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425A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425A
KR20190059425A KR1020170157028A KR20170157028A KR20190059425A KR 20190059425 A KR20190059425 A KR 20190059425A KR 1020170157028 A KR1020170157028 A KR 1020170157028A KR 20170157028 A KR20170157028 A KR 20170157028A KR 20190059425 A KR20190059425 A KR 20190059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ember
lever
hole
fastening ho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철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7015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425A/ko
Publication of KR2019005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레버;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조레버 및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조레버를 포함하는 보조레버; 및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레버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레버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레버 및 상기 보조레버는 금속재질이고,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지지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지지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어, 와이퍼의 와이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A Wiper Blade Assembly}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드 쉴드(wind shield)에는 우천시에 빗물을 닦아 내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차량측 와이퍼 구동 모터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와이퍼 암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때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는데,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는 클램프라는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프에 커넥터 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가 클램프에 체결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이 커넥터 부재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유리창 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닦아 내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3가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 타입으로, 다단의 레버를 구성하고 각 레버의 단부가 블레이드를 지지시키는 토너먼트 구조의 와이퍼가 있다.
상기 토너먼트(tournament) 구조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와이퍼 조립체로써, 직선형태의 지지부재에 결합된 와이퍼 스트립이 복수개의 토너먼트 레버가 와이퍼 스트립을 굴곡시켜서 자동차의 유리의 곡률을 추종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너먼트 형태의 와이퍼 조립체는 복수의 토너먼트 레버가 안정적인 지지점을 형성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리의 곡률을 잘 추종하므로 와이핑 성능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토너먼트 형태의 와이퍼 조립체는 자동차의 고속 주행시 유리면에 작용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와이퍼 조립체가 부상함으로써 와이핑 능력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토너먼트 레버 위에 스포일러 부재를 추가적으로 부착한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부착되는 스포일러 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부품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부품의 중량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두번째 타입으로, 블레이드에 소정의 곡률과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레일 또는 바디 스프링과 결합시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평판형 구조의 와이퍼가 있다.
평판형 구조의 와이퍼는 낮은 높이로 블레이드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심플한 외관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우수한 탄성력을 가진 바디 스프링이더라도 차종마다 다른 곡률을 가지는 유리창의 전구간을 완벽하게 닦아 주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또한, 와이퍼가 작동되어 곡률이 다른 곳으로 이동되면 와이퍼의 단부에서 추종성이 떨어지는 현상, 즉, 들뜸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세번째 타입으로, 평판형 구조의 와이퍼에 토너먼트 구조로 보강하여 지지하는 구조인 유니 블레이드 구조의 와이퍼가 있다.
즉, 유니 블레이드는 토너먼트 형태의 와이퍼 스트립의 중간 부분에만 2개의 토너먼트형 레버를 설치하고 그 토너먼트형 레버를 스포일러 기능을 가진 커버가 덮은 상태에서 상대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유니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는 와이퍼 스트립의 양단부가 제대로 지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유리의 곡률을 잘 추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00779호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출원한 바가 있다.
즉, 상기 한국 공개특허는 주레버 스포일러부의 내측면에 보조레버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보조레버를 지지함으로써, 와이퍼의 작동 또는 미작동시, 보조레버가 상기 주레버 스포일러부의 내측면에서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보조레버와 연결되는 와이퍼 스트립의 양단부가 제대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어, 와이퍼의 와이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한국 공개특허를 더욱 개량하여,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더욱 향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리의 곡률 추종성이 향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레버;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조레버 및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조레버를 포함하는 보조레버; 및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레버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레버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레버 및 상기 보조레버는 금속재질이고,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지지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지지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는, 상기 제1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요크부재; 상기 제1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요크부재; 상기 제2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요크부재; 및 상기 제2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는 제4요크부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보조레버는, 상기 제1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1체결공; 상기 제1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2체결공; 및 상기 제1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레버는, 상기 제2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3체결공; 상기 제2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4체결공; 및 상기 제2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레버는,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 및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에 제1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에 제2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2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은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은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은 상기 제1커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은 상기 제2커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1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2홈 및 상기 제2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2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직경은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커버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지지체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3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커버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4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지지체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에 힌지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1힌지공; 상기 제1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1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2힌지공; 상기 제2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2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3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3힌지공; 상기 제3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3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4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4힌지공; 상기 제4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4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에 제1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커버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에 제2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3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에 제3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3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커버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4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에 제4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4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 스페이서; 상기 제2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의 사이에 제2보조 스페이서; 상기 제3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의 사이에 제3보조 스페이서; 및 상기 제4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의 사이에 제4보조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는, 상기 제1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요크부재; 및 상기 제2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요크부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보조레버는 상기 제1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1체결공; 상기 제1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1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과 상기 제1걸림고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레버는 상기 제2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3체결공; 상기 제2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고리; 및 상기 제2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과 상기 제2걸림고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레버는,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 및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에 제1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에 제2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2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은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은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은 상기 제1커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은 상기 제2커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1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2홈 및 상기 제2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2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직경은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1힌지공; 상기 제1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1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3힌지공; 상기 제3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3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 스페이서; 상기 제3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의 사이에 제3보조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어, 와이퍼의 와이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다.
도 3a 및 도 3b는 보조레버를 기준으로 하는 요크부재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주레버를 기준으로 하는 보조레버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페이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다.
도 1,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주레버(200), 상기 주레버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조레버(300a, 300b), 상기 보조레버(300a, 300b)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410a, 420a, 410b, 420b) 및 상기 요크부재와 결합하는 밀착부재(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레버(200)는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230a) 및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23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핀홀부(230a)에 삽입되는 제1연결핀(231a) 및 상기 제2핀홀부(230b)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231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핀홀부(230a)는 제1직경을 갖는 제1홈(241a) 및 상기 제1홈(241a)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1핀홀(242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핀홀부(230b)는 제1직경을 갖는 제2홈(241b) 및 상기 제2홈(241b)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2핀홀(242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홈(241a) 및 상기 제2홈(241b)는 동일한 제1직경을 갖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핀홀(242a) 및 상기 제2핀홀(242b)은 동일한 제2직경을 갖을 수 있고,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직경은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핀홀부(230a)에 삽입되는 제1연결핀(231a)은,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핀홀부(230b)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231b)은, 제2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홈(241a)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바디부는 상기 제1핀홀(242a)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2홈(241b)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2핀홀(242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핀홀부(230a)에 상기 제1연결핀(231a)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2핀홀부(230b)에 상기 제2연결핀(231b)이 삽입되더라도, 상기 제1헤드부 및 상기 제2헤드부가 각각 상기 제1홈(241a) 및 상기 제2홈(241b)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1헤드부 및 상기 제2헤드부가 각각 상기 제1핀홀부(230a) 및 상기 제2핀홀부(230b)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핀홀부(230a) 및 상기 제2핀홀부(230b), 상기 제1연결핀(231a) 및 상기 제2연결핀(231b)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주레버(200)는 상기 주레버(200)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210)을 포함하며, 상기 일정 공간(210)에는 와이퍼 암과 체결되기 위한 커넥터(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커넥터(110)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주레버(200)는 상기 일정 공간(210)에 상기 커넥터(110)를 체결하기 위한 제3핀홀(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3핀홀(220)에 삽입되는 제3연결핀(2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3핀홀(220)에 상기 제3연결핀(230)이 삽입되고, 상기 제3연결핀(230)에 상기 커넥터(11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주레버(200)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재질은 철, 철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레버(300a, 300b)는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조레버(300a) 및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조레버(30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조레버(300a)는 제1커버부(310a) 및 상기 제1커버부(310a)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체부(320a)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보조레버(300b)는 제2커버부(310b) 및 상기 제2커버부(310b)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체부(320b)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버부(310a) 및 상기 제1지지체부(320a)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310b) 및 상기 제2지지체부(320b)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보조레버(300a)는 상기 제1커버부(310a)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체부(320a)의 단부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보조레버(300a)는 상기 제1지지체부(320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1체결공(350a)을 포함한다.이때,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은 상기 제1커버부(310a)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의 위치는 차량의 곡률의 특징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 제조 시, 상기 제1커버부(310a)의 일측 단부와 주레버 제1체결공(350a) 사이의 어느 지점이라도 변경 가능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d와 비교하여,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의 위치를 상기 제1커버부(310a)의 일측 단부와 더 근접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의 위치를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과 더 근접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차량의 곡률 특징에 따른 곡률 추종성을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의 위치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은 상기 제1커버부(310a)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를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에 상기 제1연결핀(231a)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30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한편, 상기 보조레버(300a, 300b)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재질은 철, 철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레버(200)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200)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쉽게 일어나고, 또한,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400a)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스페이서(40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면과 상기 주레버(200)의 내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200)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페이서(400a)는 금속과 금속 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페이서(400a)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조레버(300b)는 상기 제2커버부(310b)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체부(320b)의 단부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4체결공(34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보조레버(300b)는 상기 제2지지체부(320b)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34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2체결공(350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은 상기 제2커버부(310b)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의 위치는 차량의 곡률의 특징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 제조 시, 상기 제2커버부(310b)의 일측 단부와 주레버 제2체결공(350b) 사이의 어느 지점이라도 변경 가능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d와 비교하여,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의 위치를 상기 제2커버부(310b)의 일측 단부와 더 근접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의 위치를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과 더 근접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차량의 곡률 특징에 따른 곡률 추종성을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의 위치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340b)은 상기 제2커버부(310b)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는 상기 제2보조레버(300b)를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230b)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에 상기 제2연결핀(231b)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상기 제2보조레버(300b)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레버(200)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200)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쉽게 일어나고, 또한,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제2핀홀부(230b)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400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스페이서(400b)는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면과 상기 주레버(200)의 내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제2핀홀부(230b)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200)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페이서(400b)는 금속과 금속 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페이서(400b)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은 제3직경을 갖는 제3홈(341a) 및 상기 제3홈(341a)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직경을 갖는 제3핀홀(342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은 제3직경을 갖는 제4홈(341b) 및 상기 제4홈(341b)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직경을 갖는 제4핀홀(342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3홈(341a) 및 상기 제4홈(341b)는 동일한 제3직경을 갖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3핀홀(342a) 및 상기 제4핀홀(342b)은 동일한 제4직경을 갖을 수 있고,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4직경은 상기 제3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에 삽입되는 제1힌지핀(414a)은, 제3헤드부와 상기 제3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에 삽입되는 제3힌지핀(414b)은, 제4헤드부와 상기 제4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4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헤드부는 상기 제3홈(341a)에 위치하고, 상기 제3바디부는 상기 제3핀홀(342a)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4헤드부는 상기 제4홈(341b)에 위치하고, 상기 제4바디부는 상기 제4핀홀(342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에 상기 제1힌지핀(414a)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에 상기 제3힌지핀(414b)이 삽입되더라도, 상기 제3헤드부 및 상기 제4헤드부가 각각 상기 제3홈(341a) 및 상기 제4홈(341b)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3헤드부 및 상기 제4헤드부가 각각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 및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레버(300a, 300b)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410a, 420a, 410b, 420b)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커버부(310a)에 힌지결합되는 제1요크부재(410a);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지지체부(320a)에 힌지결합되는 제2요크부재(420a);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제2커버부(310b)에 힌지결합되는 제3요크부재(410b);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제2지지체부(320b)에 힌지결합되는 제4요크부재(42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커버부(310a)의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요크부재(42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지지체부(320a)의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에 힌지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3요크부재(410b)는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제2커버부(310b)의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4요크부재(420b)는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제2지지체부(320b)의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340b)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1힌지공(411a); 상기 제1요크부재(41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 및 상기 제1요크부재(41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a)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요크부재(420a)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2힌지공(421a); 상기 제2요크부재(42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a); 및 상기 제2요크부재(42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요크부재(410b)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3힌지공(411b); 상기 제3요크부재(410b)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b); 및 상기 제3요크부재(410b)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b)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4요크부재(420b)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4힌지공(421b); 상기 제4요크부재(420b)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b); 및 상기 제4요크부재(420b)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힌지공(411a)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에 제1힌지핀(414a)이 삽입되어,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커버부(310a)에 힌지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2힌지공(421a)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에 제2힌지핀(424a)이 삽입되어, 상기 제2요크부재(42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지지체부(320a)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힌지공(411b)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에 제3힌지핀(414b)이 삽입되어, 상기 제3요크부재(410b)는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제2커버부(310b)에 힌지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4힌지공(421b)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340b)에 제4힌지핀(424b)이 삽입되어, 상기 제4요크부재(420b)는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제2지지체부(320b)에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요크부재(410a, 420a, 410b, 420b)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재질은 철, 철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레버(300a)와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질인 상기 제1보조레버(300a)와 상기 제1요크부재(41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쉽게 일어나고, 또한,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힌지공(411a)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 스페이서(415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제2힌지공(421a)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의 사이에 제2보조 스페이서(425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3힌지공(411b)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330b)의 사이에 제3보조 스페이서(415b)를 포함하고, 상기 제4힌지공(421b)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340b)의 사이에 제4보조 스페이서(425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1,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상기 요크부재(410a, 420a, 410b, 420b)와 결합하는 밀착부재(5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요크부재(410a, 420a, 410b, 420b)가 상기 밀착부재(500)와 결합하는 것은, 각 요크부재의 각각의 걸림고리를 통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요크부재(41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 및 상기 제1요크부재(41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a)가 상기 밀착부재(500)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2요크부재(42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a); 및 상기 제2요크부재(42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a)가 상기 밀착부재(500)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3요크부재(410b)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b); 및 상기 제3요크부재(410b)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b)가 상기 밀착부재(500)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4요크부재(420b)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b); 및 상기 제4요크부재(420b)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b)가 상기 밀착부재(500)와 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 상기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a), 상기 제2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a), 상기 제2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a), 상기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b), 상기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b), 상기 제4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b) 및 상기 제4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b)의 8개의 영역에서 상기 밀착부재(500)와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은 요크부재를 통한 밀착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밀착부재(500)는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밀착부재(500)는 지지부재(미도시)와 결합하기 위한 홈부(도면부호 미표기)를 양측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밀착부재(500)를 지지하며, 상기 밀착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져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재의 형상 및 구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도 3b는 보조레버를 기준으로 하는 요크부재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제1보조레버와 제1요크부재 및 제2요크부재의 회동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2보조레버를 기준으로 하는 제3요크부재 및 제4요크부재의 회동은 하기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커버부(310a)의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요크부재(42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지지체부(320a)의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제1힌지공(411a)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330a)에 제1힌지핀(414a)이 삽입되어,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커버부(310a)에 힌지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2힌지공(421a)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340a)에 제2힌지핀(424a)이 삽입되어, 상기 제2요크부재(420a)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제1지지체부(320a)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상기 제1힌지핀(414a)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요크부재(420a)는 상기 제2힌지핀(424a)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요크부재(410a)는 상기 제1요크부재(41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 및 상기 제1요크부재(41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a)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요크부재(420a)는 상기 제2요크부재(42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a); 및 상기 제2요크부재(42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a)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는 상기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 상기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a), 상기 제2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22a) 및 상기 제2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23a)에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요크부재(410a)가 상기 제1힌지핀(414a)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함은, 상기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 및 상기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a)가 회동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 및 상기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413a)와 결합하는 밀착부재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밀착부재의 일측 끝단 영역과 결합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에서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00779호의 도 3a 내지 도 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착부재의 양 끝단 영역과 결합하는 걸림고리의 경우, 보조레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보조레버는 플라스틱 재질의 딱딱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밀착부재의 끝단에서는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하지만, 밀착부재의 일측 끝단 영역과 결합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412a)가 상기 제1힌지핀(414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밀착부재의 끝단에서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은 요크부재를 통한 밀착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보조레버와 제1요크부재 및 제2요크부재의 회동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2보조레버를 기준으로 하는 제3요크부재 및 제4요크부재의 회동도 상술한 바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주레버를 기준으로 하는 보조레버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에 상기 제1연결핀(231a)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30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230b)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350b)에 상기 제2연결핀(231b)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상기 제2보조레버(300b)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가 각각 상기 제1연결핀(231a) 및 상기 제2연결핀(231b)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보조레버(300a)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의 상기 주레버를 기준으로 하는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보조레버(300a)와 상기 제2보조레버(300b)에 각각 체결되는 요크부재가 회동되는 각도를 보다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요크부재와 결합하는 상기 밀착부재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페이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페이서는 제1스페이서와 동일하므로, 제2스페이서의 형상은 하기 제1스페이서의 형상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페이서(400a)는 본체부(410) 및 상기 본체부(410)로부터 연장되고, 일정 폭을 갖는 간격유지부(4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410)는 외측부(411) 및 상기 외측부(4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부(412)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외측부(411)에는 상기 주레버(200)의 내면이 안착되며, 상기 내측부(412)에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면이 안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의 사이에 상기 제1스페이서(400a)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부(411)는 측면부(411a) 및 상기 측면부(411a)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면부(411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411a)는 상기 측면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측면부의 내측까지 관통하는 관통홀(414)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414)은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제1핀홀부(230a) 및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과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에 상기 제1연결핀(231a)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30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연결핀(231a)은 상기 주레버(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414)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1연결핀(231a)은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제1핀홀부(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 및 상기 제1스페이서(400a)의 관통홀(41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410)의 내측부(412)는 상기 관통홀(414)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보강부(4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보강부(415)는 상기 제1연결핀(231a)이 삽입됨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서(400a)와 상기 제1연결핀(231a)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415)는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보강부(415)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350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스페이서(400a)와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410)의 외측부(411)는 상기 상면부(411b)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413)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부(411)에는 상기 주레버(200)의 내면이 안착되는데, 상기 상면부(411b)의 일정 영역에 상기 돌출부(41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스페이서(400a)와 상기 주레버(2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주레버(200)의 내면의 일정 영역에는 삽입홀 또는 삽입홈(미도시)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주레버(200)의 상기 삽입홀 또는 삽입홈에 상기 제1스페이서(400a)의 돌출부(41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스페이서(400a)와 상기 주레버(2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간격유지부(420)는 일정 폭(W)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주레버(200)의 끝단과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끝단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420)는 제1높이(h1)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410)는 제2높이(h2)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410)의 상기 외측부(411)에는 상기 주레버(200)의 내면이 안착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간격유지부(420)는 일정 폭(W)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주레버(200)의 끝단과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끝단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420)의 제1높이(h1)를 상기 본체부(410)의 제2높이(h2) 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간격유지부(420)의 제1높이(h1)가 상기 주레버(200)의 끝단 상면과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끝단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유지부(420)의 제1높이(h1)와 상기 본체부(410)의 제2높이(h2)의 차이는 상기 주레버(200)의 끝단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420)의 제1높이(h1)가 상기 주레버(200)의 끝단 상면과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끝단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작동시, 상기 주레버(200)의 끝단과 상기 제1보조레버(300a)의 끝단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와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0)는 주레버(1200), 상기 주레버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조레버(1300a, 1300b), 상기 보조레버(1300a, 1300b)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1410a, 1410b) 및 상기 요크부재와 결합하는 밀착부재(1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레버(1200)는 상기 주레버(1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1230a) 및 상기 주레버(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123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핀홀부(1230a)에 삽입되는 제1연결핀(1231a) 및 상기 제2핀홀부(1230b)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1231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레버(1200)는 상기 주레버(1200)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1210)을 포함하며, 상기 일정 공간(1210)에는 와이퍼 암과 체결되기 위한 커넥터(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레버(1200)는 상기 일정 공간(1210)에 상기 커넥터(1110)를 체결하기 위한 제3핀홀(1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3핀홀(1220)에 삽입되는 제3연결핀(12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주레버(1200)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재질은 철, 철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레버(1300a, 1300b)는 상기 주레버(1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조레버(1300a) 및 상기 주레버(1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조레버(130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조레버(1300a)는 제1커버부(1310a) 및 상기 제1커버부(1310a)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체부(1320a)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보조레버(1300b)는 제2커버부(1310b) 및 상기 제2커버부(1310b)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체부(1320b)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버부(1310a) 및 상기 제1지지체부(1320a)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1310b) 및 상기 제2지지체부(1320b)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보조레버(1300a)는 상기 제1커버부(1310a)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1체결공(1330a)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체부(1320a)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고리(1340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보조레버(1300a)는 상기 제1지지체부(1320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1330a)과 상기 제1걸림고리(134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1체결공(1350a)을 포함한다.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1350a)는 상기 제1보조레버(1300a)를 상기 주레버(1200)의 일측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주레버(1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1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1350a)에 상기 제1연결핀(1231a)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1200)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130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한편, 상기 보조레버(1300a, 1300b)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재질은 철, 철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레버(1200)와 상기 제1보조레버(1300a)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1200)와 상기 제1보조레버(130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쉽게 일어나고, 또한,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레버(1200)의 상기 제1핀홀부(1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135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1400a)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스페이서(1400a)는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의 상면과 상기 주레버(1200)의 내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주레버(1200)의 상기 제1핀홀부(1230a)와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1350a)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1200)와 상기 제1보조레버(1300a)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페이서(1400a)는 금속과 금속 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조레버(1300b)는 상기 제2커버부(1310b)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3체결공(1330b)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체부(1320b)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고리(134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보조레버(1300b)는 상기 제2지지체부(1320b)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1330b)과 상기 제2걸림고리(134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2체결공(1350b)을 포함한다.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1350b)는 상기 제2보조레버(1300b)를 상기 주레버(1200)의 타측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주레버(1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1230b)와 상기 제2보조레버(1300b)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1350b)에 상기 제2연결핀(1231b)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1200)의 타측에 상기 제2보조레버(1300b)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레버(1200)와 상기 제2보조레버(1300b)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1200)와 상기 제2보조레버(1300b)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쉽게 일어나고, 또한,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레버(1200)의 상기 제2핀홀부(1230b)와 상기 제2보조레버(1300b)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135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1400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스페이서(1400b)는 상기 제2보조레버(1300b)의 상면과 상기 주레버(1200)의 내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주레버(1200)의 상기 제2핀홀부(1230b)와 상기 제2보조레버(1300b)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1350b)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금속재질인 상기 주레버(1200)와 상기 제2보조레버(1300b)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페이서(1400b)는 금속과 금속 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레버(1300a, 1300b)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1410a, 1410b)는,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의 상기 제1커버부(1310a)에 힌지결합되는 제1요크부재(1410a); 및 상기 제2보조레버(1300b)의 상기 제2커버부(1310b)에 힌지결합되는 제3요크부재(141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요크부재(1410a)는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의 상기 제1커버부(1310a)의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1330a)에 힌지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3요크부재(1410b)는 상기 제2보조레버(1300b)의 상기 제2커버부(1310b)의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1330b)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요크부재(1410a)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1힌지공(1411a); 상기 제1요크부재(141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1412a); 및 상기 제1요크부재(141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1413a)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요크부재(1410b)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3힌지공(1411b); 상기 제3요크부재(1410b)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1412b); 및 상기 제3요크부재(1410b)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1413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힌지공(1411a)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1330a)에 제1힌지핀(1414a)이 삽입되어, 상기 제1요크부재(1410a)는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의 상기 제1커버부(1310a)에 힌지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3힌지공(1411b)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1330b)에 제3힌지핀(1414b)이 삽입되어, 상기 제3요크부재(1410b)는 상기 제2보조레버(1300b)의 상기 제2커버부(1310b)에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요크부재(1410a, 1410b)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재질은 철, 철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와 상기 제1요크부재(1410a)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질인 상기 제1보조레버(1300a)와 상기 제1요크부재(1410a)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쉽게 일어나고, 또한,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힌지공(1411a)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133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 스페이서(1415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제3힌지공(1411b)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1330b)의 사이에 제3보조 스페이서(1415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0)는 상기 요크부재(1410a, 1410b)와 결합하는 밀착부재(15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요크부재(1410a, 1410b)가 상기 밀착부재(1500)와 결합하는 것은, 각 요크부재의 각각의 걸림고리를 통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요크부재(141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1412a); 및 상기 제1요크부재(1410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1413a)가 상기 밀착부재(1500)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3요크부재(1410b)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1412b); 및 상기 제3요크부재(1410b)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1413b)가 상기 밀착부재(1500)와 결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체부(1320a)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고리(1340a)에 상기 밀착부재(1500)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2지지체부(1320b)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고리(1340b)에 상기 밀착부재(1500)가 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1412a), 상기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1413a), 상기 제1지지체부(1320a)의 제1걸림고리(1340a), 상기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1412b), 상기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1413b) 및 상기 제2지지체부(1320b)의 제2걸림고리(1340b)의 6개의 영역에서 상기 밀착부재(1500)와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은 요크부재를 통한 밀착부재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어, 와이퍼의 와이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밀착부재의 일측 끝단 영역과 결합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 끝단 영역과 결합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에서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밀착부재의 일측 끝단 영역과 결합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 끝단 영역과 결합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밀착부재의 끝단에서의 유리의 곡률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주레버;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조레버 및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조레버를 포함하는 보조레버; 및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레버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레버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레버 및 상기 보조레버는 금속재질이고,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지지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지지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는, 상기 제1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요크부재; 상기 제1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요크부재; 상기 제2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요크부재; 및 상기 제2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는 제4요크부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레버는, 상기 제1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1체결공; 상기 제1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2체결공; 및 상기 제1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레버는, 상기 제2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3체결공; 상기 제2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4체결공; 및 상기 제2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레버는,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 및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에 제1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에 제2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2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은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은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은 상기 제1커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은 상기 제2커버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1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2홈 및 상기 제2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2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직경은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커버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지지체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3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커버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4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지지체부의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에 힌지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1힌지공; 상기 제1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1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2힌지공; 상기 제2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2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3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3힌지공; 상기 제3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3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4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4힌지공; 상기 제4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4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4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에 제1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커버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에 제2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요크부재는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제1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3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에 제3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3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커버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4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에 제4힌지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4요크부재는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제2지지체부에 힌지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 스페이서; 상기 제2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2체결공의 사이에 제2보조 스페이서; 상기 제3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의 사이에 제3보조 스페이서; 및 상기 제4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4체결공의 사이에 제4보조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결합되는 요크부재는, 상기 제1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요크부재; 및 상기 제2커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요크부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레버는 상기 제1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1체결공; 상기 제1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1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과 상기 제1걸림고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레버는 상기 제2커버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크부재 제3체결공; 상기 제2지지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고리; 및 상기 제2지지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과 상기 제2걸림고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레버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레버는,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핀홀부 및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핀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에 제1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일측에 상기 제1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에 제2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타측에 상기 제2보조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은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은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1핀홀부와 상기 제1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레버의 상기 제2핀홀부와 상기 제2보조레버의 상기 주레버 제2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1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핀홀부는 제1직경을 갖는 제2홈 및 상기 제2홈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직경을 갖는 제2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직경은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1힌지공; 상기 제1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1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요크부재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제3힌지공; 상기 제3요크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1걸림고리; 및 상기 제3요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3요크부재 제2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1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 스페이서; 상기 제3힌지공과 상기 요크부재 제3체결공의 사이에 제3보조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170157028A 2017-11-23 2017-11-23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190059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28A KR20190059425A (ko) 2017-11-23 2017-11-23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28A KR20190059425A (ko) 2017-11-23 2017-11-23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25A true KR20190059425A (ko) 2019-05-31

Family

ID=6665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028A KR20190059425A (ko) 2017-11-23 2017-11-23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4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22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233665B2 (en) Wiper blade
KR200449008Y1 (ko) 조립성 향상 및 중량이 감소한 차량용 와이퍼
JP5671119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WO2006051722A1 (ja) ワイパブレード
US20130227811A1 (en) Flat wiper blade with spoiler
KR100937206B1 (ko) 자동차 와이퍼 조립체
JP2002521270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US9862356B2 (en) Wiper blade
US20160082929A1 (en) Wiper blade
JP2017222348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20130318735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EP1584528B1 (en) Wiper apparatus and wiper structure
KR20190059425A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20150375716A1 (en) Wiper blade
US995069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30305479A1 (en) Wiper blade
JP632809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10196045B2 (en) Wiper blade assembly
KR20160029773A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0445909Y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20150360650A1 (en) Wiper blade assembly
JP585219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4504129B2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KR100558668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인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