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703A -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703A
KR20190057703A KR1020170154981A KR20170154981A KR20190057703A KR 20190057703 A KR20190057703 A KR 20190057703A KR 1020170154981 A KR1020170154981 A KR 1020170154981A KR 20170154981 A KR20170154981 A KR 20170154981A KR 20190057703 A KR20190057703 A KR 20190057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dump data
data
area
d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529B1 (ko
Inventor
신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57Arrangements for supporting packet reassembly or resequ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메트리(Telemetry) 송신 프레임(Frame)의 잉여 이벤트(Event) 영역을 이용한 덤프 데이터(Dump Data)전송 방법은, 상기 송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A SYSTEM FOR DUMP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성의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지상국의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목적과 임무를 위해 우주로 위성들이 발사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의 목적과 임무의 달성을 위해서 위성의 위치 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위성의 근본적인 상태 파악을 위해서는 위성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위성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덤프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의 전송에 갈음하여 수신해야 했다.
이러한 방법은 해당 시점에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를 상당시간 동안 전송하지 못하게 하여, 지상국에서 위성의 상태를 해당 시간 동안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즉, 위성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위성의 상태 파악을 위해 반드시 전송이 필요한 필수 항목들에 관한 데이터가 지상국으로 수신될 수 없었고, 이는 위성에 발생한 이상 상황 등을 지상국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상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필수 항목들에 관한 데이터의 손실 없이도 덤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텔레메트리의 송수신 프레임의 수정 없이도 필수 항목들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덤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위성과 지상국 간의 통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메트리(Telemetry) 송신 프레임(Frame)의 잉여 이벤트(Event) 영역을 이용한 덤프 데이터(Dump Data)전송 방법은, 상기 송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상기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는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 외에, 상기 이벤트 영역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지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 이후에, 헤더(Header) 영역, 제1 데이터 영역, 제2 데이터 영역, 상기 이벤트 영역 및 푸터(Footer)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프레임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때까지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프레임(Frame)의 이벤트(Event) 영역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Dump Data)의 처리 방법은, 상기 수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프레임은 복수이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의 처리와 무관하게,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메트리(Telemetry) 송신 프레임(Frame)의 잉여 이벤트(Event) 영역을 이용한 덤프 데이터(Dump Data)전송 장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송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킴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확인하고,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상기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는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 외에, 상기 이벤트 영역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지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헤더(Header) 영역, 제1 데이터 영역, 제2 데이터 영역, 상기 이벤트 영역 및 푸터(Footer)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프레임을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때까지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대해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프레임(Frame)의 이벤트(Event) 영역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Dump Data)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수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프레임은 복수이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의 처리와 무관하게,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메트리(Telemetry) 송신 프레임(Frame)의 잉여 이벤트(Event) 영역을 이용한 덤프 데이터(Dump Data)전송 시스템은, 상기 송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송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여 처리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를 상기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전송할 때까지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대해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해석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는 이벤트 슬롯에 덤프 데이터를 기록하여 필수 항목들에 대한 데이터의 손실 없이도 덤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텔레메트리의 송수신 프레임의 수정 없이도 필수 항목들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덤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나가가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과 지상국 간의 통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에 탑재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국에 탑재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메트리의 송신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이 복수의 이벤트 슬롯을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가 전체 덤프 데이터를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분할하여 포함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가 복수의 수신 프레임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여 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위성(100)과 지상국(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성(100)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가령 위성(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 및/또는 다른 행성의 주위를 공전하거나 이동하면서 지상국(200)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성(100)은 발사체등에 탑재 되어 발사대를 통하여 발사될 수 있다.
한편 위성(100)은 대기권 내에서 소정의 목적 및/또는 용도에 따라 비행하는 비행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위성(100)은 발사체 및/또는 발사대 없이도 이륙 및/또는 착륙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신호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위성(100)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신호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가령 위성(100)은 5초 주기로 신호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성(100)이 지상국(200)으로 전송하는 신호는 텔레메트리(Telemetry)로써, 프레임(Frame) 및/또는 패킷(Packet)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성(100)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프레임 및/또는 패킷을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레임 및/또는 패킷에는 해당 프레임 및/또는 패킷의 순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가령 위성(100)이 지상국(200)에 10번째로 보내는 프레임 및/또는 패킷의 경우, 해당 프레임 및/또는 패킷 내에 해당 프레임 및/또는 패킷이 10번째로 전송되는 것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 및/또는 패킷에는 상술한 순번 정보 외에, 소정의 규칙 및/또는 규격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들(가령 위성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서 덤프 데이터(Dump Data)는 위성(100)의 상태를 분석 및/또는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로, 전술한 텔레메트리에 포함되는 정보 외에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덤프 데이터는 위성(100)의 메모리에 기록된 내용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위성(100)에 탑재된 각 모듈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지상국(200)은 위성(100)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위성(100)으로부터 수신된 텔레메트리로부터 위성의 상태를 분석하며, 이에 기초하여 위성(100)을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상국(200)은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안테나와, 이러한 안테나의 각도 조절을 위한 안테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지상국(200)은 전술한 구성 외에도,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위성(100)은 전술한 텔레메트리 송신 프레임의 잉여 이벤트 영역을 이용하여 덤프 데이터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지상국(200)은 위성(100)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에 기초하여 위성(1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은 도 2에 도시된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를, 지상국(200)은 도 3에 도시된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를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에 탑재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국(200)에 탑재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양 장치(110, 210)는 제어부(111, 211), 메모리(112, 212) 및 통신부(113,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1, 211)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12, 212)는 양 장치(110, 2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12, 212)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가 송신 프레임의 잉여 이벤트 영역을 이용하여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로 전송하는 덤프 데이터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의 메모리(112)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3, 213)는 다른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령 전술한 텔레메트리)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의 제어부를 제1 제어부(111)로, 메모리를 제1 메모리(112)로, 통신부를 제1 통신부(113)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의 제어부를 제2 제어부(211)로, 메모리를 제2 메모리(212)로, 통신부를 제2 통신부(213)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메트리의 송신 프레임(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프레임(300)은 헤더(Header) 영역(310), 제1 데이터 영역(320), 제2 데이터 영역(330), 이벤트 영역(340) 및 푸터 영역(35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 영역(310) 및 푸터 영역(350)은 송신 프레임(300)의 송수신에 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가령 헤더 영역(310) 및 푸터 영역(35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이벤트 영역(340)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슬롯의 수량을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대한 상세할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헤더 영역(310) 및 푸터 영역(35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송신 프레임(300)의 전송 순서(또는 일련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영역(320) 및 제2 데이터 영역(330)은 위성(100)에서 지상국(200)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가령 제1 데이터 영역(320) 및 제2 데이터 영역(330)에는 위성(100)의 위치, 위성(100)의 속도, 위성(100)의 에너지 잔량 등과 같은 위성(100)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벤트 영역(340)은 위성(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영역으로, 각각의 이벤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은 해당 프레임(300)의 전송 시 전송해야 할 이벤트의 수에 따라 채워지는 수가 상이할 수 있다. 가령 모든 슬롯(341 내지 345)에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 또는 불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부 슬롯에만(가령 341, 342에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송신 프레임(300)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지상국(200)으로 전송 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위성(100)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덤프 데이터를 전술한 제1 데이터 영역(320) 및 제2 데이터 영역(330)에 포함시켜 수신해야 했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제1 데이터 영역(320) 및 제2 데이터 영역(330)으로 전달되던 데이터를 상당시간 동안 전송하지 못하게 하여, 지상국(200)에서 위성(100)의 상태를 해당 시간 동안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1 데이터 영역(320) 및 제2 데이터 영역(330)에는 위성(100)의 상태 파악을 위해 반드시 전송이 필요한 필수 항목들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위성(100)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지상국(200)으로 전송될 수 없었다. 이는 위성(100)에 발생한 이상 상황 등을 지상국(200)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상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영역(340)의 복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은 해당 프레임(300)의 전송 시 전송해야 할 이벤트의 수에 따라 채워지는 수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프레임(300)의 전송 시 발생한 이벤트 상황이 없는 경우 이벤트 영역(340)은 빈(Empty) 상태로도 전송이 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발생된 이벤트의 수에 따라 송신 프레임(300)의 일부 영역이 채워지지 않은 채로 지상국(200)으로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이 복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을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 중 일부 이벤트 슬롯은 이벤트 발생 상황에 따라 빈(Empty) 상태로 전송이 될 수 있다. 가령 Case 0과 같은 경우, 세 개의 이벤트 슬롯(343 내지 345)이 빈 상태로 지상국(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벤트 영역(340)의 복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 중 해당 프레임(300)의 전송시 사용되지 않는 이벤트 슬롯을 파악하고, 사용하지 않는 이벤트 슬롯에 덤프 데이터를 포함시켜 제1 데이터 영역(320) 및 제2 데이터 영역(330)으로 전송되던 데이터의 손실 없이도 덤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은 Case 1과 같이 두 개의 이벤트 슬롯(341, 342)은 이벤트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고, 세 개의 이벤트 슬롯(343 내지 345)은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ase 2와 같이 프레임의 전송 시 이벤트가 많이 발생한 경우, 모든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을 이벤트 데이터의 전송, 즉 본래의 설계 의도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은 Case 3과 같이 모든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송신 프레임(300)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위성(100)의 상태 정보의 손실 없이 덤프 데이터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텔레메트리의 포맷 및/또는 형식의 수정 없이 기존 포맷 및/또는 형식을 사용하여 덤프 데이터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의 제1 제어부(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400)를 통하여 이벤트 영역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지 유무와,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이벤트 슬롯의 수를 지상국(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4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400)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지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가 기록되는 영역(410)과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이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경우, 사용되는 이벤트 슬롯의 수가 기록되는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의 제1 제어부(111)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이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 프레임(도 4의 300)의 헤더 영역(도 4의 310) 및 푸터 영역(도 4의 350) 중 어느 하나에 포함시켜, 지상국(200)이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성(100)의 제1 제어부(111)가 텔레메트리 송신 프레임의 잉여 이벤트 영역을 이용하여 덤프 데이터를 전송 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의 제1 제어부(111)는 송신 프레임(도 4의 300)의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제어부(111)는 해당 송신 프레임(도 4의 300)을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때, 송신 프레임(도 4의 300)에 포함시킬 이벤트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가령 제1 제어부(111)는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3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5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0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 이벤트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의 각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에 기록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1)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확인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도 4의 341 내지 345)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슬롯(도 4의 341 내지 345)의 수량이 5개이고, 확인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이 3개인 경우, 제1 제어부(111)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2개로 산출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가정하에 제1 제어부(111)는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이 4개인 경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1개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이 5개인 경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0개로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1)는 산출된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1)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크기만큼의 덤프 데이터를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11)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 중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은 전술한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11)는 확인된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를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11)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의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경우 사용되는 이벤트 슬롯의 수가 기록되는 영역(420)에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11)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플래그를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의 플래그가 기록되는 영역(410)에 기록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111)는 이와 같은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를 헤더 영역(310) 및 푸터 영역(350) 중 어느 하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1)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생성된 송신 프레임(300)을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1)는 전체 덤프 데이터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때까지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전술한 과정(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는 과정,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는 과정 및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11)가 전체 덤프 데이터(500)를 복수의 송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에 분할하여 포함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500)가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제1 제어부(111)는 복수의 송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을 통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500)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가정 하에, 제1 제어부(111)는 첫 번째 송신 프레임(300A)에 전체 덤프 데이터(500)의 일부를, 두 번째 송신 프레임(300B)에도 전체 덤프 데이터(500)의 일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송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은 해당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각에 발생한 이벤트의 수량에 따라, 많은 양의 덤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가령 300C), 적은 양의 덤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가령 300X).
이로써 본 발명은 통신 자원, 특히 송신 프레임(300)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위성(100)의 상태 정보의 손실 없이 덤프 데이터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에 의해 수행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되,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100)의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송신 프레임(도 4의 300)의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S810) 바꾸어 말하면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해당 송신 프레임(도 4의 300)을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때, 송신 프레임(도 4의 300)에 포함시킬 이벤트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3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5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0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 이벤트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의 각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에 기록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확인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도 4의 341 내지 345)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S820)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슬롯(도 4의 341 내지 345)의 수량이 5개이고, 확인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이 3개인 경우,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2개로 산출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가정하에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이 4개인 경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1개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이 5개인 경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0개로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산출된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킬 수 있다.(S830)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크기만큼의 덤프 데이터를 이벤트 슬롯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341 내지 345) 중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은 전술한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확인된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를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의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경우 사용되는 이벤트 슬롯의 수가 기록되는 영역(420)에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이벤트 영역(도 4의 340)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플래그를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의 플래그가 기록되는 영역(410)에 기록할 수도 있다.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이와 같은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도 6의 400)를 헤더 영역(310) 및 푸터 영역(350) 중 어느 하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생성된 송신 프레임(300)을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84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전체 덤프 데이터가 지상국(200)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850), 전체 덤프 데이터가 모두 전송될 때까지 단계 S810 내지 단계 S840에 따른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가 상술한 과정에 따라 생성한 하나 이상의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전체 덤프 데이터를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의 제2 제어부(211)가 수신한 송신 프레임, 즉 수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를 처리 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1)는 수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이벤트 영역 내의 덤프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켜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지상국(200)에 구비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210)의 제2 제어부(211)는 이러한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참조하여, 수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1)는 수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11)는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1)가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여 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덤프 데이터를 복수의 송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을 통하여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로 전송하였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가정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1)는 첫 번째 수신 프레임(300A)으로부터 덤프 데이터의 일부를, 두 번째 송신 프레임(300B)으로부터도 덤프 데이터의 또 다른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1)는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11)는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600)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해석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은 해당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각에 발생한 이벤트의 수량에 따라, 많은 양의 덤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가령 300C), 적은 양의 덤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가령 300X).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1)는 추출된 덤프 데이터의 처리와 무관하게,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이벤트 데이터로써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통신 자원, 특히 송신 프레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위성(100)의 상태 정보의 손실 없이 덤프 데이터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에 의해 수행되는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되,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수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S1010)
전술한 바와 같이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110)는 이벤트 영역 내의 덤프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켜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지상국(200)에 구비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이러한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참조하여, 수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020)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수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S1030)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첫 번째 수신 프레임(300A)으로부터 덤프 데이터의 일부를, 두 번째 송신 프레임(300B)으로부터도 덤프 데이터의 또 다른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전체 덤프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040), 수신할 덤프 데이터가 남은 경우 전술한 S1010 내지 S1040에 따른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S1010 내지 S1040에 따른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면서,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으로부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복수의 수신 프레임(300A, 300B, 300C, 300X)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600)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해석할 수 있다.(S105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210)는 추출된 덤프 데이터의 처리와 무관하게,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이벤트 데이터로써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통신 자원, 특히 송신 프레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위성(100)의 상태 정보의 손실 없이 덤프 데이터를 지상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위성
110: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111: 제1 제어부
112: 제2 메모리
113: 제1 통신부
210: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
211: 제2 제어부
212: 제2 메모리
213: 제2 통신부
300: 송신 프레임
310: 헤더 영역
320: 제1 데이터 영역
330: 제2 데이터 영역
340: 이벤트 영역
341 내지 345: 이벤트 슬롯
350: 푸터 영역
400: 데이터 전송 지시자
410: 플래그 영역
420: 이벤트 수 기록 영역
500, 600: 전체 덤프 데이터

Claims (20)

  1. 텔레메트리(Telemetry) 송신 프레임(Frame)의 잉여 이벤트(Event) 영역을 이용한 덤프 데이터(Dump Data)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상기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는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 외에, 상기 이벤트 영역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지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더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 이후에,
    헤더(Header) 영역, 제1 데이터 영역, 제2 데이터 영역, 상기 이벤트 영역 및 푸터(Footer)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프레임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때까지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방법.
  6. 수신 프레임(Frame)의 이벤트(Event) 영역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Dump Data)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프레임은 복수이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해석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의 처리와 무관하게,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
  9.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텔레메트리(Telemetry) 송신 프레임(Frame)의 잉여 이벤트(Event) 영역을 이용한 덤프 데이터(Dump Data)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송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킴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확인하고,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을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를 상기 송신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는
    상기 덤프 데이터 슬롯의 수량 외에, 상기 이벤트 영역을 덤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지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더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헤더(Header) 영역, 제1 데이터 영역, 제2 데이터 영역, 상기 이벤트 영역 및 푸터(Footer)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프레임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때까지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대해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15. 수신 프레임(Frame)의 이벤트(Event) 영역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Dump Data)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수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여 처리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프레임은 복수이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해석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의 처리와 무관하게,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
  18. 텔레메트리(Telemetry) 송신 프레임(Frame)의 잉여 이벤트(Event) 영역을 이용한 덤프 데이터(Dump Data)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의 이벤트 영역을 통하여 전송할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슬롯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에 기초하여,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송신 프레임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 영역이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축적하여 처리하는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를 상기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전송할 때까지
    복수의 송신 프레임에 대해서 이벤트 데이터의 수량을 확인하고, 잉여 이벤트 슬롯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체 덤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잉여 이벤트 슬롯에 포함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에 대해 이벤트 영역의 덤프 데이터 포함 유무 및 상기 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슬롯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기 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덤프 데이터를 병합하여 해석하는,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170154981A 2017-11-20 2017-11-20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66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81A KR102066529B1 (ko) 2017-11-20 2017-11-20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81A KR102066529B1 (ko) 2017-11-20 2017-11-20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703A true KR20190057703A (ko) 2019-05-29
KR102066529B1 KR102066529B1 (ko) 2020-01-15

Family

ID=6667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981A KR102066529B1 (ko) 2017-11-20 2017-11-20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59B1 (ko) * 2019-09-04 2020-09-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장비의 시간 표현 방식 자동 구분 방법 및 장치
KR102369317B1 (ko) * 2020-12-03 2022-0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텔레미트리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265A (ko) * 1996-06-28 1998-03-30 김광호 프러세서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90032929A (ko) * 2007-09-28 2009-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KR101526468B1 (ko) * 2013-12-17 2015-06-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비행 소프트웨어 검증시스템 및 위성비행 소프트웨어 검증시스템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265A (ko) * 1996-06-28 1998-03-30 김광호 프러세서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90032929A (ko) * 2007-09-28 2009-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KR101526468B1 (ko) * 2013-12-17 2015-06-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비행 소프트웨어 검증시스템 및 위성비행 소프트웨어 검증시스템의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59B1 (ko) * 2019-09-04 2020-09-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장비의 시간 표현 방식 자동 구분 방법 및 장치
KR102369317B1 (ko) * 2020-12-03 2022-0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텔레미트리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529B1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125B2 (en) Satellite software verification system
US11070732B2 (en) Method for image processing, devic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ceiver
US11086530B2 (en) Providing service address space for diagnostics collection
CN107508719A (zh) 测量网络时延的方法、装置及网络节点
KR20190057703A (ko) 덤프 데이터 전송 시스템
US20080304174A1 (en) Optimizing tape speed for a sync operation
EP3079063A2 (en) Flight control system command selection and data transport
US2022001425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yste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CN110377593B (zh) 一种低轨多功能卫星对侦察目标的处理及筛选方法
CN111917770A (zh) 设备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296790B (zh) 卫星在轨软件重构方法、卫星系统及地面运控系统
CN110297926B (zh) 星载图像处理装置在轨配置方法
CN112579696A (zh) 射电天文数据多点同步复制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EP267238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synchronous event information
CN109873668B (zh) 基于运载火箭的数据组包方法、传输方法及系统
CN107453799B (zh) 卫星高速率数据地面处理系统及其测试方法
CN113438318B (zh) 云控平台的性能测试系统、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3599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6170508A (zh) 数据处理方法、终端、系统、设备、介质及产品
CN113641186A (zh) 一种无人机编队射频兼容性设计方法
CN110493081A (zh) 游戏客户端的网络流量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177011B (zh) 航天器数据解析应用方法
CA3145054A1 (fr) Systeme de transfert securise de donnees numeriques d'aeronef comprenant des systemes producteurs de donnees redondants, ensemble et procede associes
KR102411912B1 (ko) 차량 블랙박스 비디오 처리를 위한 관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wyer Embedded software design for the canadian advanced nanospace experiment generic nanosatellite b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