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961A - Vehicle structure - Google Patents

Vehicl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961A
KR20190063961A KR1020170163163A KR20170163163A KR20190063961A KR 20190063961 A KR20190063961 A KR 20190063961A KR 1020170163163 A KR1020170163163 A KR 1020170163163A KR 20170163163 A KR20170163163 A KR 20170163163A KR 20190063961 A KR20190063961 A KR 2019006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ning
impact
piston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961A/en
Publication of KR2019006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9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1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in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16F9/469Valves incorporated in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vehicle structure comprises: a hollow front side member provided to extend along a front and rear direction of a vehicle at both sides on a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and relieving a shock caused by a collision while being deformed in case of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 hydraulic damper provided to extend along a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front side member, and additionally relieving the shock caused by the collision when the front side member is deformed. Therefore, the vehicle structure can stably relieve the shock caused by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 구조물{Vehicle structure}Vehicle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차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하부면 양측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보강하는 차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ructure provided at both sides of a lower surface of a vehicle to reinforce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단에는 좌우 방향을 연장하는 범퍼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차량의 양측 전방에는 상기 차량의 차체를 보강하기 위한 전방 사이드 부재들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크래시 박스는 상기 범퍼 보강 부재와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Generally, a front end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bumper reinforcement member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ront side members for reinforcing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re provid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vehicle so as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crash box is provided to connect the bump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front side members.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시 상기 크래시 박스와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들이 변형되면서 상기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차량이 저속으로 충돌하는 경우, 상기 크래시 박스와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들이 상기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The crash box and the front side members are deformed at the time of a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absorbing the impact due to the front collis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at a low speed, the crash box and the front side members can sufficiently absorb the impact due to the forward collision.

그러나, 상기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하는 경우, 상기 크래시 박스와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들이 쉽게 변형되므로 상기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기 어렵다. However, when the vehicle collides at high speed, the crash box and the front side members are easily deform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absorb the impact due to the front collision.

따라서, 상기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차량 구조물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vehicle structure for effectively absorbing the impact due to the forward collision.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충격량에 따라 강성을 조절하여 상기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차량 구조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structure that adjusts rigidity according to an amount of impact at the time of a front collision of a vehicle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due to the front collis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조물은 차량의 하부면 양측에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시 변형되면서 상기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중공의 전방 사이드 부재 및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의 내부에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의 변형시 상기 충돌로 인한 충격을 추가로 완화시키기 유압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so as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has a hollow front side member for relieving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while being deformed in a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 hydraulic damper provided inside the member so as to exten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urther mitigate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when the front side member is de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유압 댐퍼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까지 연장하는 로드 및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상기 오일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양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충격을 완화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ulic damper includes a cylinder extend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taining oil therein, a rod passing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and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And a piston having a size-adjustable opening through which the oil accommodated can pass, and a piston coupled with the rod and moving to both ends of the cylinder to mitigate the imp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량 구조물은,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유압 댐퍼와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충격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dispos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sensing an impact amount due to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hydraulic dampe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mpact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the imp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은, 제1 개구를 갖는 제1 원판 및 제2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원판과 겹쳐지도록 구비되는 제2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가 겹쳐지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원판과 상기 제2 원판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개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includes a first disk having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the second disk being provided to overlap with the first disk, In order to adjust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second openings, the driving unit may adjust the opening size of the piston by relatively rotating the first original plate and the second original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개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further includes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the driving unit may adjust the opening size of the piston by moving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해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가 변형되는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sense the amount of impact by measuring a speed at which the front side member is deformed due to a frontal impact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조물은 전방 사이드 부재가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The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uffer the impact while the front side member is deformed by the impact due to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차량 구조물은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시 충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충격량에 따라 유압 댐퍼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유압 댐퍼의 유체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차량 구조물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차실의 변형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structure may measure the impact amoun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and adjust the opening size of the hydraulic damper according to the measured impact amount to adjust the fluid resistance of the hydraulic damper.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stiffness of the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mpact amount, the impact due to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can be effectively absorb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room where the passenger is located in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injury of the passeng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스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스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iston shown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piston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구조물(100)은 전방 사이드 부재(110), 유압 댐퍼(120), 센서부(130), 구동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vehicle structure 100 includes a front side member 110, a hydraulic damper 120, a sensor unit 130, a driv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전방 사이드 부재(110)들은 차량의 차체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하부면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전방 사이드 부재(110)들은 대략 중공의 빔 형태를 갖는다. The front side members 1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so as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reinforce the vehicle body. The front side members 110 have a generally hollow beam shape.

전방 사이드 부재(110)들의 전단에는 크래시 박스(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크래시 박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범퍼 보강 부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A crash box (not shown)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s 110 and may be connected to a bumper reinforcement member (not shown)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through the crash box.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시 상기 크래시 박스와 전방 사이드 부재(110)가 변형되면서 상기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The crash box and the front side member 110 are deformed at the time of a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to absorb and mitigate the impact due to the front collision.

유압 댐퍼(120)는 전방 사이드 부재(110)의 내부에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해 전방 사이드 부재(110)가 변형되는 경우, 유압 댐퍼(120)는 상기 충돌로 인한 충격을 추가로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The hydraulic damper 120 is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member 110 so as to exten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front side member 110 is deformed due to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hydraulic damper 120 further absorbs and mitigates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구체적으로, 유압 댐퍼(120)는 실린더(122), 로드(124) 및 피스톤(126)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hydraulic damper 120 includes a cylinder 122, a rod 124, and a piston 126.

실린더(122)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다. 실린더(122)의 내부에는 오일(미도시)이 수용된다. The cylinder 122 extend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s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Oil (not shown) is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122.

로드(124)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로드(124)는 실린더(122)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실린더(122)의 내부까지 연장한다. The rod 124 is provid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od 124 extends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122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122.

피스톤(126)은 실린더(122)의 내부에서 로드(124)와 결합되어 실린더(122)의 양단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피스톤(126)은 상기 오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127)를 갖는다. 상기 차량 전방 충돌에 의한 충격이 로드(124)에 가해지면, 로드(124)와 피스톤(126)이 실린더(122)의 후단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오일과 연동하여 상기 충격을 완화시킨다. The piston 126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to both ends of the cylinder 122 by being coupled with the rod 124 inside the cylinder 122. The piston 126 has an opening 127 through which the oil can pass. When the impact caused by the vehicle front collision is applied to the rod 124, the rod 124 and the piston 126 move to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122 to cooperate with the oil to mitigate the impact.

이때, 개구(127)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opening 127 can be adjust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스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iston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피스톤(126)은 제1 원판(126a) 및 제2 원판(126b)으로 이루어지며, 제1 원판(126a) 및 제2 원판(126b)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도록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원판(126a) 및 제2 원판(126b)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2, the piston 126 includes a first circular plate 126a and a second circular plate 126b. The first circular plate 126a and the second circular plate 126b ar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with the same rotation axis . The first circular plate 126a and the second circular plate 126b ar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제1 원판(126a)은 제1 개구(127a)를 가지며, 제1 개구(127a)는 제1 원판(126a)의 일측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ircular plate 126a may have a first opening 127a and the first opening 127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ircular plate 126a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제2 원판(126b)은 제2 개구(127b)들을 가지며, 제2 개구(127b)들은 제2 원판(126b)의 상하를 관통하며 제2 원판(126b)의 둘레 방향을 따라 크기와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개구(127b)들은 제2 원판(126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개구(127b)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제2 원판(126b)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second circular plate 126b has the second openings 127b and the second openings 127b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ircular plate 126b and have different sizes and number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ircular plate 126b . For example, the second openings 127b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ircular plate 126b and have different lengths. For example, the second openings 127b may have the same size, and the second openings 127b may have different number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original plate 126b.

제1 원판(126a) 및 제2 원판(126b)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개구(127a)와 제2 개구(127b)들이 겹쳐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As the first circular plate 126a and the second circular plate 126b relatively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the degree of overlapping of the first opening 127a and the second opening 127b is changed.

예를 들면, 제1 개구(127a)가 제2 개구(127b)들과 겹쳐지는 부분이 크면 개구(127)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1 개구(127a)가 제2 개구(127b)들과 겹쳐지는 부분이 작으면 개구(127)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126)에서 개구(127)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27a overlaps with the second opening 127b is large, the size of the opening 127 is increased and the first opening 127a overlaps with the second opening 127b If the losing portion is small, the size of the opening 127 may be reduce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opening 127 in the piston 126 can be adjust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스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piston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피스톤(126)은 개구(127)를 개폐하는 셔터(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128)의 위치를 조절하여 피스톤(126)에서 개구(127)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iston 126 may further include a shutter 128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27. The position of the shutter 128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size of the opening 127 in the piston 126.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센서부(130)는 전방 사이드 부재(110)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해 전방 사이드 부재(11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센서부(130)는 충격 감지 센서일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sensor unit 130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110, and detects an amount of an impact applied to the front side member 110 due to a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30 may be an impact sensor.

한편, 상기 충격량은 질량에 비례하고,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함수이므로, 센서부(130)는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해 전방 사이드 부재(110)가 변형되는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변형 속도를 연산하여 상기 충격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부(130)는 변형 감지 센서일 수 있다. Since the impact amount is a function proportional to the mass and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speed, the sensor unit 130 measures the speed at which the front side member 110 is deformed due to the frontal impact of the vehicle, The speed may be calculated to detect the impact amount.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30 may be a deformation detection sensor.

구동부(140)는 유압 댐퍼(120)와 연결되며 피스톤(126)에서 개구(127)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The driv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damper 12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ing 127 in the piston 126.

구체적으로, 구동부(140)는 도 2에 도시된 제1 원판(126a) 및 제2 원판(126b)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구동부(140)는 회전 모터이고, 제1 원판(126a) 및 제2 원판(126b)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 회전시키거나, 로드(122)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40 provides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relatively rotating the first disk 126a and the second disk 126b shown in FIG. 2 about the rotation axis.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40 is a rotating moto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original plate 126a and the second original plate 126b can be directly rotated or rotated using the rod 122. [

또한, 구동부(140)는 도 3에 도시된 셔터(128)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구동부(140)는 리니어 모터이고, 셔터(128)를 피스톤(126)과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40 provides a horizontal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hutter 128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40 is a linear motor, and the shutter 128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piston 126.

제어부(150)는 센서부(130)로부터 상기 충격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구동부(140)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the impact from the sensor unit 130 and controls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the impact.

구체적으로,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된 충격량의 크기가 작은 경우, 유압 댐퍼(120)의 유체 저항이 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피스톤(126)에서 개구(127)의 크기가 커지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한다. 개구(127)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유압 댐퍼(120)의 유체 저항이 저하되더라도 차량 구조물(100)은 전방 사이드 부재(110)와 유압 댐퍼(120)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magnitude of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30 is small, the fluid resistance of the hydraulic damper 120 need not be larg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riving unit 140 such that the size of the opening 127 in the piston 126 is increased. Even if the fluid resistance of the hydraulic damper 120 decreases as the size of the opening 127 increases, the vehicle structure 100 sufficiently absorbs the impact by using the front side member 110 and the hydraulic damper 120, .

또한,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된 충격량의 크기가 큰 경우, 유압 댐퍼(120)의 유체 저항이 커야 상기 충격량을 충분히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피스톤(126)에서 개구(127)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한다. 개구(127)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유압 댐퍼(120)의 유체 저항이 증가하므로, 전방 사이드 부재(110)에서 흡수되지 않은 충격량을 유압 댐퍼(120)가 충분히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30 is large, the fluid resistance of the hydraulic damper 120 must be large enough to fully cushion the shock.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riving unit 140 so that the size of the opening 127 in the piston 126 is reduced. As the size of the opening 127 decreases, the fluid resistance of the hydraulic damper 120 increases, so that the hydraulic damper 120 can sufficiently absorb the shock quantity not absorbed by the front side member 110 to buffer the shock.

그러므로, 차량 구조물(100)은 상기 전방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유압 댐퍼(120)의 유체 저항을 조절한다. 따라서 차량 구조물(100)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vehicle structure 100 adjusts the fluid resistance of the hydraulic damper 120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in the forward collision. Therefore, since the stiffness of the vehicle structure 100 can be adjusted, the impact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nd buffe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조물은 유압 댐퍼(120)의 유체 저항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량 구조물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차량 구조물의 강성을 조절하여 상기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차실의 변형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rigidity of the vehicle structure by adjusting the fluid resistance of the hydraulic damper 120. [ Therefore, the stiffness of the vehicle structur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front of the vehicle, effectively absorbing and buffering the amount of impa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room where the passenger is located in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injury of the passeng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 차량 구조물 110 : 전방 사이트 부재
120 : 유압 댐퍼 122 : 실린더
124 : 로드 126 : 피스톤
127 : 개구 130 : 센서부
140 : 구동부 150 : 제어부
100: vehicle structure 110: front site member
120: Hydraulic damper 122: Cylinder
124: rod 126: piston
127: aperture 130: sensor part
140: driving unit 150:

Claims (6)

차량의 하부면 양측에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시 변형되면서 상기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중공의 전방 사이드 부재: 및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의 내부에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의 변형시 상기 충돌로 인한 충격을 추가로 완화시키기 유압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조물.
A hollow front side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and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for alleviating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while being deformed in a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 hydraulic damper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member so as to exten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urther mitigate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when the front side member is de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댐퍼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까지 연장하는 로드; 및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상기 오일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양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충격을 완화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조물.
The hydraulic damper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er extend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taining oil therein;
A rod extending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And
And a piston having a resizable opening through which the oil contained in the cylinder can pass, and a piston engaged with the rod to move to both ends of the cylinder to mitigate the impa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유압 댐퍼와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충격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조물.
[3] The apparatus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for detecting an amount of impact due to a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hydraulic damper and adapted to adjust an opening size of the piston;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mpact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the impa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제1 개구를 갖는 제1 원판; 및
제2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원판과 겹쳐지도록 구비되는 제2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가 겹쳐지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원판과 상기 제2 원판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조물.
4. The piston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original plate having a first opening; And
And a second original plate having a second opening, the second original plate being overlapped with the first original plate,
Wherein the driver adjusts the opening size of the piston by rotating the first disk and the second disk relatively to adjust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조물.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iston further comprises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Wherein the drive adjusts the opening size of the piston by moving the shut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충돌로 인해 상기 전방 사이드 부재가 변형되는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충격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조물.4. The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nsor unit detects the amount of impact by measuring a speed at which the front side member is deformed due to a frontal impact of the vehicle.
KR1020170163163A 2017-11-30 2017-11-30 Vehicle structure KR201900639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63A KR20190063961A (en) 2017-11-30 2017-11-30 Vehicl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63A KR20190063961A (en) 2017-11-30 2017-11-30 Vehicl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61A true KR20190063961A (en) 2019-06-10

Family

ID=6684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163A KR20190063961A (en) 2017-11-30 2017-11-30 Vehicl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39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648A (en) Motor vehicle
US7290810B2 (en) Device for absorption of impact energy on an automobile
JP2003237594A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automobile
US20140207340A1 (en) Adaptive crash structure for a vehicle and associated vehicle
US8191666B2 (en) Vehicle safety device
KR20190063961A (en) Vehicle structure
KR101181124B1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20080024677A (en) Steering column with tilt and telescopic apparatus mixed for vehicle
JP5375718B2 (en) Moving body receiving device
JP2008074301A (en) Vehicular movable bumper device
KR20130030655A (en) Distance-between-wheels variable type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96125B1 (en) Variable shock-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KR102350529B1 (en) Apparatus for suction impact of steering column
EP1632418B1 (en) Controlled energy absorption for a steering column depending on its tilt and telescope positions
KR100795009B1 (en) Steer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Equipped with Collision Energy Absorber
KR100795011B1 (en) Collision Energy Absorptive Steering System
KR20110024541A (en) Bumper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KR101142558B1 (en) Collision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
KR20120139969A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239518B1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20110037701A (en) Steering device
KR100241714B1 (en) Shock absorber of collapse load control steering column
KR20050118393A (en) Impact absorption type steering wheel
KR101136264B1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Equipped with Wire Plate
KR100559904B1 (en) Structure for absorbing impact to steering sha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