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922A - Egr valve actuator - Google Patents

Egr valve actu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922A
KR20190064922A KR1020170164256A KR20170164256A KR20190064922A KR 20190064922 A KR20190064922 A KR 20190064922A KR 1020170164256 A KR1020170164256 A KR 1020170164256A KR 20170164256 A KR20170164256 A KR 20170164256A KR 20190064922 A KR20190064922 A KR 20190064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lever
foreign matter
motor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3337B1 (en
Inventor
임재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337B1/en
Publication of KR2019006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8Closing members; Valve seats; Flow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valve actuator comprises: an actuato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are mounted; and an output shaft connected to receive power of the motor. One end of the output shaft protrudes to an outer side of the actuator housing, a lever is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output shaft and connected to a flap of an EGR valve through a linkage, and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one end of the output shaft so as to cover the one end of the output shaft.

Description

EGR밸브 엑츄에이터{EGR VALVE ACTUATOR}[0001] EGR VALVE ACTUATOR [0002]

본 발명은 제어기 일체형 EGR밸브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기 일체형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실링성능을 대폭 강화하여 엑츄에이터의 내부로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유입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EGR밸브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GR valve actuator integrated with a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GR valve actuator capable of reliably preventing moisture, other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actuator by greatly enhancing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EGR valve actuator integrated with a controller .

내연기관의 연소 시에 내연기관의 연소열을 낮춤으로써 질소산화물, 하이드로카본 등을 억제하고,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를 줄여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reduce the combustion hea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 the time of combus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suppress nitrogen oxides and hydrocarbons and to reduce the mixture ratio of air and fuel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연소열 및 질소산화물 등을 저감하고,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EGR 시스템(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등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reduce combustion heat and nitrogen oxides and to improve fuel economy.

EGR시스템은 엔진의 배기계에서 흡기계 측으로 EGR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EGR도관과, EGR가스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EGR 쿨러와, EGR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플랩을 가진 EGR밸브와, EGR밸브를 구동시키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등을 포함한다. The EGR system includes an EGR conduit for circulating the EGR gas from the exhaust system of the engine to the intake system side, an EGR cooler for cooling the temperature of the EGR gas, an EGR cooler having a flap moving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the EGR gas, A valve, an EGR valve actuator for driving the EGR valve, and the like.

EGR밸브 엑츄에이터는 엑츄에이터 하우징과, 엑츄에이터 하우징 내에 장착된 모터와,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모터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출력하는 출력축과, 출력축과 모터 사이에 연결된 기어트레인과, 출력축과 EGR밸브의 플랩을 연결하는 링키지(linkage) 등을 포함한다. The EGR valve actuator includes an actuator housing, a motor mounted in the actuator housing, an output shaft protruding outside the actuator housing to output a torque generated by the motor, a gear train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shaft and the motor, A linkage for connecting the flaps, and the like.

한편, 기존에는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ler)가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외측에 분리되게 배치되고, 제어기는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기 분리형 EGR밸브 엑츄에이터가 있었다. Conventionall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EGR valve actuator is disposed separately on the outside of the EGR valve actuator, and the controller has a controller detachable EGR valve actu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EGR valve actuator.

이러한 제어기 분리형 EGR밸브 엑츄에이터는 EGR시스템을 구축할 때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함에 따라 그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특히 제어기만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 또는 브라켓 등이 요구됨에 따라 그 제조원가 등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Such an EGR valve actuator with a detachable controll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s layout is complicated as it occupies a large space for installing an EGR system and a separate housing or a bracket for mounting only a controller is required, .

최근에는 차량 내의 레이아웃 간소화 및 컴팩트화 등을 위하여 제어기가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엑츄에이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제어기 일체형 EGR밸브 엑츄에이터가 출시되어 있다. Recently, a controller integrated type EGR valve actuator in which a controller is mounted in an actuator housing of an EGR valve actuator has been introduced for simplifying layout and compactness in a vehicle.

이러한 제어기 일체형 EGR밸브 엑츄에이터는 제어기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In this controller-integrated EGR valve actuator, since the controller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sealability for preventing inflow of moisture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하지만, 종래의 제어기 일체형 EGR밸브 엑츄에이터는 그 실링성능이 충분하지 못하여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어기의 오작동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기어트레인, 베어링 등의 내부 부품이 부식 내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troller-integrated EGR valve actuator has insufficient sealing performance, so that water and other foreign matter can easily flow into the actuator housing, causing malfunction of the controller,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nal parts may be corroded or brok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어기가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기 일체형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실링성능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유입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기의 오작동, 내부부품(기어트레인, 베어링 등)이 부식 내지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EGR밸브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ler integrated EGR valve actuator having a sufficient sealing performance of a controller-integrated EGR valve actuator mounted inside an actuator housing to ensure that moisture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actuator housing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GR valve actuator capable of preventing a malfunction of a controller and an internal component (gear train, bearing, etc.) from being corroded or damag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GR valve actuator including: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진 엑츄에이터 하우징; 및 An actuato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are mounted; And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출력축;을 포함하고, And an output shaft connected to receive the power of the motor,

상기 출력축의 일단이 상기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에 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EGR밸브의 플랩에 링키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을 덮도록 이물질 유입방지부재가 상기 출력축에 장착될 수 있다. A lev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utput shaft, the lever is connected to the flap of the EGR valve through a linkage, and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is disposed to cover one end of the output shaft And can be mounted on the output shaft.

상기 엑츄에이터 하우징은 상기 출력축의 일단에 인접한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가지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엑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ctuator housing may have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por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output shaft, and the support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actuator housing.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는 상기 지지구조를 덮도록 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cup shape to cover the support structure.

상기 출력축은 D컷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평탄면을 가지고,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는 상기 출력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의 관통홀은 상기 출력축의 평탄면에 부합하는 결합면을 가지고, 상기 레버는 상기 출력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레버의 관통홀은 상기 출력축의 평탄면에 부합하는 결합면을 가질 수 있다. Wherein the output shaft has a flat surface formed by D cutting,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passes,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has a coupling surface matching the flat surface of the output shaft The lev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passes, and the through hole of the lever has a coupling surface that matches the flat surface of the output shaft.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는 너트에 의해 상기 레버와 함께 상기 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output shaft together with the lever by a nut.

상기 너트와 상기 레버 사이에는 가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A gaske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nut and the lever.

상기 지지구조는 패킹부재가 장착되는 패킹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structure may have a packing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packing member is mounted.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출력축의 외면과 접촉하는 내측 실링 립과, 상기 패킹 수용홈의 내면과 접촉하는 외측 실링 립을 가지고, 상기 내측 실링 립에는 환형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The packing member has an inner sealing lip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put shaft and an outer sealing lip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receiving groove, and an annular spring can be mounted on the inner sealing lip.

상기 출력축은 기어트레인을 통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utput shaf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power of the motor through a gear train.

상기 출력축, 상기 기어트레인 및 상기 모터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웨이브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plurality of wave washers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put shaft, the gear train, and the motor.

상기 레버의 초기 위치를 포지셔닝하는 포지셔닝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positioning structure for positioning an initial position of the lever.

상기 포지셔닝구조는 상기 지지구조의 일측에 형성된 포지셔닝 돌출부 및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에 형성된 노치를 가질 수 있다.The positioning structure may have a positio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a notch formed o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기가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기 일체형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실링성능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유입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기의 오작동, 내부부품(기어트레인, 베어링 등)이 부식 내지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moisture, other foreign matter, and the lik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actuator housing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integrated EGR valve actuator mounted inside the actuator housing, Malfunction, internal parts (gear train, bearing, etc.)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or damag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가 링키지를 통해 EGR밸브에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에 장착되는 패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에 장착되는 패킹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에 장착된 이물질 유입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1(a)는 포지셔닝 마크가 포지셔닝 노치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b)는 포지셔닝 마크가 포지셔닝 노치의 장착범위 이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n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GR valve through a linkag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cking member mounted on an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cking member mounted in an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mounted on the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n EGR valve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10, Fig. 11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mark is deviated from the positioning notch, and Fig. 11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mark is located within the mounting range of the positioning notch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R밸브 엑츄에이터(10)는 EGR밸브(5)의 플랩(6)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EGR밸브 엑츄에이터(10)는 링키지(30, linkage)를 통해 EGR밸브(5)의 플랩(6)에 연결될 수 있다. 1, an EGR valve actu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rive a flap 6 of an EGR valve 5. The EGR valve actuator 10 may include a linkage 30, linkage of the EGR valve 5 to the flap 6 of the EGR valve 5.

도 2를 참조하면, EGR밸브 엑츄에이터(10)는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GR valve actuator 10 may include an actuator housing 11, 12.

도 3을 참조하면,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은 모터(13), 제어기(14), 기어트레인(20), 출력축(15), 복원스프링(16) 등이 장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3, the actuator housings 11 and 12 may have an inner space in which the motor 13, the controller 14, the gear train 20, the output shaft 15, the restoring spring 16, and the like are mounted .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은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은 체결구(11a)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 사이에는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스켓(18)이 개재될 수 있다. 2 to 4, the actuator housings 11 and 12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1 and a second housing 12, and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second housing 12 May be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fastening hole 11a or the like. A gasket 18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second housing 12 to ensure a sealability.

또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는 노크핀(17, knock pin)에 의해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하우징(11) 및 제2하우징(12)의 조립성 및 밀봉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The positions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second housing 12 can be determined by a knock pin 17 so that the assemblability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seal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제1하우징(11)의 내부에는 모터(13)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2하우징(12)에는 출력축(15)이 밀봉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A motor 13 may be moun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 and an output shaft 15 may be sealingly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12. [

모터(13)는 체결구(13a) 등을 통해 제1하우징(11)의 내부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모터(13)는 BLDC(Brushless DC Moter) 등과 같은 브러쉬가 없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모터(13)의 스파크 내지 소음 등이 최소화될 수 잇다. The motor 13 may be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 through a fastening hole 13a or the like.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motor 13 may be constituted by a brushless motor such as a brushless DC motor (BLDC) or the like, so that the spark or noise of the motor 13 can be minimized.

모터(13)의 샤프트(13b)의 일단에는 구동기어(19)가 장착될 수 있고, 구동기어(19)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e gear 19 may be mounted on one end of the shaft 13b of the motor 13 and the drive gear 19 may be formed of a pinion gear.

모터(12)의 샤프트(13b)는 베어링(55, 56)에 의해 회전지지될 수 있고, 샤프트(13b)의 일단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5)은 후술하는 베어링 홀더(40)의 제3수용홈(43)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샤프트(13b)의 타단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6)은 제1하우징(11)의 바닥에 형성된 장착홈(56a)에 장착될 수 있다. The shaft 13b of the motor 12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s 55 and 56 and the bearing 55 which rotatably supports one end of the shaft 13b can be supported by the third housing And the bearing 56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shaft 13b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56a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housing 11. [

제어기(14)는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제어기(14)는 모터(13)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 전원공급회로 등을 가진 회로기판(14a)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14a)은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의 내부공간에서 모터(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제어기(14)의 회로기판(14a)은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 may be moun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actuator housings 11 and 12 and the controller 14 may include a circuit board 14a having a drive circuit for driving the motor 13, . The circuit board 14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otor 13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actuator housings 11 and 12. According to one example, 1 housing (11).

제어기(14)의 회로기판(14a)은 관통홀(14b)을 가질 수 있고, 관통홀(14b)에는 모터(13)의 구동기어(19)가 통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제1하우징(11)의 내부공간에서 제어기(14) 및 모터(13)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의 내부공간을 컴팩트하게 확보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14a of the controller 14 can have a through hole 14b and the driving gear 19 of the motor 13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4b, Since the controller 14 and the motor 13 can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 the internal space of the actuator housings 11 and 12 can be compactly secured.

기어트레인(20)은 모터(13)의 동력을 출력축(15)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출력축(15)은 일정한 토크를 출력할 수 있다. 기어트레인(20)의 설정된 기어비에 의해 출력축(15)의 토크가 결정될 수 있다.The gear train 20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motor 13 to the output shaft 15 so that the output shaft 15 can output a constant torque. The torque of the output shaft 15 can be determined by the set gear ratio of the gear train 20. [

기어트레인(20)은 모터(13)의 구동기어(19)와 치합되는 제1피동기어체(21) 및 제1피동기어체(21)에 치합되는 제2피동기어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ar train 20 includes a first driven member 21 to be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19 of the motor 13 and a second driven member 22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member 21 .

제1피동기어체(21)는 대직경 기어부(21a) 및 소직경 기어부(21b)를 가진 단차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대직경 기어부(21a)는 모터(13)의 구동기어(19)와 치합되고, 소직경 기어부(21b)는 대직경 기어부(21a)와 동일 축선에 위치하며, 소직경 기어부(21b)는 대직경 기어부(21a)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The first to-be-driven body 21 may be constituted by a stepped gear having a large diameter gear portion 21a and a small diameter gear portion 21b. The large diameter gear portion 21a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9 of the motor 13. The small diameter gear portion 21b is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large diameter gear portion 21a and the small diameter gear portion 21b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diameter gear portion 21a.

제1피동기어체(21)는 베어링(51, 52)에 의해 회전지지될 수 있고, 제1피동기어체(21)의 일단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1)은 제2하우징(12)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홈(51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피동기어체(21)의 타단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2)은 후술하는 베어링 홀더(40)의 제1수용홈(41)에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to-be-driven body 21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s 51 and 52. The bearing 51 that rotatably supports one end of the first driven body 21 is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bearing 52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first to-be-driven body 21 is mounted on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of the bearing holder 40 to be described later .

제2피동기어체(22)는 제1피동기어체(21)의 소직경 기어부(21b)와 치합되는 섹터기어부(22a) 및 섹터기어부(22a)가 일체로 연결된 원통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22b)의 중심에는 출력축(15)이 결합되는 결합공(22c)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en gear body 22 includes a sector gear portion 22a meshed with the small diameter gear portion 21b of the first driven gear body 21 and a cylindrical portion 22b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portion 22a. . ≪ / RTI > A coupling hole 22c to which the output shaft 15 is coupled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22b.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5)의 일단이 제2하우징(12)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 출력축(15)은 그 일단에 형성된 소직경부(15e)를 가질 수 있고, 소직경부(15e)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31)는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가 통과하는 관통홀(31a, 도 6 참조)을 가질 수 있고,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가 레버(31)의 관통홀(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33)가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에 체결됨으로써 레버(31)는 출력축(15)의 일단(소직경부(15e))에 결합될 수 있다. 레버(31)는 레버핀(32)을 통해 링키지(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EGR밸브(5)의 플랩(6)이 링키지(30)의 타단에 연결됨으로써 EGR엑츄에이터(10)의 레버(31)는 링키지(30)를 통해 EGR밸브(5)의 플랩(6)에 연결될 수 있다. 5 and 6, one end of the output shaft 15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output shaft 15 may have a small diameter portion 15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male screw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The lever 31 may have a through hole 31a (see FIG. 6) through which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passes,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nut 33 is fastened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in a state where the nut 31 is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31a of the output shaft 15 so that the lever 31 can be coupled to one end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The lever 31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nkage 30 via the lever pin 32 and the flap 6 of the EGR valve 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age 30, (31) may be connected to the flap (6) of the EGR valve (5) via the linkage (30).

출력축(15)의 타단은 제2피동기어체(22)의 원통부(22b)의 결합공(22c)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출력축(15)은 제2피동기어체(22)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output shaft 15 can be coupled to the engaging hole 22c of the cylindrical portion 22b of the second driven body 22 so that the output shaft 15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driven driven body 22 Direction.

출력축(15)은 베어링(53, 54)에 의해 회전지지될 수 있고, 출력축(15)의 일단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3)은 제2하우징(12)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홈(53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출력축(15)의 타단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4)은 후술하는 베어링 홀더(40)의 제2수용홈(42)에 장착될 수 있다. The output shaft 15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s 53 and 54 and the bearing 53 for rotatably supporting one end of the output shaft 15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53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bearing 54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output shaft 15 can be moun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of the bearing holder 40 described later.

복원스프링(16)은 플랩(6)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위치는 플랩(6)이 EGR밸브(5)의 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플랩(6)이 EGR밸브(5)의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중에서 어느 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랩(6)의 원위치는 차량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restoring spring 16 may be configured to restore the flap 6 in place. Here, the home position may be set to any one of a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flap 6 closes the flow path of the EGR valve 5 and an open position in which the flap 6 opens the flow path of the EGR valve 5, The home position of the flap 6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원스프링(16)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원스프링(16)의 일단이 제2하우징(12)의 내면에 고정되고, 복원스프링(16)의 타단이 제2피동기어체(22)에 고정됨으로써 모터(1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복원스프링(16)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제2피동기어체(22)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출력축(15)이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플랩(6)이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storing spring 16 may be a torsion spring, one end of the restoring spring 16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other end of the restoring spring 16 is connected to the second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13 by being fixed to the synchronous body 22, the second driven body 22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torsional elastic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16, 15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flap 6 can move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기어트레인(20)과 제어기(14)의 회로기판(14a) 사이에 베어링 홀더(40)가 배치될 수 있고, 베어링 홀더(40)는 기어트레인(20)의 제1피동기어체(21)의 타단 및 제2피동기어체(21)의 타단을 지지하는 베어링(52)이 함께 수용되는 제1수용홈(41)과, 출력축(15)의 타단 및 출력축(15)의 타단을 지지하는 베어링(54)이 함께 수용되는 제2수용홈(42)과, 모터(13)의 샤프트(13b)의 타단 및 샤프트(13b)의 타단을 지지하는 베어링(55)이 함께 수용되는 제3수용홈(43)을 가질 수 있다. The bearing holder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ear train 20 and the circuit board 14a of the controller 14 and the bearing holder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ear train 20 and the circuit board 14a of the controller 14, A first receiving groove 41 for receiving the other end of the output shaft 15 and the other end of the output shaft 15 and a bearing 52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output shaft 15, A third receiving groove 43 in which a bearing 55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shaft 13b of the motor 13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13b are accommodated together ).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은 출력축(15)의 돌출된 일단의 둘레 즉, 출력축(15)의 노출된 부분을 덮는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에 의해 출력축(15)의 외면과 엑츄에이터 하우징 사이의 틈새로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The actuator housings 11 and 12 may include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for covering the protruding end of the output shaft 15, that is, the exposed portion of the output shaft 15,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put shaft 15 and the actuator housin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출력축(15)의 일단에는 소직경부(15e)가 형성될 수 있고,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는 나사부를 가질 수 있다.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는 “D” 컷 가공(“D” cutting)에 의해 형성된 평탄면(15d)을 가질 수 있다.5 and 6, a small diameter portion 15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output shaft 15,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may have a threaded portion.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may have a flat surface 15d formed by " D " cuttin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는 출력축(15)이 통과하는 관통홀(69)을 가질 수 있고, 관통홀(69)의 내경은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의 관통홀(69)은 출력축(15)의 평탄면(15d)과 부합하는 결합면(69d)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레버(31)의 관통공(31a)은 출력축(15)의 평탄면(15d)과 부합하는 결합면(31d)을 가질 수 있다. 5 and 6,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may have a through-hole 69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15 passes, and the insid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69 may be smaller than the inside diameter of the output shaft 15 The outer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15e. The through hole 69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may have an engaging surface 69d that matches the flat surface 15d of the output shaft 15. [ The through hole 31a of the lever 31 may have a mating surface 31d that coincides with the flat surface 15d of the output shaft 15.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가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의 관통홀(69) 및 레버(31)의 관통홀(31a)에 삽입되면 출력축(15)의 평탄면(15d)이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의 결합면(69d) 및 레버(31)의 결합면(31d)과 밀착됨으로써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의 관통홀(69) 및 레버(31)의 관통홀(31a)는 상호 밀착되는 “D” 컷 구조(D cut structure)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축(15)이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의 관통홀(69) 및 레버(31)의 관통홀(31a) 내에서 헛돌아감(rotational slip)이 방지될 수 있고,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 및 레버(31)가 출력축(15)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너트(33)가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에 체결됨으로써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는 레버(32)와 함께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력축(15)이 회전함으로써 레버(31) 및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는 출력축(15)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출력축(15)의 평탄면(15d)이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의 결합면(69d) 및 레버(31)의 결합면(31d)과 밀착됨으로써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와 레버(31) 사이에는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D” 컷 구조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 및 레버(31)이 출력축(15)의 소직경부(15e)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9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through hole 31a of the lever 31, the flat surface 15d of the output shaft 15 becomes a foreign matter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and the through hole 69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surface 69d of the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engaging surface 31d of the lever 31, And the through hole 31a of the lever 31 can constitute a "D" cut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output shaft 15 from rotational slippage in the through hole 69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through hole 31a of the lever 31, The member 65 and the lever 31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output shaft 15. The nut 33 is fastened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so that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together with the lever 32. [ As the output shaft 15 rotates, the lever 31 and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output shaft 15 in the same direction. The flat surface 15d of the output shaft 1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surface 69d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engaging surface 31d of the lever 31 so that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lever 3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No load is applied between them.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lever 31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15e of the output shaft 15 by the "D" cut structure.

너트(33)와 레버(31) 사이에는 가스켓(34)이 개재될 수 있고, 가스켓(34)에 의해 레버(31)와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가스켓(34)은 기밀성 및 내마모성 등을 고려하여 동(Cu) 또는 동 합금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gasket 34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nut 33 and the lever 31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lever 31 and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can be secured by the gasket 34. [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gasket 34 may be made of copper (Cu) or a copper alloy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airtightness and abrasion resistance.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은 출력축(15)의 돌출된 일단과 인접한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60)를 가질 수 있고, 지지구조(60)는 엑츄에이터 하우징(11, 12)에서 돌출하며, 지지구조(60)는 출력축(15)이 통과하는 관통홀(60a)을 가질 수 있다. The actuator housing 11 and 12 may have a support structure 60 that supports a portion of the output shaft 15 adjacent the protruding end of the output shaft 15. The support structure 60 protrudes from the actuator housing 11 and 12, The structure 60 may have a through hole 60a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15 passes.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는 지지구조(60)의 돌출된 구조에 대응하도록 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컵형상의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가 돌출된 구조의 지지구조(60)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장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출력축(15)와 제2하우징(12) 사이의 틈새로 유입됨이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may be configured in a cup shape to correspond to the protruded structur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60. [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second housing 12 can be mounted so as to entirely cover the supporting structure 60 in which the cup-like foreign object inflow preventing member 65 protrudes, It is possible to surely block the inflow into the ga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축(15)의 일단이 제2하우징(12)에서 돌출함에 따라 지지구조(60)는 제2하우징(12)에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end of the output shaft 15 protrudes from the second housing 12, the supporting structure 6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housing 12.

지지구조(60)는 수직면(61)과, 수직면(61)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62)과, 경사면(62)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면(63)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컵부재(65)는 지지구조(60)의 수직면(61)과 면하는 수직부(66)과, 경사면(62)과 면하는 경사부(67)과, 지지구조(60)의 수평면(63)과 면하는 수평부(68)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의 경사부(67)를 통해 수분 등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고, 이물질 유입방지부재(65)와 지지구조(60) 사이의 틈새가 수직방향, 경사방향, 수평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제2하우징(12) 내로 유입됨이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The support structure 60 may have a vertical surface 61, a sloped surface 62 form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surface 61, and a horizontal surface 63 formed at the top of the sloped surface 62. The cup member 65 has a vertical portion 66 facing the vertical surface 61 of the support structure 60, an inclined portion 67 facing the inclined surface 62, And a horizontal portion 68 that faces the upper surface 63 of the housing. As a result, moisture or the like can flow naturally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67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gap betwee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60 can be vertically, Moisture, other foreign matter, and the like can be surely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housing 12 as it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구조(60)의 내부에는 장착홈(53a)이 형성될 수 있고, 장착홈(53a)의 내부에는 출력축(15)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3)이 장착될 수 있다. The mounting groove 53a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structure 60 and the bearing 53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53a to rotate the output shaft 15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60)의 내부에는 장착홈(53a)의 상측에 위치한 패킹 수용홈(64)이 형성될 수 있고, 패킹 수용홈(64)에는 패킹부재(70)가 장착될 수 있다. 5, a packing receiving groove 64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53a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structure 60, and a packing member 70 may be formed in the packing receiving groove 64 Can be mounted.

패킹부재(70)는 출력축(15)과 지지구조(60)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2차적으로 실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packing member 70 may be arranged to secondarily seal the gap between the output shaft 1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60. [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70)는 내측 실링 립(71, inner sealing lip)과 외측 실링 립(72, outer sealing lip)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실링 립(71)은 출력축(15)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측 실링 립(72)은 패킹 수용홈(64)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packing member 70 may have an inner sealing lip 71 and an outer sealing lip 72. The inner sealing lip 71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put shaft 15 and the outer sealing lip 72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receiving groove 64.

패킹부재(70)의 내측 실링 립(71)의 외면에는 환형의 스프링(73)이 장착될 수 있고, 환형의 스프링(73)이 내측 실링 립(71)의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출력축(15)의 회전 시에 출력축(15)과 패킹부재(7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An annular spring 73 can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ealing lip 71 of the packing member 70 and an annular spring 73 applies an elastic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ealing lip 71, 15, the friction between the output shaft 15 and the packing member 70 can be minimized.

또한, 외측 실링 립(72)의 내면에는 환형의 스프링(74)이 장착될 수 있고, 환형의 스프링(74)이 외측 실링 립(72)의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출력축(15)의 회전 시에 출력축(15)과 패킹부재(70) 사이의 마찰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An annular spring 74 can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ealing lip 72 and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15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ealing lip 72 by the annular spring 74 The friction between the output shaft 15 and the packing member 70 can be further minim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동기어체(21)에 대해 제1피동기어체(21)의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웨이브 와셔(47)와, 출력축(15)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웨이브 와셔(48)와, 모터(13)의 샤프트(13b)에 대해 샤프트(13b)의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웨이브 와셔(49)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a first wave washer (not shown)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driven body 21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driven body 21 A second wave washer 48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put shaft 15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wave washer 48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haft 13b of the motor 13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13b. 3 wave washer 49. [0031]

제1웨이브 와셔(47)는 베어링 홀더(40)의 제1수용홈(41)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웨이브 와셔(47)는 환형을 따라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된 와셔일 수 있으며, 이에 제1웨이브 와셔(47)는 제1피동기어체(21)의 타단 및 베어링(52)에 대해 제1피동기어체(21)의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제1수용홈(4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wave washer 47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of the bearing holder 40 and the first wave washer 47 may be a washer formed in a wavy structure along the annular shape, 1 wave washer 47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so as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en body 21 and the bearing 52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driven body 21 .

제2웨이브 와셔(48)는 베어링 홀더(40)의 제2수용홈(4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웨이브 와셔(48)는 환형을 따라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된 와셔일 수 있으며, 이에 제2웨이브 와셔(48)는 출력축(15)의 타단 및 베어링(54)에 대해 출력축(15)의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제2수용홈(4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wave washer 48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of the bearing holder 40 and the second wave washer 48 may be a washer formed in a wavy structure along the annulus, The two wave washer 48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so as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output shaft 15 and the bearing 54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15. [

또한, 제3웨이브 와셔(49)는 제1하우징(11)의 바닥에 형성된 장착홈(56a)에 배치될 수 있고, 제3웨이브 와셔(49)는 모터(13)의 샤프트(13b)의 타단 및 베어링(56)에 대해 샤프트(13b)의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장착홈(56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wave washer 49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groove 56a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third wave washer 49 may be disposed in the other end of the shaft 13b of the motor 13. [ And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13b with respect to the bearing 56.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웨이브 와셔(47), 제2웨이브 와셔(48), 제3웨이브 와셔(49)에 의해 제1피동기어체(21), 출력축(15), 모터(13)의 샤프트(13b)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진동에 대한 댐핑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be-driven body 21, the output shaft 15, the motor 13 (second wave washer) The damping performance against vibration can be improved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haft 13b of the shaft 13b.

출력축(15)은 제2하우징(12) 내의 기계적 스토퍼 구조에 의해 한정된 기계적 피벗 작동범위(M) 내에서 피벗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레버(31) 및 출력축(15)은 모터(13) 및 제어기(14)에 의해 한정된 전기적 피벗 작동범위(E) 내에서 피벗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31) 및 출력축(51)이 기계적 스토퍼 구조와 간섭되거나 모터(13)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전기적 피벗 작동범위(E)는 기계적 피벗 작동범위(M) 보다 협소한 각도로 기계적 피벗 작동범위(M) 이내에 설정될 수 있다. 전기적 피벗 작동범위(E) 및 기계적 피벗 작동범위(M)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이물질 방지부재(65)를 장착할 때 레버(31)의 초기위치를 포지셔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레버(31)의 초기위치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포지셔닝구조(81, 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shaft 15 may be configured to pivot within a mechanical pivot operating range M defined by a mechanical stopper structure within the second housing 12. [ On the other hand, the lever 31 and the output shaft 15 can be configured to pivot within the electric pivot operating range E defined by the motor 13 and the controller 14. [ Since the lever 31 and the output shaft 51 may be interfered with the mechanical stopper structure or the motor 13 may be overloaded, the electric pivot actuation range E may be set at a narrower angle than the mechanical pivot actuation range M, (M). It is necessary to positio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ver 31 when mounting the foreign matter preventing member 65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ic pivot operating range E and the mechanical pivot operating range M. [ In view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positioning structures 81, 82 for position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ver 31.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구조(81, 82)는 지지구조(60)에 형성된 포지셔닝 돌출부(81) 및 이물질유입방지부재(65)에 형성된 노치(82)를 가질 수 있다. The positioning structure 81,82 may have a positioning projection 81 formed in the support structure 60 and a notch 82 formed i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5. As shown in Fig.

포지셔닝 돌출부(81)에는 포지셔닝 마크(81a)를 가질 수 있고, 포지셔닝 마크(81a)는 엠보싱 등에 의해 일정 길이 및 일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ositioning protrusion 81 may have a positioning mark 81a and the positioning mark 81a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length and a constant width by embossing or the like.

노치(82)는 이물질 방지부재(64)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형성될 수 있고, 노치(82)는 대향하는 제1노치면(82a) 및 제2노치면(82b)을 가질 수 있으며, 제1노치면(92a) 및 제2노치면(82b)에 의해 장착범위(s)가 한정될 수 있다. The notch 8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foreign matter preventing member 64 and the notch 82 may have opposing first notched surfaces 82a and second notched surfaces 82b, The mounting range s can be defined by the tooth surface 92a and the second notched surface 82b.

도 11(a)은 포지셔닝 마크(81a)가 포지셔닝 노치(82)의 제1노치면(82a)및 제2노치면(82b) 사이의 장착범위(s)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b)는 포지셔닝 마크가 포지셔닝 노치의 장착범위 이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Fig. 11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mark 81a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range s between the first notched surface 82a and the second notched surface 82b of the positioning notch 82. Fig. 10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mark is positioned within the mounting range of the positioning notch.

도 11(b)와 같이, 포지셔닝 마크(81a)가 노치(82)의 제1노치면(82a) 및 제2노치면(82b) 사이의 장착범위(s) 내에 위치하도록 이물질 방지부재(65)를 장착함으로써 레버(31)의 초기위치를 포지셔닝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preventing member 65 is positioned so that the positioning mark 81a is positioned within the mounting range s between the first notched surface 82a and the second notched surface 82b of the notch 82 as shown in Figure 11 (b)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ver 31 can be position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 EGR밸브 6: 플랩
10: EGR밸브 엑츄에이터
11: 제1하우징 12: 제2하우징
13: 모터 14: 제어기
15: 출력축 16: 복원스프링
18: 가스켓 20: 기어트레인
21: 제1피동기어체 22: 제2피동기어체
30: 링키지 47, 48, 48: 웨이브 와셔
60: 지지구조 61: 수직면
62: 경사면 63: 수평면
65: 이물질 유입방지부재 66: 수직부
67: 경사부 58: 수평부
70: 패킹부재 71: 내측 실링 립
72: 외측 실링 립 73: 스프링
5: EGR valve 6: flap
10: EGR valve actuator
11: first housing 12: second housing
13: motor 14: controller
15: output shaft 16: restoring spring
18: gasket 20: gear train
21: first driven body to be driven 22: second driven body
30: Linkage 47, 48, 48: Wave Washer
60: support structure 61: vertical surface
62: sloped surface 63: horizontal surface
65: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66:
67: inclined portion 58: horizontal portion
70: packing member 71: inner sealing lip
72: outer sealing lip 73: spring

Claims (12)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진 엑츄에이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출력축;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축의 일단이 상기 엑츄에이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에 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EGR밸브의 플랩에 링키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을 덮도록 이물질 유입방지부재가 상기 출력축에 장착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An actuato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are mounted; And
And an output shaft connected to receive the power of the motor,
A lev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utput shaft, the lever is connected to the flap of the EGR valve through a linkage, and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is disposed to cover one end of the output shaft And an EGR valve actuator mounted on the output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 하우징은 상기 출력축의 일단에 인접한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가지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엑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돌출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uator housing has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por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output shaft,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projects from the actuator hou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는 상기 지지구조를 덮도록 컵 형상으로 이루어진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is cup-shaped to cover the support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D컷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평탄면을 가지고,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는 상기 출력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의 관통홀은 상기 출력축의 평탄면에 부합하는 결합면을 가지고, 상기 레버는 상기 출력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레버의 관통홀은 상기 출력축의 평탄면에 부합하는 결합면을 가지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shaft has a flat surface formed by D cutting,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passes,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has a coupling surface matching the flat surface of the output shaft Wherein the lev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utput shaft passes, and the through hole of the lever has a coupling surface that conforms to a flat surface of the output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는 너트에 의해 상기 레버와 함께 상기 출력축에 결합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output shaft together with the lever by a nu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너트와 상기 레버 사이에는 가스켓이 배치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gasket is disposed between the nut and the le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패킹부재가 장착되는 패킹 수용홈을 가지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ing structure has a packing accommodating groove in which a packing member is mount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출력축의 외면과 접촉하는 내측 실링 립과, 상기 패킹 수용홈의 내면과 접촉하는 외측 실링 립을 가지고, 상기 내측 실링 립에는 환형의 스프링이 장착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cking member has an inner sealing lip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output shaft and an outer sealing lip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receiving groove, and an annular spring is mounted on the inner sealing li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기어트레인을 통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shaft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of the motor via a gear trai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 상기 기어트레인 및 상기 모터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웨이브 와셔를 더 포함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wave washers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utput shaft, the gear train, and the mo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초기 위치를 포지셔닝하는 포지셔닝구조를 더 포함하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ing structure for positioning an initial position of said lev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구조는 상기 지지구조의 일측에 형성된 포지셔닝 돌출부 및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부재에 형성된 노치를 가지는 EGR밸브 엑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sitioning structure has a positio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a notch formed o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KR1020170164256A 2017-12-01 2017-12-01 Egr valve actuator KR102053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56A KR102053337B1 (en) 2017-12-01 2017-12-01 Egr valve act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56A KR102053337B1 (en) 2017-12-01 2017-12-01 Egr valve actu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22A true KR20190064922A (en) 2019-06-11
KR102053337B1 KR102053337B1 (en) 2019-12-06

Family

ID=6684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256A KR102053337B1 (en) 2017-12-01 2017-12-01 Egr valve actu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3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02B1 (en) * 2020-01-31 2020-10-19 캄텍주식회사 actuator for a vehic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586A (en) * 1994-03-23 1995-10-09 Calsonic Corp Control valve device for exhaust system
JP2007032301A (en) * 2005-07-22 2007-02-08 Taiho Kogyo Co Ltd Valve assembly
US20070131889A1 (en) * 2004-07-07 2007-06-14 Faurecia Abgastechnik Gmbh Flap valve for a motor vehicle exhaust system
JP2008075741A (en) * 2006-09-21 2008-04-03 Taiho Kogyo Co Ltd Valve assembly
KR20100128553A (en) * 2009-05-28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JP2015023659A (en) * 2013-07-18 2015-02-02 株式会社ミツバ Motor with speed reducer and driving device
KR20170107852A (en) *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586A (en) * 1994-03-23 1995-10-09 Calsonic Corp Control valve device for exhaust system
US20070131889A1 (en) * 2004-07-07 2007-06-14 Faurecia Abgastechnik Gmbh Flap valve for a motor vehicle exhaust system
JP2007032301A (en) * 2005-07-22 2007-02-08 Taiho Kogyo Co Ltd Valve assembly
JP2008075741A (en) * 2006-09-21 2008-04-03 Taiho Kogyo Co Ltd Valve assembly
KR20100128553A (en) * 2009-05-28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JP2015023659A (en) * 2013-07-18 2015-02-02 株式会社ミツバ Motor with speed reducer and driving device
KR20170107852A (en) *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337B1 (en)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616B2 (en) Inductive rotation angle sensor and motor-driven airflow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JP4896271B2 (en) Actuators and adjustment elements
KR101657390B1 (en) Flap hinges system for a flap shaft in a motor vehicle
US8978379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actuator
KR102516461B1 (en) Actuator for charging port door of vehicle
KR20190064922A (en) Egr valve actuator
JP2016501336A (en) Flap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11609B2 (en) Intake air control device having strain absorbing structure
EP1571313A1 (en) Integrated supply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5450511B2 (en) Inductance type rotation angle detection device and motor drive type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US4701740A (en) Rheostatic devices
US8156922B2 (en) Electrical actuating arrangemen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110348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device
JP2000018054A (en) Electronic control throttl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316812B2 (en) Dual output flow control actuator
JP2019124527A (en) Rotation angle detector and throttle valve controller
CN116981870A (en) Valve device
US20120291751A1 (en) Intake air quantity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194993B2 (en) Driver device integrated actuator
WO2024034114A1 (en)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and press fit structure
KR102332104B1 (en) Rod assembly for turbo charger actuator
FR3065504B1 (en) MOTOR CONTROL ACTUATOR COMPRISING A RETAINING HOOD FOR AN ELECTRIC MOTOR
KR101870140B1 (en) Electrical Actuator For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Having Housing Having Fastening Bump for Restoration Member
JP2021095895A (en) Throttle device
KR20130092833A (en) Electric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