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421A -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421A
KR20190058421A KR1020190059676A KR20190059676A KR20190058421A KR 20190058421 A KR20190058421 A KR 20190058421A KR 1020190059676 A KR1020190059676 A KR 1020190059676A KR 20190059676 A KR20190059676 A KR 20190059676A KR 20190058421 A KR20190058421 A KR 20190058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s
power
terminal
power supply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훈
강노경
손재승
조치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421A/ko
Publication of KR2019005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공급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에 대한 충전 작업을 제어하는 충전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전력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신호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IRELESS POWER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이 있다.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가장 실용화가 많이 이루어져 있는 방식으로 다양한 기기에 응용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충전이라고 하는 무접점 충전기술은 전자기 유도 방법이 대다수이며, 원래 이 기술은 니켈 전지를 사용하는 전기 면도기나 전동 칫솔 등의 제품에 적용된다.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가 Coupled Mode Theory로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MIT팀의 무선 충전시스템은 공명(resonance)이란 소리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파 방사 방식은 전력 에너지를 무선 전송에 유리한 마이크로파로 변환 시켜 에너지를 전달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 전송 방식이다. 라디오나 무선 전화등과 같이 무선 통신방식에서 이용하는 신호의 개념이 아닌, 전기 에너지를 보내는 것으로 보통의 통신이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내 것이라면 무선 전력 전송은 반송파만을 보내는 방식이다.
하지만, 복수 개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 기설정된 전력을 복수 개의 단말기에 각각 분배하여 전송하여야 하기 때문에, 충전이 시급한 단말기의 급속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욕한 순서에 따라서 단말기를 충전할 수 없다.
또한, 복수 개의 단말기를 충전하는 데에 있어, 복수 개의 단말기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구성에 대하여서는 개시된 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단말기의 개별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력 공급을 통하여 충전이 시급한 단말기의 급속 충전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력 공급을 통하여 사용자가 의욕한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전력 공급을 통하여 복수 개의 단말기를 충전할 시 각각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개별 제어를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상기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에 대한 충전 작업을 제어하는 충전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전력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에 상기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송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수신부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단말기의 전력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력수신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받는 전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다른 측면에 의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에 대한 충전 작업을 제어하는 충전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전력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에 상기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전력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수신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상기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단말기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충전이 시급한 단말기의 급속 충전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가 의욕한 순서에 따라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 및 단말기 사이의 전력 전송 및 신호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력제공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 및 단말기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 및 단말기 사이의 전력 전송 및 신호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제공장치(100)는 복수 개의 단말기(110-1,110-2,110-n)와 무선으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110-1,110-2,110-n)는 전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통신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단말기의 예로는 핸드폰, PDA, PMP 등이 있을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100)는, 복수 개의 단말기(110-1,110-2,110-n)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제공장치(100)는 공진 방식을 통하여 복수 개의 단말기(110-1,110-2,110-n)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10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 전력제공장치(100)와 복수 개의 단말기(110-1,110-2,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0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전력제공장치(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 전력제공장치(100)와 복수 개의 단말기(110-1,110-2,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cm 이하일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100)는, 복수 개의 단말기(110-1,110-2,110-n)에 복수 개의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제어 신호는, 복수 개의 단말기 각각의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단말기(110-1,110-2,110-n)는 전력제공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나,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신호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110)는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메시지는, RF신호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110-1,110-2,110-n)는 각각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전력제공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제공장치(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110-1,110-2,110-n)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기(110-1,110-2,110-n) 각각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전력제공장치(100)는 각각의 단말기(110-1,110-2,110-n)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전력제공장치(100)는 단말기(110-1,110-2,110-n) 각각의 위치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110-1,110-2,110-n) 각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제공장치(100)는 파악된 단말기(110-1,110-2,110-n)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단말기(110-1,110-2,110-n)의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10-1,110-2,110-n) 각각은 수신한 전력수신제어신호를 기초로, 단말기의 전력 수신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력제공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단말기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제공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신호 송수신부(220), 제어부(230), 표시부(240) 및 전력 공급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단말기 중 특정한 단말기는 전력 수신 여부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장치(200)가 제 1 내지 제 3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면, 충전제어신호는 제 2 단말기만 전력을 수신하고, 제 1 및 제 3 단말기는 전력의 수신을 보류하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또한 충전제어신호는 각각의 단말기의 충전속도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전제어신호는 제 1 및 제 3 단말기는 급속으로 충전을 수행하고, 제 2 단말기는 완속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에 무선 충전을 진행할 것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220)는, 단말기(290)로부터 단말기(290)의 위치정보메시지 및 단말기(290)의 현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220)는 외부로부터 시간대별 전력 요금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220)는 듀플렉서(duplexer) 및 안테나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임의의 대역에 대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면 제한이 없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30)는 신호 분석부(231) 및 디스플레이 생성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신호 송수신부(220)로부터 입력받은 단말기(290)의 위치 정보메시지 및 단말기(290)의 충전상태메시지와,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전력 공급부(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IC칩, 마이크로프로세서, CPU와 같은 연산 기능을 구비하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소형 컴퓨터로도 구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 분석부(231)는 입력받은 단말기(29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290)가 충전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290)가 충전 가능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단말기(290)의 거리로부터 전력공급장치(200)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신호 분석부(231)는 단말기(290)가 충전 가능하지 않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분석부(231)는 단말기(29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전력 공급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90)의 위치정보메시지는 RF신호 또는 블루투스 신호와 같은 근거리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RF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290)로부터 전력제공장치(200)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의 거리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단말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231)는 블루투스 토폴로지(blue tooth topology)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충전 가능 상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231)는 단말기(290)의 현재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90)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로 판단하면, 단말기(29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전력 공급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신호 분석부(231)는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전력 공급부(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210)에 충전을 개시하라는 충전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의 신호를 신호 분석부(231)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제어 신호가 충전을 개시하는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단말기(29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 공급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10)로 입력되는 충전제어신호는, 충전 개시에 대한 시간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단말기(290)의 충전을 개시하기를 의욕하는 경우,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210)에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충전을 개시하라는 사용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신호 분석부(231)는 이를 분석하여, 상기의 특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부터 단말기(29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 공급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231)는 신호 송수신부(220)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부(2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송수신부(220)는 외부로부터 시간대별 전력 과금 정보와 같은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신호 분석부(231)에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이를 분석하여, 시간대별 전력 과금이 가장 낮은 시기에 단말기(29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 공급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231)는,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충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290)의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송수신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220)는 입력받은 전력수신제어신호를 단말기(29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충전제어신호는, 특정 단말기(290)의 충전 순위를 타 단말기(미도시)보다 우선 순위에 두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장치(200)가 제 1 내지 제 3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충전제어신호는 제 2 단말기에 대하여서만 충전을 수행하고, 나머지 제 1 및 제 3 단말기에 대하여서는 충전을 보류하라는 신호일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입력받은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 1 및 제 3 단말기에는 충전을 보류하라는 신호를 송신하며, 제 2 단말기에는 충전을 개시하라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2 단말기-제 1 단말기-제 3 단말기 순으로 충전을 수행하라는 충전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부(210)에 입력할 수도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우선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단말기에는 전력을 수신하라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3 단말기에는 각각 전력 수신을 보류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신호 송수신부(220)는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 분석부(231)는 제 2 단말기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제 1 단말기에는 전력을 수신하라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2 및 제 3 단말기에는 각각 전력 수신을 보류하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231)는 제 1 단말기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제 3 단말기에는 전력을 수신하라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단말기에는 각각 전력 수신하지 않으라는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제공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충전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단말기 각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신호 송수신부(220)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단말기(290)의 충전상태 및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충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기(290)의 현재 충전상황 및 충전완료 예상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220)는 단말기(290)로부터 현재 충전상태를 전력량, 또는 충전율을 표시하는 백분율의 형태로 표현된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충전상태메시지를 분석하여, 각각의 단말기(290)의 현재 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기저장된 각각의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수신한 충전상태메시지에 포함된 현재 충전된 전력량과 비교하여 현재 충전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신호 제어부(231)는 신호 송수신부(220)로부터 수신한 충전율을 표시하는 백분율로 현재 충전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220)는 결정된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현재 충전 상태 및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입력된 충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기(290)의 충전완료 예상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제공장치(200)가 전력을 공급하는 단말기가 제 1 내지 제 3 단말기로 3개이며, 전력 공급부(250)가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이 900W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인터페이스부(210)에 입력된 충전제어신호가 제 1 및 제 2 단말기만 전력을 수신하고, 제 3 단말기는 전력의 수신을 보류하라는 것인 경우에는, 전력 공급부(250)가 900W의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제 1 및 제 2 단말기는 각각 450W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220)가 제 1 단말기의 최대충전량이 900Wh이며, 현재 충전량이 450Wh라는 충전상태메시지 및 제 2 단말기의 최대충전량이 1300Wh이며, 현재 충전량이 400Wh라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수신하면, 신호 분석부(231)는 각각의 충전상태메시지 및 충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의 충전완료 예상시간을 1시간, 제 2 단말기의 충전완료 예상시간을 2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31)는 입력된 위치정보메시지, 충전제어신호, 충전상태메시지 및 결정된 각각의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와 충전완료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 생성부(232)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생성부(232)는 입력된 위치정보메시지, 충전제어신호, 충전상태메시지 및 결정된 각각의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와 충전완료 예상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기의 위치, 현재충전상태, 충전 순위 및 충전완료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디스플레이 생성부(232)로부터 입력받은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기의 위치, 현재충전상태, 충전 순위 및 충전완료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단말기가 충전 불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가 충전 불가능하다는 그래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40)는 현재충전상태를 바(bar)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백분율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충전 순위 및 충전완료 예상시간을 숫자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 단말기(29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50)는, 전력공급장치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 회로 및 전자기파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공급장치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 회로 및 1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 특정한 시각부터 특정한 시간 동안 공진을 수행하여 기설정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다. 또는 전력 공급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 특정한 시각부터 특정한 시간 동안 전류를 코일에 인가할 수도 있다.
전력 공급부(25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는, 전력제공장치의 근린에 배치되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기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90)는 전력 공급부(25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290)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부(2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각각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부(240)의 표시를 통하여 단말기가 충전 불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단말기를 충전 가능한 위치로 재배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욕한 충전 우선 순위가 존재하는 경우, 충전 우선 순위 이외의 단말기가 전력을 수신을 보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신속하게 우선 순위의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00)는 전력제공장치(3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전력 수신부(330), 표시부(340) 및 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310)는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메시지를 전력제공장치(390)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RF 신호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310)는 단말기(300)의 현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상태메시지를 전력제공장치(39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310)는 전력제공장치(390)로부터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력수신제어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300)가 전력제공장치(39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지 여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320)는 수신한 전력수신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수신부(330)가 전력제공장치(39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를 받아, 전력제공장치(39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전력의 수신을 보류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330)는 전력제공장치(39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전력제공장치(390)의 전자기파 공진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신부(330)는 공진기에 연결되어,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력제공장치(39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전력 수신부(330)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정류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제어신호가 단말기(300)가 전력의 수신을 보류하는 것인 경우에는, 전력 수신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를 받아,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여 전력 제공장치(390)로부터의 전력 수신을 보류할 수 있다. 또는 전력 수신부(330)는 공진기에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충전제어신호가 단말기(300)가 전력의 수신을 보류하는 것인 겨우, 상기 스위치를 오프하여 전력 수신을 보류할 수도 있다.
전력제공장치(39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전력 수신부(330)는 2차 코일에 연결된 스위치를 오프하여 전력 수신을 보류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340)는 단말기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수단일 수 있으며, 통신부(350)는 단말기의 일반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충전제어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단말기가 전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전력의 수신을 보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욕한 충전 순위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전력제공장치(390)로 위치정보메시지를 송신함에 따라서, 단말기(300)가 충전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제공장치(400)는 인터페이스부(410), 신호 송수신부(420), 제어부(430), 표시부(440) 및 전력 공급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전력제공장치(400)의 구성 요소 중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전력제공장치(20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하기로 한다.
제어부(430)는 신호 분석부(431), 디스플레이 생성부(432) 및 스위칭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어부(430)가 스위칭부(433)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스위칭부(433)는 전력 공급부(4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전력제공장치(200)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전력제공장치(400) 사이의 차이점은, 제어부(430) 및 전력 공급부(450)가 상이한 것이다.
신호 분석부(431)는 도 2에 도시된 신호 분석부(432)와 마찬가지로, 전력 공급부(450)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신호 분석부(431)는 특정한 단말기가 전력을 수신 또는 전력의 수신을 보류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말기에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4의 실시 예에 의한 전력제공장치(400)는 각각의 단말기에 대응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서브 전력 공급부, 예를 들어 제 1 전력 공급부 내지 제 n 전력 공급부(451,452,453)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 전력 공급부(451,452,453)는 각각의 단말기와 1:1로 매칭되어 각각의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431)는 인터페이스부(410)에 입력된 충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부(433)를 제어하여, 각각의 서브 전력 공급부(451,452,453)가 전력을 공급할지, 전력의 공급을 보류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충전제어신호가 제 2 전력 공급부(452)에 매칭되는 단말기(490)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신호 분석부(431)는 상기의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제 2 전력 공급부(452)만이 단말기(49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욕한 순위에 따라서 복수 개의 단말기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에 따른 전력제공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전력제공장치(200)에 대한 것이다.
전력제공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메시지 및 충전상태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전력제공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RF 신호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신호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만일, 특정 단말기가 충전 불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력제공장치는 특정 단말기의 충전이 불가능하다는 취지의 디스플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S530).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S503-Y), 사용자로부터 충전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40). 한편, 전력제공장치는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기초하여 충전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충전제어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단말기 중 특정한 단말기는 전력 수신 여부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는 수신한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S550). 전력제공장치는 충전제어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기에 전력수신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560). 여기에서 전력수신제어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단말기가 전력을 수신할지, 전력의 수신을 보류할 것인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에 연결된 복수 개의 단말기 각각은, 수신한 전력수신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전력 수신을 보류할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는 복수 개의 단말기 각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S570), 단말기 중 전력을 수신하기로 결정된 단말기만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력제공장치는 단말기의 위치, 현재충전상태, 충전 순위 및 충전완료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충전 순서 또는 단말기의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사용자는 의욕한 충전 순위에 따라서 각각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가 충전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는 우선 전력제공장치로 위치정보메시지 및 충전상태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력제공장치가 충전제어신호메시지를 송신하면, 단말기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는 수신된 충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을 수신할지 전력 수신을 보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력제공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의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전력제공장치(400)의 제어 방법이다.
전력제공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메시지 및 충전상태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S610). 전력제공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RF 신호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신호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만일, 특정 단말기가 충전 불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력제공장치는 특정 단말기가 충전이 불가능하다는 취지의 디스플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S630).
단말기가 충전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S630-Y), 사용자로부터 충전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40). 한편, 전력제공장치는 충전상태메시지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기초하여 충전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충전제어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단말기 중 특정한 단말기는 전력 수신 여부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는 수신한 충전제어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S650). 전력제공장치는 충전제어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는 조절된 전력을 각각의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다(S66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력제공장치는 단말기의 위치, 현재충전상태, 충전 순위 및 충전완료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충전 순서 또는 단말기의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사용자는 의욕한 충전 순위에 따라서 각각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가 충전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공장치 및 단말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무선으로 전력제공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제공장치는 현재 충전상태, 충전완료 예상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제공장치는 각각의 단말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단말기의 충전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200 : 전력제공장치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신호 송수신부 230 : 제어부
240 : 표시부 250 : 전력 공급부
290 : 단말기

Claims (20)

  1. 복수의 전자 장치들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충전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충전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충전 우선 순위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위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충전 가능한지 여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메시지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메시지는,
    RF(radio frequency) 신호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신호인, 전력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상기 전력 공급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충전 가능한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및 상기 전력 공급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토폴로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충전 가능한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수신 제어 신호 및 공급된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신 제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이 전력을 수신하는지 여부와 관련되는, 전력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11.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복수의 전자 장치들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충전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설정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충전 우선 순위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충전 우선 순위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 전력 공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위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충전 가능한지 여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메시지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메시지는,
    RF(radio frequency) 신호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신호인, 전력 공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상기 전력 공급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충전 가능한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및 상기 전력 공급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토폴로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충전 가능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은,
    충전 상태 정보 및 예상 충전 완료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은,
    전력 수신 제어 신호 및 공급된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신 제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이 전력을 수신하는지 여부와 관련되는, 전력 공급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KR1020190059676A 2019-05-21 2019-05-21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58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76A KR20190058421A (ko) 2019-05-21 2019-05-21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76A KR20190058421A (ko) 2019-05-21 2019-05-21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096A Division KR20130098521A (ko) 2012-02-28 2012-02-28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421A true KR20190058421A (ko) 2019-05-29

Family

ID=6667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76A KR20190058421A (ko) 2019-05-21 2019-05-21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84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75A1 (ko) * 2019-07-08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WO2022005262A1 (ko) * 2020-07-02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충전 상태 표시 방법
WO2022131512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75A1 (ko) * 2019-07-08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US11979032B2 (en) 2019-07-08 2024-05-07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O2022005262A1 (ko) * 2020-07-02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충전 상태 표시 방법
EP4178079A4 (en) * 2020-07-02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HARGE STATUS DISPLAY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WO2022131512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8521A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00131B2 (ja) 移動端末の無線充電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端末
US10601263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10797538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58755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851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6254587B2 (ja) 無線電力受信器に無線充電電力を提供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10103296A (ko) 전자 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10103295A (ko)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20130098546A (ko)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58421A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7783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EP26336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rength of power and expected charge completion time during wireless charging
KR20130027947A (ko)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공급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937811A (zh) 共振型无线电力传送系统的无线电力传送控制方法,及利用此方法的无线电力传送装置及无线电力接收装置
KR20120041628A (ko) 무선 충전 방법
JP2009525715A (ja) コイルアレイを備えた無接点充電装置、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WO2017064968A1 (ja) 受電装置、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20150045602A (ko) 공진방식 기반의 무선충전장치
KR20140117185A (ko)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CN203278406U (zh) 一种磁共振无线充电装置
KR10175567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충전 방법
KR20140074178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40017759A (ko) 무선 통신 기반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저전력 무선 충전기기 및 무선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4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525

Effective date: 202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