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606A -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606A
KR20190059606A KR1020170157374A KR20170157374A KR20190059606A KR 20190059606 A KR20190059606 A KR 20190059606A KR 1020170157374 A KR1020170157374 A KR 1020170157374A KR 20170157374 A KR20170157374 A KR 20170157374A KR 20190059606 A KR20190059606 A KR 20190059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gas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module
gas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3366B1 (en
Inventor
강영민
윤명현
곽훈
김광현
남궁한신
민준기
김흥준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66B1/en
Publication of KR2019005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6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house gas exhausting progress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of a construction site further comprises: a data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data related to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t a set construction site; an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and managing a greenhouse gas exhausting progress of a construction site by construction type based on data of the data collection module; a greenhouse gas predicting module for predicting a greenhouse gas exhausting progress of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a construction type of a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and a warning module for warning an excessive amount of greenhouse gas exhausting, if a measured value of greenhouse gas exhausting under construction at a new construction site is out of a predetermined trust value based on the greenhouse gas exhausting progress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predicting module. When the greenhouse gas exhausting progress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greenhouse gas exhausting progress under construction at a new construction site can be predicted accurately before a construction progress, and whether an excessive amount of greenhouse gas exhausting can be monitored and warned during an actual construction progress based on the previously predicted greenhouse gas exhausting progress.

Description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warning a greenhouse gas in a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공사 중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 등을 예측하고, 나아가 온실가스 과다 발생을 경고할 수 있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diction / warning system and a method for estimating / warn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which can predict the amount of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a construction work and further alerts the occurrence of a greenhouse gas excess.

최근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5년 2월 16일 교토 의정서의 발효에 따라 온실가스를 줄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가운데,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 감축을 국가 목표치로 설정하고 그 목표 달성을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근거하여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등 각종 정책 수립이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establishing a worldwide cooperation system to solve global warming problems. Korea is also obliged to reduce GHG emi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Kyoto Protocol on February 16, 2005, and has set a target of 30% reduction by 2020 compared to the GHG emission reduction target (BAU) Based on the "Low Carbon Green Growth Basic Law", various policies such as 'Guidelines for greenhouse gas energy target management and management' are being developed.

이에 따라 건설현장에서도 공사 중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상당히 높은 바,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 공사 중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을 관리하기 위한 연구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의 시설이나 장비 등은 비용이나 시간, 노력 등의 측면에서 중간에 교체,변경 등이 쉽지 않기 때문에 공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미리 공사 중 에너지 사용 내지 온실가스 발생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 내지 온실가스 배출을 통제, 관리할 수 있는 연구에 대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As a result, energy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relatively high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research methods for managing energy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construction are required in terms of greenhouse gas reduction. In particular, facilities and equipment at construction sites are not easy to replace and change in the middle of cost, time, effort, etc. Therefore, it is more efficient if the precise prediction of energy use or greenhouse gas generation And it is demanded that efforts to research and control the energy use or greenhouse gas emission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at the production site are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2504호(등록일자;2013년10월21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2504 (Registration date: October 21,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공사 진행 전에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ecasting /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 tren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construction of a new construction site in a construction site in advance before the construction progres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예측한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기반으로 실제 공사 진행 중에 온실가스 과다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경고할 수 있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diction / warning system for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monitor and warn the occurrence of a greenhouse gas excess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based on predicted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은 기성 건설현장에서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데이터를 공사유형별로 구축하는 통합관리모듈; 및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하는 온실가스 예측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An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for building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ata on a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each construction type; And a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for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온실가스 발생과 관련한 기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수집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 수집부와, 상기 정보수집모듈을 통해 수집한 로우 데이터(raw date)로부터 온실가스 환산치를 자동으로 산정하여 집계하는 온실가스 환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에너지 사용실적을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취합하여 수집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includes a raw dat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energy use results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related to greenhouse gas generation and a raw dat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raw energy data from the raw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And a greenhouse gas conversion unit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and calculating the gas conversion value. The raw data collecting unit may collect the energy use results by the facilities and the energy sources.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연간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공사유형별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공사유형별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을 구축하는 통계모델 구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can manage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n an annual basis.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may include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may include a statistical model building unit for constru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a statistical techniqu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은 다음의 통계모델식에 의해 구축할 수 있다.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can be constructed by the following statistical model equation.

[통계모델식][Statistical model expression]

f(x) = ∑anxn f (x) =? a n x n

여기서, n은 0을 포함하는 자연수이고, x는 월(月)이고, an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산정한 n값에 따른 기 설정값이고, f(x)는 연 100%를 상한값으로 하는 x에 따른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비율(%)이다. Here, n is a natural number including 0, x is a month, a n is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n value calculated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 (x) Is the accumulated greenhouse gas emission rate (%) according to x, which is the upper limit of 100% per year.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은 상기 통합관리모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도출하는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에 의해 예측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지원하여 이를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감축 지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may include a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f a new construction site in a graph form based on the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And a reduction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GHG reduction plan based on the tren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predicted by the GHG prediction module and correcting the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에너지 사용 추이를 예측하는 에너지 사용 예측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energy use prediction module for predicting the energy usage trend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시스템은, 기성 건설현장에서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공사유형별로 취합하여 관리하는 통합관리모듈;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하는 온실가스 예측모듈; 및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 실측값이 소정 신뢰값을 벗어난 경우, 온실가스 과다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모듈;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in a construction site, An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and managing the tren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for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And a warning module for alerting a generation of a greenhouse gas excess if a measured value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onfidence value based on the predicted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f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상기 경고모듈에 의해 경고가 발생한 경우, 공사유형별로 온실가스 발생을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을 알려주는 감축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온실가스 발생과 관련한 기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수집하여 온실가스 환산치를 자동으로 산정하고;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공사유형별 연간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을 구축하며;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은 상기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도출할 수 있다.And a reduction guide module for informing a plan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greenhouse gases according to construction type when a warning is generated by the warning module.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utomatically collects the energy use results during the construc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related to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by the facility and the energy source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greenhouse gas conversion value; Wherei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establishes an annual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a statistical techniqu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can derive the trend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in a graph form.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방법은, 기성 건설현장에서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 상기 정보수집단계의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데이터를 공사유형별로 구축하는 통합관리단계; 상기 통합관리단계의 데이터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하는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단계; 및,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 실측값이 소정 신뢰값을 벗어난 경우, 온실가스 과다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dicting and warn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An integrated management step of constructing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A step of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for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tage; And a warning step of warning the occurrence of a greenhouse gas excess if a measured value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is out of a predetermined confidence value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상기 정보수집단계는, 온실가스 발생과 관련한 기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수집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 수집과정과, 상기 로우 데이터(raw date)로부터 온실가스 환산치를 자동으로 산정하여 집계하는 온실가스 환산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ncludes a raw data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energy use results of each facility and an energy source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related to greenhouse gas generation, And a greenhouse gas conversion process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and counting the greenhouse gas conversion value.

상기 통합관리단계는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공사유형별로 연간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tep, an annual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may be constructed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a statistical techniqu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단계는 상기 예측한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도출하고, 상기 경고단계는 상기 예측한 온실가스 발생추이 그래프상에 상기 소정 범위의 신뢰값을 산정할 수 있다.The prediction step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may derive the predicted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s a graph, and the warning step may calculate the confidence value of the predetermined range on the predicted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graph.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diction, warning system and method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배출추이를 공사 진행 전에 미리 정확하게 예측하여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배출을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개선, 통제 관리할 수 있다.  First, it can accurately and predictably predict the greenhouse gas emission trends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so that the greenhouse gas emission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efficiently and productively improved and controlled.

둘째, 기성 건설현장들의 공사 사례를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공사유형에 따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속, 용이하게 예측모델을 추출할 수 있다. Secondly,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construction site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trend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new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so that the prediction models can be extracted accurately, quickly and easily.

셋째, 미리 예측한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기반으로 실제 공사 진행 중에 온실가스 과다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경고하여, 그에 따른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Third, based on the predicted GHG emission trend,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warn the occurrence of excessive greenhouse gas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work, and to promptly take measures according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배출추이 예측 및 경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절차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보수집모듈의 로우 데이터 수집부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정보수집모듈의 온실가스 환산부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통합관리모듈의 분류부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통합관리모듈에 의한 연간 공사유형별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통합모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온실가스 예측모듈에 의한 연간 공사유형별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모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경고모듈을 통한 예측모델 대비 실측모델 비교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for a greenhouse gas emiss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Figure 1;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ow data collecting unit of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of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HG conversion unit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assification uni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grated model of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per construction type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of FIG. 1;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ediction model of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annual construction type by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of FIG. 1;
FIG. 8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comparison of the actual model with the predictive model through the warning module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시스템은, 기성 건설현장들의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하고, 나아가 그 예측을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실제 공사 진행 중에 온실가스 과다 발생여부를 감시하여 경고하는 것으로, 정보수집모듈(10)과, 통합관리모듈(20)과, 온실가스 예측모듈(30)과, 경고모듈(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predictive and warning system for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new construction site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20, and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 30, and a warning module 40.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은 다년간 공사를 진행한 기성 건설현장으로부터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에 관한 자료를 축적하여 건설현장의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은 다년간 수많은 기성 건설현장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는 어느 하나의 건설현장마다 실제 에너지 사용실적 대비 온실가스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도록, 건설현장단위로 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10 collects information on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from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construction has been carried out for many years and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can be constructed as an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a progra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from a large number of existing construction sites for many years. The raw data collection unit 12 can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on a construction site basis in order to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on the generation of greenhouse gases relative to the actual energy use performance for any one construction site.

한편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은 온실가스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보다는 온실가스 발생과 밀접한 에너지 사용 실적으로부터 용이하게 온실가스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은 로우 데이터(raw data) 수집부(12)와, 온실가스 환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10 can collect information on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from the energy use results closely related to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rather than directly measuring the greenhouse gas. That is,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10 may include a raw data collecting unit 12 and a greenhouse gas converting unit 14.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는 온실가스 발생과 밀접한 기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계량기 측정 등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는 시스템 내에서 '에너지 사용실적 보고서'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축할 수 있고, 그 프로그램은 예컨대 공사 내내 어느 한 숙소 보일러에서 LNG(㎥)를 얼마나 사용했는지를 입력할 수 있게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는 온실가스 발생추이와 관련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기성 건설현장마다 기성 건설현장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크게 시설과 에너지원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시설 항목은 숙소, 업무용 차량, 보일러, 온풍기 등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할 수 있고, 상기한 에너지원 항목 또한 유류, LNG, 전기, 스팀 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raw data collection unit 12 can collect energy use results during construction work on a construction site closely related to greenhouse gas generation through meter measurement. For example, the low data collecting unit 12 can be constructed by a program such as an 'energy use performance report' in the system, and the program inputs, for example, how much of the LNG (m 3) You can build it. Particularly, in order to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more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in relation to the tren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the raw data collecting unit 12 collects energy usage data And energy sources, which can be grouped by facility and energy source. Further, the above-mentioned facility items can be further subdivided more specifically into a quarters, a business vehicle, a boiler, a hot air fan, etc., and the above-mentioned energy source items can also be further subdivided into oil, LNG, electricity and steam.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온실가스 환산부(14)는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의 시스템 내에서 자동으로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에 수집된 에너지 사용실적을 기 설정한 온실가스 산정식에 의해 온실가스를 환산하여 산정, 집계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산정식은 바람직하게는 국가 정책으로 수립한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에 의해 건설현장단위로 정보가 수집되면, 예컨대 '에너지 사용실적 총괄표' 프로그램에 의해 건설현장단위로 공사 내내 시설별, 에너지원별 에너지 사용실적 자료가 축적 관리되고, 자동으로 온실가스를 환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실가스 환산부(14)는 후출하는 바와 같이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연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도록 어느 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정보를 연간 단위로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로부터 정보를 축적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환산부(14)는 보다 용이한 관리를 위해, 월간 단위로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12)의 에너지 사용실적으로 온실가스를 환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greenhouse gas conversion unit 14 may automatically calculate the energy usage performance of the greenhouse gas calculation unit 12 in the system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The greenhouse gas can be calculated and totaled by converting the greenhouse gas. The above GHG calculation formula can preferably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 for GHG energy target management operation, etc. established by national policy'. When the information is collected by the raw data collecting unit 12 on a construction site basis, for example, the energy use result data for each facility and each energy source is accumulated and managed by the construction site in accordance with the "energy use performance summary table" Greenhouse gases can be converted. Here, the GHG conversion unit 14 receives the GHG generation information of a certain construction site from the raw data collection unit 12 on a yearly basis so that the GHG generation trend can be checked on an annual basis, Can be accumulated and managed. The greenhouse gas conversion unit 14 may convert the greenhouse gas to the energy usage record of the raw data collection unit 12 on a monthly basis for easier management.

상기 통합관리모듈(20)은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의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여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패턴(pattern)을 구축하여 이로부터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한다. 상기한 통합관리모듈(20)은 분류부(22)와 통계모듈 구축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20 integrally manages the GHG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to construct a pattern of GHG gene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Predict occurrence trends.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20 may include a classification unit 22 and a statistical module construction unit 24. [

상기 분류부(22)는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의 정보를 기반으로 SAS통계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딥러닝(deep learning)이나 빅데이터 분석 기법 등에 의한 데이터 처리 결과,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는 시설이나 에너지원 기준보다는 연간 단위로 공사유형에 따라 일정 패턴을 가짐을 도출하여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의 정보를 토목 공사, 건축 공사, 플랜트 공사, 전력 공사 등 공사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가로축(X축)을 '월(月)', 세로축(Y축)을 온실가스 누적 비율(%)로 설정하고, 연간 공사유형별로 기성 건설현장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취합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와 같은 패턴이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간 공사유형별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은 온실가스 발생량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온실가스 발생비율을 기준으로 한다. 즉 온실가스 발생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각각의 건설현장마다 공사규모 등이 상이하여 공사유형에 따른 통계모델을 구축하기 어렵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온실가스 발생비율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각각의 건설현장마다 공사규모 등이 상이하더라도 각각의 건설현장에서 1년동안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비율을 대략 100%로 하고, 각각의 건설현장에서 1년동안 발생한 총 온실가스 발생량 대비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량의 비율을 통계냄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사유형에 따른 통계모델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공사규모가 다르더라도 공사유형이 같다면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가 동일 유사하여 후술할 통계모델에 의해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이 용이해질 수 있다. As a result of data processing by deep learning or a big data analysis technique using a SAS statistical program or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The information on the generation of the information has a certain pattern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per year rather than on the basis of the facility or the energy source, and classifies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10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uch as civil engineering work, construction work, plant work,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it is assumed that the horizontal axis (X axis) is set as a month and the vertical axis (Y axis) is set as a cumulative greenhouse gas ratio (%). The pattern as shown in the graph can be derived. In this way, the annual GHG emission model during the construction of construction sites by construction type is based on the GHG emission rate, not on the basis of GHG emissions. In other words, when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statistical model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nstruction size and the like at each construction sit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rate is used as a reference, the cumulative greenhouse gas emission rate for one year at each construction site is approximately 100% Statistical models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can be easily constructed as described below by counting the ratio of the cumulative GHG emissions to the total GHG emissions generated during one year at the construction site.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nstruction size is different, if the construction type is the same, the trend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construction is the same, so that the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can be facilitated by the statistical model described later.

상기 통계모델 구축부(24)는 상기 분류부(22)에 의해 연간단위로 공사유형에 따라 분류한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의 정보를 기반으로 연간 공사유형별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연간 공사유형별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은 다변량 회귀분석이나 더미변수 등의 통계기법에 의한 산정한 다음의 통계모델식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The statistical model building unit 24 can build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for each construction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classified by the construction type on an annual basis by the classification unit 22 have. The model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by the annual construction type can be constructed by the following statistical model formula calculated b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r dummy variable.

[통계모델식][Statistical model expression]

f(x) = ∑anxn f (x) =? a n x n

여기서, n은 0을 포함하는 자연수이고, x는 월(月)이고, an은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산정한 n값에 따른 기 설정값이고, f(x)는 연 100%를 상한값으로 하는 x에 따른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비율(%)이다. 예컨대 공사유형이 인프라(수자원)인 경우 f(x) = 0.05556x3 - 1.18215x2 + 14.51603x 라는 통계모델식이 산정될 수 있으며, 건축(일반)의 경우 f(x) = 0.05556x3 - 1.18215x2 + 14.68361x, 플랜트/발전의 경우 f(x) = 0.03949x3 - 0.79074x2 + 12.14887x 등 통계모델식이 산정될 수 있으며, x값에 1월부터 12월까지 범위 내에서 특정월의 숫자를 입력하면 그 특정월까지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비율, 즉 f(x)값이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사유형별로 산정된 통계모델식을 상기 분류부(22)에 의해 분류된 정보에 적용하면,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유형별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통계모델을 '공사유형별 연간 대비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비율 그래프' 형태로 자동으로 도출할 수 있다. Here, n is a natural number including 0, x is a month, a n is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the n value calculated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and f (x) is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 with x being the upper limit of 100% per annum.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is construction type of infrastructure (water) f (x) = 0.05556x 3 - 1.18215x 2 + statistical model can be estimated dietary and called 14.51603x, if the construction (general) f (x) = 0.05556x 3 - 1.18215 x 2 + 14.68361x, and f (x) = 0.03949x 3 - 0.79074x 2 + 12.14887x for the plant / generation. If you enter a number, the rat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ccumulated up to that particular month, ie, f (x), can be calculated. When the statistical model formula calculated for each construction type is applied to th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ication unit 22 as described above, a statistical model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each construction type as shown in FIGS. 6A and 6B It can be automatically derived in the form of 'graph of cumulative GHG emission ratio per year' by construction type.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30)은 기성 건설현장들의 수많은 사례를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한다. 즉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30)은 간단하게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만을 선택하면 상기 통합관리모듈(20)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에 대응하는 연간 공사유형별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통계모델을 추출하여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할 수 있는 바, 기성 건설현장의 사례들과 신규 건설현장의 유사도 등을 비교, 산정하고 보정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30)은 그 예측 결과를 상기 통합관리모듈(20)에 대응하여 그래프 형태로 도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출부(32)는 공사유형별로 연간 대비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비율 그래프로서, 기성 건설현장들로부터 축적한 통계데이터와 그 통계모델식을 적용한 회귀 곡선을 함께 도출할 수 있다.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30 predicts the tren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a large number of cases of existing construction sites. That is,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30 selects,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20, only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f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annual construction type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tren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construction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by extracting the statistical model and it is unnecessary to compare, calculate and correct the similarity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with the cases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site. Meanwhile,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30 may include the derivation unit 32 in the form of a graph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2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the derivation unit 32 is a graph of the annual greenhouse gas generation ratio accumulated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which includes both statistical data accumulated from the construction sites and a regression curve using the statistical model equation .

나아가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30)은 감축 지원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축 지원부(34)는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를 진행하기 전에 미리 상기 통계관리모듈을 통해 예측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온실가스를 보다 감축하기 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등가 온실가스 감축율이 높은 시설을 색인하는 등 온실가스 발생을 낮출 수 있는 방법과 온실가스 과다 발생 주요 원인 등 그 최적의 운전방법 내지 대처할 수 있는 아이템(item)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감축계획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때 온실가스 발생과 밀접한 에너지 사용실적에 관한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을 연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상기 통계관리모듈을 통해 예측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에 적용,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모델을 확립할 수 있다. Further,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30 may further include a reduction support unit 34. That is, the reduction support unit 34 further reduces the greenhouse gas to be generated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trend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predicted through the statistical management module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And to help them plan for the future. For example, in order to support the above-mentioned GHG reduction plan, a method of lowering greenhouse gas generation by indexing a facility having a high equivalent GHG reduction rate, and a main cause of GHG generation, ) And so on. To this end, a program for supporting the GHG reduction plan can be constructed as a system, and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in which information on energy use performance closely related to the GHG generation can be linked. In addition, the GHG reduction plan can be applied to the GHG generation model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predicted through the statistical management module, and finally, a model for predicting the GHG generation in the new construction site can be established .

상기 경고모듈(40)은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30)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모델을 기준으로 실제 공사 진행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비교, 분석하여 실제 공사 진행 중 온실가스 과다 발생여부를 감시하고 이를 경고한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실제 공사 진행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는 공사 진행 내내 상술한 정보수집모듈(10)과 같은 시스템을 활용하여 에너지 사용 실적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을 환산하고, 이를 상기 예측모델에 대응하는 그래프 형태로 실측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측모델에 소정의 신뢰값(예컨대, 예측모델 대비 95% 예측한계)을 설정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측모델의 실측값이 상기 예측모델의 기 설정한 소정 신뢰값을 벗어나 경우, 온실가스 발생이 급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실가스 과다 발생을 건설현장 작업자 단말기 등을 통해 경고할 수 있다. The warning module 40 compares and analyzes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based on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prediction model of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30 to monitor whether the greenhouse gas excess occurs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work I warn you. That is, referring to FIG. 8, the actual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i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according to the energy use performance using the same system as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throughout the construction work, The actual model can be derived in the corresponding graph form. As shown in FIG. 7, a predetermined confidence value (for example, 95% prediction limit with respect to the predictive model) is set to the predictive model, and the actual value of the actual model is set If the value is out of the predetermined confid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occurrence of excessive greenhouse gas emission can be alertered through the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or the like.

상기 경고모듈(40)과 아울러 감축 가이드모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경고모듈(40)에 의해 경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감축 가이드모듈(50)은 예컨대 상술한 온실가스 예측모듈(30)의 감축 지원부(34)와 같이 공사유형별로 온실가스 발생을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을 건설현장에 알려 현장지원할 수 있다. The warning module 40 and the reduction guide module 50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when a warning is generated by the warning module 40, the reduction guide module 50 may reduce the generation of greenhouse gase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for example, the reduction support section 34 of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30 You can inform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available options and provide on-site support.

한편 본 발명은 에너지 사용 예측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사용 예측모듈(60) 또한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을 통해 기성 건설현장들의 에너지 사용 실적을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에너지 사용 실적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진행 전에 미리 보다 체계적, 합리적으로 에너지 사용 실적과 관련한 공사비용 등의 시공계획을 세울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use prediction module 60. The energy use prediction module 60 can also predict the energy use performanc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energy us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sites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onstruction plan more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such as construction cost related to energy use performance.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그 경고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prediction of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and warn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is based on the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의 로우 데이터 수집부(12)를 통해 기성 건설현장들의 에너지 사용실적을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수집하고(S10), 이를 온실가스 환산부(14)를 통해 온실가스 데이터로 환산하여 집계한다(S12). 이때 에너지 사용실적은 건설현장단위로 수집하며, 온실가스 데이터 환산은 건설현장별 연간 단위로 산정할 수 있다. First, the energy utilization results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sites are collected by the facilities and the energy sources through the low data collection unit 12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and the collected energy usage results are transmitted to the greenhouse gas conversion unit 14 via the greenhouse gas conversion unit 14. [ (S12). At this time, the energy use performance is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GHG data conversion can be calculated on an annual basis by the construction site.

상기 정보수집모듈(10)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계관리모듈은 빅데이터 분석, 통계기법 등에 의해 연간 공사유형별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통계모델을 도출하고(S20), 이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모델을 추출할 수 있다(S30).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the statistical management module derives a statistical model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the big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technique, etc. (S20) From this, it is possible to extract a prediction model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construction site (S30).

이때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를 진행하기 전에 미리 상기 예측모델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감축계획 지원여부를 판단하고(S32),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세운 경우 그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모델을 수정하여 확립할 수 있다(S34,S36).In this case, before proceedi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new construction site supports the GHG reduction plan based on the prediction model in advance (S32). If the new construction site has a GHG reduction plan, Can be applied to the prediction model to modify the prediction model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S34, S36).

다음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가 진행되면, 공사 진행 내내 상기 예측모델에 대응하는 실측모델을 도출하여 온실가스 발생이 급증했는지 감시하여 온실가스 과다 발생을 경고하고(S40),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여 공사 현장에서의 온실가스 발생을 통제 관리할 수 있다(S50).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next new construction site progresses, an actu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model is derived throughout the construction work to monitor the surge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to warn the occurrence of excessive greenhouse gas (S40) (S50). ≪ / RTI >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would be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정보수집모듈 20; 통합관리모듈
30; 온실가스 예측모듈 40; 경고모듈
50; 감축 가이드모듈 60; 에너지 사용 예측모듈
10; An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20;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30; A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40; Warning Module
50; Reduction guide module 60; Energy Usage Forecasting Module

Claims (17)

기성 건설현장에서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데이터를 공사유형별로 구축하는 통합관리모듈; 및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하는 온실가스 예측모듈;
을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An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for building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ata on a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each construction type; And
A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for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A system for predic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 construction si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온실가스 발생과 관련한 기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수집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 수집부와, 상기 정보수집모듈을 통해 수집한 로우 데이터(raw date)로부터 온실가스 환산치를 자동으로 산정하여 집계하는 온실가스 환산부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includes a raw dat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energy use results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related to greenhouse gas generation and a raw dat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raw energy data from the raw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module, GHG emission predi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including greenhouse gas conversion section that automatically calculates and calculates gas conversion valu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우 데이터 수집부는 각각의 건설현장마다 상기 에너지 사용실적을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취합하여 수집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raw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and collects the energy use results by facility and energy source for each construction site and collects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연간 단위로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manages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n a yearly basis.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공사유형별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공사유형별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을 구축하는 통계모델 구축부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statistical model building unit for constru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a statistical techniqu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은 다음의 통계모델식에 의해 구축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통계모델식]
f(x) = ∑anxn
여기서, n은 0을 포함하는 자연수이고, x는 월(月)이고, an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산정한 n값에 따른 기 설정값이고, f(x)는 연 100%를 상한값으로 하는 x에 따른 누적된 온실가스 발생비율(%)이다.
The method of claim 6,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is constructed by the following statistical model equation.
[Statistical model expression]
f (x) =? a n x n
Here, n is a natural number including 0, x is a month, a n is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n value calculated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 (x) Is the accumulated greenhouse gas emission rate (%) according to x, which is the upper limit of 100% per yea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은 상기 통합관리모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도출하는 도출부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includes a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f a new construction site in a graph form based on the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에 의해 예측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지원하여 이를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감축 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reduction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lan based on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predicted by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and correcting the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Greenhouse Gas Emission Forecasting Syste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에너지 사용 추이를 예측하는 에너지 사용 예측모듈을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energy use prediction module for predicting the energy usage trend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기성 건설현장에서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공사유형별로 취합하여 관리하는 통합관리모듈;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하는 온실가스 예측모듈; 및,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 실측값이 소정 신뢰값을 벗어난 경우, 온실가스 과다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모듈;
을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시스템.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An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and managing the tren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for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And
A warning module for warning the occurrence of a greenhouse gas excess if a measured value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is out of a predetermined confidence value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of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And a system for predicting and warning the generation of greenhouse gases in a construction si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고모듈에 의해 경고가 발생한 경우, 공사유형별로 온실가스 발생을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을 알려주는 감축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reduction guide module for informing the user of a plan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greenhouse gases by construction type when a warning is generated by the warning module.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온실가스 발생과 관련한 기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수집하여 온실가스 환산치를 자동으로 산정하고;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공사유형별 연간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을 구축하며;
상기 온실가스 예측모듈은 상기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도출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utomatically collects the energy use results during the construc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related to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by the facility and the energy source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greenhouse gas conversion value;
Wherei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ule establishes an annual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a statistical techniqu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Wherein the greenhouse gas prediction module derives, in a graphical form, the trend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at the new construction site,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of GHG Emissions at Construction Sites.
기성 건설현장에서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
상기 정보수집단계의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데이터를 공사유형별로 구축하는 통합관리단계;
상기 통합관리단계의 데이터로부터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유형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예측하는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단계; 및,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을 기준으로 신규 건설현장의 공사 중 발생한 온실가스 실측값이 소정 신뢰값을 벗어난 경우, 온실가스 과다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방법.
An information gathering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greenhouse gases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t a construction site;
An integrated management step of constructing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A step of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for predict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new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from the data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tage; And
A warning step of warning a generation of a greenhouse gas excess if a measured value of the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nstruction site is out of a predetermined confidence value based on the predicted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To predict and alert the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s at construction site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단계는,
온실가스 발생과 관련한 기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중 에너지 사용실적을 시설별, 에너지원별로 수집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 수집과정과, 상기 로우 데이터(raw date)로부터 온실가스 환산치를 자동으로 산정하여 집계하는 온실가스 환산과정을 포함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includes:
A raw data collection process for collecting energy use results for each facility and an energy source during a construction work in a construction site related to greenhouse gas generation and automatically calculating a greenhouse gas conversion value from the raw data, Estimation and warning method of greenhouse gas generation at construction site including greenhouse gas conversion process.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단계는 상기 정보수집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기법에 의해 공사유형별로 연간 온실가스 발생추이 모델을 구축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The integrated management step includes a method of predicting and warning a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t a construction site, which establishes a yearly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model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a statistical techniqu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단계는 상기 예측한 온실가스 발생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도출하고,
상기 경고단계는 상기 예측한 온실가스 발생추이 그래프상에 상기 소정 범위의 신뢰값을 산정하는, 건설현장의 온실가스 발생추이 예측 및 경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Wherein the step of predicting greenhouse gas generation comprises deriving the predicted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as a graph,
Wherein the warning step estimates the confidence value of the predetermined range on the predicted greenhouse gas generation trend graph.
KR1020170157374A 2017-11-23 2017-11-23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933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74A KR101993366B1 (en) 2017-11-23 2017-11-23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74A KR101993366B1 (en) 2017-11-23 2017-11-23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606A true KR20190059606A (en) 2019-05-31
KR101993366B1 KR101993366B1 (en) 2019-09-27

Family

ID=6665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74A KR101993366B1 (en) 2017-11-23 2017-11-23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3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486B1 (en) * 2020-09-04 2022-0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edicting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ethod thereof
KR102606573B1 (en) * 2023-02-13 2023-11-29 주식회사 에너넷 Apparatus for predicting power consumption at construction si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2861A (en) * 2010-07-28 2012-02-16 Taisei Corp Apparatus and program for estimating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
KR101322504B1 (en) 2012-04-30 2013-10-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rough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and co2 emission
KR101453902B1 (en) * 2013-06-04 2014-10-24 차대중 CO2 Emission Warning System based on Usage of Energy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2861A (en) * 2010-07-28 2012-02-16 Taisei Corp Apparatus and program for estimating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
KR101322504B1 (en) 2012-04-30 2013-10-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rough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and co2 emission
KR101453902B1 (en) * 2013-06-04 2014-10-24 차대중 CO2 Emission Warning System based on Usage of Energy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486B1 (en) * 2020-09-04 2022-0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edicting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ethod thereof
KR102606573B1 (en) * 2023-02-13 2023-11-29 주식회사 에너넷 Apparatus for predicting power consumption at construction 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366B1 (en)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5715B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line fault risk day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CN108700851B (en) System, method and cloud-based platform for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US11531688B2 (en) Time-series data processing device, time-series data processing system, and time-series data processing method
Bessa et al. Reserve setting and steady-state security assessment using wind power uncertainty forecast: A case study
KR101683256B1 (en)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apparatus
US10482204B2 (en) System for processing data and modelling for analysis of the energy consumption of a site
JP6723946B2 (en) Business improvement support device and business improvement support method
CN104933477A (en) Method for optimizing maintenance strategy by using risk assessment of power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equipment
CN11069069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quality events in an electrical system
CN114707949A (en) Carbon emi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edge gateway
JP2018156346A5 (en)
CN114202129A (en) Wind power output predic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system
KR20190059606A (en) Predicting and warn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xhausting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for the same
JP5932603B2 (en) Extracting regional trends in life prediction
JP2016073155A (en) Demand prediction device, demand prediction method, and program
CN117008479A (en) Carbon emission optimiz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omass gasification furnace
JP2006039786A (en) Plant data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condenser vacuum monitoring method, data mining method, and program
EP3906447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valua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industrial environments
JP6046530B2 (en) Maximum power generation prediction system
JP6451314B2 (en) Management device, display device,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8021856A (en) Weather information prediction device and power demand prediction device
US20160085724A1 (en) Life time estimation device and method
JPWO2015178256A1 (en) Electric power supply / demand guidance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upply / demand guidance method
WO2020105151A1 (en) Facility maintenance inspection assisting system and order of inspection determination method
CN112035552B (en)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severity of voltage sag based on association r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