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380A - multi lane radar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 lane radar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380A
KR20190061380A KR1020170159701A KR20170159701A KR20190061380A KR 20190061380 A KR20190061380 A KR 20190061380A KR 1020170159701 A KR1020170159701 A KR 1020170159701A KR 20170159701 A KR20170159701 A KR 20170159701A KR 20190061380 A KR20190061380 A KR 2019006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adar
traffic volume
column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9818B1 (en
Inventor
김종식
변상철
조용성
강성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ller for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measurement device comprises: a radar module for emitting radar waves and receiving reflected waves;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processing for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received reflected wave; a power module which includes a battery for operating the radar module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 housing and mounting module including the above modules and attachable to an installation outside the road. An installer to automatically install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on a pole at the road comprises of: a gripping portion detachably gripping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an attachment and detachment operating portion for tightening or loosening an annular or band type bracket of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such that the annular or band type bracket can be attached or detached surrounding a part of a side wall of the pole; a conveying portion construct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a side surface of the pole; and a controller portion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portion,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perating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even at a remote location by wire or wireless. Thus, the equipment operating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Description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위한 설치 장치{multi lane radar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and a multi-lane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위한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복수 차선을 지나는 교통량을 한꺼번에 인식하고 통합 계량할 수 있는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와 이를 도로 외측의 기둥 형태의 기존 시설물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ognizing and integrating traffic volum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lanes of a road, and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device configured to be easily detachable from an existing facility having a columnar shape.

다양한 도로 교통 정보의 수집 및 정리는 단기적으로 원활한 도로 운영과 사고 방지를 위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도로 교통 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관건이 되고 있으며, 이런 교통 정보의 수집 및 정리를 위한 시스템이 각종의 인식 기술 및 컴퓨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고도화, 통합화되고 있다.The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various road traffic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the smooth operation of the roads and the accident prevention in the short term and it is a key to establish the road traffic policy in the long term. Technology and computer communication technology.

도로 교통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정보는 어느 시점이나 시간에서 특정 도로 지점이나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수량과 속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도로 지점의 통과 차량의 양이나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현재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되고 있다.The most basic and important information in road traffic is the quantity and spee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a specific road point or section from time to time, and as a means of verifying the amount or speed of a passing vehicle at such a road point, Two methods are being used.

첫 번째 방법은 사람이 직접 현장에서 수동식 계수기를 통해 직접 카운트하는 방법이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점차 사용이 줄어드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이동식 교통량 확인 장비를 이용하여 도로를 통과하는 교통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자동으로 교통량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과 레이더 검지기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person manually counts directly on the field through a manual counter, and it is a method of gradually decreasing usage because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The second method is to measure the amount of traffic passing through the road using mobile traffic check equipment. And, as the equipment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traffic volume, it is possible to use a geomagnetic sensor and a radar detector.

지자기 센서 장비는 차량 통과시 형성되는 자기장의 검출로 차량을 검지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통과 교통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레이더 검지기를 이용하는 장비는 특정 주파수, 가령 24.125GHz 주파수 ISM 밴드의 전파를 방출하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교통량을 측정한다. The geomagnetic sensor device measures the passing traffic using the detec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vehicle. The radar detector uses a radar that emits radio waves of a specific frequency, for example, 24.125GHz frequency ISM band. To measure the traffic volume.

이러한 도로 교통 정보의 측정은 중요한 교통 요지에 고정적으로 장비를 설치하여 장기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지만, 도로 상황 및 도로 주변 상황에 따라 새로 신설되는 도로나 기존 도로의 다른 지점에 장비를 새롭게 설치하거나 장비를 필요에 따라 지점을 옮겨가면서 교통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 기존의 설치 위치에서 교통량 등 정보 수집 장치를 수거하여 새로운 위치에 설치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The measurement of such road traffic information may be carried out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installing equipment fixedly in an important traffic point. However, depending on the road condition and the circumstance around the road, It is necessary to collect traffic information by moving the branches as need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such as the traffic volume at the existing installation location and install the new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t a new location.

그런데, 도로에 직접 설치하는 지자기 센서는 대략 3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geomagnetic sensor installed directly on the road has problems in three aspects.

그 첫째는, 설치방식의 불편성 및 위험성으로, 사람이 직접 측정하고자 하는 차로 중앙에 고정용 매트를 이용하여 지자기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이때 통과하는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이 매우 크며, 통과하는 운전자에게도 크게 위협이 갈 수 있다. 물론, 장비를 회수할 때도 이같은 위험이 동일하게 존재한다.First, because of the discomfort and danger of the installation method, a person uses a fixed mat to attach the geomagnetic sensor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the risk of traffic accident caused by the passing vehicle is very large. The driver can also be a big threat. Of course, the same risk exists when collecting equipment.

그 둘째는, 도로 설치에 따른 악영향으로서, 도로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대형차량에 의한 지자기 센서 파손 위험이 매우 크며, 케이스에 충격에 의한 미세한 균열만 생겨도 우천시 장비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지자기 센서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Secondly, since it is adhered directly to the road as an adverse effect due to road installation, there is a great risk of breakage of the geomagnetic sensor due to a large vehicle. Even if a minute crack is generated due to impact on the case,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equipment during rain. It may cause malfunction.

그 세째는, 기상에 의한 사용상의 한계로서, 날씨의 영향에 따라 장비 운영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우천시 지자기 센서를 고정용 매트를 이용하여 도로에 부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초겨울 날씨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질 경우 고정용 매트의 지면 접착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장비의 분실이나 파손 위험이 커져 지자기 센서 설치가 불가능하게 된다.The third is the limit of the use by the weather, and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equipment operation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the weather. In other words, it is almost impossible to attach the geomagnetic sensor to the road by using the fixing mat in case of rainy weather, and when the weather or the temperature in the early winter falls below freezing, the fixing adistance of the fixing mat is weakened, Installation becomes impossible.

또한, 레이더 검지기를 이용한 장비에서도 이동 설치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 여러 곳을 이동하며 사용하는 이동식 장비로 만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가령, 기존 레이더 검지기를 도로 상부에 설치할 때에는 지자기 센서 방식과 같은 착탈시의 번거로움과 위험이 있으며, 도로 밖 구조물 기둥을 이용하여 적절한 감지 범위 확보를 위해 5m 이상 높이에 설치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경우, 기존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함과 제어기 함체가 부가적으로 공급되어 운영되는데, 이런 장비를 기둥의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위험성도 크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mobile equipment to be used by moving a plurality of places because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moving installation even in a device using a radar probe. For example, when installing an existing radar probe on the road, it is troublesome and dangerous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like a geomagnetic sensor, and in many cases, it is installed at a height of 5 m or more in order to secure a proper detection range by using a pole outside the road. In the past, additional power supply boxes and controller enclosures have been supplied and operated. However, installing such equipment on the high posts is very inconvenient, time-consuming, costly, and dangerous for operators.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457137Korea Patent Registration 10-1457137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3-004963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9639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지자기 센서 방식 및 기존 레이더 검지기 사용 방식의 교통량 검지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geomagnetic sensor and conventional traffic detection methods,

도로 상에 설치되지 않고 도로 밖에 설치될 수 있어서 설치 및 회수시 위험 및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설치를 위한 탈착이 용이하여 이동식으로 운영하기에도 적합한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및 이 장치 설치에 적합한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multi-lane detection radar-type traffic volume measurement device and a device for installation and recovery which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road, so tha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danger and troubles during installation and removal,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unting apparatus suitable for the above-mentioned apparatus.

본 발명은 또한 차량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통행차량에 의한 충격을 받지 않아 장비의 파손이나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날씨와 상관없이 언제든 현장 설치가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및 이 장치 설치에 적합한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a vehicle and is not subjected to an impact by a passing vehicle,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loss of equipmen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allation device suitable for installation of a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는 레이더 전파를 방출하고 반사파를 수신하기 위한 레이더 모듈, 수신된 반사파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를 하는 신호처리 모듈, 레이더 모듈 및 신호처리 모듈의 운영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 모듈, 이상 모듈들을 포함하며 도로 외측 설치물에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 및 장착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a radar module for emitting radar waves and receiving reflected waves,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processing for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received reflected waves, A power module including a battery for operating a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 housing and a mounting module for attaching the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road.

본 발명에서 레이더 모듈은 기본적으로 레이더 전파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며, 신호처리 모듈은 레이더 모듈이 수신한 반사 전파에 의한 신호의 처리, 분석을 통해 교통량 정보를 포함한 교통 정보를 얻기 위한 프로세서, 메모리 등 하드웨어와 처리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일종의 컴퓨터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adar module basically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ar waves.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ncludes a processor for obtaining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traffic volume information through processing and analysis of a signal by a reflected wave received by the radar module, And a kind of computer including hardware and a processing program such as a memory.

본 발명에서 레이더 전파의 발진회로부는 통상 레이더 모듈에 속하지만 신호처리 모듈에 귀속되어 레이더 모듈이 레이더 전파를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scillation circuit portion of the radar wave usually belongs to the radar module, but it may belong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the rada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send the radar wave.

본 발명에서 교통량 측정 장치가 처리 및 획득한 정보는 통신모듈 및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 정보를 수집, 통합하고 교통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통제부로 송출될 수 있고, 역으로 통신모듈 및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량 측정 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은 통상 신호처리 모듈의 일부로 구성되거나, 별도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ed and acquired by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and integrating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aging the entire traffic system, and conversely, A control signal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can be inputte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a general signal processing module or as a separate element.

본 발명에서 하우징 및 장착모듈은 통상 도로 가에 설치되는 이정표를 위한 기둥, 전신주, 가로등 등의 기둥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도록, 레이더 모듈, 신호처리 모듈, 전원 모듈을 포괄하는 함체 하우징 및 일방으로 이 하우징과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 기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module are provided with a housing housing including a radar module,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 power module so as to be suitable for installation on a column such as a pillar, a pole, And a bracket coupled to the housing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pillar on the other hand.

본 발명에서 하우징 및 장착모듈의 함체는 레이더 모듈, 신호처리 모듈, 전원 모듈(배터리)을 각각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도킹스테이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losure of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module may be in the form of a docking station capable of detachably mounting the radar module,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the power module (battery) in a one-touch manner.

본 발명의 교통량 측정 장치를 위한 설치 장치는 환형 혹은 밴드형 브라켓을 가진 교통량 측정 장치의 이 브라켓가 기둥 형태의 도로 주변 시설의 측벽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거나, 장착된 교통량 측정 장치를 도로 주변 시설의 측벽에서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The installation device for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orm of enclosing a part of a side wall of a pillar type road surrounding facility of a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nular or band type bracket, An apparatus for removal from a sidewall,

자체에 교통량 측정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부, 교통량 측정 장치의 환형 혹은 밴드형 브라켓이 기둥 형태의 도로 주변 시설물의 측벽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 혹은 이탈되도록 하는 착탈조작부, 설치 장치가 상기 도로 주변 시설물 측면을 따라 상승,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송부, 이들 이송부, 착탈조작부, 파지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etaching and manipulating unit for mounting or dismounting a sidewall of a pillar-shaped road-surrounding facility, a grip unit for detachably holding the traffic-measuring apparatus itself, an annular or band-shaped bracket of the traffic-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pper, the transferring unit,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unit, and the gripper unit.

본 발명의 이송부는 기둥 형태의 도로 주변 시설물을 이격 상태로 둘러싸는 환형 혹은 밴드형 본체와 이 본체 내측에 설치되고 기둥 형태의 시설물 표면에 닿아 가동되면서 기둥 형태의 시설물을 따라 상승, 하강할 수 있는 전동 바퀴 등의 가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구성을 위해, 전동 바퀴 등의 가동부와 본체는 그들 사이에 탄성물체를 개재한 상태로 탄설되거나, 가동부 자체가 우레탄수지나 공기튜브와 같은 신축,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혹은 이와 함께 기둥 형태의 시설물 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 바퀴 등의 가동부가 기둥 형태의 시설물 표면으로 압착되도록 죄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vey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nular or band-shaped main body that surrounds a pole-like road peripheral facilities in a spaced apart state, and a conveyor which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ole- And a movable part such as an electric wheel. For such a construction, the movable part such as the electric wheel and the main body may be tacked with an elastic object interposed therebetween, or the movable part itself may be made of a stretchable or elastic body such as a urethane resin or an air tube, A means for closing the movable part of the electric wheel or the like to be pressed onto the surface of the column-shaped facility may b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acility.

본 발명의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에 따르면, 사람이 직접 도로에 들어가지 않아 교통사고 위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도로에 직접 부착하지 않아 장비의 파손이나 분실의 위험이 낮고 안전하여 내구성 및 장비운영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vehicle from the risk of traffic accident because the person does not directly enter the road, and the risk of damage or loss of the equipment is low, The equipment operat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 장치에 따르면 기상의 상태의 영향에서 벗어나 언제나 측정하고자 하는 일시에 해당 지점의 교통량 등 정보를 측정이 가능하므로 장비 활용도를 높이는 것과 함께 구성을 다양화하여 일체형과 도킹스테이션형 등으로 운용하면서 이동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aratus, si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information such as the traffic volume at the point of time to be always measur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weather,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and installation.

본 발명의 설치 장치는 교통량 측정 장치를 기둥형 도로 주변 시설물의 높은 위치에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하거나 수거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r efficiently install or collect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at a high position of the columnar roadside facilities.

도1은 본 발명의 다차선 감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량 측정 시스템의 전반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개념도,
도2는 본 발명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개념도,
도3은 본 발명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 설치 장치의 사용형태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용개념도,
도5는 본 발명 설치 장치의 한 실시예의 개념적 구성과, 설치 장치와 교통량 측정 장치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적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 설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이송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traffic volume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usage outline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usage form of the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side view showing a conceptu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bination of the installation device and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devic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ance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다차선 감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량 측정 시스템의 전반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개념도이며, 도2는 레이더 모듈과 신호처리 모듈과 배터리(전원 모듈)가 함체(케이스) 내에 일체로 결합, 설치되는 일체형 다차선 감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raffic volume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traffic volume measuring system including a radar module, a signal processing module, 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which is integrally combined and installed in a case (for example, a case).

도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을 참조하면, 교통량 측정 장치(100)는 도로 가에 설치된 기둥에 설치되며, 레이더 모듈의 안테나는 그 전방에 있는 도로의 모든 차선의 일정 구간을 지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레이더 모듈의 안테나면의 전파 방출 입체각 범위 및 유효 감지 거리 범위가 측정 대상 도로의 모든 차선의 일정 구간을 커버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system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100 is installed on a pillar installed on a road, and the antenna of the radar module is installed to direct a certain section of all the lanes of the road ahead of it. That is, the range of the radiated emission solid angle of the antenna surface of the radar module and the effective sensing distance range cover a certain section of all lanes of the measurement target road.

한편, 본 발명 장치에서 레이더 안테나 설치 방향 및 커버 영역 설정이 중요한데 차량과 다른 차량이 언제든 인접하여 지나갈 수 있고, 이런 경우, 큰 차량 혹은 앞의 차량이 작은 차량 혹은 뒤의 차량에 대한 레이더 전파를 차폐하여 작은 차량 혹은 뒤의 차량은 전파 음영대에 들어가고, 이로써 작은 차량의 존재 여부와 차량 갯수의 정확한 감지가 제한될 수 있다. 하나의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로 다수의 차선을 지나는 차량을 함께 감지하는 경우, 이런 문제는 더욱 중요하며, 특히, 본 발명과 같이 차량 정면의 높은 위치에서가 아니고 도로 가의 기둥에 기존 5m 이상 대신 4m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기둥 위치에 설치하여 충분히 정확한 교통량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전파 음영대에 걸려 측정되지 못하는 차량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pparatu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radar antenna and the coverage area are important, and the vehicle and other vehicles can always pas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arge vehicle or the preceding vehicle can shield the radar wave So that a small vehicle or a rear vehicle enters the propagation shadow zone, whereby accurate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a small vehicle and the number of vehicles can be restricted. This problem is more important when detecting a vehic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lanes with a single radar type traffic measurement device. Particularly, as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at a high position in front of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use a method of temporarily minimizing the vehicle which is caught in the propagation shadow zone and can not be measured in order to measure the traffic volume accurately.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추가 기능으로 다중 루프 존을 설정하여 차선 구간을 복수 개로 나누고 각 구간의 교통량 값(차량 대수)를 측정하여 최대 수치를 선택하는 소프트웨어 처리를 통해 교통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loop zone is set as an additional function to divide the lane section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 traffic volume accuracy (vehicle number) of each section is measured to improve the traffic volume accuracy by software processing have.

가령, 측정 장치 전방 30 ~ 100m 구간에 다수의 가상 루프를 설정하여 측정 대상 차량이 다중으로 감지되도록 하고, 이들 가운데 한 번이라도 단일 차량이 아니고 분리된 복수 차량 혹은 구분가능하게 겹쳐진 복수의 차량으로 감지된다면 복수 차량으로 감지된 경우를 선택하여 교통량을 계산하게 된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virtual loops may be set in the interval of 30 to 100 meters in front of the measuring device so that a plurality of vehicles to be measured are detected, and a plurality of separated vehicles or a plurality of cars The traffic volume is calculated by selecting a case where the vehicle is detected as a plurality of vehicles.

본 발명의 교통량 측정 장치(100)에서 얻어진 교통정보(교통량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의 억세스 포인트(AP) 혹은 허브(210)로 전달되고, 허브는 허브가 연결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센터의 관제서버(220)등으로 전달되고, 필요한 연결 단말기(230)에서 그 정보를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Traffic information (traffic volum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 nearby access point (AP) or a hub 210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hub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ntrol server 220 of the traffic center, etc., and the necessary connection terminal 230 can fetch the information for use or monitor the situation.

기존에 나와 있는 지자기 센서는 사람이 직접 도로 중앙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교통사고 위험이 매우 크나 본 실시예의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밖에 있으며, 별도의 부스를 만들어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도로표지판용이나 가로등용 기둥에 설치되어 있다. 이런 설치 위치에서는 작업자가 설치를 위해 직접 도로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 The existing geomagnetic sensor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oad directly by a person, but the risk of a traffic accident is very high. However, the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located outside the road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on a column for use. In such an installation location,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go directly into the road for installation.

따라서, 본 실시예를 이용하면 교통사고 위험으로부터 설치 및 제거 작업시 작업자가 통행 차량으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고, 통행 차량과 서로 접촉할 일도 없으므로 통행 차량에 의한 파손이나 분실도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he operator can be safely protected by the traveling vehicl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removal from the risk of traffic accident, and no breakage or loss due to the traveling vehicle can be prevented since there is no contact with the traveling vehicle.

도2를 참조하면, 교통량 측정 장치의 하우징 및 장착모듈(40)의 하나의 함체(41:box, case) 내에 레이더 모듈(10), 신호처리 모듈(20), 전원 모듈(30) 등이 일체형으로 결합, 설치된다. 각 모듈을 포함하는 함체(41)는 우천에 대비하여 함체 밀폐조립시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 패킹(미도시)을 설치하여 방수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외부 먼지 등의 유입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물이나 먼저 쌓임으로 인한 누전, 단락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2, a radar module 10, a signal processing module 20, a power module 30, and the like are integrally formed in a box (case) 41 of a housing of a traffic measurement device and a mounting module 40 Respectively. The enclosure 41 including the respective modules is provided with a packing (not shown) in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assembling the hermetically sealed assembly against rain, so as to achieve a waterproof state, prevent inflow of external dust,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short circuit and short circuit due to stacking.

함체(41)는 장착부 브라켓(43)과 연결되며, 이를 통해 도로 가의 기둥(A) 측벽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브라켓(43)은 기둥 측벽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밴드(431)와 밴드 일부에서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433)을 가지고, 이들을 통해 밴드 양단의 간격을 줄이거나 넓혀 브라켓이 기둥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The housing 41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43 and is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pillar A of the road. To this end, the bracket 43 has a band 431 install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olumn sidewall and a fastening means 433 such as a bolt nut in a part of the band.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band is reduced or widened through the band 431 and the bracket 43,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도3은 도2와 다른 교통량 측정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신호처리 모듈(120)을 메인보드 형태로 내장하는 본체의 케이스(141)에는 가이드 홈을 겸하는 삽입홈(141a, 141b)이 형성되고, 레이더 모듈(110) 및 배터리(130)가 커트리지 형태로 삽입홈에 삽입되며,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different from that of Fig. The case 141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120 is built in the form of a main board has insertion grooves 141a and 141b also serving as guide grooves and the radar module 110 and the battery 13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a cut-ridge shape, and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in a one-touch manner.

삽입 후 이들 사이의 기능적 결합을 위해 이들이 착탈되는 부위의 삽입홈 저면이나 이 저면에 대응되는 커트리지 접촉면에는 필요한 전원선 및 신호선이 커넥터의 핀과 소켓 형태로 접속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A power supply line and a signal line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insertion / detachment site for the functional connection between them and the cut edge contac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in the form of a pin and a socket of the connector.

삽입홈(141a, 141b)의 입구에는 외부 빗물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탄성 있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패킹(141c, 141d)이 설치된다. 카트리지 형태의 모듈들이 본체 케이스(141)에 완전히 접속되도록 삽입되면 카트리지 해당 부분(113)이 패킹(141c, 141d)을 눌러 밀착된 상태로 카트리지가 본체 케이스(141)에 고정된다. Packings 141c and 141d made of an elastic soft material ar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grooves 141a and 141b to prevent external rainwater and dust from entering. When the cartridge type modules are ful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ase 141, the cartridge is fixed to the main body case 141 in a state in which the cartridge corresponding portion 113 is pressed by pressing the packings 141c and 141d.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원터치 방식의 착탈을 위해 커트리지를 삽입할 때에는 커트리지와 본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등 탄성체가 압축되면서 완전히 접속되면 커트리지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걸쇠 및 홈과 같은 고정장치에 의해 커트리지가 고정되고, 그 상태에서 카트리지 이탈을 위해 카트리지를 삽입 홈쪽으로 조금 더 밀면 카트리지를 고정하는 걸쇠 부분이 홈에서 풀리면서 압축된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카트리지가 삽입 홈에서 부분적으로 튀어나오도록 커트리지 및 본체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here, when inserting the cut ridge for the detachment of the one-touch type, when the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cut ridge and the main body is compressed and fully connected, the cut ridge and the fixed body When the cartridge is fixed a little and the cartridge is further pushed toward the insertion groove for releasing the cartridge in this state, the latching portion for fixing the cartridge is released from the groove and the cartridge is cut off so as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insertion groov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body The ridge and the main body case can be formed.

레이더 모듈(110)은 레이더 전파를 외부 일정 입체각 범위로 방출하고 외부 물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받아들이는 레이더 안테나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방출되는 일정 주파수의 전파를 발생시키는 발진장치 및 반사파를 받아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변환장치를 구비한다. 레이더 모듈의 안테나 구성부는 본체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고 감시 대상인 도로면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radar module 110 basically includes a radar antenna that emits a radar wave in an external constant solid angle range and receives a reflected wave reflected from an external object. The radar module 110 includes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a radio wave of a certain frequency to be radiated,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antenna component of the radar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directed to the road surface to be monitored even when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ase.

이러한 레이더 모듈(110)의 구성은 기본적 구성 측면에서 기존의 교통 감지용 레이더 기술과 공통적이며, 다차선 감지를 위한 전파 방출 범위 및 그 범위 구간에 대한 반사파 처리는 기존 레이더를 위한 하드웨어 조절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이 분야에서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radar module 110 is common to the existing radar technology for traffic detection in terms of basic configuration, and the reflection range of the radio wave emission range for the multi-lane detection and the range of the range is hardware control and software for the existing radar , Which is already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신호처리 모듈(120)은 일종의 컴퓨터장치로 생각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110)이 반사파를 받아 전환한 전기신호를 내장된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하고 그 결과를 일정 형식으로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결과들을 정해진 기간에 걸쳐 누산하거나 기타 이차적 처리를 하여 레이더가 감지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120 may be thought of as a kind of computer device. The radar module 110 processes the electrical signals converted by the reflected waves through a processor by a built-in processing program, temporarily stores the results in a predetermined format, accumulates the results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r performs other secondary processing, So that the user can obtain desired information.

가령, 신호처리 모듈(120)을 이루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 차선별, 각 구간별로 감지된 신호를 통해 어떤 것을 유효한 차량으로 파악하고 누락되거나 중복되지 않도록 일정 시간에 해당 영역을 지나가는 차량의 갯수와 같은 교통 정보를 자체 저장장소 및 탈착가능한 보조메모리를 통해 저장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주변의 송신 네트워크의 억세스 포인트 혹은 허브 등을 통해 중앙통제소(교통센터 등)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메모리 탈착이나 무선 정보통신을 이용하면 언제든지 간편하게 교통 정보를 인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by using the hardware and software constituting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120,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at is a valid vehicle through signals sensed for each car line and each section and the number of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be stored through its own storage unit and detachable auxiliary memory, and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a central control station (traffic center, etc.) through an access point or a hub of the surrounding transmiss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refore, traffic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and checked easily at any time by using the auxiliary memory detachment or wireless information communication.

배터리(130)는 전원 모듈을 이루는 것으로 적은 인원으로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교체 없이 72시간 정도의 운영이 가능한 충전용량을 가지는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차전지로는 시스템의 탈착과 이동에 유리하도록 단위 질량당 충전량을 높일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나 리튬폴리머전지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ttery 130 is preferably a power module and can be maintained by a small number of peop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charge capacity capable of operating for 72 hours without replacemen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dopt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which can increase the charging amount per unit mass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is advantageous for desorption and movement of the system.

통신 모듈을 이용하면 본 발명 장치를 기존 설치장소에 그대로 둔 채로 간편하게 인근의 허브에 장착될 수 있는 외부 컨트롤러나 원격지의 컨트롤러용 단말기에서 처리장치 모듈의 처리 프로그램이나 운용조건을 수정, 업데이트, 재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기능이상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기능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모듈을 초기화시키거나 오류를 정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the processing program and operating condition of the processing module are corrected, updated, and reset in an external controller or a remote controller terminal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eighboring hub while leaving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at the existing installation place It can be used and can monitor function abnormality. Even if a function abnormality occurs, the module can be initialized or an error can be corrected and used.

도3은 커트리지 장착형(혹은 도킹 스테이션형)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다루고 있으나, 본 발명의 장치는 레이더 모듈, 배터리, 무선WIFI 등의 통신 모듈, 신호처리 모듈을 케이스 내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만들어 운영할 수도 있다.FIG. 3 deals with a case of a cut-ridge mounting type (or a docking station type). However,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asily separated by installing a radar module, a battery,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reless WIFI, It can be operated in a stable state.

도4는 이상에서 살펴본 교통량 측정 장치를 이동식으로 운영하기 위해 쉽게 도로 가의 기둥 등 시설물에 장착 혹은 탈리, 수거하는 설치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개념도이다.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n installation device for easily mounting, removing, or collecting the above-mentioned traffic measurement device in a facility such as a pillar of a road for easy operation.

도4를 참조하면, 도로의 분기점 등 요지에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목적지 거리를 주기적으로 환기하기 위해 설치되는 이정표(A1)를 위해 도로 가에 설치되는 기둥(A)을 이용하여 교통량 측정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사다리나 사다리차를 준비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교통량 측정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치 장치를 이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a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may be installed using a column A installed on a road for a milestone A1 installed adjacent to a point such as a bifurcation of a road or installed periodically for ventilating a destination distance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automatically install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apparatus without preparing a ladder or a ladder.

즉, 설치 장치(200)는 기둥(A) 아래 부분에 먼저 장착되고, 역시 기둥 아래 부분에 있는 상태에서 설치 장치(200)에는 교통량 측정 장치(100)가 결합된다. 그 상태로 작업자의 조종을 통해 설치 장치는 교통량 측정 장치(100)를 기둥의 높은 위치로 운반하게 된다. 이 높은 위치에서 설치 장치(200)는 교통량 측정 장치(100)를 기둥에 단단히 고정하고, 다음으로 설치 장치(200)에서 교통량 측정 장치(100)를 분리, 이탈시켜 교통량 측정 장치(100)를 기둥 높은 위치에 놓은 상태로 자신은 기둥 낮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설치 장치를 기둥에서 분리, 제거하여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That is, the installation device 200 is first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A, and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device 200 in a state where the installation device 200 is also in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In this state, the operator installs the traffic measuring device 100 at the high position of the column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operator. The installation device 200 firmly fixes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100 on the column and then separates and removes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100 from the installation device 200 so that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100 can be pivoted When it is in a high position, it moves to the lower position of the column. In this state, the operator removes the mounting device from the column and moves it to the next working position.

만약 기존에 설치된 교통량 측정 장치를 기둥에서 수거할 때에는 역순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If the existing traffic measurement device is collected from the column, the work will be done in the reverse order.

즉, 설치 장치를 기둥 아래 부분(낮은 위치)에 먼저 설치하고,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고, 높은 위치에서 교통량 측정 장치를 파지하여 설치 장치에 단단히 결합시키고, 교통량 측정 장치를 기둥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의 체결을 해체시킨다.In other words, the installation device is firs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low position) and moved to the higher position, and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device is gripped at the higher position and tightly coupled to the installation device, .

이어서, 교통량 측정 장치와 결합된 상태로 설치 장치를 기둥의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낮은 위치에서는 작업자가 교통량 측정 장치와 설치 장치를 기둥에서 분리시키고 수거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installation device is moved to a lower position of the column in a state of being combined with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In the lower position, the operator separates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and the installation device from the columns and collects them.

이러한 작업을 위해 설치 장치는 설치 장치의 본체와 이격된 상태에서 유선 혹은 무선조종을 통해 본체의 움직임을 조종할 수 있는 콘트롤러부(미도시)를 가진다. For this operation, the installation device has a controller unit (not shown) that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through wired or wireless control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installation apparatus.

도5는 본 발명 설치 장치의 한 실시예의 개념적 구성과, 설치 장치와 교통량 측정 장치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적 측면도이다.5 is a conceptual side view showing a conceptu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bination of the installation device and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device.

본 실시예에서 교통량 측정 장치(100)를 위한 설치 장치는, 교통량 측정 장치의 브라켓(143)가 기둥(A) 형태의 도로 주변 시설의 측벽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거나, 장착된 교통량 측정 장치(100)를 도로 주변 시설의 측벽에서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체에 교통량 측정 장치(100)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부(240), 교통량 측정 장치(100)의 브라켓(143)의 환형 밴드(1431)가 기둥 형태의 도로 주변 시설물의 측벽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 혹은 이탈되도록 하는 착탈조작부(250), 설치 장치가 상기 도로 주변 시설물(기둥:A) 측면을 따라 상승,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송부(210'), 이들 이송부(210'), 착탈조작부(250), 파지부(240)의 동작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installation device for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racket 143 of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is mounted in the form of wrapping a part of the side wall of a pillar A-shaped peripheral facility, 100 of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apparatus 100 from the side wall of the roadside facility and includes a grip unit 240 for detachably holding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apparatus 100, an annular band (not shown) of the bracket 143 of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apparatus 100 1431) for mounting or dismounting a part of a sidewall of the facilities around the road in the form of a column, a mounting / dismounting part (250) for mounting / dismounting the mounting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unit 210 ', the transfer unit 210',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unit 250, and the grip unit 240.

파지부(240)는 여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단순한 하나의 예를 든다면, 바이스가 물건을 잡아서 죄듯이 결합을 위한 U자형 프레임과 그 한 가지에 설치되는 죔볼트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교통량 측정 장치의 케이스를 U자형 프레임의 두 가지 사이에 놓고 죔볼트와 결합된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죔볼트 끝단이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케이스를 단단히 잡거나 풀게 된다. 모터의 구동은 콘트롤러부에서 조절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2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a simple example may be a shape in which a vise is engaged with a U-shaped frame for engagement and a fastening bolt provided on one of the fastening portions. . The case of the traffic measurement device is placed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U-shaped frame, and the motor combined with the fastening bolt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o that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is tightened or loosened, The motor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도로 가의 기둥(A) 측벽에 교통량 측정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교통량 측정 장치에 구비된 브라켓(143)이 기둥 측벽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밴드(1431)와 밴드의 기둥 뒷단 위치에서 밴드를 기둥에 밀착하도록 조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볼트 너트 방식 체결수단(1433)을 가지는 경우, 착탈조작부(250)는 이 체결수단의 볼트 너트의 현재 위치로 왕복하는 방식으로 움직여 볼트 너트를 잡는 요소와 볼트와 너트를 잡은 상태로 회전하여 체결수단인 볼트 너트를 조이는 부분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의 구동을 위해서도 모터, 액츄에이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이들 구동수단은 역시 콘트롤러의 조종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착탈조작부도 일종의 로봇 아암의 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A band 1431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pillar A of the roa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sidewall of the pillar and a bracket 143 provided on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for installing th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When the bolt-nut type fastening means 1433 is used as a means for tightening the bolt-nut fastening means 1433,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portion 250 is moved in such a manner as to reciprocate to the present position of the bolt nut of the fastening means, And a portion for tightening the bolt nut which is the fastening means. In order to drive the bolt nut,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and an actuator are also provided, and these driving means can also be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this respect, the attaching and detaching operation portion may also have a configuration of a robot arm.

도6은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송부의 구성만을 별도로 떼어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송부는 기둥 형태의 도로 주변 시설물을 이격 상태로 둘러싸는 둥근 고리 모양 혹은 각진 고리 모양의 밴드형 본체(210)와 이 본체 내측에 설치되고 기둥 형태의 시설물 표면에 닿아 가동되면서 기둥 형태의 시설물을 따라 상승, 하강할 수 있는 전동 바퀴 등의 가동부(221, 231), 가동부를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가동부프레임(222, 232), 가동부를 기둥 표면쪽으로 밀착시키거나 그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임수단(223, 233), 이격된 콘트롤러의 유선 혹은 무선 신호를 받아 가동부를 가동시키는 모터(2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in another embodiment. FIG. In this embodiment,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band-shaped main body 210 having a circular annular or angular annular shape and surrounding the facilities in the form of a pole in the form of a column, Movable parts 221 and 231 such as electric wheels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facility of the vehicle, movable part frames 222 and 232 for connecting the movable part to the main body, and movable parts that can be brought close to or spaced from the column surface Tightening means (223, 233), and a motor (235) for moving the movable portion by receiving a wired or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밴드형 본체는 기둥과의 착탈을 위해 일부에 절개부(미도시)를 가져 이 절개부를 통해 벌어지거나 닫힐 수 있다. The band-shaped body may have a cutout (not shown) on its part for attachment or detachment with the pillar, and may be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cutout.

가동부가 기둥 표면에서 밀착되어 회전됨으로써 설치 장치가 기둥 표면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둥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 전동 바퀴 등의 가동부(221, 231)와 본체(210)는 그들 사이에 탄성물체를 개재한 상태로 탄설되거나, 가동부 자체가 우레탄수지나 공기튜브와 같은 신축,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혹은 이와 함께 기둥 형태의 시설물 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 바퀴 등의 가동부가 기둥 형태의 시설물 표면으로 압착되도록 죄는 조임수단(223, 233)이 구비될 수 있다. The moving parts 221 and 231 such as the electric wheels and the main body 210 are rotated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movable parts 221 and 231 so as to rotate around the column as the mounting device moves up or down along the column surface Or the movable part itself may be made of an elastic body such as a urethane resin or an air tube, or alternatively or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part itself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a columnar structure, the movable part of the electric wheel or the like, And tightening means (223, 233) for tightening to the surface of the facility.

가동부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내측에 분포되는 3개 이상 복수 개의 바퀴 혹은 구동부를 구비하며, 바퀴의 일부는 구름 방향이 본체를 기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가령, 도6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6각 밴드를 설치하고, 이들을 중간 연결부 프레임으로 연결하며, 각 6각 밴드에는 3개씩의 바퀴를 설치하여 위에서 볼 때 각 바퀴는 같은 사이각을 가지고 이격 분포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되, 이들 가운데 위쪽 밴드의 3개의 바퀴와 아래쪽 밴드의 3개의 바퀴를 모두 전동바퀴로 구성하고, 아래쪽 3개의 바퀴는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름 방향을 배치하고 위쪽 3개의 바퀴는 본체를 기둥을 중심으로 둘레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름 방향을 배치하여 운용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preferably has three or more wheels or driving parts distribut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part of the wheel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rolling direction rotates the main body around the pilla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hexagonal band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se are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In each hexagonal band, three wheels are provided. Three wheels of the upper band and three wheels of the lower band are all composed of electric wheels and the lower three wheels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louds to move the body up and down and the upper three wheels The wheels can be operated by arranging the direction of the clouds in such a manner that the body rotates around the columns.

즉, 상하 이동시에는 콘트롤러 조종을 통해 위쪽 3개의 바퀴의 기둥과의 밀착도를 낮추도록 조임수단의 액츄에이터를 조절하고, 아래쪽 3개의 바퀴를 중심으로 상하 이동을 하고, 회전 이동시에는 콘트롤러 조종을 통해 아래쪽 3개의 바퀴의 기둥과의 밀착도를 낮추도록 조임수단의 액츄에이터를 조절하여 위쪽 3개의 바퀴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moving up and down, the actuator of the tightening means is adjusted to lower the tightness of the upper three wheels through the controller, and the upper and lower wheels are moved around the lower three wheels. The actuator of the tightening means may be adjusted so as to reduce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 pillar of the wheels of the wheels so that the wheel can be operated by rotating the upper three wheels.

설치 장치의 파지부나 착탈조작부는 도6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6의 본체(210)를 구성하는 프레인의 상부에 절곡되고 수평으로 내측으로 연장된 프레임 연장부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or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portion of the attaching devic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frame extending portion that is not shown in FIG. 6 but is bent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body 210 of FIG. 6 and extends inward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10: 레이더 모듈 20, 120: 신호처리 모듈
30, 130: 전원 모듈(배터리) 40: 하우징 및 장착모듈
41: 함체 43, 143: 브라켓
100: 교통량 측정 장치
141: 케이스 141a, 141b: 삽입홈
141c, 141d: 패킹 200: 설치 장치
210: 밴드형 본체 221, 231: 가동부
222, 232: 가동부프레임 223, 233: 조임수단
235: 모터 240: 파지부
250: 착탈조작부
10, 110: Radar module 20, 120: Signal processing module
30, 130: power module (battery) 40: housing and mounting module
41: Enclosure 43, 143: Bracket
100: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141: case 141a, 141b: insertion groove
141c, 141d: packing 200: mounting device
210: band type main body 221, 231:
222, 232: movable frame 223, 233: tightening means
235: motor 240:
250:

Claims (7)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로서,
레이더 전파를 방출하고 반사파를 수신하기 위한 레이더 모듈, 상기 반사파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하는 신호처리 모듈, 상기 레이더 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 모듈의 운영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 모듈, 상기 레이더 모듈, 상기 신호처리 모듈, 상기 전원 모듈을 포괄하도록 일체로 결합하며 도로 외측 설치물에 부착되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 하우징 및 장착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더 모듈은 레이더 전파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레이더 모듈이 수신한 반사파에 의한 신호의 처리, 분석을 통해 교통량 정보를 얻기 위한 프로세서, 메모리와 신호 처리용 프로그램, 정보를 외부와 주고받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A radar module for emitting radar waves and receiving reflected waves,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reflected waves,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ng the radar module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 power module including the radar module,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the power module, and a housing and a mounting module that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radar module,
Wherein the radar module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waves,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ncludes a processor for obtaining traffic volume information through processing and analysis of a signal by the reflected wave received by the radar module, a memory and a signal processing program,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utside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모듈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우징 및 장착 모듈에 카트리지 타입으로 원터치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킹 스테이션 방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ar module and the battery are a docking station system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module in a cartridge type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장착모듈은 레이더 모듈, 신호처리 모듈, 전원 모듈을 포괄하는 함체 하우징 및 일방으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 기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기둥 측면 일정 높이 부분을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형태의 밴드 부분과, 상기 밴드 부분의 두 단부 사이의 거리를 좁히거나 늘릴 수 있도록 상기 두 단부에 설치된 체결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module include a housing housing including a radar module,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 power module, and a bracket coupled to the housing on one side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band portion that completely or partially surrounds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and a fastening device provided at the two end portions so as to narrow or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nd portions of the band portion A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처리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처리 프로그램은 대상 영역의 차량 갯수를 카운트함에 있어서 앞선 차량이 뒷 차량에 대한 레이더 전파를 차폐하여 뒷 차량이 전파 음영대에 들어가고 이로써 차량 갯수의 정확한 감지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검지 대상 영역에 다중 루프 존을 설정하여 차선 구간을 복수 개로 나누고, 나누어진 각 차선 구간의 교통량 값(차량 대수)를 측정하여 최대 수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ncludes a processing program,
In the process program, in counting the number of vehicles in the target area, the preceding vehicle shields the radar wave for the rear vehicle so that the rear vehicle enters the propagation shadow zone, thereby preventing the accurate detection of the number of vehicles. Wherein the multi-lane detection radar type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includes an algorithm for setting a multi-loop zone to divide a lane section into a plurality of lane sections, and to select a maximum value by measuring a traffic value (vehicle number) of each divided lane section.
기둥을 둘러싸는 환형 혹은 밴드형 브라켓을 가진 교통량 측정 장치를 기둥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통량 측정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교통량 측정 장치의 상기 환형 혹은 밴드형 브라켓이 기둥 측벽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 혹은 이탈되도록 상기 환형 혹은 밴드형 브라켓을 조이거나 푸는 착탈조작부,
상기 기둥의 측면을 따라 상승,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기 착탈조작부, 상기 파지부의 동작을 상기 이송부, 상기 착탈조작부, 상기 파지부와 이격된 위치에서도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해 조절하는 콘트롤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설치 장치.
An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traffic volume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nular or band type bracket surrounding a column on a column,
A grip portion for detachably holding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device,
Wherein the annular or band type bracket of the traffic volume measurement device is mounted or detached in a manner to surround a part of the side walls of the column,
A conveying unit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a side surface of the colum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transferring unit,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unit, and the gripping unit by wire or wireless even at a position away from the transferring unit,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unit, and the gripping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기둥을 이격 상태로 둘러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의 측면에 닿아 가동되면서 상기 기둥을 따라 상승, 하강할 수 있는 가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 표면과 상기 가동부 사이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enclosing the column in a spaced apart state, and a movable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colum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 side of the column,
Further comprising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column surface and the movable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분포되는 3개 이상 복수 개의 전동 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전동 바퀴의 일부는 구름 방향이 상기 본체를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vable portion has three or more electric wheels distribu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a part of the electric wheel is arranged so that the rolling direction is able to rotate the main body around the column.
KR1020170159701A 2017-11-27 2017-11-27 apparatus for installing multi lane radar type counter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KR102009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01A KR102009818B1 (en) 2017-11-27 2017-11-27 apparatus for installing multi lane radar type counter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01A KR102009818B1 (en) 2017-11-27 2017-11-27 apparatus for installing multi lane radar type counter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80A true KR20190061380A (en) 2019-06-05
KR102009818B1 KR102009818B1 (en) 2019-08-13

Family

ID=6684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701A KR102009818B1 (en) 2017-11-27 2017-11-27 apparatus for installing multi lane radar type counter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729B1 (en) * 2020-11-05 2021-06-03 (주)하나텍시스템 Mobile Io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79Y1 (en) *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화성건업 Detector for sensing the speed of automobiles for traffic control
KR200347406Y1 (en) * 2003-12-24 2004-04-09 (주)태광이엔시 A multi-detection area radar for measuring the traffic information
KR20120095126A (en) * 2011-02-18 2012-08-28 이행종 Pillar set up safe driving guidance system
KR20130049639A (en)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vehicle type and counting number of vehicles
KR101457137B1 (en) 2014-07-03 2014-11-12 주식회사 유니시큐 Integrated System for Monitering Vehicles Using Radar Sensor on Spot
KR101734334B1 (en) * 2016-11-10 2017-05-11 (주)에스티앤씨 Road monitoring radar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79Y1 (en) *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화성건업 Detector for sensing the speed of automobiles for traffic control
KR200347406Y1 (en) * 2003-12-24 2004-04-09 (주)태광이엔시 A multi-detection area radar for measuring the traffic information
KR20120095126A (en) * 2011-02-18 2012-08-28 이행종 Pillar set up safe driving guidance system
KR20130049639A (en)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vehicle type and counting number of vehicles
KR101457137B1 (en) 2014-07-03 2014-11-12 주식회사 유니시큐 Integrated System for Monitering Vehicles Using Radar Sensor on Spot
KR101734334B1 (en) * 2016-11-10 2017-05-11 (주)에스티앤씨 Road monitoring rada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729B1 (en) * 2020-11-05 2021-06-03 (주)하나텍시스템 Mobile Io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818B1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8270B2 (en) Wireless traffic sensor system
US10491972B2 (en) Pole-mounted vehicle sensor
US10618653B2 (en) Charging system by autonomous guide of drone
US8880241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small unmanned aerial system for monitoring oil and gas pipelines
KR101880472B1 (en) Manhole cover for monitor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lpwan
KR102246174B1 (en) manhole cover and manhol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ES2911626T3 (en) Mobile power supply device for outdoor power supply
CN103487726A (en) System for online monitoring faults of electric power line
CN105511470A (en) Intelligent inspection robot
KR101140768B1 (en) Remote control of snowplow system
US20130269440A1 (en) Water-leakage detection method and water-leakage detection device
KR20190061380A (en) multi lane radar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traffic volume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US10152893B2 (en) Retrofit wireless blind spot detection system
CA2894391A1 (en) Data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409829B1 (en) Load sensing apparatus
CN205450254U (en) Radio monitoring direction -finder set carries device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GB2537507A (en) Vehicle detection device, lane control system, vehicl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CN210732465U (en) Inspection robot for power distribution room
CN216122447U (en) Vehicle-mounted unmanned aerial vehicle defense system
CN205506111U (en) Many firs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of on -vehicle movable type
KR102228825B1 (en) Portable traffic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for predicting traffic conditions
KR20180114989A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pparatus for Power Line Tower
CN208444437U (en) A kind of parking detection device and the parking lot with it
CN205594170U (en) On -vehicle data monitoring terminal of GPRS based on big dipper GPS and basic station are positioned an organic whole
KR20240015907A (en) Management apparatus for man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