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180A -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180A
KR20190058180A KR1020170155923A KR20170155923A KR20190058180A KR 20190058180 A KR20190058180 A KR 20190058180A KR 1020170155923 A KR1020170155923 A KR 1020170155923A KR 20170155923 A KR20170155923 A KR 20170155923A KR 20190058180 A KR20190058180 A KR 2019005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ling
agitator
stirrer
powder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692B1 (ko
Inventor
강원호
Original Assignee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692B1/ko
Priority to PCT/KR2018/014346 priority patent/WO2019103451A1/ko
Publication of KR2019005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01F15/0083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1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gravity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 약제를 포장재에 형성된 충전공간에 충전시키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분말 약제가 공급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쓸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분말 약제를 회전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충전공간으로 충전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FILLING DEVICE FOR POWDER MEDICIN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본 발명은 분말 약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상의 약제를 포장재에 충전하기 위한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분말상의 약제는 포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블리스터(blister) 내에 사전 포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각각의 블리스터는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된 단일 도즈의 분말을 수용하고 있다. 블리스터는 분말 약제 및 이 분말 약제를 환자에게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흡입기의 작동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 및 자외선으로부터 은폐시키는 것에 더하여 수분의 유입 및 산소와 같은 기체의 침투로부터 각각의 분말 약제를 보호한다.
미국등록특허 제8,371,342호에는 "분말의 용적 측정 미터링을 위한 충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특허에서는 중앙에 위치한 관을 통하여 분말을 공급하고 관의 양측에 필터를 배치시킨 후 상부 공간에 음압을 걸어 분말이 블리스터로 빨려 들어가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특허에 의한 충전장치에 의하면 충전이 종료된 후 파우더 상면에 관 모양의 자국이 생기는 문제가 있고, 서로 다른 분말 입자의 사이즈에 대해서 일일이 다른 사이즈를 가진 관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제8,371,342호(2013.2.12)
본 발명은 공기압력차 등을 이용하는 충전장치보다 간소하게 설비를 구성할 수 있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티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충전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면 쪽에 주로 위치한 분말 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어 충전효율이 향상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분말 약제 충전장치는 분말 약제를 포장재에 형성된 충전공간에 충전시키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분말 약제가 공급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쓸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분말 약제를 회전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충전공간으로 충전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충전공간과 연통되는 충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홀을 막는 위치에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충전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교반기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충전홀에 이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전체를 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교반기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연장되는 교반기 본체; 및 상기 교반기 본체의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충전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날개는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약학조성물은 분말 약제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말 약제를 교반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기계적 매커니즘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공기압력차 등을 이용하는 충전장치보다 간소하게 설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부피를 가진 하우징 내의 분말 약제를 포장재 쪽으로 충전하기 때문에 파티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충전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곡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반기를 제조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면 쪽에 주로 위치한 분말 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어 충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약제 충전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기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말 약제 충전장치가 포장재에 분말 약제를 충전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약제 충전장치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분말 약제 충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약제 충전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기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말 약제 충전장치가 포장재에 분말 약제를 충전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분말 약제 충전장치는 분말 약제를 포장재에 형성된 충전공간에 충전시키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분말 약제가 공급되는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을 쓸도록 상기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에 공급된 분말 약제를 회전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충전공간(32)으로 충전시키는 교반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충전공간(32)으로 공급된 분말 약제를 충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말 약제는 하우징(10)의 상부 또는 일측면 등 다양한 부분에서 공급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분말 약제가 공급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수용공간(12)은 분말 약제가 공급되었다가 충전을 위해 배출되는 공간으로서, 분말 약제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부피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원통 형상으로 제조된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축(14)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14)에는 교반기(20)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14)은 하우징(10)의 종단면 상의 중심에 배치되고,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구동, 정지 및 회전속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충전공간(32)과 연통되는 충전홀(16)이 형성된다. 충전홀(16)은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 분말 약제가 배출되는 통로이며, 충전홀(16)로 배출된 분말 약제는 하부에 배치된 포장재(30)의 충전공간(32)으로 교반기(20)의 가압력에 의하여 충전된다. 충전홀(16)은 하우징(10)의 하부에 복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열 및 행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홀(16)의 크기는 교반기(20)의 회전 사이클, 충전공간(32)의 부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충전공간(32)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18)이 형성된다. 배출홀(18)은 충전공간(32)에 유입된 공기로 인하여 1회분의 분말 약제가 충분히 채워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교반기(2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충전홀(16)에 이어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배출홀(18)은 충전홀(16) 쪽으로 회전된 교반기(20)의 인접하게 위치하여 충전공간(32)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배출홀(18) 또한 하우징(10)의 하부에 복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열 및 행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하우징(10)의 하부에 배출홀(18)이 형성됨으로써, 2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충전홀(16)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회전축(14)에 교반기(20)가 설치되어 회전된다. 교반기(20)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 분말 약제를 교반함과 동시에 회전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기(20)는 기계적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분말 약제를 충전하기 위해 도입한 구성으로서, 공기압력차 등을 이용하지 않고 회전력에 의해 가압을 하기 때문에 보다 간소하게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을 통해 분말 약제를 공급하지 않고 충분한 부피를 가진 하우징(10) 내의 분말 약제를 포장재(30) 쪽으로 충전하기 때문에 파티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충전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교반기(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0)의 내측면 전체를 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교반기(20)가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측면을 쓸게 되면 수용공간(12)에 채워진 분말 약제가 충전홀(16)을 통해 충전공간(32)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에 분말 약제가 남지 않고 충전공간(32)으로 잘 충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교반기(20)가 하우징(10)의 내면을 쓸도록 형성된다는 것은 교반기(20)가 하우징(10)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한다는 것이 아니고 하우징(10)의 내면에서 약간의 갭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분말 약제를 하우징(10)의 내면에 최대한으로 남기지 않고 충전공간(32)으로 충전시키겠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교반기(20)의 단부는 하우징(10)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내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약간의 갭을 가져야 할 것이다.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갭을 가지는 경우는 교반기(20)가 금속 소재로 만들어져 하우징(10)의 내면과 접촉 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반면에, 교반기(20)가 탄성 재질이거나 연성 플라스틱, 나일론 소재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만들어질 경우에는 갭이 없거나 약간 있는 정도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교반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교반기(20)가 이와 같이 형성되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교반기(20)의 단부가 회전방향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을 가진 교반기(20)는 하우징(10)의 내면 쪽에 주로 위치한 분말 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어 충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교반기(20)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플레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교반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2) 내에서 회전되면서 분말 약제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된 분말 약제는 충전홀(16)을 통해 포장재(30)의 충전공간(32)으로 충전되는데, 1회분의 분말 약제는 교반기(20)의 1회전에 의해 충전공간(32)에 충전될 수도 있고 2회전 이상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교반기(20)는 도 4에 도시된 위치, 즉 교반기(20)의 단부가 충전홀(16)을 막는 위치에 정지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는 교반기(20)가 충전홀(16)을 막는 순간 충전공간(32)에 1회분의 분말 약제를 충전하는 것이 완료되기 때문이다. 이때, 교반기(20)는 충전홀(16)의 개폐를 제어하는 일종의 밸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약제 충전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 교반기(20)는, 상기 하우징(10)의 회전축(14)에 설치되어 연장되는 교반기 본체(22); 및 상기 교반기 본체(22)의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충전날개(24)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기 본체(22)와 충전날개(24)는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기(20)는 하우징(10)의 내면을 쓸도록 형성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교반기(20) 전체가 곡면으로 제조되지 않고 단부 쪽만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충전날개(24)의 형상은 곡면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의 내면을 쓸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약제 충전장치로 충전되는 분말 약제의 약학조성물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천식 또는 COPD 치료제로서, 플루티카손(Fluticasone), 살메테롤(Salmeterol), 아르포모테롤(Arformoterol), 부데소니드(Budesonide), 페노테롤(Fenoterol), 프로카테롤(Procaterol), 레발부테롤 (Levalbuterol), 살부타몰(Salbutamol), 알부테롤(Albuterol), 터부탈린(Terbutaline), 포모테롤(Formoterol), 인다카테롤(Indacaterol), 올로다테롤(Olodaterol), 빌란테롤(Vilanterol), 이프라트로피움(Ipratropium), 옥시트로피움(Oxitropium), 아클리디니움(Aclidinium), 글리코피로니움(Glycopyrronium), 티오트로피움(Tiotropium), 유메클리디니움(Umeclidinium), 베클로메타손(Beclomethasone), 시클레소니드(Ciclesonide),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모메타손(Mometasone) 또는 그의 각 염이 사용될 수 있다.
폐암 표적 치료제로서, 제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fatinib), 오시머티닙(Osimertinib), 올무티닙(Olmutinib), 크리조티닙(Crizotinib), 세리티닙(Ceritinib) 또는 그의 각 염이 사용될 수 있다.
파킨슨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로서, 레보도파(Levodopa) 또는 그의 각 염이 사용될 수 있다.
항생제로서, 퀴놀론계(Quinolones) 또는 그의 각 염이 사용될 수 있다.
당뇨 치료제로서, 인슐린(Insulin), GLP(Glucagon-Like Peptide), GIP(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및 그 아날로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우징 12 : 수용공간
14 : 회전축 16 : 충전홀
18 : 배출홀 20 : 교반기
22 : 교반기 본체 24 : 충전날개
30 : 포장재 32 : 충전공간

Claims (13)

  1. 분말 약제를 포장재에 형성된 충전공간에 충전시키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분말 약제가 공급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쓸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분말 약제를 회전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충전공간으로 충전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충전공간과 연통되는 충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홀을 막는 위치에 정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충전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교반기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충전홀에 이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전체를 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연장되는 교반기 본체; 및
    상기 교반기 본체의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충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날개는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말 약제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KR1020170155923A 2017-11-21 2017-11-21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KR10205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923A KR102056692B1 (ko) 2017-11-21 2017-11-21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PCT/KR2018/014346 WO2019103451A1 (ko) 2017-11-21 2018-11-21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923A KR102056692B1 (ko) 2017-11-21 2017-11-21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80A true KR20190058180A (ko) 2019-05-29
KR102056692B1 KR102056692B1 (ko) 2019-12-17

Family

ID=6663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923A KR102056692B1 (ko) 2017-11-21 2017-11-21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6692B1 (ko)
WO (1) WO20191034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1342B2 (en) 2007-09-27 2013-02-12 Harro Höfliger Verpackungsmaschinen GmbH Filling device for the volumetric metering of pow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409U (ja) * 1983-10-05 1985-05-01 山口 豊春 供給装置
IT1279992B1 (it) * 1995-07-25 1997-12-23 Ima Spa Dispositivo dosatore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con prodotti in polvere e simili
JP4780759B2 (ja) * 2005-08-23 2011-09-28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定量ソフト充填装置及び定量ソフト充填装置を用いた定量ソフト充填方法
CN204341417U (zh) * 2014-12-26 2015-05-20 刘运武 快速自动装袋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1342B2 (en) 2007-09-27 2013-02-12 Harro Höfliger Verpackungsmaschinen GmbH Filling device for the volumetric metering of pow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451A1 (ko) 2019-05-31
KR102056692B1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616B2 (en) Dry powder inhalers
US20210178089A1 (en) Dry powder inhaler dose counters
JP5809301B2 (ja) 2連突刺部材を有するドライパウダー吸入器ならびに関連する装置および方法
EP2521584B1 (en) Inhalation device
RU2489173C2 (ru) Дозатор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с дисплеем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дикационных данных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я
JP5829269B2 (ja) 流体投与装置
TWI360427B (en) Counting mechanism of supplying apparatus and supp
JP2003535655A (ja) 薬剤ディスペンサー
JP5468074B2 (ja) キャビティに充填するための投薬デバイス及び投薬方法
CN1330564A (zh) 干粉吸入器
KR101839937B1 (ko) 개선된 약물 전달 장치
JP2008540263A (ja) 多量の粒子材料を空洞に注入する方法
EP2185901A1 (en) A method for dosing and providing powder in a powder provider, such a powder provider device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packs
AU2014261539A1 (en) Inhal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 inhaler devices containing them
KR20190058180A (ko) 분말 약제 충전장치 및 이에 의해 충전되는 약학조성물
JP2003512138A (ja) 乾燥粉末医薬品の投与装置
WO2017128170A1 (zh) 一种储库型干粉吸入器
TWI592179B (zh) 吸入裝置之組件及密封構件之用途
CN104395916B (zh) 用于药物输送装置的计数机构和药物输送装置
JP2009072358A (ja) 吸入式投薬器及びブリスタ
US20150202392A1 (en) Metering element for an inhalation device and inhalation device comprising a metering element
EP2981318A1 (en) Metering element for an inhalation device and assembly for an inhalation device comprising a meter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