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458A -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458A
KR20190058458A KR1020197004645A KR20197004645A KR20190058458A KR 20190058458 A KR20190058458 A KR 20190058458A KR 1020197004645 A KR1020197004645 A KR 1020197004645A KR 20197004645 A KR20197004645 A KR 20197004645A KR 20190058458 A KR20190058458 A KR 20190058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rticulating
bone
cavity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938B1 (ko
Inventor
마크 에이. 프랭클
서지오 구티에레즈
제랄드 윌리엄스
Original Assignee
디제이오 글로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211,518 external-priority patent/US9795490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5/257,226 external-priority patent/US10226350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5/376,334 external-priority patent/US9782263B1/en
Application filed by 디제이오 글로벌, 인크. filed Critical 디제이오 글로벌, 인크.
Priority to KR102022703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663A/ko
Publication of KR2019005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0Joints for shoulders
    • A61F2/4081Glenoid components, e.g.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242Three-dimensional shapes spherical
    • A61F2002/30245Partial spheres
    • A61F2002/3024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61F2002/30332Conically- or frustoconically-shaped protrusion and re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3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rivets or washers e.g. connect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6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extending fixation tabs
    • A61F2002/30578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extending fixation tabs having apertures, e.g. for receiving fixation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21Features concerning the anatomical functioning or articulation of the prosthetic joint
    • A61F2002/30649Ball-and-socke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772Apertures or holes, e.g. of circular cross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772Apertures or holes, e.g. of circular cross section
    • A61F2002/30784Plurality of holes
    • A61F2002/30787Plurality of holes inclined oblique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0Joints for shoulders
    • A61F2/4081Glenoid components, e.g. cups
    • A61F2002/4085Glenoid components, e.g. cups having a convex shape, e.g. hemispherical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몸체 및 플랜지를 포함하는 관절구체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는 제1 몸체 표면 및 구형의 제2 몸체 표면을 포함하고, 또한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과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 및 제2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단부까지의 제1 라인 및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제2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180도 미만으로 되도록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원은 2016.7.15.자로 출원되고 "보강된 고착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을 가진 미국 특허 출원 제15/211,518호에 의한 우선권 주장을 수반한다. 또한 본원은 2016.9.6.자로 출원되고 "보강된 고착을 위한 후드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을 가진 미국 특허 출원 제15/257,226호에 의한 우선권 주장을 수반한다. 또한 본원은 2016.12.12.자로 출원되고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을 가진 미국 특허 출원 제15/376,334호에 의한 우선권 주장을 수반한다. 이 출원들 각각은 임의의 그리고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어깨 치환(shoulder replacement) 수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절구체를 이용한 어깨 치환에 관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깨 치환 수술(예를 들어, 전 어깨 관절성형(total shoulder arthroplasty; TSA) 및 역 어깨 관절성형(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RSA)은 예를 들어 어깨 조인트(shoulder joint)가 질병, 뼈 손실, 또는 다른 외상으로 인하여 손상되었거나 또는 기능을 상실한 때에 환자의 어깨 관절을 치료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일부 수술에서는, 관절구체가 환자의 윗팔뼈(humerus)와 어깨뼈(scapula) 사이의 연결 요소로서 기능하며, 정상적인 어깨 조인트의 볼-조인트 구조 및 움직임을 흉내내는 해부학적 방위(anatomic orientation)를 가질 수 있다. 관절구체와 어깨뼈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및 관절구체를 어깨뼈에 접합시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뼈이식편(bone graft)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뼈이식편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글레노이드 뼈(glenoid bone)의 손실 또는 어깨 치환 수술 이후의 어깨 조인트의 기타 손상이 추가적인 문제를 유발시켜서 어깨 치환 수술의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향상된,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몸체 및 플랜지를 포함하는 관절구체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는 제1 몸체 표면 및 구형의 제2 몸체 표면을 포함하고, 또한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과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 및 제2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단부까지의 제1 라인 및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제2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180도 미만으로 되도록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플레이트(plate) 및 관절구체를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shoulder prosthesis system)이 제공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제1 플레이트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플레이트 표면을 구비한 플레이트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절구체는 몸체 및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제1 몸체 표면 및 구형의 제2 몸체 표면을 포함하고,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과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 및 제2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단부까지의 제1 라인 및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제2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180도 미만으로 되도록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몸체 및 플랜지를 포함하는 관절구체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는 제1 몸체 표면 및 구형의 제2 몸체 표면을 포함하고, 또한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과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몸체와 일체로 되어서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제1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 및 제2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단부까지의 제1 라인 및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제2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180도 미만으로 되도록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어깨 보철에서의 사용을 위한 관절구체가 제공되는바, 이 관절구체는 몸체, 제1 표면, 및 몸체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동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를 통과하는 맞물림 축과 중심을 한정하며, 상기 맞물림 축은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만큼 이격된다. 제1 표면은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제1 가장자리는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배치된다. 제1 표면은 베이스 표면 부분과, 상기 베이스 표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베이스 표면 부분에 대해 둔각의 방위를 가진 후드 표면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후드 표면 부분으로부터, 베이스 표면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까지 연장되는 후드 부분을 한정한다. 상기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경계를 갖는다. 상기 공동은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과, 부착 구조물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공동 부분을 포함한다. 제2 공동 부분은 맞물림 축을 따르는 방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른 어깨 보철 시스템은 플레이트 및 관절구체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제1 플레이트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플레이트 표면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는 플레이트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관절구체는 관절구체 몸체, 제1 관절구체 표면, 및 공동을 포함한다. 관절구체 몸체는 관절구체 몸체를 관통하는 맞물림 축과 중심을 한정한다. 맞물림 축은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만큼 이격된다. 제1 관절구체 표면은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제1 가장자리는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위치한다. 제1 관절구체 표면은 관절구체 베이스 표면 부분과, 관절구체 베이스 표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관절구체 베이스 표면 부분에 대해 둔각의 방위를 갖는 관절구체 후드 표면 부분을 포함한다. 공동은 관절구체 몸체 안에 한정된다.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는 경계를 갖는다. 공동은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과, 플레이트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공동 부분을 포함한다. 제2 공동 부분은 맞물림 축을 따르는 방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어깨 보철에서의 사용을 위한 관절구체는 몸체, 제1 표면, 관절용 제2 표면, 및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영역을 포함하고 회전 중심을 한정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영역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맞물림 축을 한정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제1 표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외향에 있으며, 제1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관절용 제2 표면은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제2 표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채널은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채널의 각 채널은 맞물림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제1 표면과 동일한 측에 위치된 제1 개구를 한정한다. 각 채널은 대응되는 채널을 통하여 연장되는 채널 축을 한정한다. 각 채널 축은 맞물림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이격된다.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뼈 고착부재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관절구체는 구형의 몸체를 포함한다. 구형 몸체는 몸체 주위에서의 완전한 경로를 한정하는 제1 에지, 제1 에지의 제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표면, 및 제1 측부의 반대측에 있는 제1 에지의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구형 몸체는 제1 표면 상의 각 지점이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게 되는 중심을 한정한다. 제1 에지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한정한다.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제1 표면을 따르는 제1 최단 경로는 상기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모든 지점들에 의해 한정되는 구형 영역의 원주의 절반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어깨 보철에서의 사용을 위한 관절구체는 몸체, 제1 표면, 제2 표면, 상기 몸체 내에 한정된 공동,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몸체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한정한다. 제1 표면은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제1 가장자리는 중심축에 대하여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위치한다. 제2 표면는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제2 표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경계를 가지며, 또한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채널은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로 연장된다. 각 채널은 제1 표면 상에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1 개구를 한정하고, 또한 제2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한다.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어깨 보철 시스템은 플레이트, 관절구체, 및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착되도록 구성된다.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제1 플레이트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플레이트 표면을 구비한 플레이트 몸체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는 플레이트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관절구체는 관절구체 몸체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한정하는 관절구체 몸체를 포함한다. 관절구체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구비한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을 포함한다. 제1 가장자리는 중심축에 대하여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위치한다. 관절구체은 제1 몸체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을 포함한다.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관절구체는 몸체 내에 한정된 공동을 포함한다.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하여 한정된 경계를 갖는다. 공동은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관절구체는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으로부터 관절구체 몸체를 통하여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각 채널은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 상에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1 개구를 한정한다. 각 채널은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한다. 각 채널은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은. 어깨 뼈에 대한 어깨 보철 시스템의 고착을 보강하기 위하여 관절구체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관절구체를 어깨 뼈의 일부분 및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착된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방법은 관절구체를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선정함을 포함한다. 상기 관절구체는 몸체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한정하는 몸체,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표면,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볼록한 형상을 가진 제2 표면,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 안으로 연장되고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 및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각 채널은 제1 표면 상에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1 개구를 한정하고, 제2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하며, 채널을 관통하는 채널 축을 한정한다. 상기 방법은, 플레이트에 의하여 어깨 뼈의 일부분 안으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고착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간섭 공간 외부에 각 채널 축이 위치되게끔, 플레이트에 대한 관절구체의 상대적인 방위를 결정함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플레이트를 공동 안에 수용함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제2 개구를 통해서 복수의 채널 안에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시킴을 포함하는바, 이때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는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고 어깨 뼈의 일부분과 접촉하게끔 수용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시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부품들, 하위부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단일 이용을 위한 것 또는 일회용의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들, 부품들, 하위부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단일 부재의 금속,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로 부터 형성된) 단일 구조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부품 및/또는 하위부품이 용접 또는 솔더링과 같은 표준적 수단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연결됨에 의한) 단일 모듈형 구조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부품들 및/또는 하위부품들이 예를 들어 나사결합 또는 스냅핏 결합과 같은 표준적인 수단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모듈형 구조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그리고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전술된 일반적인 설명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에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착되는 관절구체 및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 에는 도 1 의 관절구체 및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도 1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도 1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채널 축에 대해 횡방향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도 1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중심축에 대해 횡방향인 다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는 도 1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공동을 대면하는 다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도 1 의 관절구체 및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고착부재들이 관절구체 및 플레이트 각각에 수용되어 있다.
도 8 에는 도 1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관절구체의 복수의 채널들 안에 고착부재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는 도 1 의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플레이트 안에 고착부재들이 수용되어 있다.
도 10 에는 도 1 의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에는 도 1 의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에는 도 1 의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단부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 에는 관절구체의 고착을 보강하기 위하여 어깨 뼈의 일부분에 관절구체를 고착시키는 방법의 실시예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에는 후드 부분(hood portion)을 구비한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에는 도 14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에는 관절구체, 플레이트, 및 관절구체를 플레이트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fastening member)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 에는 도 16 의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에는 도 16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에는 플레이트와 맞물리는 맞물림 세그먼트를 구비한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 에는 플레이트 및 관절구체의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뼈 고착부재들을 수용하기 위한 관절구체의 채널들은 관절구체의 맞물림 축에 대해 평행한 방위를 갖는다.
도 21 에는 도 20 의 조립체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 에는 도 20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a 에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b 에는 도 23a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c 에는 도 23a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 에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a 에는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플랜지는 관절구체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도 25b 에는 도 25a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a 에는 각도형성 플랜지(angled flange)를 포함하는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b 에는 도 26a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a 에는 만곡 플랜지(curved flange)를 포함하는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b 에는 도 27a 의 관절구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 도면들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관절구체 시스템, 방법, 및 구성부품들에 대해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하나 이상의 관절구체 시스템 및/또는 구성부품을 제작 및 이용함과 하나 이상의 방법을 실시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예로서", "예를 들면", 및 "또는"이라는 표현 및 문법상 이에 관련된 용어들은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제한없이 비배타적인 대안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라는 표현 및 문법상 이와 관련된 용어는 후속하여 설명되는 구성요소, 사건, 구성, 또는 상황이 존재/발생하거나 또는 존재/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해당 설명은 상기 구성요소, 사건, 구성, 또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부착" 및 "결합"이라는 표현 및 문법상 이와 관련된 용어들은 둘 이상의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가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서 고착되게 부착/결합, 분리가능하게 부착/결합, 또는 통합식으로 부착/결합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착" 및 "결합"이라는 표현과 이와 관련된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개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둘 이상의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고착적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부착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근위" 및 "원위"라는 표현은 해부학상 위치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구성요소 또는 특징물의 대향된 축방향 단부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A. 보강된 고착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현존하는 해결안에서는 글레노이드 뼈 손실 또는 다른 열화로 인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서 어깨 치환 장치가 효과를 상실할 수 있는데, 이것은 어깨 보철에 의하여 어깨 뼈의 일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뼈이식편들은 어깨 뼈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플레이트와 어깨 뼈의 일부분 사이의 맞물림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뼈이식편들의 유용성은 뼈 손실에 의하여 저감될 수 있다. 본 방안은 어깨 뼈의 일부분에 대한 관절구체의 고착을 보강함으로써 어깨 보철을 향상시키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관절구체는 몸체, 제1 표면, 제2 표면, 공동, 및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몸체는 몸체를 통과하는 중심축을 형성한다. 제1 표면은 제1 가장자리(first rim)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제1 가장자리는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2 표면은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제2 표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공동은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공동은 제2 가장자리로부터 몸체 안으로 상기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 벽(cavity wall)과 공동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공동은 간섭 공간(interference space)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채널들은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채널은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서 제1 표면 상에 위치한 제1 개구(first opening)와, 제2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한다. 각 채널은 채널을 통과하는 채널 축을 형성하는 방위를 갖도록 구성되고, 플레이트가 공동 안에 수용된 때에 간섭 공간 외부에 있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은 어깨 뼈의 일부분에 관절구체를 고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글레노이드 뼈의 손실 또는 어깨 조인트에 있어서의 다른 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어깨에 대한 관절구체의 고착이 보강될 수 있는바, 그러한 완화가 없다면 어깨 조인트가 열화되어서 어깨 보철의 효과가 감소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어깨 보철의 사시도에서, 상기 어깨 보철은 어깨 뼈의 일부분(10)에 고착된 플레이트(200) 및 관절구체(100)를 포함한다. 관절구체(100)는 플레이트(200)에 결합되어 있는바, 그 결합은 플레이트(200)의 맞물림 부재와 관절구체(100)의 맞물림 부재의 맞물림에 의한 것이다. 관절구체(100)는 플레이트(200)가 부착되는 뼈의 부분들과 상이한 뼈의 부분들 밖에서 일부분(10)에 다른 방위로 그리고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고착, 부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도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를 어깨 뼈의 일부분(10)에 고정시킴은, 어깨 뼈의 일부분(10)에서의 응력을 감소시켜서 글레노이드 뼈의 손실에 의한 손상을 완화시킨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00)는 다양한 플레이트들 중 임의의 것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들은 (예를 들어, 원통형, 타원형, 사각형, 볼록형, 오목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플레이트(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단일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어깨 뼈의 분리된 일부분들에 고정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 관절구체(100)는 (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프레스 핏(press fit), 마찰 맞물림, 탭, 락(lock), 등과 같은) 다양한 맞물림 부재 및/또는 체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트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00)는, 관절구체가 결합될 예정인 대응되는 플레이트의 대응되는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을 갖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00)는 어깨 뼈와 윗팔뼈(미도시) 사이의 볼-소켓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의 볼로서 작용한다. 어깨 뼈에 대한 관절구체의 고착을 보강함으로써, 본 방안은 환자를 위한 어깨 보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바, 여기에는 환자의 윗팔뼈를 이용하는 능력이 향상됨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어깨 뼈에 대한 관절구체(100)의 고착을 보강함으로써, 관절구체(100)를 해부학적인 방위로 방향전환함이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이로써 환자가 윗팔뼈를 해부학상의 또는 자연적인 범위의 움직임으로 사용함이 가능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00) 및 플레이트(200)는 외과 키트 또는 다른 방식으로 함께 쌍을 이루도록 제공되는바, 예를 들어 단일의 과정에서 어깨 뼈의 일부분(10)에 대한 고정을 위해 준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0)는 이미 일부분(10)에 고정되고 관절구체(100)는 플레이트(200)에 보완적으로 되도록 설계될 수 있는바, 이로써 현존하는 어깨 보철 구성부품(예를 들어, 현존하는 관절구체, 등)을 교환함에 있어 플레이트(200)의 고정을 보강할 수 있다. 관절구체(100)는 특정의 플레이트(200)와 들어맞도록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또는 설계될 수 있다. 관절구체(100)는 다양한 플레이트(200)와의 폭넓은 또는 범용적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00)는 특정의 환자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커스터마이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100)의 모델은, (예를 들어, MRI 데이터, 등의)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환자의 어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플레이트(200)에 관한 정봉 기초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 정보는 관절구체(100)를 상기 일부분(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일부분(10) 상의 목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정보는 관절구체(100)를 상기 일부분(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착부재가 구동(drive)됨에 있어서 통과하는 상기 일부분(10)의 표면 상의 목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플레이트(200)의 간섭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뼈 손실이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일부분(10) 상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바, 이것은 관절구체(100)를 상기 일부분(10)에 고정시키는 때에 이 위치들을 회피하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00) 및/또는 환자의 어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관절구체(100)를 상기 일부분(10)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착부재들이 플레이트(200)의 간섭 공간 외부에 위치되고 또한 뼈 손실의 관점에서 안정적인 위치들에 상기 일부분(10)을 넣도록 관절구체(100)가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것은 고착부재가 수용되는 관절구체(100)의 복수의 채널의 방위를 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 안에 수용되고 고착부재들이 복수의 채널들 안에 수용된 때, 상기 고착부재들은 간섭 공간의 밖에서 상기 채널들을 통과하고 간섭 공간 밖에 있는 위치들에서 상기 일부분(10)에 넣어질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 안에 수용된 때에 플레이트(200)와 관절구체(100)의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100)는 몸체(104)를 포함한다. 몸체는 중심축(108)을 형성한다. 몸체(10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몸체(104)는 구형 형상,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 또는 관절구체(100)가 어깨 보철의 일부분으로서 작용함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4)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바, 여기에는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재료와 같은 생호환성(bio-compatible) 재료가 포함된다.
관절구체(100)의 중심축(108)은 전체적으로, 관절구체(100) 안에 플레이트(200)가 수용되는 때에 횡단하게 되는 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100)가 플레이트(200)와 접촉하도록 관절구체(100)가 배치되는 때, 플레이트(200)는 도 3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28)과 같은 관절구체(100)의 특징물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100)는, 중심축(10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관절구체(100)로부터 연장되는 플레이트(200)와 관절구체(100) 사이에서 모르스 테이퍼(Morse taper)를 허용하는 맞물림 부재와 같은 맞물림 부재, 또는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중심축(108)은 관절구체(100)의 중앙 평면 또는 중심에 가깝께, 또는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관절구체(100)는 제1 가장자리(116) 및 제2 가장자리(120)를 포함하는 제1 표면(112)을 포함한다. 제1 가장자리(116)는, 중심축(108)이 제1 표면(112)과 교차하는 곳에서, 그리고/또는 중심축(108)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제2 가장자리(12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표면(112)은 어깨 뼈의 일부분(1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표면(112)은 일부분(10)에 관절구체(100)를 결합시키도록 일부분(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조직 표면(textur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100)는 제2 표면(124)을 포함한다. 제2 표면(124)은 제1 표면(112)의 제1 가장자리(116)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장자리(116) 및 제2 표면(124) 각각은 원호형 형상을 가지며, 이로써 제2 표면(124)의 에지가 제1 가장자리(116)의 원호 형상을 추종하게 된다.
제2 표면(124)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제2 표면(124)의 볼록한 형상으로 인하여, 제2 표면(124)이 예를 들어 윗팔뼈(미도시)에 부착된 조인트와 같은 어깨 보철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맞물림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표면(124)의 볼록한 형상은, 조인트가 제2 표면(124) 주위에서 관절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볼-조인트 보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볼로서의 기능을 하게끔, 관절구체(100)에 구형 또는 실질적인 구형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서는, 관절구체(100)가 반구체 형상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100)는 관절구체(10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반경에 의해 정의되는 반구체보다 더 큰 체적을 갖는다 (관절구체(100)의 중심은, 관절구체(100)의 반경들이 교차하는 지점, 즉 관절구체(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완전한 구체의 반경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반구체 형상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큰 형상을 가짐으로써, 관절구체(100)는 상기 일부분(10)으로부터 더 멀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이로써 관절구체(100)가 상기 일부분(10)에 고착된 때에 관절구체(100)를 위한 어깨 뼈에 대한 간극이 더 커질 수 있게 되며, 환자를 위한 관절구체(100)의 운동학상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중심축(108)이 관절구체(1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대하여(중심축(108)은 제2 표면(124)에 대해 접하는 축과 관절구체(1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 사이에 위치함), 관절구체(100)의 외측 부분을 향하여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되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160)들로부터 멀리 제2 표면(124)을 향하여) 위치 또는 쉬프트된다. 중심축(108)이 관절구체(100)의 외측 부분을 향해서 배치됨으로 인하여, 관절구체(100)가 환자를 위한 향상된 운동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관절구체(100)는 하나 이상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일부분(10)의 관절구체(100)를 어깨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플레이트(200)의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어깨 뼈에 마찰 고정되도록 상기 일부분(10)을 통해서 구동됨을 가능하게 하는 맞물림 특징부(예를 들어 관절구체 고착부재(140)의 외측 표면 상의 스레드(threads))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체결구, 스크류(예를 들어, 압축 스크류, 테이퍼 스크류), 볼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100)는 복수의 채널(160)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160)은 제1 표면(112)으로부터 몸체(104)를 통해서 제2 표면(124)로 연장된다. 각 채널(160)에는 제1 표면(112)에 위치한 제1 개구(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제1 개구(164))와, 제2 표면(124)에 위치한 제2 개구(168)가 형성된다. 복수의 채널(160)은 대응되는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복수의 채널(160)들을 통해서 수용됨을 허용한다. 채널(160)들은, 부착 구조물(예를 들어, 플레이트(200))을 뼈에 고정시키는 부착용 고착부재가 뼈에 부착될 뼈의 부분이 아닌 뼈의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00)는 다양한 갯수(예를 들어, 1, 2, 3, 4, 5, 등)의 채널(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채널(160) 중 하나 이상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160) 중 하나 이상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의 맞물림 특징부들에 왕복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수용 특징부(예를 들어, 채널(160)들로부터 연장된 채널(160)들의 표면에 위치한 스레드, 슬롯,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채널(160)들의 갯수보다 적은 갯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채널(160)들 안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100)는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네 개의 채널(1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고착부재(208)가 플레이트(200)를 뼈에 부착시키는 위치들을 포함하는 인자(factor)들, 플레이트(200)(또는 뼈 맞물림 부재(204), 플레이트 고착부재(208), 등과 같은 다른 구성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간섭 공간의 형상, 및/또는 상기 일부분(10)의 표면의 상태(예를 들어, 글레노이드 뼈 손실에 대한 취약성)에 따라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상기 간섭 공간의 외부에서 어깨 뼈의 상기 일부분(10)에 진입하도록, 네 개의 채널(160)들 중 세 개의 채널들 안에 세 개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수용될 수 있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 및 채널(160)들의 이와 유사한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상기 일부분(10)에 고정되어야 하는 어깨 뼈의 일부분(10)에서의 목표 위치들은 일부분(10)의 뼈 손실 모델 및 일부분(10)의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관절구체(100)는, 채널(160)들을 통해서 수용되는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목표 위치들에서 일부분(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 또는 설계(예를 들어 특정의 일부분(10) 및/또는 플레이트(200)에 매칭되도록 주문제작 설계 과정으로 설계)되고 제작될 수 있다. 관절구체(100)는, 채널(160)들을 통해서 수용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목표 위치들에서 일부분(10)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방위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위치 및/또는 회전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의 기하형태에 기초하여 플레이트(200) 내에 수용되는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과 교차하지 않는 채널 축(172)들을 채널(160)들이 가지게끔, 관절구체(100)가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채널(160)들이 테이퍼진다 (예를 들어, 채널(160)의 횡단면적이 제1 개구(164)로부터 제2 개구(168)로 가면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채널(160)들은, 제2 개구(168)로부터 제1 개구(164)로 가면서 횡단면 면적이 감소하게끔 테이퍼질 수 있는바, 이것은 제1 개구(164)를 집중점(focus point)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관절구체(100)의 방위를 결정함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채널(160)과 관절구체 고착부재(140) 간의 마찰 끼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뼈 맞물림 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뼈 맞물림 부재(204)는 플레이트(200)로부터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뼈 맞물림 부재(204)는,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 안에 수용된 때에 관절구체(100)의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뼈 맞물림 부재(204)는, 상기 플레이트가 관절구체(100) 안에 수용된 때에 관절구체(100)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 및/또는 경사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뼈 맞물림 부재(204)는 플레이트(20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시시예에서, 뼈 맞물림 부재(204)는 플레이트(200)과 별도일 수 있으며 플레이트(200)의 개구 안에 수용된다.
뼈 맞물림 부재(204)는 플레이트(200)를 어깨 뼈의 일부분(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뼈 맞물림 부재(204)는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뼈 맞물림 부재(204)의 외측 표면에 위치한 스레드) 또는 뼈 맞물림 부재(204)가 어깨 뼈 안에 마찰 고정되게끔 일부분(10)의 표면을 통하여 구동되게 하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플레이트(200)로부터 뼈 맞물림 부재(204)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뼈 맞물림 부재(204)에 대해 오프셋 및/또는 경사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의 공동(128) 안에 수용된 때에 중심축(108)에 대해 오프셋된 각도의 방위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0)는 다양한 갯수(예를 들어, 1, 2, 3, 4, 5, 등)의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 및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반대의 방향들을 가진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반대의 스레드 형태를 가진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 및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의 외측 표면들에 위치한 스레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써 관절구체(100)와 플레이트(200)에 가해지는 힘들이 힘들의 방향에 따라서 관절구체(100) 또는 플레이트(200)를 거쳐서 배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0)에는 간섭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간섭 공간은 관절구체(100)를 일부분(10)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착부재들(예를 들어, 관절구체 고착부재(140))이 통과하지 않는 공간의 영역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관절구체(100)는 일부분(10)에 대한 플레이트(200)의 고착과 간섭되지 않게 되는 방위를 가질 수 있다. 그 대신, 일부분(10)에 대한 관절구체(100)의 고착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에 의해 보강되는데, 이것은 일부분(10)에 대한 관절구체(100) 및 플레이트(200) 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뼈 손실에 의한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섭 공간은 일부분(10)의 표면으로 연장된다. 만일 플레이트가 복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경우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간섭 공간은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분리된 그리고/또는 겹쳐지는 영역들과 같은,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0)의 플레이트 고착부재(208)에 간섭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공간은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에 의하여 정확히 점유되는 체적과 같이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에 점유되는 체적,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점유되는 체적, 경계 영역(예를 들어,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의 치수에 대한 일부 거리와 같이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공간의 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경계 영역)에 의하여 보충되는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에 의해 정확히 점유되는 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간섭 공간은 플레이트(200)의 뼈 맞물림 부재(204)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공간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섭 공간은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에 의하여 점유되는, 플레이트(200)가 결합되는 뼈 안의 체적 또는 영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섭 공간은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 사이의 내부 체적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한정되는바, 이로써 임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 외부에 배치되게끔 관절구체의 방위가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간섭 공간이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 사이의 내부 체적의 적어도 일부분을 배제하도록 한정되는바,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가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게끔 관절구체(100)의 방위가 정해질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여기에 도시된 관절구체(100)는 임의의 고착부재들과 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된 채로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100)는 공동(128)을 포함한다. 공동(128)은 제1 표면(112)으로부터 몸체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공동은, 제1 표면(112)의 제2 가장자리(120)로부터 중심축(10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공동 표면(136)을 향해 연장된 공동 벽(132)과, 공동 표면(136)에 의해 한정된다.
공동(128)은, 공동 표면(136)이 플레이트(200)의 표면(예를 들어, 도 10 등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 표면(216))과 접촉하도록, 플레이트(200)를 수용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공동(128)은 플레이트(200)의 제2 플레이트 표면(216)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매칭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128)은 제2 플레이트 표면(216)의 원주부에 대응되는 원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28)은 플레이트(200)의 형상과 매칭되게 구성된, 전체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가져서, 공동 벽(132)이 플레이트(200)의 외측 에지와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28)은, 몸체(104)에 의해 정해지는 중심축(108)이 공동 표면(136)에 대해 횡방향으로(예를 들어, 직각으로) 공동(128)을 통과하게끔 배치된다. 따라서,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200)의 뼈 맞물림 부재가 중심축(108)을 따라 위치되도록 공동(12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동(128)의 공동 표면(136)은 플레이트(200)의 제2 플레이트 표면(216)과 마찰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마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 표면(136)은 플레이트(200)와 공동(128) 간의 마찰 맞물림을 증진시키는 조직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들 간의 마찰 맞물림은, 어깨 뼈의 상기 일부분(10)에 전달되는 힘들을 배분하기 위하여, 관절구체(100)에 가해지는 힘들을 플레이트(200)로 배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동(128)은 플레이트(200)의 잠금 요소(예를 들어, 후크, 래치, 플랜지, 등)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잠금 요소(예를 들어, 후크, 래치, 플랜지,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동(128)이 플레이트(200)를 수용하게끔 관절구체(100)의 방위를 결정함에는, 관절구체(100)를 플레이트(200)에 잠그기 위하여, 상기 잠금 요소들을 정렬시킴 및 관절구체(100)를 플레이트(200)에 대새 서로 가압시킴 또는 관절구체(100)를 플레이트(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표면(112)은 중심축(108)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1 영역(176) 및 제1 영역(176)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제2 영역(180)을 포함한다. 제2 영역(180)은 제1 영역(176)에 대해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표면(112)과 공동 표면(136) 사이에서의 공동 벽(132)의 길이는 제1 영역(176)과 제2 영역(180)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바, 이로써 공동 표면(136)이 제1 영역(176) 및 제2 영역(180) 모두에 인접한 편평한 또는 평면형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공동 벽(132)의 제1 부분(first portion)은 제1 영역(176)에 인접한 제2 가장자리(120)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공동 벽(132)의 제2 부분은 제2 영역(180)에 인접한 제2 가장자리(120)의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일부 실시에에서, 복수의 채널(160)의 제1 개구(164)들 중 하나 이상은 제2 영역(180)에 배치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160)의 제1 개구(164)들 각각은 제2 영역(180)에 위치한다. 제2 영역(180)에 제1 개구(164)들을 배치시킴으로써, 플레이트(200)에 의해 한정된 간섭 공간 외부에서 복수의 채널(160)들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게끔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과 같은)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관절구체(100)의 방위를 결정함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서는 제1 개구(164)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영역(176)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의 방위를 다른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결정한다.
복수의 채널(160)들은 복수의 채널(160)들을 통과하는 복수의 채널 축(172)들을 형성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축(172)들은 제1 표면(112)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채널들은 제1 표면(112) 상의 제1 개구(164)로부터 제2 표면(124) 상의 제2 개구(168)까지 연장된다.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축(172)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한 방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채널(160)들, 그리고 이에 따른 상기 채널 축들의 방위는, 복수의 채널 축(172)들을 통과하는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연장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는 채널(160)들이 제1 표면(112)에 대해 직각인 방위인 것으로(예를 들어, 채널 축(172)들이 제1 표면(112)에 대해 직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채널(160)들이 제1 표면(112)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축들(108, 172)이 관절구체(10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됨(예를 들어, 어깨 뼈의 일부분(10)을 향하여 연장되되, 제1 표면(112) 또는 제2 표면(116)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중심축(108)과 채널(160)의 채널 축(172) 간의 거리가 감소하게끔 채널(160)이 제1 표면(112)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위를 갖도록 하면, 플레이트(200)가 일부분(10)에 고정되는 곳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일부분(10)에 고정됨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깨 보철을 위하여 필요한 일부분(10)의 표면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축들(108, 172)이 관절구체(10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됨(예를 들어, 어깨 뼈의 일부분(10)을 향하여 연장되되, 제1 표면(112) 또는 제2 표면(116)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중심축(108)과 채널(160)의 채널 축(17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끔 채널(160)이 제1 표면(112)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위를 갖도록 하면, 플레이트(200)가 일부분(10)에 고정되는 곳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일부분(10)에 고정됨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깨 보철을 위하여 필요한 일부분(10)의 표면에서의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어서, 복수의 채널(16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표면(112)에 대해 직각인 방위를 가지며, 채널(16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표면(112)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위를 갖는다.
관절구체(100)가 제1 영역(176) 및 제1 영역(176)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제2 영역(180)을 구비한 제1 표면(112)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제2 영역(180) 및 제1 표면(112)에 대해 직각인 채널 축(172)들은 중심축(108)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영역(180)이 제1 영역(176)에 대해 둔각으로 배치된다면, 채널 축(172)들은 중심축(108)에 대해 예각의 방위를 가질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채널(160)들을 통하여 수용되고 채널 축(172)들을 따라서 배치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플레이트(200)의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면서도,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맞물림 부재들이 일부분(10)에 맞물리는 곳에 인접한 일부분(10)의 부분에 맞물린다.
도 3 및 도 6 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공동(128)이 내측 공동 부분(184)을 포함한다. 내측 공동 부분(184)은 제2 공동 벽(186) 및 제2 공동 표면(188)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공동 부분(184)은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품(예를 들어, 플레이트(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공동 부분(184)은 플레이트(200)의 대응되는 맞물림 부재(도 11 등에 도시된 맞물림 부재(236))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공동 부분(184)은 플레이트(200)의 맞물림 부재(23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맞물림 부재이거나 또는 그러한 제1 맞물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서, 내측 공동 부분(184)은 플레이트(200)의 맞물림 부재(236)와 함께 모르스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내측 공동 부분(184) 및 맞물림 부재(236)가, 관절구체(100)를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보적인 맞물림 요소들(예를 들어, 후크, 래치, 플랜지, 스레드 결합부, 등)을 포함한다.
이제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면, 관절구체(100) 및 플레이트(200)는 고착부재들과 함께 다양한 구성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고착부재들을 구비한 플레이트(200) 및 관절구체(100)의 단부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관절구체(100)의 복수의 채널(160)들 안에 수용된다.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플레이트(200)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8 에는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을 구비한 관절구체(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는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을 구비한 플레이트(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서, 관절구체(100) 및 플레이트(200)는 관절구체(100)의 중심축(예를 들어, 도 8 에 도시된 중심축(108))을 아래로 보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플레이트(200)의 뼈 맞물림 부재(204)는 중심축(108)을 따르는 방위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200) 및 뼈 맞물림 부재(204)의 축은 관절구체(100)의 중심축(108)과 동축을 이룬다. 도 7 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뼈 맞물림 부재(204)와 같은 방향의 방위를 가지고 있어서, 이들이 뼈 맞물림 부재(204) 및 중심축(108)에 대해 평행하고 그에 대해 오프셋된 구성을 갖는다.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플레이트 고착부재(208) 및 뼈 맞물림 부재(204) 및 중심축(108)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구체(100)의 제1 표면(112)은 제1 영역(176) 및 제1 영역(176)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방위를 가진 제2 영역(180)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160)들의 복수의 제1 개구(164)들은 제1 표면(112)의 제2 영역(180)에 배치되어서,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관절구체(100)로부터 밖으로, 중심축(108)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그리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에 수용된 때에 플레이트(200)로부터 연장된 부품들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은,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 안에 수용된 때에 플레이트(200)의 간섭 공간을 지나 제1 개구(164)들 밖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관절구체(100)를 어깨 뼈의 일부분(10)에 고정시킨다.
도 9 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뼈 맞물림 부재(204)와 동일한 방향으로 플레이트(200)로부터 연장된다.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은, 예를 들어 뼈 맞물림 부재(204)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길이를 가지는 등에 의하여, 뼈 맞물림 부재(204)와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의 길이는, 맞물림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어깨 뼈의 일부분(10)의 호환성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관절구체(100) 및 임의의 고착부재들로부터 분리된 플레이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200)는 뼈 맞물림 부재(204)가 연장되어 나오는 플레이트(200)의 측부에 제1 플레이트 표면(212)과, 플레이트(200)를 중심으로 제1 플레이트 표면(212)의 반대측 측부에 제2 플레이트 표면(216)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몸체(220)는 제1 플레이트 표면(212)과 제2 플레이트 표면(216) 사이에 배치된다. 플레이트 몸체(220)는 플레이트 몸체(220)의 외측 부분(예를 들어, 원주부)을 따라서 플레이트 벽(22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몸체(220) 및 플레이트 벽(224)은, 플레이트 벽(224)이 상기 공동의 벽에 대해 같은 면(flush)을 형성하도록 관절구체의 공동 안에 수용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 등에 도시된 관절구체(100)의 공동 벽(132), 공동(128)). 플레이트(200)의 제2 플레이트 표면(216)은 공동(128)의 표면과 같은 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등에 도시된 공동 표면(136)).
플레이트(200)는 복수의 플레이트 채널(228)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레이트 채널(228)은 제1 플레이트 표면(212) 상의 개구로부터 제2 플레이트 표면(216) 상의 개구까지 연장된다. 복수의 플레이트 채널(228)들은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예를 들어, 도 9 등에 도시된 플레이트 고착부재(208))을 수용하게 구성된다. 복수의 플레이트 채널(228)들은, 플레이트(200)가 어깨 뼈의 일부분(10)에 고정됨에 따라서 플레이트(200)를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에 마찰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의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스레드)을 수용하고 이에 맞물리게 구성된 맞물림 수용 표면들(예를 들어, 스레드가 형성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 채널(228)들은, 뼈 맞물림 부재(204)의 방위를 따르는 플레이트 축(232)에 대해 횡방향인(예를 들어, 직각인) 방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이 복수의 플레이트 채널(228)들을 통해 수용되는 때에 플레이트 고착부재(208)들이 뼈 맞물림 부재(204)들에 평행한 방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플레이트 채널(228)들은 플레이트 축(232)에 대해 다양한 각도의 방위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해 이질적인 각도의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채널(228)들 각각은 플레이트 축(23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오프셋된 방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 채널(228)들 각각은,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의 공동(128) 안에 수용된 때에 중심축(108)에 대해 오프셋된 각도의 방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 맞물림 부재(204)는 플레이트(20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0)는 뼈 맞물림 부재(2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의 공동 안에 수용 및 고정될 수 있게끔, (예를 들어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구체(100)의 공동(128)의 내측 공동 부분(184)에 맞물림으로써) 플레이트(200)를 관절구체(100)에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부재(23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100) 및 플레이트(200)는, (예를 들어 맞물림 부재(236)와 공동(128)의 내측 공동 부분(184) 사이에 모르스 테이퍼를 형성함으로써) 공동(128)과 맞물림 부재(236)를 맞물림으로써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맞물림 부재(236)는 뼈 맞물림 부재(204)의 반대의 방향으로 플레이트(200)의 제2 플레이트 표면(21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 부재(236)는,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100) 안에 수용된 때에 뼈 맞물림 부재(204) 및 맞물림 부재(236)가 관절구체(100)의 중심축(예를 들어 도 3 등에 도시된 중심축(108))과 동축을 이루게끔 플레이트 축(232)을 따르는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채널(160)들은 플레이트(200)를 수용하는 때에 관절구체(100)를 통과한 관절구체 고착부재(140)가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도록 관절구체(100)의 방위 결정을 용이하게 하게끔 구성된 마킹(marking)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킹은 채널(160)을 통과하는 채널 축(172)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바, 마킹을 따르는 시선이 플레이트(200)의 간섭 공간과의 교차를 나타낼 수 있다. 마킹은 형광 재료 또는 관절구체(100)의 방위결정을 시각적으로 돕게끔 구성된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00)의 방위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에 대해 유사한 형태 인자(form factor)를 가진 채널 가이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들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채널(160)들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데, 이것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이 플레이트(200)의 간섭 공간과 교차하거나 또는 간섭 공간의 외부로 지나가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40)들을 이용하여 관절구체(100)를 고정하기 전에 관절구체(100)의 신속한 방위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채널 가이드들이 복수의 채널(160)들 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3 을 참조하면, 여기에는 어깨 뼈의 일부분 및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착된 플레이트에 관절구체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4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어깨 관절성형의 일부분으로서 수행되는 방법일 수 있다. 방법(400)은 도 1 내지 도 12 에 도시되고 여기에서 설명된 관절구체(100) 및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는, 즉 여기에서 개시된 장치 및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수행자가 방법(400)을 수행할 수 있는바, 여기에는 의료 전문가(예를 들어, 의사, 간호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410 단계에서, 관절구체는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플레이트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착된다. 관절구체는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에는 몸체를 관통하는 중심축이 한정된다. 관절구체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표면과,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제2 표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관절구체는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 안으로 연장된 공동을 포함한다. 공동은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관절구체는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한다. 각 채널에는 제1 표면 상에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제1 개구, 제2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 및 채널을 관통하는 채널 축이 형성된다. 관절구체의 위치선정에는 관절구체를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유지함이 포함될 수 있는바, 그 인접의 거리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의 부품들이 관절구체의 채널들을 통해 보일 수 있는 플레이트의 거리 내의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가 관절구체를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선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외과 의사가 플레이트에 대하여 관절구체를 조작함이 가능하게 된다.
420 단계에서, 관절구체의 플레이트에 대한 방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는, 관절구체의 중심축이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방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가 어깨 뼈의 일부분에 대해 이미 고정된 것일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된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의 고정된 플레이트 축에 대한 관절구체의 방위가 결정될 수 있다. 관절구체의 방위는, 어깨 관절성형이 완료된 때에 자연적인 범위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게끔하는 해부학적 위치에 관절구체가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범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관절구체가 해부학적 위치로부터 축-이탈(off-axis)되게 또는 다른 방식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가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절구체의 방위를 결정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관절구체의 채널 축들은 플레이트의 간섭 공간의 외부에 배치된다. 간섭 공간은 플레이트의 뼈 맞물림 부재 및/또는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간섭 공간은 플레이트 고착부재들 및/또는 뼈 맞물림 부재의 정확한 체적을 포함하거가, 또는 이 부품들보다 더 많거나 적은 체적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공간의 외부에 채널 축들을 위치선정함으로써,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뼈 맞물림 부재 또는 플레이트 고착부재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위치선정함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간섭 공간은 마킹 가이드(marking guide)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판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는 간섭 공간의 크기를 판별할 수 있고, 채널 축들이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게끔 관절구체의 위치를 - 그리고 이에 따라 관절구체에 대해 고정되는 채널 축들의 위치를 - 선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축들의 위치를 선정함에는 복수의 채널들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채널들 안에 마킹 가이드들을 배치함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킹 가이드는 채널 축들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축들의 위치를 선정함에는 복수의 채널들 안에 채널 가이드들을 분리가능하게 수용함이 포함된다. 채널 가이드들은 관절구체 고착부재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가이드들은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수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위로 복수의 채널들 안에 수용될 수 있으며, 관절구체의 방위는 채널 가이드들(그리고 이에 따라 채널 축들)이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될 때까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의 방위를 결정함에는 복수의 채널들 안에 복수의 채널 가이드들을 수용함과, 채널 가이드들 각각이 간섭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때까지 관절구체의 방위를 수정함이 포함될 수 있다.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는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서 채널 가이드들을 삽입할 수 있고, 채널 가이드들 각각이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관절구체의 방위를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축들의 위치를 선정함에는, 채널 축들이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도록 (즉, 채널 축들이 간섭 공간과 교차하지 않도록) 관절구체의 방위를 결정함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채널 축들의 위치를 선정함에, 각 채널 축 주위의 체적이 간섭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즉, 개별의 채널 축 각각 주위의 체적이 간섭 공간과 교차하지 않도록) 관절구체의 방위를 결정함이 포함된다. 개별의 채널 축 각각 주위의 체적은, 예를 들어 채널들의 개구들로부터 확장된 원통형 체적과 같이, 개별 채널들의 외삽(extrapolation)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채널 축들의 위치를 선정함에, 플레이트가 관절구체 안에 수용되기 전에 관절구체의 제1 위치와 플레이트가 관절구체 안에 수용된 이후 관절구체의 제2 위치 사이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채널 축들의 위치를 선정함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에서는 채널 축들이 간섭 공간과 교차하도록 관절구체의 위치 및 방위가 결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축을 따라서 플레이트와 어깨 뼈의 일부분을 향하여 관절구체를 이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와 관절구체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플레이트가 관절구체 안에 수용됨에 따라서 채널 축들이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관절구체 고착부재의 길이에 대하여 오프셋된 안내 길이(guide length) 및 형상을 갖는 채널 가이드들이 사용되는바, 상기 오프셋은 예를 들어 관절구체이 공동의 치수에 기초한 오프셋일 수 있으며, 이로써 관절구체의 공동 안에 플레이트가 수용된 때에 채널 가이드들이 채널 축들의 위치와 일치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의 방위를 결정함에는,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이 뼈에 부착되는 뼈의 일부분과 상이한 뼈의 일부분에, 채널들 안에 수용된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부착되도록, 채널들의 방위를 결정함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에에서는, 플레이트를 뼈에 부착시킴의 실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간섭 공간이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에 의해 점유되는 뼈의 영역들에 의하여 한정된다.
440 단계에서, 플레이트는 관절구체의 공동 안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는, 플레이트가 공동 안에 끼워지도록 플레이트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채널 축들은 플레이트의 간섭 공간 외부에 계속하여 배치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의 수용에, 예를 들어 플레이트와 관절구체 사이에 모르스 테이퍼를 형성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제2 맞물림 부재와 관절구체의 제1 맞물림 부재를 맞물리게 함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가 공동 안에 수용된 때에 공동의 공동 표면은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같은 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공동의 공동 벽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벽에 대해 같은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의 중심축이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그리고 채널 축들이 간섭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관절구체의 위치 및 방위를 결정한 외과 의사는, 플레이트가 공동 안에 끼워지도록 어깨 뼈의 일부분과 플레이트를 향하여 관절구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450 단계에서,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은 복수의 채널들 안에 수용된다. 채널 축들(또는 채널 축들 주위의 체적들)이 플레이트의 간섭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게끔 관절구체의 방위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복수의 채널들 안에 수용된 때에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은 간섭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기도 할 것이다. 외과 의사는,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고정될 어깨 뼈의 일부분과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접촉하도록,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채널들 안에 넣을 수 있다.
460 단계에서,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은, 어깨 뼈의 일부분에 대한 관절구체의 고착을 보강하기 위하여,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된다.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은 어깨 뼈의 일부분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스레드, 또는 다른 마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어깨 뼈의 일부분에 대해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고정시킴으로써 관절구체 및 플레이트를 통하여 어깨 뼈의 일부분으로 전달되는 힘들이, 뼈 맞물림 부재 및/또는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이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위치들이 아닌 위치들로 전달됨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어깨 뼈의 일부분에 대한 응력이 분산되고 뼈 손실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외과 의사는 관절구체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어깨 뼈의 일부분 안으로 구동(drive)함에 있어서 드라이버, 드릴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에 환자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절구체와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위치선정함이 포함된다. 이미지 데이터에 의하여, 해부학적 위치에 어깨 보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및/또는 관절구체를 위한 바람직한 위치들이 식별될 수 있으며, 이로써 뼈 손실이 완화되거나 또는 뼈 손실 등의 결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되어야 할 고착부재들을 위한 목표 위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깨 뼈의 일부분 및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된 플레이트에 관절구체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절구체를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선정함이 포함된다. 관절구체는 몸체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한정하는 몸체,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표면,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볼록한 형상을 가진 제2 표면, 제1 표면로부터 몸체 안으로 연장되고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 및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해서 제2 표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채널에는 제1 표면 상에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1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채널에는 제2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뼈 고착 부재를 수용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본 방법은 플레이트에 대한 관절구체의 상대적 방위를 결정함이 포함될 수 있는바, 이 때 채널들에 의해 수용되는 각 관절구체 고착부재가,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이 플레이트를 뼈에 부착시키는 곳의 뼈의 일부분이 아닌 뼈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게끔 상기 상대적 방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는, 채널들에 의해 수용되는 관절구체 고착부재들 각각이 플레이트를 뼈에 부착시키는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에 의해 점유되는 뼈의 영역들에 의해 한정되는 간섭 공간의 외부에서 뼈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대한 관절구체의 상대적 방위를 결정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는 플레이트를 공동 안에 수용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는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이 간섭 공간 외부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어깨 뼈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2 개구를 통해서 복수의 채널들 안에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수용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어깨 뼈의 일부분에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고정시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관절구체의 방위를 결정함에, 복수의 채널들 안에 복수의 채널 가이드들을 수용함과, 채널 가이드들 각각이 간섭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때까지 관절구체의 방위를 수정함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어깨 보철에서의 이용을 위한 관절구체가 몸체, 제1 표면, 관절용 제2 표면, 및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한다. 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영역을 포함하고 회전 중심을 한정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영역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맞물림 축을 형성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제1 표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여역으로부터 외측에 있으며, 제1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관절용 제2 표면은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제2 표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채널들이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해서 제2 표면로 연장된다. 복수의 채널들 중 각각의 채널은 맞물림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제1 표면과 동일한 측부에 위치된 제1 개구를 한정한다. 각 채널은 대응되는 채널을 통해 연장된 채널 축을 한정한다. 각 채널 축은 맞물림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B. 보강된 고착을 위한 관절구체의 추가적인 실시예 및 이와 관련된 방법
도 14 내지 도 22 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보강된 고착을 위한 관절구체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22 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관절구체들은 도 1 내지 도 13 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 관절구체(100)와 유사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는 다양한 베이스 플레이트과 맞물리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도 14 내지 도 22 를 참조로 하여 관절구체를 위한 오프셋 맞물림 축 및 후드 특징부(hood feature)가 설명되지만, 도 1 내지 도 13 의 관절구체(100)도 (예를 들어 관절구체(100)의 제2 영역(180) 안에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한 후드와 같이) 후드 또는 다른 확장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드를 구비한 관절구체는 어깨 보철을 가진 환자에게 운동학상 유리한데, 왜냐하면 후드가 어깨 보철과 어깨 뼈 사이의 추가적인 접촉 지점을 제공하여 환자가 관절구체에 의하여 어깨에 연결된 팔을 움직임에 따른 흔들림(rocking)(예를 들어, 환자의 몸체의 관상면(coronal plane)에서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관절구체(또는 관절구체와 더불어 베이스 플레이트도 함께)에 의하여 맞물릴 수 있는 어깨 뼈의 유효 표면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관절구체의 형태 인자를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관절구체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 또는 이격된 맞물림 축을 가진 관절구체가 관절구체의 운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구체가 관절구체를 어깨 뼈에 부착시키는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오프셋된 맞물림 축과 후드가 협력하여 채널들의 방위, 그리고 이로써 어깨 보철이 고착되은 어깨 뼈의 일부분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더 큰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 에는 관절구체(500)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500)는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관절구체들(예를 들어, 관절구체(100))와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관절구체(500)는 몸체(504)를 포함하며, 몸체(504)는 몸체(504)를 통과하는 중심(506) 및 맞물림 축(508)를 한정한다. 관절구체(500)는 제1 가장자리(516) 및 제2 가장자리(520)를 포함하는 제1 표면(512)을 포함하며, 제1 가장자리(516)는 제2 가장자리(52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관절구체(500)는 제1 표면(512)의 제1 가장자리(516)로부터 연장된 제2 표면(524)을 포함한다. 제2 표면(524)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표면(524)은 구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표면 상의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지점들이 중심 지점, 즉 관절구체(500)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제2 표면(524) 및 제1 표면(512)은 제1 표면(512)과 제2 표면(524) 사이의 에지를 따라서 서로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바, 그 에지는 몸체(504) 주위에서의 폐쇄 경로를 한정한다. 관절구체(100)의 제2 표면(124)와는 달리, 제2 표면(524)은 연속적인 형상을 가지므로(즉, 제2 표면(524)에는 개구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관절구체(500)는 관절구체(500)를 어깨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착부재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지 않으며, 그 대신에 플레이트(즉, 플레이트(200))에 대한 결합에 의하여 관절구체(500)가 어깨 뼈에 부착된다.
중심(506)은 제2 표면(524)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506)은 제2 표면(524)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지점이거나, 또는 제2 표면(524) 상의 대부분의 지점들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지점일 수 있다. 상박골 부품(humeral component)(미도시)이 제2 표면(524) 주위로 관절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일부 실시예에서, 중심(506)은 상박골 부품의 움직임을 위한 중심이 될 것이다.
관절구체(100)의 중심축(108)과 유사하게, 맞물림 축은 플레이트(즉, 플레이트(200))가 관절구체(500) 안에 수용되는 방향에 횡단하는 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동 표면(532)에 대해 횡방향일 수 있다). 플레이트가, 플레이트에서 중앙의 방위를 가진 뼈 맞물림 부재(뼈 맞물림 부재(204))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뼈 맞물림 부재는 맞물림 축(508)과 정렬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표면(512)은 베이스 표면 부분(576) 및 후드 표면 부분(580)을 포함한다. 후드 표면 부분(580)은 베이스 표면 부분(576)으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표면 부분(580)은 베이스 표면 부분(576)과 연속적이다. 평면(510)은 베이스 표면 부분(576)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거나 또는 평면(510)이 베이스 표면 부분(576)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표면 부분(576)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다 (즉, 베이스 표면 부분(576)에서 선택된 세 개의 지점들로 이루어진 임의의 세트가 동일한 평면(510)을 한정할 수 있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표면 부분(580)은 평면(510)에 대해 예각(α)의 방위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베이스 표면 부분(576)에 대해 둔각(β)의 방위를 가질 수 있다. 관절구체(500)는 평면(510)과 후드 표면 부분(580) 사이에 후드 부분(582)을 포함한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표면 부분(580)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다 (즉, 후드 표면 부분(580)에서 선택된 세 개의 지점들로 이루어진 임의의 세트가 평면(510)에 대해 각도(α)를 이루는 방위를 가진 동일한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드 부분(582)은 맞물림 축(508)으로부터 중심(506)의 반대측 측부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드 부분(582)은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몸체(504)의 다른 부분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바, 이는 후드 표면 부분(580)이 평면(510)에 대한 예각(α)의 방위를 갖고 그리고/또는 베이스 표면 부분(576)에 대한 둔각(β)을 자김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관절구체(500)는 공동(528)을 포함한다. 공동(528)은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예를 들어, 플레이트(200)와 같은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공동(528)은 몸체(504) 내에 한정된다. 공동은 제2 가장자리(520)에 형성된 경계를 포함한다. 공동은 (예를 들어 공동 벽(532) 및 공동 표면(536)을 포함하는) 제1 공동 부분과 (예를 들어 내측 공동 부분(584)인) 제2 공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동 부분은 어깨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예를 들어, 플레이트(200))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는, 제1 표면(512)으로부터 요부를 이루거나 또는 몸체(504) 내에 한정되는 공동보다는, 플레이트(200)을 수용하고 플레이트(2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1 표면(512)의 플레이트 수용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수용 부분은, 플레이트(200)의 맞물림 부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거나 이와 같은 맞물림 특징부일 수 있다).
내측 공동 부분은 내측 공동 표면(586)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측 공동 표면(586)은 공동 표면(536)에서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표면(524) 상에 한정된 제2 표면 가장자리(588)에서의 제2 단부까지 테이퍼진다(즉, 반경이 감소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504)에 한정되는 내측 몸체 표면(590)은 제2 표면 가장자리(588)와 내측 공동 표면(586)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측 공동 부분(584)은 부착 구조물의 맞물림 부재(예를 들어 플레이트(200)의 제2 맞물림 부재(236))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위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공동 부분(584)은 맞물림 축(508)을 따르는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르 들어, 내측 공동 표면(586)에 대해 직각인 평면은 맞물림 축(508)에 대해서도 직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공동(528)(예를 들어, 공동 벽(532) 및/또는 내측 공동 표면(586))이 원통형, 테이퍼진 원통형(즉, 절두 형태)의 형상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표면 부분(576) 및/또는 후드 표면 부분(580)은 비평면형 형상(예를 들어, 만곡, 오목한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후드 부분(582)은 몸체(504)의 일부분으로서 평면(510)과 후드 표면 부분(580) 사이에서 또는 제1 표면(512)이 (1) 제2 표면(524)과 교차하는 지점(또는 원호 세그먼트)를 통과하고 (또는 이 지점을 포함하고) (2) 공동 표면(536)에 평행하고, 공동 벽(532)에 대해 직각이고, 그리고 또는 공동 벽(532)와 공동 표면(536)의 교차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행한 평면과 후드 표면 부분(58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후드 부분(582)은 베이스 표면 부분(576)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깨 뼈를 향여 연장될 수 있는데, 플레이트가 관절구체(500) 내에 수용되고 관절구체(500) 및 플레이트가 어깨 뼈에 부착된 때에 상기 베이스 표면 부분(576)으로부터 가장 먼 후드 부분(582)의 단부는 어깨 뼈에 가장 가까이 있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표면 부분(576) 및 후드 표면 부분(580)은 (베이스 표면 부분(576)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후드 표면 부분(580)보다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거나 평면형인 단일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만일 공동(528)이 베이스 표면 부분(576)으로부터 요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면, 후드 부분(582)은 (1) 공동 벽(532)이 제2 표면(524)에 가장 가까운 곳으로부터 공동 벽(532)를 따라서 가장 먼 지점에서 공동 벽(532)에 대해 접하는, 공동에 대해 횡단하는 평면과, (2) 공동 표면(536) 상의 적어도 일부 지점들을 포함하는 평면 사이에서 몸체(504)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 축(508)은,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표면(예를 들어 공동 표면(532))에 대해 직각인 축, 또는 상기 표면 상의 대부분의 지점들에 대해 직각인 축일 수 있다. 맞물림 축(508)은 내측 공동 표면(586)에 의하여 한정되는 채널을 통과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내측 공동 표면(586) 상의 모든 (또는 대부분의) 지점들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것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5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중심(506)은 맞물림 축(508)으로부터 오프셋(507)만큼 이격된다. 오프셋(507)은 후드 표면 부분(580)과 맞물림 축(508)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관절구체(500)에(예를 들어 공동(528) 안에) 의해 수용되는 플레이트와 후드 표면 부분(58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프셋(507)에 의해 유발되는 간격은 그러지 않았더라면 접근불가능했을 수 있는 어깨 뼈의 일부분들에 후드 표면 부분(580)이 맞물림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드 표면 부분(580)은 거친 표면(rough surface) 또는 어깨 뼈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다른 표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후드 표면 부분(580)은 베이스 표면 부분의 마찰계수보다 더 큰 마찰계수를 가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친 표면은 어깨 뼈의 제1 부분과 후드 표면 부분(580) 사이의 마찰 맞물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관절구체(500)가 어깨 뼈의 제2 부분에 부착된 때에 (즉, 어깨 뼈의 제2 부분에 고착된 플레이트(200)에 관절구체(500)가 고착된 때에) 관절구체(5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 에는 관절구체(600)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60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절구체(600)의 공동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구조 및 기능면에서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관절구체와 유사할 수 있다. 관절구체(600)는 플레이트(7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구조 및 기능면에서 플레이트(200)와 유사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뼈 고착부재(716)와 동일한 측부에 제1 플레이트 표면(708), 그리고 제1 플레이트 표면(708)의 반대측에 제2 플레이트 표면(712)을 구비한 플레이트 몸체(704)를 포함한다. 또한 플레이트(700)는 맞물림 특징부(720)을 포함한다.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특징부(720)는 요부(예를 들어, 개구, 채널 등)를 포함한다.
도 16 내지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구체(600)는 맞물림 세그먼트(684)를 포함한다. 맞물림 세그먼트(684)는 테이퍼진 원통형 형상(예를 들어 절두원추 형태)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에에서는 맞물림 세그먼트(684)가 예를 들어 테이퍼지지 않은 원통형 형상(예를 들어, 맞물림 세그먼트(684)의 직경이 일정함), 중실 다각형 형상(예를 들어 중실 사각형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맞물림 세그먼트(684)는 맞물림 축(608)을 따라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맞물림 세그먼트(684)는 맞물림 세그먼트(684)와 공동 표면(636)이 교차하는 제1 맞물림 단부로부터 맞물림 세그먼트(684)가 끝나는 제2 맞물림 단부까지 테이퍼진다. 맞물림 세그먼트(684)는 플레이트(700)의 맞물림 특징부(720)와 맞물리도록 (예를 들어 모르스 테이퍼를 형성하여 맞물림 특징부(720)에 부착되거나, 맞물림 특징부(720)를 수용하거나, 맞물림 특징부(720) 안에 수용되거나, 맞물림 특징부(720)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맞물림 세그먼트(684)는 외측 맞물림 표면(686)을 포함한다. 외측 맞물림 표면(686)은 공동 표면(632)에 인접한 제1 단부로부터 외측 맞물림 표면(686)이 끝나는 제2 단부까지 테이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서, 맞물림 세그먼트(684)(그리고/또는 외측 맞물림 표면(686))은, 공동 표면(632)으로부터, 공동 표면(632)으로부터 가장 먼 관절구체 몸체(604) 상의 지점에 대해 접하고 공동 표면(632)에 평행한 평면까지 연장된다.
관절구체(600)는 볼록하거나 또는 구형인 제2 표면(6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면(624)에는 제2 표면 가장자리(68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면 가장자리(688)는 관절구체 몸체(604) 내에 형성된 내측 몸체 표면(690)과 제2 표면(624)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내측 몸체 표면(690)이 맞물림 축(608)에 평행하고 그리고/또는 맞물림 축(608)을 따르는 방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뼈 고착부재(716) 및 맞물림 특징부(720)가 각각 맞물림 축(608)을 따르는 방위를 갖도록 관절구체(600)가 공동(628) 안에 플레이트(700)를 수용하는 때에는, 내측 몸체 표면(690)도 맞물림 축(608)을 따르는 방위를 가질 것인바, 이는 예를 들어 내측 몸체 표면(690)을 통하여 맞물림 특징부(720)와 맞물리기 위해 (또는 부착되기 위해) 내측 몸체 표면(690)을 통해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내측 몸체 표면(690)은 체결 부재(7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750)는 예를 들어 맞물림 특징부(720)와 맞물림 세그먼트(684) 간의 고착에 추가적인 고착을 제공함으로써, 관절구체(600)를 플레이트(700)에 대해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몸체 표면(690)은 체결 부재(750)의 최대 반경보다 더 큰 반경(즉, 맞물림 축(608)로부터 형성되는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맞물림 세그먼트(684)는 내측 공동 표면(692)을 한정할 수 있다. 내측 공동 표면(692)은 맞물림 세그먼트(684)의 내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서, 내측 공동 표면(692)은 내측 공동 표면의 말단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부분(694)과, 제1 부분(694)에 인접한 제2 부분(69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부분(696)은 내측 몸체 표면(69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부분(694)은 체결 부재(750)의 스레드 특징부(752)의 반경과 같거나 이보다 더 큰 (예를 들어, 10퍼센트 미만, 5퍼센트 미만, 또는 2퍼센트 미만 만큼 더 큰) 반경을 가지며, 제2 부분(696)은 체결 부재(750)의 최대 반경과 같거나 이보다 더 큰 (예를 들어, 10퍼센트 미만, 5퍼센트 미만, 또는 2퍼센트 미만 만큼 더 큰) 반경을 가지며, 이로써 체결 부재(750)가 제2 표면 가장자리(688)를 통해 내측 몸체 표면(690) 안으로 삽입되어 내측 공동 표면(692) 안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스레드 특징부(752)는 제1 부분(694)과 정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내측 몸체 표면(690) 및 내측 공동 표면(692)에 의하여 내부에 체결 부재(750)가 수용되어 관절구체(600)를 플레이트(700)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연속적 맞물림 개구(예를 들어, 이 개구는 개구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표면들에 의해 한정됨)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 에는 관절구체(800)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800)는 관절구체(800)의 맞물림 세그먼트를 제외하고는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관절구체와 유사할 수 있다. 관절구체(800)는 몸체(804), 제2 표면(824), 공동 표면(832) 및 공동 벽(83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공동(828)을 포함한다. 맞물림 세그먼트(884)는 공동 표면(832)로부터 맞물림 축(808)을 따라서 연장된다. 맞물림 세그먼트(884)는, 맞물림 세그먼트(884)가 공동 표면(832)에 인접한 제1 단부로부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까지 테이퍼질 수 있다. 관절구체(600)의 맞물림 세그먼트(684)와는 달리, 맞물림 세그먼트(884)는 내부에 체결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내측 표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맞물림 세그먼트(884)는 공동 표면(832)으로부터 횡방향 맞물림 표면(886)까지 연장되는 외측 맞물림 표면(888)에 의해 한정된다. 횡방향 맞물림 표면(886)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즉, 횡방향 맞물림 표면(886)은 중실이고, 여기에는 개구 등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관절구체(600)와는 달리, 제2 표면(924)은 연속적이다 (즉, 제2 표면 가장자리(688)과 같은 가장자리 또는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20 내지 도 22 에는 관절구체(900)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900)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관절구체들과 유사할 수 있으나,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들의 방위에 있어서는 예외이다. 관절구체(900)는 플레이트(1000)와의 맞물림을 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1000)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플레이트들(예를 들어, 플레이트(200), 플레이트(700))와 유사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0)는 플레이트 몸체(1004), 제1 플레이트 표면(1008), 및 제1 플레이트 표면(1008)과 같은 측부에 있는 플레이트 몸체(1004)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뼈 맞물림 부재(10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 표면(1008)은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도 20 내지 도 21 에 도시된 상대적으로 거친 특징부)을 포함하며, 이들은 어깨 뼈와 플레이트(1000) 간의 고착을 보강하기 위하여 뼈 성장을 용이하게 한다. 플레이트(1000)는 플레이트 채널(1052)들을 통해서 플레이트 고착부재(1050)들을 수용할 수 있다.
관절구체(900)는 제1 표면(912) 및 제2 표면(924)을 구비한 몸체(904)를 포함한다. 관절구체(900)는 맞물림 축(908)을 형성한다. 관절구체(900)는 관절구체(900)를 어깨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뼈 고착부재(940)들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채널(960)들을 포함한다. 도 2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들)(960)은 제1 표면(912) 상의 제1 채널 개구(964), 제2 표면(924) 상의 제2 채널 개구(968), 및 제1 채널 개구(964)와 제2 채널 개구(968)를 연결하는 채널 표면(972)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관절구체(100)의 채널(160)들과는 달리, 채널(960)은 맞물림 축(908)에 대해 평행한 방위를 가지며, 이로써 채널(960)을 통하여 수용되는 뼈 고착부재(940)는, 관절구체(900)가 플레이트(1000) 및 어깨 뼈에 부착된 때에 맞물림 축(908) 및/또는 뼈 맞물림 부재(1016) 및/또는 플레이트 고착부재(1050)에 대해 평행한 방위를 갖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채널(960)은 맞물림 축(908)에 대해 평행한 채널 축(976)을 한정할 수 있다. 채널 축(976)은, 그 축에 대해 직각인 평면들과 채널 표면(972) 간의 교차점들에 의해 정해지는 대부분의 지점들이 그 축으로부터 등거리에 있게되는 축으로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축(976)은 채널 축(976)에 대해 직각인 채널 표면(972)의 모든 또는 대부분의 단면들을 위해 중앙의 방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맞물림 축(908)에 대해 평행하게 채널(960)들의 방위를 결정함으로써, (관절구체(900)가 관절구체(100)에 비하여 어깨 뼈의 특정 표면 부위에 대해 낮은 고정 부착부를 갖더라도) 관절구체(900)가 어깨 뼈의 더 큰 표면 부위 또는 다양한 표면 부위들에 고정됨이 가능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는 구형의 몸체를 포함한다. 구형 몸체는 몸체 주위에 완전한 경로(complete path)를 형성하는 제1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은 제1 에지의 제1 측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2 표면은 제1 에지의 반대측에 있는 제1 에지의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면은 제1 에지를 따라서 제2 표면에 인접할 수 있으며, 제1 표면과 함께 제2 표면은 구형 몸체의 완전한 외측 표면(complete outer surface)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표면 상의 각 지점이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도록 (또는 제1 표면 상의 가능한 최대 갯수의 지점들이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게 되도록) 상기 구형 몸체는 중심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에지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한정(또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을 따라서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제1 최단 경로(제1 에지와 일치하는 제1 최단 경로 상이 지점들만이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됨)는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모든 지점들에 의해 한정되는 구형 영역의 원주의 절반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에에서, 이와 같은 관절구체는 후드 부분을 포함하거나(후드 부분 상에 제2 지점이 배치됨) 또는 반구체-초과의(greater-than-hemispherical) 형태 인자를 갖는다.
C.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도 23 내지 도 27b 에는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 유형의 부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의 관절구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 내지 도 27b 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관절구체들은 도 1 내지 도 22 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관절구체들과 유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맞물리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서 플랜지 부품을 가진 관절구체는 어깨 보철을 구비한 환자에게 운동학적으로 유리한데, 이는 플랜지로 인하여, 관절구체 및/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착 요소들이 고정되는 고착 구역을 둘러싸는 어깨 뼈의 더 큰 표면 부위에 관절구체가 접촉하고 지지될 수 있게 되어서, 흔들림 또는 다른 불리한 움직임으로부터 관절구체를 안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표면을 가진 관절구체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어깨 뼈에 고착되는 고착 구역으로부터 멀리 그리고/또는 어깨 뼈에 대해 더 가까이 플랜지를 위치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안정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서, 플랜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어깨 보철 간의 힘 배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바, 그렇지 않다면 베이스 플레이트가 손상될 수도 있다. 플랜지는 글레노이드 공동(glenoid cavity)의 우위 구성(superior aspect)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절구체의 부분들이 반구형 형상 또는 구조를 넘어 연장되면서도 뼈 손실 적용예에서의 작업을 향상시킬 수 없는 현존 시스템과는 달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는 유리하게도 뼈 손실 적용예(예를 들어, 뼈 손실 모델 적용예(bone loss model applications))에서의 어깨 보철의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 에는 관절구체(1100)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1100)는 구조 및 기능면에서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관절구체와 유사할 수 있다. 관절구체(1100)는 몸체(1104) 및 플랜지(1150)를 포함한다. 몸체(1104)는 제1 몸체 표면(1108) 및 제2 몸체 표면(1112)을 포함한다. 제2 몸체 표면(1112)은 구형일 수 있다 (즉, 몸체(1104)의 중심과 같은 기준 지점으로부터, 많은, 대부분의, 또는 모든 지점들이 등거리에 있게 되는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몸체(1104)는 어깨 뼈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 구조물(예를 들어 플레이트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특징부(112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104)는 중심(1116)을 구비하거나 이를 한정한다. 중심(1116)은 몸체(1104)의 외부에 있는 많은, 대부분의, 또는 모든 지점들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또는 제2 몸체 표면(1112)의 많은, 대부분의, 또는 모든 지점들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지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서, 중심(1116)은 몸체(1104)에 결합된 상박골 부품(미도시)을 위한 회전 중심으로서 제2 몸체 표면(1112) 주위로 관절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회전 중심일 수 있다.
맞물림 특징부(1120)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공동들의 다양한 실시예와 유사한 공동일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특징부(1120)는 부착 구조물(예로서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1124)과, 부착 구조물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공동 부분(1132)를 포함한다. 제1 공동 부분(1124)은 부착 구조물가 위치 또는 수용될 수 있는 공동 표면(1126)(예를 들어, 맞물림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동 표면(1126)은 공동의 깊이를 한정하는 벽에 의하여 제1 몸체 표면(1108)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몸체(1104)는 맞물림 축(1118)을 형성할 수 있다. 맞물림 축(1118)은 맞물림 특징부(1120)을 통과는 축으로서, 관절구체(1100)가 전체적으로 어깨 뼈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맞물림 축(1118)은 공동 표면(1126)에 대해 직각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맞물림 축(1118)은, 플레이트가 제1 공동 부분(1124) 안에 수용된 때에,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고착부재와 정렬될 수 있다. 도 23c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맞물림 축(1118)은 중심(1116)을 통과한다 (또는 포함하건 동일선에 놓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맞물림 특징부(1120) 및/또는 공동 표면(1126)은 몸체(1104)의 중심(1116)으로부터 (또는 중심(1116)을 포함하는 평면(1128)으로서, 공동 표면(1126)의 외측 에지에 또는 표면(1126)에 대해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맞물림 오프셋(1127)만큼 오프셋된다. 이 오프셋은 제2 몸체 표면(1112)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관절 운동의 움직임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바, 이는 제2 몸체 표면(1112)이 중심(1116)으로부터 등거리로 한정되는 반구형 공간보다 더 큰 공간을 차지할 수 있고, 플레이트가 맞물림 특징부(1120) 및 관절구체(1100)에 의하여 수용 및 고정되고 관절구체(1100)가 어깨 뼈에 고착되는 때에 어깨 뼈에 더 가깝게 플랜지(1150)가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오프셋(1127)이 대략 6mm (예를 들어 4mm 이상 8mm 이하; 5mm 이상 9mm 이하) 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오프셋(1127)이 대략 10mm (예를 들어 8mm 이상 12mm 이하; 9mm 이상 11mm 이하) 이다.
플랜지(1150)는 몸체(1104)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제1 몸체 표면(1108)에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1154) 및 제2 몸체 표면(1112)에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1156)을 포함한다. 플랜지(1150)는 제2 몸체 표면(1112)보다 몸체(1104)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더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즉, 플랜지(11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몸체 표면(1112) 상의 임의의 지점보다 중심(1116)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1150)는 제1 단부(1158) 및 제2 단부(1162)로부터 연장된 플랜지 길이(예를 들어, 플랜지(1150)의 외측 가장자리(1151)를 따라 정의되는 길이)를 가져서, 중심(1116)으로부터 제1 단부(1158)까지의 제1 라인(1159)과 중심(1116)으로부터 제2 단부(1162)까지의 제2 라인(116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γ)가 180도 미만(예를 들어, 150도 미만, 120도 미만, 90도 미만, 또는 45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된다. 몸체(1104)는 제1 몸체 표면(1108)및 제1 플랜지 표면(1154)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몸체 표면(1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150)는 관절구체(1100)를 어깨 뼈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한 표면 부위를 추가함으로써, 관절구체(1100)을 위한 추가적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도(γ) 또는 플랜지(1150)의 크기의 측정치는, 관절구체(1100)에 의하여 점유되는 체적 또는 전체 크기를 최소화 또는 감소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형태에서는, 플랜지(1150)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관절상완 조인트에 관절구체(1100)를 배치시키는 것이 더 어렵게 될 수 있는바, 너무 대형의 플랜지(1150)가 사용된다면, 플랜지가 윗팔뼈의 움직임 범위와 간섭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갑하근(subscapularis), 극상근(supraspinatus), 및/또는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조직과 같은 연성 조직과 간섭을 일으킬 수도 있다. 동시에, 어깨 뼈와 접촉할 수 있는 플랜지(1150)의 표면 면적을 증가 또는 극대화시킴은, 관절구체(1100)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관절구체(1100)의 운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1150)는 구멍(1164)을 포함하는바, 이 구멍은 제1 플랜지 표면(1154)에 형성된 제1 구멍 개구(1166)로부터 제2 플랜지 표면(1156)에 형성된 제2 구멍 개구(1168)까지 연장된다. 상기 구멍(1164)은 관절구체를 어깨 뼈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예를 들어, 관절구체 고착부재(1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구체(1100)는 세 개의 구멍(1164)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랜지(1150)는 다양한 갯수(예를 들어, 1, 2, 3, 4, 5, 등)의 구멍(116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1150)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바, 즉 연속적이면서 매끈한 표면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몸체 표면(1112)에는 구멍 경로(1168)가 형성된다. 구멍 경로(1168)는 제2 몸체 표면(1112) 내에 요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멍 경로는 중심(1116)을 향하여 요부를 이룰 수 있다 (즉, 제2 몸체 표면(1112)로부터 몸체(1104) 안으로 만입될 수 있고, 구멍 경로(1168)의 표면은 제2 몸체 표면(1112)의 인접한 부분보다 중심(1116)에 더 가깝게 된다). 구멍 경로(1168)는 제2 구멍 개구(1168)와 소통되고(즉, 제2 구멍 개구와 인접하여 천이되고),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를 구멍(1164) 안으로 안내할 수 있다.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가 구멍 경로(1168) 안에 수용되고 구멍(1164)을 통하게 된 때, 관절구체 고착부재의 일부분은 제2 몸체 표면(11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심(1116)에 더 가깝게 배치될 것이다.
구멍(1164)은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도 23a 내지 도 2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들을 상이한 위치들 및/또는 방위들로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1164)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를 상기 구멍의 제1 채널(1165)에 대응되는 제1 각도로 또는 상기 구멍의 제2 채널(1166)에 대응되는 제2 각도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채널(1165)은 제1 채널 축(1173)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채널(1166)은 제2 채널 축(1175)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채널 축들은 대응되는 표면들 상의 많은, 대부분의 또는 모든 지점들로부터 등거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들(1165, 1166)은 서로에 대해 인접할 수 있다. 구멍 경로(1168)는 각 채널 축(1173, 1175)과 정렬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들(1165, 1166)은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 및/또는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들(1165, 1166)은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의 스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스레드 수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 축(1173)은, 제1 채널(1165) 내에 수용된 때의 관절구체 고착부재(1101)의 위치가 제2 채널(1166) 내에 수용된 때의 위치로부터 오프셋되도록, 제2 채널 축(1175)으로부터의 채널 오프셋(1176)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오프셋(1176)은 대략 3mm (예를 들어 1mm 이상 10mm 이하, 1mm 이상 5mm 이하, 2mm 이상 4mm 이하, 3mm) 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축(1173)은 공동 표면(1126) 또는 맞물림 축(1118)에 대해 평행하고, 제2 채널 축(1175)은 제1 채널 축(1173)에 대해 상대적으로 맞물림 축(1118) 또는 공동 표면(1126)을 향하는 각도(예를 들어, 10도, 5도 이상 20도 이하, 7.5도 이상 15도 이하, 9도 이상 11도 이하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1 채널 축(1173)과 제2 채널 축(1175) 사이의 각도는 글레노이드 공동 안에 글레노이드 뼈 손실 및/또는 변화된 크기를 가진 환자 안에 관절구체(1100)의 방위를 결정하고 이식하기 위한 더 많은 선택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관절구체 고착부재가 어깨 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더 많은 선택안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오탁골(coracoid) 또는 어깨뼈봉우(acromion)의 베이스에서 관절구체 고착부재가 뼈 위치(예를 들어, 안정성을 증가 또는 최적화시키는 뼈 위치)에 고정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멍(1164)은, 채널 축들(1173, 1175)로부터 등거리를 이루고 채널들(1165, 1166)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속하는(즉, 포함되는) 구멍 중심(1178)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1150)가 하나 초과의 구멍(1164)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구멍 중심(1178)은 중심(1116)으로부터 정의되는 각도(δ)(즉, 중심(1116)으로부터 구멍 중심(1178) 또는 채널 축들(1173, 1175)까지의 선들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의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도(δ)는 플랜지(1150)에 의하여 커버되는 공간(또는 그 공간의 일부분)의 예각 범위를 나타내거나 그 척도일 수 있다. 상기 각도(δ)는 대략 35도(예를 들어 20도 이상 50도 이하, 30도 이상 40도 이하, 34도 이상 36도 이하)일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b 를 참조하면, 오프셋된 플랜지(1150)를 구비한 관절구체(1100)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1150)는 제1 몸체 표면(1108)로부터 오프셋되도록 구성된다. 플랜지(1150)는, 관절구체(1100)가 어깨 뼈에 고정된 때에 플랜지(1150)가 제1 몸체 표면(1108)보다 어깨 뼈에 더 가깝게 되도록 그리고/또는 플레이트가 수용되고 맞물림 특징부(1120)에 의하여 맞물린 때에 플레이트 밖으로 그리고 플레이트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오프셋될 수 있다. 플랜지(1150)가 오프셋된 실시예의 경우, 관절구체(1100)는 어깨 뼈의 다양한 기하형태에 맞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는바, 이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가 어깨 뼈에 고착되는 곳으로부터 멀리 있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더 가깝게 플랜지(1150)를 당기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랜지(1150)의 오프셋이 유리하게도 (플랜지(1150)를 포함하는 관절구체에 비하여) 관절구체(1100)의 중심(1116)(그리고 이에 따라 제2 몸체 표면(1112) 주위에서 관절운동을 하는 상박골 부품의 움직임 범위)으로부터 더 멀리 채널들(1165, 1166)을 배치시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선정은 관절구체(1100)과 상박골 부품 사이의 마찰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골변성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상기 마찰은 마모 입자들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 입자들은 관절운동을 하는 상박골 부품에 의하여 채널들(1165, 1166)을 통해서 어깨 조인트 안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플랜지(1150)는 (제1 플랜지 표면(1154)에 대해 측정된) 제1 오프셋 거리(1180)만큼 평면(1128)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고, 제1 오프셋 거리(1180)는 제1 몸체 표면(1108)이 상기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된 만큼 제2 오프셋 거리(1182)보다 더 길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오프셋 거리(1180)와 제2 오프셋 거리(1182) 사이의 차이는 대략 3mm (예를 들어 2mm 이상 4mm 이하), 대략 5mm (예를 들어 4mm 이상 6mm 이하), 또는 대략 7mm (예를 들어 6mm 이상 8mm 이하)이다. 상기 오프셋은 공동 표면(1126) 또는 공동 표면(1126)의 외측 에지를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다.
도 26a 내지 도 26b 에는 관절구체(1200)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1200)는 관절구체 몸체 표면(예를 들어, 제1 플랜지 표면 및/또는 제1 몸체 표면)의 형상 및/또는 방위를 제외하고는 관절구체(1100)와 유사할 수 있다. 관절구체(1200)는 몸체(1204), 제1 몸체 표면(1208), 및 제2 몸체 표면(1212)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1200)는 중심(1216) 및 맞물림 축(1218)을 형성할 수 있다. 관절구체(1200)는 몸체(1204)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250)는 제1 플랜지 표면(1254) 및 제2 플랜지 표면(1256)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1200)는 제1 몸체 표면(1208) 및 제1 플랜지 표면(1254)를 구비한 관절구체 몸체 표면(1210)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1200)는 중심(1216)을 포함 또는 통과하는 평면(1228)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 표면(1254) 및/또는 관절구체 몸체 표면(1204)은 평면(1228)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 표면(1254)의 제1 단부(1291)(예를 들어, 중심(1216) 및 맞물림 축(1218)으로부터 멀고 그리고/또는 플랜지(1250)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1254)의 단부)는 평면(1228)으로부터 플랜지 오프셋(1290)만큼 오프셋될 수 있고, 제1 몸체 표면(1208)의 제2 단부(1209)(제1 몸체 표면(1208)이 제2 몸체 표면(1212)을 만나는 지점 또는 단부로서, 플랜지(1250), 맞물림 축(1218), 및/또는 중심(1216)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는 평면(1228)으로부터 몸체 오프셋(1292)만큼 오프셋되는데, 몸체 오프셋(1292)은 플랜지 오프셋(1290)보다 더 작다. 관절구체 몸체 표면(1210)은 평면형이거나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다. 제1 단부(1291)와 제2 단부(1292) 사이의 라인(1293)은 몸체 오프셋(1292)에 대한 각도(ε)를 형성하거나, 또는 평면(1228)과 라인(1293)의 교차점(미도시)에서 각도를 유사하게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바, 이로써 관절구체 몸체 표면(1204)이 평면(1228)에 대해 각도를 이룬다. 관절구체 몸체 표면(1204)은, 몸체 오프셋(1292)이 대략 3mm (예를 들어, 2mm 이상 4mm 이하), 대략 5mm (예를 들어, 4mm 이상 6mm 이하), 또는 대략 7mm (예를 들어, 6mm 이상 8mm 이하)로 되는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몸체 오프셋은 중심(1216)으로부터 제1 지점(1219)를 포함 또는 통과하고 평면(1228)에 대해 평행한 평면(1295)까지 측정될 수도 있다.도 27a 내지 도 27b 에는 관절구체(1300)가 도시되어 있다. 관절구체(1300)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 표면 및/또는 관절구체 몸체 표면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관절구체(1200)와 유사할 수 있다. 관절구체(1300)는 몸체(1304), 제1 몸체 표면(1308), 및 제2 몸체 표면(1312)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는 중심(1316), 중심(1316)을 통과하는 맞물림 축(1318), 및 중심(1316)을 포함하는 평면(1328)을 한정할 수 있다. 플랜지(1350)는 몸체(1304)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플랜지 표면(1354) 및 제2 플랜지 표면(13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절구체 몸체 표면(1310)은 제1 몸체 표면(1308) 및 제1 플랜지 표면(1354)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구체는 공동 표면(1326)을 포함하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1300)는 만곡하거나 비직선형(또는 비평면형)의 관절구체 몸체 표면(1310) 및/또는 만곡하거나 비직선형(또는 비평면형)의 제1 플랜지 표면(1310)을 구비한다. 평면(1328)으로부터 제1 플랜지 단부(1392)(예를 들어 제1 몸체 표면(1308)이 제1 플랜지 표면(1354)에 인접하게 되는 지점)까지 형성되는 제1 플랜지 오프셋(1393)은 평면(1328)으로부터 외측 플랜지 단부(1390)(예를 들어, 제1 플랜지 표면(1354) 상의 최외측 지점)까지 형성되는 제2 플랜지 오프셋(1391)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 오프셋(1393)은 제1 몸체 단부(1309a)(예를 들어 제1 몸체 표면(1308)이 제2 몸체 표면(1312)과 만나는 몸체(1304)의 최외측 지점으로서, 플랜지(1354)로부터 가장 멀 수 있는 지점)와 평면(1328)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1 몸체 오프셋(1394)보다 더 클 수 있고, 제2 몸체 단부(1309b)(예를 들어, 맞물림 특징부(1324)의 가장자리(1327)가 제1 몸체 표면(1308)과 교차하는 지점으로서, 플랜지(1350)로부터 가장 먼 지점)와 평면(1328)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2 몸체 오프셋(13094)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오프셋들은 공동 표면(1326) 또는 공동 표면(1326)의 외측 에지를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 단부(1392)는 관절구체(1300)가 어깨 뼈 및/또는 플레이트에 고착된 때에 어깨 뼈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바, 이로써 몸체(1304)의 많은 부분이 어깨 뼈로부터 멀리 배치되면서도 관절구체를 통해 수용되는 관절구체 고착부재가 어깨 뼈에 가깝게 고정됨이 가능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절구체는 몸체 및 플랜지를 포함한다. 몸체는 제1 몸체 표면과 구형의 제2 모체 표면을 포함하고,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과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플렌지를 몸체와 일체를 이루고,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며, 제1 몸체 표면에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 및 제2 몸체 표면에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을 포함한다. 플랜지는,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단부까지의 제1 라인과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제2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가 180도 미만으로 되도록,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 길이를 갖는다.

Claims (60)

  1. 제1 몸체 표면 및 구형의 제2 몸체 표면을 포함하는 몸체(body)로서,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attachment structure)과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engagement feature)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로서, 상기 플랜지는 제1 몸체 표면에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 및 제2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단부까지의 제1 라인(first line) 및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제2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180도 미만으로 되도록 상기 플랜지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길이를 갖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관절구체(glenospher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제1 플랜지 표면에 의해 한정된 제1 구멍 개구(first hole opening)로부터 제2 플랜지 표면에 의해 한정된 제2 구멍 개구까지 연장되며, 관절구체를 어깨 뼈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관절구체 고착부재(glenosphere fixation member)를 수용하게 구성된 채널(channel)이 형성되는, 관절구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2 몸체 표면에는 제2 몸체 표면 내에 요부로서 형성되는 구멍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멍 경로는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구멍 안으로 안내하는 제2 구멍 개구와 소통되는, 관절구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구멍의 제1 채널에 대응되는 제1 각도로 또는 상기 구멍의 제2 채널에 대응되는 제2 각도로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관절구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특징부는 부착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관절구체가 제1 각도로 수용되는 때에 따르게 되는 제1 채널 축을 한정하며, 제2 채널은 관절구체가 제2 각도로 수용되는 때에 따르게 되는 제2 채널 축을 한정하는, 관절구체.
  6. 제5항에 있어서,
    중심으로부터 제1 채널 축까지의 제3 라인과 중심으로부터 제2 채널 축까지의 제4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40도 이하인, 관절구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은 제2 몸체 표면 상의 가능한 최대 갯수의 지점들로부터 등거리에 있고,
    제1 플랜지 표면은, 제1 몸체 표면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제1 몸체 표면이 상기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제2 오프셋 거리보다 더 큰 제1 오프셋 거리(first offset distance)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관절구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특징부는 부착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구체는 제1 몸체 표면 및 제1 플랜지 표면을 구비한 관절구체 몸체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구체 몸체 표면은 상기 맞물림 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방위를 갖는, 관절구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특징부는 부착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플랜지 표면은 상기 맞물림 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방위를 갖는, 관절구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표면 부분은 곡면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11. 플레이트(plate) 및 관절구체를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shoulder prosthesis system)으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제1 플레이트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플레이트 표면을 구비한 플레이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절구체는:
    제1 몸체 표면 및 구형의 제2 몸체 표면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몸체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관절구체 몸체; 및
    상기 관절구체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로서, 상기 플랜지는 제1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1 플랜지 표면 및 제2 몸체 표면과 인접한 제2 플랜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단부까지의 제1 라인과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제2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180도 미만으로 되도록 상기 플랜지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길이를 갖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제1 플랜지 표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제1 구멍 개구로부터 제2 플랜지 표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제2 구멍 개구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고, 관절구체를 어깨 뼈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이 구비되는, 어깨 보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표면은 제2 몸체 표면 내에 요부 형태로 구성되는 구멍 경로를 한정하고, 상기 구멍 경로는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상기 구멍 안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제2 구멍 개구와 소통되는, 어깨 보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구멍의 제1 채널에 대응되는 제1 각도로 또는 상기 구멍의 제2 채널에 대응되는 제2 각도로 상기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깨 보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특징부는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채널은 관절구체 고착부재가 제1 각도로 수용됨에 있어서 따르는 제1 채널 축을 한정하며, 제2 채널은 관절구체 고착부재가 제2 각도로 수용됨에 있어서 따르는 제2 채널 축을 한정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으로부터 제1 채널 축까지의 제3 라인과 상기 중심으로부터 제2 채널 축까지의 제4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40도 이하인, 어깨 보철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은 제2 몸체 표면 상의 가능한 최대 갯수의 지점들로부터 등거리에 있고,
    제1 플랜지 표면은, 제1 몸체 표면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제1 몸체 표면이 상기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제2 오프셋 거리보다 더 큰 제1 오프셋 거리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어깨 보철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특징부는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구체는 제1 몸체 표면 및 제1 플랜지 표면을 구비한 관절구체 몸체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구체 몸체 표면은 상기 맞물림 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방위를 갖는, 어깨 보철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특징부는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플랜지 표면은 상기 맞물림 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방위를 갖는, 어깨 보철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표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21. 어깨 보철에서의 사용을 위한 관절구체로서, 상기 관절구체는:
    몸체를 통과하는 중심축을 한정하는, 몸체;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표면으로서, 제1 가장자리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표면;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표면으로서, 볼록한 형상을 가진, 제2 표면;
    상기 몸체 내에 한정되는 공동으로서, 상기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는 경계를 가지며, 상기 공동은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 및
    제1 표면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로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각 채널은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서 제1 표면 상에 위치한 제1 개구와, 제2 표면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하고,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1 영역과, 제1 영역에 대해 각도를 이루게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제2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영역에 배치된, 관절구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제1 부분은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가장자리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공동 벽의 제2 부분은 제2 영역에 인접한 제2 가장자리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관절구체.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축들은 중심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위를 가진, 관절구체.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부착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과, 부착 구조물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공동 부분을 더 한정하는, 관절구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부착 구조물의 맞물림 부재와 함께 모르스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관절구체.
  28. 제21항에 있어서,
    각 채널은 대응되는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부착 구조물을 뼈에 고정시키는 부착용 고착부재들이 뼈에 부착되는 곳에서 상기 뼈의 일부분과 상이한 뼈의 부분에 뼈 고착부재가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절구체.
  29. 제28항에 있어서,
    각 채널은 대응되는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뼈에 대한 부착 구조물의 부착 실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착용 고착부재들에 의해 점유되는 뼈의 영역들에 의해 한정되는 간섭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뼈 고착부재가 상기 뼈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절구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공간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뼈 맞물림 부재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관절구체.
  31. 플레이트, 관절구체, 및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들을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제1 플레이트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플레이트 표면을 구비한 플레이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절구체는:
    관절구체 몸체를 통과하는 중심축을 한정하는 관절구체 몸체;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으로서, 제1 가장자리는 중심축에 대해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위치한,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으로서, 볼록한 형상을 가진,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
    상기 몸체 내에 형성된 공동으로서, 상기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하여 한정된 경계를 가지며, 상기 공동은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 및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으로부터 관절구체 몸체를 통하여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로서, 각 채널은 상기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 상에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1 개구를 한정하고, 각 채널은 제2 관절구체 몸체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하며, 각 채널은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절구체 고착부재는 어깨 뼈에 대한 어깨 보철 시스템의 고착을 보강하기 위하여, 관절구체를 상기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어깨 보철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관절구체 몸체 표면은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제2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영역에 배치된, 어깨 보철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은 중심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위를 가진, 어깨 보철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구체 몸체는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과, 플레이트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공동 부분을 더 한정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관절구체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시킴으로써, 어깨 뼈의 일부분에 대한 응력이 감소되어 글레노이드 뼈 손실에 의한 손상이 완화되는, 어깨 보철 시스템.
  37. 제3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고착부재들 각각은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방위를 가지고, 관절구체 고착부재들 각각은 중심축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의 방위를 갖는, 어깨 보철 시스템.
  38. 제31항의 뼈 보철 시스템에 있어서,
    각 채널은 대응되는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되,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이 뼈에 부착되는 뼈의 일부분이 아닌 뼈의 일부분에 상기 관절구체 고착부재가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뼈 보철 시스템.
  39. 제31항의 어깨 보철 시스템에 있어서,
    각 채널은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채널 축을 더 한정하고,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채널들 안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채널 가이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채널 가이드들은 플레이트가 공동 안에 수용된 때에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에 의해 점유되는 뼈의 영역들에 의해 한정되는 간섭 공간의 외부에 상기 채널 축들이 위치하게 되도록 상기 관절구체를 정렬시키는, 어깨 보철 시스템.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고착부재들 각각은, 플레이트가 공동 안에 수용된 때에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뼈 맞물림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오프셋 각도를 이루는 방위를 갖는, 어깨 보철 시스템.
  41. 어깨 보철에서의 사용을 위한 관절구체로서,
    중심 및 몸체를 통과하는 맞물림 축을 한정하는 몸체로서, 상기 맞물림 축은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만큼 이격된, 몸체;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표면으로서, 상기 제1 가장자리는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배치되고, 제1 표면은 베이스 표면 부분 및 베이스 표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베이스 표면 부분에 대해 둔각의 방위를 갖는 후드 표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후드 표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표면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까지 연장된 후드 부분을 더 한정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몸체 내에 한정된 공동으로서, 상기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하여 한정된 경계를 가지며, 상기 공동은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과, 부착 구조물의 맞물림 부재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공동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맞물림 축을 따르는 방위를 갖는, 공동;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원통형 형상을 가진, 관절구체.
  43. 제41항에 있어서,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2 표면; 및
    후드 표면 부분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로서, 복수의 채널들의 각 채널은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서 제1 표면 상에 위치한 제1 개구와, 제2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하고,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채널;을 더 포함하는, 관절구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맞물림 축에 대해 평행한 방위를 갖는, 관절구체.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맞물림 축에 대해 예각의 방위를 갖는, 관절구체.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맞물림 축을 따라서 연장된 맞물림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세그먼트는 제2 공동 부분이 제1 공동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맞물림 단부로부터 제2 맞물림 단부까지 테이퍼지는, 관절구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구체는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내측 공동 표면을 한정하며, 제2 표면은 제2 표면 가장자리를 한정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내측 공동 표면과 내측 몸체 표면이 연속적 맞물림 개구를 한정하게끔, 상기 제2 표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공동 표면으로 연장되는 내측 몸체 표면을 한정하는, 관절구체.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구체는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2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은 제2 표면 가장자리를 한정하며,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제1 공동 부분의 표면 상에 몸체 안으로 한정된 공동 가장자리로부터 맞물림 축을 따라서 제2 표면 개구까지 연장되며, 제2 공동 부분은 공동 가장자리로부터 제2 표면 가장자리까지 테이퍼지는, 관절구체.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표면 부분은, 관절구체가 어깨 뼈의 제2 부분에 부착된 때에 관절구체의 흔들림이 방지되게끔 베이스 표면 부분의 마찰계수보다 더 큰 마찰계수를 가진, 어깨 뼈의 제1 부분에 맞물리는 거친 표면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부분은 맞물림 축으로부터 중심의 반대측 측부에 있는, 관절구체.
  51. 플레이트 및 관절구체를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플레이틀 표면을 구비한 플레이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고착부재들은 플레이트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절구체는:
    관절구체 몸체를 통과하는 맞물림 축과 중심을 한정하는 관절구체 몸체로서, 상기 맞물림 축은 중심으로부터 오프셋 만큼 이격된, 관절구체 몸체;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 관절구체 표면으로서, 제1 가장자리는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위치하고, 제1 관절구체 표면은 관절구체 베이스 표면 부분 및 상기 관절구체 베이스 표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관절구체 베이스 표면 부분에 대해 둔각의 방위를 가진 관절구체 후드 표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구체 몸체는 관절구체 후드 표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관절구체 베이스 표면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까지 연장되는 관절구체 후드 부분을 더 한정하는, 제1 관절구체 표면; 및
    상기 관절구체 몸체 안에 한정된 공동으로서, 상기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는 경계를 가지며, 상기 공동은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 및 상기 플레이트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공동 부분을 포함하고, 제2 공동 부분은 맞물림 축을 따르는 방위를 가진, 공동;을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원통형 형상을 가진, 어깨 보철 시스템.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구체는:
    제1 관절구체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2 관절구체 표면; 및
    관절구체 후드 표면 부분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관절구체 표면으로 연장된 복수의 채널로서, 상기 복수의 채널의 각 채널은 제1 관절구체 표면 상에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1 관절구체 개구와 제2 관절구체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관절구체 개구를 한정하며,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어깨 뼈의 일부분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관절구체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채널;을 더 포함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맞물림 축에 대해 평행한 방위를 가진, 어깨 보철 시스템.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맞물림 축에 대해 예각의 방위를 가진, 어깨 보철 시스템.
  56. 제53항에 있어서,
    제2 공동 부분은 맞물림 축을 따라서 연장된 맞물림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세그먼트는 제2 공동 부분이 제1 공동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맞물림 단부로부터 제2 맞물림 단부까지 테이퍼지는, 어깨 보철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보철 시스템은 제1 관절구체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절구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내측 공동 표면을 한정하며, 상기 제2 관절구체 표면은 제2 관절구체 표면 개구를 한정하고, 상기 내측 공동 표면과 내측 관절구체 몸체 표면이 연속적 맞물림 개구를 한정하도록 상기 관절구체 몸체가 제2 관절구체 표면 개구로부터 내측 공동 표면으로 연장되는 내측 관절구체 몸체 표면을 한정하는, 어깨 보철 시스템.
  58.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구체는 제1 관절구체 표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절구체 표면을 더 포함하고, 제2 관절구체 표면은 제2 관절구체 표면 가장자리를 한정하며,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제1 공동 부분의 표면 상에서 관절구체 몸체 안으로 한정된 공동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맞물림 축을 따라서 제2 표면 개구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공동 부분은 상기 공동 가장자리로부터 제2 관절구체 표면 가장자리로 가면서 테이퍼지는, 어깨 보철 시스템.
  59. 어깨 보철에서의 사용을 위한 관절구체로서, 상기 관절구체는 구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몸체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구비한 제1 표면으로서, 제1 가장자리는 제2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에 위치하고, 제1 표면은 베이스 표면 부분 및 상기 베이스 표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베이스 표면 부분에 대해 둔각의 방위를 가진 후드 표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후드 표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표면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까지 연장되는 후드 부분을 더 한정하는, 제1 표면;
    상기 몸체의 제1 표면의 제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몸체의 제2 표면; 및
    상기 몸체 내에 한정된 공동으로서, 상기 공동은 제2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는 경계를 가지며, 상기 공동은 뼈에 부착가능한 부착 구조물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공동 부분을 포함하는, 공동;을 포함하는, 관절구체.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후드 표면 부분으로부터 몸체를 통하여 제2 표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로서, 복수의 채널의 각 채널은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에서 제1 표면 상에 위치한 제1 개구와 제2 표면 상에 위치한 제2 개구를 한정하고, 각 채널은 관절구체를 뼈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뼈 고착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채널;을 더 포함하는, 관절구체.
KR1020197004645A 2016-07-15 2017-07-12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KR102445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2314A KR20220132663A (ko) 2016-07-15 2017-07-12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11,518 2016-07-15
US15/211,518 US9795490B1 (en) 2016-07-15 2016-07-15 Glenosphere with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US15/257,226 US10226350B2 (en) 2016-07-15 2016-09-06 Glenosphere with hood for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US15/257,226 2016-09-06
US15/376,334 2016-12-12
US15/376,334 US9782263B1 (en) 2016-12-12 2016-12-12 Glenosphere with flange for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PCT/US2017/041753 WO2018013712A1 (en) 2016-07-15 2017-07-12 Glenosphere with flange for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314A Division KR20220132663A (ko) 2016-07-15 2017-07-12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458A true KR20190058458A (ko) 2019-05-29
KR102445938B1 KR102445938B1 (ko) 2022-09-21

Family

ID=609533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645A KR102445938B1 (ko) 2016-07-15 2017-07-12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KR1020227032314A KR20220132663A (ko) 2016-07-15 2017-07-12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314A KR20220132663A (ko) 2016-07-15 2017-07-12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3484410B1 (ko)
KR (2) KR102445938B1 (ko)
AU (3) AU2017297403B2 (ko)
WO (1) WO2018013712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8793A1 (en) * 2004-06-28 2005-12-29 Howmedica Osteonics Corp. Internal fixation element for hip acetabular shell
US20070244563A1 (en) 2006-03-23 2007-10-18 Roche Chistopher P Reverse shoulder prosthesis
WO2008087415A2 (en) * 2007-01-18 2008-07-24 The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Reverse shoulder prosthesis
US20080262627A1 (en) 2004-09-15 2008-10-23 Desmet Koen Unitary Acetabular Cup Prosthesis with Extension for Deficient Acetabulum
US20090164021A1 (en) * 2006-05-22 2009-06-25 Mathys Ag Bettlach Shoulder Prosthesis
US20140180431A1 (en) 2010-06-08 2014-06-26 Smith & Nephew, Inc. Implant components and methods
US20140336778A1 (en) * 2011-08-13 2014-11-13 Hip Innovation Tchnology, LLC Interlocking Acetabular Fixation Screws and Their Combination with a Reverse Hip Acetabular Cup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553B1 (en) * 1999-03-31 2002-07-09 Biome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dular acetabular prosthesis
FR2795304B1 (fr) * 1999-06-28 2001-08-03 Aston Medical Ltd Ensemble prothetique d'articulation de l'epaule
US6790234B1 (en) * 2002-01-04 2004-09-14 Frankle Mark A Reverse shoulder prosthesis system
FR2836039B1 (fr) * 2002-02-15 2004-10-01 Tornier Sa Composant glenoidien de prothese d'epaule et prothese totale d'epaule incorporant un tel composant
US8070820B2 (en) * 2003-10-08 2011-12-06 Biomet Manufacturing Corp. Shoulder implant assembly
DE102006041550B4 (de) * 2006-05-22 2018-07-19 Mathys Ag Bettlach Schulterprothese mit Vorsprung an der Grundplatte
US8998994B2 (en) * 2012-02-07 2015-04-07 Biomet Manufacturing, Llc Humeral implant having a floating bearing
US20130261751A1 (en) * 2012-03-27 2013-10-03 Kyle E. Lappin Reverse shoulder orthopaedic implant having an elliptical glenosphere component
US8945229B2 (en) * 2012-03-27 2015-02-03 DePuy Synthes Products, LLC Reverse shoulder orthopaedic implant having a metaglene component with a screw locking cap
US9668873B2 (en) * 2013-03-08 2017-06-06 Biomet Manufacturing, Llc Modular glenoid base plate with augments
WO2015077326A2 (en) * 2013-11-19 2015-05-28 VXP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a shoulder joint and/or another joi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8793A1 (en) * 2004-06-28 2005-12-29 Howmedica Osteonics Corp. Internal fixation element for hip acetabular shell
US20080262627A1 (en) 2004-09-15 2008-10-23 Desmet Koen Unitary Acetabular Cup Prosthesis with Extension for Deficient Acetabulum
US20070244563A1 (en) 2006-03-23 2007-10-18 Roche Chistopher P Reverse shoulder prosthesis
US20090164021A1 (en) * 2006-05-22 2009-06-25 Mathys Ag Bettlach Shoulder Prosthesis
WO2008087415A2 (en) * 2007-01-18 2008-07-24 The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Reverse shoulder prosthesis
US20140180431A1 (en) 2010-06-08 2014-06-26 Smith & Nephew, Inc. Implant components and methods
US20140336778A1 (en) * 2011-08-13 2014-11-13 Hip Innovation Tchnology, LLC Interlocking Acetabular Fixation Screws and Their Combination with a Reverse Hip Acetabular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8773A3 (en) 2024-01-24
AU2017297403B2 (en) 2022-04-21
EP4268773A2 (en) 2023-11-01
KR20220132663A (ko) 2022-09-30
EP3484410A4 (en) 2020-10-28
AU2017297403A1 (en) 2019-02-21
WO2018013712A1 (en) 2018-01-18
AU2024200461A1 (en) 2024-02-15
EP3484410B1 (en) 2024-03-13
KR102445938B1 (ko) 2022-09-21
EP3484410A1 (en) 2019-05-22
AU2022204878A1 (en) 2022-07-28
AU2022204878B2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94239B2 (en) Glenosphere with inserts for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US6783549B1 (en) Modular humeral head resurfacing system
US8317871B2 (en) Modular humeral head resurfacing system
US20210068969A1 (en) Glenosphere with flange for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US8753402B2 (en) Modular humeral head resurfacing system
US9089430B2 (en) Prosthetic assembly
EP1782764A2 (en) Attachment element for a prosthesis for the articulation of the shoulder
US10856993B2 (en) Glenosphere with hood for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US9795490B1 (en) Glenosphere with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US9782263B1 (en) Glenosphere with flange for augmented fix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90058458A (ko) 보강된 고착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한 관절구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RU2776984C2 (ru) Встав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гленосферой и система протеза плечевого сустав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вставку
JP6208149B2 (ja) インプラント固定部材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