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727A - 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727A
KR20190062727A KR1020170161219A KR20170161219A KR20190062727A KR 20190062727 A KR20190062727 A KR 20190062727A KR 1020170161219 A KR1020170161219 A KR 1020170161219A KR 20170161219 A KR20170161219 A KR 20170161219A KR 20190062727 A KR20190062727 A KR 2019006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ade
unit
blade
sensor unit
hom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5737B1 (en
Inventor
심명흠
Original Assignee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737B1/en
Publication of KR2019006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3Controlling cutting, cutting resulting in special shapes of the cutting line, e.g. controlling cutting positions, e.g. for cutting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a printe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6Alarms, indicators, or feed-disabling devices responsible to material breakage or exhaustion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includes: a movable blade unit provided to come in surface-contact with a fixed blade and reversed to an original position after moving forward to the fixed blade so as to cut paper discharged into a space with the fixed blade; and a sensing unit recognizing the original position, a position to be moved and a forward and reverse moving order of the movable blade.

Description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nd a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본 발명은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nd a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an original position of a movable blade, A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nd a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종래기술의 프린터의 경우, 가동날이 용지를 완전히 절단하지 못한 경우, 가동날이 고정날과 접하여 멈춘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가동날과 연결된 구동부는 정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과정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자신은 용지가 완전히 컷팅되었는지 또는 불완전하게 컷팅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가 없다. 그리고, 위와 같이,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 된 상태에서, 용지 배출 및 컷팅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용지걸림에 의한 jam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rinter, when the movable blade can not completely cut the paper, the movable blade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stopped in contact with the fixed blade. The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ovable blade rotates fully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printer itself can not recognize whether the paper has been completely cut or incompletely cut. If the paper discharge and cutting process is repeated while the paper is incompletely cut as described above, a jam due to paper jam will occur.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정날로 전진한 후 원위치로 후진하는 가동날과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가동날 유닛 및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도록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구비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날이 원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blade unit having a movable blade and a guide bar which are moved backward after advancing to a fixed blade, And a sensing unit including a first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or unit for recognizing the movement order,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turned on or off in the process of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fixed blade in the home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the moved posi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rder according to the state and arrangement order of the movable blade, thereby detecting incomplete cutting of the paper.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경우, 감지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알릴 수 있게 하고자 한다.And an alarm unit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displays a warning when the paper is incompletely cut, so that the user can notify whether the paper is incompletely cut or not.

가동날의 메인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을 제1센서부의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하여 가동날이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난다는 것을 감지부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후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가동날이 다시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고자 한다.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portion of the movable blade is disposed and formed so as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or portion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so that the movable blade is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where the first sensor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are turned on / The detection unit recognizes that the movable blade is out of the home position immediately after being moved, so that when the movable blade is cut off incompletely after the movable blade is removed from the home position, the movable blad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home position when external power is cut off.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는, 고정날과 면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 과의 사이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날로 전진한 후 원위치로 후진하는 가동날을 구비하는 가동날 유닛 및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nd a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includes a fixed blade, A movable blade unit having a movable blade moving backward, and a sensing unit recognizing the home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the moved posi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sequence.

가동날유닛은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가동날의 이동위치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vable blade unit includes a conveying member, and the conveying member includes a guide bar for providing a reference point for a moving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가이드바는 메인가이드부;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bar includes a main guide part; A sub guid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guide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enetra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main guide portion and the sub guide portion.

감지유닛은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를 구비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를 구비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또는 상기 서브가이드부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 위치하지 않을 때 온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having a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arranged to face opposite sides of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bar and a second senso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path,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arranged such that the main guide unit or the sub-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urned off when it is located in the sensing area, and turned on when it is not positioned.

감지유닛은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바가 원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guide bar is advanced and retracted from the home position, the sensing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turned on or off, , The moved posi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rder.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respectively turned off and 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blade is in the home position.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은 상기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vable blade is in the home position, 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part is arranged and formed so as to minimize a distance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so that the movable blade moves away from the home position as soon as the movable blade is moved forward.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는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guide part and the sub guide part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및 온/오프 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까지 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상태이다.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sequentially turned on / off and off / on in the off-on state,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movable blade to the fixed blade, Off state, the on / off state, and the on / off state, the paper is incompletely cut when the movable blade is moved backwar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procedure.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과정 중 어느 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section for warning the user when the sheet is in any of the process of incompletely cutting the sheet.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온/오프 및 온/온되고,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완전하게 컷팅되는 상태이다.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sequentially turned on / off and off / on in the off-on state,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movable blade to the fixed blade, Off state, on / off state, on / off state, and on / on state. When the movable blade is moved backwar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procedure, the sheet is completely cut.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외부전력이 차단된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xternal power is cut off when the movable blade is out of the home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blade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인쇄장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inting apparatus may include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고정날의 끝단은 상기 가동날의 끝단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vable blade is in the home position, the end of the fixed blade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movable blade by a certain distan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nd a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첫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에 감지유닛을 구비하여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함으로써, 인쇄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the detection unit of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recognizes the home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the moved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rder, thereby detecting incomplete cutting of the printing paper.

둘째, 사용자에게 인쇄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알려서, 불완전하게 컷팅된 용지를 제거함으로써, 용지걸림에 의한 jam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the user is informed of the incomplete cutting of the printing paper, thereby eliminating the incompletely cut paper,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jam due to the paper jam in advance.

셋째,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후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가동날이 다시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용지가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에 끼여서 jam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ly, when the movable blade is cut off incompletely after the movable blade is re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power such as the power failure is cut off, the movable blad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so that the jam is generated between the movable blade and the fixed bla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을 구비한 인쇄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 및 고정날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 및 감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 및 감지유닛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이 용지를 컷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figures for purposes of illustra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general view of a print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general view of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nd a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movable blade unit and the fixed blade of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vable blade unit and a sensing unit of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able blade unit and the sensing unit of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lade unit of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ting paper.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thereby indicating that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limited .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1, 2 and 5,

본 발명은,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 및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을 포함한 인쇄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가동날유닛(200) 및 감지유닛(50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10) including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00) and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00) provided in a print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wherein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 movable blade unit 200 and a sensing unit 50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s 2 to 4,

인쇄장치(10)의 일측에는 고정날(30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300)에 면접하여 가동날(210)이 구비된 가동날유닛(200)이 설치된다. A fixed blade 3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inting apparatus 10 and a movable blade unit 200 having a movable blade 210 is installed in the fixed blade 300.

가동날유닛(200)은 가동날(210) 및 상기 가동날(210)과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송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재(230)의 양측 하부에는 가이드기어(2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기어(232)가 구동부(M)와 연결된 복수개의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가동날(2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날유닛(200)은 배출되는 용지에 인쇄가 완료되면 용지를 절단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The movable blade unit 200 is composed of a movable blade 210 and a conveyance member 230 which is moved together with the movable blade 210. A guide gear 23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ing member 230. The guide gear 232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riving gear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M to move the movable blade 210 forward or backward . In addition, the movable blade unit 200 is pre-set to cut the paper when the printing is completed on the discharged paper.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날(300)이 인쇄장치(10)의 커버에 설치되며 가동날유닛(200)이 본체에 설치되나, 인쇄장치(10)의 타입에 따라 고정날(300)이 본체에 설치되고 가동날유닛(200)이 커버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fixed blade 300 is provided on the cover of the printing apparatus 10 and the movable blade unit 2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rinting apparatus 10, And the movable blade unit 200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가동날유닛(200)과 고정날(300) 사이로는 인쇄용지가 상방으로 배출되며, 가동날유닛(200)의 가동날(210)은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도록 고정날(300)을 향해 전진하며, 전진한 후에는 원위치로 후진된다. 상기 가동날(210)이 전진 및 후진하는 이동거리는 인쇄장치(10)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된다.The printing paper is discharged upward between the movable blade unit 200 and the fixed blade 300 and the movable blade 210 of the movable blade unit 200 advances toward the fixed blade 300 to cut the discharged paper , And backward to the home position after advancing. The moving distance at which the movable blade 210 advances and retreats is selectively set according to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printing apparatus 10. [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s 3, 4 and 6,

고정날(300)의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미도시) 등의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평소에는 고정날(300)의 전방이 상향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으나, 가동날(210)이 고정날(300)로 전진하는 경우, 상기 고정날(300)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가동날(210)이 고정날(300)을 탄성적으로 누름으로써, 인쇄용지의 컷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not shown)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ixed blade 300 so that the front of the fixed blade 300 is inclined upward. However, when the movable blade 210 is fixed to the fixed blade 300 When advancing, the fixed blade 300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movable blade 210 elastically presses the fixed blade 300 to smoothly cut the printing paper.

그리고, 가동날(210)의 양단에는 하부에 상향 경사진 경사돌기(21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인쇄용지(900)를 컷팅하면서, 상기 경사돌기(217)가 고정날(300)을 타고 넘어가면서 가위와 같은 전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lanting protrusions 217 are slope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movable blade 210 so that the slanting protrusions 217 are moved over the fixed blade 300 while cutting the printing paper 900 So that shear-like shearing function is performed.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s 5-7,

감지유닛(500)은 가동날(210)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함으로써, 인쇄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sensing unit 500 recognizes whether the printing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by recognizing the home position, the moved posi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ing sequence of the movable blade 210.

가동날(210)과 연결된 구동부(M)는 가동날(210)을 기설정된 이동거리만큼 전진시키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가동날(210)이 전진된 후에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한다.The driving portion M connected to the movable blade 210 rotates in one direction so as to advance the movable blade 210 by a predetermined movement distance and after the movable blade 210 is advanced, the movable blade 21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So as to be moved.

종래기술의 프린터의 경우, 배경기술 항목에 기술한 바와 같이, 가동날이 용지를 완전히 절단하지 못한 경우, 가동날이 고정날과 접하여 멈춘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가동날과 연결된 구동부는 정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과정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자신은 용지가 완전히 컷팅되었는지 또는 불완전하게 컷팅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가 없다. 그리고, 위와 같이,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 된 상태에서, 용지 배출 및 컷팅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용지걸림에 의한 jam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rinter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when the movable blade can not completely cut the paper, the movable blad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xed blade. The printer itself can not recognize whether the paper has been completely cut or incompletely cut because the printer has completely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n completely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gain. If the paper discharge and cutting process is repeated while the paper is incompletely cut as described above, a jam due to paper jam will occur.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가동날유닛(200)의 가이드바(250) 및 감지유닛(500)을 구비하여, 가동날(210)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함으로써, 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하여, 용지걸림에 의한 jam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movable blade unit 100 includes a guide bar 250 and a sensing unit 500 for moving the movable blade unit 210. The movable blade unit 200 includes a guide bar 250 and a sensing unit 500,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mplete cutting of the paper 900 and to prevent occurrence of a jam due to paper jam in advance by recognizing the home position, the moved posi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rd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s 3, 4 and 6,

가동날유닛(200)은 가동날(210) 및 상기 가동날(210)과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송부재(230)로 구성된다.The movable blade unit 200 is composed of a movable blade 210 and a conveyance member 230 which is moved together with the movable blade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재(230)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날(210)과 결합되나, 이중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이송부재(230)와 상기 가동날(2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ying member 230 is coupled to the movable blade 210 as a separate component, but the conveying member 230 and the movable blade 210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a double injection method or the like It is possible.

가동날(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 부분이 완만한 V자 형상이며, 중앙부에는 절단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날(210)의 절단홈(215) 부분 전부가 고정날(300)에 전진되는 경우, 용지(900)가 완전히 절단이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vable blade 210 has a gentle V-shaped blade portion, and a cutting groove 215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When all of the cutting grooves 215 of the movable blade 210 are advanced to the fixed blade 300, the paper 900 is completely cu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날(210)의 절단홈(215) 부분까지만 상기 고정날(300)에 전진되어, 용지가 상기 절단홈(215)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남겨두고 나머지가 모두 절단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지를 티슈 뽑듯이 손으로 뜯어 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portion of the cutting edge 215 of the movable blade 210 is advanced to the fixed blade 300 so that only the portion of the pap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utting groove 215 is cut off . In this case, the paper can be pulled out by hand as if pulling out a tissue.

이송부재(230)는 가동날(210)의 이동위치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 가이드바(250)를 포함한다. The conveying member 230 includes a guide bar 250 that presents a reference point for the moving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210.

상기 가이드바(250)는 이송부재(230)의 하면 후방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가이드부(253),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257)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상기 서브가이드부(257)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55)로 구성된다. The guide bar 250 may be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ing member 230. The guide bar 250 may include a main guide part 253 and a sub guide part 253 spaced apart from the main guide part 25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enetration part 255 formed between the main guide part 253 and the sub guide part 257.

여기서, 메인가이드부(253)와 서브가이드부(257)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가이드부(253)의 길이가 서브가이드부(257)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은 가동날(210)과 후술할 제1, 제2센서부(510, 520)와 관계에서 가동날(210)의 위동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900)가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컷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Here, the main guide portion 253 and the sub guide portion 257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main guide portion 253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b guide portion 257. The above configuration recognizes the moving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210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ing sequence of the movable blade 210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ensor units 510 and 520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cut is incomplet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감지유닛(500)은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로 구성된다.The sensing unit 500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510 and a second sensor unit 520.

상기 제1센서부(510)는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는 각각 가동날(210)과 결합된 가이드바(250)의 이동 경로상의 양 측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The first sensor unit 510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511 and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513.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511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513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blade 210, And are opposed to both sides of the movement path of the combined guide bar 250.

제1발광부(511)에서는 빛이 방출되고, 제1수광부(513)에서는 상기 제1발광부(511)에서 방출되는 빛이 입사된다. Light is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511 and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511 is incident on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513.

가이드바(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가이드부(253),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257)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상기 서브가이드부(257)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55)로 구성된다. The guide bar 250 includes a main guide portion 253, a sub guide portion 257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guide portion 253, And a penetrating portion 255 formed between the guide portions 257.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날(210)이 이동되면서,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1발광부(511)에서 방출되는 빛이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에 의해 막혀서 제1수광부(513)로 입사되지 못하므로, 제1센서부(510)는 오프(off)된 상태에 있게 된다.7, when the movable blade 210 is moved, the main guide part 253 or the sub guide part 257 of the guide bar 250 is rotated by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511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part 511,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511 is blocked by the main guide portion 253 or the sub guide portion 257 and is not incident on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513, 1 sensor unit 510 is in an off state.

그리고,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 사이를 이탈하는 경우는 제1발광부(511)에서 방출되는 빛이 제1수광부(513)로 입사되므로, 제1센서부(510)는 온(on) 된다. When the main guide portion 253 or the sub guide portion 257 separates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511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513,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511 passes throug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513,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is turned on.

즉, 제1센서부(510)는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off), 위치하지 않을 때 온(on)이 된다.That is, the first sensor unit 510 is turned off when the main guide unit 253 or the sub guide unit 257 is positioned in its sensing area, and is turned on when it is not positioned.

제2센서부(520)는 제2발광부(522)와 제2수광부(524)로 구성되며, 제1센서부(510)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발광부(522)와 제2수광부(524) 역시, 가동날(210)과 결합된 가이드바(250)의 이동 경로상의 양 측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제1센서부(510)와 마찬가지로,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off), 위치하지 않을 때 온(on)이 된다.The second sensor unit 520 includes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522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524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unit 510.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522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524 are also disposed opposite to both sides of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bar 250 coupled with the movable blade 210, Similarly, when the main guide portion 253 or the sub guide portion 257 is positioned in its sensing area, it is turned off.

감지유닛(500)은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가이드바(250)가 고정날(300)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지, 상기 가동날(210)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10 in the process of the guide bar 250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 30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home position or the moved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210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ing sequence by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rder of the sensor unit 520 on and off, Detects incomplete cut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2개의 센서부인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센서부(510, 520) 사이로 이동되는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및 서브가이드부(257)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510 and a second sensor unit 520 which are two sensor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 units The main guide part 253 and the sub guide part 257 of the guide bar 250 which are moved between the guide grooves 510 and 5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위와 같은 구성상 특징을,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s 6 and 7-a,

인쇄장치 상에서, 가동날(210) 및 가동날(210)과 결합된 가이드바(250)가 원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가 제1센서부(510)인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에 의해, 제1발광부(511)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제1수광부(513)로 입사되지 못하므로, 제1센서부(510)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센서부(520)는 온 상태에 있게 된다. When the guide bar 250 coupled to the movable blade 210 and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on the printing apparatus, the main guide portion 253 of the guide bar 25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An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511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513. Therefore,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511 is not incident on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513 by the main guide portion 253,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is in the off state. Then, the second sensor unit 520 is in the ON state.

즉, 바꾸어 말하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both turned on / off, since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home position, the sensing unit (not shown) (210) is in the home position.

도 7-b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7-b,

가동날(210)이 고정날(300) 방향으로 전진을 시작하게 되면, 가이드바(250)의 관통부(255)가 제1센서부(510)에 위치하므로, 이 경우,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모두 온/온이 된다.The penetration portion 255 of the guide bar 250 is located at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so that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both on and off.

도 7-c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7-c,

가동날(210)이 고정날(300) 방향으로 전진을 계속하게 되면, 가이드바(250)의 관통부(255)가 제1센서부(510)에 위치하고, 메인가이드부(253)가 제2센서부(520)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는 각각 온/오프 된 상태에 있게 된다. When the movable blade 210 continues to advance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blade 300, the penetration portion 255 of the guide bar 2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and the main guide portion 253 is positioned at the second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in the ON / OFF state, respectively.

도 7-d 및 도 8을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s 7-d and Figure 8,

가동날(210)이 고정날(300) 방향으로 전진을 계속하게 되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는 순차적으로, 각각 오프/오프(도 7-d) → 온/오프(도 8-a) → 온/온(도 8-b) → 온/오프(도 8-c) 되는 배열순서를 가지게 된다. When the movable blade 210 continues to advance toward the fixed blade 300,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sequentially turn on / off (FIG. 7-d) On / off (Figure 8-a) → on / on (Figure 8-b) → on / off (Figure 8-c).

위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는, 가동날(210)의 절단홈(215)이 고정날(300)까지 완전히 도달되지 못하여 인쇄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인쇄용지(900)가 컷팅되는 과정에서, V자 형태의 가동날(210)의 가장자리 칼날 부분부터 중앙부에 형성된 절단홈(215)까지 도달되지 못한 상태이다.In any of the above states, the cutting groove 215 of the movable blade 210 is not completely reached to the fixed blade 300, so that the printing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That is,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printing paper 900, the edge of the V-shaped movable blade 210 can not reach the cutting groove 215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그리고, 위와 같이,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 된 상태에서, 위 과정과 역순으로, 가동날(210)은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Then, in a state where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blade 21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process.

감지부(미도시)는 위와 같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가동날(210)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인쇄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move the movable blade 2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rder in which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turned on or off, And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printing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만약, 센서부가 1개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센서부는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지 없는지만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가동날(210)이 어느 위치까지 이동되었다가 되돌아왔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없다.If only one sensor unit is installed, the sensor unit can recognize whether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home position or not, so that it can not recognize whether the movable blade 210 has been moved to a certain position .

만약, 센서부가 2개이더라도,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와 서브가이드부(257)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면, 위 2개의 센서부가 모두 온/온 또는 모두 오프/오프 되는 경우의 수만 발생하므로, 가동날(210)이 전진하는 경우인지 또는 후진하는 경우인지 여부를 알 수 없다.If the main guide portion 253 and the sub guide portion 257 of the guide bar 250 have the same length even if there are two sensor portions, if all of the two sensor portions are turned on / off or both are turned off / off It can not be known whether the movable blade 210 is moving forward or backward.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2개의 센서부인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센서부(510, 520) 사이로 이동되는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및 서브가이드부(257)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서로 상이한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및 서브가이드부(257)가 제1, 제2센서부(510, 520) 사이로 이동되면서,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및 온/오프 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된 후, 다시 역순으로 돌아오게 되는 배열 순서를 감지부가 인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동날(210)이 어느 위치까지 이동되었다가 다시 되돌아오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인쇄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510 and a second sensor unit 520 which are two sensor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 units 510, The lengths of the main guide portion 253 and the sub guide portion 257 of the guide bar 2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7 and 8, the main guide portion 253 and the sub guide portion 257 of the guide bar 250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 portions 510 and 520 Off state, on / off state, on / off state, and on / off state, sequentially after being turned on / off and turned on / off in the home position off / , The detection unit can recognize the arrangement order that is returned in the reverse ord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movable blade 210 is moved to a certain position or not, and thu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rinting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위와 같이,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경우, 감지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게 하거나, 램프가 깜빡거리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larm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displaying a warning when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 Accordingly, when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a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or a lamp may be configured to blink so that the user can notify whether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or not.

사용자가 알람부에 의해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되었음을 인식한 후에는, 프린터 본체에서, 가동날(210) 또는 고정날(300)이 설치된 커버를 오픈하여, 불완전하게 컷팅된 용지(900)를 제거하면 된다. After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by the alarm unit, the cover provided with the movable blade 210 or the fixed blade 300 is opened in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and the incompletely cut paper 900 is opened, .

이로써,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용지(900)배출 및 컷팅 과정 반복에 의한 jam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Thus, in the state where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jam by repeating the process of ejecting the paper 900 and cutting the paper 900 in advance.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s 6 and 7-a,

본 발명은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커팅되었든 또는 용지(900)가 완전하게 컷팅되었든 가동날(210)이 고정날(300)로 전진하여 배출되는 용지(900)를 절단한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후진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After the movable blade 210 is advanced to the fixed blade 300 to cut the discharged paper 900 regardless of whether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or the paper 900 is completely cut, It is set to backward.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정전 등이 일어나 외부전력이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된된 경우,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교환방식 전원공급 장치) 등의 장치에 의해 가동날(210)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The movable blade 210 is set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even when external power is cut off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when the movable blade 210 is out of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when external power such as a power failure is removed, the movable blade 210 can be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by a device such as an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가동날(210)은 원위치에 있게 되고,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both turned on / off,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home position, and the sensing unit (not shown) (210) is in the home position.

그리고,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가동날(210)의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은 제1센서부(510)의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은 제1센서부(510)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은 상기 제1센서부(510)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동날(210)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When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home position, 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part 253 of the movable blade 21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or part 510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is minimized And is formed. 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part 253 is preferably formed to be short so as to minimiz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ensor part 510. 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part 253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part 510 may be minimized. This is beca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blade 210 is formed so as to deviate from the home position as soon as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520 are moved forward from the home position where they are respectively turned on and off.

만약,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이 길게 형성되어 제1센서부(510)와의 이격거리가 길게 형성된다면, 가동날(210)이 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된 경우에도, 감지부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If 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part 253 is long and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ensor part 510 is long, even if the movable blade 210 is mov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because the movable blade 210 can be erroneously recognized as being in the home position.

위와 같이, 가동날(210)이 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된 경우에도, 감지부(미도시)가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에는, 정전 등 외부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가동날(210)이 진정한 원위치에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상기 가동날(210)이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게 된다. In the case where the detection unit (not shown) mistakenly recognizes that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home position even when the movable blade 210 is mov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described above, , The movable blade 210 is mistaken as being in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movable blade 210 is not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날(210)의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을 제1센서부(510)의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하여 가동날(210)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난다는 것을 감지부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를 벗어난 후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가동날(210)이 고정날(300)과 접한 상태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동날(210)이 다시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용지(900)가 가동날(210)과 고정날(300) 사이에 끼여서 jam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portion 253 of the movable blade 210 is arranged and formed so as to minimiz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first sensor portion 510, The detection unit recognizes that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out of the home position as soon as they are moved forward from the home position in which 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respectively turned on and off, The movable blade 210 does not stop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ixed blade 300 when the external power such as a power failure is interrupted in a state where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off after the movable blade 210 is cut off incomplet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jam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paper 900 is sandwiched between the movable blade 210 and the fixed blade 300. [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s 1, 2 and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날(210)은 본체에 구비되어 있고, 고정날(300)은 커버에 구비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고정날(300)이 본체에 구비되고 가동날(210)이 커버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전술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blade 210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the fixed blade 300 is provided on the cover.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xed blade 30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movable blade 210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고정날(300)의 끝단은 상기 가동날(210)의 끝단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vable blade 210 is in the home position, the end of the fixed blade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movable blad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으로 인해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가동날(210)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고정날(300)이 구비된 커버를 가동날(210)이 구비된 본체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오픈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커버를 오픈한 후 불완전하게 컷팅되어 구겨져 있는 상태의 용지(900)를 꺼냄으로써, jam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xternal power is cut off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while the paper 900 is incompletely cut, the movable blade 2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jam from being generated by opening the cover and then cutting off the paper 900 that is incompletely cut and wrinkled.

도 8-d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8-d,

가동날(210)이 고정날(300)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온/오프 되고, 이후, 온/온 상태까지 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가동날(210)이 후진하여 홈 상태에 위치한 경우, 용지(900)가 완전하게 컷팅되는 정상적인 가동 상태를 나타낸다.The first sensor unit 5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20 are turned on / off, turned on / off in the off-on state,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vable blade 210 to the fixed blade 300 Off state, on / off, on / off, on / off, and then on / off state, and then the movable blade 210 is moved backward to the groove state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 And shows a normal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paper 900 is completely cu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인쇄장치 100: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200: 가동날유닛 210: 가동날
215: 절단홈 217: 경사돌기
230: 이송부재 232: 가이드기어
250: 가이드바 253: 메인가이드부
255: 관통부 257: 서브가이드부
300: 고정날 500: 감지유닛
510: 제1센서부 511: 제1발광부
513: 제1수광부 520: 제2센서부
522: 제2발광부 524: 제2수광부
900: 용지 M: 구동부
10: printing apparatus 100: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200: movable blade unit 210: movable blade
215: cutting groove 217: oblique projection
230: conveying member 232: guide gear
250: guide bar 253: main guide part
255: penetrating part 257: sub guide part
300: fixed blade 500: sensing unit
510: first sensor unit 511: first light emitting unit
513: first light receiving section 520: second sensor section
522: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524: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900: paper M: driving part

Claims (14)

고정날과 면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 과의 사이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날로 전진한 후 원위치로 후진하는 가동날을 구비하는 가동날 유닛; 및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감지유닛;
을 포함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A movable blade unit disposed in a face-to-face relationship with the fixed blade and having a movable blade that moves backward to the fixed blade so as to cut the paper discharged between the fixed blade and the fixed blade; And
A sensing unit recognizing the home position, the moved posi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rder of the movable blade;
And a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유닛은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가동날의 이동위치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blade unit includes a conveying member,
The conveying member
And a guide bar for providing a reference point for a moving position of the movable bla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메인가이드부;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
를 포함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bar may include a main guide part;
A sub guide unit spaced apart from the main guide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main guide portion and the sub guide portion;
A movable blade position sensing module for sensing a movable bla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를 구비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를 구비하는 제2센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또는 상기 서브가이드부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 위치하지 않을 때 온 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ing unit
A first sensor unit including a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arranged to be oppos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ar along the movement path; And
A second senso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unit and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disposed to face opposite sides of the guide bar in a moving path;
/ RTI >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Wherein the main guide part or the sub guide part is turned on when the main guide part or the sub guide part is located in the sensing area of the main guide part or the sub guide part when the sub guide part is not position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바가 원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In the process of the guide bar advancing and retracting from the home position,
And recognizes the home position, the moved posi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rder of the movable blad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state and arrangement order in which the first sensor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are turned on or off.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If it is off / on,
Wherein the movable blade is in its home posi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은 상기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movable blade is in the home position,
Wherein the rear end of the main guide unit is disposed and formed so as to minimize a distance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so that the movable blade deviates from its original position as soon as the movable blade is moved forward from the original posi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는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guide part and the sub guide part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및 온/오프 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까지 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In the course of moving the movable blade toward the fixed blade,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fter being turned on / off and turned on / off in the home position off / on state,
After a state has been reached, that is, one of off / off, on / off, on / on, and on / off state sequentially,
Wherein when the movable blade is moved backwar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process, the sheet is incompletely cu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과정 중 어느 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case where the paper is incompletely cut,
And further comprising an alarm section for displaying a warning to the user.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온/오프 및 온/온되고,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완전하게 컷팅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In the course of moving the movable blade toward the fixed blade,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fter being turned on / off and turned on / off in the home position off / on state,
On / off, on / off, on / on, on / off, and on /
Wherein when the movable blade is moved backwar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process, the sheet is completely cu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외부전력이 차단된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external power is cut off when the movable blade is out of the home position,
And the movable blade is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인쇄장치.A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movable blade position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고정날의 끝단은 상기 가동날의 끝단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인쇄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end of the fixed blade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movable bla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movable blade is in the home position.
KR1020170161219A 2017-11-29 2017-11-29 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045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19A KR102045737B1 (en) 2017-11-29 2017-11-29 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19A KR102045737B1 (en) 2017-11-29 2017-11-29 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27A true KR20190062727A (en) 2019-06-07
KR102045737B1 KR102045737B1 (en) 2019-11-19

Family

ID=6684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19A KR102045737B1 (en) 2017-11-29 2017-11-29 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73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965A (en) * 2011-12-01 2013-06-10 Toshiba Tec Corp Cutter mechanism of printer and printer with cutter mechanism
JP5538778B2 (en) * 2009-08-27 2014-07-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Cutting device, recording device
JP2014217959A (en) * 2013-05-01 2014-11-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Control method for printer device and printer device
JP5941657B2 (en) * 2011-10-31 2016-06-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Printer with cut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778B2 (en) * 2009-08-27 2014-07-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Cutting device, recording device
JP5941657B2 (en) * 2011-10-31 2016-06-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Printer with cutter
JP2013111965A (en) * 2011-12-01 2013-06-10 Toshiba Tec Corp Cutter mechanism of printer and printer with cutter mechanism
JP2014217959A (en) * 2013-05-01 2014-11-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Control method for printer device and prin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737B1 (en)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605A (en) Shredding machine with contact-type control switch assembly
US9440469B2 (en) Paper discharge mechanism, printing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US7661612B2 (en) Shredder
CN102754109A (en) Card reader
US9364964B2 (en) Cutter and recorder
KR100944514B1 (en) Portable printer having cutting apparatus of manual type
EP2062703B1 (en) Sheet cutter
US20090133554A1 (en)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object is completely cut off and cutting device using such method
WO2007145952A3 (en) Card connector with double cam
KR20190062727A (en) 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3184765A (en) Sheet dischar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336003A (en) Label printer
US8333377B2 (en) Paper ejector unit
KR930003036B1 (en) Card connector
CN107820465B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KR100737196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sheets and method of processing paper sheets
US20130239768A1 (en) Configurable cutter mechanism for a printer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cutter mechanism for a printer
US9586423B2 (en) Tape cartridge and tape feeding apparatus
US10576760B2 (en) Printer using roll paper
US20200156280A1 (en) System for extracting cut laminar materials for cutting machines of flexible laminar materials
KR19980081019A (en) Printer and Control Method
JP6624902B2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JP6545600B2 (en) Printing unit and printer
US945110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75393B2 (en) Carrier tape c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