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298A - 휴대형 냉온장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냉온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298A
KR20190063298A KR1020170162270A KR20170162270A KR20190063298A KR 20190063298 A KR20190063298 A KR 20190063298A KR 1020170162270 A KR1020170162270 A KR 1020170162270A KR 20170162270 A KR20170162270 A KR 20170162270A KR 20190063298 A KR20190063298 A KR 20190063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dividual
cold storage
storage contain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종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액츠 주식회사
주식회사 하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츠 주식회사, 주식회사 하늘재 filed Critical 액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298A/ko
Publication of KR2019006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냉온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냉온장 용기는, 덮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제공되는 열전소자; 및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용기 내 수용되며, 인식태그가 부착된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사용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상품별 사용내역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베이스와 인식된 상품정보를 비교하여 표시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냉온장 용기에 따르면, 개별상품에 부착된 인식태그를 이미징 장치를 통해 개별상품의 종류를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 및 측정 데이터를 개별상품에 대한 표준 DB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비교하여 그 보관 환경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압력센서를 통해 개별상품의 중량을 감지하여 그 소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건강 및 주기별 식단 관리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냉온장 용기{PORTABLE COOL AND WARM CONTAINER}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장 장치에 관한 것을, 특히 열전소재를 이용하여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가능한 냉온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의 진전과 함께 소비패턴이 개인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식품이나 음료도 규격화된 인스턴트 제품으로 상품화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일반적인 대형의 온장, 냉장 또는 냉동 보관 장치 대신에 식품이나 음료를 제품 단위로 보관할 수 있는 휴대형 냉온장 용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개별 식품이나 음료를 위한 전통적인 휴해형 냉온장 용기는 발포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나 진공 단열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의 냉온장 용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용기 내부를 적정한 온도로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특히 외부와 용기 내부의 온도차가 심할수록 이러한 현상은 가중된다.
한편, 용기 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 에너지를 공급하면서 용기 안팎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부 에너지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통상의 보냉 및 보온장치는 부품요소가 상대적으로 크고 과도한 전력소비량을 수반하기 때문에 소형으로 휴대형 제작이 곤란하지만, 열과 전기에너지 간 변환 작용을 갖는 펠티어 소자와 같은 열전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적력으로 신속한 온도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의 휴대형 냉온장 용기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종래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냉 및 보온장치의 경우, 공산품 형태로 규격화된 개별상품에 대한 맞춤형으로 제작되기 보다는 개별상품의 특성과 무관하게 단순 보냉 보온 효과를 구현하고 있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보관된 내용물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는 용기를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수반하는 열손실이 발행하는 문제가 있고, 개별상품정보에 따라 보관 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의 종류 및 소비량 등에 기초한 개인의 건강 및 식단 관리 등을 일일이 사용자가 체크해야 하는 등 보냉 보온 기능외 다른 부가기능에 대한 제시는 미미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04864호 한국 공개특허 제10-1999-00173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상품에 대한 식별에 기초하여, 보관되는 개별상품에 대한 확인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개별상품의 종류 및 소비량에 기초하여 개인의 건강 및 식단 관리에 유용한 휴대형 냉온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1) 덮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제공되는 열전소자; 및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 수용되며, 인식태그가 부착된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사용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상품별 사용내역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베이스와 인식된 상품정보를 비교하여 표시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2) 상기 인식태그는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휴대용 냉온장 용기.
(3)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식태그의 이미지 촬상을 위한 카메라 또는 RFID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휴대용 냉온장 용기.
(4)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개별상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암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휴대용 냉온장 용기.
(5)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개별상품의 상품정보는 상품의 종류, 무게, 유통기한, 보관온도 또는 무게당 칼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휴대용 냉온장 용기.
(6)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상품별 사용내역은 일정기간 동안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휴대용 냉온장 용기.
(7) 상기 출력부는 상기 표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휴대용 냉온장 용기.
(8) 상기 단자부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휴대용 냉온장 용기.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의 온도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용기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보관온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일정 주기로 용기내 온도와 상기 보관온도를 비교한 후 스위칭단자를 보냉 또는 보온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의 온도 제어방법.
(10)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를 이용한 표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측정중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기준중량을 추출하고, 상기 기준중량과 상기 측정중량의 차이값을 연산한 후, 상기 차이값에 중량당 칼로리량을 곱하여 소모 칼로리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공방법.
본 발명의 휴대형 냉온장 용기에 따르면, 개별상품에 부착된 인식태그를 이미징 장치를 통해 개별상품의 종류를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 및 측정 데이터를 개별상품에 대한 표준 DB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비교하여 그 보관 환경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압력센서를 통해 개별상품의 중량을 감지하여 그 소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건강 및 주기별 식단 관리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의 종단면 구조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의 시스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상품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를 이용한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를 이용한 소모 칼로리량의 도출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제공, 구비 또는 포함된다고 할 때, 이는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위한 필수적으로 채택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나 그러한 해결과제와 견련성을 가지고 임의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10)(이하, ‘용기(10)’로 약칭함)의 사시도를, 도 2는 상기 용기(10)의 종단면 구조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용기(10)는 개별상품(20)에 대한 보냉 및 보온을 위한 물품으로서, 기본적으로, 덮개(110)가 구비된 본체(100); 본체(100)의 외면에 제공되는 열전소자(200); 및 외부 전원에 열견되는 단자부(300);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부(400)를 구성하는 감지부(410)의 명령버튼(418)과 출력부(440)의 디스플레이부(442)는 본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500)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개별상품(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형태로 포장된 식음료로 예시되었으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건강 및 식단 관리 서비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그 종류별로 무게, 유통기한, 보관온도 및 무게당 칼로리 등의 상품정보가 고유값을 갖도록 규격화되고, 이러한 고유값에 관한 인식태그(22)를 부착하고 있는 것을 예정한다. 상기 인식태그(22)는, 예컨대 바코드(bar code), QR 코드, RFID 태그 등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열전소자(2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요소는 금속 또는 세라믹과 같이 양호한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에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100)에 단열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진공 이중벽 구조와 같은 별도의 단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규격화된 개별상품(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한 크기를 갖는다. 개별상품(20)의 투입 및 반출을 위해 본체(100) 상방에는 덮개(11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면 도시에 불구하고 덮개(110)를 생량하고 용기(10)자체를 종방향으으로 분할 구성하여 걔폐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전소자(2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본체(100)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열전소자(200)는 본체(100) 일부 또는 본체(100) 전체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열전소자(200)의 동작은 스위칭단자(444)에 의해 보온과 보냉 간 스위칭 된다. 열전소자(200)의 동작 온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획득된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300)는 상기 열전소자(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단자부(300)는 순수하게 전원만을 공급하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열전소자(200)는 전력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도 가능한 예컨대 USB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부(300)는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포트와 역할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용기(10)에 대한 기구적 설계 외에, 개별상품(20)에 대한 확인, 온도의 설정 및 유지와 같은 보관 환경의 관리, 개인의 건강 및 식단 관리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통해 더욱 편리한 스마트 용기(10)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별도의 시스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상기 시스템부(4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를 참조할 때, 상기 시스템부(400)는 기본적으로 개별상품(20)에 대한 상품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감지부(410);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 및 상품별 소비내역에 관한 데이터베이스(430); 획득정보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표시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420); 및 표시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410)는 개별상품(20)에 대한 상품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별상품(20)에 부착 제공되는 인식태그(22)의 종류에 따라 선택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바코드, QR 코드 형태의 인식태그(22)의 경우 이미지 촬상을 위한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장치(412)가 감지부(4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RFID 태그 형태의 인식태그(22)의 경우 RFID 수신기가 감지부(410)에 포함될 수 있다. 인식태그(22)에 따른 개발상품의 상품정보에 대한 고유값은 감지부(410)에 의해 획득되어 표시정보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부(420)에 전달된다. 인식태그(22)에 따른 개별상품(20)에 관한 고유값은 데이터베이스(430)를 구성하는 개별상품(20)에 관한 레코드에 대한 고유값으로 인덱싱되어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410)는 개별상품(20)에 대한 사용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별상품(2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414)에 의해 획득된 개별상품(20)의 측정중량은 개별상품(20)의 소비량 연산을 위해 제어부(420)에 전달된다. 개별상품(20)의 측정중량은, 상기 인식태그(22)에 따른 개별상품(20)의 고유값으로부터 인덱싱된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 중 기준중량과 비교되어 소모 중량 및 칼로리량 형태로 연산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에 개별상품(20)의 사용상태에 관한 레코드로 저장되고 또한 표시정보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410)는 용기(10)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온도센서(4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416)에 의해 획득된 용기(10)내 온도는 용기(10)내 온도는 제어부(420)에 전달된다. 용기(10)내 온도는 상기 인식태그(22)에 따른 개별상품(20)의 고유값으로부터 인덱싱된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 중 보관온도와 비교되어 그 차이값에 따라 용기(10)내 온도가 보관온도보다 높으면 스위칭단자(444)를 ‘보냉’으로 그 반대면 ‘보온’으로 스위칭단자(444)의 설정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용기(10)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용기(10)의 온도 제어를 위한 제어부(420)와 스위칭단자(444) 간 신호전달은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410)는 용기(10) 차체에 별도로 구비되는 명령버튼(41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명령버튼(418)을 이용하여 상품 종류의 선택, 보관 온도의 설정 등과 관된 용기(1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제어를 수동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442)가 양방향 데이터 교환을 위한 수단으로서 터치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용기(10)가 통신포트를 통해 외부 컴퓨터(30) 또는 모바일 기기(40) 등과 같은 외부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명령버튼(418)을 이용한 용기(10)의 작동상태에 대한 수동 제어는 디스플레이부(442)의 터치 기능 또는 외부 단말기의 입력 기능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감지부(410)로부터 전달되는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 용기(10)의 온도, 중량, 수동입력 명령 신호 등의 획득정보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표시정보를 연산하고 용기(1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MPU와 같은 연산 장치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에는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와 상품별 사용내역에 대한 레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30) 중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는 상품의 종류, 무게, 유통기한, 보관온도 또는 무게당 칼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레코드의 필드 값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30) 중 상품별 사용내역을 일정기간 동안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0)에 의한 표시정보의 연산의 일환으로서, 도 5는 용기(10)의 온도 제어방법을, 도 6는 소모 칼로리량의 도출 방법을 각각 나타낸다.
도 5을 참조할 때 용기(10)의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부(410)에 의해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420)에 의해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와 매칭하여 보관온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420)에 의해 일정 주기로 용기(10)내 온도와 상기 보관온도를 비교한 후 스위칭단자(444)를 보냉 또는 보온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품의 보관온도 및 용기(10)의 온도는 표시정보로서 출력부(440)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442)에 표시되거나, 통신포트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할 때 소모 칼로리향을 도출하여 표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감지부(410)에 의해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 및 측정중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420)에 의해 개별상품(20)의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와 매칭하여 기준중량을 추출하고, 상기 기준중량과 상기 측정중량의 차이값을 연산한 후, 상기 차이값에 중량당 칼로리량을 곱하여 소모 칼로리량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소모 칼로리량을 디스플레이부(442)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별상품(20) 내용물에 대한 정확한 측정중량은 개별상품(20)의 측정중량에 개별상품(20)의 패키징 용기(10)의 중량을 제외하여 계산될 수 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상품의 기준중량, 측정중량, 소모 칼로리량은 표시정보로서 출력정보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442)에 표시되거나, 통신포트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모칼로리량에 관한 결과값은 일자별 레코드로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의 상품별 사용내역에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상품별 사용내역을 상품종류, 사용기(10)간 등의 조건에서 쿼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식단 및 건강관리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를 참조할 때, 상기 출력부(440)는 제어부(420)에 의해 산출된 표시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용기(10) 자체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LCD,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442); 용기(10)의 보냉 및 보온 간 작동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단자(444); 및 와이파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환경이나 데이터 교환 케이블을 이용해 외부 컴퓨터(30) 또는 모바일 기기(40)와 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2)에는 터치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외부 컴퓨터(30) 또는 모바일 기기(40)의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냉온장 용기(10)에 따르면, 개별상품(20)에 부착된 인식태그(22)를 이미징 장치를 통해 개별상품(20)의 종류를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 및 측정 데이터를 개별상품(20)에 대한 표준 DB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비교하여 그 보관 환경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압력센서(414)를 통해 개별상품(20)의 중량을 감지하여 그 소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건강 및 주기별 식단 관리를 편리하게 제공함으로써, 종래 단순 보냉 보온 효과를 구현하고 있는 종래 용기(10) 대비 그 활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휴대용 냉온장 용기
100: 본체 110: 덮개
200: 열전소자
300: 단자부
400: 시스템부
410: 감지부 412: 이미지장치
414: 압력센서 416: 온도센서
418: 명령버튼 420: 제어부
430: 데이터베이스 440: 출력부
442: 디스플레이부 444: 스위칭단자
446: 유무선 통신포트
500: 베이스
20: 개별상품 22: 인식태그
30: 외부 컴퓨터 40: 모바일 기기

Claims (10)

  1. 덮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제공되는 열전소자; 및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 수용되며, 인식태그가 부착된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사용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상품별 사용내역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베이스와 인식된 상품정보를 비교하여 표시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태그는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식태그의 이미지 촬상을 위한 카메라 또는 RFID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개별상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암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개별상품의 상품정보는 상품의 종류, 무게, 유통기한, 보관온도 또는 무게당 칼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상품별 사용내역은 일정기간 동안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표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의 온도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용기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보관온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일정 주기로 용기내 온도와 상기 보관온도를 비교한 후 스위칭단자를 보냉 또는 보온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의 온도 제어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휴대용 냉온장 용기를 이용한 표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 및 측정중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별상품의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기준중량을 추출하고, 상기 기준중량과 상기 측정중량의 차이값을 연산한 후, 상기 차이값에 중량당 칼로리량을 곱하여 소모 칼로리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온장 용기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공방법.
KR1020170162270A 2017-11-29 2017-11-29 휴대형 냉온장 용기 KR20190063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270A KR20190063298A (ko) 2017-11-29 2017-11-29 휴대형 냉온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270A KR20190063298A (ko) 2017-11-29 2017-11-29 휴대형 냉온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98A true KR20190063298A (ko) 2019-06-07

Family

ID=6685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270A KR20190063298A (ko) 2017-11-29 2017-11-29 휴대형 냉온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3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298A (zh) * 2020-04-17 2020-07-1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抽屉控制方法、装置、冰箱以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334A (ko) 1997-08-22 1999-03-15 이해규 회전 비행체 및 회전 원반 완구
KR20030004864A (ko) 2001-07-07 2003-01-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반유동·고염분·산성 조건의 미생물 순수배양용 선택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택배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334A (ko) 1997-08-22 1999-03-15 이해규 회전 비행체 및 회전 원반 완구
KR20030004864A (ko) 2001-07-07 2003-01-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반유동·고염분·산성 조건의 미생물 순수배양용 선택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택배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298A (zh) * 2020-04-17 2020-07-1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抽屉控制方法、装置、冰箱以及设备
CN111397298B (zh) * 2020-04-17 2021-11-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抽屉控制方法、装置、冰箱以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2173B1 (en) Estimating temperature
US93415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liquid food products
AU202120323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 least semi-autonomous meal storage and cooking via fluid immersion
US20090188396A1 (en) Oven with wireless temperature sensor for use in monitoring food temperature
EP3545249B1 (en) Portable container with temperature regulator
CN104739168A (zh) 智能汤匙
CA2925157C (en) Energy saving food display cabinet
JP2004138331A (ja) 無線タグ付き容器および食品調理器
KR20190063298A (ko) 휴대형 냉온장 용기
CN105943399A (zh) 奶瓶
WO2020065344A2 (en) Food packaging selection and handling
KR2015012415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7026A (ko) 무게측정이 가능한 젖병 보온기 및 이를 이용한 수유관리 방법
US20220211278A1 (en) Emotion-aware smart refrigerator
JPWO2005015144A1 (ja) 測定装置
CN107709945A (zh) 被检体的使用无线能量传递的温度监测
US20220364780A1 (en) Measuring system for foodstuffs
KR102339319B1 (ko) 감지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 디바이스 시스템
KR101226105B1 (ko) 센서 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품질 관리 시스템
CN110398290A (zh) 自恒温红外温度传感器及应用其的产品
US20100089087A1 (en) Cold Probe for Cooling Liquids
EP42933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using the same
KR20190089660A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품의 열용량을 추정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냉장고 및 방법
CN206847753U (zh) 一种基于rfid的智能温度电子秤
CN212253316U (zh) 一种基于自助购物智能支付的家居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