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812A -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812A
KR20190058812A KR1020170156112A KR20170156112A KR20190058812A KR 20190058812 A KR20190058812 A KR 20190058812A KR 1020170156112 A KR1020170156112 A KR 1020170156112A KR 20170156112 A KR20170156112 A KR 20170156112A KR 20190058812 A KR20190058812 A KR 20190058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einforcing
unit
storage units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757B1 (ko
Inventor
신광용
이기용
백경윤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7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4Laser welding for purposes other than joining
    • B23K26/342Build-up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25/101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wherein the vortex flows in a spherical shaped receptacle or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25/104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opening
    • B01F5/006
    • B01F5/0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 B23K26/14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the fluid stream containing particles, e.g.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는, 대상모재의 강화영역 측으로 강화용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유닛,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강화용 분말이 공급된 강화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모재 및 상기 강화용 분말을 용융시킴에 따라 강화층을 형성하는 레이저 조사유닛, 상기 분말 공급유닛에 제공될 강화용 분말이 저장되는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분말 공급유닛에 이송될 강화용 분말의 공급비율을 조절하는 제어유닛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Laser Deposition Apparatus Having Multiple Powder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대상모재에 강화층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통해 대상모재에 형성되는 강화층의 합금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레이저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금속의 표면을 강화시키거나, 특수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표면 처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금속표면처리방법의 경우, 모재에 특정 가스를 주입하여 처리층을 증착하거나, 또는 소정의 표면처리 소재를 콜드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모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금속표면처리방법의 경우, 처리층과 모재의 표면 간의 부착력이 크게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처리층이 분리 및 탈락되는 현상이 잦은 빈도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금속표면처리방법은 모재의 형상이 평면 또는 극히 단순한 형태일 경우일 때 그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모재의 형상이 불규칙적이거나 복잡한 경우에는 큰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는 표면처리장치의 특성 상 불규칙하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모재의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 모재의 수명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상기 모재가 프레스, 단조 공정 등에 사용되는 금형과 같이 잦은 충격과 외력이 가해지는 제품인 경우, 비용 대비 수명이 매우 짧아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저 용융 적층장치를 통해 분말을 모재 표면에 공급하는 동시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모재와 분말을 함께 용융시키는 방법으로 강화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특히 강화층 형성 과정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분말을 혼합하여 공급하게 될 경우에는 합금 강화층이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레이저 용융 적층장치는 합금 강화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미리 외부에서 혼합된 분말을 공급하여 제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분말 이송공정 중 비중 차에 의해 각 분말의 분포가 불규칙성을 띄게 되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형성된 합금 강화층은 그 성능이 일정치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34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레이저 적층 공정 시 합금 강화층의 내부 조직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합금 강화층의 표면을 강화시키고 금속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는, 대상모재의 강화영역 측으로 강화용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유닛,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강화용 분말이 공급된 강화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모재 및 상기 강화용 분말을 용융시킴에 따라 강화층을 형성하는 레이저 조사유닛, 상기 분말 공급유닛에 제공될 강화용 분말이 저장되는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분말 공급유닛에 이송될 강화용 분말의 공급비율을 조절하는 제어유닛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말 저장유닛은 상기 강화용 분말의 수급을 위한 분말수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에 구비된 분말수급부의 수급량을 제어하는 수급량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 저장유닛은 상기 강화용 분말의 배출을 위한 압축가스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에 구비된 압축가스제공부의 가스분압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가스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말 저장유닛 및 상기 분말 공급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으로부터 이송된 강화용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탱크는,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으로부터 전달된 강화용 분말이 혼합되는 혼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과 상기 분말 저장유닛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입관 및 상기 몸체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과 상기 분말 공급유닛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혼합공간 내의 와류 형성을 통해 유입된 강화용 분말의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벽에는 나선 형상의 와류형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통해 강화용 분말의 공급량을 의도대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합금 강화층의 내부 조직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최종 합금 강화층의 표면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혼합된 금속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기존 방식 대비 분말 혼합비 조절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해 형성된 강화층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원발명에 의해 형성된 강화층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는 분말 공급유닛(120) 및 레이저 조사유닛(110)을 포함하는 통합모듈(100)과,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과, 제어유닛(240, 250)을 포함한다.
상기 통합모듈(100)은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 및 상기 레이저 조사유닛(110)이 바디(105)에 연결된 상태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은 상기 레이저 조사유닛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은 강화 대상이 되는 대상모재의 강화영역 측으로 강화용 분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레이저 조사유닛(110)은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강화용 분말이 공급된 강화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모재 및 상기 강화용 분말을 용융시킴에 따라 강화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강화영역은 상기 대상모재의 전체 표면 중 강화시키고자 하는 영역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 강화영역은 상기 대상모재의 표면 전체일 수도 있고, 또는 목적에 따라 상기 대상모재의 전체 표면 중 일부 면적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는 상기 대상모재의 강화영역 표면 및 상기 분말 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강화용 분말이 레이저에 의해 함께 용융되며, 이후 용융된 멜트 풀(Melt Pool)이 경화됨에 따라 상기 대상모재의 표면에 강화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경우, 강화용 분말뿐 아니라 대상모재의 표면이 함께 용융되므로 강화층의 부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강화용 분말로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강화용 분말로 고속도 공구강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상기 강화용 분말로서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복수 종류의 강화용 분말을 혼합하여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을 통해 강화영역에 공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에 제공될 서로 다른 종류의 강화용 분말이 저장되는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은 제1분말 저장유닛(200a) 및 제2분말 저장유닛(200b)을 포함하여 한 쌍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많은 수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에는 각각 이종의 금속 성분을 가지는 강화용 분말이 저장될 수도 있으나, 동종의 금속 성분이라 하더라도 세부적인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강화용 분말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분말 저장유닛(200a) 및 상기 제2분말 저장유닛(200b)은 상기 강화용 분말의 수급을 위해 강화용 분말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분말수급부(210a, 210b)와, 상기 강화용 분말을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축가스제공부(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말수급부(210a, 210b)에 저장된 강화용 분말은 상기 압축가스제공부(220a, 220b)에 의해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 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유닛(240, 250)은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으로부터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에 이송될 강화용 분말의 공급비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유닛(240, 250)은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에 구비된 분말수급부(210a, 210b)의 수급량을 제어하는 수급량제어부(240)와,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에 구비된 압축가스제공부(220a, 220b)의 가스분압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가스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수급량제어부(240)는 상기 분말수급부(210a, 210b)에 공급되는 강화용 분말의 수급량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1분말 저장유닛(200a) 및 상기 제2분말 저장유닛(200b)으로부터 배출되는 강화용 분말의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제어부(250)는 압축가스제공부(220a, 220b)의 가스분압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분말수급부(210a, 210b)로부터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 측으로 배출되는 강화용 분말의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제어유닛(240, 250)은 상기와 같이 상기 수급량제어부(240) 및 상기 가스제어부(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강화용 분말의 혼합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말 저장유닛(200a, 200b) 및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240, 250)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으로부터 이송된 강화용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탱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탱크(300)는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200a, 200b)으로부터 배출된 이종의 강화용 분말이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으로 전달되기 이전 단계에서 서로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탱크(300)는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110a, 110b)으로부터 전달된 강화용 분말이 혼합되는 혼합공간(S)이 내부에 형성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과 상기 분말 저장유닛(110a, 110b)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입관(320a, 320b)과, 상기 몸체(31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과 상기 분말 공급유닛(120)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출관(330a, 330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3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혼합공간(S) 내에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혼합공간(S) 내측으로 유입된 강화용 분말을 보다 원활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320a, 320b)은 한 쌍이 형성되어 각각 제1분말 저장유닛(110a)의 제1배출구(230a) 및 제2분말 저장유닛(110b)의 제2배출구(230b)와 연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관(330a, 330b) 역시 한 상이 형성되어 각각 상기 통합모듈(100)에 형성된 제1유입구(130a) 및 제2유입구(130b)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 쌍의 유입관(320a, 320b)은 상기 강화용 분말이 상기 혼합공간(S) 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310)의 내벽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혼합공간(S) 내에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통해 강화용 분말의 공급량을 의도대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합금 강화층의 내부 조직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최종 합금 강화층의 표면 강도가 크게 향상되고 혼합된 금속의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혼합탱크(300)의 상기 몸체(310) 내벽에 나선 형상의 와류형성홈(340)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 상기 몸체(310)의 혼합공간(S) 내에서는 보다 강한 와류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혼합공간(S) 내측으로 유입된 이종의 강화용 분말은 보다 원활히 혼합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300)의 횡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혼합탱크(300)의 상기 몸체(310) 내벽에는 한 쌍의 유입관(320a, 320b)에 의해 강화용 분말이 토출되어 부딪히는 지점에 함몰홈(350)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홈(350)은 가장 깊이 함몰된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의 곡률이 다르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함몰홈(350)에 부딪힌 강화용 분말은 상대적으로 곡률이 낮은 경사면을 따라 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 역시 상기 함몰홈(35)에 의해 상기 몸체(310)의 혼합공간(S) 내에서는 보다 강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혼합탱크(300)의 상기 몸체(310) 내벽에 나선 형상의 와류형성홈(340)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혼합공간(S)의 중심부에 기둥부(360)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기둥부(360)는 상기 혼합공간(S)의 중심 영역을 점유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310)의 외곽부에서 강화용 분말의 혼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기둥부(360)는 상기 혼합공간(S) 내에서 외곽부에 비해 와류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앙부로 강화용 분말이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혼합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360)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보조와류형성홈(362)이 더 형성되어 상기 와류형성홈(340)과 함께 보다 원활하게 와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둥부(360)는 상기 혼합탱크(3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혼합공간(S)의 부피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혼합탱크(300)의 타측에서 기류의 흐름을 보다 빠르게 하여 강화용 분말의 집중적인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적층장치에 있어서, 혼합탱크(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혼합탱크(300)의 상기 몸체(310) 내벽에 나선 형상의 와류형성홈(340)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혼합공간(S)의 중심부에 기둥부(360)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둥부(360) 내측에 공기유동홀(270)이 형성된다는 점이 제4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공기유동홀(270)은 상기 기둥부(360) 내측에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혼합공간(S) 측으로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유동홀(270)은 상기 기둥부(2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메인유동부(370a) 및 상기 기둥부(260)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공간(S)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서브유동부(37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홀(270)은 별도의 컴프레서(38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380)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는 메인유동부(370a)를 거쳐 각 서브유동부(370b)로 분출됨에 따라 상기 혼합공간(S)에서의 강화용 분말 혼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한편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해 형성된 강화층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원발명에 의해 형성된 강화층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해 형성된 강화층의 경우 내부 조직분포가 분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비해 도 9에 도시된 본원발명에 의해 형성된 강화층은 입자가 보다 조밀하여 조직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경우, 최종 합금 강화층의 표면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혼합된 금속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통합모듈
105: 바디
110: 레이저 조사유닛
120: 분말 공급유닛
200a, 200b: 분말 저장유닛
240: 250: 제어유닛
300: 혼합탱크
310: 몸체
S: 혼합공간

Claims (7)

  1. 대상모재의 강화영역 측으로 강화용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유닛;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강화용 분말이 공급된 강화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모재 및 상기 강화용 분말을 용융시킴에 따라 강화층을 형성하는 레이저 조사유닛;
    상기 분말 공급유닛에 제공될 강화용 분말이 저장되는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분말 공급유닛에 이송될 강화용 분말의 공급비율을 조절하는 제어유닛;
    를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저장유닛은 상기 강화용 분말의 수급을 위한 분말수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에 구비된 분말수급부의 수급량을 제어하는 수급량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저장유닛은 상기 강화용 분말의 배출을 위한 압축가스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에 구비된 압축가스제공부의 가스분압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가스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저장유닛 및 상기 분말 공급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으로부터 이송된 강화용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탱크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탱크는,
    상기 복수 개의 분말 저장유닛으로부터 전달된 강화용 분말이 혼합되는 혼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과 상기 분말 저장유닛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입관; 및
    상기 몸체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과 상기 분말 공급유닛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출관;
    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혼합공간 내의 와류 형성을 통해 유입된 강화용 분말의 혼합을 유도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벽에는 나선 형상의 와류형성홈이 형성된 레이저 적층장치.
KR1020170156112A 2017-11-22 2017-11-22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KR102064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12A KR102064757B1 (ko) 2017-11-22 2017-11-22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12A KR102064757B1 (ko) 2017-11-22 2017-11-22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12A true KR20190058812A (ko) 2019-05-30
KR102064757B1 KR102064757B1 (ko) 2020-01-13

Family

ID=6667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12A KR102064757B1 (ko) 2017-11-22 2017-11-22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129A (zh) * 2020-07-03 2020-09-25 吴子昂 一种3d打印粉末耗材用可调节悬臂式供粉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61A (ko) * 1998-07-06 2000-02-07 박석봉 유체혼합 유니트
KR20080065385A (ko) * 2007-01-09 2008-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합물 혼합 공급장치
JP2010224538A (ja) * 2009-03-20 2010-10-07 Xerox Corp 選択された光沢レベルに対応する乾式トナー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227587A (ja) *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シマブンコーポレーション 3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KR20150063400A (ko) 2012-10-01 2015-06-0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레이저 분말 적층 용접 장치를 위한 분말 노즐
JP2016059939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東芝 ノズル及び積層造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61A (ko) * 1998-07-06 2000-02-07 박석봉 유체혼합 유니트
KR20080065385A (ko) * 2007-01-09 2008-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합물 혼합 공급장치
JP2010224538A (ja) * 2009-03-20 2010-10-07 Xerox Corp 選択された光沢レベルに対応する乾式トナー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63400A (ko) 2012-10-01 2015-06-0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레이저 분말 적층 용접 장치를 위한 분말 노즐
JP2014227587A (ja) *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シマブンコーポレーション 3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JP2016059939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東芝 ノズル及び積層造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129A (zh) * 2020-07-03 2020-09-25 吴子昂 一种3d打印粉末耗材用可调节悬臂式供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757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9851A (ko) 금속 부품의 경제적 제조를 위한 방법
US20150352770A1 (en) Screw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crew Elements
KR20180109891A (ko) 구조용, 기계 및 공구 용도를 위한 고 내구성 고성능 강
CN104884203B (zh) 一种制造用作锯珠的磨料层的载体的金属套筒的方法
JP7450943B2 (ja) 費用効率性のある形状複合部品を得る方法
US20180021793A1 (en) Directional cold spray method
WO2011114552A1 (ja) ノズルの噴霧方法およびノズル
US10799946B2 (en) Die casting die with removable inserts
KR20190058812A (ko) 다중 분말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EP3177788A1 (de) Tragende elemente einer tragenden struktur, dazugehörige verbindungselemente, sowie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CN109941358A (zh) 将金属材料加强件施加于金属材料构件的方法
Gorunov et al. Investigation of coatings of austenitic steels produced by supersonic laser deposition
Cacace et al. Using recycled material to produce gas-atomized metal powders for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JP2020026138A (ja) 多軸スクリュー機械のハウジ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部品及びハウジング部品を製造する方法
Vasconcelos et al. Injection overmolding of polymer‐metal hybrid structures: A review
RU2657968C1 (ru) Порошковый сплав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ъемных изделий методом селективного спекания
KR101820719B1 (ko) 초음파 가진을 이용한 ded기법의 금속표면강화방법
US115598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a material
KR20080009160A (ko) 물질의 적층을 위한 방법과 장치
EP3631037B1 (de) Plasma-beschichtungslanze für innenbeschichtungen
CN105441853A (zh) 一种双级表面复合强化方法
WO2022251909A1 (en) A proces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metal casings
KR100867277B1 (ko) 저온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한 타이어 금형의 수리 방법
CN105316631B (zh) 多元复合涂层的制备系统及其方法
EP4129557A1 (en) Mixed powder production method, mixed powder production device,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and additive manufact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