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090A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Google Patents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8090A KR20190058090A KR1020170155746A KR20170155746A KR20190058090A KR 20190058090 A KR20190058090 A KR 20190058090A KR 1020170155746 A KR1020170155746 A KR 1020170155746A KR 20170155746 A KR20170155746 A KR 20170155746A KR 20190058090 A KR20190058090 A KR 201900580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binding
- connecting unit
- members
- vertical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운반차량용 탑승자 방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폭넓은 활용도를 갖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을 위해 차체 운전석 및 동승석을 둘러싸도록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for a multipurpos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for a multi-purpose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 wide range of utilization and a passenger protection structure (ROPS,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유통, 건설, 레져, 농용 등 폭넓은 분야에서 다목적 운반차량 Utility vehicle )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 다목적 운반차량은 험로주행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흙이나 농산물 싣고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요한 도구 등을 싣고 나르기 위한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된다.Utility vehicles are widely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distribution, construction, leisure, and farming. Especially, this multi-purpose transportation vehicle is advantageous for traveling on rough roads. Therefore, it is mainly used as a transportation means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soil, agricultural products, and tools necessary for various operations at a construction site or an agricultural site.
이처럼 건설 또는 농업현장에 주로 이용되는 다목적 운반차량은 보통, 지산에 접근해서 을 하거나 급한 구배로 되어있는 곳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일이 많다. 때문에 암석 등의 나 차량 등에 의해 탑승자가 를 입는 일이 적지 않다. 따라서 이에 대비하여 'ROPS(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라는 탑승자 방호구조물을 구비한다. As such, multipurpose transportation vehicles, which are mainly used in construction or farming, often work in places where they approach the mountain or are in a hurry. Therefore, it is often the case that a passenger wears a vehicle by a vehicle such as a rock. Accordingly, a passenger protection structure called a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ROPS) is provided.
ROPS는 암석낙하에 대해서 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구조적 강성과 차량 전복 시 차체 하중에도 그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야 위험에 대한 탑승자 도를 높일 수 있다.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에서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뼈대를 구성하는 차체프레임에서 프레임을 연장시켜 탑승석을 보호할 수 있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ROPS를 구성하고 있다. ROPS should increase the occupant's risk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hat has sufficient structural stiffness not to bend against rock falling and that the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even when the vehicle overturns.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conventional multi-purpose vehicle generally comprises a ROPS in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capable of protecting a passenger seat by extending a frame from a body frame constituting a skeleton of the vehicle.
즉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목적 운반차량은 탑승자를 방호하기 위한 구조물인 상기 ROPS가 차체프레임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작업 환경에 따라 ROPS를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 예컨대 제한된 공간 내에 다목적 운반차량을 주차 또는 보관하거나 협소한 공간에서 정비를 행하는 경우라도 ROPS를 따로 떼어내기 어려운 구조였다. That is, in the general-purpose transport vehicle known in the prior art, the ROPS, which is a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passenger, is integrated with the vehicle body frame. Therefore, when the ROPS needs to be remov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ROPS even if the multipurpose transportation vehicle is parked or stored in a limited space or when maintenance is performed in a narrow space.
입체 구조물인 ROPS를 차체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더라도, 떼어낸 ROPS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정도로 큰 보관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으며, 분리 가능한 구조의 경우 차체프레임 일체형에 비해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탑승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Even if the ROPS, which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made detachable from the body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torage space large enough to safely store the removed ROPS. In the case of the detachable structure, , It may not be able to properly perform its original role of protecting passengers from dang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요에 따라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고, 여러 개의 파트로 분해 가능하여 떼어낸 구조물을 운반 또는 보관 시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는 다목적 운반차량용 탑승자 방호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for a multipurpose vehicle, which can be easily detached from a vehicle body frame as needed and can be disassembled into several parts to facilitate the transportation or storage of the detached structure .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차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전방 버티컬 멤버와, 상기 두 개의 전방 버티컬 멤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방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전방 프레임 어셈블리;A front frame assembly including two front vertical members spaced apart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front cross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two front vertical members;
차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와, 상기 후방 버티컬 멤버를 상호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A rear frame assembly including two rear vertical members spaced apart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rear cross member interconnecting the rear vertical members;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와 후방 버티컬 멤버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중앙 커넥팅 멤버;A pair of left and right central connecting members provided to mutually connect upper ends of the front vertical members and the rear vertical memb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와 중앙 커넥팅 멤버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전방 커넥팅 유닛; 및A front connecting unit provided to interconnect the front vertical member and the center connecting memb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서로 대응되는 중앙 커넥팅 멤버와 후방 버티컬 멤버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커넥팅 유닛;을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을 제공한다.And a rear connecting unit provided to interconnect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and the rear vertical memb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은, 상기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 하단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ck frame assem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rear frame assembly.
이때 상기 등받이 프레임 어셈블리는,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크로스 멤버와,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등받이 버티컬 멤버와,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와 평행하며 등받이 버티컬 멤버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Wherein the backrest frame assembly includes an upper cross member interconnecting two lower rear vertical members, a pair of left and right back vertical member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both ends of the upper cross member, And a lower cross member interconnecting the memb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전방 커넥팅 유닛과 후방 커넥팅 유닛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Further, the front connecting unit and the rear connecting unit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상기 전방 커넥팅 유닛과 후방 커넥팅 유닛은 바람직하게, 측면 일부에 평면상의 제1 결속면을 구비하며 둘 이상의 체결구멍을 가진 호형의 제1 결속부재와, 상기 제1 결속부재와 마주하는 측면 일부에 제1 결속면에 비해 폭이 작은 평면상의 제2 결속면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구멍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체결구멍을 가진 호형의 제2 결속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속면과 제2 결속면이 서로 접하도록 맞댄 상태에서 일치하는 체결구멍에 끼워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가 상호 견고하게 결속되거나 필요 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 front connecting unit and the rear connecting unit preferably have a arc-shaped first binding member having a flat first binding surface and having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having an arc-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having a planar second coupling surfac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having two or more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wherein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The first binding member and the second binding member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or can be easily separated if necessary by a fastening member fitted in the fastening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제1 결속부재는 전방 버티컬 멤버 상단 또는 중앙 커넥팅 멤버 후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체결구멍과 제1 결속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일 측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호형의 제1 결속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결속부재는 중앙 커넥팅 멤버 전단 또는 후방 버티컬 멤버 상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제2 결속면과 체결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일 측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호형의 제2 결속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ind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that is partially inserted into and overlapped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vertical member or the rear end of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hole and a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tha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or the upper end of the rear vertical member to be overlapp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n arc-shaped second binding portion having a fastening hole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one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2 결속부와 제1 결속에 대응되는 모양과 크기로 걸림턱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may be formed with a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 stopping portion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 크로스 멤버가 두 개의 전방 커넥팅 유닛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후방 크로스 멤버가 두 개의 후방 커넥팅 유닛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cross member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two front connecting units, and the rear cross member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two rear connecting units.
또한, 상기 전방 버티컬 멤버와 중앙 커넥팅 멤버, 그리고 후방 버티컬 멤버 및 이들 멤버들을 상호 연결하는 전방 커넥팅 유닛 및 후방 커넥팅 유닛에는, 각각의 멤버 및 커넥팅 유닛의 종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캐노피 또는 윈드 실드 장착을 위한 요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ront vertical member,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and the rear vertical member and the front connecting unit and the rear connecting unit that interconnect the members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of each member and the connecting unit A concave portion for forming a canopy or a windshield which is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formed.
이때, 상기 전방 버티컬 멤버의 하단에는 차체에 연결된 대쉬보드 프레임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onnector for coupling with the dashboard frame assemb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vertical memb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을 차체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 내에 다목적 운반차량을 주차 또는 보관하거나 협소한 공간에서 정비 내지 작업을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방호구조물(ROPS)를 떼어낼 수 있어서 그 만큼 공간을 줄이거나 정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ROPS)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vehicle body frame. Therefore, when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s parked or stored in a limited space, or when the maintenance or operation is performed in a narrow space, the ROPS can be removed as needed, so that the space can be reduced or the maintenance easiness can be secured.
더욱이,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 자체는 여러 파트(3개의 파트)로 분해 가능하게 구성되어 떼어낸 방호구조물의 운반 또는 보관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분해/조립 가능한 구성이면서도 복수의 크로스 멤버를 통해 구조적인 강성은 충분히 확보한 구조로서, 차량 전복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도 탑승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ROPS) itself can be disassembled into several parts (three parts) and has the advantage of carrying or storing the detached protection structure, and is capable of disassembling / assembling, The rigidity is ensured sufficiently, and the safety of the passenger can be reliably ensured even when the vehicle overturns or the external physical impact.
또한, 전후방 버티컬 멤버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커넥팅 멤버 및 이들 멤버 간 연결을 위한 커넥팅 유닛 각각에, 같은 크기와 깊이로 특정 구조의 요면부가 형성되어 조립 시 전방 버티컬 멤버에서 후방 버티컬 멤버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하나의 장착요부가 형성됨으로써 캐노피 또는 윈드 실드의 장착이 용이하다.Further,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members,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disposed therebetween, and the connecting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members, a concave portion having a specific structure of the same size and depth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from the front vertical member to the rear vertical member So that the mounting of the canopy or the windshield i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용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호구조물의 결합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호구조물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로서 전방 커넥팅 유닛의 결합 상태를 다른 두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방 커넥팅 유닛의 분리 상태를 다른 두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C'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전방 버티컬 멤버, 중앙 케넥팅 멤버, 후방 버티컬 멤버 각각을 도 1의 D-D'선, E-E'선, F-F'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전방 커넥팅 유닛과 후방 커넥팅 유닛을 도 1의 G-G'선과 H-H'선 방향에서 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ROPS) for a multipurpos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side view of the protective structure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structure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substa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nnecting unit viewed from two different angles.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B' portion of FIG. 3,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front connecting unit viewed from two different angles;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3;
FIG. 7 is a plan view of the front vertical member, the center connecting member, and the rear vertical member in the direction of line D-D ', line E-E' and line F-F 'in FIG.
8 is a view of the front connecting unit and the rear connecting unit viewed from the line G-G 'and line H-H' of FIG. 1;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part, " " unit, " " module, "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용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호구조물의 결합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호구조물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ROPS) for a multi-purpos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side view of the prot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structur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용 탑승자 방호구조물(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ROPS(1)'라 약칭 한다)은,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10, 50)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커넥팅 멤버(30), 중앙 커넥팅 멤버(30)와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10, 50) 간 연결을 위한 전방과 후방 커넥팅 유닛(20, 40)을 포함한다.1 to 3, a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abbreviated as 'ROPS (1)' hereinafter) for a multipurpos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ront and rear frames A central connecting
전방 프레임 어셈블리(10)는 두 개의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전방 크로스 멤버(14)를 구비한다. 두 개의 전방 버티컬 멤버(12)는 차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전방 크로스 멤버(14)는 두 전방 버티컬 멤버(12)를 직접 연결하거나, 후술하는 좌우 측 전방 커넥팅 유닛(20)을 통해 두 전방 버티컬 멤버(12)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두 개의 전방 버티컬 멤버(12) 및 상기 전방 크로스 멤버(14)는 단면(종단면) 모양이 특정 모양으로 형성(이후 도 7 참조)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속이 빈 금속 파이프 형태, 즉 강관 구조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강도 합성 수지와 같은 비금속 재질로서 중공형이나 중실형 모두 가능하나 경량화 측면에서는 속이 빈 중공 구조가 유리하다. The two front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50)는 상기 전방 프레임 어셈블리(10)의 후방에 소정 거리, 바람직하게는 운전석 공간의 전장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 프레임 어셈블리(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50)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52)와, 두 후방 버티컬 멤버(52)를 상호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멤버(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52)는 상기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마찬가지로, 차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배치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후방 크로스 멤버(54)는 상기 두 후방 버티컬 멤버(52)를 직접 연결하거나, 후술하는 좌우 측 후방 커넥팅 유닛(40)을 통해 두 후방 버티컬 멤버(52)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two rearward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52) 및 상기 후방 크로스 멤버(54) 역시 단면(종단면) 모양이 특정 모양으로 형성(이후 도 7 참조)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속이 빈 금속 파이프 형태, 즉 강관 구조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강도 합성 수지와 같은 비금속 재질로서 중공형이나 중실형 모두 가능하나 경량화 측면에서는 속이 빈 중공 구조가 유리하다. The two rearward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후방 버티컬 멤버(52)들은 상기 중앙 커넥팅 멤버(3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중앙 커넥팅 멤버(30)는 구체적으로, 차폭 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 배치되며 전후 방향에 걸쳐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12)의 상단부와 후방 버티컬 멤버(52)의 상단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부재로 기능한다.The front
차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중앙 커넥팅 멤버(30) 역시도, 단면(종단면) 모양이 특정 모양으로 형성(이후 도 7 참조)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속이 빈 금속 파이프 형태, 즉 강관 구조일 수 있으나, 고강도 합성 수지와 같은 비금속 재질로서 중공형이나 중실형 모두 가능하나 경량화의 구현에는 속이 빈 중공 구조가 유리하다. The two central connecting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등받이 프레임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 어셈블리(60)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52)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크로스 멤버(6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62)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등받이 버티컬 멤버(64)를 구비한다.A
강성 보강을 위하여 좌우 한 쌍의 상기 등받이 버티컬 멤버(64)는 상부 크로스 멤버(62)와 대략 평행을 이루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크로스 멤버(66)를 통해 다시 한번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등받이 버티컬 멤버(64)의 하단부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 멤버(70) 양단의 결속 돌기(72)에 분리/조립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 pair of right and left back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중앙 커넥팅 멤버(30) 및 서로 대응되는 중앙 커넥팅 멤버(30)와 후방 버티컬 멤버(52) 각각은 상기 전방 커넥팅 유닛(20)과 후방 커넥팅 유닛(40)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즉 전방과 후방 커넥팅 유닛(20, 40)은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중앙 커넥팅 멤버(30), 중앙 커넥팅 멤버(30) 와 후방 버티컬 멤버(52)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다.The fro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전방 커넥팅 유닛(20)과 후방 커넥팅 유닛(40)은 배치 각도 또는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동일한 구성에 대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방 커넥팅 유닛의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The front connecting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로서 전방 커넥팅 유닛의 결합 상태를 다른 두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방 커넥팅 유닛의 분리 상태를 다른 두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substa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1,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nnecting unit viewed from two different angles,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nnecting unit viewed from two different angles; Fig.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커넥팅 유닛(20)은, 측면 일부에 평면상의 제1 결속면(240)을 구비하며 둘 이상의 체결구멍(H1)을 가진 호형의 제1 결속부재(22)와, 상기 제1 결속부재(22)와 마주하는 측면 일부에 제1 결속면(240)에 비해 폭이 작은 평면상의 제2 결속면(280)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구멍(H1)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체결구멍(H2)을 가진 호형의 제2 결속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5, the
제1 결속부재(22)는 전방 버티컬 멤버(12) 상단(후방 커넥팅 유닛(40)의 경우 중앙 커넥팅 멤버(30) 후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1 결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체결구멍(H1)과 평면상의 제1 결속면(24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23)의 일 측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호형의 제1 결속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binding
제1 결합부(23)는 전방 버티컬 멤버(12) 상단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또는 서로 겹쳐진 부분을 부분적으로 타격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기계적인 가공 등을 통해 해당 버티컬 멤버(12)와 하나의 구성품을 이루도록 결합되되, 버티컬 멤버(12)에 삽입되는 부분이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되어 도면과 같이 그 경계부가 단차진 구성일 수 있다.The
제2 결속부재(26)는 중앙 커넥팅 멤버(30) 전단(후방 커넥팅 유닛의 경우 후방 버티컬 멤버 상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27) 및 상기 제2 결속면(280)과 상기 체결구멍(H1)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체결구멍(H2)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27)의 일 측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호형의 제2 결속부(28)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제2 결합부(27) 역시, 중앙 커넥팅 멤버(30) 전단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또는 서로 겹쳐진 부분을 부분적으로 타격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기계적인 가공 등을 통해 해당 커넥팅 멤버(30)와 하나의 구성품을 이루도록 결합되되, 중앙 커넥팅 멤버(30)에 삽입되는 부분이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되어 그 경계부가 단차진 구성일 수 있다.The
제1 결합부(23) 및 제2 결합부(27) 각각은 제1 결속면(240) 및 제2 결속면(28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걸림턱부(230, 27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부(230, 270)는 제2 결속부(28)와 제1 결속부(24)의 단면 모양과 크기에 대응되는 모양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커넥팅 유닛(20) 결속 후 각각의 걸림턱부(230, 270)에 제2 결속부(28)와 제1 결속부(24)의 선단면이 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이와 같은 구성의 전방 커넥팅 유닛(20)은, 서로 마주하는 평면상의 제1 결속면(240)과 제2 결속면(280)이 서로 접하도록 맞댄 상태에서 일치하는 각각의 체결구멍(H1, H2)에 체결부재(B)를 조립하여 제1 결속부재(22)와 제2 결속부재(26)가 상호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결속시키거나, 반대로 체결부재(B)를 해체하여 그 결속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The front connecting
특히, 체결부재(B)를 조립하여 제1 결속부재(22)와 제2 결속부재(26)를 상호 결속시킬 때 제1 결합부(23)와 제2 결합부(27) 각각에 형성된 걸림턱부(230, 270)에 상대 측 제2 결속부(28)와 제1 결속부(24)의 선단면이 접하는 구조로 결속이 구현됨으로써, 결속 후 커넥팅 유닛(20, 40)이 자리하는 이음새 부분에 대한 축방향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fastening member B is assembled and the
도 6은 도 3의 'C'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도 6과 같이, 전방 버티컬 멤버(12)의 하단에는 커넥터(18)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18)는 차체에 연결된 대쉬보드 프레임 어셈블리(도시 생략)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예시된 도면과 같이 일단에 전방 버티컬 멤버(12) 하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결합구(180)를 구비하며, 반대편에 상기 대쉬보드 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결속되는 결속구(182)를 구비한 구성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
대쉬보드 프레임의 경우 차량의 제원이나 사양에 따라 그 형상이나 구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전방 버티컬 멤버(12)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결속구(182) 역시 도면에 예시된 막대형 구조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형상이나 모양에 상관 없이 대쉬보드 프레임의 정해진 결속 위치에 신속하면서도 견고한 결속을 이룰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된다. Sinc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dashboard fra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specifications of the vehicle, the
도 7은 전방 버티컬 멤버, 중앙 커넥팅 멤버, 후방 버티컬 멤버 각각을 도 1의 D-D'선, E-E'선, F-F'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전방 커넥팅 유닛과 후방 커넥팅 유닛을 도 1의 G-G'선과 H-H'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the front vertical member, the center connecting member and the rear vertical member viewed from the D-D 'line, the E-E' line and the F-F ' 1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ng unit viewed from a line G-G 'and a line H-H' in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중앙 커넥팅 멤버(30), 그리고 후방 버티컬 멤버(52) 및 이들 멤버들(12, 30, 52)을 상호 연결하는 전방 커넥팅 유닛(20) 및 후방 커넥팅 유닛(40)에는, 각각의 멤버(12, 30, 52) 및 커넥팅 유닛(20, 40)의 종단면 중심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면부(C)()가 형성될 수 있다. 7 and 8, the front
즉 각각의 멤버(12, 30, 52) 및 전방 커넥팅 유닛(20)과 후방 커넥팅 유닛(40) 각각의 단면 모양은, 대각선 방향으로 요면부(C)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대략 나비(Butterfly) 모양일 수 있으며, 이처럼 각각의 멤버 및 커넥팅 유닛에 형성된 요면부(C)로 인해 ROPS(1) 조립 후 전방 버티컬 멤버(12)에서 후방 버티컬 멤버(52)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하나의 장착요부(부호 생략)가 형성됨으로써 캐노피 또는 윈드 실드(미도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That is, each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을 차체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 내에 다목적 운반차량을 주차 또는 보관하거나 협소한 공간에서 정비 내지 작업을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방호구조물를 떼어낼 수 있어서 그 만큼 공간을 줄이거나 정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ROPS)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frame. Therefore, when the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s parked or stored in a limited space, or when maintenance or work is performed in a narrow space, the protective structure can be removed as needed, thereby reducing the space or securing ease of maintenance.
더욱이,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 자체는 여러 파트(3개의 파트)로 분해 가능하게 구성되어 떼어낸 방호구조물의 운반 또는 보관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분해/조립 가능한 구성이면서도 복수의 크로스 멤버를 통해 구조적인 강성은 충분히 확보한 구조로서, 차량 전복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도 탑승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ROPS) itself can be disassembled into several parts (three parts) and has the advantage of carrying or storing the detached protection structure, and is capable of disassembling / assembling, The rigidity is ensured sufficiently, and the safety of the passenger can be reliably ensured even when the vehicle overturns or the external physical impact.
또한, 전후방 버티컬 멤버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커넥팅 멤버 및 이들 멤버 간 연결을 위한 커넥팅 유닛 각각에, 같은 크기와 깊이로 특정 구조의 요면부가 형성되어 조립 시 전방 버티컬 멤버에서 후방 버티컬 멤버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하나의 장착요부가 형성됨으로써 캐노피 또는 윈드 실드의 장착이 용이하다.Further,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members,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disposed therebetween, and the connecting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members, a concave portion having a specific structure of the same size and depth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from the front vertical member to the rear vertical member So that the mounting of the canopy or the windshield is easy.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 : 탑승자 방호구조물(ROPS)
10 : 전방 프레임 어셈블리
12 : 전방 버티컬 멤버
14 : 전방 크로스 멤버
18 : 커넥터
20 : 전방 커넥팅 유닛
22 : 제1 결속부재
23 : 제1 결합부
24 : 제1 결속부
26 : 제2 결속부재
27 : 제2 결합부
28 : 제2 결속부
30 : 중앙 커넥팅 멤버
40 : 후방 커넥팅 유닛
50 :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
52 : 후방 버티컬 멤버
54 : 후방 크로스 멤버
60 : 등받이 어셈블리
62 : 상부 크로스 멤버
64 : 등받이 버티컬 멤버
66 : 하부 크로스 멤버
70 : 시트 프레임 멤버
72 : 결속 돌기
180 : 결합구
182 : 결속구
230, 270 : 걸림턱부
240 : 제1 결속면
280 : 제2 결속면
B : 체결부재
C : 요면부
H1. H2 : 체결구멍1: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ROPS) 10: front frame assembly
12: Front vertical member 14: Front cross member
18: connector 20: front connecting unit
22: first binding member 23: first binding portion
24: first binding portion 26: second binding member
27: second coupling portion 28: second coupling portion
30: central connecting member 40: rear connecting unit
50: rear frame assembly 52: rear vertical member
54: rear crossmember 60: backrest assembly
62: upper crossmember 64: backrest vertical member
66: Lower cross member 70: Seat frame member
72: a coupling protrusion 180:
182: coupling means 230, 270: engaging jaw
240: first binding surface 280: second binding surface
B: fastening member C:
H1. H2: fastening hole
Claims (11)
차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52)와, 상기 후방 버티컬 멤버(52)를 상호 연결하는 후방 크로스 멤버(54)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50);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후방 버티컬 멤버(52)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중앙 커넥팅 멤버(30);
서로 대응되는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중앙 커넥팅 멤버(30)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전방 커넥팅 유닛(20); 및
서로 대응되는 중앙 커넥팅 멤버(30)와 후방 버티컬 멤버(52)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커넥팅 유닛(40);을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A front frame assembly (10) comprising two front vertical members (12) spac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front cross member (14) for interconnecting the two front vertical members (12);
A rear frame assembly (50) including two rear vertical members (52) spac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rear cross member (54) interconnecting the rear vertical members (52);
A pair of left and right central connecting members (30) provided to mutually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vertical members (12) and the rear vertical members (5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front connecting unit (20) provided to interconnect the front vertical member (12) and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3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nd a rear connecting unit (40) provided to interconnect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rear vertical members (5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후방 프레임 어셈블리(50) 하단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ck frame assembly (6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frame assembly (50).
상기 등받이 프레임 어셈블리(60)는,
두 개의 후방 버티컬 멤버(52)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크로스 멤버(62)와;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62)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등받이 버티컬 멤버(64)와;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62)와 평행하며 등받이 버티컬 멤버(64)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 크로스 멤버(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ckrest frame assembly (60)
An upper cross member (62) inter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two rearward vertical members (52);
A pair of right and left back vertical members 64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both ends of the upper cross member 62;
And a lower cross member (66) parallel to the upper cross member (62) and interconnecting the back vertical member (64).
상기 전방 커넥팅 유닛(20)과 후방 커넥팅 유닛(40)은 구성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connecting unit (20) and the rear connecting unit (4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상기 전방 커넥팅 유닛(20)은,
측면 일부에 평면상의 제1 결속면(240)을 구비하며 둘 이상의 체결구멍(H1)을 가진 호형의 제1 결속부재(22)와;
상기 제1 결속부재(22)와 마주하는 측면 일부에 제1 결속면(240)에 비해 폭이 작은 평면상의 제2 결속면(280)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구멍(H1)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체결구멍(H2)을 가진 호형의 제2 결속부재(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면(240)과 제2 결속면(280)이 서로 접하도록 맞댄 상태에서 일치하는 체결구멍(H)에 끼워지는 체결부재(B)에 의하여 제1 결속부재(22)와 제2 결속부재(26)가 상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ront connecting unit (20)
An arc-shaped first binding member 22 having a planar first binding surface 240 on a part of the side surface and having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H1;
And a second coupling surface 280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coupling surface 240 at a side portion facing the first coupling member 22 and a second coupling surface 280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coupling surface 240, And an arc-shaped second coupling member (26) having a fastening hole (H2)
The first binding member 22 and the second binding member 22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mber B which is fitted in the fastening holes H which are match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inding surface 240 and the second binding surface 28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binding members (26) are bonded to each other.
제1 결속부재(22)는, 전방 버티컬 멤버(12) 상단 또는 중앙 커넥팅 멤버(30) 후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1 결합부(23)와, 체결구멍(H)과 제1 결속면(24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23)의 일 측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호형의 제1 결속부(24)로 구성되고,
제2 결속부재(26)는, 중앙 커넥팅 멤버(30) 전단 또는 후방 버티컬 멤버(52) 상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27)와, 제2 결속면(280)과 둘 이상의 체결구멍(H2)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27)의 일 측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호형의 제2 결속부(2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inding member 22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23 that is partially inserted into and overlapped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vertical member 12 or the rear end of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30, And an arc-shaped first binding portion 24 having a binding surface 240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one sid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23,
The second coupling member 26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27 to which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30 or the rear vertical member 52 is inserted and overlapped, And an arc-shaped second coupling part (28) having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H2)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7). .
상기 제1 결합부(23) 및 제2 결합부(27)에는 상기 제2 결속부(28)와 제1 결속부(24)에 대응되는 모양과 크기로 걸림턱부(230, 270)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3 and 27 are formed with hooking protrusions 230 and 270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8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4, Wherein the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vehicle is characterized by:
상기 전방 크로스 멤버(14)가 두 개의 전방 커넥팅 유닛(20)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cross member (14)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two front connecting units (20).
상기 후방 크로스 멤버(54)가 두 개의 후방 커넥팅 유닛(40)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cross member (54)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two rear connecting units (40).
상기 전방 버티컬 멤버(12)와 중앙 커넥팅 멤버(30), 그리고 후방 버티컬 멤버(52) 및 이들 멤버들을 상호 연결하는 전방 커넥팅 유닛(20) 및 후방 커넥팅 유닛(40)에는,
각각의 멤버 및 커넥팅 유닛의 종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캐노피 또는 윈드 실드 장착을 위한 요면부(C)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ront connecting unit 20 and the rear connecting unit 40 interconnecting the front vertical member 12 and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rear vertical member 52 and these member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ed portion (C) is formed for symmetrical forma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of each member and the connecting unit and for longitudinally continuous canopy or windshield mounting. structure.
상기 전방 버티컬 멤버(12)의 하단에는 차체에 연결된 대쉬보드 프레임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1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의 탑승자 방호 구조물.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And a connector (18) for coupling with a dashboard frame assembly connected to a vehicle body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vertical member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746A KR102521250B1 (en) | 2017-11-21 | 2017-11-21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746A KR102521250B1 (en) | 2017-11-21 | 2017-11-21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8090A true KR20190058090A (en) | 2019-05-29 |
KR102521250B1 KR102521250B1 (en) | 2023-04-14 |
Family
ID=6667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746A KR102521250B1 (en) | 2017-11-21 | 2017-11-21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125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03370A (en) | 2004-09-30 | 2006-04-20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of vehicle |
JP2010030363A (en) * | 2008-07-25 | 2010-02-12 | Kubota Corp | Working vehicle |
KR20120009215A (en) * | 2010-07-23 | 2012-02-01 | 대동공업주식회사 | passenger protecting structure for multipurpose cart |
KR20130022105A (en) * | 2011-08-25 | 2013-03-06 | 대동공업주식회사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body that contains the same |
KR101701995B1 (en) * | 2015-09-22 | 2017-02-03 | (주)씨이에스 | a module frame of midget car |
-
2017
- 2017-11-21 KR KR1020170155746A patent/KR1025212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03370A (en) | 2004-09-30 | 2006-04-20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of vehicle |
JP2010030363A (en) * | 2008-07-25 | 2010-02-12 | Kubota Corp | Working vehicle |
KR20120009215A (en) * | 2010-07-23 | 2012-02-01 | 대동공업주식회사 | passenger protecting structure for multipurpose cart |
KR20130022105A (en) * | 2011-08-25 | 2013-03-06 | 대동공업주식회사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body that contains the same |
KR101701995B1 (en) * | 2015-09-22 | 2017-02-03 | (주)씨이에스 | a module frame of midget c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1250B1 (en) | 2023-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83113B2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CN107010125B (en) |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 |
US6817657B2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US7407192B2 (en) | Vehicle end structure | |
JP5924345B2 (en) | Resin floor structure of the vehicle | |
JP2005119358A (en) | Frame structure of vehicle | |
CN110920752B (en) | Suspension sub-frame structure | |
JP6919518B2 (en) | Pillar structure for vehicles | |
KR101454726B1 (en) | Resin roof panel structure | |
JP6445606B2 (en) | Vehicle fr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JP2008062736A (en) | Four-wheel travel vehicle for irregular ground | |
US8869929B2 (en) | Vehicle body frame of utility vehicle | |
JP2017077853A (en) |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 |
US11912344B2 (en) | Vehicle lower part structure | |
JP6406318B2 (en) | Vehicle energy absorption structure | |
KR20190058090A (en) |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
GB1576342A (en) | Chassis for a multi-terrain vehicle | |
JP2009090861A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JP6915255B2 (en) | Vehicle load transfer system | |
CN114248844B (en) | Vehicle frame assembly for vehicle-mounted security inspection system | |
KR101673341B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vehicle body member | |
JP2013256146A (en) | Fastening structure of seat back frame of vehicle seat | |
JP2004352092A (en) | Vehicular body frame structure | |
JP4729016B2 (en) | Auto body structure | |
US11807182B2 (en) | ROPS frame for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