an insulating cas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on grooves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case. A plurality of metal terminals are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The metallic terminal is connected to a flexible cable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case. The insulating case has an actuator for pressurizing the flexible cable and connecting it to the metal terminal. The metal terminal inside the insulating case is attached to the circuit board by soldering so that the flexible cab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품 신뢰성이 향상된 2개의 분리된 커넥터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플렉시플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cluding two separate connector signal terminals with improved product reliabilit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제1 방향의 제1 홀과, 상기 제1 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홀과, 상기 제1 및 제2 홀과 연결되고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홀에 결합되는 제1 단자로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액츄에이터 고정부와, 상기 제2 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하는 제1 신호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실장부와, 상기 액츄에이터 고정부, 상기 제1 신호부 및 상기 제1 실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분리되는 제2 단자로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하는 제2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실장부를 포함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액츄에이터 고정부와 결합되어 회전 개폐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cluding: a first hole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hole located under the first hole;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lexible cable is connected and which is connected to a second hole, a first terminal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les of the housing, the first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hole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ig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a first moun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actuator fixing portion,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signal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a second terminal separated from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through the housing, Connection and a second signal portion, said second signal portion, which is, a second terminal and a rotary closing actuator being coupled to the actuator fixing section including a second mounting porti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신호부는 상기 제2 홀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signal portion is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second hol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는 상기 제2 홀에 같이 삽입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ignal portion and the second signal portion are inserted together in the second hol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2 실장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연장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mounting portion extends to overlap wit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t the first portion.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2 부분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실장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 결합부와 상기 제2 실장부는 서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moun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distanc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신호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1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신호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2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제2 접촉 돌기의 높이와 서로 다르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tact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ig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second contact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signal portion , And the height of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촉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제2 접촉 돌기의 높이보다 높다.In some embodiments, the height of the first contact project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contact projection.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신호부는 상기 제2 실장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는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에서 꺾여 연장되는 상승부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signal portion includes a parallel portion extending at a constant height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a rising portion bent in the parallel portion.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rry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회로 기판의 서로 다른 패턴에 실장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mounted in different patterns on the circuit boar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플레시블 케이블의 하부에 부착되는 도전 패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서 개폐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1 단자와 접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comprising: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lexible cable is inserted, wherein the flexible cable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exible cabl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d through the housing; an actuator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and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o fix the flexible cable; And a second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d.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 패드는 서로 분리된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패드와 접촉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ductive pad includes a first pad and a second pa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contacts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terminal contacts the second pad.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드의 두께와 상기 제2 패드의 두께는 서로 다르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d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ad are different.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rry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플레시블 케이블의 하부에 부착되는 도전 패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서 개폐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1 단자와 접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각각 결합되는 실장 패턴으로서, 상기 실장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킨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comprising: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lexible cable is inserted, wherein the flexible cable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exible cabl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d through the housing; an actuator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and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o fix the flexible cable; A second terminal that passes through the housing and contacts the conductive pad, and a mounting pattern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respectively, wherein the mounting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or dis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each other .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로 동일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실장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모두 결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ductive pads transmit the same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mounting pattern is coupled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electrically connect to each other.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 패드는 서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와 각각 접하고, 상기 실장 패턴은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서브 실장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실장 패턴에 각각 실장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ductive pads include first and second pad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transmit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pads, respectively, The pattern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assembly patter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b-mounting patterns, respectivel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내부에 포함되는 신호 단자가 2개로 분리되어 어느 하나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신호 전달을 원활히 할 수 있어 플렉시블 케이블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transmit a signal even if one of the signal terminals included therein is separated into two piec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flexible cable can be improved .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2개의 신호 단자를 통해서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can transmit different signals through two signal terminal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ignal transmiss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제품 신뢰성 및 효율이 향상된 커넥터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플렉시플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Thus,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cluding a connector signal terminal with improved product reliability and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실장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실장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하우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제2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거된 상태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의 제1 및 제2 단자의 접촉 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actuator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unted state of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unted state of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 Fig.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ousing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terminal of FIG. 1 in detail.
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terminal of FIG. 2 in detail.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cable of Fig. 1 is remove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tact load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cable of Fig. 1 is inserte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One cas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upled to" or "directly coupled to "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does not intervene in another elemen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 on "of another element includes both elements immediately above and beyond other elements.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does not intervene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components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하우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2의 제2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거된 상태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의 제1 및 제2 단자의 접촉 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n actuator of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of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and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ousing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1 in detail.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terminal of FIG. 1 in detail,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terminal of FIG. 2 in detail.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cable of FIG. 1 is removed,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load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flexible cable of FIG. 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하우징(100), 제1 단자(200), 제2 단자(300) 및 액츄에이터(400)를 포함한다.1 to 8,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first terminal 200, a second terminal 300, and an actuator 400.

하우징(100)은 내부에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삽입홈(150)에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삽입홈(150)은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깊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삽입홈(15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도 삽입홈(150)의 일부는 빈 공간으로 남겨질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have a flexible cable 600 inserted therein. Specifically, the flexible cable 6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of the housing 100. The insertion groove 150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deep enough to allow the flexible cable 600 to be inserted sufficiently. Even when the flexible cable 6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a part of the insertion groove 150 can be left as an empty space.

삽입홈(150)은 액츄에이터(400)가 폐쇄된 경우에는 제1 방향(X)으로 깊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600)은 제1 방향(X)으로 삽입될 수 있다. 만일 액츄에이터(400)가 개방된 경우에는 삽입홈(15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150 may be formed deep in the first direction X when the actuator 400 is closed. The flexible cable 600 can be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X. [ If the actuator 400 is opened,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5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하우징(100)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housing 100 may have a shape elongated in a second direction Y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X. [ 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X,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모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Z)은 예를 들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제3 방향(Z)은 수직 방향일 수 있다.The third direction Z may be a direction intersecting both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for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vertical.

하우징(100)은 플렉시블 케이블(600)과 전기적으로 접하는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가 관통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복수의 홀을 가지고 있어 복수의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가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플렉시블 케이블(600)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which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600, may pass through the housing 100. The housing 100 has a plurality of holes therein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00 and the second terminals 300 can pass through the housing 100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tact the flexible cable 600.

상기 복수의 홀은 하우징(100) 내부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도 하우징(100)의 후면(즉,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제1 방향(X)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es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in the housing 100 so that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also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600).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제1 홀(110) 및 제2 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first hole 110 and a second hole 120.

제1 홀(110)은 제1 방향(X)으로 하우징(100)을 관통할 수 있고, 제2 홀(120)도 제1 방향(X)으로 하우징(100)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홀(110)과 제2 홀(120)은 제3 방향(Z)으로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즉, 제1 홀(110)과 제2 홀(120)은 서로 다른 높이 레벨에서 동일한 제1 방향(X)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110)의 높이는 제2 홀(12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The first hole 110 may extend through the housing 100 in a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hole 120 may extend through the housing 100 in a first direction X. [ The first hole 110 and the second hole 120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Z. [ That is, the first hole 110 and the second hole 120 may be formed in the same first direction X at different height levels. The height of the first hole 110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hole 120.

삽입홈(150)은 제1 홀(110)과 제2 홀(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방향(Z)에서 삽입홈(150)은 제1 홀(110)과 제2 홀(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삽입홈(150)의 높이는 제1 홀(110)보다 낮고, 제2 홀(120)보다 높을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15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hole 110 and the second hole 120.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insertion groove 1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le 110 and the second hole 120. That is, the height of the insertion groove 150 may be lower than the first hole 110 and higher than the second hole 120.

제2 홀(120)의 상면의 일부는 삽입홈(150)에 의해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2 홀(120)은 삽입홈(15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le 120 may be exposed by the insertion groove 150. [ That is, the second ho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5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홀(110)은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110)은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홀(120)도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홀(120)도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irst hole 11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Y. [ Similarly, a plurality of second holes 12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Y. [

이 때, 각각의 제1 홀(110)은 각각의 제2 홀(120)과 제1 방향(X)으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홀(110)은 복수의 제2 홀(120)과 제3 방향(Z)으로 각각 오버랩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holes 110 may be aligned with the second holes 120 in the first direction X.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110 may overlap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120 in the third direction Z, respectively.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자(200)는 도전체로서 전기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자(200)는 액츄에이터 고정부(220), 제1 신호부(210), 제1 실장부(230) 및 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7, the first terminal 200 can easily transmit an electric signal as a conductor. The first terminal 200 may include an actuator fixing portion 220, a first signal portion 210, a first mounting portion 230, and a connection portion 240.

액츄에이터 고정부(220)는 제1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고정부(22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일 단은 액츄에이터(400)와 결합되고, 타 단은 연결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The actuator fixing portion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110. The actuator fixing part 220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X and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actuator 4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40.

액츄에이터 고정부(220)는 결합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221)은 액츄에이터(400)의 결합 돌기(410)와 결합되어 액츄에이터(400)를 고정하고, 액츄에이터(400)를 회전하게 하는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The actuator fixing portion 220 may include an engaging groove 221. The coupling groove 221 may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410 of the actuator 400 to fix the actuator 400 and form a rotation axis for rotating the actuator 400.

제1 신호부(210)는 제2 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신호부(2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일 단은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하면의 제1 도전 패드(500)와 접하는 제1 접촉 돌기(211)를 포함하고, 타 단은 연결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ignal portion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120. The first signal unit 210 includes a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X and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 first conductive pad 50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6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40.

제1 실장부(230)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장부(23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231)과, 제1 부분(231)에서 제2 방향(Y)으로 꺾이는 제2 부분(232)과, 제2 부분(232)의 단 부에 형성되는 실장 결합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 includes a first portion 231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a second portion 232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the first portion 231, And a mounting portion 233 formed at an end of the portion 232. [

실장 결합부(233)는 하부에 위치하게되는 회로 기판과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실장 결합부(233)는 납땜 등의 부착 방식에 적합하도록 제2 부분(232)보다 제1 방향(X)으로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mounting joint portion 233 may be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to be positioned below. The mounting portion 233 may have a wider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X than the second portion 232 to be suitable for attachment such as soldering.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연결부(240)는 액츄에이터 고정부(220)와 제1 신호부(210)와 제1 실장부(230)가 모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240)는 제1 단자(200)에서 제3 방향(Z)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240)에서 액츄에이터 고정부(220)와 제1 신호부(210)는 제1 방향(X)으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실장부(230)는 액츄에이터 고정부(220)와 제1 신호부(210)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40 may be a part where the actuator fixing part 220, the first signal part 210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30 are both connected. The connection portion 240 may be a portion having the widest width in the third direction Z in the first terminal 200. [ The actuator fixing part 220 and the first signal part 210 are extend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30 is fixed to the actuator fixing part 220 and the first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X) which is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portion (210).

이 때, 액츄에이터 고정부(220)의 높이가 가장 높고, 제1 신호부(210)의 높이가 가장 낮을 수 있다. 제1 실장부(230)의 제1 부분(231)의 높이는 액츄에이터 고정부(220)의 높이와 제1 신호부(210)의 높이 사이이지만, 제2 부분(232)이 제2 방향(Y)으로 꺾이므로, 제2 부분(232)의 최하면은 제1 신호부(210)의 최하면보다 낮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actuator fixing part 220 is the highest, and the height of the first signal part 210 is the lowest. The height of the first portion 231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 is between the height of the actuator fixing portion 220 and the height of the first signal portion 210 but the height of the second portion 232 is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232 may be lower tha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first signal portion 210.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단자(300)는 도전체로서 전기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단자(300)는 제2 신호부(320)와 제2 실장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8, the second terminal 300 can easily transmit an electric signal as a conductor. The second terminal 300 may include a second signal portion 320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310.

제2 신호부(320)는 제2 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신호부(32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일 단은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하면의 제1 도전 패드(500)와 접하는 제2 접촉 돌기(321)를 포함하고, 타 단은 제2 실장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portion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120. The second signal unit 320 includes a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X and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ad 50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6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제2 신호부(320)는 평행부(323)와 상승부(322)와 제2 접촉 돌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평행부(323)는 제1 방향(X)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평행부(323)는 하우징(100)의 제2 홀(120)의 하면에 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평행부(323)가 제2 홀(120)의 하면에 접함에 따라서, 제2 단자(300)가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portion 320 may include a parallel portion 323, a rising portion 322, and a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The parallel portion 323 may extend in parallel in the first direction X. [ The parallel portion 323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120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e 120. As the parallel portion 323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e 120, the second terminal 300 can be supported.

상승부(322)는 평행부(323)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X)과 제3 방향(Z)으로 동시에 연장될 수 있다. 즉, 상승부(322)는 평행부(323)보다 점차 높아지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승부(322)의 일 단은 제2 접촉 돌기(321)가 형성되고, 타 단은 평행부(323)와 연결될 수 있다.The raised portion 322 may extend from the parallel portion 323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third direction Z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rising part 322 may extend in a shape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parallel part 323. One end of the rising part 322 may be formed with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with the parallel part 323.

제2 실장부(310)는 제2 신호부(320)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제2 실장부(310)는 제3 방향(Z)의 폭이 제2 신호부(32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실장부(310)가 하우징(100) 하부에 있는 회로 기판과 접할 수 있게하기 위함이다. 제2 실장부(310)의 하면의 높이는 제1 실장부(230)의 하면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may be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ignal portion 320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width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in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thicker than that of the second signal portion 320. This is to allow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to be in contact with the circuit board located under the housing 100.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 내지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단자(200)의 제1 신호부(210)와 제2 단자(300)의 제2 신호부(320)는 동일한 제2 홀(120)에 같이 제1 방향(X)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 때, 제1 신호부(210)와 제2 신호부(320)는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3 to 5, 7 and 8, the first signal portion 210 o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signal portion 320 of the second terminal 300 are connected to the same second hole (not shown) 120 in the first direction (X). However, at this time, the first signal unit 210 and the second signal unit 320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 신호부(210)는 제1 실장부(230)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신호부(320)는 제2 실장부(310)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unit 210 may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mounting unit 230 and the second signal unit 320 may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mounting unit 310.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를 서로 분리시켜 2개의 신호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가 독립적으로 동일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신호 전달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wo signal paths by separating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from each other . That is, sinc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can independently transmit the same electric signal, even if any one o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is damaged, The reliability of the signal transmission of the connector can be maintained.

상기와 같이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가 서로 동일한 신호를 독립적인 경로를 통해서 전달하는 경우에는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가 회로 기판에서 서로 같은 패턴 즉, 제1 실장 패턴(700)에 실장될 수 있다. 즉, 제1 단자(200)의 실장 결합부(233)와 제2 단자(300)의 제2 실장부(310)가 모두 회로 기판 상의 제1 실장 패턴(700) 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실장 패턴(7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패턴이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리적으로 분리되었지만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패턴일 수 있다. Wh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 the same signal through independent path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ame pattern That is, it can be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attern 700. That is, both the mounting portion 233 o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of the second terminal 300 can be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attern 700 on the circuit board. The first mounting pattern 700 may be one pattern physically as shown in FIG. 4, or may be a plurality of pattern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but electrically connected though not shown in FIG.

도 5,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가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하나의 플렉시블 케이블 및 커넥터를 이용해서 복수의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7, and 8,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betwe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ccordingly,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plurality of electric signals using one flexible cable and a connector, thereby maximizing efficiency of signal transmission.

상기와 같이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를 서로 분리시켜 2개의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가 회로 기판에서 제2 실장 패턴(701)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실장 패턴(701)은 제1 서브 실장 패턴(720)과 제2 서브 실장 패턴(710)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wo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re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d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pattern 701. The second mounting pattern 701 may include a first sub-mounting pattern 720 and a second sub-mounting pattern 710.

제1 단자(200)의 실장 결합부(233)는 제1 서브 실장 패턴(720)에 실장되고, 제2 단자(300)의 제2 실장부(310)는 제2 서브 실장 패턴(710)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서브 실장 패턴(710) 및 제2 서브 실장 패턴(72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서로 다른 전기 신호가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233 of the first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first sub mounting pattern 72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of the second terminal 300 is mounted on the second sub mounting pattern 710 Can be mounted. The first sub-mounting pattern 710 and the second sub-mounting pattern 720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can be independently 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하나의 실장 패턴에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를 모두 연결하여 2개의 전기 신호 경로를 통한 신뢰도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를 각각 별도의 실장 패턴에 연결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전기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신호 전송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실장 패턴을 통합 또는 분리하여 어떤 이점을 취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both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o one mounting pattern, Alternatively,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may be connected to separate mounting patterns to transmit two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ignal transmission. You may. That is,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it is possible to decide whether or not to take advantage of integrating or separating the implementation pattern.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장부(230)와 제2 실장부(310)는 제1 거리(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거리(D1)는 회로 기판의 크기, 제1 단자(200) 및 제2 단자(300) 사이의 분리 여부 등의 여러 요소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즉, 회로 기판과 실장되는 부분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1 거리(D1)가 작아질 수 있고,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를 확실히 분리하여 장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1 거리(D1)가 커질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may be separated by a first distance D1. The first distance D1 can be freely deform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circuit board and whether or not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separated. That is, in order to minimize the area of the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he first distance D1 may be small. In order to reliably separat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1 distance (D1) may be large.

만일 상기와 같이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가 동일한 전기 신호를 전송하여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패턴이 물리적으로 하나인 경우에는 제1 거리(D1)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I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 the same electrical signal and are physically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istance D1 may be set to be relatively small have.

반대로,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가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송하여 회로 기판의 서로 다른 패턴에 각각 실장되는 경우에는 제1 거리(D1)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nd are mounted on different patterns of the circuit board, the first distance D1 may be set relatively larg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400)는 제1 단자(200)와 결합하여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0)는 복수의 제1 단자(200)와 결합한 부분을 회전 축으로 하여 개폐될 수 있다. 1 to 3, the actuator 400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terminal 200 to rotate. The actuator 400 may be opened and closed with a portion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00 as a rotational axis.

액츄에이터(400)는 결합 돌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410)는 제1 단자(200)의 결합홈(221)과 결합하여 액츄에이터(400)를 제1 단자(200) 및 하우징(100)과 고정시킬 수 있다.The actuator 40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410. The coupling protrusion 410 may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221 of the first terminal 200 to fix the actuator 400 to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housing 100.

액츄에이터(400)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용이하게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상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actuator 400 is opened, the flexible cable 6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6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액츄에이터(40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케이블(600)과 하우징(100)의 결합이 이루어져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400)는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상면과 접하여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When the actuator 400 is closed, the flexible cable 600 and the housing 100 ar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That is, the actuator 400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600 to fix the flexible cable 600 so that the flexible cable 600 is not removed from the housing 100.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없는 경우에는, 제2 단자(300)의 제2 접촉 돌기(321)의 높이와 제1 단자(200)의 제1 접촉 돌기(211)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2 단자(300)의 제2 접촉 돌기(321)의 높이가 제1 단자(200)의 제1 접촉 돌기(21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접촉 돌기(321)의 최상부는 제1 높이(h1)를 가지고, 제1 접촉 돌기(211)의 최상부의 높이는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보다 제1 간격(G1)만큼 높을 수 있다.9 and 10, when the flexible cable 600 is not provided, the height of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of the second terminal 300 and the height of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of the first terminal 2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eight of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of the second terminal 300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of the first terminal 200. That is,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has a first height h1, and the height of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can have a second height h2. The first height h1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h2 by a first gap G1.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는 모두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하면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600)가 삽입되면 제1 접촉 돌기(211) 및 제2 접촉 돌기(321)가 모두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아 동일한 높이로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height h2 may both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600. [ When the flexible cable 600 is inserted,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and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are both downwardly urged to abut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600 at the same height.

이러한 경우,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하면에 제2 접촉 돌기(321)가 제3 방향(Z)으로 가하는 제1 힘(F1)과 제1 접촉 돌기(211)가 제3 방향(Z)으로 가하는 제2 힘(F2)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힘(F1)의 크기가 제2 힘(F2)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orce Fl applied by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211 by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are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600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magnitude of the second force F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magnitude of the first force F1 may be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force F2.

제1 힘(F1)이 제2 힘(F2)보다 더 큰 경우, 플렉시블 케이블(600)가 삽입홈(1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힘이 더 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150)의 입구 부분에 더 가까운 제2 접촉 돌기(321)가 삽입홈(150)의 입구 부분에 더 먼 제1 접촉 돌기(211)보다 더 강하게 플렉시블 케이블(600)를 눌러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force F1 is greater than the second force F2, the force with which the flexible cable 60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can be larger.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closer to the entrance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50 presses the flexible cable 600 more strongly than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farther from the entrance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exible cable 600 from falling off.

본 실시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제2 높이(h2)가 제1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제2 힘(F2)의 크기가 제1 힘(F1)의 크기보다 크게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height h2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h1 so that the second force F2 is larger than the first force F1 .

이는, 제1 단자(200)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기 신호의 경로가 제2 단자(300)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기 신호의 경로보다 긴 경우 제1 단자(200)에 의한 전기 신호의 경로의 저항을 줄이기 위함일 수 있다. This is because when the path of the electric signal formed by the first terminal 200 is longer than the path of the electric signal formed by the second terminal 300, the resistance of the path of the electric signal by the first terminal 200 is reduced It may be for.

물론, 반대의 경우에는 다시 제1 힘(F1)의 크기보다 제2 힘(F2)의 크기가 더 약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e opposite case, the magnitude of the second force F2 may be made weaker than the magnitude of the first force F1 again.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1,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제1 도전 패드(500)는 제1 패드(510)와 제2 패드(520)로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conductive pad 500 of the flexible cable 6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d 510 and a second pad 520.

이러한 경우, 제1 패드(510)는 제1 접촉 돌기(211)와 접하여 제1 단자(200)를 통해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패드(520)는 제2 접촉 돌기(321)와 접하여 제2 단자(300)를 통해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ad 510 contacts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hrough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pad 520 contacts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2 terminal 300. In this case,

만일, 제1 실장부(230)와 제2 실장부(310)가 회로 기판에서 서로 절연된 다른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면, 제1 단자(200)와 제2 단자(300)는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If 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portions insulated from each other on the circuit board,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하나의 플렉시블 케이블(600) 및 커넥터를 이용하여 2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imultaneously transmit two signals using one flexible cable 600 and connector.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도전 패드(501)는 제1 패드(510)와 제3 패드(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510)와 제3 패드(521)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패드(510)는 제3 방향(Z)으로 제1 두께(T1)를 가지고, 제3 패드(521)는 제3 방향(Z)으로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econd conductive pad 501 may include a first pad 510 and a third pad 521.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pad 510 and the third pad 52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pad 510 may have a first thickness T1 in a third direction Z and the third pad 521 may have a second thickness T2 in a third direction Z. [

여기서, 제1 두께(T1)는 제2 두께(T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제2 단자(300)에 의한 전기 신호의 경로가 더 길어서 제2 단자(300)에 대한 전기 신호의 전송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제2 접촉 돌기(321)와 제3 패드(521)의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Here, the first thickness T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2. This is because the path of the electric signal by the second terminal 300 is longer and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21 and the third pad 5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transmission resistance of the electric signal to the second terminal 300 is relatively high,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반대로, 도 13을 참조하면, 제3 도전 패드(502)는 제4 패드(511)와 제2 패드(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패드(511)와 제2 패드(520)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4 패드(511)는 제3 방향(Z)으로 제3 두께(T3)를 가지고, 제2 패드(520)는 제3 방향(Z)으로 제4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Conversely, referring to FIG. 13, the third conductive pad 502 may include a fourth pad 511 and a second pad 520. The thicknesses of the fourth pad 511 and the second pad 5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ourth pad 511 may have a third thickness T3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the second pad 520 may have a fourth thickness T4 in the third direction Z. [

여기서, 제3 두께(T3)는 제4 두께(T4)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는, 제1 단자(200)에 의한 전기 신호의 경로가 더 길어서 제1 단자(200)에 대한 전기 신호의 전송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제1 접촉 돌기(211)와 제4 패드(511)의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Here, the third thickness T3 may be larger than the fourth thickness T4. This is because the path of the electric signal by the first terminal 200 is longer and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211 and the fourth pad 5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transmission resistance of the electric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200 is relatively high,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하우징 200: 제1 단자
300: 제2 단자 400: 액츄에이터
100: housing 200: first terminal
300: second terminal 400: actuator

Claims (18)

제1 방향의 제1 홀과, 상기 제1 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홀과, 상기 제1 및 제2 홀과 연결되고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홀에 결합되는 제1 단자로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액츄에이터 고정부와,
상기 제2 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하는 제1 신호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실장부와,
상기 액츄에이터 고정부, 상기 제1 신호부 및 상기 제1 실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분리되는 제2 단자로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하는 제2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실장부를 포함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액츄에이터 고정부와 결합되어 회전 개폐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 housing including a first hole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hole located below the first hole, and an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les and into which a flexible cable is inserted;
A first terminal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les of the housing,
An actuator fixing unit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ig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A first moun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the actuator fixing portion, the first signal portion,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econd terminal separated from the first terminal,
A second signa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mount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d an actuator coupled to the actuator fixing portion and rotated and open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부는 상기 제2 홀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igna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in the first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는 상기 제2 홀에 같이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ignal portion and the second signal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at the same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2 실장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연장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extends to overlap wit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por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2 부분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실장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 결합부와 상기 제2 실장부는 서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first distan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신호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1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신호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2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제2 접촉 돌기의 높이와 서로 다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tact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ignal portion,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second contact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signal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first contact projection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second contact proj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제2 접촉 돌기의 높이보다 높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eight of the first contact project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contact proj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부는 상기 제2 실장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는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에서 꺾여 연장되는 상승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ignal portion includes a parallel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a ris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arallel portion by bend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회로 기판의 서로 다른 패턴에 실장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mounted on different patterns of the circuit board.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플레시블 케이블의 하부에 부착되는 도전 패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서 개폐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1 단자와 접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lexible cable is inserted, wherein the flexible cabl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conductive pad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exible cable;
A first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d;
An actuator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and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o fix the flexible cable; And
And a second terminal that does not contact the first terminal and contacts the conductive pad through the housing.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드는 서로 분리된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패드와 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ductive pad includes a first pad and a second pa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terminal contacts the second pa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의 두께와 상기 제2 패드의 두께는 서로 다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d is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a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플레시블 케이블의 하부에 부착되는 도전 패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서 개폐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1 단자와 접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 패드와 접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각각 결합되는 실장 패턴으로서, 상기 실장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 housing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lexible cable is inserted, wherein the flexible cabl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conductive pad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exible cable;
A first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d;
An actuator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and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o fix the flexible cable;
A second terminal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d through the housing; And
Wherein the mounting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or dis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로 동일한 전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실장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모두 결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ductive pad transmits the same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Wherein the mounting pattern is combined with bo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드는 서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와 각각 접하고,
상기 실장 패턴은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서브 실장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실장 패턴에 각각 실장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ductive pads include first and second pad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transmit different electric signal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pads, respectively,
Wherein the mounting pattern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mounting patter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b-package patterns, respectively.
KR1020170164372A 2017-12-01 2017-12-01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102047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72A KR102047680B1 (en) 2017-12-01 2017-12-01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72A KR102047680B1 (en) 2017-12-01 2017-12-01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86A true KR20190064986A (en) 2019-06-11
KR102047680B1 KR102047680B1 (en) 2019-12-02

Family

ID=6684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372A KR102047680B1 (en) 2017-12-01 2017-12-01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68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398A (en) * 2010-08-18 2012-03-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KR101495785B1 (en) * 2013-08-21 2015-02-2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Electric connector
US20150372406A1 (en) * 2010-10-22 2015-12-24 Fci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KR20160052503A (en) 2013-02-22 2016-05-12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398A (en) * 2010-08-18 2012-03-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US20150372406A1 (en) * 2010-10-22 2015-12-24 Fci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KR20160052503A (en) 2013-02-22 2016-05-12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KR101495785B1 (en) * 2013-08-21 2015-02-2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680B1 (en)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0060B2 (en) connector
US864143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680362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US9065200B2 (en) Connector, and assembly of cable and connector
US931885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4685723A (en) Pressure-welding connection unit
JP2008226524A (en) Connector
CN101978451A (en) Slide operation type switch
KR20160101520A (en) Receptacle connector
CN102570211B (en) A mounting features for straddle mount connectors
GB2337374A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s for a printed circuit
US71442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board
US20090298327A1 (en) Connecting module
KR20190064986A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JP2006333573A (en) Cable clamp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264610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102182143B1 (en)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210121524A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JP6452751B2 (en) connector
KR20160146107A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101669229B1 (en) Connector
JP4177074B2 (en) Wiring connection structure
KR101702430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20150095371A (en) Double 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