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328A -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328A
KR20190062328A KR1020190005264A KR20190005264A KR20190062328A KR 20190062328 A KR20190062328 A KR 20190062328A KR 1020190005264 A KR1020190005264 A KR 1020190005264A KR 20190005264 A KR20190005264 A KR 20190005264A KR 20190062328 A KR20190062328 A KR 20190062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tank
vehicle
pum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4270B1 (en
Inventor
고세훈
기광택
서경진
이민규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9000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70B1/en
Publication of KR2019006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3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18Plastics material, e.g. polyester re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33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ea tank for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deflection of the vicinity of a through hole of a low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rea tank for a vehicle comprises: an upper tank having an opened lower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s to form a space therein to store a fluid; a lower tank which has an opened lower portion, is dented downwards to form a space therein to store a fluid, allows an edge of an upper surface thereof to be coupled to an edge of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on a dented lower portion thereof; a lower baffle which has a shape protruding towards the internal space of the lower tank on the inner side of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is arranged along an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has a prescribed height; and an upper baffle which has a shape protruding towards the internal space of the upper tank on the inner 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tank, is arranged on a position of the lower tank facing the lower baffle when the upper and the lower tank are coupled, and has a prescribed height.

Description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최근 환경오염에 관한 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차량의 경우 친환경 자동차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이 대부분이며, 앞으로도 상당기간 이러한 대세는 유지될 것을 보인다.Recently, as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s an issue, eco-friendly technologies for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are attracting atten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vehicles,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is actively under way. However, most of the vehicles are still using gasoline or diesel as fuel, and this trend seems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에서는 엔진이 작동될 시 배기가스가 발생되고, 특히 디젤 엔진의 경우는 다량의 질소산화물(NOx)을 함유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질소산화물(NOx)은 연소 온도가 높아질수록 양도 증가하고, 외부 배출 시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함에 따라, 통상 질소산화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엔진의 연소 온도를 제어함은 물론 배기장치 쪽에 촉매를 설치하여 정화하는 방식을 실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 vehicle, an exhaust gas is generated when an engine is operated,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iesel engine, exhaust ga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nitrogen oxides (NOx)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the combus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 amount of nitrogen oxides (NOx) increases as the combustion temperature increases and serious air pollution occurs when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nitrogen oxides,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engine is controlled, So that a method of installing and cleaning is performed.

종래에는 디젤 차량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정화를 위해 요소 첨가 선택적 촉매 반응 시스템(UREA-SCR : Urea-Selective Catalyst Reduction)이 적용되었다. 여기서 요소 첨가 선택적 촉매 반응 시스템은, 질소산화물 센서 등 각종 센서와 요소수 분사 제어장치를 통해 배기관 내에 요소수를 정밀하게 분사시키고, 분사된 요소수가 배기가스 열에 의해 열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변환되며, 변환된 암모니아는 SCR 촉매에서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물과 질소로 분해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요소수를 저장하는 탱크 및 요소수를 제공하는 요소수 펌프 등이 차량에 탑재되어야 한다.Conventionally, Urea-Selective Catalyst Reduction (UREA-SCR) has been applied to purify nitrogen oxides emitted from diesel vehicles. Here, the selective catalytic reaction system including the urea injection precisely injects the urea water into the exhaust pipe through various sensors such as the nitrogen oxide sensor and the urea water injection control device, the injected urea water is pyrolyzed by the exhaust gas heat and converted into ammonia, Ammonia reacts with nitrogen oxides in the SCR catalyst to decompose them into water and nitrogen, thereby reducing nitrogen oxides in the exhaust gas. In order to utilize this technique, the vehicle must be equipped with a tank for storing urea water in the vehicle and a urea water pump for supplying urea water.

한편, 종래에는 요소수 탱크에 형성된 관통홀에 요소수 펌프를 삽입하고,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 펌프를 결합시켰는데, 요소수 펌를프 융착하는 과정에서 관통홀 주변에 가압이 됨으로써 관통홀 주변의 융착부가 Z축으로 쳐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e prior art, the urea water pump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rea water tank, and the urea water pump is connected to the urea water tank using the heat fusion method. In the process of fusing the urea water pum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sed portion around the through hole is struck by the Z axi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523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523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부탱크의 상부 내측면에 상부배플을 마련하여 펌프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상부배플이 하부펌프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펌프를 융착할 시 하부탱크의 관통홀 주변이 Z축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pper baffle on an upper inner side surface of an upper tank to support a lower pump in a process of fusing a pum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prevent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from being stuck in the Z ax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탱크; 상부가 개방되고 하방으로 만입되어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가 상부탱크의 하면 테두리와 결합되고, 만입된 하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탱크; 하부탱크의 하부 내측면에서 하부탱크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이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고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하부배플; 및 상부탱크의 상부 내측면에서 상부탱크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이며,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결합하였을 시 하부탱크의 하부배플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상부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liptical water tank for a vehicle, comprising: an upper tank having a lower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ly and having a space for storing fluid therein; A lower tank having a top opened and a downwardly recessed space for storing a fluid therein, an upper rim coupled with a lower rim of the upper tank,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rim of the upper tank; A lower baffle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tank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tank and is formed along the rim of the through hole and has a constant height; And an upper baffle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tank from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tank and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wer baffle of the lower tank when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

하부탱크의 관통홀에는 펌프가 삽입되고, 펌프는 관통홀의 테두리와 융착될 수 있다.The pump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ank, and the pump can be welded to the rim of the through hole.

펌프의 융착시 관통홀 주변과 함께 하부배플이 상부탱크를 향해 가압되며, 가압되는 하부배플은 상부탱크의 상부배플에 의해 지지되어 하부탱크 관통홀 주변의 Z축 쳐짐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pump is fused, the lower baffle is pressed toward the upper tank together with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ower baffle to be pressurized is supported by the upper baffle of the upper tank so that the z-axis deflection around the lower tank through hole can be prevented.

상부배플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배플과 제2배플로 구성되고, 제1배플과 제2배플은 각각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baffle is constituted by a first baffle and a second baffl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each extending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하부배플의 전방부는 제1배플과 마주하고, 하부배플의 후방부는 제2배플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baffle faces the first baffl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baffle faces the second baffle.

제1배플의 배플편과 제2배플의 배플편은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affle piece of the first baffle and the baffle piece of the second baffle can be arranged to be shift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상부탱크 상부의 내측면에는 제1배플 또는 제2배플로부터 차량 주행방향을 따라 이격된 크로스배플이 마련되며, 크로스배플은 절곡된 단면을 가지며,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하부배플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tank is provided with a cross baffle spaced from the first baffle or the second baffle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cross baffle has a bent cross section, and the portion protruded by bending is formed to face the lower baffle .

제1배플과 제2배플은 각각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되고, 크로스배플의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은 배플편의 사이 지점을 향할 수 있다.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each comprise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extending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Lt; / RTI >

상부탱크의 측면 중 제2배플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은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일 수 있다.The sid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ffle of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may b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크로스배플은 제1배플의 외측으로 마련되며, 상부탱크의 측면 중 크로스배플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은 차량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면일 수 있다.The cross baffle is provided outside the first baffle, and a sid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cross baffle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tank may be a surfac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상부배플과 하부배플은 상부탱크와 하부탱크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The upper baffle and the lower baffle may be in such a state that the respective opposite ends of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is completed.

하부배플은 하부탱크의 관통홀을 통해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펌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affle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ump that is thermally weld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ank.

상부탱크와 상부배플은 일체로 성형되며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The upper tank and the upper baffle may be integrally molded and made of a plastic material.

하부탱크와 하부배플은 일체로 성형되며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The lower tank and the lower baffle are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 제조방법은, 상부탱크, 상부배플, 하부탱크 및 하부배플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단계; 및 상부탱크의 하면부 테두리와 하부탱크의 상면부 테두리를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n upper tank, an upper baffle, a lower tank and a lower baffle by injection molding; And joining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tank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tank using a heat welding method.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에는, 펌프를 하부탱크의 하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부탱크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펌프를 가압하여 펌프의 테두리를 하부탱크 관통홀의 테두리 외측면에 열융착하는 단계; 및 펌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joining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inserting the pump into the lower tank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Pressurizing the pump to thermally fuse the rim of the pump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of the lower tank through hole; And releasing and cool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ump.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부배플과 하부배플을 각각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the upper baffle and the lower baffle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부탱크의 상부 내측면에 상부배플을 마련하여 펌프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상부배플이 하부펌프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펌프를 융착할 시 하부탱크의 관통홀 주변이 Z축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upper baffle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tank to support the lower pump in the process of fusing the pum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in the Z-axis from being stuck.

또한, 제1배플과 제2배플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급제동 등으로 인해 탱크 내의 요소수가 출렁거리며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유동할 시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들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유동하는 요소수의 흐름을 분산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en the number of elements in the tank is fluctuated due to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or the like, ,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dispersed in the flow of the urea water flowing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뿐만 아니라, 제1배플의 배플편과 제2배플의 배플편을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요소수의 흐름을 두 번 분산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유동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disposing the baffle pieces of the first baffle and the baffle pieces of the second baffle shifted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low of the urea water can be dispersed twice,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flow noise.

더 나아가, 크로스배플의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배플편 사이 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배플 및 제2배플을 통해 분산된 요소수의 흐름이 크로스배플의 돌출 부분에 의해 다시 한번 분산됨으로써,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ortion projecting by the bending of the cross baffle is formed so as to face the point between the baffle pieces, whereby the flow of the urea water distributed through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is dispersed again by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cross baffle ,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아울러, 상부탱크의 측면 중 제2배플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크로스배플을 마련하지 않고도 제한된 탱크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ide surfac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ffle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as an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use the space inside the limited tank without additional cross baffles and to further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

더 나아가, 펌프가 삽입되는 관통홀 주변에 하부배플을 마련함으로써, 펌프를 보호할 수 있고, 겨울철과 같이 요소수가 얼게되는 경우에 전체 요소수가 융해되지 않더라도 하부배플과 펌프 사이에 있는 요소수만 융해되면 요소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과 같이 요소수가 얼게 되는 경우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요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the lower baffle around the through hole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the pump can be protected, and when the urea water is frozen as in winter, only the number of elements between the lower baffle and the pump is melted It is possible to supply urea water more stably even when the number of elements is frozen as in win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의 상부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의 하부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에서,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결합된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에서, 펌프를 하부탱크에 융착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에서, 펌프가 하부탱크에 융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요소수 탱크 제조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n upper tank of an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lower tank of an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re combined.
4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ump is fused to the lower tank in the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ump is welded to a lower tank in a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element numb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sceptible to various change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 or "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의 상부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의 하부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결합된 상태의 투시도이고, 도 4는 펌프를 하부탱크에 융착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펌프가 하부탱크에 융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n upper tank of an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lower tank of a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ump is fused to the lower tank,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ump is fused to the lower tank.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는 상부탱크(100), 상부탱크(100)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상부배플(110), 하부탱크(200) 및 하부탱크(20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배플(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펌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의 세부 구성 및 특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1 to 3, an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ank 100, an upper baffle 110 formed on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a lower tank 200, And a lower baffle 120 formed on a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tank 200. The lower baffle 120 may further include a pump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부탱크(10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상부탱크(100)는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탱크(100)를 뒤집어 놓은 상태이다. 추후 설명하겠지만 상부탱크(100)의 하면 테두리는 하부탱크(200)의 상면 테두리와 결합되어 상부탱크(100) 및 하부탱크(2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tank 100 may have a lower opening and a space protruding upward to store fluid therein. The upper tank 100 in FIG. 1 i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tank 100 is turned upside down to explain the in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tank 100 may be engaged with the upper edge of the lower tank 200 to couple the upper tank 100 and the lower tank 200 together.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배플(110)은 상부탱크(100)의 상부 내측면에서 상부탱크(10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부배플(110)은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를 결합하였을 시 하부탱크(200)의 하부배플(210)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배플(110)이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를 결합하였을 시 하부탱크(200)의 하부배플(210)과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이유는 펌프(300)의 융착 시 하부탱크(200)의 하부배플(210)을 지지함으로써 하부탱크(200) 관통홀 주변의 Z축 쳐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펌프(300)를 융착할 시 하부탱크(200)의 관통홀 주변과 함께 하부배플(210)이 상부탱크(100)를 향해 가압되며, 이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부탱크(200)의 관통홀 주변이 Z축으로 쳐질 수 있게 되는데, 상부배플(11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배플(210)과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Z축으로 쳐지는 하부배플(21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융착과정에서 상부배플(110)이 하부배플(120)을 지지함으로써 하부탱크(200) 관통홀 주변이 Z축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and 3, the upper baffle 11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tank 100. The upper baffle 11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wer baffle 210 of the lower tank 200 when the upper tank 100 and the lower tank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reason why the upper baffle 110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a position facing the lower baffle 210 of the lower tank 200 when the upper tank 100 and the lower tank 200 are coupled is that the pump 300 The lower baffle 210 of the lower tank 200 is supported to prevent the Z axis from being stuck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ank 200. [ 4 and 5, when the pump 300 is fused, the lower baffle 210 is pressed toward the upper tank 100 together with the peripheries of the through holes of the lower tank 200, The upper baffle 11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height at a position facing the lower baffle 210 as shown in FIG. 3, The lower baffle 210 stuck to the Z axis can be supported. That is, in the welding process, the upper baffle 110 supports the lower baffle 120 to prevent the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of the lower tank 200 from being stuck in the Z-axis.

한편, 상부배플(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배플(112)과 제2배플(1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배플(112)는 하부배플(210)의 전방부와 마주할 수 있고, 제2배플(114)를 하부배플(210)의 후방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1, the upper baffle 110 may include a first baffle 112 and a second baffle 11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first baffle 112 may face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baffle 210, and the second baffle 11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baffle 210.

좀 더 구체적으로, 제1배플(112)과 제2배플(114)은 각각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플(112)는 3개의 배플편, 제2배플(114)는 4개의 배플편으로 구성으로 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제1배플(112) 및 제2배플(114)을 구성하는 배플편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제한되지 않으며, 펌프(300)의 융착 시 하부탱크(200)의 관통홀 주변의 Z축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개수의 복수 배플편이 제1배플 및 제2배플을 구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baffle 112 and the second baffle 114 may each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extending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disposed side by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affle 112 may be configured as three baffle pieces and the second baffle 114 as four baffle pieces as shown in FIG. 1, The number of baffle pieces constituting the first baffle 112 and the second baffle 114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a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when the pump 300 is fused to effectively prevent deflection of the Z axis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ank 200 Multiple numbers of multiple baffle pieces may constitute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또한, 제1배플(112)과 제2배플(114)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급제동 등으로 인해 탱크 내의 요소수가 출렁거리며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유동할 시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들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유동하는 요소수의 흐름을 분산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baffle 112 and the second baffle 114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number of elements in the tank is caused by the rapid braking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isperses the flow of the urea water flowing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제1배플(110)의 배플편과 제2배플(120)의 배플편은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배플(110)의 배플편과 제2배플(120)의 배플편이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제1배플(110)의 복수의 배플편을 지나면서 분산된 요소수의 흐름이 제2배플편(120)의 복수의 배플편을 지나면서 다시 한번 분산되게 되고, 그 결과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배플(110)의 배플편과 제2배플(120)의 배플편을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요소수의 흐름을 두 번 분산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유동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affle pieces of the first baffle 110 and the baffle pieces of the second baffle 120 may be arranged to be shift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The baffle pieces of the first baffle 110 and the baffle pieces of the second baffle 120 ar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Flows again through the plurality of baffle pieces of the second baffle piece 120, and as a result, the flow noise of the number of urea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ffle pieces of the first baffle 110 and the baffle pieces of the second baffle 120 are shift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so that the flow of urea water can be dispersed twice, Can be further reduced.

크로스배플(116)은 상부탱크(110) 상부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제1배플(112) 또는 제2배플(114)로부터 차량 주행방향을 따라 이격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배플(116)은 절곡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은 하부배플(210)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 baffle 116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tank 110 and may be spaced from the first baffle 112 or the second baffle 114 along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oss baffle 116 may have a bent cross section, and the portion protruding by bending may be formed to face the lower baffle 210.

아울러, 크로스배플(116)의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운 배플편의 사이 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배플(116)의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은 제1배플(112)의 배플편 사이 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크로스배플(116)의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배플편 사이 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배플(112) 및 제2배플(114)을 통해 분산된 요소수의 흐름이 크로스배플(116)의 돌출 부분에 의해 다시 한번 분산됨으로써,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 it may be formed so as to face the point between the partly-shaped baffle pieces projected by the bending of the cross baffle 116. That is, as shown in FIG. 1, a portion protruding by the bending of the cross baffle 116 may be formed so as to face a point between the baffle pieces of the first baffle 112. As such, the portion of the cross baffle 116 that is projected by bending is directed toward the point between the baffle pieces, so that the flow of urea water dispersed through the first baffle 112 and the second baffle 114 crosses the cross baffle 116,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배플(116)은 제1배플(112)의 외측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상부탱크(100)의 측면 중 크로스배플(116)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은 차량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탱크(100)의 측면 중 크로스배플(116)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은 차량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면일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ross baffle 116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rst baffle 112, wherein a sid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cross baffle 116 in the side of the upper tank 10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id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cross baffle 116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may be a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한편, 상부탱크(100)의 측면 중 제2배플(114)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은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일 수 있다. 만약, 상부탱크(100)의 측면 중 제2배플(114)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이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면일 경우, 요소수가 탱크 내벽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유동소음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부탱크(100)의 측면 중 제2배플(114)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크로스배플을 마련하지 않고도 제한된 탱크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d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ffle 114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may b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f the lateral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ffle 114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is a surface orthogonal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low noise generated when the urea water hits the inner wall of the tank is relatively It will be big.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ffle 114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limited tank can be efficiently used without providing additional cross baffles The flow noise of the number of urea can be further reduced.

본 발명에서 상부탱크(100)와 상부배플(110) 및 크로스배플(116)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ank 100, the upper baffle 110 and the cross baffle 116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하부탱크(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방으로 만입되어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가 상부탱크(100)의 하면 테두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탱크(200)의 만입된 하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탱크(200)의 하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펌프(300)가 삽입될 수 있고, 해당 펌프(300)는 관통홀의 테두리와 융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300)를 하부탱크(200)의 하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부탱크(200) 내부로 삽입을 한 다음, 펌프(300)에 압력을 가하여 펌프(300)의 테두리를 하부탱크(200)의 관통홀의 테두리 외측면에 열융착을 하고, 그 이후에 펌프(300)에 가하는 압력을 해제하고 냉각함으로써 펌프(300)를 하부탱크(200)의 관통홀을 통해 하부탱크(200)와 융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The lower tank 200 has a top opening and a downward opening to form a space for storing a fluid therein, and an upper edge of the lower tank 200 can be coupled with a bottom edge of the upper tank 100. In addition,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lower tank 200. The pump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200, and the pump 300 can be fused with the rim of the through hole. Specifically, the pump 3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200, and then the pressure of the pump 300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mp 300, The pump 300 is thermally fu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of the through hole of the tank 200 and t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ump 300 is released and cooled to cool the pump 300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ank 200 ) To be bonded to each other.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배플(210)은 하부탱크(200)의 하부 내측면에서 하부탱크(20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부배플(210)은 관통홀을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하부배플(210)은 관통홀을 따라 마련되는 일정 높이를 갖는 환형배플일 수 있다. 또한, 하부배플(210)은 하부탱크(200)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융착되는 펌프(3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배플(210)이 펌프(3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가 결합할 시 상부배플(110)이 펌프(300)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하부배플(210)은 하부탱크(2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ower baffle 210 may protrude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tank 200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tank 200. Further, the lower baffle 210 may be provided along the through hole,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the lower baffle 21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nnular baffl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provided along the through hole. The lower baffle 21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pump 300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lower tank 200 to be fused. That is, the lower baffle 21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ump 300, so that the upper baffle 110 can be prevented from touching the pump 300 when the upper tank 100 and the lower tank 200 are engag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affle 2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tank 200, and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서는 펌프가 삽입되는 관통홀 주변에 하부배플을 마련함으로써, 펌프를 보호할 수 있고, 겨울철과 같이 요소수가 얼게되는 경우에 전체 요소수가 융해되지 않더라도 하부배플과 펌프 사이에 있는 요소수만 융해되면 요소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과 같이 요소수가 얼게 되는 경우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요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affle is provided around the through hole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thereby protecting the pump. Even when the urea water is frozen as in winter, only the number of elements between the lower baffle and the pump is melted It is possible to supply urea water more stably even when the number of elements is frozen as in wint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부배플(110)과 하부배플(210)은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렇게 서로 이격된 상태의 상부배플(110)과 하부배플(210)은 하부탱크(200)의 관통홀에 펌프(300)를 삽입하고 가압하여 융착시킬 시에 서로 만나 상부배플(110)이 하부배플(210)을 지지하여 관통홀 주변의 Z축 처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융착 후 압력을 해제하고 냉각하면 상부배플(110)과 하부배플(210)이 다시 이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만약, 상부탱크(100)와 하부탱크(2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배플(110)과 하부배플(210)이 서로 맞닿아 있게 되면, 펌프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가해질 시 해당 압력에 의해 상부배플(110)과 하부배플(210)이 손상될 수 있고, 상부배플(110)과 하부배플(210) 각각의 단부의 접촉면에서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부배플(110)과 하부배플(210)을 서로 이격되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affle 110 and the lower baffle 21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upper tank 100 and the lower tank 200 are completely coupled. The upper baffle 110 and the lower baffle 2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ump 3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ank 200 and press- The upper baffle 110 and the lower baffle 21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upporting the baffle 210 to prevent the Z axis from being deflected around the through hole and releasing the pressure after fusion. If the upper baffle 110 and the lower baffle 2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upper tank 100 and the lower tank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baffle 110 and the lower baffle 210 may be damaged and noise may be generated 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ends of the upper baffle 110 and the lower baffle 210.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baffle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요소수 탱크 제조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요소수 탱크 제조방법은 상부탱크, 상부배플, 하부탱크 및 하부배플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단계; 및 상부탱크의 하면부 테두리와 하부탱크의 상면부 테두리를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에, 펌프를 하부탱크의 하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부탱크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펌프를 가압하여 펌프의 테두리를 하부탱크 관통홀의 테두리 외측면에 열융착하는 단계; 및 펌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부배플과 하부배플은 각각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element numb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element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anufacturing an upper tank, an upper baffle, a lower tank, and a lower baffle by injection molding; And joining the rim of the lower tank with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ank using a heat welding method. After the step of joining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tank; Pressurizing the pump to thermally fuse the rim of the pump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of the lower tank through hole; And releasing and cool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ump. Here,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the upper baffle and the lower baffl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respective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부탱크의 상부 내측면에 상부배플을 마련하여 펌프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상부배플이 하부펌프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펌프를 융착할 시 하부탱크의 관통홀 주변이 Z축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rea water tank for a vehic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upper baffle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to support the lower pump in the process of fusing the pum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of the lower tank from being stuck in the Z-axis when fused.

또한, 제1배플과 제2배플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급제동 등으로 인해 탱크 내의 요소수가 출렁거리며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유동할 시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들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유동하는 요소수의 흐름을 분산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en the number of elements in the tank is fluctuated due to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or the like, ,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dispersed in the flow of the urea water flowing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뿐만 아니라, 제1배플의 배플편과 제2배플의 배플편을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요소수의 흐름을 두 번 분산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유동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disposing the baffle pieces of the first baffle and the baffle pieces of the second baffle shifted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low of the urea water can be dispersed twice,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flow noise.

더 나아가, 크로스배플의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배플편 사이 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배플 및 제2배플을 통해 분산된 요소수의 흐름이 크로스배플의 돌출 부분에 의해 다시 한번 분산됨으로써,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ortion projecting by the bending of the cross baffle is formed so as to face the point between the baffle pieces, whereby the flow of the urea water distributed through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is dispersed again by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cross baffle ,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아울러, 상부탱크의 측면 중 제2배플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크로스배플을 마련하지 않고도 제한된 탱크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요소수의 유동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ide surfac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ffle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as an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use the space inside the limited tank without additional cross baffles and to further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urea water .

더 나아가, 펌프가 삽입되는 관통홀 주변에 하부배플을 마련함으로써, 펌프를 보호할 수 있고, 겨울철과 같이 요소수가 얼게되는 경우에 전체 요소수가 융해되지 않더라도 하부배플과 펌프 사이에 있는 요소수만 융해되면 요소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과 같이 요소수가 얼게 되는 경우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요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the lower baffle around the through hole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the pump can be protected, and when the urea water is frozen as in winter, only the number of elements between the lower baffle and the pump is melted It is possible to supply urea water more stably even when the number of elements is frozen as in winter.

100: 상부탱크 110: 상부배플
112: 제1배플 114: 제2배플
116: 크로스배플 200: 하부탱크
210: 하부배플 300: 펌프
100: upper tank 110: upper baffle
112: First baffle 114: Second baffle
116: Cross baffle 200: Lower tank
210: lower baffle 300: pump

Claims (15)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탱크;
상부가 개방되고 하방으로 만입되어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가 상부탱크의 하면 테두리와 결합되고, 만입된 하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을 통해 펌프가 삽입되고 펌프가 가압되어 관통홀 주변에 융착되는 하부탱크;
하부탱크의 하부 내측면에서 하부탱크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이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펌프의 측면을 감싸는 하부배플; 및
상부탱크의 상부 내측면 중 하부배플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부탱크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하부배플과 융착되지 않고, 상부탱크와 하부탱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이 하부배플의 상단과 교차되도록 형성된 상부배플;을 포함하고,
펌프의 융착시 하부배플의 상단이 상부배플의 하단에 지지됨으로써 관통홀 주변의 Z축 처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An upper tank having an open bottom and a top protruding upward to define a space for storing fluid there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tank is opened and the lower part is recessed to store a fluid therein. An upper edge of the upper part is coupled with a lower edge of the upper tank.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tank. A lower tank in which the pump is pressurized and fused around the through hole;
A lower baffle which is shaped to protrude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ank toward an inner space of the lower tank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rim of the through hole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pump; And
The upper tank is provided with a lower baffle and a lower baffle. The upper tank has a lower baffle and a lower baffle. And an upper baffle formed to intersect the upper end of the upper baffl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baffle is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affle when the pump is welded, thereby preventing the Z axis from being deflected around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배플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배플과 제2배플로 구성되고, 제1배플과 제2배플은 각각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baffle is constituted by a first baffle and a second baffl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each extending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부배플의 전방부는 제1배플과 마주하고, 하부배플의 후방부는 제2배플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ront portion of the lower baffle faces the first baffle and a rear portion of the lower baffle faces the second baffle.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배플의 배플편과 제2배플의 배플편은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ffle piece of the first baffle and the baffle piece of the second baffle are disposed shift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탱크 상부의 내측면에는 제1배플 또는 제2배플로부터 차량 주행방향을 따라 이격된 크로스배플이 마련되며, 크로스배플은 절곡된 단면을 가지며,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하부배플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tank is provided with a cross baffle spaced from the first baffle or the second baffle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cross baffle has a bent cross section, and the portion protruding by bending is formed to face the lower baffle And a plurality of the ellipses.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배플과 제2배플은 각각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플편으로 구성되고, 크로스배플의 절곡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은 배플편의 사이 지점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each comprise a plurality of baffle pieces extending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Of the elliptical shape of the ellips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탱크의 측면 중 제2배플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은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ide point corresponding to an outer side of the second baffle of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ank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크로스배플은 제1배플의 외측으로 마련되며, 상부탱크의 측면 중 크로스배플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 지점은 차량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ross baffle is provided outside the first baffle and a side point corresponding to an outer side of the cross baffle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tank is a surface crossing the vehicle running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배플과 하부배플은 상부탱크와 하부탱크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affle and the lower baffle are in such a state that the respective opposite ends of the upper baffle and the lower baff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re engaged.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배플은 하부탱크의 관통홀을 통해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펌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baffle is formed to be higher than a height of a pump that is thermally weld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탱크와 상부배플은 일체로 성형되며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tank and the upper baffle are integrally molded and made of a plastic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탱크와 하부배플은 일체로 성형되며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tank and the lower baffle are integrally formed and made of a plastic material.
청구항 1의 차량용 요소수 탱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부탱크, 상부배플, 하부탱크 및 하부배플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단계; 및
상부탱크의 하면부 테두리와 하부탱크의 상면부 테두리를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rea water tank for vehicles according to claim 1,
Fabricating an upper tank, an upper baffle, a lower tank and a lower baffle by injection molding; And
And joining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tank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tank using a heat welding metho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에는,
펌프를 하부탱크의 하면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부탱크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펌프를 가압하여 펌프의 테두리를 하부탱크 관통홀의 테두리 외측면에 열융착하는 단계; 및
펌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step of joining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Inserting the pump into the lower tank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Pressurizing the pump to thermally fuse the rim of the pump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of the lower tank through hol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leasing and cool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ump.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부배플과 하부배플을 각각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요소수 탱크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upper baffle and the lower baffl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respectively,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KR1020190005264A 2019-01-15 2019-01-15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994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64A KR101994270B1 (en) 2019-01-15 2019-01-15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64A KR101994270B1 (en) 2019-01-15 2019-01-15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740A Division KR101965433B1 (en) 2017-11-28 2017-11-28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328A true KR20190062328A (en) 2019-06-05
KR101994270B1 KR101994270B1 (en) 2019-06-28

Family

ID=6684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264A KR101994270B1 (en) 2019-01-15 2019-01-15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2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143A (en) * 2004-11-24 2006-06-08 Fts:Kk Fuel tank
KR101205232B1 (en) 2012-09-20 2012-11-27 주식회사 테스크 The urea tank for a diesel car
KR101609084B1 (en) * 2011-10-10 2016-04-04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Operating fluid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143A (en) * 2004-11-24 2006-06-08 Fts:Kk Fuel tank
KR101609084B1 (en) * 2011-10-10 2016-04-04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Operating fluid container
KR101205232B1 (en) 2012-09-20 2012-11-27 주식회사 테스크 The urea tank for a diesel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270B1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135B2 (en) Exhaust system mixing device
US9506386B2 (en) Injection device for a reducing agent and corresponding exhaust line
JP6208192B2 (en) Exhaust gas treatment equipment
JP5349715B1 (en) Reducing agent aqueous solution mixing device and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EP2761148B1 (en) Arrangement for introducing a liquid medium into exhaust gases from a combustion engine
JP5530565B1 (en) Reducing agent aqueous solution mixing device and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WO2014112072A1 (en) Reducing agent aqueous solution mixing device and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same
US8967235B2 (en) Heat exchanger,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heat exchanger
US8042751B2 (en) Nozzle system for injector
KR101965433B1 (en)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9138551A (en) Aqueous urea tank
US20200158689A1 (en) Vibrating structure, bubble removing structure, and ultrasonic liquid concentration detecting device
KR101994270B1 (en) Urea tank for vehicle and f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075581A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heat exchanger
WO2017054179A1 (en) Swirl mixing type exhaust aftertreatment box and system
KR101731959B1 (en) Baffle for urea tank
KR101965432B1 (en) Tank for vehicle
KR101965431B1 (en) Tank protector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145332B1 (en) Reducing agent dosing module and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988603B1 (en) Urea water injector module
KR101919811B1 (en) Tank for vehicles
KR101861316B1 (en) Tank for vehicles
KR101880550B1 (en) Urea water tank for vehicle in order to inhibit flood noise
CN219101447U (en) Reducing agent tank an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device comprising same
WO2023105876A1 (en) Exhaust structure and injector attachment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