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90A - 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 - Google Patents

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90A
KR20190058990A KR1020170156480A KR20170156480A KR20190058990A KR 20190058990 A KR20190058990 A KR 20190058990A KR 1020170156480 A KR1020170156480 A KR 1020170156480A KR 20170156480 A KR20170156480 A KR 20170156480A KR 20190058990 A KR20190058990 A KR 2019005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body
discharge
hol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8206B1 (en
Inventor
장성혁
Original Assignee
장성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혁 filed Critical 장성혁
Priority to KR102017015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206B1/en
Publication of KR2019005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4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by a die; Extrusion of cross-sections or plates, optionally the associated cutt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ap for a grain snack molding devi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ap for a grain snack molding device, wherein grains are injected into a cylinder, in which a transfer screw driven by a driving means is provided, and the injected grains are compressed by means of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screw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ap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thereby being made into grain snacks. The discharge cap comprises: a main body, through which a mount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ral part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front cap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having a stepped rear end portion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at the front side inside the mounting hole while the rear surface thereof is open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a discharge hole is form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cap fitted to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hole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at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hol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a plurality of dispersion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thereof.

Description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cap for a grain confectionery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 과자를 성형하는 장치에 구비되어 압출된 곡물을 소정 형상의 곡물 과자로 배출시켜주는 배출캡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ap provided in an apparatus for molding cereal sweets, which discharges the extruded cereal into a predetermined shape of cereal sweets.

일반적으로 곡물 과자 성형장치는 현미, 쌀, 옥수수, 콩 등의 곡물을 밀폐된 공간에 공기와 함께 투입하여 압력을 높이다가 출구를 개방하여 일시에 팽창시킴으로써, 곡물을 부풀려진 과자로 만드는 장치이다.Generally, a grain confectionery molding device is a device that turns grains into swollen confection by increasing the pressure and opening the outlet at a time by putting grains such as brown rice, rice, corn and soybeans into the enclosed space together with air.

종래 곡물 과자 성형장치는 밀폐된 공간에 투입된 곡물에 열을 가하여 곡물을 익히고, 익혀진 곡물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밀폐된 공간의 내부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곡물을 외부로 압출시켜 퍼핑하는 구조를 가진다.Conventionally, a confectionery molding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grains are heated by applying heat to the enclosed space, and the grains are extruded and pumped out in a state whe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nclosed space is increased by water vapor discharged from the cooked grains .

이러한 곡물 과자 성형장치는 곡물이 대략 280℃ 내외로 가열된 상태에서 가공되는데, 곡물은 150℃ 이상으로 가열되면 그 영양소가 파괴되며, 열원의 공급에 있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고,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며, 곡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가열해야 하는 정도가 다르므로 온도제어를 위한 별도의 회로가 필수적으로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is type of grain confectionery is processed in a state where the grain is heated to about 280 ° C. When the grain is heated to 150 ° C. or higher, the nutrients are destroyed, the energy efficiency is lowered in the supply of the heat source, ,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circuit for temperature control must be added since the degree of heating required for each step differs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grain.

또한, 히팅 장치에 의해 고온이 발생되므로 냉각수단의 냉각용량이 커져야 하고, 고온의 열에 의해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igh temperature is generated by the heating device,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ing means must be increased, and the lifetime of the device is shortened due to the heat of high temperature.

이에 따라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스크류와 실린더를 이용하여 곡물 과자를 성형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곡물이 실린더와 결합된 호퍼를 통해 실린더의 내부로 공급되고, 실린더의 내부에는 그러한 곡물을 압축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설치된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proposed an apparatus for forming cereal pastry using a screw and a cylinder without using a separate heat source, in which cereals are fed into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through a hopper coupled with the cylinder, A screw which is rotated by a driving unit is provided for compressing and moving the screw.

따라서, 실린더 내부로 공급되는 곡물은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며,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가 이송되는 곡물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곡물은 그러한 압축에 의해 자체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겔 상태가 변화된 뒤 실린더의 전단부에 위치한 배출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the grain fed into the cylinder is conveyed by the screw, and the spiral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and the spiral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compress the grain to be fed, and the compressed grain self- The gel state is chang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cap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그리고 배출되는 겔 상태의 곡물은 대기상에서 굳어져 연속된 형태의 곡물 과자가 되고 이러한 곡물 과자는 배출캡 전방에 위치하여 반복 회전되는 칼날을 통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만들어진다.The discharged gelatinous cereal is hardened in the air to become a continuous form of cereal sweets, and these cereal sweets are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a repeatedly rotating blad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discharge cap.

한편, 이와 같은 곡물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종래의 배출캡을 보면 전면의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어 스크류가 내재된 실린더의 전면에 결합되고, 배출캡의 전면 중앙에는 겔 상태의 곡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이 형성된다.A conventional discharge cap provided in such a grain forming apparatus has a coupling 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surface to b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a cylinder having a screw therein, A discharge hole is formed so as to be discharged.

그러나 종래 배출캡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곡물은 부분적으로 밀도가 서로 다르게 배출됨에 따라 이러한 밀도의 차이로 인하여 곡물 과자를 섭취하였을 때 식감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고, 곡물 과자 고유의 풍미를 느끼기 어려워져 소비자의 구매의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grain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conventional discharge cap are partially discharged at different densities, due to such a difference in density, when the cereal sweets are consumed, the texture does not become smooth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eel the inherent flavor of the cereal sweets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is deteriorated.

아울러, 배출캡을 통과하는 곡물의 밀도 차로 인해 경우에 따라 배출캡이 곡물에 의해 쉽게 막히기 되면서 성형작업이 중단되거나, 성형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density of the grains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cap, the discharge cap is easily clogged by the grain in some cases, resulting in interruption of the molding operation or damage to the molding apparatus.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6-0006076호(1996.07.20. 공고)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006076 (Bulletin of July 20, 199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의 실린더 전면에 설치되는 배출캡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는 곡물의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어 만들어지는 곡물 과자의 식감과 풍미를 더욱 좋게 하고, 배출캡이 손상되더라도 쉽게 교체시킬 수 있으며, 오염시 청소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배출캡의 유지 관리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a discharge cap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a cylinder of a cereal confectionery molding apparatus, thereby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density of the cereal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ap,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even if the exhaust cap is damaged, and can be easily cleaned when pollu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exhaust cap.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실린더 내부로 곡물이 주입되고, 상기 곡물이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실린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면서 곡물과자로 만들어지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ins are injected into a cylinder having a conveying screw driven by a driving means, and the grains are compressed by rotation of a conveying screw, A grain confectionery forming apparatus for producing grain confectionery as it is discharged,

상기 배출캡은 중심부에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본체와,Wherein the discharge cap has a body through which a mounting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설치공의 내부로 끼워지며, 단턱진 후단부가 상기 설치공 전방 안쪽의 단턱진 부위에 끼워지면서 선단부의 전면이 상기 본체의 전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선단부의 전면에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전방캡과,Wherein a front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is position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a rear end of a step portion is fitted in a stepped portion inside the front of the installation hole, A front cap formed with a through hole,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설치공으로 끼워지며, 외측둘레가 상기 설치공 후방의 단턱진 부위에 끼워지면서 표면이 상기 본체의 후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표면은 복수의 분산공이 관통 형성된 후방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is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and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vered with a rear cap .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캡의 배출공은 일자의 장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ischarge hole of the front cap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elongated ho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공은 마주하는 양측에 확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의 길이방향 중심의 상하 간격보다 상기 확장부의 중심 상하 간격이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ischarge hole has enlarged portions on opposite sides of the discharging hole,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discharge hole may be larg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discharging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확장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xtension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더 바람직하게 상기 분산공은 상기 후방캡의 표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ispersion hole may be radially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p.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분산공은 세개로 구성되어 삼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ispersion holes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riangular shap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캡은 상기 본체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rear cap may be rotatably fitted in an installation hole of the main body.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후면 외측둘레는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돌출된 선단부 외측둘레에 감싸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rear outer periphery of the body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rotruding flange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cylinder.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실린더 상에 곡물이 주입되어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실린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면서 곡물과자가 만들어지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ins are injected onto a cylinder having a conveying screw driven by a driving means, compressed by rotation of a conveying screw,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cap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confectionery,

상기 배출캡은 중심부에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의 전면은 폐쇄되되 중심에 일자형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와,Wherein the discharge cap has a body through which a mounting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a front face of the mounting hole is closed, and a straight-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설치공으로 끼워지며, 외측둘레가 상기 설치공 후방의 단턱진 부위에 끼워지면서 표면이 상기 본체의 후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표면은 복수의 분산공이 관통 형성된 후방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is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and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vered with a rear cap .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공은 마주하는 양측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확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의 길이방향 중심의 상하 간격보다 상기 확장부의 중심 상하 간격이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ischarge hole is provided with a circular or polygonal extension on opposite sides of the discharge hole, and the center vertical interval of the expansion part is larg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cap for a device for forming a confectionery cake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의 배출캡은 본체와 전방캡과 후방캡의 조립구조를 가짐에 따라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는 곡물의 밀도를 균일하게 만들어줄 수 있어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어 만들어지는 곡물 과자의 식감을 더욱 부드럽게 하고, 풍미를 높일 수 있으며, 배출캡의 사용에 따른 전방캡 또는 후방캡의 변형 또는 오염시 교체나 청소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배출캡의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at is, since the discharg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ssembly structure of the main body, the front cap, and the rear cap, the density of the grai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ap can be made uniform,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exhaust cap can be doubled, since the front cap or the rear cap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xhaust cap can be easily deformed or cleaned and replaced easily or quickly.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He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xpected to be exert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inventor perceives it.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Should not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Furth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further by the entir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stated in an explicit sentence,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written description belongs,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과자 성형장치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곡물 과자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배출캡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Ⅱ 부분을 확대하여 실린더와 배출캡을 분리하여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Ⅳ-Ⅳ선 평단면도로써, 곡물 과자 성형장치의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출캡의 구성으로 전방캡과 후방캡이 일체로 구성되어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출캡의 구성으로 전방캡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에 배출공이 직접 형성된 상태에서 후방캡이 결합된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b 는 도6a 의 Ⅴ-Ⅴ선 평단면도이다.
도 6c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출캡의 평단면도이다.
FIG. 1 is a side elevational view illustrating a grain cak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cap provided in a device for molding a confectionery c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separated by separating the cylinder and the discharge cap from the section II of FIG. 1;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illustrating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cylinder of the confectionery molding machine.
5 is a plan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ront cap and a rear cap are integrally formed and coupled to a main body.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ischarge cap is directly formed on a body without using a front cap, and a rear cap is coupled to the discharge cap.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6A.
6C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곡물 과자 성형장치는 도 1 에서와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실린더(400)의 내부로 배합기를 통해 배합된 곡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곡물은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에 의해 압축되면서 실린더(400) 전방으로 이동된 후, 실린더(400) 전면에 결합된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면서 연속된 곡물 과자로 만들어지게 되며, 이러한 곡물 과자는 배출캡의 전방에서 연속 회전되는 칼날에 의해 절단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곡물 과자로 만들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grain confectionery forming apparatus is fed with grains blended into a cylinder 400 having a feed screw driven by a driving means through a blender, and the fed grain is fed by a rotating feed screw And then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cap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400 to be made into a continuous grain cake. This grain cake is moved by a blade which is continuously rotated in front of the discharge cap And is made of cereal sweet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의 구성은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곡물 과자 성형장치의 이송스크류(500)가 내재된 실린더(400) 전면에 결합되는 본체(100)와, 그러한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캡(200)과, 본체(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캡(300)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cap for the apparatus for molding a confectionery c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2 and 3, a main body 100 in which the transfer screw 500 of the confectionery molding apparatus is coupl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cylinder 400, A front cap 200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nd a rear cap 300 positioned at a rear of the main body 100.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

먼저, 본체(100)는, First, the main body 100,

도 2 와 도 4 에서와 같이 원형을 이루며, 중앙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설치공(110)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전면에는 설치공(110)이 중심이 되어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120)이 등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공(120)은 실린더(400) 전면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된다.2 and 4, a mounting hole 110 is formed at the center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 mounting hole 11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fastening holes 120 are fastened through fastening member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ylinder 400.

본체(100)는 후면 외측둘레를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30)가 형성되고, 이러한 플랜지부(130)는 본체(100)가 실린더(400)의 전면에 결합될 때 전술한 플랜지부(130)가 실린더(400) 전면에서 돌출된 선단부의 외측둘레에 감싸지는 상태가 되면서 전술한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130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flange portion 130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130 when the main body 100 is engag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400 130 are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400, and can be coupl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member.

이는 실린더(400)와 본체(100) 간 연결부위의 기밀 유지를 통해 실린더(400) 내부에서 곡물이 효과적으로 압축되어 본체쪽(100)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실린더(400)와 본체(100) 간의 기밀 유지를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플랜지부(130)의 내면이나, 실린더(400)의 외측둘레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함몰된 형태로 환형의 홈을 형성하고, 그러한 홈에 환형의 고무패킹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This is because the grains can be effectively compressed and moved to the main body side 100 through the seal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ylinder 400 and the main body 100, An annular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30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400 so as to be held in a closed state so as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lange portion 130 and the cylinder 400, May be installed.

전방캡(200)은,The front cap (200)

도 2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본체(100)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곡물이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2 to 4, 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nd is engaged with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discharges the grains discharged forward.

전방캡(200)은 후단부의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이면서 전단부의 전면에는 곡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210)이 관통 형성된다.The front cap 200 is cylindrical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end is opened, and a discharge hole 210 is form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so that the grain can be discharged.

전방캡(200)은 후단부 외경이 전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후단부가 단턱지게 구성됨에 따라 이러한 전방캡(200)이 본체(100)의 후방에서 설치공(110) 내부로 끼워지게 되면 전방캡(200)의 단턱진 후단부가 설치공(110)의 전방 내측둘레에 형성된 단턱진 부위에 걸리게 되고, 전방캡(200)의 전단부 전면은 본체(100)의 전면과 동일 선상을 이루거나 전단부 전면이 본체(100)의 전면보다 안쪽 또는 바깥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When the front cap 20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0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he front cap 200 is formed to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ront end, The front end face of the front cap 200 is in line with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100 or the front end face of the front cap 200 is in line with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front surface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전방캡(200)의 전단부 전면에는 중심부에 배출공(210)이 형성되며, 배출공(210)은 일자의 장공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 discharge hole 21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cap 200, and the discharge hole 210 may have a slot shape of a straight line.

배출공(210)은 일자의 장공형태이면서 직선형태는 물론 곡선형태 또는 웨이브형태 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hole 210 may have a slot shape of a straight line shape, a curved shape or a wave shape as well as a linear shape.

배출공(21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길이방향의 중심부의 상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220)가 배출공(210)으로부터 연이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Extending portions 220 having widths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h sides of the discharge hole 210 from the discharge hole 210 in series.

확장부(220)는 형상이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extension 220 is not limited to any one, but may be circular, oval, polygonal, or the like.

확장부(220)는 배출공(210)의 마주하는 양측은 물론 중앙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확장부(220)는 배출공(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2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hole 210 as well as on the center part. The extension part 220 may be formed continuously or non-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210, Can be continuously formed.

이러한 배출공(210)의 형상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를 통해 전방캡(200)의 배출공(210)으로 배출되는 곡물은 균일한 밀도를 가지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는 곡물 과자의 식감을 부드럽게 해주면서 풍미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hole 210, the grai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210 of the front cap 200 through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 a uniform density, And the flavor can be further enhanced.

후방캡(300)은,The rear cap (300)

도 2 내지 도 4 와 같이 전술한 본체(100)의 후방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실린더(400)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이 본체(100)의 내부로 공급될 때 곡물이 본체(100) 내부에 분산되는 상태로 공급되게 한다.2 to 4, when the grain discharged through the cylinder 400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the grain is dispersed in the main body 100, To be supplied.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후방캡(300)은 표면에 복수의 분산공(310)이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분산공(310)에 의해 실린더(400)에서 배출되는 곡물은 복수의 경로로 본체(100)의 내부에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분산된 이동은 곡물의 뭉침을 방지하고, 곡물의 밀도를 균일하게 해준다.The rear cap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ersion holes 310 penetrating the surface of the rear cap 300.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400 by the dispersion holes 310 is passed through the main body 100 in a plurality of paths, And this dispersed movement prevents grain aggregation and makes grain density uniform.

분산공(310)은 바람직하게 후방캡(300)의 표면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각이나 사각 등의 다각을 이루거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persion holes 310 may be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urface of the rear cap 300, and may be polygonal, for example, triangular, square, or circular.

후방캡(300)은 본체(100)의 설치공(110) 후방쪽으로 끼워지게 되며, 이때, 설치공(110)의 후방에 단턱이 형성됨에 따라 후방캡(300)의 외측둘레가 설치공(110)의 후방에 구비된 단턱에 걸려 고정되는 형태가 되면서 설치공(100)과 대향되는 후방캡(300)의 바깥면과 본체(100)의 후면은 동일 선상이 될 수 있으며, 후방캡(300)의 바깥면은 평면 또는 구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후방캡(300)의 바깥면은 본체(100)의 후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The rear cap 300 is fitted to the rear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10 of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since the step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installation hole 110,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ar cap 30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0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p 300 opposed to the installation hole 1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in line with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p 300 may be formed to protrude or b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후방캡(300)은 안쪽면은 설치공(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설치공(100)에 끼워져 있는 전방캡(200)의 후단부 후면과 이격되거나 접면 또는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후방캡(300)의 분상공(310)의 위치는 전방캡(200)의 후단부 후면의 개방된 부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p 300 may b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installation hole 10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or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cap 200 fitted to the installation hole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minute hole 310 of the cap 300 is configured not to deviate from the open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cap 200. [

아울러, 후방캡(300)이 본체(100)의 설치공(110)에 끼워짐에 있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실린더(400)의 곡물이 후방캡(300)의 분산공(310)을 통해 이동될 때 곡물이 분산공(310)을 통과하는 힘으로 인하여 후방캡(300)은 회전될 수 있고, 이러한 후방캡(300)의 회전은 분산공(310)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이동되는 곡물이 충분히 혼합되는 조건을 만들어주게 됨에 따라 곡물의 밀도를 보다 균일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Since the rear cap 300 is fitted to the installation hol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is rotatably installed therein, the grains of the cylinder 400 are fed through the dispersion hole 310 of the rear cap 300 The back cap 300 can be rotated due to the force of the grain passing through the dispersion hole 310 when the grains are moved and the rotation of the rear cap 300 is mov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dispersion hole 310 As the grains become fully mixed, the density of the grains can be made even more uniform.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방캡(200a)과 후방캡(300a)은 일체로 구성되어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ront cap 200a and the rear cap 300a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한편, 이와 같은 전방캡(200)은 전술한 일 실시 예와 같이 본체(100)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본체(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 예로는 본체(100)와 전방캡(200)을 일체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ront cap 20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100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and the front cap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즉, 도 6a 와 도 6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a)의 전면 외측에는 체결공(120)이 형성되고, 중심에 설치공(110a)이 관통 형성되며, 이때 설치공(110a)의 전면은 폐쇄되되, 폐쇄된 전면의 중심에 배출공(111)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6A and 6B, a fastening hole 12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a and an installation hole 110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 120. At this time, But the exhaust hole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losed front face.

이러한 배출공(111)은 일자로 구성될 수 있고, 직선형태는 물론 곡선형태 또는 웨이브형태 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배출공(111)의 길이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의 중심부의 상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112)가 배출공(111)에 연이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확장부(112)는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확장부(112)는 배출공(111)의 마주하는 양측과 함께 중앙에도 형성될 수 있고, 확장부(112)는 배출공(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hole 111 may be formed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wave line, or the like. The discharge hole 1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111, The enlarged portion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hole 111. The enlarged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111 and the enlarged portion 112 may b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111. In addition,

여기서,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c 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00b)의 전면 외측에는 체결공(120)이 형성되고, 중심에 설치공(110b)이 관통 형성되며, 이때 설치공(110b)의 전면은 폐쇄되되, 폐쇄된 전면의 중심에 배출공(111)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6C, a fastening hole 12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b and an installation hole 110b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 120. At this time, The exhaust hole 11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closed front face.

여기서. 설치공(110b)은 내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이지는 테이퍼진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nstallation hole 110b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insid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그리고 배출공(111)은 일자로 구성될 수 있고, 직선형태는 물론 곡선형태 또는 웨이브형태 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배출공(111)의 길이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의 중심부의 상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112)가 배출공(111)에 연이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확장부(112)는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확장부(112)는 배출공(111)의 마주하는 양측과 함께 중앙에도 형성될 수 있고, 확장부(112)는 배출공(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hole 111 may be formed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wave line, or the like. The discharge hole 1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111, The enlarged portion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hole 111. The enlarged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111 and the enlarged portion 112 may b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111. In addition,

또한, 본체(100a)(110b)의 후면에는 후방캡(300)이 설치되면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배출캡의 경우 본체(100a)와 후방캡(300)으로 배출캡이 구성됨에 따라 배출캡의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cap 30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a, 110b.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ischarge cap is formed by the main body 100a and the rear cap 300, Writing can be improved.

그러나 배출공은 압력을 많이 받게 되고 곡물이 연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마모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체와 전방캡은 일체형 보다 배출공의 마모나 변형을 고려하여 본체와 전방캡을 별도로 제작 후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배출공이 마모나 변형시 사용된 전방캡을 제거하고 새로운 전방캡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discharge hole receives a lot of pressure and the grain is continuously discharged, wear or deformation may occur. Therefore, the main body and the front cap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fter considering the wear and deformation of the discharge hole rather than the integral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hole is constructed so that the front cap used in abrasion or deformation is removed and replaced with a new front cap.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린더(40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500)를 통해 곡물이 압축되어 배출캡으로 이동될 때, 곡물이 후방캡(300)의 분산공(310)을 통해 분산된 상태로 배출캡의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후 전방캡(200)의 배출공(210)을 통해 배출되면서 연속된 곡물 과자가 만들어지게 되며, 이러한 곡물 과자는 배출캡의 전방에서 회전되는 칼날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완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rains are compressed and moved to the discharge cap through the conveyance screw 500 rotated inside the cylinder 400, the grains are dispersed through the dispersion holes 310 of the rear cap 30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0 of the front cap 200 to produce a continuous grain cake. The grain cake is rotated in the front of the discharge cap It can be cut and cut to a certain length by the blade.

따라서, 이러한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는 곡물 과자는 밀도가 균일하여 식감이 부드럽고, 곡물의 고유한 맛을 즐길 수 있으며, 배출캡의 사용과정에서 배출공(210)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실린더(400)로부터 배출캡을 분리한 후 후방캡(300)을 제거한 다음 전방캡(200)을 제거하고 새로운 전방캡을 다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출캡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출캡의 청소나 이물질 제거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grain cak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ap is uniform in density, so that the texture is smooth and the grain can enjoy its unique taste. Even if the discharge hole 210 is deformed during the use of the discharge cap, Since the front cap 300 is removed and then the front cap 200 is removed and the new front cap can be installed agai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discharge cap, It is also easy to remove foreign matt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100a, 100b : 본체 110,110a,110b : 설치공
120 : 체결공 130 : 플랜지부
200,200a : 전방캡 111, 210 : 배출공
112,220 : 확장부 300,300a : 후방캡
310 : 분산공 400 : 실린더
500 : 이송스크류
100, 100a, 100b: main body 110, 110a, 110b:
120: fastening hole 130: flange portion
200, 200a: front cap 111, 210:
112,220: Extension part 300,300a: Rear cap
310: dispersion ball 400: cylinder
500: Feed screw

Claims (10)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실린더 내부로 곡물이 주입되고, 주입된 상기 곡물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실린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면서 곡물 과자로 만들어지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은,
중심부에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설치공의 내부로 끼워지며,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단턱진 후단부가 상기 설치공 내부 전방의 단턱진 부위에 끼워지면서 선단부의 전면이 상기 본체의 전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선단부의 전면에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전방캡;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설치공의 후방에 끼워지며, 외측둘레가 상기 설치공 후방의 단턱진 부위에 끼워지면서 바깥면이 상기 본체의 후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바깥면에는 복수의 분산공이 관통 형성된 후방캡;
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The grains are injected into the cylinder having the conveying screw driven by the driving means and the injected grains are com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screw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ap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A method for forming a confectionery compact,
The discharge cap
A body through which a mount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A front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is position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a rear end of the step is inserted into a stepped portion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hole in a state that the rear surface is open, A front cap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And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is fitted to a stepped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A formed rear cap;
And an outlet cap for a confectionery molding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캡의 배출공은 일자의 장공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hole of the front cap is formed in a slot shape of a straight 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마주하는 양측에 확장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길이방향 중심의 상하 간격보다 상기 확장부의 중심 상하 간격이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harge hole extends on opposite sides of the discharge hole and the center vertical interval of the expansion portion is larg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and the discharge cap.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comprises one of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은 상기 후방캡의 표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nser is radially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rear ca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은 세개로 구성되어 삼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ersion holes are formed in triangle so as to form a triang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캡은 상기 본체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rear cap is rotatably fitted in an installation hole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 외측둘레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실린더의 돌출된 선단부 외측둘레에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wrappe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cylinder.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실린더 상에 곡물이 주입되어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실린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배출캡을 통해 배출되면서 곡물과자가 만들어지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은,
중심부에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의 전면은 폐쇄되되 중심에 일자형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설치공의 후방에 끼워지며, 외측둘레가 상기 설치공 후방의 단턱진 부위에 끼워지면서 바깥면이 상기 본체의 후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바깥면에는 복수의 분산공이 관통 형성된 후방캡;
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There is provided a grain cake molding apparatus in which cereal is injected onto a cylinder having a conveying screw driven by a driving means and is compressed by rotation of a conveying screw and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cap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
The discharge cap
A m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is closed, and a straight discharge hole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is fitted to a stepped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A formed rear cap;
And an outlet cap for a confectionery molding machin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마주하는 양측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확장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길이방향 중심의 상하 간격보다 상기 확장부의 중심 상하 간격이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charge hole has a circular or polygonal extension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discharge hole, and a gap between the vertical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and a center vertical interval of the expansion part is larger tha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cap.















KR1020170156480A 2017-11-22 2017-11-22 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 KR101998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80A KR101998206B1 (en) 2017-11-22 2017-11-22 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80A KR101998206B1 (en) 2017-11-22 2017-11-22 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90A true KR20190058990A (en) 2019-05-30
KR101998206B1 KR101998206B1 (en) 2019-10-01

Family

ID=6667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80A KR101998206B1 (en) 2017-11-22 2017-11-22 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2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915A (en) 2021-10-08 2023-04-17 정기조 Extruder for making confectionery of gel dough
KR20230141285A (en) 2022-03-31 2023-10-10 정기조 Extruder for making confectionery of gel type doug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970A (en) * 2012-07-27 2014-02-07 주식회사델리스 Apparatus for puffing grains
KR101396423B1 (en) * 2013-09-16 2014-05-20 장성신 Grain snack puff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970A (en) * 2012-07-27 2014-02-07 주식회사델리스 Apparatus for puffing grains
KR101396423B1 (en) * 2013-09-16 2014-05-20 장성신 Grain snack puf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206B1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4833A (en) Short length tapered extrusion cooking device
US6688217B2 (en) Twin screw extruder with conical non-parallel converging screws
KR910000281B1 (en) Method for preparing cooked wheat product
KR100715087B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producing a curly puff extrudate
USRE37235E1 (en) Short length tapered extrusion cooking apparatus having peripheral die
KR20190058990A (en) Exhaust cap grain snack molding device
US10555547B2 (en) Meat dewatering assembly
KR20020035363A (en) Twin screw extruder and producing method of swelled grain by using the same
US6783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dimensional quality of direct-expanded food products having complex shapes
CN206472826U (en) A kind of breeding feed bulking machine
US4696634A (en) Apparatus for particulating an oleaginous product
KR100384827B1 (en) noodle making apparatus
KR101173086B1 (en) Cooked rice noodl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271987B1 (en) Coupling structure i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oodles or rice cakes with grains
US3018715A (en) Food machinery
KR200200781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ckwheat noodles
KR0116425Y1 (en) Noodle maker
KR102033959B1 (en) Continuous punching and cooling feed equipment of bar rice cake
KR20150004180U (en) Cooling apparatus of grain snack puffer
KR102411693B1 (en) Rice snack maker
KR200301414Y1 (en) The pressure equipment of the rice cake machine
KR200100943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orn Noodles And Corn Noodles Made By The Same
KR100314834B1 (en) A molding machine for dumplings
KR102428234B1 (en) Brown rice chip seasoning apparatus
KR102332660B1 (en)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dum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