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111A -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111A
KR20190061111A KR1020170159123A KR20170159123A KR20190061111A KR 20190061111 A KR20190061111 A KR 20190061111A KR 1020170159123 A KR1020170159123 A KR 1020170159123A KR 20170159123 A KR20170159123 A KR 20170159123A KR 20190061111 A KR20190061111 A KR 20190061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red pepper
jaws
base memb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809B1 (ko
Inventor
김영갑
Original Assignee
(주)유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프랜드 filed Critical (주)유프랜드
Priority to KR102017015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8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 깊숙이 박혀있는 고추지지대를 손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며, 위치이동이 용이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추지지대 취출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동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취출하고자 하는 고추지지대를 파지하는 파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추지지대 취출장치{Apparatus for red pepper supporter}
본 발명은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 깊숙이 박혀있는 고추지지대를 손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며, 위치이동이 용이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를 재배할 시, 고추가 성장함에 따라 비와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 인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추지지대를 지면에 박은 후에 끈을 결속하여 고추가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고추지지대는 목재와 합성수지 또는 금속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고추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지면에 깊숙이 박혀져 설치된다.
지면에 깊숙이 박힌 고추지지대는 고추의 수확이 끝난 후에 제거될 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현대의 농촌의 경우 고령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추지지대를 제거할 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681호에 고추지지대 취출기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추지지대 취출기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운반하면서 허리를 숙여 고추지지대의 위치에 따라 지면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이를 이용하여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작업을 할 경우 허리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68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렛대 원리를 활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지면 깊숙이 박혀있는 고추지지대를 취출할 수 있는 고추지지대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치이동이 편리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출지지대 취출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핸들의 회동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취출하고자 하는 고추지지대를 파지하는 파지유닛을 구비한다.
승강유닛은 복수의 승강프레임이 힌지로 연결되어서 상하로 절첩이 가능한 펜타그래프와, 상기 펜타그래프의 일측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핸들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파지유닛은 고추지지대의 양측면을 에워싸는 한 쌍의 죠와, 상기 한 쌍의 죠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를 통해 상기 파지부를 작동하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죠는 일측에 고추지지대의 양측면을 에워싸는 호형의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에 복수 개의 파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파지부를 구비한다.
링크부는 상기 한 쌍의 죠 상면에 결합되는 1링크부재와, 상기 제 1링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죠 사이를 연결하는 제 2링크부재와, 상기 제 2링크부재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상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조작부는 상기 제 1링크부재 중앙에 결합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죠를 작동시키는 파지레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추지지대 취출기는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지면에 깊숙이 박혀있는 고추지지대를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장시간 작업시에도 피로감이 적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추지지대 취출기는 바퀴에 의해 위치이동이 편리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의 승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추지지대 취출장치(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추지지대 취출장치(10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부재(110)와,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베이스부재(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150)과, 핸들(150)의 회동변위를 이용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170)과, 가이드 플레이트(130)에 설치되어 취출하고자 하는 고추지지대를 파지하는 파지유닛(19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지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판형의 부재로, 후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11)가 설치된다.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는 봉상의 가이드레일(131)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31)은 가이드플레이트(130)가 평행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된 바와 달리 사각봉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130)는 가이드레일(131)에 관통되어 베이스부재(11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판형의 부재로, 하면에 설치되는 승강유닛(170)에 의해 베이스부재(110)에 대해 승하강 된다. 가이드플레이트(130)는 일측에 구비된 슬라이딩부(132)에 의해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핸들(150)은 베이스부재(110)의 상면과 힌지결합되고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레버(151)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레버(151)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152)를 구비한다. 레버(151)는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서 가이드레일(131)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하단이 베이스부재(110) 상면에 간섭없이 회전하도록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된 브라켓에 힌지결합된다. 레버(151)는 휨강도가 강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외면에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합성섬유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52)는 레버(151)가 회동할 때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외면을 감싸는 고무재질 커버가 더 구비된다.
승강유닛(170)은 베이스부재(110)와 가이드플레이트(1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이 힌지로 연결되어서 상하로 절첩이 가능한 펜타그래프(171)와, 일측이 펜타그래프(171)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레버(151)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175)를 구비한다.
펜타그래프(171)는 상단의 일측이 가이드플레이트(130) 하면 전방에 힌지결합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펜타그래프(171)의 상단의 타측은 후술되는 보조가이드레일에 힌지결합되어 가이드플레이트(130)의 하면에 설치된다. 펜타그래프(171)의 하단의 일측은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전방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은 후술되는 연결부(175)의 연결프레임(175a)와 힌지결합되어 핸들(150)의 회동에 의해 상하로 절첩된다.
연결부(175)는 팬타그래프(171)의 하단과 핸들(150)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 사이를 연결하며 핸들(150)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이 후진하였을 때 가이드레일(131)에 걸려 핸들(150)의 회동을 멈추게하는 멈춤프레임(175b)을 구비한다. 연결프레임(175a)은 일자 형상으로 가이드레일(131)이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 사이에 위치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되며 양단이 힌지결합한다. 멈춤프레임(175b)은 일자 형상으로 가이드레일(131) 전방에 위치한다. 멈춤프레임(175b)은 가이드레일(131)과 충돌하여 멈출 때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멈춤프레임(175b)의 외면에 고무재질의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유닛(190)은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추지지대를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2죠(191)(192)와, 제 1, 2죠(191)(192)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2죠(191)(19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2링크부재(193)(194)와, 제 1, 2링크부재(193)(194)에 연결되며 가이드플레이트(130)에 지지되어 1, 2죠(191)(192)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95)와, 핸들(150)과 제 1, 2링크부재(193)(194)에 설치되어 제 1, 2죠(191)(192)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추지지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레버부(197)를 구비한다.
고추지지대에 파지하는 상기 한 쌍의 제 1, 2죠(191)(192)의 단부에는 고추지지대를 미끄럼 없이 파지할 수 있도록 호형의 파지홈에 복수 개의 파지돌기가 형성된 파지팁(196)을 더 구비한다. 파지팁(196)의 파지돌기는 고추지지대가 미끄럼 없이 파지되어 뽑히도록 끝이 뾰족한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2링크부재(193)(194)는 세 개의 고정홀을 이을 때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 1, 2링크부재(193)(194)의 세 개의 고정홀을 통해 각각 상기 제 1, 2죠(191)(192)의 상면 후단에 설치되고 일단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후술되는 탄성부(195)와 결합된다.
탄성부(195)는 제 1, 2링크부재(193)(194)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 1부재(195a)와 제 1부재(195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부재(195b)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0)에 지지되어 제 1, 2죠(191)(192)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제 2부재(195b)의 단부에 연결되는 복원부재(195c)를 구비한다. 제 1부재(195a)는 제 1, 2링크부재(193)(194) 사이를 연결하고 제 1부재(195a)의 중심에 제 2부재(195b)의 일단이 결합된다. 제 2부재(195b)의 타단은 복원부재(195c)의 일단과 결합된다. 복원부재(195c)의 타단은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에 결합된다. 복원부재(195c)는 제 1, 2죠(191)(192)에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코일스프링이 적용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레버부(197)는 핸들(150)에 설치되는 조작레버(197a)와, 조작레버(197a)와 제 1부재(195a)를 연결하여 제 1부재(195a)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197b)을 구비한다. 조작레버(197a)는 일측이 손잡이(152)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조작레버(197a)의 일단에는 와이어 케이블(197b)이 진퇴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와이어 케이블(197b)은 제 1부재(195a)의 중심에 형성된 피벗축(198)에 결합되어 조작레버(197a)의 조작에 의해 제 1부재(195a)를 전후진시킨다. 와이어 케이블(197b)은 인장강도가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케이블(197b)의 길이 변화로 인하여 장력이 완화되어 고추지지대를 파지하는 힘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케이블(197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기(198)가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100)는 사용자가 고추지지대를 한 쌍의 제 1,2죠(191)(192) 사이에 넣고 조작레버(197a)를 손잡이(152) 방향으로 당겨 고추지지대를 파지한다. 고추지지대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150)을 후방으로 회동시켰을 때 발생하는 회동변위(L1)에 의해 핸들(150) 일단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에 이송변위(L2)가 발생되고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 타단에 연결된 펜타그래프(171)에 의해 이송변위(L2)가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승강변위(L3)로 전환되며 고추지지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취출하게 된다.
고추지지대를 취출한 후에 사용자가 조작레버(197a)에서 손을 놓으면 조작레버(197a)는 손잡이(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와이어 케이블(197b)의 장력이 완화되면서 한 쌍의 제 1, 2 죠(191)(192)의 사이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고추지지대가 분리된다. 고추지지대가 분리된 후 사용자가 핸들(150)을 전방으로 회동시켰을 때 핸들(150) 일단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이 후퇴하고 가이드플레이트(130)는 하강하게 된다. 한 쌍의 연결프레임(175a)이 후퇴하는 중에 가이드레일(131)에 멈춤프레임(175b)이 걸리고 핸들(150)은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고추지지대 취출장치(100)는 사용자가 지면에 깊숙이 박혀있는 고추지지대를 지렛대 원리를 활용하여 서 있는 상태에서 핸들(15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켜 쉽게 취출할 수 있으며 바퀴(111)가 구비되어 고추지지대취출장치(100)의 이동이 편리하다. 이에,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장시간 동안 작업시에도 사용자의 피로감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동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취출하고자 하는 고추지지대를 파지하는 파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이 힌지로 연결되어서 상하로 절첩이 가능한 펜타그래프와, 상기 펜타그래프의 일단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자유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추지지대를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2죠와, 상기 제 1, 2죠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2죠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2링크부재와, 상기 제 1, 2링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1, 2죠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핸들과 상기 제 1, 2링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2죠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추지지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레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제 1, 2링크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 1부재와 상기 제 1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부재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2죠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복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레버부는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제 1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 1부재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KR1020170159123A 2017-11-27 2017-11-27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KR10201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23A KR102018809B1 (ko) 2017-11-27 2017-11-27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23A KR102018809B1 (ko) 2017-11-27 2017-11-27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11A true KR20190061111A (ko) 2019-06-05
KR102018809B1 KR102018809B1 (ko) 2019-09-04

Family

ID=6684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23A KR102018809B1 (ko) 2017-11-27 2017-11-27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85260A (en) * 2021-08-01 2023-02-01 Arugga A I Farming Ltd Treatment system for growing 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110B1 (ko) 2022-11-07 2023-05-18 이주동 고추지지대 추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342U (ko) * 1986-08-12 1988-02-24
JP2012107487A (ja) * 2010-10-28 2012-06-07 Minoru Industrial Co Ltd 杭抜き機
KR101531681B1 (ko) 2014-12-05 2015-06-25 허용무 고추지지대 취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342U (ko) * 1986-08-12 1988-02-24
JP2012107487A (ja) * 2010-10-28 2012-06-07 Minoru Industrial Co Ltd 杭抜き機
KR101531681B1 (ko) 2014-12-05 2015-06-25 허용무 고추지지대 취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85260A (en) * 2021-08-01 2023-02-01 Arugga A I Farming Ltd Treatment system for growing plants
WO2023012788A1 (en) * 2021-08-01 2023-02-09 Arugga A.I Farming Ltd Plants grow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L285260B1 (en) * 2021-08-01 2023-06-01 Arugga A I Farming Ltd Treatment system for growing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809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632B2 (en) Multifunctional physical training device
KR20190061111A (ko)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CN108811762B (zh) 适用于林果采摘的平衡机械臂
CN108811763B (zh) 适用于林果采摘的机械手
CN105798579B (zh) 一种o型圈组装用夹爪装置
US20070078044A1 (en) Tool magazine device for vertical machining center
WO2017119149A1 (ja) 掴線器
CN111867686A (zh) 侧向下拉健身器的翻转和抓握手柄系统
CN103737546B (zh) 一种光分路器拉丁扣压装工具
JP2013027057A (ja) 電線引留め方式
CN114800474A (zh) 一种工业生产运输智能机器人抓取装置
EP2856904A3 (fr) Appareil de coiffure à brosses réglables
CN208063842U (zh) 一种测量采摘同步进行的摘果器
RU2013102251A (ru) Марк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лесозаготов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93761A (ko) 추락 방지 기능을 구비한 사다리
CN208001554U (zh) 一种包络式水果采摘装置
US2189713A (en) Handling tool
CN205711925U (zh) 一种可定位及工作记录的简易环卫装置
CA2641004A1 (en) Lifter tool
JP6489424B2 (ja) 耐張碍子の吊り具
KR101705790B1 (ko) 중량물 집게장치
CA1067465A (en) Garment hanger
KR20150071716A (ko) 지지대 뽑기장치
CN104319691A (zh) 便携式紧线器
KR100748450B1 (ko) 담배건조기용 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