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838A -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838A
KR20190060838A KR1020197013376A KR20197013376A KR20190060838A KR 20190060838 A KR20190060838 A KR 20190060838A KR 1020197013376 A KR1020197013376 A KR 1020197013376A KR 20197013376 A KR20197013376 A KR 20197013376A KR 20190060838 A KR20190060838 A KR 2019006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terminal
sender
viewer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루 사토
Original Assignee
슈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슈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3770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74516A1/ja
Publication of KR2019006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3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for tracking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팬과의 대화를 자유롭게 전환하는 라이브 전송(live streaming)에 의해, 「언젠가 선택될지도 모른다」라고 하는 기대감을 조성하여, 시청 계기를 장려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전송자 단말(distributor terminal)과, 복수의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과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청자 중에서, 채팅의 후보자를 상기 전송자 단말에 1명 이상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1명 이상의 상기 후보자 중에서 채팅 대상자를 상기 전송자가 지정하는 조작을 상기 전송자 단말을 통해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채팅 대상자의 상기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의 상기 전송자 단말 사이에서 채팅을 행하는 채팅 제어 수단과, 상기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에 라이브 전송하는 라이브 전송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정보 단말 기능의 이용이 서투른 사람들, 남녀노소, 그다지 인터넷의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쉽게 비디오 라이브 채팅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었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를, 텔레비전 생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 시청자와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툴로서 이용하는 것도, 이미 이루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이용도, 연락처를 기입한 엽서나 e메일에 의한 사전 응모 등에 의해 당선자가 추선(推選)되기 때문에, 새로운 시청의 계기는 되기 어려웠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0548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많은 팬이 라이브 전송을 시청하는 계기를 부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인 정보 처리 시스템은,
라이브의 전송자(distributor)가 조작하는 전송자 단말과,
상기 라이브의 복수의 시청자가 각각 조작하는 복수의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과 통신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의 전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청자 중에서, 채팅의 후보자를 상기 전송자 단말에 1명 이상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1명 이상의 상기 후보자 중에서 채팅 대상자를 상기 전송자가 지정하는 조작을 상기 전송자 단말을 통해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채팅 대상자의 상기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의 상기 전송자 단말 사이에서 채팅을 행하는 채팅 제어 수단과,
상기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에 라이브 전송하는 라이브 전송 수단
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많은 팬이 라이브 전송을 시청하는 계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서버, 전송자 단말 및 시청자 단말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전송자 단말에 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서버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서버가 실행하는, 코인 투입량으로 채팅 대상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처리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시청자 단말에 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시청자 단말에 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서버(1)와, 전송자 단말(2)과, n명(n은 제로 이상의 임의의 정수값)의 게스트의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게스트 단말(3-1 내지 3-n)과, m명(m은 1 이상의 임의의 정수값)의 시청자의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시청자 단말(4-1 내지 4-m)을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라이브 전송이란, 공개 채팅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전송을 말한다.
전송자(distributor)란, 라이브 전송을 행하는 주체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이상의 시청자와의 공개 채팅을 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채팅은, 메시지 등을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단말뿐만이 아니라, 그 채팅 내용이 영상으로서 시청자 단말(4-1 내지 4-m) 모두에게도 라이브 전송되는, 이른바 공개 채팅이다.
게스트란, 전송자의 초대에 의해 공개 채팅에 특별히 참가하는 사용자를 말한다.
시청자란, 공개 채팅을 시청하는 사람을 말하며, 채팅 후보자, 채팅 대상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채팅이란, 네트워크(N)를 통해, 복수 단말 사이에서 메시지 등을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다.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는, 문자, 음성, 화상(정지 화상 및 동화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수단을 이용한 채팅의 각각은, 텍스트 채팅, 음성 채팅 및 비디오 채팅 등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비디오 채팅을 상정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텍스트 채팅이나 음성 채팅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채팅에는, 이른바 「전화」도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네트워크(N)가, 휴대 전화의 캐리어가 관리하는 캐리어망인 경우, 이른바 「전화」도 음성 채팅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채팅과 텍스트 채팅을 조합하여, 화상 중에 메시지 텍스트를 중첩하여 스크롤 표시시켜도 좋다.
서버(1)와, 전송자 단말(2)과, 게스트 단말(3-1 내지 3-n)의 각각과, 시청자 단말(4-1 내지 4-m)의 각각은, 인터넷 등의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N)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서버(1)는, 전송자 단말(2)과, 게스트 단말(3-1 내지 3-n)의 각각과, 시청자 단말(4-1 내지 4-m)의 각각에 대해 라이브 전송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이하, 게스트 단말(3-1 내지 3-n)의 각각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통합하여 「게스트 단말(3)」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이하, 시청자 단말(4-1 내지 4-m)의 각각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통합하여 「시청자 단말(4)」이라고 부른다.
한편, 전송자는 임의의 사용자를 채팅에 참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전송자 단말(2)을 조작하여, 게스트 사용자를 특별히 초대할 수 있다.
게스트 사용자가 사용하는 게스트 단말(3)의 구성은, 다른 단말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후에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ROM(Read Only Memory)(12)과, RAM(Random Access Memory)(13)과, 버스(1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와, 출력부(16)와, 입력부(17)와, 기억부(18)와, 통신부(19)와, 드라이브(20)를 구비하고 있다.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8)로부터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3)에는, CPU(1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출력부(16), 입력부(17), 기억부(18), 통신부(19) 및 드라이브(20)가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16)는 각종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입력부(17)는, 각종 하드웨어 버튼 등으로 구성되고,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기억부(18)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19)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를 통해 다른 장치[도 1의 예에서는 전송자 단말(2)이나 시청자 단말(4) 등]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20)는,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드라이브(20)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4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0)에 의해 리무버블 미디어(4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18)에 인스톨된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41)는, 기억부(18)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18)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전송자 단말(2), 게스트 단말(3) 또는 시청자 단말(4)의 구성은, 터치 패널을 갖는 경우가 있는 점을 제외하고, 서버(1)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도 2의 서버(1), 전송자 단말(2), 게스트 단말(3) 및 시청자 단말(4)의 각종 하드웨어와 각종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다음과 같은 처리가 실행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버(1)는, 시청자 단말(4)로 공개 채팅을 시청하는 시청자 중에서, 1명 이상의 채팅 후보자를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한다. 서버(1)는, 추출한 1명 이상의 채팅 후보자 중에서, 전송자 단말(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채팅 대상자를 결정한다.
서버(1)는, 이와 같이 하여 결정한 채팅 대상자의 시청자 단말(4)과, 전송자 단말(2) 사이에서 공개 채팅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제어를 실행하고, 그 채팅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시청자 단말(4) 등에 라이브 전송한다.
여기서, 채팅 대상자로 선택되지 않은 1명 이상의 채팅 후보자의 시청자 단말(4)이 촬상하는 화상(주로 시청자의 얼굴 화상)은, 적어도 전송자 단말(2)에 일람 표시되어, 전송자측에서 언제든지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이돌 탤런트 등이 전송자로 되어 있는 라이브 전송에 있어서, 임의의 팬(시청자)과의 대화를 자유롭게 전환하여 라이브 전송에 얹음으로써, 시청하고 있는 팬에게 「언젠가 선택될지도 모른다」라고 하는 기대감을 조성하고, 따라서, 보다 많은 팬을 라이브 전송의 시청자로 삼는 계기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공개 채팅을 라이브 전송하는 일련의 처리(이하, 「라이브 전송 처리」라고 부름)를 실현하기 위해서, 서버(1), 전송자 단말(2) 및 시청자 단말(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적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전술한 시청자 단말(4) 중, 채팅 대상자가 조작하는 것을 시청자 단말(4-a)(a는 1 내지 m 중의 임의의 정수값)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시청자 단말(4) 중, 다음에 채팅 대상자가 될 수 있는 채팅 후보자를, 시청자 단말(4-b)(b는 a와는 상이한 정수값이고, 1 내지 m 중의 임의의 정수값)로서, 그리고 채팅 대상자도 채팅 후보자도 아닌 단순한 라이브 전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를, 시청자 단말(4-c)(c는 a, b와는 상이한 정수값이고, 1 내지 m 중의 임의의 정수값)로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서버(1)의 CPU(11)에 있어서는, 표시 제어부(60)와, 접수부(61)와, 채팅 제어부(62)와, 라이브 전송부(63)와, 시간 관리부(64)와, 채팅 접속부(65)가 기능한다.
전송자 단말(2)의 CPU(11d)에 있어서는, 선택 조작 접수부(60d)와, 촬상 제어부(61d)와, 표시 제어부(62d)가 기능한다.
시청자 단말(4-a)의 CPU(11a)에 있어서는, 촬상 제어부(60a)와, 표시 제어부(61a)가 기능한다.
시청자 단말(4-b)의 CPU(11b)에 있어서는, 촬상 제어부(60b)와, 표시 제어부(61b)가 기능한다.
시청자 단말(4-c)의 CPU(11c)에 있어서는, 촬상 제어부(60c)와, 표시 제어부(61c)가 기능한다.
서버(1)의 CPU(11)의 표시 제어부(60)는, 통신부(19)를 통해, 라이브 전송에 대한 복수의 시청자 중에서, 채팅의 후보자를 전송자 단말(2)의 표시부(16d)에 1명 이상 표시시킨다.
서버(1)의 CPU(11)의 접수부(61)는, 전송자가 지정한 채팅 대상자를 특정하는 정보를, 통신부(19)를 통해, 전송자 단말(2)로부터 접수한다.
서버(1)의 CPU(11)의 채팅 제어부(62)는, 전송자가 지정한 채팅 대상자를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대상자의 시청자 단말(4-a)을 특정하고, 채팅 접속부(65) 및 통신부(19)를 통해 채팅 대상자로 지정된 취지를 통지한다.
채팅 제어부(62)는, 또한, 채팅 접속부(65) 및 통신부(19)를 통해, 시청자 단말(4-a) 및 시청자 단말(4-b)에 촬상 등의 개시 지시를 송신한다.
서버(1)의 CPU(11)의 라이브 전송부(63)는, 채팅의 내용을, 전송자 단말(2) 및 시청자 단말(4-a)에 상호 통신부(19)를 통해 송신한다.
라이브 전송부(63)는, 또한,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전송자 단말(2) 및 복수의 시청자 단말(4)의 각각에 통신부(19)를 통해 라이브 전송한다.
서버(1)의 CPU(11)의 시간 관리부(64)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채팅 후보자 일람의 표시를 갱신하기 위한 지시를, 표시 제어부(60)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버(1)의 CPU(11)의 채팅 제어부(62)는, 채팅 대상자의 시청자 단말(4-a)과, 전송자의 전송자 단말(2) 사이에서 채팅을 행한다.
서버(1)의 CPU(11)의 채팅 접속부(65)는, 시청자 단말(4) 중, 채팅 대상자의 시청자 단말(4-a) 및 채팅 후보자의 시청자 단말(4-b)과의 세션을 관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CPU(11) 등의 서버(1)의 하드웨어 자원에 과대한 부하를 가하지 않고, 채팅 후보자의 시청자 단말(4-b)의 촬상 등을 예측해 둘 수 있고, 채팅 대상자를 채팅 후보자의 한 사람으로 전환한 경우의 접속 대기 시간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전송자 단말(2)의 CPU(11d)의 선택 조작 접수부(60d)는, 1명 이상의 채팅 후보자를 표시하고, 그 중에서 채팅 대상자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한다.
선택 조작 접수부(60d)는, 또한, 통신부(19d)를 통해, 서버(1)에 지정한 채팅 대상자를 특정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전송자 단말(2)의 CPU(11d)의 촬상 제어부(61d)는, 입력부(17d)를 촬상부(63d)로서 제어하여, 전송자의 메시지를 촬상, 녹음, 키보드 입력 및 포인팅 디바이스 입력(이하, 「촬상 등」이라고 함)시킨다.
전송자 단말(2)의 CPU(11d)의 촬상 제어부(61d)는, 또한, 통신부(19d)를 통해, 서버(1)에 촬상 등을 한 전송자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시청자 단말(4-a)의 CPU(11a)의 촬상 제어부(60a)는, 서버(1)로부터의 촬상 등의 개시 지시를 받아 입력부(17a)를 촬상부로서 제어하여, 채팅 대상자인 시청자의 메시지에 대해 촬상 등을 시킨다.
시청자 단말(4-a)은, 또한, 통신부(19a)를 통해, 서버(1)에 촬상 등을 한 채팅 대상자인 시청자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전송자 단말(2)의 CPU(11d)의 표시 제어부(62d)는, 채팅의 후보자의 일람, 채팅의 내용 및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부(16d)에 표시시킨다.
시청자 단말(4-a)의 CPU(11a)의 표시 제어부(61a)는, 채팅의 내용 및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부인 출력부(16a)에 표시시킨다.
시청자 단말(4-b)의 CPU(11b)의 표시 제어부(61b)는,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부인 출력부(16b)에 표시시킨다.
시청자 단말(4-c)의 CPU(11c)의 표시 제어부(61c)는,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부인 출력부(16c)에 표시시킨다.
한편, 시청자 단말(4-b)의 CPU(11b)의 촬상 제어부(60b) 또는 시청자 단말(4-c)의 CPU(11c)의 촬상 제어부(60c)는, 입력부(17b) 또는 입력부(17c)를 촬상부로서 제어하여, 시청자의 섬네일 동화상 등에 대해 촬상 등을 시켜도 좋다.
촬상 제어부(60b) 또는 촬상 제어부(60c)는, 또한, 통신부(19b) 또는 통신부(19c)를 통해, 서버(1)에 촬상 등을 한 시청자의 섬네일 동화상 등을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서버(1)의 CPU(11)의 표시 제어부(60)는, 통신부(19)를 통해, 채팅 후보자의 섬네일 동화상 등을 아이콘으로서 전송자 단말(2)의 표시부(16d)에 1명 이상 표시시킨다.
또한, 각각의 채팅 후보자에 대해, 이석(離席)중이나 다른 용무중과 같은 스테이터스를 표시시켜도 좋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전송자 단말에 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화면의 우측 영역의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에는, 1명 이상의 채팅의 후보자[시청자 단말(4)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표시된다.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는, 전송자 단말(2)에 있어서는, 채팅 대상자의 지정을 지시하는 조작 접수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라이브 전송으로서, 그 외의 시청자 단말(4)에 있어서 표시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표시 영역이다.
채팅 대상자를 지정하는 조작은,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 중의 1명의 표시 영역의 탭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전송자는, 채팅 대상자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채팅 대상자를 추가 또는 제외할 수 있어도 좋다.
전송자 단말(2)에 있어서는,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는, 스크롤 조작을 행함으로써, 채팅 후보자를 교체하여, 표시수 이상의 채팅 후보자를 표시시킬 수 있어도 좋다.
한편, 후보자는, 전송자 단말(2)에 대해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함으로써,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에 있어서의 채팅의 후보자의 나열 순서를 원하는 순서로 다시 배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표시 제어부(60)는, 채팅의 후보자의 나열 순서를 전송자 단말(2)로부터의 편집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60)는,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에 표시되는 채팅의 후보자의 화상에 근접하여, 상기 채팅의 후보자의 스테이터스(예컨대 온라인중 및 오프라인 등의 스테이터스)를 표시시킨다.
또한, 전송자는, 전송자 단말(2)에 대해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시 제어부(60)의 제어에 기초하여,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에 표시되는 채팅의 후보자를 속성마다 분류 또는 순서대로 다시 배열하여 표시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표시 제어부(60)는, 채팅의 후보자를, 거주지마다 다시 배열하거나, 연대별로 다시 배열하거나 할 수 있다.
도 4의 화면의 좌측 위 영역의 전송자 메시지 표시부(DM)에는, 전송자 단말(2)의 촬상부가 촬상 등을 한 화상(주로 전송자의 얼굴 화상이나, 전송자가 발한 코멘트 등의 텍스트 화상)이 표시된다.
도 4의 화면의 중앙 아래 영역의 채팅 대상자 메시지 표시부(FM)에는, 시청자 단말(4-a)의 촬상부가 촬상 등을 한 화상(주로 채팅 대상자의 얼굴 화상이나, 채팅 대상자가 발한 코멘트 등의 텍스트 화상)이 표시된다.
도 4의 화면의 좌측 아래 영역의 게스트 사용자 메시지 표시부(GM)는, 전송자가 게스트 사용자를 초대한 경우에, 게스트 단말(3)의 촬상부가 촬상 등을 한 화상(주로 게스트의 얼굴 화상이나, 채팅 대상자가 발한 코멘트 등의 텍스트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영역이다.
한편, 전송자가 게스트로서 사용자를 초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게스트 사용자 메시지 표시부(GM)는 축소 또는 소멸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른 표시 영역을 확대시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도 4의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라이브 전송으로서 전송되어, 시청자 단말(4-b)에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컨대 전송자로서 아이돌 탤런트 등이 라이브 전송하는 경우, 임의의 팬(시청자)과의 대화를 자유롭게 전환하여 라이브 전송에 얹음으로써, 시청하고 있는 팬에게 「언젠가 선택될지도 모른다」라고 하는 기대감을 조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서버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한다.
서버(1)에서는, 라이브 전송 처리로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1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60)는,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한 채팅 후보자를 전송자 단말(2)에 일람 표시시킨다.
단계 S12에 있어서, 접수부(61)는, 채팅 대상자를 지정하는 조작을 접수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채팅 제어부(62)는, 전송자에 대해 전송자 단말(2)에, 그리고 채팅 대상자에 대해 시청자 단말(4-a)에, 각각 촬상 등을 시킨다.
단계 S14에 있어서, 채팅 제어부(62)는, 전송자 단말(2) 및 시청자 단말(4-a)에, 상호에서 촬상 등을 한 결과 얻어지는 메시지를 상호 송신한다.
이러한 단계 S13 및 S14의 처리에 의해, 전송자와 채팅 대상 사이에서의 채팅이 행해진다.
단계 S15에 있어서, 서버(1)는, 채팅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라이브 전송한다.
도 6은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서버가 실행하는, 코인 투입량으로 채팅 대상자의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처리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상에서 가상적으로 코인을 판매함으로써 유료로 과금을 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송자와의 채팅을 즐기고 싶은 시청자라면, 코인을 거듭 투입함으로써, 채팅에 연결되고 싶다고 하는 소망을 보다 쉽게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송자(채팅을 연결시키는 측의 아이들 등)는, 각 시청자마다의 코인의 각 투입량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에 누구와 채팅을 연결시킬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채팅 대상자로서 선출되는 것을 희망하는 시청자인 사용자 A, 사용자 B 및 사용자 C의 각각이, 자신의 채팅 대상자로서의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를 올리기 위해서, 코인을 투입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상단은,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의 당초의 상태이며, 150개의 코인을 본 시스템에 투입한 사용자 B가 채팅 대상자로서의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 제1위이고, 120개의 코인을 본 시스템에 투입한 사용자 C가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 제2위이며, 80개의 코인을 본 시스템에 투입한 사용자 A는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 제3위로 되어 있다.
이 상황에 있어서, 우선순위 제1위가 된 사용자 B가 채팅 대상자로 선출되고, 채팅 대상자로 선출되지 않은 사용자 A가 50개의 코인을 더 투입한 경우가, 도 6의 하단에 도시되어 있다.
즉, 누계 130개의 코인을 본 시스템에 투입한 사용자 A가 채팅 대상자로서의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 제1위이고, 120개의 코인을 본 시스템에 투입한 사용자 C가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 제2위이며, 채팅 대상자로 선출됨으로써 코인을 투입한 150개의 코인 모두를 소비하여, 코인 투입량이 0개가 된 사용자 B는 선출에 따른 우선순위 제3위가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중의, 시청자 단말에 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채팅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의 라이브 전송을 개시할 때에, 미리 정해진 시청자 단말의 각각에 라이브의 전송자로부터의 통화에 따른 착신을 받은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시킨다.
도 7은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의 시청자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이며, 통상의 통화 착신 시와 동일한 화면의 표시로, 라이브 전송의 개시가 적시에 통지되고 있다.
즉, 예컨대 수화기가 그려진 스와이프 조작 가능한 심볼이, 발신자명으로서의 라이브의 전송자를 지칭하는 개인명 등과 함께 표시된다.
상기 화면에 있어서는 시청자는, 통상의 전화 착신 시에 있어서의 응답을 행하는 스와이프 조작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라이브 전송의 시청을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단말의 메이커 등이 공급하는 통화 기능 연동 개발 환경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청자는 시청자 단말 조작 개시 시에 요구되는 로크 해제 조작, 애플리케이션 기동 조작 등의, 시청을 위한 각 준비 조작을 생략할 수 있어, 시간이 걸리지 않고 빠르게, 시청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시청자는, 착신음, 착신 통지 진동 등에 의해 전송 직전의 아슬아슬한 타이밍에 라이브 전송의 개시가 임박해 있는 것을 인식한 후일지라도, 라이브 전송의 시청을 전송 개시와 대략 동시까지 확실히 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중의, 시청자 단말에 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라이브 전송의 개시에 따른 통지를, 라이브의 전송자로부터의 통화에 따른 착신을 받은 경우와 동일한 착신 화면을 표시시킴으로써 행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착신 이력에 대해서도 라이브의 전송자로부터의 통화에 따른 착신을 받은 경우와 동일한 착신 이력으로서, 시청자 단말 등에 기억시킨다.
도 8은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의 시청자 단말의 착신 이력 표시 화면의 일례이며, 시청자는 통화 착신 이력에 대해 통상의 열람 조작을 행함으로써, 시청을 했거나, 혹은 놓친 라이브 전송에 대해, 라이브 전송의 개시에 따른 통지가 있었던 것을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청자는, 각별히 의식하지 않고 시청자 단말의 통화 기능을 이용하고 있으면, 다음번의 라이브 전송에 대해, 주의가 환기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 및 채팅 대상자 메시지 표시부(FM)에 표시되는, 주로 얼굴 화상인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대해, 예컨대 스티커 사진 화상과 같은 데코레이션 가공을 가하거나 혹은 해제하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서버(1) 및 시청자 단말(4)을 구성해도 좋다.
데코레이션 가공의 양태로서는, 손으로 쓴 글씨풍의 기록을 중첩시키는 낙서 가공, 양 눈을 비대화시키는 왕눈 가공, 피부의 색조를 검게 또는 희게 보정하는 검은 얼굴 가공 또는 흰 얼굴 가공, 멍, 여드름, 점, 벌레 물린 자국 등을 지우는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가공, 얼굴을 작게 보이는 작은 얼굴 가공, 표정을 변화시키는 우스꽝스러운 표정 가공, 머리 모양이나 머리색을 바꾸는 가발 가공, 착의를 바꾸는 코스프레 가공, 동물의 귀나 코 등의 부분을 추가하는 애니멀 가공, 프라이버시 보호에 이용되는 눈 선으로 양 눈을 가리는 눈가림 가공, 용모를 유아풍으로 하는 아이 가공, 용모를 노인풍으로 하는 가령(加齡) 가공, 용모를 로봇풍으로 하는 로봇 가공, 살이 찐 용모로 하는 뚱보 가공, 여윈 용모로 하는 여윔 가공, 얼굴을 만화풍으로 하는 캐릭터 가공, 화장을 하는 메이크업 가공, 안경을 쓰는 안경 가공, 상처 자국이나 문신을 추가하는 무서운 얼굴 표정 가공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얼굴 화상을 대신하여, 아바타 등의 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지정하여 표시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서버(1) 및 시청자 단말(4)을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맨 얼굴을 공개하고 싶지 않거나, 혹은 채팅 대상자의 자리를 다투는 다른 시청자보다 눈에 띄고 싶거나, 채팅 대상자가 된 경우에 강한 인상을 주어 기억에 남고 싶은 등의, 시청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에 표시되는 채팅 후보자를 다시 배열하는 조작이 전송자 이외의 스태프에게도 가능하도록, 전송자 단말(2)과 동일한 단말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에 표시되는 채팅 후보자의 일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갱신되어 버리기 때문에, 전송자 단말(2)을 물리적으로 진동시키거나, 혹은 표시 화면을 진동시킴으로써, 현재 후보자 일람에 표시 중인 채팅 후보자가 전환되기 직전(예컨대 30초 전)에, 전송자 단말(2)의 조작자인 전송자 등에게 사전에 통지하는 바이브레이션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채팅 대상자를 급하게 전환하는 계기를, 전송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채팅 후보자의 추출에 있어서, 특정한 연령층이 우선되어 표시되도록, 연령에 기초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컨대 신(新)사회인 생활을 소재로 하는 영화 등을 화제로 하고 싶은 경우에, 친근감을 품고 있다고 생각되는 연령층의 후보자를, 일람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시청자 단말(4)에 있어서, 자신이 우선적으로 표시되기 위한 코인을 구입하는 조작, 및 구입한 코인을 투입하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서버(1)에 있어서는, 투입된 코인의 금액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시청을 계속하고 있는 모든 시청자 단말(4)에 대해, 장시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가 우선되어 표시되도록, 시청 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시청 시간에 따라 코인이 프레젠트되도록 하고, 그 코인을 투입할지의 여부는 시청자의 판단에 맡겨도 좋다.
시청 시간은, 다른 채널로의 전환 없이, 연속해서 시청한 시간이어도 좋다.
또한, 구입 또는 프레젠트에 의해 취득한 코인을, 시청자가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투입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에는 소멸되도록, 유효 기한을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청자가 기한 직전에 코인을 아끼지 않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투입한 코인은, 채팅 대상자로 선택되지 않으면 소비되지 않으나, 채팅 대상자로 선택된 경우에는, 채팅을 계속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소비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채팅 중의 코인 소비량에 대해서는, 투입 코인량이 많을수록 소비량도 많은 등의 조절을 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채팅의 대상자가 되기 위해서는 금전을 지불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요망에 부응하면서도, 자금량이 풍부한 시청자만이 우대되는 사태를 해소하여, 자력(資力)이 부족한 학생 등에게도, 일정 시간 이상 채팅의 대상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송자 등에 의한 채팅 대상자의 선택 조작은,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 상에서의 탭 조작에 의한 것 외에, 채팅 대상자 메시지 표시부(FM) 상에서의 스와이프 조작을 채용해도 좋다.
예컨대, 채팅 대상자 메시지 표시부(FM)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면,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 상에서 채팅 대상자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는 채팅 후보자를 선택한 것이 된다.
또한,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 상에서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의 스와이프 조작에 의해, 채팅 후보자를 스크롤로 교체할 수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표시 외의 범위의 후보자를 예측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LST)에서의 스크롤이, 스와이프 조작에 원활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각 채팅 후보자의 현재의 대기인수 등을, 시청자 단말(4-b)의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채팅 후보자로 선출된 것을 시청자 단말(4-b)에 일제히 통지하여, 나중에 채팅 대상자가 되는 것에 응하거나 또는 사퇴하는 취지를 응답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의 우선순위를, 시청자측 단말에서의 응하는 취지의 응답순으로 해도 좋고, 혹은 100번째 등의 이른바 자르기 좋은 번호나, 어떠한 의미가 있는 숫자의 응답순을 우선순위 제1위로 하는 등 해도 좋다.
또한, 우선순위는, 팔로어, 팬 사이트 등록 사용자 등을 우선시켜도 좋다.
또한, 다수의 채팅 후보자를 순차 채팅 대상자로 해 감으로써 채팅 후보자가 적어진 경우에, 전송자 단말(2) 등에 있어서 채팅 후보자를 추가 선출시키는 후보 추가 선택 지시를 행할 수 있어도 좋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각 하드웨어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기능 블록도는,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로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정보 처리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어떠한 기능 블록을 이용할 것인지는, 특별히 도 3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 블록의 존재 장소도, 도 3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여도 좋다. 예컨대 서버(1)측의 기능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자 단말(2)측 등에 설치해도 좋고, 그 반대여도 좋다.
그리고, 하나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單體)로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 단체와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송자 단말(2)은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퍼스널 컴퓨터뿐만이 아니라, 태블릿이나 금후의 새로운 디바이스를 포함한 임의의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각 기능 블록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편입되어 있는 컴퓨터여도 좋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예컨대 서버 외에 범용의 스마트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여도 좋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각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리무버블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이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편입된 상태로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정리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하면 충분하고, 각종 각양의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라이브의 전송자(아이돌 탤런트 등)가 조작하는 전송자 단말[예컨대 전송자 단말(2)]과,
상기 라이브의 복수의 시청자가 각각 조작하는 복수의 시청자 단말[예컨대 시청자 단말(4-1 내지 4-m)]과,
상기 전송자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과 통신하는 서버[예컨대 서버(1)]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의 전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청자 중에서, 채팅의 후보자를 상기 전송자 단말에 1명 이상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예컨대 도 3의 표시 제어부(60)]과,
1명 이상의 상기 후보자 중에서 채팅 대상자를 상기 전송자가 지정하는 조작을 상기 전송자 단말을 통해 접수하는 접수 수단[예컨대 도 3의 접수부(61)]과,
상기 채팅 대상자의 상기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의 상기 전송자 단말 사이에서 채팅을 행하는 채팅 제어 수단[예컨대 도 3의 채팅 제어부(62)]과,
상기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에 라이브 전송하는 라이브 전송 수단[예컨대 도 3의 라이브 전송부(63)]
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팬이 라이브 전송을 시청하는 계기로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1: 서버 2: 전송자 단말
3-1 내지 3-n: 게스트 단말 4-1 내지 4-m: 시청자 단말
4-a: 채팅 대상자 시청자 단말 4-b: 시청자 단말(채팅 후보자)
4-c: 시청자 단말(채팅 대상자, 채팅 후보자 이외)
11: CPU 12: ROM
13: RAM 14: 버스
15: 입출력 인터페이스 16: 출력부
17: 입력부 18: 기억부
19: 통신부 20: 드라이브
41: 리무버블 미디어 60: 표시 제어부
61: 접수부 62: 채팅 제어부
63: 라이브 전송부 64: 시간 관리부
65: 채팅 접속부 60d: 선택 조작 접수부
61d: 촬상 제어부 62d: 표시 제어부
60a: 촬상 제어부 61a: 표시 제어부
60b: 촬상 제어부 61b: 표시 제어부
60c: 촬상 제어부 61c: 표시 제어부
LST: 채팅 후보자 일람 표시부 DM: 전송자 메시지 표시부
FM: 채팅 대상자 메시지 표시부 GM: 게스트 사용자 메시지 표시부
N: 네트워크

Claims (6)

  1. 라이브의 전송자(distributor)가 조작하는 전송자 단말과,
    상기 라이브의 복수의 시청자가 각각 조작하는 복수의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과 통신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의 전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청자 중에서, 채팅의 후보자를 상기 전송자 단말에 1명 이상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1명 이상의 상기 후보자 중에서 채팅 대상자를 상기 전송자가 지정하는 조작을 상기 전송자 단말을 통해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채팅 대상자의 상기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의 상기 전송자 단말 사이에서 채팅을 행하는 채팅 제어 수단과,
    상기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에 라이브 전송하는 라이브 전송 수단
    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채팅의 후보자를 속성마다 분류 또는 순서대로 다시 배열하여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채팅의 후보자의 나열 순서를 상기 전송자 단말로부터의 편집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채팅의 후보자의 화상에 근접하여 상기 채팅의 후보자의 스테이터스를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라이브의 전송자가 채팅에 초대한 게스트가 조작하는 게스트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팅 제어 수단은, 상기 채팅 대상자의 상기 시청자 단말과, 상기 전송자의 상기 전송자 단말과, 상기 게스트 단말 사이에서 채팅을 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전송 수단은, 상기 채팅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의 라이브 전송을 개시할 때에 상기 복수의 시청자 단말의 각각에, 상기 라이브의 전송자로부터의 착신을 받은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력 정보에 상기 라이브의 전송자로부터의 착신이 있었던 것을 기록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97013376A 2016-10-21 2017-10-18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90060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6772 2016-10-21
JPJP-P-2016-206772 2016-10-21
JPPCT/JP2017/028313 2017-08-03
PCT/JP2017/028313 WO2018074037A1 (ja) 2016-10-21 2017-08-03 情報処理システム
PCT/JP2017/037705 WO2018074516A1 (ja) 2016-10-21 2017-10-18 情報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838A true KR20190060838A (ko) 2019-06-03

Family

ID=6201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376A KR20190060838A (ko) 2016-10-21 2017-10-18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34842A1 (ko)
JP (1) JP7177476B2 (ko)
KR (1) KR20190060838A (ko)
CN (1) CN109964212A (ko)
TW (1) TWI678628B (ko)
WO (1) WO20180740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8715A (ja) * 2019-08-09 2021-02-25 ハイパーコネク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端末機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512984B1 (ko) * 2021-10-18 2023-03-22 안재용 간편 경매를 이용한 실시간 유료 채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2329B2 (en) * 2019-01-29 2021-06-08 Fanmio, Inc. Managing engagements in interactive multimedia sessions
US20240077941A1 (en) * 2019-11-15 2024-03-0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886566B2 (ja) * 2021-01-15 2021-06-16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ライブ動画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56278B (zh) * 2021-07-20 2023-04-1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表情发送方法和装置
JP7246054B1 (ja) * 2022-06-24 2023-03-27 17Live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端末及びサー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482A (ja) 2011-11-16 2013-05-30 Toshihiko Koyama ビデオライブチャッ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3503B (en) * 1998-08-26 2001-11-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Television chat system
JP2001236292A (ja) * 2000-02-24 2001-08-31 Five Any Inc 双方向通信イベント運営装置、双方向通信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183036A (ja) 2000-12-14 2002-06-28 Isao:Kk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および、記録媒体
TW200622685A (en) * 2004-12-17 2006-07-01 Digital Era Co Chiu Intelligent interactive multimedia
JP4801536B2 (ja) * 2006-08-31 2011-10-26 楽天株式会社 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サーバ処理プログラム、端末処理プログラム、状態情報送信方法、及び状態情報表示方法
JP5405132B2 (ja) * 2009-01-28 2014-02-05 京セラ株式会社 動画配信サーバ、携帯端末
JP2011123531A (ja) * 2009-12-08 2011-06-23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端末、および通信サーバ
KR101659424B1 (ko) * 2011-04-13 2016-09-23 레이저 (아시아-퍼시픽) 피티이 엘티디 부가 3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주변 디스플레이 및 통신 기기
US9277179B1 (en) * 2013-06-27 2016-03-01 Google Inc.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JP5791837B1 (ja) * 2015-02-18 2015-10-07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ビデオチャットを提供する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5746449B1 (ja) * 2015-03-13 2015-07-08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チャットサービス提供方法、チャッ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チャットサービス提供用プログラム
GB2542327B (en) * 2015-05-18 2021-09-29 Nowhere Digital Ltd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for video/audio-conferenc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482A (ja) 2011-11-16 2013-05-30 Toshihiko Koyama ビデオライブチャット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8715A (ja) * 2019-08-09 2021-02-25 ハイパーコネク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端末機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512984B1 (ko) * 2021-10-18 2023-03-22 안재용 간편 경매를 이용한 실시간 유료 채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74516A1 (ja) 2019-11-14
US20190334842A1 (en) 2019-10-31
WO2018074037A1 (ja) 2018-04-26
JP7177476B2 (ja) 2022-11-24
CN109964212A (zh) 2019-07-02
TW201832096A (zh) 2018-09-01
TWI678628B (zh) 201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694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90060838A (ko) 정보 처리 시스템
CN109691054A (zh) 动画用户标识符
US9077847B2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digital television using the same
US8789094B1 (en) Optimizing virtual collaboration session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EP2887686A1 (en) Sharing content on devices with reduced user actions
US1056745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ed video chat sessions
JP5332818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20570A (ko) 다중 미디어 피드를 위한 조정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실시간 복합 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3043207A1 (en) Event management/production for an online event
KR20120079454A (ko) 스크린 공유 장치 및 방법
CN106105110A (zh) 即时消息传送
CN103905555A (zh) 一种自助终端的远程协助方法及系统
CN109565568A (zh) 通信事件
CN107534679A (zh) 针对通信会话的端点控制
CN106105173A (zh) 利用单个动作停止记录并发送
JP2019204244A (ja) 動画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45351A1 (en) System For Booking Television Programs
US11689688B2 (en) Digital overlay
CN113206976A (zh) 音视频会议实现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Ebner Negotiation via videoconferencing
CN114430494B (zh) 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85977A (zh) 使用计算机视觉控制视频数据内容
CN111835617B (zh) 用户头像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22133329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