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230A -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 Google Patents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230A
KR20190059230A KR1020180142275A KR20180142275A KR20190059230A KR 20190059230 A KR20190059230 A KR 20190059230A KR 1020180142275 A KR1020180142275 A KR 1020180142275A KR 20180142275 A KR20180142275 A KR 20180142275A KR 20190059230 A KR20190059230 A KR 2019005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nnector housing
wire harness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510B1 (ko
Inventor
바트로미어 지벡
벵상 르뉘어
플로리안 쇠넨베르크
리자드 밀코브스키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차량 내의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는 전기 커넥터(20)를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는 와이어 입구부(110), 커넥터 위치 보장(CPA) 홀더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50)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100)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중앙에 위치된 내부 캐비티(140) 내부에 위치되고 전기 와이어(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 캐비티(140)는 인터페이스부(150) 내로 연장하고, 전기 와이어(40)는 커넥터 하우징(100) 외부로 연장하여 내부 캐비티(140)와 커넥터 하우징(100)의 외부 사이에 위치된 와이어 입구부(110)를 통과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전기 커넥터(20)가 대응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그리고 커넥터 위치 보장 디바이스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내에서 활성화되어 전기 커넥터(20)를 대응 커넥터에 기계적으로 잠금할 때, 내부 캐비티(140)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밀봉 부재(200)로서,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단일편으로 제조되는, 가요성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SEALED ELECTRICAL WIRE HARNESS}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하우징 및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은 수많은 안전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공지의 에어백 및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사고의 경우에 배터리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신규한 디바이스 또는 차량의 모터 후드를 들어올리기 위한 디바이스가 구현되고 있다. 이 디바이스 동작은 사고의 경우에 차량의 바디 컴퓨터로부터 오는 전기 신호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폭발 하중을 이용한다.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는 SQUIB 커넥터로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는 부가의 증가된 안전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과거에, 안전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승객실에만 설치되었다. 전기 커넥터들은, 승객실을 위한 요구가 밀봉형 커넥터를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밀봉되었다. 신규한 부가의 안전 디바이스는 이제 승객실 외부의 습한 영역에 또한 배치된다. 이는 언급된 요구에 부가하여, 습도 및 먼지에 대해 밀봉된 커넥터를 갖는 전기 하네스를 요구한다.
밀봉형 SQUIB 커넥터를 갖는 전기 하네스를 제공하기 위한 접근법은 기존의 SQUIB 커넥터 주위에 방수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커버는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켰고, 이는 커넥터가 연결되어야 하는 좁은 공간에 문제점을 야기한다. 더욱이, 커버는 자동차 회사에서 대응 커넥터에 커넥터를 조립하는 동안 손상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두께를 가져 이에 의해 여전히 그 밀봉 능력을 유지해야 한다. 더욱이, 이는 커넥터의 크기 및 또한 커넥터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커버 및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부가의 비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전술된 단점을 극복하는 차량 내의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를 제공하고 소형이고, 경량이고, 제조 비용이 저가인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를 제공하는 요구가 관련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및 청구항 15에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를 제조하는 방법이 이들 및 다른 목적을 해결하는데, 이는 이하의 설명의 숙독시에 명백해진다.
본 출원은 와이어 입구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내의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중앙에 위치된 내부 캐비티 내부에 위치되어 전기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내부 캐비티는 인터페이스부 내로 연장한다. 전기 와이어는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여, 내부 캐비티와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 사이에 위치된 와이어 입구부를 통과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는, 전기 커넥터가 대응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그리고 커넥터 위치 보장 디바이스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 내에서 활성화되어 전기 커넥터를 대응 커넥터에 기계적으로 잠금할 때, 내부 캐비티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밀봉 부재는 단일편으로 제조된다.
개시된 발명은 건조한 승객실 외부에 위치된 차량의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를 제공한다. 외부로부터 오는 먼지 및 습도에 대해 민감한 접촉 영역을 밀봉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 내에 위치된 밀봉부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바와 같이 미리 제조되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커넥터 하우징은 모든 부분이 미리 조립될 때 가요성 밀봉 부재를 얻는다. 가요성 밀봉 부재는 유체 밀봉 재료가 사출 성형 도구 내에서 가압된 후에 커넥터 하우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 및 인터페이스부 내부에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이 수용된다. 커넥터 하우징 내의 입구 개구가 밀봉이 요구되는 부분에 사출된 밀봉 재료를 분배하는 채널에 내부 연결된다. 부분들이 입구 개구에 유체 연결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것에 의해, 유체 밀봉 재료는 사출 기계에 의해 압박되어 채널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사출 성형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에, 모든 부분은 정확한 양의 밀봉 재료를 구비한다. 고체가 되기 위해, 밀봉 재료는 냉각되어야 한다. 냉각 후에, 가요성 밀봉 부재는 하나의 부분이다.
본 출원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또한 개시하고 있다.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 내에,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와이어를 갖는 전기 단자, 밀봉 재료 및 툴링된 사출 성형 기계가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사출 성형 도구는 커넥터 하우징 내의 개구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 내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가열 돌기를 포함한다. 사출 성형 도구 내로 장비된 커넥터 하우징을 삽입하는 단계. 사출 성형 도구를 폐쇄하여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을 기밀하게 커버하는 단계로서, 가열 돌기는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서 돌출하는, 사출 성형 도구를 폐쇄하는 단계.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밀봉 재료를 충전하여,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내부의 밀봉 재료를 와이어 입구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 및 인터페이스부에 분배하는 단계로서, 가열 돌기는 밀봉 재료에 의해 유동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밀봉 재료로 충전하는 단계. 사출 성형 도구로부터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를 제거하는 단계.
개시된 본 발명의 방법은 밀봉 재료를 요구된 부분에 분배하면서 밀봉 재료 내로 부가의 에너지(가열)를 제공한다. 이는 밀봉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킨다. 밀봉 재료의 더 양호한 유동성은 최종 밀봉부의 더 고속의 제조 프로세스 및 더 양호한 품질을 지원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밀봉 부재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실리콘은 매우 양호한 밀봉 특성을 갖는 양호하게 발견된 재료이다. 실리콘 유체 상태에서 사용되고, 이어서 고체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실리콘은 고온을 갖는 유체 상태로 사출 성형된다. 냉각 후에, 가요성 밀봉 부재는 고체로 된다. 가요성 밀봉 부재는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부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리브형 인터페이스 슈라우드(shroud)를 포함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의 부분이 슬리브형 인터페이스 슈라우드의 인터페이스 내부면 상에 배열된다. 인터페이스부를 밀봉하기 위해, 함께 플러깅될 때 대응 커넥터의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 구조체가 이를 제공하여, 이에 의해 인터페이스 내부면과 대응 커넥터의 부분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는 교번적인 거리로 인터페이스 내부면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어, 이에 의해 파형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파형 프로파일은 수명에 따라 연결하는 동안 핸들링 및 밀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를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의 부분은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의 내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면 상에 배열된다.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를 밀봉하기 위해, 함께 플러깅될 때 커넥터 위치 보장 디바이스의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 구조체가 이를 제공하여, 이에 의해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와 커넥터 위치 보장 디바이스의 부분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는 교번 거리로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로부터 연장할 수 있어, 이에 의해 파형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파형 프로파일은 수명에 따라 연결하는 동안 핸들링 및 밀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와이어 입구부는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입구 캐비티를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의 부분은 입구 캐비티를 충전하고, 이에 의해 입구 캐비티를 통과하는 전기 와이어의 부분을 밀봉식으로 둘러싼다. 전기 와이어는 내부 캐비티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면서 대량 밀봉부로부터 둘러싸인다. 캐비티는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특정 길이를 갖기 때문에, 특정 길이의 와이어는 질감 재료(feeling material)를 구비할 수 있다. 사출 성형은 고온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와이어의 외부 절연체는 냉각 후에 밀봉 재료에 접착될 수 있다. 이는 매우 효과적인 밀봉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은 인터페이스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 및 와이어 입구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의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연장한다.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채널을 제공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킨다. 밀봉부는 또한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은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를 향해 지향하는 제1 표면을 포함하는, 후크형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갖고, 제2 하우징부는 제2 하우징부에 지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갖는다. 제1 표면은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가 조립될 때 제2 표면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가요성 밀봉 부재의 부분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배열된다.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스냅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이 연결은 고속의 용이한 연결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또한 나사결합 또는 용접과 같은 대안적인 연결 방법이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밀봉 부재는 또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진동이 커넥터에 인가될 때 문제를 방지하는 유극이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부분은 제1 표면 및 제2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은 사출 성형 프로세스 동안에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공간은 밀봉 재료를 위한 채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하우징부는 제1 내부면으로부터 제2 하우징부의 제2 내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제2 내부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한다. 벽은 더욱이 제1 내부면과 제2 내부면 사이로 연장하고,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개별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부의 내부면은 그 사이의 공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하나의 내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시작하는 돌기 또는 벽은, 충분히 멀리 연장하면 대향하는 내부면에 접촉한다. 벽은 내부면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이에 의해 내부면들 사이에 공간을 분할한다. 벽의 경로에 따라, 표면들 사이의 공간은 개별 캐비티로 분할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벽은 내부 캐비티의 부분을 형성한다. 단자가 위치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의 중심부 내의 부분을 둘러싸는 벽은 내부면과 함께 보호 캐비티를 형성한다. 단자는 먼저 커넥터 하우징의 커버로부터 그리고 게다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의 벽으로부터 보호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벽은 채널의 부분을 형성한다. 내부 캐비티와 커넥터 하우징의 나머지 내부 공간 사이의 공간은 밀봉 재료를 위한 채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외부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의 부분은 개구 내에 존재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외부면과 동일 높이이다. 개구 내에 가시화되어 있는 가요성 밀봉 부재의 부분은 가요성 밀봉 부재의 품질에 대한 지시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개구 내에 존재하는 가요성 밀봉 부재는 만입부를 포함하고, 만입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 내의 만입부는 더 깊은 층의 가요성 밀봉 부재의 품질에 대한 지시를 제공한다.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하우징이 바람직하고,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를 향해 지향하는 제1 표면을 포함하는, 후크형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갖고, 제2 하우징부는 제2 하우징부에 지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갖는다. 제1 표면은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가 조립 상태에 있을 때 제2 표면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후크형 단부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가 서로에 대해 유지될 때 제1 표면을 제2 표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스냅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이 연결은 고속의 용이한 연결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표준 스냅 연결부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간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이는 조립된 상태에서 요동성 커넥터 하우징을 야기한다. 이는 2개의 하우징부가 여전히 함께 유지되기 때문에 제조 프로세스에서 핸들링하는 동안 문제가 아니다. 사출 성형 중에 함께 유지될 때, 더 긴 아암은 제1 표면을 제2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유지하여 채널을 형성한다. 나사결합 또는 용접과 같은 대안적인 연결 방법이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특징에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안되고,
a) 전기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고 전기 와이어(40)가 전기 단자(30)에 부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장비된 커넥터 하우징(100)을 제공하는 단계,
b) 밀봉 재료를 사출하기에 적합한 사출 성형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사출 성형 도구는 커넥터 하우징 개구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가열 돌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c) 사출 성형 도구 내로 장비된 커넥터 하우징(100)을 배치하는 단계;
d) 사출 성형 도구를 폐쇄하여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00)을 기밀하게 커버하는 단계로서, 가열 돌기는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서 돌출하는, 사출 성형 도구를 폐쇄하는 단계;
e) 커넥터 하우징을 밀봉 재료로 충전하여,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내부의 밀봉 재료를 와이어 입구부(110),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50)에 분배하는 단계로서, 가열 돌기는 밀봉 재료에 의해 유동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밀봉 재료로 충전하는 단계;
f) 사출 성형 도구로부터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인터페이스부의 사시도.
도 2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의 사시도.
도 3은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제1 하우징부의 사시도.
도 4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가요성 밀봉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6 내지 도 10의 절단 라인을 지시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평면도.
도 6은 절단 라인 E-E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세의 확대도.
도 8은 절단 라인 C-C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단면도.
도 9는 절단 라인 C-C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입구부의 단면도.
도 10은 절단 라인 D-D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입구부의 단면도.
도 1은 와이어 입구부(110), 커넥터 위치 보장(CPA) 홀더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50)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100)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20)를 포함하는 차량 내의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의 인터페이스부(15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커넥터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리브형 인터페이스 슈라우드(152)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슬리브형 인터페이스 슈라우드(152)의 인터페이스 내부면(154) 상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중앙에 위치된 내부 캐비티(140) 내부에 위치되어 전기 와이어(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외부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09)를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개구 내에 존재하고 커넥터 하우징(100)의 하우징 외부면(101)과 동일 높이이다. 개구 내에 존재하는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만입부(210)를 포함하고, 만입부(21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연장한다.
도 2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의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는 커넥터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122)를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122)의 내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면(124) 상에 배열된다.
도 3은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의 제1 하우징부(102)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중앙에 위치된 내부 캐비티(140) 내부에 위치되어 전기 와이어(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내부 캐비티(140)는 인터페이스부(150) 내로 연장한다. 전기 와이어(4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하여, 내부 캐비티(140)와 커넥터 하우징(100)의 외부 사이에 위치된 와이어 입구부(110)를 통과한다. 와이어 입구부(110)는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된 입구 캐비티(112)를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인터페이스부(150),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및 와이어 입구부(1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벽(180)은 내부 캐비티(140)의 부분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벽(180)은 채널(160)의 부분을 형성한다.
도 4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의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 5는 도 6 내지 도 10의 절단 라인을 지시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의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절단 라인 E-E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전기 커넥터(20)가 대응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그리고 커넥터 위치 보장 디바이스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내에서 활성화되어 전기 커넥터(20)를 대응 커넥터에 기계적으로 잠금할 때, 내부 캐비티(140)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입구부(110)는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된 입구 캐비티(112)를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입구 캐비티(112)를 충전하고, 이에 의해 입구 캐비티(112)를 통과하는 전기 와이어(40)의 부분을 밀봉식으로 둘러싼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부(102) 및 제2 하우징부(106)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102)는 제1 내부면(103)으로부터 제2 하우징부(106)의 제2 내부면(107)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제2 내부면(107)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180)을 포함하고, 벽(180)은 더욱이 제1 내부면(103)과 제2 내부면(107) 사이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개별 공간을 형성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단일편으로 제조된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통해 연장한다.
도 7은 도 6의 상세를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제1 하우징부(102)는 제1 하우징부(102)를 향해 지향하는 제1 표면(173)을 포함하는, 후크형 단부(17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170)을 갖는다. 제2 하우징부(106)는 제2 하우징부(102)에 지향하는 제2 표면(175)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174)를 갖는다. 제1 표면(173)은 제1 하우징부(102) 및 제2 하우징부(106)가 조립 상태에 있을 때 제2 표면(175)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제1 표면(173)과 제2 표면(175) 사이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의 부분은 제1 표면(173) 및 제2 표면(175)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은 절단 라인 C-C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인터페이스부(150),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및 와이어 입구부(1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포함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통해 연장한다.
도 9는 절단 라인 C-C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입구부(1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인터페이스부(150),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및 와이어 입구부(1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포함하고,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통해 연장한다. 제2 하우징부(106)는 제2 하우징부(106)를 향해 지향하는 제1 표면(173)을 포함하는, 후크형 단부(17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170)을 갖는다. 제1 하우징부(102)는 제1 하우징부(102)에 지향하는 제2 표면(175)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174)를 갖는다. 제1 표면(173)은 제1 하우징부(102) 및 제1 하우징부(102)가 조립 상태에 있을 때 제2 표면(175)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제1 표면(173)과 제2 표면(175) 사이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의 부분은 제1 표면(173) 및 제2 표면(175)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은 절단 라인 D-D를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의 입구부(1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와이어 입구부(110)는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된 입구 캐비티(112)를 포함한다.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입구 캐비티(112)를 충전하여, 이에 의해 입구 캐비티(112)를 통과하는 전기 와이어(40)의 부분을 밀봉식으로 둘러싼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부(102) 및 제2 하우징부(106)를 포함한다.

Claims (10)

  1. 차량 내의 안전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이며, 전기 커넥터(20)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와이어 입구부(110), 커넥터 위치 보장(CPA) 홀더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50)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100)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중앙에 위치된 내부 캐비티(140) 내부에 위치되고 전기 와이어(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 캐비티(1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 내로 연장하고, 상기 전기 와이어(4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외부로 연장하여 상기 내부 캐비티(140)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의 외부 사이에 위치된 와이어 입구부(110)를 통과하는, 커넥터 하우징(100)과, 전기 커넥터(20)가 대응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그리고 커넥터 위치 보장 디바이스가 상기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내에서 활성화되어 상기 전기 커넥터(20)를 대응 커넥터에 기계적으로 잠금할 때, 상기 내부 캐비티(140)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밀봉 부재(200)로서,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단일편으로 제조되는, 가요성 밀봉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커넥터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리브형 인터페이스 슈라우드(152)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슬리브형 인터페이스 슈라우드(152)의 인터페이스 내부면(154) 상에 배열되고;
    상기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122)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상기 슬리브형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 슈라우드(122)의 내부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면(124) 상에 배열되고,
    상기 와이어 입구부(11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된 입구 캐비티(112)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상기 입구 캐비티(112)를 충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입구 캐비티(112)를 통과하는 상기 전기 와이어(40)의 부분을 밀봉식으로 둘러싸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50), 상기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및 상기 와이어 입구부(1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통해 연장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부(102) 및 제2 하우징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102)는 상기 제1 하우징부(102)를 향해 지향하는 제1 표면(173)을 포함하는, 후크형 단부(17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170)을 갖고, 상기 제2 하우징부(106)는 상기 제2 하우징부(102)에 지향하는 제2 표면(175)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174)를 갖고, 상기 제1 표면(173)은 상기 제1 하우징부(102)와 상기 제2 하우징부(106)가 조립될 때 상기 제2 표면(175)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상기 제1 표면(173)과 상기 제2 표면(175) 사이에 배열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의 부분은 상기 제1 표면(173) 및 상기 제2 표면(175)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102)는 제1 내부면(103)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부(106)의 제2 내부면(107)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상기 제2 내부면(107)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180)을 포함하고, 상기 벽(180)은 더욱이 상기 제1 내부면(103)과 상기 제2 내부면(107) 사이에서 연장하여, 이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개별 공간을 형성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80)은 상기 내부 캐비티(140)의 부분을 형성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80)은 상기 채널(160)의 부분을 형성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을 외부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09)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의 부분은 상기 개구 내에 존재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의 하우징 외부면(101)과 동일 높이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존재하는 상기 가요성 밀봉 부재(200)는 만입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만입부(21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a) 전기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고 전기 와이어(40)가 상기 전기 단자(30)에 부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장비된 커넥터 하우징(100)을 제공하는 단계,
    b) 밀봉 재료를 사출하기에 적합한 사출 성형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사출 성형 도구는 커넥터 하우징 개구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가열 돌기를 포함하는, 단계;
    c) 상기 사출 성형 도구 내로 상기 장비된 커넥터 하우징(100)을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사출 성형 도구를 폐쇄하여 이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을 기밀하게 커버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열 돌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서 돌출하는, 단계;
    e)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밀봉 재료로 충전하여, 이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의 밀봉 재료를 와이어 입구부(110), 커넥터 위치 보장 홀더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50)에 분배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열 돌기는 상기 밀봉 재료에 의해 유동되는, 단계;
    f) 상기 사출 성형 도구로부터 상기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142275A 2017-11-22 2018-11-19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KR102668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3074.4 2017-11-22
EP17203074.4A EP3490077B1 (en) 2017-11-22 2017-11-22 Sealed electrical wire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230A true KR20190059230A (ko) 2019-05-30
KR102668510B1 KR102668510B1 (ko) 2024-05-24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7799A1 (en) 2019-05-23
EP3490077A1 (en) 2019-05-29
CN109818198B (zh) 2020-10-23
US10476201B2 (en) 2019-11-12
CN109818198A (zh) 2019-05-28
US10522940B2 (en) 2019-12-31
US20190341720A1 (en) 2019-11-07
EP3490077B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8198B (zh) 密封电线线束
US7426868B2 (en) Sensor module
US7682204B2 (en)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093515A (ja) 防水コネクタ
US10074927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US9480178B2 (en) Method for forming a component of a vehicle latch assembly
US8529278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n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method
WO2013022117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or
US7670164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JP2003234144A (ja) コネクタ
US20140106625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or
JP2019522190A (ja) センサ装置
US20120149241A1 (en) Connecting component for electrical conductors and method for sheathing such a connecting component
KR20160117460A (ko) 차량용 센서 유닛, 그리고 차량용 센서 유닛의 제조 방법
US7967625B2 (en) Packing protection cap and connector
KR20190089169A (ko) 전기 어셈블리
JP2006250763A (ja) 温度センサ
WO2010026449A1 (en) Sealable squib connector
KR102423717B1 (ko) 파이로테크닉 스퀴브 및 파이로테크닉 스퀴브 제조 방법
KR102668510B1 (ko)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JP2010113862A (ja) 防水コネクタ及びシール部材
KR19990082044A (ko) 전기 장치
JP7185584B2 (ja) コネクタ取付構造
CN104012191A (zh) 用于容纳电子装置的壳体
JP2021086766A (ja) コネクタ対、コネクタ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基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