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353A -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353A
KR20190059353A KR1020170156877A KR20170156877A KR20190059353A KR 20190059353 A KR20190059353 A KR 20190059353A KR 1020170156877 A KR1020170156877 A KR 1020170156877A KR 20170156877 A KR20170156877 A KR 20170156877A KR 20190059353 A KR20190059353 A KR 20190059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virtual
experience
terminal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연
Original Assignee
정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연 filed Critical 정태연
Priority to KR102017015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353A/ko
Publication of KR2019005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실존의 교구 장애물 및 가상의 장애물이 혼재되어 표시되는 화상 단말기; 및 상기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는 장애물을 따라 사용자가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화상 단말기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게임 방법은 콘텐츠 운영자가 선정하는 교구 장애물 및 가상의 장애물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터가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는 1단계; 상기 1단계를 통해 표출되는 영상 데이터의 장애물을 따라 사용자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체험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통해 체험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통과 상태가 점수로 환산되는 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System for generat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mages for experience using diorama and game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저 연령대 아동의 두뇌 발달과 교육적 목적의 운동을 위한 어트랙션(attraction)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치원이나 실내에서 사용자가 화상단말기를 통해 직접 가상 체험을 할 수 있게 함으로서 흥미있는 스릴 요인을 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어떤 특정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가상 현실 기술(Virtual Reality, VR), 또는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서 보여주고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 현실 기술(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 기술(Mixed Reality, MR)은 사용자로 하여금 컴퓨터가 만든 세계에 몰입하여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 하도록 하는 테크놀로지로 분류되어 있다. 가상 환경은 컴퓨터 그래픽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그리고 입력 테크놀로지들의 통합 외에도 사용자에게 존재감 또는 몰입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디스플레이와 구분되어 있다.
가상 및 증강현실 기술은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는 집중력 및 학습력 증진, 두뇌발달 목적으로 의료 분야에서는 정신과 치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지만, 유치원이나 실내에서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 연령대 아동의 두뇌 발달과 교육 목적의 운동에 흥미있는 스릴 요인(존재감, 몰입감 등)을 경험하도록 하거나 제시하는 데에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공개특허 제10-2017-0096654호(공개일 2017년08월25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치원이나 실내에서 사용자가 화상단말기를 통해 주어진 경로를 따라 가상 세계를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물 교구 및 가상의 장애물이 표시되는 화상 단말기; 및 상기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는 장애물을 따라 사용자가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화상 단말기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들은, 콘텐츠 운영자가 선정하는 교구 장애물 및 가상의 장애물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터가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는 1단계; 상기 1단계를 통해 표출되는 영상 데이터의 장애물을 따라 사용자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체험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통해 체험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통과 상태가 점수로 환산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 연령대 아동의 두뇌 발달과 교육적 목적의 운동을 위한 어트랙션이 구현될 수 있다.
유치원이나 실내 등의 불특정 장소에서 교구 장애물과 가상의 장애물을 직접 통과하면서 체험할 수 있게 함으로서 흥미있는 스릴 요인을 제시하여 운동과 교육 목적을 가상 및 증강 현실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교구'는 가상 및 증강 현실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에서 일종의 '장애물'로 표출될 수 있으며 실존하는 장애물로 분류된다, '교구 장애물'은 콘텐츠 운영자가 반입하는 '교구'일 수 있으며 언제든 필요에 따라 의도하는 위치와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가상의 장애물'은 컴퓨터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지는 장애물로서 교구 장애물과 혼재되는 상태로 반영되어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도록 되어 있다. 가상의 장애물은 현실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는 요소이다. 예를 들면 가상의 장애물은 가상의 공룡, 각종 동,식물 및 자연 환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단말기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머리에 쓰거나 눈에 착용할 수 있는 '고글', 또는 영상을 표출하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인식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존하는 교구 장애물(200) 및 가상의 장애물(210)은 화상 단말기(100)에 이미지로 표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교구 장애물(200)과 가상의 장애물(210)을 화상 단말기(100)로 표출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화상 단말기(300)에는 교구 장애물(200)과 가상의 장애물(210)이 혼재되어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단말기(100)를 소유하거나 관찰하는 사용자는 교구 장애물(200)과 가상의 장애물(210)을 통과하는 체험 과정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은 콘텐츠 운영자가 선정하는 교구 장애물 (200)과 가상의 장애물(210)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가 화상 단말기(100)를 통해 표출되는 1단계(S110), 1단계를 통해 표출되는 영상 데이터의 장애물을 따라 사용자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현장을 체험하는 2단계(S120), 2단계를 통해 체험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통과 상태가 점수로 환산되는 3단계(S130)를 포함하여 장애물 통과 결과를 점수(포인트)로 표현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임 방식은 정해진 시간 동안 교구 또는 가상의 장애물에 닿지 않고 현장을 체험하면서 최종 종료 지점에 도달 할수록 높은 포인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하나의 장점은 콘텐츠 운영자가 교구 장애물을 필요에 따라 이동 배치할 수 있은 점이다. 이렇게 교구 장애물의 배치가 자유로운 경우 다양하면서도 정형화되지 않은 새로운 환경의 게임 표출화상을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장점은 교구 장애물을 운동과 두뇌 발달에 유리한 것으로 선별하여 배치할 수 있는 점이다. 예를 들면, 평행봉, 뜀틀, 구르기 매트 등을 가상 및 증강 현실에서 자유롭게 변형된 장애물로 표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언제나 새로운 게임 환경이 제공될 수 있어 호기심 유발 효과가 크고 싫증을 내지 않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화상 단말기
200: 교구 장애물
210: 가상의 장애물
300: 컴퓨터 시스템

Claims (2)

  1. 실존의 교구 장애물 및 가상의 장애물이 혼재되어 표시되는 화상 단말기; 및
    상기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는 장애물을 따라 사용자가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화상 단말기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2. 콘텐츠 운영자가 선정하는 교구 장애물 및 가상의 장애물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터가 화상 단말기를 통해 표출되는 1단계;
    상기 1단계를 통해 표출되는 영상 데이터의 장애물을 따라 사용자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체험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통해 체험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통과 상태가 점수로 환산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게임 방법.
KR1020170156877A 2017-11-23 2017-11-23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KR20190059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77A KR20190059353A (ko) 2017-11-23 2017-11-23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77A KR20190059353A (ko) 2017-11-23 2017-11-23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353A true KR20190059353A (ko) 2019-05-31

Family

ID=6665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877A KR20190059353A (ko) 2017-11-23 2017-11-23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3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43A (ko)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놀공담 어린이용 플레이그라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6654A (ja) 2015-11-18 2017-06-01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6654A (ja) 2015-11-18 2017-06-01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43A (ko)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놀공담 어린이용 플레이그라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anney et al. Extended reality (XR) environments
Tacg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an educational handbook
Pietroszek Virtual Pointing Metaphor in Virtual Reality
Kovalenko et al. Use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tools in a gener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context of blended learning
Mystakidis Encyclopedia 2022, 2, 486–497
Mitsuhara et al. Game-based evacuation drill using real world edutainment
Strickland How virtual reality works
Panagiotidis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and language learning
Adjorlu Virtual reality therapy
Gomez Immersive virtual reality for learning experiences
KR20190059353A (ko)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Boldt et al. You shall not pass: Non-intrusive feedback for virtual walls in VR environments with room-scale mapping
Protopsaltis et al. Virtual reality: a model for understanding immersive computing
Nalluri et al.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opportunities during pandemic
Stavrev Natural user interface for educ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KR20190059352A (ko) 동작인식 카메라와 교구를 이용한 체험용 가상 및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Ozturkcan Virtual reality retailing
Johnston Virtual Reality as New media
Pranith et al. Real‐Time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Popov et al. Virtual reality as educational technology
Sheehy et al. Augmenting learners: educating the transhuman
Ghosh et al. Education Applications of 3D Technology
Fakhri et al. Foveated haptic gaze
Atiker Augmented reality games
Sicaru et al. Computer Gaming for the Visually Impaired--Status and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