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813A - Fabric Pressure Sensor - Google Patents

Fabric Pressur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813A
KR20190057813A KR1020170155184A KR20170155184A KR20190057813A KR 20190057813 A KR20190057813 A KR 20190057813A KR 1020170155184 A KR1020170155184 A KR 1020170155184A KR 20170155184 A KR20170155184 A KR 20170155184A KR 20190057813 A KR20190057813 A KR 20190057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abric
layer
pressure sensor
conductiv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0891B1 (en
Inventor
김지홍
유의상
임대영
소주희
이현경
이재경
김은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891B1/en
Publication of KR2019005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abric pressure sensor which is installed in a flexible and a stretchable fabric woven into a yarn. The fabric pressure sensor comprises: a first conductive fabric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each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or a conductive particle dispersed material; and a spacer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and made of dielectric thread. A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can be 50-300 μm. Therefor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fabric pressure sensor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or eliminating a feeling of irritation when used in fabrics or clothes.

Description

페브릭 압력 센서{Fabric Pressure Sensor}[0001] Fabric Pressure Sensor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력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로 짜인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직물에 설치되는 페브릭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pressure sensor mounted on a flexible, stretchable fabric woven in a yarn.

기존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s) 대부분은 가볍고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텍스타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압력 센서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이 착용되어 호흡이나 모션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는데 이용된다.Most of the existing pressure sensors are made of light, flexible and stretchy textiles. These pressure sensors are used to continuously collect data related to respiration, motion, etc., which are worn without inconvenience to the user.

텍스타일이 가지는 신축성(stretchability)이란, 인체의 불균일하고 복잡한 형태를 자연스럽게 감당하고 그 움직임에 순응할 수 있는 능력에 대응된다.The stretchability of a textile corresponds to its ability to naturally cope with uneven and complex shapes of the human body and to adapt to its movements.

한편, 섬유 레이어에 스트레인 센서를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것은 직물이나 편물 구조의 레이어은 실로 짜여 있으므로 인접한 실들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이러한 공간에 의해 전극으로서의 기능과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not easy to form strain sensors on the fiber layer. This is because a layer of a fabric or a knitted structure is woven in a yarn,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adjacent yarns, and this space causes problems in function and reliability as an electrode.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2064호(2017.03.27.)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22064 (Feb.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249041호(2017.08.31.)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7/0249041 (Aug. 31, 201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를 이용하여 직조되는 레이어를 구비하고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페브릭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bric pressure sensor having a stretchable and flexible fabric layer that is woven using a conductive yarn or a conductive particle dispersed material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물이나 의류 등에 사용할 때 이물감을 상당히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는 페브릭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bric pressure sensor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or eliminating a foreign body feeling when used in fabrics or cloth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는, 전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직물 레이어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 사이에 배치되고 유전율 실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레이어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레이어의 두께는 50㎛ 내지 30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bric pressure sensor comprising: a first conductive fabric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each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or a conductive particle dispersed material; And a spacer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nductive fabric layers and made of a dielectric constant seal. The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may be 50 탆 to 300 탆.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레이어의 인접한 유전율 실들에 의해 한정되는 구멍이나 공간의 평면상 평균 사이즈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것보다 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nar average size of the hole or space defined by adjacent dielectric constant chambers of the spacer laye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는 상기 스페이서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 유전율 실을 전극사로 대체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may be an electrode yarn replacing at least some dielectric constant yarn of the spacer layer.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와 상기 스페이서 레이어의 신축성은 동일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etchability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and the spacer layer may be the same.

일실시예에서, 페브릭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의 일단과 타단 각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에 공통 연결되는 제1 및 제2 직물 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bric pressure sensor may further comprise first and second fabric pads connected in common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at one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respectively have.

일실시예에서, 페브릭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직물 패드들에 연결되는 센싱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bric pressure sensor may further comprise a sensing circui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bric pad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는, 일반사 또는 유전율 실로 각각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일반 레이어과 제2 일반 레이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일반 레이어들 사이에 배치되고 도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를 구비하는 전도성 직물 레이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bric pressure sensor comprising: a first general layer and a second general layer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regular yarn or a dielectric yarn; And a conductive fabr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neral layers and having a conductive or conductive particle dispersed material.

일실시예에서, 페브릭 압력 센서는 상기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일반 레이어 외측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전도성 직물 레이어가 눌릴 때, 상기 전도성 직물 레이어 내의 전도성 필라멘트들 간의 간격 또는 밀도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abric pressure sensor i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 and whe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external to the first or second general layer, the conductive filaments i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And a sensing circuit that senses a change in resistanc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 distance or a density between the electrodes.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가진 페브릭 압력 센서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언더웨어 등의 의류나 밴드, 머리띠 등의 신체와 접촉하는 직물 제품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안하고 실질적으로 이물감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의류-센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bric pressure sensor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thereby being applied to a fabric product in contact with the body such as clothing, band, and headband such as underwe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rment-sensor environment which is hardly fel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직물 레이어의 신장률에 대응하도록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직물 또는 편물 구조나 밀도를 조정하거나 그 역으로 조정하여 일반 직물 레이어와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신장률을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페브릭 압력 센서를 언더웨어 등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직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물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fabric or knitted structure or density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extension of a general fabric layer, or by adjusting the extension ratio of the general fabric layer and the conductive fabric layer, Even when the sensor is used for fabrics that directly contact the body, such as underwea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object and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와 이를 채용한 의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페브릭 압력 센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페브릭 압력 센서의 부분 분해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에 채용할 수 있는 도전사 또는 전도성 섬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에 채용할 수 있는 다른 도전사 또는 전도성 섬유에 대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에 채용할 수 있는 센싱 회로에 대한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abric pressure sensor and a garment employ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bric pressure sensor of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lan view of the fabric pressure sensor of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ctive or conductive fiber that may be employed in a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side view of another conductive or conductive fiber that may be employed in a fabric pressure sens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sensing circuit that can be employed in a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특징으로 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ing, " " including, " or " hav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와 이를 채용한 의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페브릭 압력 센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페브릭 압력 센서의 부분 분해 평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fabric pressure sensor and a garment employ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bric pressure sensor of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lan view of the fabric pressure sensor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의류(100)는 일반 실(yarn) 또는 유전율 실을 기존 소재로 구성되는 직물이나 원단(천, 10)을 포함할 수 있다. 페브릭 압력 센서는 의류(100)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n the garment 100 as shown in Fig. The garment 100 may include a fabric or cloth (cloth) 10 made of a conventional material such as a general yarn or a dielectric yarn. The fabric pressure sensor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of the garment 100.

페브릭 압력 센서는 센싱전극부(20) 및 센싱 회로(40)를 포함한다. 센싱전극부(20)와 센싱 회로(40)는 배선(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싱전극부(20)와 배선(30) 사이에는 직물 패드(50)가 게재될 수 있다.The fabric pressure sensor includes a sensing electrode unit 20 and a sensing circuit 40. The sensing electrode unit 20 and the sensing circuit 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ring 30. A cloth pad 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20 and the wiring 30.

직물 패드(50)는 센싱회로(40)과의 전기 회로 구성을 위해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21, 22)의 일단과 타단 각각에서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21, 22)에 공통 연결되는 제1 및 제2 직물 패드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fabric pad 50 is bond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21, 22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21, 22 for electrical circuitry with the sensing circuitry 40, 22 and the first and second fabric pads.

센싱전극부(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21, 22)과,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21, 22) 사이에 배치되고 유전율 실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레이어(23)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레이어의 두께는 50㎛ 내지 300㎛일 수 있다. 전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는 전도성 섬유로 지칭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ensing electrode unit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21 and 22, respectively, each of which includes a conductive yarn and a conductive particle-dispersed material, first and second conductive And a spacer layer 23 disposed between the fabric layers 21, 22 and made of a dielectric constant seal. The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may be 50 탆 to 300 탆. A material in which a conductive particle or conductive particle is dispersed may be referred to as a conductive fiber.

제1 전도성 직물 레이어(21)는 제1 전도성 섬유(21a)를 포함하고,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22)는 제2 전도성 섬유(22a)를 포함하고, 스페이서 레이어(23)는 일반실 또는 유전율 실(23a)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nductive fabric layer 21 comprises a first conductive fiber 21a and the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22 comprises a second conductive fiber 22a and the spacer layer 23 comprises a general room or dielectric constant room (23a).

스페이서 레이어(23)의 두께는 페브릭 타입의 압력 센서로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스페이서 레이어를 중간에 삽입하고 있는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21, 22)이 대기 모드에서는 전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분리되고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때는 전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접속하도록 설계된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23 is a fibrous type pressure sensor,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21 and 22,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spacer layer, are electrically and reliably separated in the standby mode When an external forc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is applied, it is designed to be connected electrically reliably.

또한, 스페이서 레이어(23)의 인접한 유전율 실들에 의해 한정되는 구멍이나 공간의 평면상 평균 사이즈는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21; 22)의 것보다 클 수 있다. 그것은 스페이서 레이어(23)의 직물 밀도(23b)가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직물 밀도(21b, 22b)가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21, 22)가 잘 접속하도록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lanar average size of the holes or spaces defined by adjacent dielectric constant chambers of the spacer layer 23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21 (22). It is believed that the fabric density 23b of the spacer layer 23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21 and 22 by relatively small external forces 21b and 22b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21; 22)는 스페이서 레이어(23)의 적어도 일부 유전율 실을 전극사 또는 상기 소재로 대체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인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21; 22)와 스페이서 레이어(2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21; 22)와 스페이서 레이어(23)의 신축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경우에도 직물 밀도에서는 차이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21; 22) may be one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dielectric layers of the spacer layer (23) are replaced by electrode yarns or the material. In this case,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21 (22) and the spacer layer 2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or shape. In addition, the stretchability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21; 22) and the spacer layer (2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difference in the fabric density even in the case described above.

배선(30)은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의류(100)을 직조할 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wiring 30 may be integrally formed when the clothes 100 are woven using conductive fibers.

센싱회로(40)는 배선(30)을 통해 센싱전극부(20)의 양단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회로(40)는 전자소자에 대응될 수 있다. 센싱회로(40)는 반도체 칩이나 모듈 구조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센싱회로(40)는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circuit 4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both ends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20 through the wiring 30. [ The sensing circuit 40 may correspond to an electronic device. The sensing circuit 40 may have a semiconductor chip or module structure or shape. The sensing circuit 40 may include hardware components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the like.

직물 패드(50)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의류(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직물 패드(50)는 배선(30)와 센싱전극부(20)의 전기적 접속에서 병목 현상이나 핫 스팟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기저항값을 갖고 설치될 수 있다.The fabric pads 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arment 100 using conductive fibers. The fabric pad 50 may be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electrical resistance value so that bottlenecks or hot spots do not occur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30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20.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30)과 직물 패드(50)나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와의 전기접 접속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추가적인 박음질이나 핫멜트 등의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means such as a staple or a hot mel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30 and the fabric pad 50 or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의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는, 일반사 또는 유전율 실로 각각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일반 직물 레이어들(23, 23c)과, 제1 및 제2 일반 직물 레이어들(23, 23c) 사이에 배치되고 도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21a, 21c)를 구비한 전도성 직물 레이어(2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general fabric layers 23 and 23c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of a general yarn or a dielectric yar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ductive fabric layer 21 disposed between the fabric layers 23 and 23c and having materials 21a and 21c dispersed in conductive particles or conductive particles.

전도성 직물 레이어(21) 내 상기 도전사나 상기 소재(21a, 21c)는 단위 제곱센티미터당 평균 밀도가 수 개의 수(실) 범위 내에서 차이를 갖고 규칙적으로 혹은 소정의 반복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균일한 배치는 외력에 의해 전도성 직물 레이어(21) 내 필라멘트들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때 전도성 직물 레이어(21)의 양단에서의 저항값이 선형적으로 혹은 반비례하여 증가하며, 그에 의해 페브릭 압력 센서의 동작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e conductive yarn or the materials 21a and 21c i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21 may be regularly or in a predetermined repetitive pattern with a difference in average density per unit square centimeters within several numbers of yarns. This uniform arrangement increases the resistance value at both ends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 21 linearly or in inverse proportion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laments i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21 increases due to the external forc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sensor can be enhanc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직물 레이어(40)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되는 센싱 회로를 통해, 제1 또는 제2 일반 직물 레이어 외측의 외력에 의해 전도성 직물 레이어가 눌릴 때, 전도성 직물 레이어 내의 도전사들이나 소재들이나 전도성 필라멘트들 간의 간격 또는 밀도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conductive fabric layer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outside the first or second general fabric layer through a sensing circuit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 40, It is possible to reliably detect a change in resistance due to a change in spacing or density between yarns or materials or conductive filament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에 채용할 수 있는 도전사 또는 전도성 섬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에 채용할 수 있는 다른 도전사 또는 전도성 섬유에 대한 부분 측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ctive or conductive fiber that may be employed in a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side view of another conductive or conductive fiber that may be employed in a fabric pressure sens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전도성 섬유(21a)로 사용되는 도전사 또는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실은, 유전율 실(211)이나 탄소섬유의 표면에 바인더(212)에 의한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213)의 분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섬유(21a)는 바인더(212)에 의해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213)과 함께 코어를 형성하는 유전율 실(211)의 표면에 분산되는 첨가재(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첨가재(214)는 흑연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5, the yarn in which the conductive fibers or the conductive particles used as the conductive fibers 21a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 are dispersed is formed in the dielectric constant chamber 211 or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fibers by the carbon nanotubes And may include dispersion of graphene 213. The conductive fiber 21a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214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constant chamber 211 forming the core together with the carbon nanotubes or the graphenes 213 by the binder 212. [ The additive material 214 may include graphite powder.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전도성 섬유(22c)는 유전율 실(23a)과 꼬여져 멀티필라멘트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섬유(22c)를 두 개의 실을 꼬은 형태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도성 섬유(22c)는 도전 특성이 표면에 노출되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as shown in FIG. 6, the conductive fibers 22c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 may be twisted with the dielectric constant chamber 23a to have a multifilament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onductive fibers 22c are formed by twisting two yar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ductive fiber 22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onductive property is exposed to the surfac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에 채용할 수 있는 센싱 회로에 대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sensing circuit that can be employed in a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회로(40)는 전원부(미도시), 신호감지부(42), 비교부(44), 생체신호 처리부(46) 및 출력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부는 배선(30)을 통해 전도성 직물 레이어(21; 22)의 도전사나 전도성 섬유의 양측 단자부들에 소정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부는 배터리, 압전 발전기, 열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발전기와 열전지는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직물이나 의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7, the sensing circuit 4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signal sensing unit 42, a comparison unit 44, a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unit 46, and an output unit 48 . The power supply unit may apply a predetermined voltage to both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conductive fibers or the conductive fibers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s 21 and 22 through the wiring lines 30. The power unit may include a battery, a piezoelectric generator, a thermocouple, etc., and the piezoelectric generator and the thermal battery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fabric or the garment using the carbon fiber.

신호감지부(42)는 전원부와 전도성 직물 레이어(20) 사이에 연결되고 전도성 직물 레이어(20)가 눌리거나 한쌍이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이 접속 면적이 증가할 때 발생하거나 변하는 물리량(저항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signal sensing portion 42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portion and the conductive fabric layer 20 and detects a physical quantity (resistance or the like) generated or changed whe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20 is pressed or a pair of conductive fabric layers increases in connection area can do.

신호감지부(42)는 부피 변화에 따른 물리양을 증폭하는 신호증폭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감지부(42)의 입력단은 센싱회로(40)의 입력부로서 신호증폭부의 입력단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The signal detecting unit 42 may include a signal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 physical quantity according to a volume change. The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sensing unit 42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input terminals of the signal amplification unit as an input unit of the sensing circuit 40.

비교부(44)는 신호감지부(42)의 출력신호를 기준신호 또는 기준레벨과 비교한다. The comparing unit 44 compares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detecting unit 42 with a reference signal or a reference level.

생체신호 처리부(46)는 감지신호 중 비교부(44)를 통해 판단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를 이용하면, 상처 치료, 상처 치료 과정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bio-signal processing unit 46 can detect a predetermined bio-signal based on the signal determined through the comparing unit 44 among the detection signals. Using these bio-signals, it is possible to perform wound healing,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wound healing process, and the like.

또한, 센싱회로(40)는 신호감지부(42)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나 이에 대응하는 생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48)는 커넥터, 통신서브시스템의 안테나, 표시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서브시스템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 이동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circuit 40 may include an output unit 48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signal sensing unit 42 or a corresponding living body signal. The output unit 48 may include a connector, an antenna of a communication subsystem, a display device,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subsystem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like.

커넥터는 기존의 다양한 형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채용될 수 있다.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통신서브시스템 등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을 연결하여 휴대 단말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체 신호나 상처 치료 과정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생체신호는 헬스케어 서버 등으로 전송되어 개인 건강관리를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be employed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various conventional forms. The connector may includ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connector, a communication subsystem,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display a biosignal, a wound healing process, and the like on a screen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course, the bio-signals can be sent to a healthcare server or the like and used to monitor personal healthcare.

출력부는 커넥터나 통신서브시스템에 더하여 추가로 포함하거나 이것을 대체하는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액정표시장치(LED) 등에 의해 감지된 생체신호를 미리 정해진 숫자나 문자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may be embodied as a display device that additionally includes or replaces a connector or a communication subsystem.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to display the bio-signal detec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LED) or the like in a predetermined number or character form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페브릭 압력 센서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상하 직물 레이어들과 이들 사이에 유전율 실로 이루어진 중간 레이어를 구비한 구조체에서 외부 압력에 따른 상하 레이어들 간의 접촉 면적 변화에 기초하여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abr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ased on the change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in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pressure in the structure having the upper and lower fabric layers and the intermediate layer made of the dielectric constant room therebetween by using the conductive fiber. So that the pressure can be measured.

또한, 본 실시예의 페브릭 압력 센서에서 일반 직물 레이어와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신장률을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성하고자 하는 압력 센서의 종류에 따라 및/또는 일반 직물 레이어의 종류나 구조에 따라 직물 레이어의 신축성에 대응하도록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신축성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abric pressure sensor of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ratio of the general fabric layer and the conductive fabric layer can be designed to be the same. To this end, the elasticity of the conductive fabric 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ressure sensor to be constructed and / or to the elasticity of the fabric layer according to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general fabric layer.

전술한 페브릭 압력 센서는 3층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층들 간의 신장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조하고자 하는 페브릭 압력 센서의 종류에 따라 및/또는 섬유의 종류나 구조에 따라 전도성 직물 레이어나 일반 직물 레이어 중 어느 한쪽의 신장률을 조정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abric pressure sensor can have a three-layer laminated structure. Also, the elongation rates between adjacent layer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For this purpose, the elongation percentage of either the conductive fabric layer or the general fabric 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fabric pressure sensor to be manufactured and / or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fib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8)

전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 사이에 배치되고 유전율 실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레이어의 두께는 50㎛ 내지 300㎛인 페브릭 압력 센서.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each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or a conductive particle dispersed material; And
A spacer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and comprising a dielectric constant chamber,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is 50 mu m to 300 mu 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레이어의 인접한 유전율 실들에 의해 한정되는 구멍이나 공간의 평면상 평균 사이즈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것보다 큰 페브릭 압력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ar average size of the hole or space defined by adjacent dielectric constant chambers of the spacer laye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는 상기 스페이서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 유전율 실을 상기 전극사 또는 상기 소재로 대체한 것인 페브릭 압력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replaces at least some dielectric constant chamber of said spacer layer with said electrode yarn or said materi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와 상기 스페이서 레이어의 신축성은 동일한 페브릭 압력 센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retchability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 and the spacer layer is the s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의 일단과 타단 각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성 직물 레이어들에 공통 연결되는 제1 및 제2 직물 패드들을 더 포함하는 페브릭 압력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fabric pads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bric layers, respective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직물 패드들에 연결되는 센싱 회로를 더 포함하는 페브릭 압력 센서.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ensing circui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bric pads.
일반사 또는 유전율 실로 각각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일반 직물 레이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일반 직물 레이어들 사이에 배치되고 도전사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소재를 구비한 전도성 직물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직물 레이어 내 상기 도전사나 상기 소재는 단위 제곱센티미터당 평균 밀도가 수 개의 수(실) 범위 내에서 차이를 갖고 규칙적으로 혹은 소정의 반복 패턴으로 배치되는 페브릭 압력 센서.
First and second normal fabric layers each of which is made up of a regular yarn or a dielectric yar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d a conductive fabr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mon fabric layers and having a conductive or conductive particle dispersed material,
Wherein the conductive yarn or the material i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is arranged regularly or in a predetermined repetitive pattern with a difference in average density per unit square centimeters within a few number of yarn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직물 레이어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일반 직물 레이어 외측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전도성 직물 레이어가 눌릴 때, 상기 전도성 직물 레이어 내의 도전사들이나 소재들이나 전도성 필라멘트들 간의 간격 또는 밀도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 회로를 더 포함하는 페브릭 압력 센서.
The method of claim 7,
A gap between conductive yarns or materials or conductive filaments i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when the conductive fabric layer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external to the first or second general fabric layer, And a sensing circuit that senses a change in resistance due to a change in density.
KR1020170155184A 2017-11-20 2017-11-20 Fabric Pressure Sensor KR102420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84A KR102420891B1 (en) 2017-11-20 2017-11-20 Fabric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84A KR102420891B1 (en) 2017-11-20 2017-11-20 Fabric Pressur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13A true KR20190057813A (en) 2019-05-29
KR102420891B1 KR102420891B1 (en) 2022-07-15

Family

ID=6667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84A KR102420891B1 (en) 2017-11-20 2017-11-20 Fabric Pressur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89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879B1 (en) * 2019-11-14 2021-02-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pressure sensor,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technical clothes including the same
WO2021045365A1 (en) * 2019-09-03 2021-03-11 전자부품연구원 Pressure sensor
KR20210079944A (en) * 2019-12-20 2021-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water pressure sensor, technical clothes including the same and providing method of SOS signal thereof
RU2800738C2 (en) * 2021-12-27 2023-07-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науки и технологий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М.Ф. Решетнева" (СибГУ им. М.Ф. Решетнева) Method for manufacturing strain-resistive sensor made in form of a woven fabric from conductive carbon fibers and dielectric fib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110A (en) * 2015-04-01 2016-10-11 실버레이 주식회사 Intergrated sensor
KR101722064B1 (en) 2015-02-25 2017-03-3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Stretchable strain sensor and sensing methode of vital siganl by using the same
US20170249041A1 (en) 2016-02-29 2017-08-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formable touch and strain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064B1 (en) 2015-02-25 2017-03-3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Stretchable strain sensor and sensing methode of vital siganl by using the same
KR20160118110A (en) * 2015-04-01 2016-10-11 실버레이 주식회사 Intergrated sensor
US20170249041A1 (en) 2016-02-29 2017-08-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formable touch and strain sens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365A1 (en) * 2019-09-03 2021-03-11 전자부품연구원 Pressure sensor
KR102209879B1 (en) * 2019-11-14 2021-02-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pressure sensor,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technical clothes including the same
KR20210079944A (en) * 2019-12-20 2021-06-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water pressure sensor, technical clothes including the same and providing method of SOS signal thereof
RU2800738C2 (en) * 2021-12-27 2023-07-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науки и технологий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М.Ф. Решетнева" (СибГУ им. М.Ф. Решетнева) Method for manufacturing strain-resistive sensor made in form of a woven fabric from conductive carbon fibers and dielectric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891B1 (en)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393B2 (en) Device intended for measuring pressure from a flexible, foldable, and/or extendable object made of a textile material and comprising a measurement device
US10945663B2 (en) Smart sens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190057813A (en) Fabric Pressure Sensor
JP3150673U (en) Wearable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interference
JP2010519528A (en) Measurement of shear force and pressure in textile products for clothing
US20220260434A1 (en) Deformable sensor
KR20160081245A (en) Three-dimensional type fabric sensor capable of vital-sign measurement and pressure measurement
JP2020016554A (en) Pressure sensitive sensor
JP6671910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KR20180083220A (en) Pressure-measurable fabric and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90057804A (en) Band type febric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77827A (en) Fiber Type Touch Pad Using Capaci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0008438A (en) Pressure-sensitiv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057815A (en) Fabric Strain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57812A (en) Electronic Textile Temperature Sensors and Clothing Using the Same
KR101789876B1 (en) Textile type hybrid controller
KR20190012823A (en) Bio signal measurement system using woven textile sensor and smart wear having the same
KR20190067590A (en)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20008439A (en) Pressure-sensitive sensor
KR101850612B1 (en) Wearable touch pointing apparatus
JP2020008437A (en) Pressure-sensitiv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9421005U (en) A kind of gloves of detectable temperature
CN109725028A (en) Humidity sensor and wearable device with it
EP2775018B1 (en) Fabric pressure switch
KR20190057811A (en) Stretchable temperature sensor using carbon nanotube shee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