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450A -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450A
KR20190063450A KR1020180151321A KR20180151321A KR20190063450A KR 20190063450 A KR20190063450 A KR 20190063450A KR 1020180151321 A KR1020180151321 A KR 1020180151321A KR 20180151321 A KR20180151321 A KR 20180151321A KR 20190063450 A KR20190063450 A KR 20190063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emotion
control
vehicle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704B1 (ko
Inventor
윤창락
김도현
장병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6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감정 상태 뿐만 아니라 감정 상태에 따라 운전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운전자의 감정조절 의도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상호작용의 수단, 방식, 구성 등을 판단하고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의 판단, 제공 기준이 되는 판단, 상호작용 모델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a driver and a vehicle according to driver's feeling}
본 발명은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 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운전자의 감정 상태가 운전자의 운전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운전자의 감정조절 의도를 판단하고, 운전자의 감정 조절을 위하여 차량을 제어하거나 감정조절 상호작용을 제공하고, 제공된 감정조절 상호작용의 효과를 평가하여 운전자의 감정에 따른 상호작용 방법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과 운전자의 감정에 따른 상호 작용 방법은 단순히 운전자의 감정을 인식하거나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인 운전자의 감정 상태만을 고려하여 운전자에게 미리 정의된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그러나 운전자의 감정 상태는 다양한 개인, 차량, 운전 환경 요인에 의해 발현되므로, 단순히 운전자의 감정 상태만을 고려하여 상호작용을 제시할 경우 일반화된 상호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운전 행위 중 발생하는 과도한 감정 상태의 발현은 운전자뿐만 아니라 주변 차량, 운전자, 보행자 등의 안전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므로 운전자의 과잉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차량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고려사항을 기반으로 더 정교하게 판단되고 운전자를 자극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감정 상태 뿐만 아니라 감정 상태에 따라 운전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운전자의 감정조절 의도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상호작용의 수단, 방식, 구성 등을 판단하고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감정 상태와 상호작용의 수단, 방식 및 구성 등을 판단하여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의 판단, 제공 기준이 되는 판단, 상호작용 모델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는 다수의 운전자 주행 정보를 학습한 일반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 일반 운전자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 일반 운전자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이 저장된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 차량 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상태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들;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일반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종류와 수준을 판단하고, 판단된 운전 감정 종류와 수준별 운전 적합도를 예측하는 운전자 감정 판단부;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주행 정보를 일반 운전자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판단하고, 운전 능력 간섭 여부와 수준을 판단하는 운전능력 간섭 판단부; 운전자의 상호작용 정보(알림/지시/경고 상호작용 수용도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자발적인 감정조절 의도의 수준 및 적합도를 판단하는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 운전자의 주행상황 정보(도로상황, 교통상황)와 차량의 제어 정보(ECU, ADAS)를 기반으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하는 차량제어권 조정 판단부; 및 주행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에서 판단한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제어기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통제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반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은, 다수의 운전자 상태 정보를 모두 사용한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 또는 운전자의 연령, 성별, 운전 경력 등을 구분하여 각 구분된 그룹별 운전자 상태 정보를 사용한 그룹별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 중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운전 적합도는, 분노 및 각성과 같은 감정 종류와 높음, 중간, 낮음과 같은 수준과 같은 판단 기중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 운전자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은, 다수의 운전자 상호작용 정보를 모두 사용한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 또는 운전자 그룹, 차량 모델 등을 구분하여 각 구분된 운전자 상호작용 정보를 사용한 그룹별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는, 운전자의 감정 종류와 수준, 감정조절 의도 및 적합성 등이 안전 운전에 나쁜 영향을 초래하거나 운전에 부적합한 감정 수준의 지속 또는 증대로 이어지는 경우에 안전 운전 및 감정 조절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 감정 판단부의 판단 결과(운전자의 감정의 종류, 감정의 수준, 운전 적합도), 상기 운전 능력 간섭 판단부의 판단 결과(운전 능력 간섭 수준), 상기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의 판단 결과(감정조절 의도 수준 및 적합도), 상기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의 판단 결과(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에 따른 상기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의 제어 결과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감정을 운전에 적합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결정하는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는, 클러스터, CID 등의 시각 상호작용 장치, 스피커 등의 청각 상호작용 장치, 좌석, 안전벨트 등의 진동 상호작용 장치 등의 복합적인 상호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상호작용 수단, 절차 및 구성등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는, 분노 감정의 경우, 높은 분노 수준에 대해 시각적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클러스터의 구성(색상, 형태, 배치 등)을 결정하고, 과속 등으로 인한 높은 운전 능력 간섭 수준에 대해 스피커를 통한 경고 메시지를 결정하고, 임의의 시간 동안 높은 분노 감정 수준과 높은 운전 능력 간섭 수준을 유지하는 등의 낮은 감정조절 수준에 대해 스마트크루즈컨트롤(SCC) 기능을 활성화하는 등의 차량 제어 조정의 지시 메시지 등을 동적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는, 운전자 감성의 종류 및 수준, 운전 능력 간섭 수준, 감정조절 수준, 차량 제어권 조정에 따른 위험도를 평가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에서 결정한 감정조절 상호작용의 상호작용 수단, 절차, 구성 등을 차량에 설치된 상호작용 장치(클러스터, CID 등의 시각 상호작용 장치와 스피커 등의 청각 상호작용 장치와 좌석, 안전벨트 등의 진동 상호작용 장치 등의 복합적인 상호작용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감정조절 상호작용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와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제공부에서 제공한 감정 조절을 위한 수단, 방법, 구성 등에 대한 결과로써 운전자의 감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감정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 감정 판단부에서 사용한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들을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종류, 감정 수준, 운전 적합도를 판단한다.
이러한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는, 감정 조절을 위해 제공한 다양한 수단, 방법, 구성 등에 의해 기대되는 긍정적인 감정 변화(부정적인 감정의 종류에서 긍정적인 감정의 종류로의 변화 또는 높은 운전 적합도를 위한 감정 수준의 변화 등)의 방향 및 정도와 실제 관측된 감정 변화의 방향과 정도의 차이에 따라 감정 변화 및 조절의 수준을 평가한다.
또한,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에서 평가한 감정 변화 조절 수준을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의 각 판단 모델들을 갱신하는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는,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에서 평가한 감정 변화 및 조절 수준을 기반으로 각 판단 모델들을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는, 각 판단부들의 입력정보들을 운전자 그룹, 차량 모델 별로 군집화하고 필터링하는 등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는, 운전 중 상대적으로 발생량이 지극히 적을 수 있는 감정 종류와 수준에 해당하는 입력정보들을 구분하고 이에 해당하는 입력정보들을 보간하여 해당 입력정보의 발생량을 보완하는 등의 데이터 가공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종류 및 수준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운전 적합도를 예측하는 단계;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주행 정보를 운전자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운전 능력 간섭 여부와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호작용 정보를 운전자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조절 의도의 수준 및 상호작용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단계; 운전자 주행 정보, 차량 정보, 도로 정보 등을 차량 제어 조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이 차량의 안전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안전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주행상황 정보와 차량의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각 제어기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차량의 안전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안전 주행에 영향을 미치면, 차량의 안전 주행을 위해 제시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적용하지 않는 단계; 차량에 설치된 상호작용 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상호작용 수단, 절차 및 구성 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의 수단, 절차, 구성 등을 차량에 설치된 상호작용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감정조절 상호작용의 수단, 절차, 구성 등을 적용한 상호작용 제공 후의 운전자의 감정 변화의 종류, 감정 수준, 운전 적합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운전자 감정 조절을 위해 제공한 다양한 수단, 방법, 구성 등에 의한 감정 변화의 방향과 정도를 운전 적합도가 높은 감정의 종류와 수준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평가한 감정 변화 및 조절 수준을 기반으로 각 판단 모델들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감정 종류와 수준, 감정조절 의도 및 적합성 등이 안전 운전에 나쁜 영향을 초래하거나 운전에 부적합한 감정 수준의 지속 또는 증대로 이어지는 경우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감정 상태, 운전 능력, 조절 의도에 따라 효과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제공하고, 제공된 상호작용 방법으로 인한 감정조절 효과를 분석하여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상호작용 방법을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는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100), 운전자 감정 판단부(200), 운전능력 간섭 판단부(300),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400), 차량제어권 조정 판단부(500) 및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700), 감정조절 상호작용 제공부(800),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900) 및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1000)를 더 포함한다.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100)는 운전자 감정 판단부(200)에서 사용하는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 운전 능력 간섭 판단부(400)에서 사용하는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400)에서 사용하는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600)에서 사용하는 차량 제어 조정 판단 모델,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700)에서 사용하는 감정조절 상호작용 모델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100)는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1000)에 의해 갱신된 각 판단 모델들의 이력을 관리한다. 여기서, 일반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은 다수의 운전자 상태 정보를 모두 사용한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 또는 운전자의 연령, 성별, 운전 경력 등을 구분하여 각 구분된 그룹별 운전자 상태 정보를 사용한 그룹별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 중 하나이다.
여기서, 센서(101)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상태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센싱한다.
운전자 감정 판단부(200)는 센서(101)들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일반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종류와 수준을 판단하고, 판단된 운전 감정 종류와 수준별 운전 적합도를 예측한다. 여기서, 운전 적합도는 분노 및 각성과 같은 감정 종류와 높음, 중간, 낮음과 같은 수준과 같은 판단 기중 정보이다.
운전능력 간섭 판단부(300)는 센서(101)들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주행 정보(주행 패턴과 워크로드)를 일반 운전자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판단하고, 운전 능력 간섭 여부와 수준을 판단한다. 여기서, 운전 능력 간섭 수준은 유사한 운전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통상적인 주행 패턴, 워크로드 등과 상이한 운전자 주행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높은 운전 능력 간섭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온함, 즐거움 등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의 경우, 통상적으로 운전 능력 간섭 수준은 낮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일면에서 평온함은 낮은 각성 수준을 유발할 수 있고, 즐거움은 높은 각성 수준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통상적인 주행 패턴, 워크로드 등과 상이한 경우 운전 능력 간섭 수준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400)는 운전자의 상호작용 정보(알림/지시/경고 상호작용 수용도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자발적인 감정조절 의도의 수준 및 적합도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반 운전자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은, 다수의 운전자 상호작용 정보를 모두 사용한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 또는 운전자 그룹, 차량 모델 등을 구분하여 각 구분된 운전자 상호작용 정보를 사용한 그룹별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정조절 수준 및 상호작용 적합도는, 운전자의 감정 종류와 수준에 따라 차량이 제시하는 상호작용에 대한 수용도 및 감정 조절을 위한 운전자의 의도적인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분노 감정의 경우, 분노 수준에 따라 차량에서 알림/경고/지시 메시지를 시각/시각+청각/시각+청각+진동의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제시하고 운전자가 메시지를 주시하고 수용하는 경우 높은 감정조절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전자가 지루함을 벗어나고자 의도적으로 과속, 무리한 앞지르기, 잦은 차선 변경 등을 시도하는 경우 감정 조절을 위한 상호작용 적합도는 낮은 수준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제어권 조정 판단부(500)는 운전자의 주행상황 정보(도로상황, 교통상황)와 차량의 제어 정보(ECU, ADAS)를 기반으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한다.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600)는 운전자의 감정 종류와 수준, 감정조절 의도 및 적합성 등이 안전 운전에 나쁜 영향을 초래하거나 운전에 부적합한 감정 수준의 지속 또는 증대로 이어지는 경우에 안전 운전 및 감정 조절을 위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한다.
여기서, 차량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하기 위하여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운전자 주행 정보, 차량 정보, 도로 정보 등을 구분하여 각 구분된 정보를 사용한 그룹별 차량 제어 조정 판단 모델을 사용한다.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600)는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101)들로부터 제공된 차량 주행 상황 정보, 차량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 조정 판단 모델을 적용하여 차량의 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가 가능한 경우에 차량을 제어할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다른 차량의 무리한 끼어들기로 인해 분노 감정이 유발된 경우, 높은 분노 수준의 운전자가 과속 등의 높은 운전 능력 간섭 수준과 낮은 감정조절 수준을 임의의 시간 동안 지속한다면 안전 운전을 위해 스마트크루즈컨트롤(SCC) 기능을 활성화하는 등의 차량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600)는 주행상황 정보(도로상황, 교통상황)와 차량의 제어 정보(ECU, ADAS)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600)에서 판단한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제어기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통제한다.
한편,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700)는 운전자 감정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운전자의 감정의 종류, 감정의 수준, 운전 적합도), 상기 운전 능력 간섭 판단부의 판단 결과(운전 능력 간섭 수준), 상기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의 판단 결과(감정조절 의도 수준 및 적합도), 상기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의 판단 결과(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에 따른 상기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600)의 제어 결과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감정을 운전에 적합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결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감정 상태, 운전 능력, 조절 의도에 따라 효과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제공하고, 제공된 상호작용 방법으로 인한 감정조절 효과를 분석하여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상호작용 방법을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700)는 클러스터, CID 등의 시각 상호작용 장치, 스피커 등의 청각 상호작용 장치, 좌석, 안전벨트 등의 진동 상호작용 장치 등의 복합적인 상호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상호작용 수단, 절차 및 구성 등을 결정한다. 즉,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700)는 분노 감정의 경우, 높은 분노 수준에 대해 시각적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클러스터의 구성(색상, 형태, 배치 등)을 결정하고, 과속 등으로 인한 높은 운전 능력 간섭 수준에 대해 스피커를 통한 경고 메시지를 결정하고, 임의의 시간 동안 높은 분노 감정 수준과 높은 운전 능력 간섭 수준을 유지하는 등의 낮은 감정조절 수준에 대해 스마트크루즈컨트롤(SCC) 기능을 활성화하는 등의 차량 제어 조정의 지시 메시지 등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700)는 운전자 감성의 종류 및 수준, 운전 능력 간섭 수준, 감정조절 수준, 차량 제어권 조정에 따른 위험도를 평가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높은 불안 수준의 운전자에게는 차량 제어권 조정이 공포 감정을 유발하는 등의 위험도가 높을 수 있으므로 차량 제어권 조정의 우선권을 가장 낮게 결정하고 명시적으로 운전자의 확인과 동의를 획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높은 지루함 수준의 운전자에게는 감정조절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각적, 청각적 상호작용 조정의 우선권을 가장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감정조절 상호작용 제공부(800)는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700)에서 결정한 감정조절 상호작용의 상호작용 수단, 절차, 구성 등을 차량에 설치된 상호작용 장치(클러스터, CID 등의 시각 상호작용 장치와 스피커 등의 청각 상호작용 장치와 좌석, 안전벨트 등의 진동 상호작용 장치 등의 복합적인 상호작용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상호작용 장치들의 작동 원리 및 특징은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함을 가정하였다.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900)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600)와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제공부에서 제공한 감정 조절을 위한 수단, 방법, 구성 등에 대한 결과로써 운전자의 감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또한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900)는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101)들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감정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 감정 판단부(200)에서 사용한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들을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종류, 감정 수준, 운전 적합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900)는 감정 조절을 위해 제공한 다양한 수단, 방법, 구성 등에 의해 기대되는 긍정적인 감정 변화(부정적인 감정의 종류에서 긍정적인 감정의 종류로의 변화 또는 높은 운전 적합도를 위한 감정 수준의 변화 등)의 방향 및 정도와 실제 관측된 감정 변화의 방향과 정도의 차이에 따라 감정 변화 및 조절의 수준을 평가한다.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1000)는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900)에서 평가한 감정 변화 조절 수준을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판단 모델들을 갱신한다
이러한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1000)는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900)에서 평가한 감정 변화 및 조절 수준을 기반으로 각 판단 모델들을 갱신한다. 운전 적합도가 높은 감정의 종류와 수준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1000)는 각 판단부들의 입력정보들을 운전자 그룹, 차량 모델 별로 군집화하고 필터링하는 등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1000)는 운전 중 상대적으로 발생량이 지극히 적을 수 있는 감정 종류와 수준에 해당하는 입력정보들을 구분하고 이에 해당하는 입력정보들을 보간하여 해당 입력정보의 발생량을 보완하는 등의 데이터 가공을 수행한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종류 및 수준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운전 적합도를 예측한다(S100).
이어서,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주행 정보를 운전자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운전 능력 간섭 여부와 수준을 판단한다(S200).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호작용 정보를 운전자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조절 의도의 수준 및 상호작용의 적합도를 판단한다(S300).
이후, 운전자 주행 정보,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 등을 차량 제어 조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한다(S400).
이어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이 차량의 안전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한다(S500).
상기 판단 단계(S500)에서 차량의 안전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NO), 주행상황 정보와 차량의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각 제어기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차량의 안전 주행을 제어한다(S600).
이에 반해, 상기 판단 단계(S500)에서 차량의 안전 주행에 영향을 미치면(YES), 차량에 설치된 상호작용 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상호작용 수단, 절차 및 구성 등을 결정한다(S700). 즉, 차량의 안전 주행을 위해 제시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상기 감정조절 상호작용의 수단, 절차, 구성 등을 차량에 설치된 상호작용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한다(S800).
이어서, 차량에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감정조절 상호작용의 수단, 절차, 구성 등을 적용한 상호작용 제공 후의 운전자의 감정 변화의 종류, 감정 수준, 운전 적합도를 판단한다(S900).
이후, 운전자 감정 조절을 위해 제공한 다양한 수단, 방법, 구성 등에 의한 감정 변화의 방향과 정도를 운전 적합도가 높은 감정의 종류와 수준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평가한 감정 변화 및 조절 수준을 기반으로 각 판단 모델들을 갱신한다(S10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감정 상태, 운전 능력, 조절 의도에 따라 효과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제공하고, 제공된 상호작용 방법으로 인한 감정조절 효과를 분석하여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상호작용 방법을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 200 : 운전자 감정 판단부
300 : 운전능력 간섭 판단부 400 :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
500 : 차량제어권 조정 판단부 600 :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
700 : 감정조절 상호작용 결정부 800 : 감정조절 상호작용 제공부
900 : 감정조절 상호작용 평가부 1000 : 운전자 감정 모델 갱신부

Claims (1)

  1. 다수의 운전자 주행 정보를 학습한 일반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 일반 운전자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 일반 운전자 감정조절 의도 판단 모델이 저장된 운전자 감정 모델 데이터베이스;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일반 운전자 감정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종류와 수준을 판단하고, 판단된 운전 감정 종류와 수준별 운전 적합도를 예측하는 운전자 감정 판단부;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주행 정보를 일반 운전자 운전 능력 간섭 판단 모델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판단하고, 운전 능력 간섭 여부와 수준을 판단하는 운전능력 간섭 판단부;
    운전자의 상호작용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자발적인 감정조절 의도의 수준 및 적합도를 판단하는 감정조절 의도 판단부;
    운전자의 주행상황 정보와 차량의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수준을 판단하는 차량제어권 조정 판단부; 및
    주행상황 정보와 차량의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권 조정 판단부에서 판단한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제어기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통제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KR1020180151321A 2017-11-29 2018-11-29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311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030 2017-11-29
KR20170162030 2017-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450A true KR20190063450A (ko) 2019-06-07
KR102311704B1 KR102311704B1 (ko) 2021-10-13

Family

ID=6685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321A KR102311704B1 (ko) 2017-11-29 2018-11-29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6763A (zh) * 2021-12-10 2022-04-22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交互方法、车辆交互装置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839A (ko) 2022-02-18 2023-08-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관리서버, 운전자 상태 감응형 자율주행자동차 및 자율주행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06A (ko) * 2015-02-05 2016-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졸음 방지 장치
KR20170018696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감성 인식 차량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6090340B2 (ja) * 2015-01-08 2017-03-08 マツダ株式会社 ドライバ感情推定装置
KR20180007511A (ko) * 2016-07-13 2018-01-2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자 특성을 고려한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80090644A (ko) * 2017-02-03 201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 및 차량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0340B2 (ja) * 2015-01-08 2017-03-08 マツダ株式会社 ドライバ感情推定装置
KR20160096406A (ko) * 2015-02-05 2016-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졸음 방지 장치
KR20170018696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감성 인식 차량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7511A (ko) * 2016-07-13 2018-01-2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자 특성을 고려한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80090644A (ko) * 2017-02-03 201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 및 차량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6763A (zh) * 2021-12-10 2022-04-22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交互方法、车辆交互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704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0117B2 (ja) 運転者のルールベース型支援のための制御データ作成方法
RU25677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мощи при вождении
CN106557160B (zh) 车辆-用户交互系统
US7610121B2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apparatus
CN108688676B (zh) 车辆驾驶支援系统以及车辆驾驶支援方法
EP32860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situation awareness modification of a user of a vehicle, and a user situation awareness modification processing system
US10053113B2 (en) Dynamic output notification management for vehicle occupant
US20190228367A1 (en) Profile building using occupant stress evaluation and profile matching for vehicle environment tuning during ride sharing
JP2022552860A (ja) 予測及び先取り制御に基づく乗用車の乗員状態調整システム
CN111295699B (zh) 辅助方法以及利用该辅助方法的辅助系统、辅助装置
KR20160084836A (ko) 운전자 지원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6924629B2 (ja) 自動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90063450A (ko) 운전자 감정에 따른 운전자와 차량간의 상호작용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1040720B2 (en) Sleepiness level prediction device and sleepiness level prediction method
WO2019080810A1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10915770B2 (en) Method for assisting a driver of an ego-vehicle in making use of a gap between vehicles, corresponding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driver assistance system
KR20190111318A (ko) 운전 상태 추정을 위한 이동체, 서버, 운전 상태 추정 방법 및 시스템
Levermore et al. A review of driver modelling
US11772678B2 (en) Method for outputting recommendations for energy efficient operation of a vehicle using an assistance system comprised by the vehicle
Abendroth et al. Capabilities of humans for vehicle guidance
JP2018084981A (ja) 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EP4292888A1 (en) Comfort brak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Durrani et al. A new car-following model with incorporation of Markkula's framework of sensorimotor control in sustained motion tasks
Caber et al. Accommodating Drivers’ Preferences Using a Customised Takeov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