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817A - 터보팬 - Google Patents

터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817A
KR20190064817A KR1020170164048A KR20170164048A KR20190064817A KR 20190064817 A KR20190064817 A KR 20190064817A KR 1020170164048 A KR1020170164048 A KR 1020170164048A KR 20170164048 A KR20170164048 A KR 20170164048A KR 20190064817 A KR20190064817 A KR 2019006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ressure surface
main body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만
공병학
정춘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817A/ko
Publication of KR2019006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은, 흡입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쉬라우드와 이격된 백 플레이트; 및 백 플레이트와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뒷전을 포함하고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을 갖는 본체부; 및 블레이드의 앞전을 형성하고, 앞전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본체부에 연결되는 앞전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보팬{TURBO FAN}
본 발명은 터보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터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팬은 날개차 또는 로터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를 압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냉장고, 공기조화기, 청소기 등에 두루 적용되고 있다. 특히, 송풍팬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방법 또는 그 형상에 따라 축류팬, 시로코팬, 터보팬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 터보팬은 공기를 팬의 축방향으로부터 유입하여 블레이드 사이사이, 즉 팬의 측면부를 통해 방사상으로 토출하는 방식으로서, 공기가 자연스럽게 팬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므로 덕트가 필요치 않으며, 비교적 대용량의 AHU(Air Handling Unit)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대용량 송풍기에 적용되는 터보팬의 블레이드는 단일 두께로 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는 익형 단면 블레이드가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나, 제작 공정이 까다롭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일 두께의 블레이드는 익형 단면 블레이드에 비해 유동 박리 현상이 앞전(leading edge)와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고, 이로 인해 터보팬의 효율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성능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감되는 터보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은, 흡입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와 이격된 백 플레이트; 및 상기 백 플레이트와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뒷전을 포함하고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앞전을 형성하고, 상기 앞전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앞전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앞전 형성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부압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앞전 형성부의 시위 방향에 대한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시위 길이의 0.2배 이하일 수 있다.
앞전 형성부의 최대 두께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최대 캠버위치는 상기 본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앞전 형성부의 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부압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앞전 형성부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이웃한 피크간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피크의 각 곡률은, 상기 앞전 형성부에서 먼 위치에 형성된 피크일수록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피크는, 상기 본체부의 압력면에 위치하는 압력면 피크; 및 상기 본체부의 부압면에 위치하는 부압면 피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면 피크와 상기 부압면 피크는 상기 블레이드의 캠버라인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앞전 형성부의 단부는 상기 부압면 피크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앞전 형성부와 상기 부압면 피크의 최소거리는, 상기 앞전 형성부와 상기 압력면 피크의 최소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전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앞전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므로, 단일 두께 블레이드와 비교하여 앞전에서 발생되는유동박리가 줄어들어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받음각의 영향이 적어져 최고효율 운전영역이 넓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어 포일 블레이드와 비교하여 공정과정을 단순하여 공정시간 및 비용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본체부가 요철 형상을 가지므로, 부압면에 생기는 유동박리가 줄어들고 유동이 에어포일 형상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요철 형상에 의해 부압면의 압력이 분산되어 블레이드의 회전 주파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요철 형상에 의해,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벤딩에 대항하는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로써, 동일 강성을 갖는 단일 두께 블레이드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의 블레이드 형상을 타 블레이드 형상과 비교한 자료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1)은, 흡입구(3)가 형성된 쉬라우드(2)와; 쉬라우드(2)와 이격된 백플레이트(4)와; 백플레이트(4)와 쉬라우드(2)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5)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2)에는 흡입구(3)가 형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2)에는 흡입구(3)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벨 마우스가 형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2)의 하측은 블레이드(5)와 연결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4)는 쉬라우드(2)와 이격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4)에는, 터보팬(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모터(미도시)가 연결되는 허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에는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4)는 평판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백 플레이트(4)는 중심부가 쉬라우드(2)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5)는 쉬라우드(2)와 백 플레이트(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5)는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레이드(5)는 복수의 박판을 중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철판 또는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5)의 재질은 스틸(steel)일 수 있다.
블레이드(5)의 상단은 쉬라우드(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단은 백 플레이트(4)와 연결될 수 있다.
블레이드(5)에는 앞전(6, leading edge) 및 뒷전(7, trailing edge)이 형성될 수 있다. 터보팬(1)의 중심에서 블레이드(5)의 앞전(6)까지의 거리는, 터보팬(1)의 중심에서 블레이드(5)의 뒷전(7)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블레이드(5)는 복수개일 수 있고, 각 블레이드(5)는 터보팬(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5)는 방사상으로 배치되거나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5)의 각 앞전(6)은 동일원상(C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블레이드(5)의 각 뒷전(7)은 다른 동일원상(C2)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앞전(6)이 위치하는 동일원상(C1)의 직경은, 각 뒷전(7)이 위치하는 동일원상(C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5) 중 일 블레이드와, 상기 일 블레이드와 이웃하게 배치된 타 블레이드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8)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9)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8)는 상기 일 블레이드의 앞전(6)과 상기 타 블레이드의 앞전(6)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9)는 상기 일 블레이드의 뒷전(7)과 상기 타 블레이드의 뒷전(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8)는 터보팬(1)의 중심 방향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토출구(9)는 터보팬(1)의 외둘레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쉬라우드(2)에 형성된 흡입구(3)로 흡입된 공기는, 유입구(8)를 통과하여 토출구(9)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5)는 앞전 형성부(5A)와 본체부(5B)를 포함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는 블레이드(5)의 앞전(6, leading edge)을 형성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는 앞전(6)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본체부(5A)에 연결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는 대략 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는 본체부(5B)로부터 연장되어 본체부(5B)의 부압면(52)에 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전 형성부(5A)는 벤딩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앞전 형성부(5A)는 제1바디(61)와 제2바디(62)와 벤딩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61)는 본체부(5B)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2바디(62)는 제1바디(6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바디(62)는 본체부(5B)의 부압면(52)에 접할 수 있다.
제1바디(61)와 제2바디(62)의 사이에는 간극(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극(60)에 의해 앞전 형성부(5A)가 충분한 두께를 확보함과 동시에 블레이드(5)의 경량화가 가능할 수 있다.
제1바디(61)와 제2바디(62) 각각의 두께는 후술할 본체부(5B)의 두께(t)와 동일할 수 있다.
쉬라우드(2)의 흡입구(3)로 흡입된 공기는 앞전 형성부(5A)의 앞전(6)에 우선적으로 접하고, 앞전 형성부(5A)의 제1바디(61)과 제2바디(62)의 각 외면을 따라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는 앞전(6)에서 제1바디(61)의 외면과 제2바디(62)의 외면으로 나뉘어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이 서로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61)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본체부(5B)의 압력면(51)으로 유동되고, 제2바디(62)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본체부(5B)의 부압면(5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는, 본체부(5B)의 부압면(52)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길이가 압력면(51)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앞전 형성부(5A)의 제2바디(62)의 외면의 단면적은 제1바디(61)의 외면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벤딩부(63)는 제1바디(61)와 제2바디(62)를 연결할 수 있다. 벤딩부(63)는 블레이드(5)를 구성하는 플레이트가 벤딩되어 휘어진 부분일 수 있다.
벤딩부(63)는 앞전(6)을 구성할 수 있고,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곡률은 벤딩부(63)의 단부에 내접하는 원(R, leading edge circle)의 반지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원(R, leading edge circle)의 반지름은 앞전 반경으로 명명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의 최대 두께(V)는 제1바디(61)의 외면과 제2바디(62)의 외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앞전 형성부(5A)의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의 효율에 영향이 큰 앞전(leading edge)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앞전(6)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 박리를 줄이고 받음각의 영향이 적어져 최고효율 운전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한편, 본체부(5B)는 블레이드(5)의 뒷전(7, trailing edge)을 포함하고 균일한 두께(t)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5B)는 압력면(51)과 부압면(5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면(51) 및 부압면(5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압면(52)은 압력면(51)의 반대면일 수 있다. 블레이드(5)가 회전하면 압력면(51)은 공기를 가압할 수 있다.
본체부(5B)는 압력면(51)이 볼록하고 부압면(52)이 오목해지는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부압면(52)은 블레이드(5)의 시위(C, Chord)를 마주볼 수 있다. 시위(C, Chord)는 블레이드(5)의 앞전(6)과 뒷전(7)을 연결하는 직선을 의미할 수 있다.
평균 캠버 라인(A, mean camber line)은 블레이드(5)의 압력면(51)과 부압면(52)에 내접하는 원들을 그렸을 때, 이 원들의 중심점을을 연결한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평균 캠버 라인(A)은 두께(t)의 중간점을 연결한 선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평균 캠버 라인(A)을 캠버 라인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시위(C)와 캠버 라인(A)의 높이 차를 캠버(camber)라 명명하며, 캠버(camber)는 블레이드(5)의 휘어진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캠버의 최대값을 최대캠버(M)라 명명하며, 앞전(6)에서부터 최대캠버(M)가 있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최대캠버(M) 위치라고 명명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의 시위(C) 방향에 대한 길이(L)는, 블레이드(5)의 시위(C) 길이의 0.2배 이하일 수 있다.
블레이드(5)의 최대 캠버(M)위치는 앞전 형성부(5A)가 아닌 본체부(5B)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부(5B)의 두께(t)는 일정할 수 있다. 본체부(5B)의 두께(t)는 압력면(51)과 부압면(52)의 사이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앞전 형성부(5A)의 최대 두께(V)는 본체부(5B)의 두께(t)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체부(5B)는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체부(5B)의 적어도 일부는 웨이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 또는 웨이브 형상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부(5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피크(53)(5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피크(53)(54)는 절곡되거나 꺾여서 형성되지 않고,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5B)의 요철 형상은 웨이비(wavy) 형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피크(53)(54)는, 본체부(5B)의 압력면(51)에 위치하는 압력면 피크(53)와, 본체부(5B)의 부압면(52)에 위치하는 부압면 피크(54)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면 피크(53)와 부압면 피크(54)는 블레이드(5)의 캠버라인(A)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피크(53)(54)는 앞전 형성부(5A)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이웃한 피크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앞전 형성부(5A)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이웃한 압력면 피크(53)간의 거리(d1)가 멀어지고, 서로 이웃한 부압면 피크(54)간의 거리(d2)가 멀어질 수 있다. 또한, 각 피크(53)(54)의 곡률은 앞전 형성부(5A)에서 먼 위치에 형성된 피크일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전 형성부(5A)에서 멀어질수록 본체부(5B)의 굴곡이 작아질 수 있다.
한편, 앞전 형성부(5A)와 부압면 피크(54)의 최소거리(d3)는, 앞전 형성부(5A)와 압력면 피크(53)의 최소거리(d4)보다 가까울 수 있다. 즉, 앞전 형성부(5A)에 대해 부압면 피크(54)가 압력면 피크(53)보다 먼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전 형성부(5A)의 단부(64)는 부압면 피크(54)와 이격될 수 있고, 앞전 형성부(5A)의 단부(64)와 본체부(5B)의 부압면(52) 사이의 각도(θ)는 예각일 수 있다.
이는, 앞전 형성부(5A)가 본체부(5B)의 부압면(52)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블레이드(5) 전체의 평균 두께를 균일하게 하고, 블레이드(5)에 의한 유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5B)의 구성에 의해, 부압면(52)에 발생하는 유동박리가 줄어들고, 유동이 에어포일 블레이드와 유사하도록 자연스럽게 흘러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압면(52)의 압력이 요철 형상에 의해 분산되어 블레이드(5)의 회전 주파수에 의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B)의 요철 형상에 의해 원심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벤딩에 대항하는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강성을 갖는 단일 두께 블레이드에 비해 더 얇은 두께(t)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의 블레이드의 제작 과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이 자명하다.
단일 두께를 갖는 스틸 플레이트에 대해, 앞전측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굴곡진 웨이비(wavy) 형상을 주어 프레스(press) 가공을 실시할 수 있고, 이로써 본체부(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앞전측 일부분을 벤딩(bending)하여, 앞전(6)이 소정의 곡률(R)을 갖도록 앞전 형성부(6)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레이드(5)는 단일두께 블레이드에 비해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에어포일 블레이드에 비해 공정 과정이 단순화되어 공정 시간 및 제작 비용이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는 쉬라우드(2)의 흡입구(3)를 통해 터보팬(1)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고, 각 블레이드(5)의 앞전 형성부(5A)에 의해 형성된 앞전(6)에 부딪힐 수 있다.
블레이드(5)의 앞전(6)에 부딪힌 공기는 앞전 형성부(5A)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라져 유동한다. 제1바디(61)와 제2바디(62)의 각 외면으로 나뉘어 유동된 공기는 각각 본체부(5B)의 압력면(51)과 부압면(52)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앞전 형성부(5A)의 형상에 의해 유동 박리가 약화 및 지연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B)의 형상에 의해 부압면(52)에 생기는 유동박리가 줄어들고 유동이 에어포일 형상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부압면(52)의 압력이 분산되어 블레이드(5)의 회전 주파수(BPF: Blade Passing Frequency)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팬의 블레이드 형상을 타 블레이드 형상과 비교한 자료이다.
좀 더 상세히, 도 4에는 다양한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각 블레이드 형상의 전압 효율을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전압 효율이란 송풍기가 실제로 내뿜는 풍량 전압으로부터 산출된 공기 동력과 소요 동력과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써,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는 일반적인 에어 포일(air-foil) 형상의 블레이드이고, 도 4(b)는 아크형 단일 두께 블레이드이다. 도 4(c)는 절곡 형성된 복수개의 피크를 갖는 블레이드이고, 도 4(d)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복수개의 피크를 갖는 블레이드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로써, 앞전 형성부(5A, 도 3 참조)와,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복수개의 피크를 갖는 본체부(5B,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블레이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5)의 전압 효율(73.7%)이 에어 포일 형상 블레이드의 전압 효율(74.9%)에 가장 근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작이 어렵고 두께가 두꺼워지는 에어포일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제작이 간편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에어 포일 블레이드와 근접한 전압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4(c)와 도 4(d)를 비교하면, 복수개의 피크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블레이드의 전압 효율(66.9 %)이, 복수개의 피크가 절곡되어 형성된 블레이드의 전압 효율(57.9 %)에 비해 높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터보팬 2: 쉬라우드
3: 흡입구 4: 백 플레이트
5: 블레이드 5A: 앞전 형성부
5B: 본체부 51: 압력면
52: 부압면 53: 압력면 피크
54: 부압면 피크 6: 앞전
61: 제1바디 62: 제2바디
63: 벤딩부 7: 뒷전
8: 유입구 9: 토출구

Claims (12)

  1. 흡입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와 이격된 백 플레이트; 및
    상기 백 플레이트와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뒷전을 포함하고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앞전을 형성하고, 상기 앞전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앞전 형성부를 포함하는 터보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전 형성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부압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터보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전 형성부의 시위 방향에 대한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시위 길이의 0.2배 이하인 터보팬.
  4. 제 1 항에 있어서,
    앞전 형성부의 최대 두께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터보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최대 캠버위치는 상기 본체부에 위치한 터보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전 형성부의 단부와 상기 본체부의 부압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인 터보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터보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앞전 형성부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이웃한 피크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터보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피크의 각 곡률은, 상기 앞전 형성부에서 먼 위치에 형성된 피크일수록 작은 터보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피크는,
    상기 본체부의 압력면에 위치하는 압력면 피크; 및
    상기 본체부의 부압면에 위치하는 부압면 피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면 피크와 상기 부압면 피크는 상기 블레이드의 캠버라인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된 터보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앞전 형성부의 단부는 상기 부압면 피크와 이격된 터보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앞전 형성부와 상기 부압면 피크의 최소거리는, 상기 앞전 형성부와 상기 압력면 피크의 최소거리보다 가까운 터보팬.
KR1020170164048A 2017-12-01 2017-12-01 터보팬 KR20190064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48A KR20190064817A (ko) 2017-12-01 2017-12-01 터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48A KR20190064817A (ko) 2017-12-01 2017-12-01 터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17A true KR20190064817A (ko) 2019-06-11

Family

ID=6684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48A KR20190064817A (ko) 2017-12-01 2017-12-01 터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8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3189A (zh) * 2019-11-15 2020-04-03 河北汉诺威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离心风机叶轮及其制备方法
CN113719471A (zh) * 2021-08-25 2021-11-3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仿生型尾缘叶片的呼吸机降噪离心叶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3189A (zh) * 2019-11-15 2020-04-03 河北汉诺威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离心风机叶轮及其制备方法
CN113719471A (zh) * 2021-08-25 2021-11-3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仿生型尾缘叶片的呼吸机降噪离心叶轮
CN113719471B (zh) * 2021-08-25 2023-01-1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仿生型尾缘叶片的呼吸机降噪离心叶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6362B1 (en) Turbo fan and air conditioner with turbo fan
JP5549772B2 (ja) プロペラ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US8011891B2 (en) Centrifugal multiblade fan
US20040136830A1 (en) Fan
KR20140133433A (ko) 원심팬
US10550855B2 (en) Axial flow fan
WO2008123846A1 (en) Outlet guide vanes for axial flow fans
JP4818184B2 (ja) プロペラファン
EP2829733B1 (en) Centrifugal fan
JP7003337B1 (ja) ターボファン及び空気調和機
KR101251130B1 (ko) 프로펠러 팬
EP3927220B1 (en) Vortex finder for a cyclonic separator
KR102562563B1 (ko) 터보팬 및 이를 갖는 에어컨
KR20190064817A (ko) 터보팬
JP6330738B2 (ja)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5111582B2 (ja) 遠心ファンと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及び遠心ファンの金型
KR101649379B1 (ko)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102004521B1 (ko) 블레이드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팬
JP6044165B2 (ja) 多翼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197694A (ja) 送風機
KR101826348B1 (ko)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5269025B2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7217176B2 (ja) 遠心送風機のブレード構造
EP4027018A1 (en) Cross flow fan blade, cross flow fan,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P3698698A1 (en) Vortex finder for a cyclonic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