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673A -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673A
KR20190064673A KR1020197015493A KR20197015493A KR20190064673A KR 20190064673 A KR20190064673 A KR 20190064673A KR 1020197015493 A KR1020197015493 A KR 1020197015493A KR 20197015493 A KR20197015493 A KR 20197015493A KR 20190064673 A KR20190064673 A KR 2019006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tru
physical channel
power
subframe
trans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463B1 (ko
Inventor
존 더블유 하임
버코위츠 자넷 에이 스턴
스티븐 이 테리
버질 콤사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6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통한 무선 전송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각각의 TAG가 업링크 전송을 위한 별도의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할 것 같으면,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은 상이한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iming advance group; TAG)에 속한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송신될 각 서브프레임의 물리적 채널들에 대해 전력 스케일링 또는 다른 조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덜 어드밴스된 TAG 및 더 어드밴스된 TAG의 서브프레임의 중첩 영역에서 전송 전력의 합이 중첩 동안의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할 것 같으면, WTRU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채널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WIRELESS TRANSMISSIONS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SSOCIATED WITH MULTIPLE TIMING ADVANCE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11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55,853호, 2012년 1월 2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91,050호, 2012년 3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612,096호, 2012년 5월 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644,726호, 2012년 7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677,750호, 및 2012년 9월 25일에 출원된 제61/705,43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되어 있다.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가용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시는 CDMA(code division-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은 다양한 전기 통신 표준들에 채택되어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지방 레벨, 국가 레벨, 지역 레벨, 및 전세계적인 레벨에서 통신하게 할 수 있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부상하는 전기 통신 표준의 일례는 LTE이다. LTE는 3GPP에 의해 반포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바일 표준 세트이다.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를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사용하고, 다운링크(DL) 상의 OFDMA, 업링크(UL) 상의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다중 입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안테나 기술과 더 잘 통합함으로써 모바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더 잘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송신기 전송 제어는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들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할 필요성과 원하는 서비스 품질(예를 들어, 데이터 레이트 및 오차율)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비트당 송신 에너지에 대한 필요성 사이에 균형을 잡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업링크 전력 제어는 동일한 셀 및 인접 셀들에서 경로 손실, 쉐도잉(shadowing), 고속 페이딩(fast fading), 및 다른 사용자들로부터의 간섭을 포함하는, 무선 전파 채널의 특성들에 적응해야 한다.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한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각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iming advance group; TAG)가 업링크 전송을 위한 별도의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할 것 같으면,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은 상이한 TAG들에 속한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송신될 각 서브프레임의 물리적 채널들에 대해 전력 스케일링 또는 다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덜 어드밴스된 TAG 및 더 어드밴스된 TAG의 서브프레임들의 중첩 부위에서의 전송 전력의 합이 중첩 동안의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할 것 같으면, WTRU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채널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WTRU는 임의의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중첩 심볼에서 송신되도록 다른 물리적 채널이 스케줄되면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드롭시킬 수 있다.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이 임의의 서빙 셀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또는 서빙 셀들에 대한 WTRU 출력 전력의 합과 동일하지 않으면, WTRU는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WTRU 출력 전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전력 헤드룸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WTRU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PRACH의 처음 서브프레임에 대해 결정된 일정한 전력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 중첩 채널들을 회피하기 위해 가드 심볼(guard symbol)이 컴포넌트 반송파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함께 일례로서 주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상세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하나 이상의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예시된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의 시스템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예시된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예시적인 코어 네트워크의 시스템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컴포넌트 반송파(CC)에서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지만 다른 CC에서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 아닌 예시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3은 각각의 TAG에 상이한 타이밍 어드밴스(TA)가 적용되는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iming advanced group; TAG)들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SRS와 다른 채널 전송 사이의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CC 사이에 1미만의 심볼의 TA 차이의 경우 SRS 및 다른 채널들의 전송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2이상의 심볼의 TA 차이의 경우 SRS 및 다른 채널들의 전송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서브프레임 앞에 있는 SRS의 경우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들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서브프레임의 중간에 포함된 SRS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는 2개의 셀 사이의 TA 차이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치들의 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과거 서브프레임과 현재 서브프레임 사이의 잠재적 간섭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과거 서브프레임의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의 중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더 어드밴스된 CC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가드 심볼(guard symbol)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SRS이 없는 과도 기간 및 SRS가 있는 과도 기간의 예시들을 각각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비-SRS 전송 및 SRS 전송을 위한 확장 과도 기간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17은 심볼당 스케일링이 중첩의 심볼들에 적용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8a는 전력이 2개의 인접 서브프레임에 대해 결정된 후 중첩에서의 전송 전력이 리스케일링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8b는 중첩에서의 전송 전력이 비중첩 영역들에서의 전송 전력과 별도로 스케일링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9는 업링크(UL) 타이밍에 기반하여 예시적인 중첩 영역을 도시한다.
도 20은 과도 영역을 포함하는 예시 중첩 영역을 도시한다.
도 1a는 하나 이상의 개시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 통신 시스템(100)의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음성, 데이터, 영상, 메시징, 방송 등의 콘텐츠를 다수의 무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대역폭을 포함하는 시스템 리소스의 공유를 통해 다수의 무선 사용자들이 이러한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들(10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DMA), SC-FDMA(single-carrier FDMA)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송수신 유닛들(WTRU; 102a, 102b, 102c, 및 102d),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104), 코어 네트워크(106),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08), 인터넷(110), 및 다른 네트워크들(112)을 포함할 수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이 임의의 개수의 WTRU, 기지국,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WTRU(102a, 102b, 102c, 및 102d) 각각은 무선 환경에서 동작 및/또는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례로서, WTRU(102a, 102b, 102c, 및 102d)는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기기(UE), 이동국,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 페이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랩톱, 넷북, 개인용 컴퓨터, 무선 센서, 가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들(100)은 또한 기지국(114a 및 114b)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4a 및 114b) 각각은 WTRU(102a, 102b, 102c, 및 102d)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인터페이싱하여 코어 네트워크(106), 인터넷(110), 및/또는 네트워크(1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례로서, 기지국들(114a 및 114b)은 베이스 트랜스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Node-B, eNode B, Home eNode B, 사이트 컨트롤러, 액세스 포인트(AP), 무선 라우터 등일 수 있다. 기지국들(114a 및 114b)이 각각 단일 요소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기지국들(114a 및 114b)은 임의의 개수의 상호 연결된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기지국(114a)은 기지국 컨트롤러(BSC),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릴레이 노드들 등과 같은 다른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요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 RAN(104)의 일부일 수 있다. 기지국(114a 및/또는 114b)은 셀(미도시)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특정 지리적 영역 내에서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은 셀 섹터들로 더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4a)과 관련된 셀은 3개의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14a)은 3개의 트랜스시버, 즉 셀의 각 섹터 당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114a)은 다중 입출력(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MIMO) 기술을 사용하여 셀의 섹터마다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활용할 수 있다.
기지국들(114a 및 114b)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통신 링크(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RF), 마이크로파, 적외선(IR), 자외선(UV), 가시광선 등)일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WTRU들(102a, 102b, 102c, 및 102d)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16)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사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고,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104)의 기지국(114a) 및 WTRU들(102a, 102b, 및 102c)은 WCDMA(wideband CDMA)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구축할 수 있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TRA(Terrestrial Radio Access)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WCDMA는 HSPA(High-Speed Packet Access) 및/또는 HSPA+(Evolved HSPA)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HSPA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또는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114a) 및 WTRU들(102a, 102b, 및 102c)은 LTE(Long Term Evolution) 및/또는 LTE-A(LTE-Advanced)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구축할 수 있는 E-UTRA(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114a) 및 WTRU들(102a, 102b, 및 102c)은 IEEE 802.16(즉,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2000, CDMA2000 IX, CDMA2000 EV-DO, IS-2000(Interim Standard 2000), IS-95(Interim Standard 95), IS-856(Interim Standard 856),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ERAN(GSM EDGE)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a에서의 기지국(114b)은 예를 들어, 무선 라우터, Home Node B, Home eNode B,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사업장, 가정, 차량, 대학 등과 같은 로컬화 영역에서의 무선 연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RAT를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14b) 및 WTRU들(102c 및 102d)은 IEEE 802.11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하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구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114b) 및 WTRU들(102c 및 102d)은 IEEE 802.15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하여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114b) 및 WTRU들(102c 및 102d)은 셀룰러 기반 RAT(예를 들어, WCDMA, CDMA2000, GSM, LTE, LTE-A 등)을 활용하여 피코셀(picocell) 또는 펨토셀(femtocell)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4b)은 인터넷(110)과의 직접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114b)은 코어 네트워크(106)를 통해 인터넷(110)에 액세스하도록 요구 받지 않을 수 있다.
RAN(104)은 음성,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WTRU들(102a, 102b, 102c, 및 102d)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106)와 통신 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6)는 호출 제어, 과금 서비스들, 모바일 위치 기반 서비스, 선불 호출, 인터넷 연결성, 비디오 배포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 인증과 같은 고급 보안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RAN(104)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06)가 RAN(104)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채택하는 다른 RAN들과 직간접 통신 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6)는 E-UTRA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RAN(104)에 연결되는 것뿐 아니라, GSM 무선 기술을 채택하는 다른 RAN(미도시)과 통신 중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또한 WTRU들(102a, 102b, 102c, 및 102d)이 PSTN(108),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112)에 액세스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 있다. PSTN(108)은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제공하는 회선 교환 전화망(circuit-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110)은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internet protocol suite)에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및 인터넷 프로토콜(IP)과 같은 공통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상호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의 글로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들(12)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 및/또는 동작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2)는 RAN(104)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채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RAN에 연결된 다른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WTRU들(102a, 102b, 102c, 및 102d)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멀티-모드 능력을 포함할 수 있는데, 즉 WTRU들(102a, 102b, 102c, 및 102d)은 상이한 무선 링크들을 통해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과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WTRU(102c)는 셀룰러 기반 무선 기술을 채택할 수 있는 기지국(114a) 및 IEEE 802 무선 기술을 채택할 수 있는 기지국(114b)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는 예시 WTRU(102)의 시스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TRU(102)는 프로세서(118), 트랜스시버(120), 송수신 요소(122), 스피커/마이크(132), 키패드(126),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 제거 불가 메모리(130), 제거 가능 메모리(132), 전원(134),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136), 및 다른 주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WTRU(102)는 일 실시예와 부합하는 한 전술한 요소들의 임의의 서브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프로세서(118)는 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들, 임의의 다른 타입의 집적 회로(IC), 상태 기계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전력 제어, 입출력 프로세싱, 및/또는 WTRU(102)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기능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송수신 요소(122)와 연결될 수 있는 트랜스시버(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b는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프로세서(118) 및 트랜스시버(120)를 설명하고 있지만, 프로세서(118) 및 트랜스시버(120)는 전자 패키지 또는 칩에 함께 통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송수신 요소(122)는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신호를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14a))에 송신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 요소(122)는 RF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 요소(122)는 예를 들어, IR, UV, 또는 가시광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방출기/검출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 요소(122)는 RF 신호와 광 신호 양자 모두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요소(122)는 무선 신호들의 임의의 조합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송수신 요소(122)가 단일 요소로서 도 1b에 설명되었지만, WTRU(102)는 임의의 개수의 송수신 요소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WTRU(102)는 MIMO 기술을 채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WTRU(102)는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기 위한 2 이상의 송수신 요소들(122)(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시버(120)는 송수신 요소(122)에 의해 송신될 신호를 변조하고, 송수신 요소(122)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WTRU(102)는 다중-모드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스시버(120)는 예를 들어, UTRA 및 IEEE 802.11와 같은 다수의 RAT를 통해 WTRU(102)가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WTRU(102)의 프로세서(118)는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유닛)에 결합되어 이들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제거 불가 메모리(106) 및/또는 제거 가능 메모리(132)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액세스하고, 이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거 불가 메모리(10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하드 디스크, 또는 다른 타입의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 가능 메모리(132)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메모리 스틱,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18)는 서버 또는 가정용 컴퓨터(미도시)와 같은, WTRU(102)에 물리적으로 위치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액세스하고, 이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전원(134)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WTRU(10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배포 및/또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134)은 WTRU(102)에 전력을 공급하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340은 하나 이상의 건식 셀 배터리(예를 들어, 니켈-카드뮴(NiCd), 니켈-아연(NiZn), 니켈 수소(NiMH), 리튬-이온(Li-ion) 등), 태양 전지, 연료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또한 WTRU(102)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GPS 칩셋(136)에 결합될 수 있다. GPS 칩셋(136)으로부터의 정보에 추가하거나 이를 대신하여, WTRU(102)는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들(114a 및 114b)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 및/또는, 2개 이상의 근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타이밍에 기반하여 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WTRU(102)는 일 실시예와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적절한 위치 결정 방법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프로세서(118)는 추가적인 특징, 기능성, 및/또는 유무선 연결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주변부들(138)에 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부들(138)은 가속도계, 전자 나침반, 위성 트랜스시버, (사진 또는 비디오를 위한) 디지털 카메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진동 디바이스, 텔레비전 트랜스시버, 핸드 프리 헤드셋, 블루투스® 모듈, FM(frequency modulated) 무선 유닛,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RAN(104) 및 코어 네트워크(106)의 시스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RAN(104)은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WTRU들(102a, 102b, 및 102c)와 통신하기 위한 E-UTRA 무선 기술을 채택할 수 있다. RAN(104)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106)와 통신할 수 있다.
RAN(104)은 eNode-B(140a, 140b, 및 140c)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와 일치하는 한, 임의의 개수의 eNode-B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eNode-B(140a, 140b, 및 140c)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WTRU(102a, 102b, 및 102c)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Node-B(140a, 140b, 및 140c)는 MIMO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Node-B(140a)는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WTRU(102a)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이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eNode-B들(140a, 140b, 및 140c)의 각각은 특정 셀(미도시)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등에서 무선 리소스 관리 결정, 핸드오버 결정, 및 사용자들의 스케줄링을 취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ode-B들(140a, 140b, 및 140c)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106)는 MME(mobility management gateway; 142), 서빙 게이트웨이(144),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게이트웨이(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요소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106)의 일부로서 설명되지만, 이들 요소 중 어느 하나가 코어 네트워크 작동자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소유 및/또는 작동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MME(14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104)의 eNode-B들(142a, 142b, 및 14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 노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142)는 WTRU들(102a, 102b, 및 102c)의 사용자들의 인증, 베어러(bearer) 활성/비활성, WTRU들(102a, 102b, 및 102c)의 초기 접촉 중에 특정 서빙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담당할 수 있다. MME(142)는 또한 GSM 또는 WCDMA와 같은 다른 무선 기술들을 채택하는 RAN(104)과 다른 RAN들(미도시)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컨트롤 플레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44)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104)에서 eNode-B(140a, 140b, 및 140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44)는 일반적으로 WTRU들(102a, 102b, 및 102c)로/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 및 포워딩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44)는 또한 eNode B 간의 핸드오버 중에 유저 플레인을 고정시키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WTRU들(102a, 102b, 및 102c)에 이용될 수 있는 경우 페이징을 트리거하고, WTRU들(102a, 102b, 및 102c)의 콘텍스트를 관리 및 저장하는 것 등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44)는 또한 인터넷(110)과 같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및 102c)에 제공하여 WTRU(102a, 102b, 및 102c) 및 IP-인에이블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PDN 게이트웨이(146)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다른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6)는 또한 PSTN(108)과 같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및 102c)에 제공하여 WTRU들(102a, 102b, 및 102c)과 종래의 지상선(land-line)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6)는 코어 네트워크(106)와 PSTN(108)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IP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서버)를 포함하거나 이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106)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 및/또는 동작되는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112)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및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릴리즈 8(R8)에 따른 3GPP LTE에서, WTRU는 서빙 셀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하나의 셀에 하나의 반송파 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릴리즈 10(R10)에 따른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WTRU는 동시에 다수의 반송파 상으로 송신할 수 있고, 다수의 서빙 셀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셀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리소스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세트 각각은 셀의 중심 주파수일 수 있는 반송파 주파수 및 대역폭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R10에 따른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WTRU는 하나 이상의 서빙 셀(또는 컴포넌트 반송파(CC)들)로 구성되고, CC마다 WTRU는 UL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CC 및 서빙 셀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여전히 여기에 포함된 실시예들에 부합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WTRU는 하나의 1차 셀(PCell) 및 하나 이상의 2차 셀(Scell)과 통신할 수 있다. 셀 및 서빙 셀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LTE에서, 임의의 정해진 서브프레임에서의 CC를 통한 WTRU UL 전송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L 전송이 서브프레임마다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정해진 서브프레임에서 각각의 일부 전송 전력에서의 PUSCH 및/또는 PUCCH의 전송은 임의의 다른 서브프레임에서의 PUSCH 및/또는 PUCCH의 전송과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CC에서, PUSCH 전송 및 PUCCH 전송은 예를 들어, 각각의 그랜트(grant) 또는 다른 구성 또는 할당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일부 서브반송파 세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한 심볼들, 예를 들어, WTRU가 변조 레퍼런스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송신할 수 있는 심볼들 또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위해 사용 또는 예약될 수 있는 심볼들을 가능한 한 제외하고, 서브프레임의 심볼들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의 경우, PUSCH는 심볼 3 및 10의 DMRS와 함께 서브프레임의 14개의 심볼 중 12개에서 송신될 수 있고, 심볼 2 내지 4 및 심볼 9 내지 11의 DMRS와 함께 14개의 심볼 중 8개의 심볼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정한 서브프레임들에서, WTRU는 SRS를 송신할 수 있다. WTRU는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및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전용 시그널링 중 하나 이상을 통해 eNB(evolved NodeB)에 의해 WTRU에 제공될 수 있는 스케줄 및 전송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셀 특정 SRS 구성은 SRS가 정해진 셀을 위한 WTRU들에 의해 송신되도록 허용되는 서브프레임들을 정의할 수 있다. WTRU 특정 SRS 구성은 특정 WTRU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 및 전송 파라미터들을 정의할 수 있다. WTRU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WTRU는 단일 SRS 전송을 이용하는 전체 관심 주파수 대역을 통하거나, SRS 전송 시퀀스가 관심 주파수 대역을 함께 커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홉핑을 이용하는 대역의 일부를 통해 마지막 심볼에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특정 WTRU는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인 WTRU 특정 서브프레임들에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WTRU는 또한 UL 그랜트를 제공할 수도 있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포맷에 포함될 수 있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비주기적 SRS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 시에 SRS를 송신할 수 있다. 별도의 WTRU 특정 SRS 구성들은 주기 및 비주기 SRS 전송을 위해 WTRU에 제공될 수 있다.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들에 일정한 규칙들이 적용될 수 있다. PUSCH가 일정한 WTRU에 의한 CC를 통한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특정 CC의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에서, PUSCH 전송이 셀 특정 SRS 대역폭과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면 일정한 WTRU는 PUSCH 전송을 단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PUSCH를 매핑하거나 송신하지 않을 수 있음). 중첩이 없으면, 일정한 WTRU는 PUSCH 전송을 단축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일정한 WTRU는 서브프레임에서 PUSCH를 송신할 수 있고, 이 서브프레임이 일정한 WTRU를 위한 WTRU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면, 일정한 WTRU는 PUSCH 및 SRS가 서브프레임의 개별 심볼들에서 송신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일정한 PUCCH 포맷, 예를 들어 PUCCH 포맷 1, 1a, 1b, 또는 3이 CC 상의 일정한 WTRU에 의한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되고, 파라미터, 예를 들어 ackNackSRS-SimultaneousTransmission가 적어도 일정한 WTRU에 대해 TRUE와 같은 일정한 값인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들에서, 일정한 WTRU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을 사용하지 않는 단축 PUCCH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정한 WTRU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PUCCH를 매핑하거나 PUCCH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음). 일정한 WTRU는 서브프레임에서 PUCCH를 송신할 수 있고, 이 서브프레임이 일정한 WTRU를 위한 WTRU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면, 일정한 WTRU는 PUSCH 및 SRS가 서브프레임의 개별 심볼들에서 송신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PUCCH 포맷이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되거나, 파라미터, 예를 들어 ackNackSRS-SimultaneousTransmission가 적어도 일정한 WTRU에 대해 FALSE와 같은 일정한 다른 값이면, 일정한 WTRU는 정규(예를 들어, 비단축) 포맷을 사용하여 PUCCH를 송신할 수 있고, SRS를 드롭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송신하지 않을 수 있음).
WTRU는 기준 셀의 수신 프레임 타이밍에 송수신 타이밍을 동기화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을 이용하면, 기준 셀은 1차 셀(PCell) 또는 2차 셀(SCell)일 수 있다. 수신 프레임 경계들의 타이밍은 WTRU 모션 및/또는 다른 팩터들(예를 들어, 오실레이터 드리프트(oscillartor drift))로 인해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WTRU는 자신의 타이밍을 자체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WTRU는 대응 DL 서브프레임의 시작 전에, 타이밍 어드밴스(TA)를 전송 신호들에 적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WTRU는 일정 시간에 정해진 UL 서브프레임의 송신을 시작할 수 있음)(예를 들어, 적용된 TA). eNB는 UL에서 통신할 수 있거나 자신의 제어 하에 있을 수 있는 각 WTRU에 TA 커맨드들을 제공할 수 있고, eNB는 일정한 셀을 위한 임의의 정해진 서브프레임에서 WTRU들로부터의 UL 전송들이 명목상 동시에 일정한 셀에 도달하는 의도를 갖는 이러한 커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WTRU는 기준 셀의 수신 다운링크 프레임에 따라 자신의 업링크 타이밍을 자체 조정할 수 있고, 그 타이밍이 변할 수 있다.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기준이 그룹의 모든 셀들에 대해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 각 셀의 다운링크 타이밍 기준을 사용하여, WTRU가 동일한 TA 값 또는 오프셋을 그룹 내의 셀마다 적용할 수 있는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의 그룹을 일반성의 손상 없이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의 그룹을 포함한다. TA의 적용은 구성된 업링크를 갖는 셀들로 제한될 수 있다. TAG는 구성된 업링크를 갖는 셀들로 제한될 수 있다. 1차 TAG(pTAG)는 PCell을 포함하는 TAG일 수 있다. pTAG는 SCell들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2차 TAG(sTAG)는 PCell을 포함하지 않는 TAG일 수 있다. sTAG는 SCell들만을 포함할 수 있고, 구성 업링크(configured uplink)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CA를 위해 구성된 WTRU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2이상의 서빙 셀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빙 셀” 및 “CC”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역내 CA(예를 들어, 집성된 CC들이 동일한 대역에 있음)와 같은 일정한 경우에, WTRU는 집성된 CC들에 대해 동일한 DL 타이밍 기준 및 동일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WTRU는 서로 시간 정렬되어 있는(예를 들어, 정확하게 또는 거의 정확하게 시간 정렬되어 있는) 집성된 CC들에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할 수 있다.
TA 및 ΔTA는 이하 개시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UL 타이밍 및 UL 타이밍 차이로 각각 대체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및 “전송 시간 간격”(TTI)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들(i 및 i+1)은 적시에 중첩될 수 있는 연속 서브프레임들을 나타낼 수 있고, N 및 N+1이 i 및 i+1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전력 백오프(power backoff)” 및 “전력 감소”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탤릭 표시 및 비-이탤릭 표기들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WTRU가 송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마다, WTRU는 송신될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WTRU는 다음 수학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USCH, PUCCH, 및/또는 SRS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는 서브프레임(i)에서의 CC(c)에 대해 각각 PUSCH 및 SRS의 전력일 수 있고,
Figure pat00007
는 서브프레임(i)에서의 PUCCH의 전력일 수 있고,
Figure pat00008
는 서브프레임(i)에서의 CC(c)를 위한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일 수 있는데, 이들 값 각각은 dBm 단위일 수 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의 선형 값일 수 있고,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일 수 있고,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일 수 있다. WTRU는 허용된 한도 내에
Figure pat00015
를 설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6
는 PUSCH 리소스 할당의 대역폭으로서 서브프레임(i) 및 서빙 셀(c)을 위한 서브프레임에 유효한 리소스 블록들의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7
는 서빙 셀(c)에 대해 j=0 및 1인 경우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컴포넌트(
Figure pat00018
) 및 j=0 및 1인 경우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컴포넌트(
Figure pat00019
)의 합으로 구성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PUSCH의 경우 반영속(semi-persistent) 그랜트(j)에 대응하는 (재)송신이 0일 수 있고, PUSCH의 경우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ed) 그랜트(j)에 대응하는 (재)송신이 1일 수 있고, PUSCH의 경우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그랜트 j에 대응하는 (재)송신이 2일 수 있다. j=2인 경우,
Figure pat00020
의 값은 랜덤 액세스 절차 결과들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고,
Figure pat00021
는 0일 수 있다.
Figure pat00022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된 파라미터이거나 고정 값일 수 있다.
Figure pat00023
는 서빙 셀(c)을 위한 WTRU에서 계산된 다운링크 패스로스(pathloss) 추정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024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된 파라미터들 및/또는 코드 블록들의 개수, 각각의 코드 블록의 사이즈, 송신될 CQI(channel quality indicator)/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비트들의 개수, 및 리소스 요소들의 개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WTRU에 의해 계산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Figure pat00025
는 예를 들어 CC(c)를 통한 PUS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TPC) 커맨드들의 누적일 수 있는 전력 제어 누적 항일 수 있다.
Figure pat00026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파라미터(
Figure pat00027
) 및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파라미터(
Figure pat00028
)의 합으로 구성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Figure pat00029
는 송신될 CQI의 개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및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비트들의 함수일 수 있는 PUCCH 포맷 종속 값일 수 있다. 파라미터(
Figure pat00030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PUCCH 포맷 종속 파라미터일 수 있다.
Figure pat00031
는 WTRU가 2개의 안테나 포트에 PUCCH를 송신하도록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되면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PUCCH 포맷 종속 파라미터일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0일 수 있다.
Figure pat00032
는 예를 들어 PUCCH를 위한 TPC 커맨드들의 누적일 수 있는 전력 제어 누적 항일 수 있다.
Figure pat00033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고, m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일 수 있는 SRS 모드를 나타내는 값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34
는 서빙 셀(c)을 위한 서브프레임(i)에서의 SRS 전송의 대역폭으로서 리소스 블록들의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PUSCH 수식에서와 동일한 표기를 갖는 SRS 수식의 파라미터들은 동일한 CC(c)를 위한 PUSCH 전력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WTRU는 송신될 각 채널의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우선 결정할 수 있음). 채널 전송 전력들(예를 들어, 결정된 채널 전송 전력들)의 합이 WTRU의 구성 최대 출력 전력(예를 들어, 전체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이면, WTRU는 스케일링 후에 전송 전력들의 합이 WTRU의 구성 최대 출력 전력, 즉
Figure pat00035
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칙 세트마다 채널들의 전송 전력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TRU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도록 서브프레임(i)에서의 서빙 셀(c)에 대한
Figure pat00036
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의 선형 값일 수 있고,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의 선형 값일 수 있고,
Figure pat00042
는 서브프레임(i)에서의 WTRU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
Figure pat00043
)의 선형 값일 수 있고,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인 경우 서빙 셀(c)을 위한
Figure pat00046
의 스케일링 팩터일 수 있다.
전송 전력을 스케일링 또는 조정하는 것은 채널 우선 순위에 기반할 수 있는 규칙 세트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들은 최고부터 최저까지 PUCCH,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갖는 PUSCH, 및 UCI가 없는 PUSCH일 수 있고, 더 높은 우선 순위 채널은 가용 전송 전력 전부를 사용할 수 있고, 다음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채널은 임의의 남은 가용 전송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우선순위의 다수의 채널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중 전부에 대해 충분한 전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일한 상대 전력 감소가 각 채널에 적용되도록 전력이 이들 사이에 동등하게 공유될 수 있다. 일단 전력 감소가 채널 또는 채널 그룹에 적용되는 경우, 전력이 다음으로 낮은 우선 순위 채널에 적용될 수 없으면, 이들 낮은 우선 순위 채널들이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WTRU는 예를 들어 2이상의 CC에서의 SRS 전송 전력들의 합이 WTRU의 총 구성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할 것 같으면, SRS 전송 전력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의 선형 값일 수 있다.
WTRU는 다음과 같이 하한(lower limit) 및 상한(higher limit) 내의 서빙 셀(c)에 대한 WTRU 출력 전력(
Figure pat00050
)을 결정(또는 설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51
하한 및 상한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는 서빙 셀(c)을 위한 상위 계층들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는 최대 허용 WTRU 출력 전력일 수 있고,
Figure pat00055
는 예를 들어, 자신의 전력 등급(power class)에 따른 최대 WTRU 전력으로서 공차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고, 최대 전력 감소(
Figure pat00056
), 추가 최대 전력 감소(
Figure pat00057
), 전력 관리 전력 감소(
Figure pat00058
),
Figure pat00059
, 및
Figure pat00060
는 방출 요건들 및 특정 흡수 요건(SAR)을 충족시키는 것과 같은 일정한 허용된 이유들로 인해 WTRU로 하여금 자신의 최대 출력 전력을 감소하게 할 수 있는 서빙 셀(c)을 위한 항들일 수 있다. 이들 값은 dB 단위일 수 있다.
UL 서빙 셀들을 갖는 반송파 집성의 경우, WTRU는 다음과 같이 하한 및 상한 내의 서빙 셀(c)을 위한 총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Figure pat00061
)을 결정(또는 설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62
하한 및 상한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대역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의 선형 값일 수 있고,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의 선형 값일 수 있고,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의 선형 값일 수 있고, mprc, a-mprc, 및 pmprc는 각각
Figure pat00071
,
Figure pat00072
, 및
Figure pat00073
의 선형 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와 등가일 수 있으며, 이들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서빙 셀에 걸친 측정 최대 출력 전력(
Figure pat00076
)은 다음의 범위 내에 있도록 규정 또는 요구될 수 있다.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T(P)는 P의 값의 함수인 허용된 공차일 수 있고,
Figure pat00079
는 선형 스케일로 표현된 서빙 셀(c)에 대한 측정 최대 출력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WTRU가 다수의 CC를 통해 송신하는 경우, 일정한 규칙들이 적용되어 다른 CC에서 송신될 수 있는 것에 기반하여 하나의 CC에서의 SRS의 전송을 지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CC의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일 수 있지만, 다른 CC의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 아닐 수 있다. 도 2는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CC(CC1)의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지만, 다른 CC(CC2)의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 아닌 일례를 도시한다.
LTE R10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예시 규칙 세트에 따르면, WTRU가 하나의 CC(예를 들어, CC1)에서 SRS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고, WTRU가 또한 이러한 전송이 다른 CC(예를 들어, CC2)의 마지막 심볼(204)에서의 전송을 포함하는 (포맷 종속될 수 있는 예외들을 갖는) PUSCH 및 PUCCH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면, WTRU는 CC1에서 스케줄링된 SRS를 드롭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송신하지 않을 수 있음). WTRU가 CC2에서의 PUSCH 또는 PUCCH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거나, WTRU가 CC2에서의 PUSCH 또는 PUCCH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만, 이러한 송이 CC2의 마지막 심볼(204)에서의 송신을 포함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CC2를 위한 셀 특정 SRS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에), WTRU는 CC1에서 스케줄링된 SRS(202)를 송신할 수 있다. PUCCH에 관한 규칙들은 송신될 PUCCH에 종속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SRS 송신은 HARQ-ACK 없이 PUCCH 포맷 2와 같은 일정한 PUCCH 포맷들을 위한 PUCCH 전송에 비해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CC를 통해 송신하는 WTRU는 CC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상이한 DL 타이밍 기준 및/또는 상이한 TA를 가질 수 있다.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은 WTRU가 공통 DL 타이밍 기준 및/또는 공통 TA를 갖는 CC들의 세트일 수 있다.
상이한 DL 타이밍 기준 및/또는 상이한 TA를 사용하는 CC를 고려해볼 때, WTRU가 명목상 동시에(즉, 명목상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2개 이상의 이러한 CC 상으로 송신하면, 서브프레임 및 내부 심볼 경계들이 서로 시간 정렬되지 않을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CC와 중첩된 하나의 CC에서의 서브프레임들 및 이들의 내부 심볼들을 초래한다. 도 3은 각각의 TAG에 상이한 TA가 적용되는 다수의 TAG의 일례를 도시한다. TAG1은 도 3에서의 TAG2보다 더 어드밴스된 것이다. 도 3의 일례가 2개의 TAG 각각에서 2개의 CC를 도시하지만, 각각의 TAG에서의 임의의 개수의 CC를 갖는 임의의 개수의 TAG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 유의해야 한다. 도 3의 예시는 최대 2개의 심볼의 중첩을 결과적으로 초래할 수 있는 시간차를 도시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시간차 및 중첩은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종래에, UL 채널들의 전송 전력들(예를 들어,
Figure pat00080
,
Figure pat00081
,
Figure pat00082
, 및
Figure pat00083
또는
Figure pat00084
)은 CC 사이의 UL 타이밍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된다. 그러나, CC 사이의 UL 타이밍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전송 전력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CC의 서브프레임들이 다른 CC의 인접 서브프레임들과 중첩되는 경우 WTRU가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 및/또는 최대 전송 전력에서의 과도한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이하게 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WTRU는 WTRU의 UL 전송을 지향하는 DL에서의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n))에서 수신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들은 차후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LTE FDD를 위한 서브프레임(n+4))에서의 UL 전송을 산출할 수 있다. WTRU는 한번에 하나의 UL 서브프레임을 위한 그랜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간격 [n,n+4] 중에 시간에의 일부 지점에서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서브프레임(n)에서 수신되었던 임의의 정해진 서브프레임(n+4)의 경우, WTRU는 그랜트를 복조 및 디코딩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n+4)을 위한 전력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프로세싱은 서브프레임(n+4)을 위한 다양한 채널들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WTRU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스케일링을 결정하는 단계, 스케줄링된 SRS를 송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PUSCH를 펑처링하는 단계 및/또는 PUCCH를 단축하여 SRS를 수용하는 단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서브프레임(n+4)와 같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현재”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칭되고, 이전 서브프레임은 “과거”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칭되고, 다음 서브프레임은 “미래”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칭된다. 현재 서브프레임 전에 일부 서브프레임 중에, 현재 서브프레임과 같은 서브프레임에 대한 판단이 행해질 수 있고, 실제 WTRU 구현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력의 결정은 과거 또는 미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시 WTRU 구현에서, 예를 들어, 과거가 이미 일어났고 변경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과거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예를 들어, 송신용 전력)은 차후(현재)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수용하도록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예를 들어, WTRU가 현재 프레임에 대해 판단하는 경우 미래 서브프레임을 위한 송신들에 대해 아직 완전히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현재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예를 들어, 송신용 전력)은 미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수용하도록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서브프레임(n)에서의 UL 할당과 서브프레임(n+4)에서의 UL 전송의 전술한 타이밍 관계가 일례로서 제공되고,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임의의 표준에 대응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타이밍 관계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현재 서브프레임으로서 서브프레임(n+4)의 사용은 예시 목적으로서, 임의의 서브프레임은 과거 서브프레임인 앞선 서브프레임을 갖고 미래 서브프레임인 차후 서브프레임을 갖는 현재 서브프레임이라고 고려될 수 있고,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여전히 부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i 또는 N는 현재 프레임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데, i-1 또는 N-1는 과거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i+1 또는 N+1는 미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다른 표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여전히 부합될 수 있다.
종래에, 상이한 CC 상으로 정해진 WTRU에 의한 SRS 및 다른 채널들의 동시 전송을 위한 규칙들은 예를 들어, CC들 사이의 TA 차이로 인한 중첩(예를 들어, 인접 서브프레임 중첩)이 존재하지 않거나 TA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면, 일치하는(예를 들어, 정확히 또는 거의 정확히 일치하는) CC들의 UL 서브프레임 경계들에 대해 통상적으로 예측될 수 있다. TA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종래의 규칙들은 동시 SRS 및 다른 UL 전송을 적절히 취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TA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WTRU가 다른 CC에서의 단축 PUSCH와 동시에 하나의 CC에서 SRS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TA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규칙을 적용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하나의 CC에서의 PUSCH의 송신 및 동일한 심볼 주기 내에 일어난 다른 CC에서의 SRS의 송신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SRS와 다른 채널 사이의 (과거 서브프레임, 현재 서브프레임, 및 미래 서브프레임 사이의)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을 지칭한다.
도 4a 및 도 4b는 SRS와 다른 채널 전송 사이의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SRS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덜 어드밴스된 TAG에서 송신되는 경우, 과거 서브프레임의 SRS(402)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PUSCH 및/또는 PUCCH(406)와 충돌할 수 있고, 미래 서브프레임에서의 PUSCH 및/또는 PUCCH(408)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404)와 충돌할 수 있다. SRS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어드밴스된 TAG에서 송신되는 경우, 과거 서브프레임의 SRS(412)는 과거 서브프레임의 PUSCH 및/또는 PUCCH(416)와 충돌할 수 있고, 미래 서브프레임에서의 PUSCH 및/또는 PUCCH(418)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414)와 충돌할 수 있다.
이하, UL 타이밍 차이의 경우에 동시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된 SRS 및 다른 UL 채널들을 취급하는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WTRU는 동일한 심볼에서 PUSCH 및/또는 PUCCH와 동시에 SRS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인접 심볼 또는 인접 서브프레임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CC 사이에 1미만의 심볼의 TA 차이의 경우 SRS 및 다른 채널들의 전송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이 예시에서, SRS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에 송신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수평으로 크로스해치된 심볼은 CC 사이의 UL 타이밍 차이의 경우 동시적인 SRS 및 다른 UL 채널 송신을 위한 규칙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현재 프레임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추가 심볼이다.
도 5a에서, SRS(502)가 더 어드밴스된 CC에서 스케줄링된다. PUSCH 및 PUCCH가 서브프레임(i)에서 다른 CC(덜 어드밴스된 CC)의 마지막 심볼(504)과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506) 모두에 매핑되지 않으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를 위해 스케줄링된 SRS(502)를 송신할 수 있다. PUSCH 및 PUCCH가 서브프레임(i)에서 다른 CC(덜 어드밴스된 CC)의 마지막 심볼(504) 또는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504) 모두에 매핑되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를 위해 스케줄링된 SRS(502)를 드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WTRU가 서브프레임(i)의 마지막 심볼(504)을 사용하지 않고 그 CC 상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506)을 사용하는 다른 CC(덜 어드밴스된 CC)에 단축된 PUCCH 포맷 또는 단축된 PUSCH를 사용하면, WTRU는 스케줄링된 SRS(502)를 드롭시킬 수 있다.
도 5b에서, SRS가 덜 어드밴스된 CC에서 스케줄링된다. 이 경우, 크로스-서브프레임 간섭이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와 미래 서브프레임의 다른 채널들 사이 또는 과거 서브프레임의 SRS와 현재 서브프레임의 다른 채널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다. PUSCH 및 PUCCH가 다른 CC(더 어드밴스된 CC)의 서브프레임(i)의 마지막 심볼(514)과 서브프레임(i+1)의 1번째 심볼(516) 모두에 매핑되지 않으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에 대해 스케줄링된 SRS(512)를 송신할 수 있다. PUSCH 또는 PUCCH가 다른 CC(더 어드밴스된 CC)의 서브프레임(i)의 마지막 심볼(514) 또는 서브프레임(i+1)의 1번째 심볼(516)에 매핑되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를 위해 스케줄링된 SRS(512)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실제 구현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프로세싱의 일부로서 이를 행하기로 원래 결정했기 때문에 SRS가 자신의 서브프레임의 마지막에 있고, WTRU가 차후에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지 않기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WTRU가 SRS를 송신하지 않도록 판단한 경우, WTRU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프로세싱의 일부로서 이를 행하도록 원래 결정했기 때문에 임의의 PUSCH 펑처링 또는 PUCCH 단축을 무효로 할 수 있다.
도 5c에서, SRS들(522 및 524)이 CC 양자 모두에 스케줄링된다. 이 경우, 크로스-서브프레임 간섭이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와 미래 서브프레임의 다른 채널들 사이 또는 과거 서브프레임의 SRS와 현재 서브프레임의 다른 채널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다. WTRU는 덜 어드밴스된 CC의 현재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i))의 마지막 심볼 다음 심볼(528)을 사용하지 않고(예를 들어, PUSCH 및 PUCCH가 매핑되지 않음), 더 어드밴스된 CC의 다음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i+1))에서 1번째 심볼(526)을 사용하지 않으면, 2개의 CC 상에 동시에 스케줄링된 SRS(522 및 524)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2개의 CC는 단지 일례로서 사용되고, 실시예들은 3이상의 CC가 WTRU에 대해 활성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WTRU는 2이상의 다른 CC의 스케줄링된 전송 및 UL 타이밍 관계에 기반하여 SRS를 송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WTRU는 스케줄링된 SRS들이 송신되게 하기 위해 추가 심볼들(도 5a 내지 5c에서의 수평 크로스해치된 심볼들(506, 516, 526, 및 528))을 사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WTRU는 스케줄링된 SRS가 PUSCH 또는 PUCCH와 동일한 CC에서 송신되게 하기 위해 도 5a 내지 도 5c에서의 대각 크로스해치된 심볼들(504 및 516)을 회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 송신 포맷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에서 마지막 2개의 심볼을 사용하지 않은 단축 PUSCH 및/또는 PUCCH 포맷, 서브프레임에서 1번째 심볼을 사용하지 않는 단축 PUSCH 및/또는 PUCCH 포맷, 서브프레임에서 1번째 심볼 및 마지막 심볼 모두를 사용하지 않는 단축 PUSCH 및/또는 PUCCH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WTRU는 하나 이상의 단축 포맷들의 사용이 허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네트워크로부터의 지시 또는 WTRU가 단축 포맷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지시에 기반하여 단축 포맷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CC 사이의 타이밍 관계, 예를 들어 WTRU의 UL 타이밍 관계에 기반할 수 있다.
WTRU는 2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TA 차이가 없는 제1 상태 및 1미만의 심볼 TA 차이의 제2 상태), 이 상태에 기반하여 SRS 및 다른 채널들의 전송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TA 차이가 하나의 심볼보다 큰 경우, 예를 들어, 1 내지 2개의 심볼의 범위까지 확장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2이상의 심볼의 TA 차이의 경우 SRS 및 다른 채널들의 전송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6a에서, SRS(602)가 더 어드밴스된 CC에서 스케줄링된다. PUSCH 및 PUCCH가 서브프레임(i)에서 다른 CC(덜 어드밴스된 CC)의 마지막 2번째 및 3번째 심볼들(604 및 606) 모두에 매핑되지 않으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를 위해 스케줄링된 SRS(602)를 송신할 수 있다. PUSCH 및 PUCCH가 서브프레임(i)에서 다른 CC(덜 어드밴스된 CC)의 마지막 2번째 및 3번째 심볼들(604 및 606) 모두에 매핑되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를 위해 스케줄링된 SRS(602)를 드롭시킬 수 있다.
도 6b에서, SRS(612)가 덜 어드밴스된 CC에서 스케줄링된다. 이 경우, 크로스 서브프레임 간섭이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와 미래 서브프레임의 다른 채널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다. PUSCH 및 PUCCH가 다른 CC(더 어드밴스된 CC)의 서브프레임(i+1)의 1번째 심볼(614) 및 2번째 심볼(616) 모두에 매핑되지 않으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를 위한 스케줄링된 SRS(612)를 송신할 수 있다. PUSCH 및 PUCCH가 서브프레임(i+1)에서 다른 CC(더 어드밴스된 CC)의 1번째 심볼(614) 또는 2번째 심볼(616)에 매핑되면, WTRU는 서브프레임(i)에서 정해진 CC를 위해 스케줄링된 SRS(612)를 드롭시킬 수 있다.
도 6c에서, SRS들(622 및 624)이 CC 양자 모두에 스케줄링된다. 이 경우, 크로스-서브프레임 간섭이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와 미래 서브프레임의 다른 채널들 사이 또는 과거 서브프레임의 SRS와 현재 서브프레임의 다른 채널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다. WTRU는 덜 어드밴스된 CC의 현재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i))의 2개의 마지막 심볼(630 및 632)을 사용하지 않고(예를 들어, PUSCH 및 PUCCH가 매핑되지 않음), 더 어드밴스된 CC의 다음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i+1))에서 처음 2개의 심볼(626 및 628)을 사용하지 않으면, 2개의 CC 상에 스케줄링된 SRS(622 및 624)를 동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WTRU는 3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예를 들어, TA 차이가 없는 제1 상태, 1미만의 심볼 TA 차이의 제2 상태, 및 2이상의 심볼 TA 차이의 제3 상태), 이 상태에 기반하여 SRS 및 다른 채널들의 전송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SRS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보다는 처음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서브프레임 앞에 있는 SRS의 경우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들의 일례를 도시한다. SRS가 덜 어드밴스된 TAG에 있는 경우, 현재 서브프레임의 PUSCH 또는 PUCCH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720)와 충돌할 수 있고, 미래 서브프레임의 SRS(704)는 미래 서브프레임의 PUSCH 또는 PUCCH와 충돌할 수 있다. SRS가 더 어드밴스된 TAG에 있는 경우, 과거 서브프레임의 PUSCH 또는 PUCCH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706)와 충돌할 수 있고, 미래 서브프레임의 SRS(708)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PUSCH 또는 PUCCH와 충돌할 수 있다.
WTRU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면서 지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SRS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서브프레임의 경우, 과거 서브프레임의 PUSCH 또는 PUCCH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WTRU는 SRS를 송신하지 않도록 판단할 수 있고, WTRU는 이러한 판단 지점에서 과거 서브프레임의 채널에 대해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브프레임의 PUSCH 및/또는 PUCCH를 프로세싱하는 경우, 적절한 시점에, WTRU는 미래 서브프레임의 SRS의 지식을 가질 수 있고, 현재 서브프레임의 PUSCH를 펑처링 및/또는 PUCCH를 단축하여 미래 서브프레임의 SRS를 수용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앞의 SRS을 이용하면, 마지막 심볼보다는 PUSCH의 1번째(또는 처음 2개의) 심볼(들)이 펑처링될 필요가 있고, 단축된 PUCCH는 서브프레임의 처음에 시작되어 2번째 마지막 심볼에서 종료하기 보다 SRS 후에 시작되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에 종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SRS는 서브프레임의 중간(예를 들어, 처음 또는 마지막 심볼이 아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서브프레임의 중간에 포함된 SRS(802 또는 804)의 일례를 도시한다. UL 타이밍 차이가 서브프레임의 약 절반 미만이기만 하면, SRS가 더 또는 덜 어드밴스된 TAG에 포함되든 아니든 크로스-서브프레임 충돌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중간의 SRS를 이용하면, 1개(또는 2개)의 PUSCH 심볼(들)은 서브프레임의 중간을 향해 펑처링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단축 PUCCH는 SRS의 양측 주변에서 스플릿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다음의 경우, (1) WTRU가 대역내(intra-band) CA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경우(WTRU가 적어도 2개의 활성화된 UL CC를 갖는 경우로 한정될 수 있음), (2) WTRU가 대역간(inter-band) CA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경우(WTRU가 2이상의 대역에서 UL CC들을 활성화하는 경우로 한정될 수 있음), (3) WTRU가 2개 이상의 독립 제어 TA 루프들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경우(예를 들어, WTRU는 적어도 2개의 TAG를 가짐), 또는 (4) WTRU가 (RRF 또는 다른 시그널링을 통해) 실시예들을 적용하도록 eNB에 의해 특별히 명령 받은 경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SRS 및 다른 UL 전송을 위해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항상 또는 전술한 조건들((1) 내지 (4)) 중 하나 이상이 사실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건들((1) 내지 (4)) 중 하나가 사실이고, 가장 많이 적용된 TA와 가장 조금 적용된 TA 사이의 차이(예를 들어, 중첩 부위의 길이, TA 차이, 또는 UL 타이밍 차이)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판단에 사용된 차이점이 임계치 미만이면, 예를 들어, 전술한 조건들이 사실인 경우에도 실시예들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가 채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상이한 임계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 실시예의 사용을 시작하기 위한 하나의 임계치 및 이들 실시예의 사용을 중단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임계치). 실시예들을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은 것을 보증하는 조건을 시그널링한 후, 서브프레임(k)에서의 조건을 보고한 후 서브프레임(k+4)와 같은 일정한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하면서, 실시예들은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을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은 것을 보증하는 조건을 시그널링한 후, WTRU가 서브프레임(k)에서 보고의 HARQ ACK를 수신한 후 서브프레임(k+4)와 같은 일정한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하면서, 실시예들을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는 것을 보증하는 조건을 시그널링한 후 실시예들은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TA(또는 UL 타이밍) 차이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경우, 차이의 크기는 적절한 것일 수 있다(예를 들어, 어느 CC가 더 또는 덜 어드밴스되는지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음).
적절한 UL 통신들의 경우, eNB는 WTRU가 동시 SRS 및 다른 채널 송신들에 적용했던 규칙들과 같이 WTRU가 자신의 UL 전송에 적용했던 규칙들을 인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eNB가 임의의 정해진 서브프레임에서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는지 여부를 알기 때문에, eNB는 WTRU에서의 TA(또는 UL 타이밍) 차이를 계산하거나 추론할 수 있다.
하나의 공통 DL 타이밍 기준을 사용하는 WTRU의 경우, WTRU 및 eNB는 각 CC에서의 Rx-Tx 시간차 측정 사이의 차이로서 WTRU에서의 최대 (예를 들어, CC들 중 가장 큰) TA 차이를 계산 또는 추론할 수 있다. 최대 TA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85
여기서 TAp는 하나의 셀(예를 들어, PCell)을 위한 Rx-Tx 시간차 측정일 수 있고, TAs는 다른 셀(예를 들어, SCell)을 위한 Rx-Tx 시간차 측정일 수 있다. WTRU는 보고(예를 들어, 보고 파라미터, 보고 콘텐츠 등)가 eNB로부터의 시그널링(예를 들어, 측정 구성)에 기반할 수 있는 eNB에 하나 이상의 셀을 위한 이러한 측정을 보고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CC(예를 들어, PCell 및 하나 이상의 SCell)를 위한 상이한 DL 타이밍 기준들을 사용하는 WTRU의 경우, WTRU 및 eNB는 공통 DL 기준 경우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여 WTRU에서의 최대 TA 차이를 계산하거나 추론할 수 있다. 또한, WTRU 및 eNB는 적용된 TA 차이에서 수신된 DL 기준 타이밍 차이를 뺀 것으로서 UL 타이밍 차이를 측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TRU 및 Enb는 2개의 셀 또는 2개의 TAG의 기준 사이의 시간 차이(예를 들어, ΔTREF = TREFp-TREFs)를 제공하거나, 적용된 TA 차이(ΔTAps)에서 기준 신호 시간차(RSTD)형 측정을 뺀 것(예를 들어, (TAp-TAs)-(TREFp-TREFs))이 적용된 UL 타이밍 차이를 계산할 수 있는 TAG 또는 SCell마다 RSTD형 측정을 추가할 수 있다.
도 9는 2개의 셀(예를 들어, PCell 및 SCell) 사이의 TA 차이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치들의 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ΔTAps라는 용어는 ΔTA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차이는 2개의 상이한 TAG의 2개의 CC(예를 들어, 1차 CC 및 2차 CC) 또는 2개의 개별 TAG 사이에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WTRU는 전술한 바와 같이 또는 더 간단한 방식(예를 들어, 타이밍 기준 차이를 무시함)으로 ΔTA를 계산, 처리, 및/또는 보고할 수 있다. WTRU는 eNB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들(예를 들어, 누적된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CC 또는 TAG에 적용된 실제 타이밍 어드밴스의 차이를 이용하고 WTRU 자체 업링크 타이밍 조절들을 무시하는 것 대신에 전술한 바와 같이 ΔTA를 계산, 처리, 및/또는 보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WTRU는 TA 또는 UL 타이밍 차이를 계산하고, Enb에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보고들은 큰 TA 차이를 위한 특수 프로세싱을 시작하거나 중단하는 WTRU, 또는 예를 들어, 셀 로드 밸런싱에서의 정책들을 스케줄링하거나 TAG에서 문제 있는 SCell(들)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이러한 보고들을 사용하여 UL 전송들과 충돌하는 큰 TA 차이를 회피할 것이라는 예측을 이용한 보고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타이밍 기준은 PCell일 수 있음).
WTRU는 CC들 또는 TAG들의 TA 또는 UL 타이밍, 2개의 CC 또는 TAG 사이의 TA 또는 UL 타이밍 차이, 임의의 2개의 CC 또는 TAG 사이의 최대 TA 또는 UL 타이밍 차이, 임의의 SCell TAG를 위한 PCell과 관련된 UL 타이밍 차이, 이러한 UL 타이밍 치아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SCell TAG를 위한 PCell과 관련된 UL 타이밍 차이, TAG들(예를 들어, 가장 어드밴스된 순서 또는 그 반대로 TAG들의 목록 또는 가장 어드밴스된 TAG의 표시) 사이의 서수 상대적 타이밍 차이, TA 또는 UL 타이밍 차이가 임계치를 크로스하는 경우의 표시(예를 들어, 최대 TA 또는 UL 타이밍 차이는 임계치를 크로스하는 경우), 정해진 큰 TA 차이를 프로세싱하는 상태를 갖거나, 막 진입하거나, 떠나는 표시(이는 TAG 타이밍 차이의 표시 또는 보고와 결합될 수 있음) 등 중 하나 이상을 주기적 또는 이벤트 구동식으로 보고할 수 있다.
보고를 트리거하는 이벤트는 TAG의 처음 SCell의 활성화(예를 들어, 주기적 보고를 시작할 수 있는 추가 TAG의 시작) 또는 TAG의 마지막 SCell의 비활성화(예를 들어, 더 이상 주기적 보고가 뒤따를 수 없는 TAG의 중단)일 수 있다. 이러한 보고들은 PHY 시그널링, MAC CE(제어 요소),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할 수 있다. MAC CE로 운송된 보고들은 관심 SCell TAG를 위한 전력 헤드룸 보고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하, UL 타이밍 차이 또는 TA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전송 전력을 취급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다수의 CC 상으로 송신할 때 WTRU가 최대 허용 출력 전력(예를 들어,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규칙들은 예를 들어, CC들 사이의 TA 차이로 인한 중첩(예를 들어, 인접 서브프레임 중첩)이 존재하지 않거나 TA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면, 일치하는(예를 들어, 정확히 또는 거의 정확히 일치하는) CC들의 UL 서브프레임 경계들에 대해 통상적으로 예측될 수 있다. 그러나, TA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종래의 최대 전력 규칙들을 적용하는 것이 모든 경우에 충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C들 사이에 TA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인접 서브프레임 중첩으로 인해 하나의 CC에서의 SRS와 다른 CC에서의 PUSCH 및/또는 PUCCH의 동시 전송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가 송신될 수 있는 심볼 주기의 약 최대 84%에 대응할 수 있는 최대 60μs의 TA 차이를 위해, 하나의 CC에서의 SRS와 다른 CC에서의 PUSCH 및/또는 PUCCH의 동신 전송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최대 전력 규칙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CC들 사이의 TA 차이가 존재하는 다른 예시에서, 하나의 CC에서의 PUSCH는 명목상 인접 서브프레임에 있는 다른 CC의 PUSCH와 전력을 공유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최대 전력 규칙들 또는 PUSCH 스케일링 규칙들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최대 전력은 구성 최대 전력, 구성 최대 출력 전력,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 총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및 그 밖의 유사 전문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들 및 그 밖의 유사 용어들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RS가 없는 서브프레임의 경우, UCI를 갖는 PUSCH가 없으면, PUSCH 전력은 다음과 같이 스케일링될 수 있다.
Figure pat00086
여기서
Figure pat00087
는 다수의 변수의 함수이고, 변수 각각은 현재 서브프레임 및 인접 서브프레임에서 명목상 채널 전력(nominal channel pow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88
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89
여기서, i는 현재 서브프레임이고(즉, 전력들이 계산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더 적은 TA(또는 덜 어드밴스된 UL 타이밍)를 갖는 CC의 경우 j=i-1, 및 더 많은 TA(또는 더 어드밴스된 UL 타이밍)를 갖는 CC의 경우 j=i+1이다. 전술한 예시에서의 max(x,y) 함수 대신에, 상이한 함수, 예를 들어, 2개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PUSCH 전력의 가중된 평균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은 예를 들어, 2개의 CC 사이의 TA(또는 UL 타이밍) 차이의 함수일 수 있다.
Figure pat00090
여기서, ΔTA는 마이크로초 단위의 TA 차이이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에서 임의의 또는 모든 전력 항들(예를 들어,
Figure pat00091
,
Figure pat00092
, 또는
Figure pat00093
)은 전력 제어 공식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이러한 항의 함수(
Figure pat00094
)로 대체될 수 있다.
UL 타이밍 차이로 인해 PUSCH 및/또는 PUCCH가 SRS와 중첩되는 경우, SRS는 예를 들어, 최대 허용 전력(예를 들어, WTRU 총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조정 또는 스케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S가 더 어드밴스된 CC인 경우, 대각 크로스해치된 심볼(504)에서의 전송이 존재하지 않고, 수평 크로스해치된 심볼(506)에서의 전송이 존재하면, 그 CC에서의 SRS 전력이 CC에서의 가용 전송 전력(예를 들어,
Figure pat00095
)을 감소시킴으로써 CC에서의 다른 채널들의 전력의 일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 일부는 CC 사이의 TA(또는 UL 타이밍) 차이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전력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96
[dBm]
여기서
Figure pat00097
는 심볼 주기(예를 들어, 연장 CP의 경우 83.3μs 또는 정상 CP의 경우 71.4μs)이고, 다음의 수학식을 충족시킨다.
Figure pat00098
TA 및 ΔTA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각각 UL 타이밍 및 UL 타이밍 차이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5a에서의 수평 및 대각 크로스해치된 심볼들(504 및 506) 모두의 전송의 경우, SRS 전력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99
[dBm]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S가 덜 어드밴스된 CC인 경우, 대각 크로스해치된 심볼(514)에서의 전송이 존재하지 않지만, 수평 크로스해치된 심볼(516)에서의 전송이 존재하면, SRS 전력이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100
[dBm]
여기서 j=i+1이다.
수평 및 대각 크로스해치된 심볼들(514 및 516) 모두의 전송인 경우, SRS 전력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101
[dBm]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S가 CC들 양자 모두에 송신되는 경우, 수평 크로스해치된 심볼들(526 및 528)에서의 전송이 존재하면, CC당 SRS 전력은 더 및 덜 어드밴스된 CC에서 각각 SRS마다 전술한 실시예들마다 설정될 수 있고, 그 후 다음과 같이 스케일링될 수 있다.
Figure pat00102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PUCCH 또는 PUSCH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SRS를 반영할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에서, CC 간의 TA 차이의 함수로서 가중 팩터(weighting factor)로서 취급되는 팩터(
Figure pat00103
Figure pat00104
)는 예시로서 다른 팩터들이 채택될 수 있다.
PRACH 및 다른 채널(들)의 동시 전송을 가능하게 하려면, 전술한 부등식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Figure pat00105
여기서
Figure pat00106
는 서브프레임(i)에서
Figure pat00107
의 선형 등가물이고,
Figure pat00108
는 심볼(i)에서 SRS 심볼 중의
Figure pat00109
일 수 있다(마지막 또는 프리엠블의 서브프레임에서만 0일 수 있음).
다른 방법으로, SRS는
Figure pat00110
가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경우 SRS를 스케일링하기 보다는 SRS가 드롭시킬 수 있다.
SRS 및 PUCCH 및/또는 PUSCH가 현재 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 경우에, 단축 PUCCH 포맷을 사용 및/또는, PUSCH를 단축하여 스케줄링된 SRS의 전송을 허용한다고 결정되었지만, 그 후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 및 다음 서브프레임의 PUSCH, PUCCH, 또는 PRACH의 부분 중첩으로 인해 전력 제한된 WTRU가 현재 서브프레임의 SRS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WTRU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PUCCH 및/또는 PUSCH를 원래 포맷 및/또는 사이즈로 복원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WTRU는 PUCCH 및/또는 PUSCH를 복원하지 않을 수 있다.
UL 서빙 셀들을 갖는 반송파 집성(CA)의 경우, WTRU는 다음과 같이 하한 및 상한 내의 총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Figure pat00111
)을 결정(또는 설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112
일 실시예에서, WTRU는 추가 전력 백오프 항(예를 들어, MPR형 항)을 CA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의 하한에 추가함으로써 TA(또는 UL 타이밍)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최대 전력을 초과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해 스케줄링된 채널들에 이용 가능한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위 우선 순위로서 현재 서브프레임으로 중첩된 과거 서브프레임으로부터의 전력을 실제 처리할 수 있다.
도 10은 과거 서브프레임과 현재 서브프레임 사이의 간섭이 존재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WTRU는 TAG1의 과거 서브프레임이 TAG2의 현재 서브프레임(1002)에 얼마나 많은 간섭을 일으키는 지와 TAG2의 현재 서브프레임이 TAG1의 현재 서브프레임(1004)에 얼마나 많은 간섭을 일으키는지를 알 수 있지만, TAG2의 미래 서브프레임이 TAG1의 현재 서브프레임(1006)에 얼마나 많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알 수 없을 수 있는데, 이는 무시될 수 있다.
현재 서브프레임의 경우, 과거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은 알려질 수 있지만, 미래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은 알려지지 않을 수 있다. 과거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이 이미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WTRU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해 현재 서브프레임 내에서 가용한 최대 전송 전력을 백오프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에 중첩된 과거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을 수용할 수 있다. 전체 현재 서브프레임에 걸쳐 평균화된, 과거 서브프레임으로부터 현재 서브프레임으로 중첩된 전력은 기껏해야
Figure pat00113
의 일부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간략한 중첩 구간 동안 WTRU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중첩의 임의의 악영향(예를 들어, 과도한 인접 채널 또는 대역외(out-of-band) 간섭)이 서브프레임 구간에서 평균화될 수 있다.
임의의 정해진 CC의 경우, 중첩 서브프레임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은 상이한 CC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그러므로,
Figure pat00114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i)을 위한 서빙 셀(c)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에 백오프를 적용하는 대신에,
Figure pat00115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i)에 대한 총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서, 전체적으로 WTRU에 백오프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간단히
Figure pat00116
라고 지칭될 수도 있는
Figure pat00117
의 하한에 백오프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간 반송파 집성과 같은 반송파 집성의 경우(예를 들어, 동작 대역 당 최대 하나의 서빙 셀을 가짐),
Figure pat00118
의 하한(
Figure pat00119
)은 (TA 최대 전력 감소(T-MPR) 또는 tmpr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서 T-MPR은 dB 값이고, tmpr은 T-MPR의 선형 값일 수 있음) 새로운 전력 백오프 항을 포함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하나 이상의 항이
Figure pat00120
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식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간 CA 또는 비인접 대역내 CA의 경우,
Figure pat00121
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122
또는, 다른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123
다른 방법으로, 백오프는 (예를 들어, 대역내 반송파 집성 또는 대역내 인접 CA를 위해)
Figure pat00124
의 하한에 다음과 같이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125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T-MPR(또는 tmpr)은 모든 CC에 대해 동일하거나 CC 특정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Figure pat00126
는 중첩에 대한 고려 없이 초기에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중첩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백오프가 PCMAX에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를 사용하여 서브프레임(i)에서 중첩을 배제한
Figure pat00129
를 표현하고,
Figure pat00130
를 사용하여 서브프레임(i)에서 중첩을 차지한
Figure pat00131
를 표현하여, 서브프레임(i)에서의 중첩을 차지하는
Figure pat00132
는 다음과 같이 기입될 수 있다.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선형 형태에서, 다음과 같이 기입될 수 있다.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이 경우, 최대 전력을 초과 및/또는 전력 제어를 위한 스케일링의 결정은
Figure pat00137
대신
Figure pat00138
(또는
Figure pat00139
대신
Figure pat00140
)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Figure pat00141
는 중첩에 대한 고려 없이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백오프는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142
Figure pat00143
(예를 들어, 대역간 C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144
대안적으로, PCMAX _L_CA (예를 들어, 대역간 C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145
dB 형태일 수 있는 추가적인 백오프 T-MPR(또는 선형 형태일 수 있는 tmpr)의 추가는 WTRU로 하여금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의 하한을 낮추거나, 구성 최대 출력 전력 자체를 낮추도록 하여 WTRU가 정해진 서브프레임 또는 정해진 측정 주기(예를 들어, 1ms) 동안 구성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하게 할 수 있는 TA (또는 UL 타이밍) 차이의 효과를 회피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백오프는
Figure pat00146
의 하한과 상한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동작 대역당 최대 하나의 서빙 셀(c)을 갖는) 대역내 CA 및/또는 대역간 반송파 집성의 경우,
Figure pat00147
는 다음 중 하나로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148
Figure pat00149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1
WTRU가 허용 오차(allowance) 값 이하의 실제 감소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T-MPR은 전력 감소 값 또는 전력 감소 허용 오차일 수 있다.
T-MPR 허용 또는 실제 전력 백오프의 양이 0dB, 고정 값, 또는 2이상의 값을 포함할 수 있는 세트로부터의 값(예를 들어, ΔTA가 작은 경우 0, ΔTA가 큰 경우임의의 값)일 수 있다. T-MPR은 예를 들어, 목록으로부터 WTRU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 목록은 네트워크에 의해 WTRU로 특정 또는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 MAC CE,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WTRU로 사용할 목록으로의 인덱스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WTRU는 예를 들어, ΔTA의 함수로서 인덱스를 자체 결정할 수 있다. 고정 값들 또는 목록들의 예시는 {0,1}dB 또는 {0, 0.5, 1.0}dB이다.
WTRU는 ΔTA의 함수뿐 아니라 또는 그 대신에 이전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의 함수로서 T-MPR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정해진 ΔTA의 경우, 서브프레임(i-1)에서의 전송 전력이 작을수록 서브프레임(i)에서의 T-MPR은 작을 수 있다.
T-MPR은 과거, 현재, 및 미래 서브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UL을 이용하여 활성화된 CC를 갖는 TAG의 개수, 과거, 현재, 및 미래 서브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UL 전송을 갖는 TAG의 개수, 또는 과거, 현재, 및 미래 서브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의 UL 전송을 갖는 CC들의 대역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T-MPR은 잠재적 중첩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WTRU가 현재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TAG, 및 과거 또는 미래 서브프레임들의 TAG 이외의 TAG의 UL에서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경우).
T-MPR은 상이한 TAG의 CC 사이의 ΔTA(또는 UL 타이밍 차이) 중 하나 이상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MPR은 각각의 TAG 쌍 사이에서 가장 큰 ΔTA(또는 UL 타이밍 차이)의 함수일 수 있다. 이는 현재, 과거, 또는 미래 서브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서 UL 전송을 갖는 TAG에 적용될 수 있다. 더 큰 ΔTA(또는 UL 타이밍 차이)는 결과적으로 더 큰 T-MPR을 초래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T-MPR은 중첩량의 함수로서, 예를 들어 (CP 시간을 제외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시간 또는 심볼들을 위한 시간에 의해 나눠진 중첩 시간의 함수일 수 있다.
WTRU는 과거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 및/또는 미래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의 함수로서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T-MPR을 결정할 수 있다. 과거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은 임의의 스케일링이 행해진 후일 수 있는 실제 결정된 전송 전력일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에 대해 결정된 T-MPR을 설명하거나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 미래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은 임의의 스케일링 이후일 수 있는 그 서브프레임을 위해 계산된 전송 전력일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을 위한 T-MPR을 설명하거나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
WTRU는 과거 서브프레임의
Figure pat00152
및/또는 미래 서브프레임의
Figure pat00153
의 함수로서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T-MPR을 결정할 수 있다. 과거 서브프레임에 사용된
Figure pat00154
는 그 서브프레임에 대해 결정된 T-MPR을 차지하거나 차지하지 못할 수 있다. 미래 서브프레임을 위한
Figure pat00155
는 그 서브프레임을 위한 T-MPR을 차지하거나 차지하지 못할 수 있다.
WTRU가 T-MPR을 결정한 후, WTRU는 사용할 실제 백오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WTRU는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T-MPR 허용 오차 및/또는 실제 백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ΔTA는 UL 타이밍 차이로 대체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i)을 위한 PUCCH 전송 전력의 결정 및 PUSCH 전송 전력을 위한 스케일링 규칙들은 PCell를 위한
Figure pat00156
Figure pat00157
보다 크지 않다는 가정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러나, PCell의
Figure pat00158
가 아닌
Figure pat00159
에 적용된 T-MPR의 백오프를 이용하면, 이러한 가정은 반드시 사실일 필요는 없다. PCell을 위한
Figure pat00160
Figure pat00161
보다 더 크게 하면서
Figure pat00162
를 계산하기 위해, WTRU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제1 스케일링 단계에서 PUCCH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163
다른 방법으로, PUCCH 전력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164
여기서 c는 PUCCH가 송신될 수 있는 CC, 예를 들어 PCell이다.
Figure pat00165
를 결정한 후, 다음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at00166
Figure pat00167
는 전술한 수학식들에서
Figure pat00168
를 대체할 수 있다.
Figure pat00169
의 선형 등가물은 전술한 수학식들에서
Figure pat00170
의 선형 등가물을 대체할 수 있다.
PRACH 프리엠블 포맷에 따라
Figure pat00171
로 표시된 일정 기간 동안 PRACH 전송이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기간들은 명목상 1개 내지 3개의 서브프레임이다. 2-서브프레임 또는 3-서브프레임 송신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또는 1-서브프레임 PRACH 송신의 단일 서브프레임 중에, PRACH 송신은 마지막 서브프레임 또는 단일 서브프레임의 종료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전체 서브프레임의 개수 및 각 프리엠블 포맷에 대한 마지막 서브프레임 또는 단일 서브프레임의 미사용 부분은 예를 들어, 도 1에 주어진 바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RACH 프리엠블 포맷 1 전송은 하나의 전체 서브프레임 및 그 후 제2 서브프레임의 약 48% 동안 지속될 수 있다.
Figure pat00172
과거 서브프레임의 PRACH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T-MPR을 결정할 때 포함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효과를 갖거나 갖지 못할 수 있다. PRACH 전송은 다중 서브프레임 PRACH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아니면(예를 들어, PRACH 프리엠블 포맷 1, 2, 또는 3) 과거 프레임 전체를 점유할 수 있다. 이 경우, 과거 서브프레임의 PRACH의 영향은 과거 서브프레임의 PUSCH 및/또는 PUCCH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과거 서브프레임이 PRACH 전송의 단일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PRACH 프리엠블 포맷 0 또는 4의 경우) 또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PRACH 프리엠블 포맷 1, 2, 또는 3의 경우)인 경우,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과거 PRACH의 중첩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과거 서브프레임의 중첩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ψ는 과거 서브프레임의 PRACH 전송의 길이이다. ψ는 마지막 PRACH 프레임의 경우
Figure pat00173
초이고, 다른 PRACH 프레임의 경우 0.001 초이다.
Figure pat00174
는 PRACH 프리엠블 CP 부분의 길이이고,
Figure pat00175
는 PRACH 프리엠블 시퀀스 부분의 길이이고, mod()는 모듈로 연산(modulo operation)이다. 현재 서브프레임에 중첩된 과거 서브프레임의 PRACH 전력의 일부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176
여기서 p는 서브프레임(i)의 PCell이다.
WTRU는 팩터(Q(i))를 사용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T-MPR에 대한 과거 서브프레임의 PRACH의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i)을 위한 PUCCH 전력 및 PUSCH 전송 전력을 위한 스케일링 규칙들의 결정은 PRACH를 송신하는 서빙 셀을 위한
Figure pat00177
Figure pat00178
보다 크지 않다는 가정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러나, PRACH를 송신하는 서빙 셀의
Figure pat00179
가 아닌
Figure pat00180
에 적용된 T-MPR의 백오프를 이용하면, 이러한 가정은 반드시 사실일 필요는 없다. 서빙 셀(c)을 위한
Figure pat00181
Figure pat00182
보다 큰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서빙 셀(c)을 위한
Figure pat00183
를 계산하기 위해, WTRU는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 규칙에 기반하여 PRACH 및 PUCCH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PUCCH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PRACH의 경우, WTRU는 다음과 같이 PRACH 및 PUCCH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184
Figure pat00185
수학식(47)의 대안은 다음의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186
여기서 팩터(
Figure pat00187
)는 PRACH 프리엠블 포맷에 따라 전체 서브프레임보다 낮은 서브프레임(i)의 PRACH의 길이를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팩터는 서브프레임의 길이에 대한 서브프레임(i)에서의 PRACH 프리엠블의 길이의 비이거나, 또 다른 값(
Figure pat00188
)일 수 있는데, 여기서
Figure pat00189
이다. 포맷 1, 2, 또는 3과 같은 PRACH 프리엠블 포맷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i)인 경우, 팩터는 1(unity)일 수 있다.
PRACH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PUCCH의 경우, WTRU는 다음과 같이 PRACH 및 PUCCH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190
Figure pat00191
다른 실시예에서, WTRU는 서빙 셀(c)을 위한
Figure pat00192
Figure pat00193
보다 크게 하면서 서빙 셀(c)을 위한
Figure pat00194
를 계산할 수 있다. WTRU는
Figure pat00195
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196
여기서
Figure pat00197
는 1차 셀의 서브프레임(i)을 위한 구성 WTRU 전송 전력일 수 있고,
Figure pat00198
는 1차 셀을 위한 WTRU에서 계산되는 다운링크 패스로스 추정치일 수 있다.
WTRU의 총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199
를 초과하면, WTRU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도록 서브프레임(i)의 서빙 셀(c)을 위한
Figure pat00200
를 상이하게 스케일링할 수 있다.
Figure pat00201
다른 방법으로,
Figure pat00202
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서브프레임(i)에서 PRACH 전송이 없는 경우,
Figure pat00203
이다.
WTRU가 서빙 셀(j) 상에 UCI가 있는 PUSCH 전송 및 나머지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에 UCI가 없는 PUSCH 전송을 갖고, WTRU의 총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204
를 초과하면, WTRU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도록 서브프레임(i)에서 UCI가 없는 서빙 셀들을 위해
Figure pat00205
를 상이하게 스케일링할 수 있다.
Figure pat00206
Figure pat00207
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서브프레임(i)에서 PRACH 전송이 없는 경우
Figure pat00208
이다.
WTRU가 서빙 셀(j) 상에 UCI가 있는 PUCCH 및 PUSCH 동시 전송 및 나머지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에 UCI가 없는 PUSCH 전송을 갖고, WTRU의 총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209
이거나
Figure pat00210
를 초과하면, WTRU는 다음과 같이
Figure pat00211
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212
Figure pat00213
Figure pat00214
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Figure pat00215
는 전술한 수학식들에서
Figure pat00216
를 대체할 수 있다.
Figure pat00217
의 선형 등가물은 전술한 수학식들에서
Figure pat00218
의 선형 등가물을 대체할 수 있다.
WTRU는 전력 헤드룸을 eNB에 보고할 수 있다. WTRU는 영이 아닌 T-MPR가 사용되었다는 전력 헤드룸 보고 내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WTRU를 위해 하나의 지시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TAG마다, 또는 CC마다, 또는 보고에 포함된 실제 헤드룸을 갖는 CC마다 하나의 지시가 존재할 수 있다.
eNB가 (예를 들어, 전력 헤드룸 보고에 포함된
Figure pat00219
값들과 같은 다른 팩터들로부터)
Figure pat00220
자체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 WTRU는 전력 헤드룸 보고에
Figure pat00221
를 포함시킬 수 있다.
WTRU는 (1)
Figure pat00222
가 예를 들어, 대역내 CA 또는 인접 대역내 CA를 위한 전력 헤드룸 보고에 포함된
Figure pat00223
값들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또는 (2)
Figure pat00224
가 전력 헤드룸 보고에 포함된
Figure pat00225
값들의 합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그 합이 예를 들어, 대역간 CA 또는 비인접 대역내 CA의 경우
Figure pat00226
에 의해 캡핑될 수 있음) 중 하나 이상이 사실인 경우 전력 헤드룸 보고에
Figure pat00227
를 포함시킬 수 있다.
WTRU는
Figure pat00228
가 전력 헤드룸 보고에 포함된다는 지시를 전력 헤드룸 보고에 포함할 수 있다.
WTRU는 중첩으로 인한 실제 백오프가 임계치 이상 변하는 경우 전력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다. 정해진 서브프레임에서의 트리거는 그 서브프레임에서의 2이상의 TAG에서 실제 UL 전송(예를 들어, PUSCH, PUCCH, 또는 PRACH)을 요구할 수 있다. 정해진 서브프레임에서의 트리거는 그 서브프레임에서의 2 이상의 TAG 사이의 중첩 조건을 요구할 수 있다. 중첩 조건은 현재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TAG 및 이전 및/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TAG에서 (PUSCH, PUCCH, 및 PRACH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는) UL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비교용 시작 서브프레임은 전력 헤드룸 보고가 전송되었고, WTRU이 2이상의 TAG에서 실제 UL 전송을 가졌던 가장 최근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비교용 시작 서브프레임은 전력 헤드룸 보고가 전송되었고, WTRU가 중첩 조건을 가졌던 가장 최근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전력 헤드룸 보고에
Figure pat00229
를 포함시키는 것은 T-MPR의 사용에 관해 전술한 경우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Figure pat00230
는 전술한 전력 헤드룸 보고 변형예 중 하나 이상에서
Figure pat00231
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음 조건 즉,
Figure pat00232
; 또는
Figure pat00233
중 하나 이상이 사실이면, WTRU는 전력 헤드룸 보고(예를 들어, 전력 헤드룸 보고가 송신될 서브프레임 또는 TTI(i))에
Figure pat00234
를 포함시킬 수 있다. WTRU는 전술한 조건 중 하나 이상이 충족되지 않으면 전력 헤드룸 보고에
Figure pat00235
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음 조건 즉,
Figure pat00236
이 사실이면, WTRU는 전력 헤드룸 보고(예를 들어, 전력 헤드룸 보고가 송신될 서브프레임 또는 TTI(i))에
Figure pat00237
를 포함할 수 있다. WTRU는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전력 헤드룸 보고에
Figure pat00238
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대역간 CA 및/또는 비인접 대역내 CA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WTRU가 상이한 대역, 상이한 클러스터, 상이한 태그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적어도 2개의 CC를 위한 실제 UL 전송을 갖는 서브프레임 또는 TTI의 전력 헤드룸 보고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조건들의
Figure pat00239
는 전력 헤드룸 보고에 포함된
Figure pat00240
값들, 전력 헤드룸 보고의 서브프레임(또는 TTI)(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TTI(i))의 (PUSCH 및/또는 PUCCH 전송을 포함할 수 있고, PRACH 및/또는 SRS 전송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은) UL 전송들을 갖는 활성화된 CC를 위한 전력 헤드룸 보고의
Figure pat00241
값들, 또는 전력 헤드룸 보고(PHR)의 서브프레임(또는 TTI)(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TTI(i))의 (PUSCH 및/또는 PUCCH 전송을 포함할 수 있고, PRACH 및/또는 SRS 전송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UL 전송을 갖는 활성화된 CC들의 채널들의 전력 계산에 사용되는(예를 들어 이를 캡핑하는데 사용되는)
Figure pat00242
값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는
Figure pat00243
값들(또는 이들의 선형 등가물)의 합일 수 있다.
타입 1 및 타입 2 전력 헤드룸 보고 모두를 가질 수 있고, 각각 관련된
Figure pat00244
값을 가질 수 있는 PCell의 경우,
Figure pat00245
합(예를 들어,
Figure pat00246
)에 사용될 수 있는
Figure pat00247
값은 (1) 하나만이 송신되면 PCell을 위한 보고 헤드룸 보고에서 송신되는
Figure pat00248
값, (2) 전력 헤드룸 보고가 송신될 서브프레임의 PCell 상에 PUCCH 전송이 아니라 PUSCH 전송이 존재하면, 타입 1 전력 헤드룸 보고와 관련된
Figure pat00249
값, (3) 전력 헤드룸 보고가 송신될 서브프레임의 PCell 상에 PUSCH 전송이 아닌 PUCCH 전송이 존재하면 타입 2 전력 헤드룸 보고와 관련된
Figure pat00250
값, (4) 전력 헤드룸 보고가 송신될 서브프레임의 PCell 상에 PUCCH 전송과 PUSCH 전송이 모두 존재하면 타입 2 전력 헤드룸 보고와 관련된
Figure pat00251
값, 또는 (5) 전력 헤드룸 보고가 송신될 서브프레임의 PCell의 채널을 위한 전력 계산들에 사용되는(예를 들어, 이들을 캡핑하는데 사용되는)
Figure pat00252
값 중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at00253
에 백오프를 적용하는 것 대신 또는 이에 추가하여, TAG 내의 서빙 셀에 TAG마다 백오프가 적용될 수 있다. 전력 백오프는
Figure pat00254
라고 표시될 수 있고, 다음과 같이
Figure pat00255
에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256
Figure pat00257
Figure pat00258
Figure pat00259
전술한 바에 추가하여, 다음이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260
Figure pat00261
Figure pat00262
T-MPR는 더 어드밴스된 TAG의 서빙 셀들에 적용될 수 있고, 덜 어드밴스된 TAG의 서빙 셀에 적용될 수 있다.
T-MPR 및/또는 T-MPRc(예를 들어,
Figure pat00263
로부터의 백오프)는 짧은 기간 동안(예를 들어, SRS의 지속 기간 동안, TAG 사이의 중첩 구간 동안, 또는 중첩 기간과 과도 기간이 더해진 기간 동안) 적용될 수 있다.
WTRU는 (예를 들어, 더 어드밴스된 TAG의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중첩 채널들을 회피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사이에 가드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WTRU는 PUSCH를 펑처링 및/또는 PUCCH를 단축할 수 있고, 이로써 예를 들어, 현재 서브프레임의 처음 1개 또는 2개의 심볼을 위한 TAG에서 PUSCH 및/또는 PUCCH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더 어드밴스된 CC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가드 심볼(1202)의 일례를 도시한다.
중첩 영역에서 SRS를 드롭시키기 위해 전술한 임의의 조건이 충족되면 가드 심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대체 또는 추가적으로, 과거 서브프레임에서 덜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전송 및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더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전송이 존재하는 경우, 및/또는 전송 전력들의 합이 현재 서브프레임을 위한
Figure pat00264
를 초과하면, WTRU는 가드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드 심볼들은 sTAG에서 SCell에서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 및 마지막 심볼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그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을 사용하거나 사용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이전 서브프레임에서 pTAG에서의 임의의 SCell 또는 PCell에서의 전송이 존재하면, 가드 심볼들은 sTAG에서 SCell에서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서의 마지막 심볼을 사용하도록 스케줄링되지만 사용하지 않는 전송의 일례는 예를 들어, 전송 전력 제약으로 인해 송신되지 않은 SRS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pTAG에서의 임의의 SCell 또는 PCell에서의 전송이 존재하면, 가드 심볼은 sTAG에서 SCell에서의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일 수 있다. 이들 경우에, WTRU 및/또는 eNB는 어느 CC 또는 TAG가 더 또는 덜 어드밴스되는지를 알거나 결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전체 PRACH 프리엠블을 통한 고정 PRACH 전력의 경우, PRACH 프리엠블 전송 전력(
Figure pat00265
)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266
여기서 서브프레임(j)은 프리엠블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Figure pat00267
는 서빙 셀(c)의 서브프레임(j)을 위한 구성 WTRU 전송 전력일 수 있고,
Figure pat00268
는 서빙 셀(c)을 위한 WTRU에서 계산되는 다운링크 패스로스 추정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269
는 dB 단위일 수 있다.
수학식 63은 다음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270
여기서 서브프레임(i)은 프리엠블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j는 프리엠블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Figure pat00271
는 서빙 셀(c)의 서브프레임(j)을 위한 구성 WTRU 전송 전력일 수 있고,
Figure pat00272
는 서빙 셀(c)을 위한 WTRU에 계산된 다운링크 패스로스 추정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273
는 dBm 단위일 수 있다.
Figure pat00274
또는
Figure pat00275
를 결정한 후,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
Figure pat00276
을 위한 선형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
Figure pat00277
를 가능하도록 추가 프로세싱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at00278
Figure pat00279
여기서 서브프레임(j)은 PRACH 프리엠블의 처음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채널 전력 용어들 중에
Figure pat00280
또는
Figure pat00281
Figure pat00282
로부터 차감되는 임의의 수학식에서
Figure pat00283
보다 큰
Figure pat00284
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뺄셈은 예를 들어,
Figure pat00285
또는
Figure pat00286
와 같은 음의 선형 전력 항의 계산을 방지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들의 시작 및/또는 마지막에 과도 기간들이 존재할 수 있고, 그 중에 서브프레임의 전력 요건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SRS가 없는 과도 기간 및 SRS이 있는 과도 기간의 예시들은 각각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슬롯 및/또는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과도 기간들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CC 상의 UL 전송 사이의) TA 차이가 고정 임계치를 넘거나, 시그널링 임계치를 넘거나, 임계치 테스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대역간 동작의 경우에 무조건적으로), 과도 기간들이 확장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비-SRS 전송 및 SRS 전송을 위한 확장 과도 기간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이하, 심볼당 스케일링을 적용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심볼당 스케일링은
Figure pat00287
를 위한 종래의 스케일링이 적용된 후에 적용될 수 있다.
eNB는 WTRU는 심볼당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것을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다. WTRU가 SRS를 드롭시킬 규칙들을 적용하는 것을 eNB가 알고 있는 전술된 실시예들은 이 목적을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심볼당 스케일링은 이들의 TA 차이와 무관하게 2개 이상의 TAG가 존재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심볼당 스케일링의 경우 일 실시예에서, 중첩에서의 모든 심볼들은 동일한 팩터에 의해 스케일링될 수 있다. 이 팩터는 WTRU와 eNB 모두에 알려질 수 있다. 이 팩터는 중첩에서 CC들의 개수의 함수일 수 있다. CC들의 개수는 구성 CC들의 개수, 활성 CC들의 개수, 또는 영향을 받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그랜트들을 갖는 CC들의 개수일 수 있다. 단축 서브프레임 또는 포맷들의 경우, CC들의 개수는 중첩에서 송신된 심볼들을 갖는 CC들의 개별 개수일 수 있다. 이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사용하는 이들 정의 중 하나마다 CC들의 개수로 제한될 수 있다.
심볼당 스케일 팩터는 1/K일 수 있고, 여기서 K는 전술된 CC들의 개수일 수 있다. 중첩 부위의 심볼들(예를 들어, 덜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 및 더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다음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은 1/K만큼 스케일링된 자신의 전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7은 심볼당 스케일링이 중첩의 심볼들에 적용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이 예시에서, TAG1(더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2개의 CC 및 TAG2(덜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2개의 CC가 도시되어 있고, 심볼들(1702)은 심볼당 스케일링이 적용되는 심볼들이다.
다른 방법으로, 스케일 팩터(α/K)가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α는 WTRU에 의해 eNB로 시그널링되거나, eNB에 의해 WTRU로 시그널링되거나, 특정될 수 있는 상수일 수 있다. α는
Figure pat00288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심볼당 스케일링을 적용할 뿐 아니라, 예를 들어, 중첩부의 심볼들에 심볼당 스케일링을 적용하기 전후에 동일할 수 있도록 각각의 CC의 평균 전력을 관리할 뿐 아니라, 서브프레임의 남은 심볼들의 전력이 상이한 팩터에 의해 스케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 부위의 심볼들 및 나머지 심볼들은 각각
Figure pat00289
Figure pat00290
에 의해 스케일링될 수 있다.
Figure pat00291
여기서
Figure pat00292
는 서브프레임의 슬롯에서 SC-FDMA 심볼들의 개수로서, 6 또는 7일 수 있다.
상수(α)를 포함하는 2개의 스케일링 팩터(
Figure pat00293
(중첩 부위의 심볼들을 스케일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및
Figure pat00294
(나머지 심볼들을 스케일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를 사용하는 일례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295
다른 방법으로, 심볼당 스케일링의 경우, 서브프레임(또는 고정 서브세트 또는 중첩에 종속적인 서브세트일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심볼들의 다른 서브세트)의 처음 또는 마지막 심볼은 팩터(
Figure pat00296
)에 의해 스케일링될 수 있고, 나머지 심볼들은 스케일링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팩터(
Figure pat00297
)는 차이점이 무시될 수 있도록 α, K, 및
Figure pat00298
의 실제 조합들에 대한 1에 가까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심볼당 스케일링을 위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 중첩에서 QAM을 사용하는 CC들로 제한될 수 있다.
2이상의 TAG에서의 전송이 존재하는 경우, 전력 스케일 팩터가 TAG에서의 CC들의 처음 심볼 및 마지막 심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이전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서 다른 TAG의 임의의 전송이 존재하지 않았고 및/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에서 다른 TAG의 임의의 전송이 존재할 경우 TAG에서 CC들의 처음 및 마지막 심볼들에 전력 스케일 팩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이전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서 다른 TAG의 임의의 전송이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 TAG에서 CC들이 제1 심볼에 전력 스케일 팩터가 적용될 수 있고, 다음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에서 다른 TAG의 임의의 전송이 존재하면 TAG에서 CC들의 마지막 심볼에 전력 스케일 팩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심볼당 스케일링은 어느 TAG가 더 또는 덜 어드밴스되었는지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력 스케일 팩터(예를 들어,
Figure pat00299
)가 처음 심볼과 마지막 심볼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 서브프레임의 남은 심볼들의 전력은 상이한 전력 스케일 팩터(예를 들어,
Figure pat00300
)로 스케일링되어 처음 심볼과 마지막 심볼에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기 전후에 각 CC의 평균 전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서브스크립트는 중첩에서의 심볼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남은 심볼들을 의미하고, 제2 서브스크립트는 2-심볼 케이스를 의미한다.
Figure pat00301
상수(α)를 포함하는 2개의 전력 스케일링 팩터는 다음과 같이 기입될 수 있다.
Figure pat00302
전술한 실시예들은 각각
Figure pat00303
Figure pat00304
라고 표기된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 및 마지막 심볼에 대해 K가 상이한 경우를 위해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스케일 팩터들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305
여기서,
Figure pat00306
는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에 적용되는 전력 스케일 팩터일 수 있고,
Figure pat00307
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적용되는 전력 스케일 팩터이고,
Figure pat00308
은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들에 적용되는 전력 스케일 팩터일 수 있다. 파라미터들(
Figure pat00309
Figure pat00310
)은 각각
Figure pat00311
/α 및
Figure pat00312
/α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심볼당 스케일링은 조건부로, 예를 들어 2이상의 TAG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서브프레임에 특정 타입의 전송이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16-QAM 또는 64-QAM)에 적용될 수 있다.
심볼당 스케일링은 스케줄링된 SRS 전송이 존재하는 경우 불필요한 스케일링을 회피하기 위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케일 팩터, 즉1/K가 사용되는 경우, 서브프레임(N)의 임의의 셀에서 64-QAM 전송이 존재하고 상이한 TAG에서 서브프레임(N-1)의 마지막 심볼에서 송신된 PUCCH 및/또는 PUSCH가 존재했으면, WTRU는 서브프레임(N)에 송신된 채널들의 제1 심볼의 전력을 1/K만큼 스케일링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N)의 마지막 심볼의 임의의 셀에서 64-QAM 전송이 존재하고, 상이한 TAG에서 서브프레임(N+1)의 처음 심볼에서 전송이 존재할 것이면, WTRU는 서브프레임(N)에 송신된 PUCCH 및/또는 PUSCH의 마지막 심볼의 전력을 1/K만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보상 팩터가 UCI를 갖는
Figure pat00313
및/또는
Figure pat00314
를 결정할 때 포함되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심볼당 스케일링에 의해 발생된 작은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Figure pat00315
Figure pat00316
여기서 x는 보상 팩터이다. 보상 팩터는
Figure pat00317
및/또는
Figure pat00318
의 고정된 양 또는 함수이거나 중첩 양의 함수일 수 있고, 중첩에
Figure pat00319
를 초과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스케일링이 수행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심볼당 스케일링이 수행되는 경우 보상 팩터는 일정한 값일 수 있고, 심볼당 스케일링이 수행되지 않으면 0dB일 수 있다.
이하, 중첩 중에 최대 전력을 취급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일정 실시예들에서, 전송 전력은 서브프레임(N)을 위해 결정될 수 있고, 스케일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및 후술된 추가 프로세싱을 위한 가능한 허용 시간 전에, 전송 전력이 서브프레임(N+1)을 위해 결정될 수 있고, 스케일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들(N 및 N+1)을 위한 전술한 프로세싱을 따르거나 이에 추가하여, WTRU는 예를 들어, 중첩 중에 최대 전력을 초과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서브프레임(N+1)에서의 더 어드밴스된 TAG에 있고 서브프레임(N)에서의 덜 어드밴스된 TAG에 있을 수 있는 중첩 부위의 채널들의 전송 또는 전송 전력을 스케일링, 더 스케일링, 리스케일링, 또는 조정할 수 있다. 도 18a는 전력이 2개의 인접 서브프레임에 대해 결정된 후 중첩에서의 전송 전력들이 리스케일링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서브프레임(N) 및 서브프레임(N+1)을 위한 전송 전력은 종래의 스케일링 규칙들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첩 중에 최대 전력을 초과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덜 어드밴스된 TAG(이 예시에서의 TAG2)에서의 서브프레임(N) 및 더 어드밴스된 TAG(이 예시에서의 TAG1)에서의 서브프레임(N+1)에 리스케일링이 적용될 수 있다.
스케일링, 리스케일링, 또는 조정은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 종래의 스케일링 우선 순위들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데, i 및 i+1는 N 및 N+1를 대체한다(여기서 전력이
Figure pat00320
로 제한될 수 있음).
Figure pat00321
Figure pat00322
Figure pat00323
여기서
Figure pat00324
Figure pat00325
에서 서브프레임(i)의 채널 X(예를 들어, X=PUCCH)에서의 전송 전력의 선형 형태일 수 있다. TAG1은 TAG2보다 더 어드밴스된다(예를 들어, 임의의 정해진 서브프레임의 경우, TAG1의 채널들이 TAG2에서의 채널들보다 먼저 WTRU에 의해 송신됨). TAG들의 번호 부여는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j는 UCI를 갖는 PUSCH 전송을 갖는 서빙 셀일 수 있다.
일정한 실시예에서,
Figure pat00326
는 서브프레임(i 및 i+1)의 중첩에서의 채널들의 전력들의 합에 대한 WTRU를 위한 전력 한도(예를 들어, 최대 출력) 또는 서브프레임(i 및 i+1)의 중첩에서의 CC들의 전력의 합에 대한 WTRU를 위한 전력 한도(예를 들어, 최대 출력)일 수 있다.
Figure pat00327
(또는 선형 형태에서
Figure pat00328
)는
Figure pat00329
및/또는
Figure pat00330
(또는
Figure pat00331
및/또는
Figure pat00332
)의 함수, 예를 들어
Figure pat00333
일 수 있는데, 여기서 α는 1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중첩 양을 고려하는
Figure pat00334
Figure pat00335
의 함수일 수 있다. α는 상수일 수 있고, 심볼당 스케일링을 위해 전술된 α일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들에서 부등식들의 우항에 대한 선형 전력양은 스케일링이 이전 단계에 적용된 후에 있을 수 있다.
리스케일링을 위한 종래의 스케일링 우선 순위들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TAG2에서의 서브프레임(N)의 채널들 및 TAG1에서의 서브프레임(N+1)의 채널들은 동등하게 리스케일링될 수 있다.
TAG2에서의 서브프레임(N)의 채널들 및 TAG1에서의 서브프레임(N+1)의 채널들만을 리스케일링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서브프레임(N) 및 서브프레임(N+1)에서의 채널들이 리스케일링될 수 있다.
일정한 실시예들에서, WTRU는 중첩을 무시하는 서브프레임(N) 및 서브프레임(N+1)의 채널(들)을 위한 전력(들)을 결정할 수 있고, 각각 서브프레임(N) 및 서브프레임(N+1)의 비중첩 부분들에서 채널(들)을 위한 전력들을 사용할 수 있다. WTRU는 중첩에서 채널들을 위한 전력들을 결정하고, 중첩에 채널들을 위한 전력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TRU는 전체 서브프레임을 위한 스케일링 및 중첩에서의 리스케일링 또는 조정하는 것 대신에 중첩 영역(들)과 별개로 비-중첩 영역들에서의 채널들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WTRU는 중첩 영역 및 비-중첩 영역들을 위한 스케일링 전에 동일한 개별 채널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채널 전력은 마치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WTRU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WTRU는 중첩을 위한 최대 출력 전력, 예를 들어
Figure pat00336
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Figure pat00337
(또는 “i” 표기를 사용하는
Figure pat00338
)를 초과하지 않도록 서브프레임들(N 및 N+1)의 중첩에서 채널들의 전력들을 스케일링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도 18b는 비-중첩 영역들에서 전송 전력들과 별개로 중첩에서의 전송 전력들이 스케일링되고, 중첩에서의 전송 전력들이
Figure pat00339
를 초과하지 않을 필요에 따라 스케일링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중첩의 외부에 있는 서브프레임(N 및 N+1)을 위한 전송 전력들은 각각 중첩 외부에 있는 서브프레임(N 및 N+1)에서
Figure pat00340
Figure pat00341
를 초과하지 않을 필요에 따라 스케일링된다. 중첩에서의 전송 전력들은 중첩에서의
Figure pat00342
를 초과하지 않을 필요에 따라 스케일링된다. 스케일링이 일례이고, 중첩에서
Figure pat00343
를 초과하거나 중첩 외부에 각각 서브프레임(N 및 N+1)에서
Figure pat00344
및/또는
Figure pat00345
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력을 조정하거나 채널들을 드롭시키는 등의 임의의 조치들이 취해질 수 있고,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여전히 일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비중첩 영역들에서의 채널들 또는 전송 전력들 및 중첩 영역에서의 채널들 또는 전송 전력들마다 별도로 조치들을 취하는 것(예를 들어, 전력을 스케일링하거나 조정하거나 채널들을 드롭시키는 것) 및/또는 이들 조치를 위한 관련 결정을 수행하는 것(예를 들어, 최대 전력이 초과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일례이고, 조치들은 취해질 수 있고, 결정들이 별도 또는 함께 행해질 수 있고, 중첩에서
Figure pat00346
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또는 중첩의 외부에 각각 서브프레임(N 및 N+1)에서
Figure pat00347
및/또는
Figure pat00348
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임의의 순서로 취해지거나 행해질 수 있고,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여전히 부합할 수 있다. 임의의 관련 조치들뿐 아니라 최대 전력이 초과될 지 여부에 관한 것에 대한 결정 또는 판단이 값들, 합들, 및 선형 또는 로그 형태의 비교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at00349
는 WTRU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구성 값일 수 있다. 높은 값(예를 들어,
Figure pat00350
) 및 낮은 값(예를 들어,
Figure pat00351
)을 갖는 범위를 갖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고/거나, 하나의 값을 갖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범위를 갖는 것으로 규정되면, WTRU는
Figure pat00352
을 위한 범위에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중첩의 경우, WTRU는 자산의 선택 값(예를 들어, 범위의 경우), 높은 값, 또는 단일 값의 전력을 초과하도록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Figure pat00353
,
Figure pat00354
, 및
Figure pat00355
는 서브프레임(i 및 i+1) 간의 중첩에 대응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적용될 수 있음).
Figure pat00356
또는
Figure pat00357
Figure pat00358
또는 중첩에서 CC들의
Figure pat00359
값들의 합과
Figure pat00360
중 작은 값(예를 들어,
Figure pat00361
) 중 하나일 수 있다. 값, 합, 및 비교들은 선형이거나 로그 형태일 수 있다.
Figure pat00362
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값, 합, 및 비교들은 선형 및/또는 로그 형태일 수 있다.
Figure pat00363
는 2개의 값 중 하나 또는 2개의 값 중 최소값(예를 들어, 과 같은 서브프레임(i 및/또는 i+1)에 대한 PCMAX_L_CA 값들의 함수일 수 있다(예를 들어,
Figure pat00364
).
Figure pat00365
는 서브프레임(i 및/또는 i+1)에서 송신된 CC들을 위한
Figure pat00366
값들의 함수, 예를 들어 덜 어드밴스된 CC(들)를 위한 서브프레임(i)에서의
Figure pat00367
값(들)의 합과 더 어드밴스된 CC(들)의 서브프레임(i+1)에서의
Figure pat00368
값(들)의 합의 뎃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총합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Figure pat00369
에 의해 캡핑될 수 있다.
Figure pat00370
여기서, 덜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CC(들)의 경우 k=i이고, 더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CC(들)의 경우 k=i+1이다. 예를 들어, 2개의 CC(c0 및 c1)의 경우, 전술한 수학식에서 c=c0에 대해 k=i이고, c=c1에 대해 k=i+1일 수 있는데, 여기서 c0는 c1보다 덜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반송파이고, c1은 c0보다 더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반송파이다.
다른 예시에서,
Figure pat00371
여기서 예를 들어, 2개의 CC(c0 및 c1)의 경우, c=c0에 대해 k=i이고, c=c1에 대해 k=i+1일 수 있는데, 여기서 c0는 c1보다 덜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반송파이고, c1은 c0보다 더 어드밴스된 TAG에서의 반송파이다.
Figure pat00372
는 서브프레임(i 및/또는 i+1)에서 송신된 CC들을 위한
Figure pat00373
값들의 함수, 예를 들어, 중첩될 수 있는 CC마다 (서브프레임(i 또는 i+1)로부터) 낮은 PCMAX_L,C의 합일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합은
Figure pat00374
에 의해 캡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375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376
Figure pat00377
는 서브프레임(i 및/또는 i+1)에서 송신된 CC들을 위한
Figure pat00378
값들의 함수, 예를 들어 중첩될 수 있는 CC 중 (서브프레임(i 또는 i+1)으로부터의) 최저
Figure pat00379
값×K일 수 있으며, 여기서 K는 중첩될 수 있는 CC들이 개수이고, 최종 값은
Figure pat00380
에 의해 캡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CC, 즉 c0 및 c1의 경우,
Figure pat00381
Figure pat00382
를 결정하는데 어느 실시예가 사용되는지는 중첩하는 CC들이 대역 내인지 대역 사이인지에 적어도 기반할 수 있다.
중첩 영역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영역 또는 시간, 예를 들어
Figure pat00383
가 적용될 수 있고/거나, 중첩을 위한 스케일링 또는 전송 규칙들과 같은 규칙들이 적용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의 영역은 CC 또는 TAG마다 또는 각각의 TAG에서의 하나 이상의 CC를 위한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과 끝의 UL 타이밍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19는 UL 타이밍에 기반하여 예시적인 중첩 영역을 도시한다. 도 19에서, 대각 해칭(diagonal hatching)이 있는 섹션(1902)은 이들 CC 또는 TAG를 위한 중첩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CC마다 규정된 과도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도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실제 시작이라고 간주되는 부분 전에 시작하고 및/또는, 서브프레임의 실제 마지막이라고 간주되는 부분 후에 끝날 수 있다. 이러한 과도 영역에서는 전력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른 서브프레임으로 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거나, 전력 테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의 영역일 수 있다. CC의 전력이 과도 영역 동안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영역에서의 전력 한계를 초과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중첩 중에 최대 전력을 취급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적용하기 위한) 중첩 영역이라고 간주되는 영역은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 및/또는 마지막에 존재할 수 있는 과도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더 어드밴스된 TAG(TAG2)의 서브프레임(i)의 마지막 및 덜 어드밴스된 TAG(TAG1)의 서브프레임(i+1)의 시작에 과도 영역들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 전 및 마지막 후의 과도 영역은 예를 들어, UL 서브프레임 타이밍에 기반하여 중첩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최대 출력 전력(
Figure pat00384
)은 다음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Figure pat00385
여기서 T(P)는 전력(P)을 위한 공차 값을 나타낸다.
Figure pat00386
의 공차, 즉
Figure pat00387
를 변경함으로써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또는 다수의 TAG가 존재하는 경우의 중첩 전송이 허용될 수 있다. 2이상의 TAG가 존재하거나, 2이상의 TAG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허용 오차가 적용될 수 있고, TAG 사이의 타이밍 차이는 임계치보다 크다. 허용 오차는 일정 양, 예를 들어 고정량(예를 들어, +0.5dB),
Figure pat00388
의 함수인 고정량, eNB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다른 양의 함수인 양 또는 양들, eNB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새로운 수량 또는 수량들, 및/또는 이들의 함수 또는 함수들만큼 증가 또는 감소일 수 있다.
(가산 또는 감산일 수 있는) 공차 변화는
Figure pat00389
의 하한 및 상한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T-MPR이
Figure pat00390
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또는 그 밖의 경우에, 다음과 같이 서브프레임에서의 중첩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 수학식 81의 좌측으로부터 추가 공차가 감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391
여기서 Toverlap는 T-MPR 또는 T-MPR의 함수와 같을 수 있다.
실시예들
1.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2. 실시예 1에 있어서, WTRU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으로 송신될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별도의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되어 있는, 방법.
3. 실시예 2에 있어서,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하면 각 서브프레임의 물리적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전력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실시예 3에 있어서, WTRU가 중첩 부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덜 어드밴스된 TAG의 서브프레임과 더 어드밴스된 TAG의 다음 서브프레임의 중첩 부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하면, 물리적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실시예 3 또는 4에 있어서, 물리적 채널의 전송 전력이 물리적 채널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순서대로 조정되는, 방법.
6. 실시예 4 및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은 2개의 연속 중첩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방법.
7. 실시예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은 2개의 연속 중첩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중 하나와 동일한, 방법.
8. 실시예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은 하한과 상한의 범위로부터 WTRU에 의해 선택되는, 방법.
9. 실시예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다른 물리적 채널이 임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SRS에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심볼 상으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면 SRS를 드롭하는, 방법.
10. 실시예 3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가 컴포넌트 반송파들 상으로 송신될 SRS마다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WTRU는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으로 SRS를 위한 전송 전력의 합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면 SRS를 드롭하는, 방법.
11. 실시예 3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가 네트워크에 전력 헤드룸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력 헤드룸 보고는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이 임의의 서빙 셀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또는 서빙 셀들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의 합과 동일하지 않으면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포함하는, 방법.
12. 실시예 3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가 PRACH에 대한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WTRU는 PRACH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PRACH에 대한 전송 전력은 PRACH의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해 결정된 전력 레벨로 전체 PRACH 프리엠블에 걸쳐 일정한, 방법.
14. 실시예 3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첩 채널들을 회피하기 위해 컴포넌트 반송파에 가드 심볼이 포함되는, 방법.
15.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WTRU.
16. 실시예 15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TAG에 속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으로 송신될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각 TAG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별도의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되어 있는, WTRU.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서브프레임에 대한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하면 각 서브프레임에서 물리적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전력을 스케일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WTRU.
18. 실시예 17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중첩 부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덜 어드밴스된 TAG의 서브프레임과 더 어드밴스된 TAG의 다음 연속 서브프레임의 중첩 부위에서의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의 합이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초과하면, 물리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WTRU.
19. 실시예 17 또는 18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물리적 채널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순서대로 물리적 채널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WTRU.
20. 실시예 18 및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2개의 연속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들의 함수로서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WTRU.
21. 실시예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은 2개의 연속 중첩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중 하나와 동일한, WTRU.
22. 실시예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하한과 상한의 범위로부터 중첩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WTRU.
23. 실시에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다른 물리적 채널이 임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SRS에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심볼 상으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면 SRS를 드롭하도록 구성되는, WTRU.
24. 실시예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컴포넌트 반송파들 상으로 송신될 SRS마다 전송 전력을 계산하고,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SRS를 위한 전송 전력의 합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면 SRS를 드롭하도록 구성되는, WTRU.
25. 실시예 18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이 임의의 서빙 셀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 또는 서빙 셀들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의 합과 동일하지 않으면,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구성 최대 WTRU 출력 전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전력 헤드룸 보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WTRU.
26. 실시예 18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PRACH를 위한 전송 전력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WTRU.
27. 실시예 26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PRACH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PRACH를 위한 전송 전력은 PRACH의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해 결정된 전력 레벨에 있어서 전체 PRACH 프리엠블에 걸쳐 일정한, WTRU.
28. 실시예 18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첩 심볼들을 회피하기 위해 컴포넌트 반송파에 가드 심볼이 포함되는, WTRU.
특징들 및 요소들이 특정 조합들에서 전술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각 특징 또는 요소가 독자적으로 또는 다른 특징 들 및 요소들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통합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시들은 (유무선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전자 신호들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시들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장 하드 디스크 및 외장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 자기 광학 매체, 및 CD-ROM 디스크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와 같은 광학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프로세서는 WTRU, UE, 단말기, 기지국, RNC, 또는 임의의 호스트 컴퓨터를 구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0)

  1.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서빙 셀에 대응하는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을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에 의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적어도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iming advance group; TAG) 내의 제1 서빙 셀에 대해 제1 물리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제2 TAG 내의 제2 서빙 셀에 대해 제2 물리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TAG는 상기 제2 TAG보다 덜 타이밍 어드밴스된 것인, 전송 전력 결정 단계; 및
    상기 WTRU에 의해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중첩 부위에 대한, WTRU에 의해 구성된(WTRU configured) 최대 출력 전력(PCMAX)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첩 부위는,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과 시간 상 중첩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인, 최대 출력 전력(PCMAX) 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물리 채널들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해 결정된 PC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롭(drop)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물리 채널들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를 초과할 것이라는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는 상기 WTRU에 의해 하한(lower limit)과 상한(higher limit)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은 상기 WTRU의 전력 등급에 대응하는 전력인 것인, 전력 제어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제1 하한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하한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한, WTRU에 의해 결정된 최대 출력 전력에 대한 하한인 것인, 제1 하한 결정 단계; 및
    상기 WTRU에 의해 제2 하한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하한은 상기 다음 서브프레임에 대한,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에 대한 하한인 것인, 제2 하한 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상기 제1 하한과 상기 제2 하한 중 최소값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의 하한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WTRU는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의 결정된 하한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를 결정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11.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서빙 셀에 대응하는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WTRU)으로서,
    적어도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 내의 제1 서빙 셀에 대해 제1 물리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및 제2 TAG 내의 제2 서빙 셀에 대해 제2 물리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상기 제1 TAG는 상기 제2 TAG보다 덜 타이밍 어드밴스된 것인,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트랜스시버(transceiver)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중첩 부위에 대한, WTRU에 의해 구성된(WTRU configured) 최대 출력 전력(PCMAX)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첩 부위는,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과 시간 상 중첩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물리 채널들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해 결정된 PC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롭(drop)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물리 채널들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를 초과할 것이라는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를 하한과 상한의 범위로부터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은 상기 WTRU의 전력 등급에 대응하는 전력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1 하한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하한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한, WTRU에 의해 결정된 최대 출력 전력에 대한 하한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하한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하한은 상기 다음 서브프레임에 대한,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에 대한 하한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하한과 상기 제2 하한 중 최소값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의 하한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의 결정된 하한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PCMAX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21.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의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 내의 제1 서빙 셀에 대해 제1 물리 채널에 대한 제1 전송 전력 및 제2 TAG 내의 제2 서빙 셀에 대해 제2 물리 채널에 대한 제2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TAG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되어 있고 상기 제2 TAG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되어 있는 것인, 제1 및 제2 전송 전력 결정 단계; 및
    상기 WTRU에 의해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중첩 부위에 대한, WTRU에 의해 구성된(WTRU configured) 최대 출력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첩 부위는, 다음 슬롯에서의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과 시간 상 중첩하는, 제1 슬롯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인, 최대 출력 전력 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해 결정된 상기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송 전력과 상기 제2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롭(drop)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상기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할 것이라는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전력 제어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인 것인, 전력 제어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은 PCMAX인 것인, 전력 제어 방법.
  29. 전력 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전송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서 최대 전송 전력이 초과되지 않도록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채널들에 대해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전송 전력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에 할당되고, 전송 전력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업링크 제어 정보 없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갖는 PUSCH를 통해 할당되며, 전송 전력은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RS) 송신을 통해 PUCCH 또는 PUSCH에 할당되는 것인,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트랜스시버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할당된 전송 전력에서 채널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0. 제29항에 있어서,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전송 전력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채널이 전송되지 않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1. 제29항에 있어서,
    1차 셀 상에서 송신될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는 PUCCH를 통해 전송 전력이 할당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들에 기초하여, 집성되는 반송파들에 대한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며, 타이밍 어드밴스는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TAG 내의 모든 반송파들에 적용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3. 전력 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AG) 내의 제1 서빙 셀에 대해 제1 물리 채널에 대한 제1 전송 전력 및 제2 TAG 내의 제2 서빙 셀에 대해 제2 물리 채널에 대한 제2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상기 제1 TAG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되어 있고 상기 제2 TAG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 값과 관련되어 있는 것인,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트랜스시버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중첩 부위에 대한, WTRU에 의해 구성된(WTRU configured) 최대 출력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첩 부위는, 다음 슬롯에서의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과 시간 상 중첩하는, 제1 슬롯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의 송신의 부분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해 결정된 상기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전송 전력과 상기 제2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롭(drop)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중첩 부위에서의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의 전송 전력들의 합이 상기 중첩 부위에 대한 상기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을 초과할 것이라는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리 채널과 상기 제2 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RS)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WTRU에 의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은 PCMAX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KR1020197015493A 2011-11-04 2012-11-02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76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5853P 2011-11-04 2011-11-04
US61/555,853 2011-11-04
US201261591050P 2012-01-26 2012-01-26
US61/591,050 2012-01-26
US201261612096P 2012-03-16 2012-03-16
US61/612,096 2012-03-16
US201261644726P 2012-05-09 2012-05-09
US61/644,726 2012-05-09
US201261677750P 2012-07-31 2012-07-31
US61/677,750 2012-07-31
US201261705436P 2012-09-25 2012-09-25
US61/705,436 2012-09-25
PCT/US2012/063422 WO2013067430A1 (en) 2011-11-04 2012-11-02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wireless transmissions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ssociated with multiple timing advanc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140A Division KR101986865B1 (ko) 2011-11-04 2012-11-02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73A true KR20190064673A (ko) 2019-06-10
KR102076463B1 KR102076463B1 (ko) 2020-02-11

Family

ID=473519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140A KR101986865B1 (ko) 2011-11-04 2012-11-02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97015493A KR102076463B1 (ko) 2011-11-04 2012-11-02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140A KR101986865B1 (ko) 2011-11-04 2012-11-02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8873443B2 (ko)
EP (2) EP3525523A1 (ko)
JP (5) JP5793627B2 (ko)
KR (2) KR101986865B1 (ko)
CN (4) CN114245444A (ko)
TW (3) TWI596909B (ko)
WO (1) WO20130674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706A1 (ko) * 2021-11-04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0746B2 (en) 2004-08-24 2011-05-10 Comcast Cable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KR100904533B1 (ko) * 2008-01-1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타이밍 조절 방법, 연속적인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
EP2317815A1 (en) * 2009-11-02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Power-limit repor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KR101589672B1 (ko) * 2011-01-18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가용 전력 보고 방법 및 장치
CN103503523B (zh) 2011-07-13 2018-01-23 太阳专利信托公司 终端装置和发送方法
US8395985B2 (en) 2011-07-25 2013-03-12 Ofinno Technologies, Llc Time alignment in multicarrier OFDM network
KR101306404B1 (ko) * 2011-09-29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CN105873205B (zh) 2011-10-09 2020-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发送功率确定方法及用户设备
US9642114B2 (en) * 2011-11-04 2017-05-02 Intel Corporation Path-loss estimation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KR101867314B1 (ko) * 2011-11-15 2018-06-15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제어장치 및 방법
CN102573030B (zh) * 2011-12-08 2014-11-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103167594B (zh) * 2011-12-19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发射功率控制方法及用户设备
US20140369324A1 (en) * 2012-01-20 2014-12-18 Zte Corporation Uplink signal send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US8995405B2 (en)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8526389B2 (en) * 2012-01-25 2013-09-03 Ofinno Technologies, Llc Power scaling in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US9237537B2 (en) 2012-01-25 2016-01-12 Ofinno Technologies, Llc Random access process in a multicarrier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US20130196707A1 (en) * 2012-01-29 2013-08-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US10206181B2 (en) 2012-01-30 2019-0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multaneous transmission in multiple timing advance groups
JP5952315B2 (ja) * 2012-01-30 2016-07-1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20130087965A (ko) * 2012-01-30 2013-08-07 주식회사 팬택 다중 ta 환경에서 상향 링크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43813B2 (en) 2012-04-01 2024-03-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2835023B1 (en) 2012-04-01 2021-09-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timing advance groups
US8964590B2 (en) 2012-04-01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Random access mechanism for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11825419B2 (en) 2012-04-16 2023-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timing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8958342B2 (en) * 2012-04-17 2015-02-17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US11252679B2 (en) 2012-04-16 2022-02-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11582704B2 (en) 2012-04-16 2023-02-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8971280B2 (en) 2012-04-20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device
US8995381B2 (en) 2012-04-16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device
US8964593B2 (en)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US9179425B2 (en) 2012-04-17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Transmit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US9084228B2 (en) 2012-06-20 2015-07-14 Ofinno Technologies, Llc Auto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113387B2 (en) 2012-06-20 2015-08-18 Ofinno Technologies, Llc Handover signalling in wireless networks
US9107206B2 (en) 2012-06-18 2015-08-11 Ofinne Technologie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9210619B2 (en) 2012-06-20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Signalling mechanisms for wireless device handover
US11882560B2 (en) 2012-06-18 2024-0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8971298B2 (en) 2012-06-18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connection to an application server
US9179457B2 (en) 2012-06-20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Carrier configu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622372B2 (en) 2012-06-18 2023-04-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device
US9923689B2 (en) * 2012-07-27 2018-03-20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and processor for assigning radio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an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resources
MY168702A (en) * 2012-08-03 2018-11-29 Sharp Kk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9386530B2 (en) * 2012-08-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ucing transmission power and terminal thereof
CN103634887B (zh) * 2012-08-24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汇聚场景下用户设备的上行功率控制方法和装置
US9967079B2 (en) 2012-10-12 2018-05-08 Google Llc Controlling uplink power for transmission of an uplink channel and an uplink reference signal
KR101407094B1 (ko) * 2012-10-31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76620B2 (en) 2013-01-10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s/receptions in wireless networks
US9510295B2 (en) 2013-03-04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5409299B (zh) * 2013-07-05 2019-01-25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获取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5005602A1 (en) * 2013-07-10 2015-0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72117B2 (en) 2013-07-10 2017-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36666A1 (en) * 2013-07-30 2015-02-05 Blackberry Limited Timing Advance Group in LTE Small Cell Enhancement
US10932205B2 (en) * 2013-08-02 2021-02-23 Blackberry Limited Uplink power sharing control
CN105247933B (zh) * 2013-08-09 2019-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时调整方法及装置
WO2015021599A1 (zh) * 2013-08-13 2015-02-19 富士通株式会社 上行信道的功率控制方法、用户设备以及通信系统
US20160192356A1 (en) * 2013-08-17 2016-06-30 Lg Electronics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5037835A1 (en) * 2013-09-16 2015-03-19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procedures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tdd scheme
US9894675B2 (en) * 2013-09-19 2018-02-1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network coexistence
WO2015041406A1 (en) 2013-09-20 2015-03-26 Lg Electronics Inc. Power headroom reporting scheme for multiple subframe configurations
JP6328650B2 (ja) * 2013-09-26 2018-05-2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9143303B1 (en) * 2013-10-29 2015-09-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arrier aggregation across multiple frequency bands
RU2635348C1 (ru) * 2013-12-04 2017-11-13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окращение подфрейма ни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передачи в системах дуплексной передачи с разделением ао времени (TDD)
EP3557784B1 (en) 2013-12-04 2020-09-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subframe shortening in time-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491709B2 (en) * 2013-12-27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iggering a maximum power reporting ev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099118B1 (en) * 2014-01-22 2019-06-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and user equipment
JP2015142349A (ja) 2014-01-30 2015-08-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WO2015139224A1 (en) * 2014-03-19 2015-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Publ) Uplink power sharing in dual connectivity
KR102298357B1 (ko) 2014-03-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기지국과 랜덤 엑세스 수행 방법 및 장치
US9661548B2 (en) * 2014-03-28 2017-05-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for executing measurement
EP3793271B1 (en) * 2014-04-18 2023-1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figur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6031257B (zh) * 2014-04-30 2020-05-15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以及方法
WO2015168910A1 (zh) 2014-05-08 2015-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分配方法及装置
CN105379339B (zh) * 2014-06-10 2019-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余量报告的处理方法及装置、系统
US10790949B2 (en) * 2014-06-20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SRS in dual connectivity
CN105207757B (zh) * 2014-06-24 2020-0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的载波聚合方法及装置
CN105393608B (zh) * 2014-07-03 2019-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及功率分配的方法
WO2016021588A1 (ja) * 2014-08-04 2016-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US20170215157A1 (en) * 2014-08-06 2017-07-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receiving uplink signal and base station
WO2016021992A1 (ko) * 2014-08-08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425825B2 (en) * 2014-08-20 2019-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80045B2 (en) * 2014-10-02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power on an uplink component carrier transmitted over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JP2017538375A (ja) 2014-11-04 2017-12-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改善されたランダムアクセス送信のための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それらにおける方法
CN106171030B (zh) * 2014-11-06 2020-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测量方法及装置
EP3241322B1 (en) * 2014-12-29 2019-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ymbol compensation and receiver
CN105992325B (zh) * 2015-02-03 2019-08-2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载波聚合增强中的功率控制的方法和设备
WO2016129916A1 (ko)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반송파 집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20180139733A1 (en) * 2015-06-08 2018-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using wireless frame for low-delay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same
CN106341890B (zh) * 2015-07-08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物理信道传输方法及设备
EP3327974A4 (en) * 2015-07-22 2018-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in narrow band system
CN107113747B (zh) * 2015-08-17 2020-06-26 江苏星地通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终端及基站
CN107852705B (zh) * 2015-08-20 2022-05-06 苹果公司 发送波束成形
CN107925532B (zh) * 2015-09-17 2021-06-04 苹果公司 无线系统中的上行链路控制信息的传输
US10440737B2 (en) * 2015-09-18 2019-10-0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that clears configured uplink grant in response to a timer, base station device that considers a configured uplink grant cleared in response to a timer,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orresponding to same
EP3352509B1 (en) * 2015-09-18 2023-03-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06804041B (zh) * 2015-11-26 2019-12-2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和设备
WO2017135044A1 (ja) * 2016-02-02 2017-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70223695A1 (en) * 2016-02-03 2017-08-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uplink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17188B2 (en) * 2016-04-01 2018-10-3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with reduced latency
US10542503B2 (en) * 2016-04-01 2020-01-2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with reduced latency
US11197310B2 (en) * 2016-04-12 2021-12-07 Lg Electronics Inc. Cell cycling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36904B2 (en) 2016-05-09 2020-01-14 Ofinno, Llc Parallel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RU2709170C2 (ru) 2016-08-12 2019-12-16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Односегментные форматы pucch
US10630346B2 (en) * 2016-08-25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under different subframe structures
CN107809305A (zh) * 2016-09-09 2018-03-1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上行信息和探测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设备
US10530468B2 (en) * 2016-10-19 2020-01-07 Vector Launch Inc. State transfer among virtualized nodes in spaceborne or airborne systems
MX2019004451A (es) * 2016-10-25 2019-06-24 Ericsson Telefon Ab L M Adaptacion de evitacion de colision para sistemas de transmision autonomos.
US10869300B2 (en) * 2017-01-08 2020-12-15 Lg Electronics Inc. Up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20190363850A1 (en) * 2017-01-18 2019-1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reconfiguring sounding resources
US10375719B2 (en) * 2017-03-21 2019-08-0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procedure for new radio carrier aggregation
US10862640B2 (en) * 2017-03-24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ransient period configurations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CN108667579B (zh) * 2017-03-30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0548096B2 (en) * 2017-04-21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type multiplexing and power control
US11251915B2 (en) * 2017-05-15 2022-02-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plink transmissions
CN117377046A (zh) * 2017-05-17 2024-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和接收指示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US10750509B2 (en) * 2017-08-10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reservation and dropping rules for transmission time intervals
US10517045B2 (en) 2017-11-17 2019-12-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ower control using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772061B2 (en) * 2017-11-17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overlapped communications
CN110035490B (zh) * 2018-01-12 2020-01-0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功率余量上报方法、用户终端及系统
CN110035452A (zh) * 2018-01-12 2019-07-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功率余量上报及接收方法、用户终端、基站、介质、系统
US10784997B2 (en) * 2018-02-12 2020-09-22 Mediatek Inc. Techniques of transmitting overlapping uplink channels
CN111066269B (zh) * 2018-02-14 2022-07-12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上行链路信号的方法以及设备
US11316611B2 (en) 2018-02-16 2022-04-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pac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messages
US20190261399A1 (en) * 2018-02-16 2019-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ndancy version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CN111316686A (zh) * 2018-03-07 2020-06-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Srs功率余量上报的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382048B2 (en) 2018-05-22 2022-07-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solutions in dual connectivity
WO2020030974A2 (en) * 2018-08-09 2020-02-13 Lenovo (Singapore) Pte.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allocation
WO2020128622A2 (en) 2018-12-21 2020-06-25 Lenovo (Singapore) Pte. Ltd. Reporting power headroom
WO2020205638A1 (en) * 2019-03-29 2020-10-08 Apple Inc. Mechanisms to operate wideband carrier in unlicensed band
CN112584444B (zh) * 2019-09-27 2021-09-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N111245590B (zh) * 2020-01-15 2022-07-1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用于传输pusch的方法、装置、介质、终端设备、及网络设备
CA3123347A1 (en) 2020-06-26 2021-12-26 Wilson Electronics, Llc. Time division duplex (tdd) network protection repeater
US20220046548A1 (en) * 2020-08-07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Secondary component carrier drop for power headroom
CN112188550B (zh) * 2020-09-28 2022-12-0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无线接入点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665915B (zh) * 2020-12-23 2023-04-07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通道管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US11632729B2 (en) * 2021-03-11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Grouping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ubsets from different base stations in a single timing advance group
US11632776B2 (en) * 2021-09-03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handling overlapping transmissions after timing adjustment
CN115865239B (zh) * 2021-09-27 2023-08-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载波聚合的信息上报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4424603B (zh) * 2021-12-27 2024-0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上报或接收用户设备能力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WO2023130422A1 (en) * 2022-01-10 2023-07-13 Lenovo (Beijing) Limited Power allocation determination in multiple trp simultaneous ul transmission
US20240015680A1 (en) * 2022-07-05 2024-01-11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assisted uplink synchronization for inter-cell mobility
US20240155516A1 (en) * 2022-11-08 2024-05-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carrier aggregation and dual connectivity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721B2 (en) * 2002-05-16 2006-04-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voiding power outages at the base station in cellular system using variable rate transmission
JP4447281B2 (ja) * 2003-10-20 2010-04-07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装置
JP2007235201A (ja) * 2006-02-27 2007-09-13 Toshiba Corp 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SG166122A1 (en) * 2006-10-03 2010-11-29 Qualcomm Inc Random access signaling transmission for syste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7957360B2 (en) * 2007-01-09 2011-06-0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support of a long DRX in an LTE—active state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82579A1 (en) * 2007-01-26 2008-07-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Systems for Handover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BRPI0808175A2 (pt) * 2007-03-01 2014-08-05 Ntt Docomo Inc Aparelho da estação de base e método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RU2009134938A (ru) 2007-03-01 2011-04-10 НТТ ДоСоМо, Инк. (JP)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CN101755398B (zh) 2007-08-10 2014-03-12 富士通株式会社 无线基站以及移动台
US8811373B2 (en) * 2007-08-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Rate matching of messages containing system parameters
FI126720B (fi) * 2007-12-04 2017-04-28 Sensire Oy Menetelmä, järjestelmä ja laitteet datan keräämiseksi
CN101897129B (zh) * 2007-12-14 2013-03-13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中用于通过调整增益因子来调整发送功率的方法和装置
US8335176B2 (en) 2008-04-07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overhead channels with timing offset and blanking
RU2469507C2 (ru) * 2008-05-05 2012-12-10 Нокиа Сименс Нетуоркс Ой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машинная програм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 связи с процедурами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EP2374316B1 (en) * 2008-10-31 2013-11-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uplink transmission
CN101790236B (zh) * 2009-01-22 2012-04-25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多通道hsdpa系统中共享信道的空分复用方法
KR101697596B1 (ko) 2009-01-29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302417B2 (ja) * 2009-01-29 2013-10-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伝送電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伝送電力を制御する装置
KR101674940B1 (ko) * 2009-01-29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U2565030C2 (ru) * 2009-02-09 2015-10-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использующего множество несущих
US8971299B2 (en) * 2009-03-17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EP2244515A1 (en) 2009-04-23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generating multiple uplink transport blocks
KR101377680B1 (ko) * 2009-04-23 2014-03-2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멀티 캐리어 무선 단말기를 위한 전력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KR101641971B1 (ko) * 2009-05-15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484164B1 (en) * 2009-10-01 2014-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KR101701444B1 (ko) * 2009-10-02 2017-02-0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하나보다 많은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전송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77787B1 (ko) * 2009-10-02 2016-11-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전력 제어
US11012947B2 (en) * 2009-10-21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multi-power amplifier/antenna operation and channel prioritization
US8804633B2 (en) * 2009-11-05 2014-08-1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trigger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carrier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Y163403A (en) 2010-01-08 2017-09-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intaining time alignment with multiple uplink carriers
KR20190090089A (ko) * 2010-02-12 2019-07-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셀-에지 사용자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향링크 협력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무선 링크 실패 조건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158942B (zh) * 2010-02-12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网络设备和终端
JP5542971B2 (ja) * 2010-02-25 2014-07-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搬送波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ヘッドルーム情報の送信装置及び方法
KR101790593B1 (ko) * 2010-04-01 2017-10-26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들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JP5620569B2 (ja) * 2010-04-01 2014-11-05 パナソニック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JP5514954B2 (ja) * 2010-04-02 2014-06-0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ップリンクサウンディング基準信号の構成および送信
JP5559634B2 (ja) * 2010-08-06 2014-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US8483692B2 (en) * 2010-08-06 2013-07-09 Kyocer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of common control information from multiple base stations
US20120052899A1 (en) * 2010-08-30 2012-03-01 Xiaoqiu Wa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and Program
US9402255B2 (en) * 2010-09-30 2016-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multiple uplink component carriers
CN102076072B (zh) * 2010-12-31 2013-10-09 北京邮电大学 上行功率控制方法、用户设备和载波聚合系统
CN103299690B (zh) 2011-01-07 2017-10-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处理附加功率回退的方法、设备和系统
US8837304B2 (en) * 2011-04-08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CN102149182A (zh) * 2011-04-22 2011-08-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功率控制的方法和设备
JP5706047B2 (ja) * 2011-11-01 2015-04-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伝送決定方法及びそのための端末
US20140321442A1 (en) * 2011-11-08 2014-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927956T3 (es) * 2012-01-27 2022-11-14 Blackberry Ltd Mé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 información de control de enlace a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KR20130087965A (ko) * 2012-01-30 2013-08-07 주식회사 팬택 다중 ta 환경에서 상향 링크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40548A (ko) * 2012-03-22 2014-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685948A (zh) * 2012-09-27 2015-06-03 夏普株式会社 终端、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US9967079B2 (en) * 2012-10-12 2018-05-08 Google Llc Controlling uplink power for transmission of an uplink channel and an uplink reference signal
KR101407094B1 (ko) * 2012-10-31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550897A1 (en) * 2013-01-03 2019-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76620B2 (en) * 2013-01-10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s/receptions in wireless networks
US20150023191A1 (en) * 2013-07-18 2015-0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ell and mobile terminal discoverly method
US10980045B2 (en) * 2014-10-02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power on an uplink component carrier transmitted over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12029* *
3GPP R1-113115* *
3GPP R2-115410* *
3GPP R4-11523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706A1 (ko) * 2021-11-04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0255A1 (en) 2019-04-11
US10869278B2 (en) 2020-12-15
KR101986865B1 (ko) 2019-06-07
CN103931242B (zh) 2018-10-23
CN103931242A (zh) 2014-07-16
US20210099960A1 (en) 2021-04-01
CN109327893B (zh) 2022-03-18
US11711768B2 (en) 2023-07-25
JP2014535245A (ja) 2014-12-25
CN108834205A (zh) 2018-11-16
EP2774426A1 (en) 2014-09-10
JP2017200247A (ja) 2017-11-02
US8873443B2 (en) 2014-10-28
TWI596909B (zh) 2017-08-21
EP3525523A1 (en) 2019-08-14
JP2022031907A (ja) 2022-02-22
US20150043413A1 (en) 2015-02-12
EP2774426B1 (en) 2019-01-02
TW201810966A (zh) 2018-03-16
CN108834205B (zh) 2021-09-28
US20130114505A1 (en) 2013-05-09
JP7328309B2 (ja) 2023-08-16
US20170070960A1 (en) 2017-03-09
US9503989B2 (en) 2016-11-22
JP6194338B2 (ja) 2017-09-06
CN109327893A (zh) 2019-02-12
US10098070B2 (en) 2018-10-09
JP2020048230A (ja) 2020-03-26
TWI703886B (zh) 2020-09-01
JP7150692B2 (ja) 2022-10-11
KR102076463B1 (ko) 2020-02-11
TW201927033A (zh) 2019-07-01
JP2016027707A (ja) 2016-02-18
KR20140091733A (ko) 2014-07-22
TWI670945B (zh) 2019-09-01
WO2013067430A1 (en) 2013-05-10
TW201334431A (zh) 2013-08-16
CN114245444A (zh) 2022-03-25
JP5793627B2 (ja)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865B1 (ko) 다수의 타이밍 어드밴스와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무선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880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ased on accumulated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s and corresponding uplink subframe sets
TWI516052B (zh) 電信系統中致能功率餘裕空間報告中功率回退指標之方法及裝置
KR101753029B1 (ko) 하나보다 많은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전송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642804B1 (en) Carrier grouping for power headroom report
EP28066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KR20220051025A (ko) 커버리지 향상 무선 송신을 위한 액세스 및 링크 적응 방법
WO2024035623A1 (en) Methods for energy-efficient transmitter operation and related-receiver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