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640A -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640A
KR20190057640A KR1020170154821A KR20170154821A KR20190057640A KR 20190057640 A KR20190057640 A KR 20190057640A KR 1020170154821 A KR1020170154821 A KR 1020170154821A KR 20170154821 A KR20170154821 A KR 20170154821A KR 20190057640 A KR20190057640 A KR 2019005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hip
adhesive layer
electrode
layer
transf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613B1 (ko
Inventor
오태수
문준권
여환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6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전사 기판, 전사 기판 상에 배치된 접착층 및, 접착층 상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전극을 갖는 LED 칩을 포함한다. 접착층은, LED 칩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며, 제1 및 제2 전극을 노출한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표시장치(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화합물을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형 표시장치로, LCD에서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저온 제작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질 뿐 아니라 낮은 소비 전력, 넓은 시야각 및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등의 특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분 및 산소의 유입에 취약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밀봉(encapsulation)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나, 요구되는 정도의 충분한 밀봉이 어렵기 때문에 제품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소자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ED 소자는 광 변환 효율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이 매우 적으며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소자이다.
LED 소자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채용된 바 있다. 다만,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은 액정패널 등을 지나면서 광 손실이 불가피 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발광 효율을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는 액정표시장치로써,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상에서 픽셀 당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배치함으로써 구현되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발광 효율이 저하됨이 없이 LED 소자의 장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데 장점이 있는 바, 이를 상용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높은 PPI(Pixel Per Inch)를 갖는 고 해상도의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 마이크로 단위의 초소형 LED 소자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기 설정된 영역에 실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LED 칩의 얼라인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및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콘택 불량을 최소화하고, 제조 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전사 기판, 전사 기판 상에 배치된 접착층 및, 접착층 상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전극을 갖는 LED 칩을 포함한다. 접착층은, LED 칩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며, 제1 및 제2 전극을 노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전사 기판, 전사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 상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LED칩을 포함한다. 접착층은 LED 칩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노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제조 방법은, 전사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전사 기판을 덮도록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비 경화 상태의 상기 접착 물질 상에 LED 칩의 배면을 접촉시킨 후 가압하여, 접착 물질이 상기 LED 칩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LED 칩을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택 불량을 최소화한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탄화 공정 등 별도 추가 공정을 삭제함으로써, 제조 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발광 다이오드 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비교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서두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발광 다이오드 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성장 기판(10), 전사 기판(30), 및 공여 기판(20)이 마련된다.
성장 기판(10)은, LED 칩(100)을 성장시키기 위한 기재로써 이용되며, 실리콘(Si), 사파이어(Al2O3), 실리콘 카바이드(SiC), 갈륨비소(GaAs), 질화갈륨(GaN), 갈륨인(GaP), 인듐인(InP), 산화아연(ZnO), 스피넬(MgAl2O4), 산화마그네슘(MgO), 메타알루민산리튬(LiAlO2), 질화알루미늄(AlN) 및 산화리튬갈레이트(LiGaO2)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장 기판(10) 상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칩(Light Emitting Diode Chip; 이하 “LED 칩”이라 함)(100)이 성장된다. LED 칩(100)은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가함으로써 다양한 파장의 빛 에너지를 방출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이다. LED 칩(100)은 수 마이크로 단위의 작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LED 칩(100)은 제1 반도체층(101), 제2 반도체층(103), 및 활성층(105)을 포함한다. 제1 반도체층(101)은 제2 반도체층(103)의 적어도 일측 상부면 상에 형성되어, 제2 반도체층(103)의 타측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제1 반도체층(101)과 제2 반도체층(103) 사이에는 활성층(105)이 개재된다. 제1 반도체층(101) 상에는 제1 전극(107)이 형성되어, 제1 반도체층(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노출된 제2 반도체층(103) 상에는 제2 전극(109)이 형성되어, 제2 반도체층(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107)과 제2 전극(109)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전극(107) 및 제2 전극(109)는 TiO2(titanium dioxide), AZO(alumin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O(indium tin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산화물 계열의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Pedot: PSS 계열 전도성 소재, 그래핀(Graphene), 금속 와이어(metallic wir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반도체층(101)은 p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01)은 반도체 화합물, 예컨대 Ⅱ족-Ⅳ족 및 Ⅲ족-Ⅴ족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01)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01)은 InxAlyGa1-x-yN(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GaN, AlN, Al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등에서 선택될 수 있고, Mg, Zn, Ca, Sr,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03)은 n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03)은 반도체 화합물, 예컨대 Ⅱ족-Ⅳ족 및 Ⅲ족-Ⅴ족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03)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03)은 InxAlyGa1-x-yN(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GaN, AlN, Al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등에서 선택될 수 있고, Si, Ge, Sn, Se, Te 등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활성층(105)은 제1 반도체층(101)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과 제2 반도체층(103)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가 서로 만나서, 활성층(105)의 형성 물질에 따른 에너지 밴드의 밴드갭 차이에 의해서 빛을 방출하는 층이다. 활성층(105)은 단일 양자 우물(Single Quantum Well, SQW), 다중 양자 우물(Multi Quantum Well, MQW), 양자 선(quantum wire) 구조 또는 양자 점(quantum dot) 구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05)은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층(105)은 Ⅱ족-Ⅳ족 및 Ⅲ족-Ⅴ족 화합물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LED 칩(100)은 성장 기판(10) 상에서,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웃하는 LED 칩(100)들 사이의 간격(G)은 공정 상 가능한 최소 간격을 갖도록 설정된다. 즉, 성장 기판(10)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작은 성장 기판(10) 내에 많은 LED 칩(100)을 집적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기판(30)은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으로써,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다.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되는 영역은 액티브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는 최종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LED 칩(100)이 할당된다. 전사 기판(30)상에는, LED 칩(100)들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 및 전극들이 배열될 수 있다. AM(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사 기판(30)은 각 픽셀 마다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하는 픽셀들에 전사된 LED 칩(100)들은 기 설정된 간격(PI)만큼 이격되어 배열된다. 전사 기판(30)에 전사된 LED 칩(100)들 중 이웃하는 LED 칩(100)들 사이의 간격(PI)은, 표시 특성, 및 소자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공여 기판(20)은 성장 기판(10)으로부터 전사 기판(30)으로 LED 칩(10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으로써 이용된다. 공여 기판(20)은 성장 기판(10)으로부터 LED 칩(100)들을 선택적으로 픽업(pick-up)한다. 공여 기판(20)은 기 설정된 위치의 LED 칩(100)들 만을 선택적으로 픽업하고, 이들을 전사 기판(30) 상의 대응되는 픽셀들에 각각 전사시킨다. 예를 들어, 공여 기판(20)은 소정의 점착(또는, 흡착) 특성을 가짐으로써, 점착력에 의해 성장 기판(10)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LED 칩(100)들을 선택적으로 픽업할 수 있고, 점착력이 해제됨에 따라 LED 칩(100)들을 전사 기판(30)의 대응 픽셀들에 전사시킬 수 있다. 점착력의 해제는, 열적, 화학적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여 기판(20)과 성장된 LED 칩(100) 사이에는 릴리즈층(release layer)이 마련될 수 있고, 릴리즈층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점착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공여 기판(20)을 이용하여 LED 칩(100)들을 선택적으로 픽업하는 이유는, 성장 기판(10) 상에 성장된 LED 칩(100)들 사이의 간격(G)과, 전사 기판(30) 상에 전사되는 LED 칩(100)들 사이에 요구되는 간격(PI) 차이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공여 기판(20)을 통해 선택적으로 동시에 픽업될 LED 칩(100)들 중 이웃하는 LED 칩(100)들 사이의 간격은, 최종적으로, 픽셀들에 전사된 LED 칩(100)들의 간격(PI)과 대응된다.
전사 기판(30)은 공여 기판(20) 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전사 기판(30)의 액티브 영역은 공여 기판(2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액티브 영역 내에 배열된 픽셀들 모두에 LED 칩(100)들을 각각 전사시키기 위해서는, 액티브 영역과 공여 기판(20)의 면적 차에 대응하여 복수 번의 픽업/전사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2의 (a)와 (b)는 공여 기판(20)을 이용한 두 번의 전사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비교예>
도 4a 내지 도 4c는 비교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LED 칩(100)들이 성장된 성장 기판(10), 및 공여 기판(20)이 마련된다. 공여 기판(20)은 성장 기판(10)에 성장된 LED 칩(100)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픽업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공여 기판(20)은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되어, 전사 기판(30) 상에 얼라인된다. 전사 기판(30)의 상부면에는 LED 칩(100)을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GR)가 마련된다. 그루브(GR)는 전사 기판(3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IL)이 패턴됨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성장 기판(10)에 성장된 LED 칩(100)들은, 공여 기판(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픽업되고, 이송되어, 전사 기판(30) 상의 픽셀들에 각각 마련된 그루브(GR) 내에 전사된다. LED 칩(100)은 그루브(GR) 내에서 접착층(110)에 의해 전사 기판(30)에 고정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LED 칩(100)이 전사된 전사 기판(30) 상에는 도전 물질이 도포되고, 패턴되어, 제1 도전층(111)(또는 픽셀 전극) 및 제2 도전층(113)(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제1 도전층(111)은 LED 칩(100)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전극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제2 도전층(113)은 LED 칩(100)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전극에 공통 전압을 공급한다.
이때, 그루브(GR)에 의해 형성된 단차에 의해, 제1 도전층(111)과 제2 도전층(113)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11) 및/또는 제2 도전층(11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이 타겟이 되는 위치에 공급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LED 칩(100)이 수용된 그루브(GR)를 평탄화하기 위한 공정이 필수적이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GR) 내에 LED 칩(100)을 수용하고, 이 후 남은 잉여 공간을 충진재(FL)를 이용하여 충진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가 완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그루브(GR)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및 평탄화를 위한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공정 추가에 따른 공정 시간, 공정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공정 불량이 증가하여 공정 수율을 현저히 저감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이 경우, 그루브(GR) 내에 LED 칩(100)을 얼라인 시켜야 하는 등 고도의 위치 정밀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수율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또한, LED 칩(100)은 그루브(GR)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그루브(GR)의 형상에 따라, 제 위치에 올바르게 전사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쏠리어 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추후 형성되는 제1 도전층(111) 및 제2 도전층(113)과의 콘택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되는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LED 칩(100)들이 성장된 성장 기판(10), 및 공여 기판(20)이 마련된다. 공여 기판(20)은 성장 기판(10)에 성장된 LED 칩(100)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픽업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공여 기판(20)은 이송되어, 전사 기판(30) 상에 얼라인된다. 성장 기판(10)에 성장된 LED 칩(100)들은, 공여 기판(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픽업되고, 이송되어, 전사 기판(30) 상의 픽셀들 내 기 설정된 위치에 전사될 수 있다. 전사 기판(30)의 상부면에는 접착층(110)이 마련되며, LED 칩(100)은 접착층(110)에 의해 전사 기판(30)에 고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전사 기판(30)의 상부면 상에는 접착 물질이 도포된다. 비 경화 상태의 접착 물질 상에 LED 칩(100)이 전사된다. 이때, LED 칩(100)에 소정의 압력이 제공되며, LED 칩(100)에 접촉된 접착 물질은 소정의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LED에 제공된 압력에 대응하여 퍼져나가 LED 칩(100)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후, 접착 물질의 유동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경화 공정을 진행한다. 경화된 접착층(110)은 LED 칩(100)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LED 칩(100)을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즉, LED 칩(100)은, 경화 전 유동성을 띄는 접착 물질에 최초 접촉된 후, 공여 기판(20)에 고정된 채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가압되기 때문에, 틀어지지 않고 기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얼라인될 수 있다. 얼라인 이후 경화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LED 칩(100)은, 경화된 접착층(110)에 의해, 기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다.
접착층(110)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즉, LED 칩(100)이 배치된 영역에서 접착층(110)의 두께(t1)는, LED 칩(10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접착층(110)의 두께(t2) 보다 얇다. 또한, 접착층(110)은, LED 칩(100)의 측면과 접촉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일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LED 칩(100)은, 그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접착층(110)에 묻힌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를 참조하면, LED 칩(100)이 전사된 전사 기판(30) 상에는 도전 물질이 도포되고, 패턴되어, 제1 도전층(111)(또는, 픽셀 전극) 및 제2 도전층(113)(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제1 도전층(111)은 LED 칩(100)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전극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제2 도전층(113)은 LED 칩(100)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전극에 공통 전압을 공급한다.
접착층(110)이 LED 칩(100)의 측면에 접촉되어 LED 칩(100)에 의해 마련될 수 있는 단차를 보상하기 때문에, 제1 도전층(111)과 제2 도전층(113)은 LED 칩(100)이 형성된 전사 기판(30)의 상부 표면 상에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접착층(110)이 평탄화층으로써 기능한다. 따라서, 비교예와 달리, 제1 도전층(111)과 제2 도전층(113)은, 접착층(110) 상에서 접착층(110)과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평탄화 공정과 같은 추가 공정을 수행함이 없이, 단차에 의해 제1 도전층(111)과 제2 도전층(113)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비교예에서와 달리, 그루브(GR, 도 4b)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및 평탄화를 위한 추가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 추가에 따른 공정 시간, 공정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공정 불량을 저감할 수 있어 공정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비교예 대비 LED 칩(100)의 얼라인 불량을 줄일 수 있는 바, 제품 수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LED 칩(100)은 평탄한 전사 기판(30)의 상부 표면 상에 접착층(110)을 매개로 배치된다. 따라서, 그루브(GR, 도 4b) 내에 LED 칩(100)을 전사해야 하는 비교예와는 달리, LED 칩(100)을 평탄한 전사 기판(30)의 상부 표면 상에 올바르게 전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추후 형성되는 제1 도전층(111) 및 제2 도전층(113)과 LED 칩(100)과의 콘택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표시 패널(DIS)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4) 및 타이밍 콘트롤러(16)를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표시 패널(DIS)의 픽셀(PXL)들에 기입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6)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은 데이터 배선들(D1~Dm)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배선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는 표시 패널(DIS)의 픽셀(PXL)들을 선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6)는 호스트 시스템(19)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4)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데이터 구동회로(1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텔레비젼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호스트 시스템(19)은 옥외용 퍼블릭 디스플레이(public display), 및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경우, 고휘도의 장점을 갖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휘도를 요구하는 옥외용 퍼블릭 디스플레이(public display), 및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호스트 시스템(19)은 복수 개의 표시장치가 조합되어 대면적으로 마련되는 타일링 장치(Tiling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인 타일링 장치의 경우, 구분된 복수의 표시 장치들이 상호 조합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이웃하는 표시장치들 사이에 심(seam, 또는 이음매)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심은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영역에 해당하여 타일링 장치를 시청하는 이용자에게 단절감 및/또는 이질감을 주기 때문에 영상 몰입도를 현저히 저하시킨다. 본 발명과 같은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경우, 초소형의 LED 칩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LED 칩의 피치를 적절히 조정하여 경계부가 시인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입도가 개선된 타일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9)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 패널(DIS)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타이밍 콘트롤러(16)로 전송한다.
표시 패널(DIS)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표시 패널(DIS)은 장방형, 정방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이형(free form)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IS)은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픽셀 어레이는 복수의 픽셀(PXL)들을 포함한다. 픽셀(PXL)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LED 칩을 포함한다. 픽셀(PXL)들 각각은 데이터 배선들(D1~Dm, m은 양의 정수)과 게이트 배선들(G1~Gn, n은 양의 정수), 공통 배선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DIS)은 적색(R), 청색(B) 및 녹색(G)을 발광하는 적색(R), 청색(B) 및 녹색(G) 픽셀(PXL)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PXL)은 AM(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PM(Passive Matrix)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AM(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전사 기판(30)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 및 박막 트랜지스터(T)에 연결된 LED 칩(100)을 포함한다.
전사 기판(3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 탑 게이트(Top Gate) 구조, 이중 게이트 (Double Gate)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전극(G), 반도체층(A), 소스/드레인 전극(S, D)을 포함한다.
전사 기판(3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와 연결된 LED 칩(100)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와 LED 칩(100) 사이에는, 패시배이션막(PAS), 오버 코트층(OC) 및 접착층(110)이 개재된다. 접착층(110)은 LED 칩(100)을 전사 기판(30) 상에 고정시킨다.
LED 칩(100)의 제1 전극(107)은 패시배이션막(PAS), 오버 코트층(OC) 및 접착층(110)을 관통하는 제1 콘택홀(H1)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LED 칩(100)의 제2 전극(109)은 전사 기판(30) 상에 배치된 공통 배선(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공통 배선(SL)은 박막 트랜지스터(T)의 게이트 전극(G)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D 칩(100)의 제2 전극(109)은 LED 칩(100)과 공통 배선(SL) 사이에 개재된 층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GI), 패시배이션막(PAS), 오버 코트층(OC), 및 접착층(110)을 관통하는 제2 콘택홀(H2)을 통해, 공통 배선(S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사 기판(30) 상에는 게이트 전극(G)이 배치된다. 전사 기판(30)은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사 기판(30)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유연한(flexibl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탄탈륨(Ta) 및 텅스텐(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의 단층이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픽셀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분기된 일부일 수 있다.
전사 기판(30) 상에는, 공통 배선(SL)이 배치된다. 공통 배선(SL)은 각 픽셀에 공통 전압을 공급한다. 공통 배선(SL)은 게이트 전극(G)과 동일층에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사 기판(30) 상에는, 후술하게 될 LED 칩(10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반사층(RL)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반사층(RL)은,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가 전면 발광 구조(Top Emission Type)로 구현되는 경우, LED 칩(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사층(RL)은 게이트 전극(G), 및 공통 배선(SL)과 동일층에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과 공통 배선(SL)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I) 및 반도체층(A)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GI)은 게이트 전극(G)을 절연시키는 것으로,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층(A)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반도체층(A) 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소스/드레인 전극(S, D)이 배치된다. 소스 전극(S)은 반도체층(A)의 일측에 접촉되고, 드레인 전극(D)은 반도체층(A)의 타측에 접촉된다.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은 단일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일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 몰리브덴/알루미늄, 티타늄/알루미늄, 또는 구리/몰리티타늄의 2중층이거나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몰리브덴,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 또는 몰리티타늄/구리/몰리티타늄의 3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드레인 전극(S, D) 위에는, 패시베이션막(PAS)이 위치한다. 패시베이션막(PAS)은 박막 트랜지스터(ST, DT)를 보호하는 것으로 무기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시베이션막(PAS)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시베이션막(PAS) 위에는 오버 코트층(OC)이 위치한다. 오버 코트층(OC)은 하부의 단차를 평탄화하는 것으로, 포토아크릴(photo 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resin), 아크릴레이트계 수지(acrylate) 등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버 코트층(OC)은, 박막 트랜지스터(T)와 같은 하부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평탄화 층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오버 코트층(OC) 위에는, 접착 물질(ADM)이 도포된다. 접착 물질(ADM)은 Adhesive polymer, epoxy resist, UV resin, polyimide 계열, acrylate 계열, 우레탄 계열, Polydimethylsiloxane(PDMS)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 물질(ADM)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시광 영역에서 90% 이상의 투과도를 갖는 물질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 두께는 1-5㎛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접착 물질(ADM) 상에는, LED 칩(100)이 배치된다. LED 칩(100)은 접착 물질(ADM) 상에 접촉되며, 제공된 소정의 압력에 의해 접착 물질(ADM)에 매설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LED 칩(100)에 제공되는 압력은 0.1Mpa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LED 칩(100)의 배면과 측면은 접착 물질(ADM)에 의해 커버된다. 접착 물질(ADM)은 경화 전에도 소정의 접착 특성을 갖는 바, LED 칩(100)의 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LED 칩(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전극(107) 및 제2 전극(109)은 노출된다.
이후, 접착 물질(ADM)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공정을 진행함에 따라, 접착층(110)이 형성된다. 경화된 접착층(110)은 LED 칩(100)의 배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LED 칩(100)을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와 달리, 접착층(110)이 LED 칩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LED 칩(100)의 단차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충분한 단차 보상을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접착층(110)과 제1 전극(107)과의 최소 간격 및/또는 접착층(110)과 제2 전극(109)과의 최소 간격은, 비교예 대비 줄어든다.
도 8c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T)의 소스 전극(S) 일부를 노출하기 위한 제1 콘택홀(H1), 및 공통 배선(SL)의 일부를 노출하기 위한 제2 콘택홀(H2)이 형성된다. 제1 콘택홀(H1)은 접착층(110), 오버 코트층(OC), 패시베이션막(PAS)을 관통한다. 제2 콘택홀(H2)은 접착층(110), 오버 코트층(OC), 패시베이션막(PAS), 게이트 절연막(GI)을 관통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접착층(110) 및 LED 칩(100) 위에는, 제1 도전층(111) 및 제2 도전층(113)이 형성된다. 제1 도전층(111)은, LED 칩(100)의 제1 전극(107)과 접촉되고, 제1 콘택홀(H1)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의 소스 전극(S)과 접촉된다. 제1 도전층(111)은 LED 칩(100)의 제1 전극(107)과 박막 트랜지스터(T)의 소스 전극(S)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2 도전층(113)은, LED 칩(100)의 제2 전극(109)과 접촉되고, 제2 콘택홀(H2)을 통해 공통 배선(SL)과 접촉된다. 제2 도전층(113)은 LED 칩(100)의 제2 전극(109)과 공통 배선(SL)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성장 기판 20 : 공여 기판
30 : 전사 기판 100 : LED 칩
101 : 제1 반도체층 103 : 제2 반도체층
105 : 활성층 107 : 제1 전극
109 : 제2 전극 110 : 접착층
111 : 제1 도전층 113 : 제2 도전층

Claims (15)

  1. 전사 기판;
    상기 전사 기판 상에 배치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전극을 갖는 LED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LED 칩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노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LED와 중첩된 영역, 및 상기 LED와 미중첩된 영역에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LED 칩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일 구간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칩 및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은,
    상기 접착층과 직접 접촉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Adhesive polymer, epoxy resist, UV resin, polyimide 계열, acrylate 계열, 우레탄 계열, Polydimethylsiloxane(PDM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가시광 영역에서 투과율이 90% 이상인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8. 전사 기판;
    전사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LED칩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LED 칩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노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판 상에 배치되는 공통 배선; 및
    상기 LED 칩 및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접착층을 관통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접착층을 관통하여 상기 공통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콘택홀을 통해 상기 공통 배선에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배치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LED 칩과 중첩 배치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LED 칩의 측면에 직접 접촉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13. 전사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전사 기판을 덮도록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비 경화 상태의 상기 접착 물질 상에 LED 칩의 배면을 접촉시킨 후 가압하여, 접착 물질이 상기 LED 칩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LED 칩을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물질을 경화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및 상기 LED 칩 상에 도전 물질을 도포하고, 이를 패턴하여,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 기판 상에, 상기 LED 칩과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제조 방법.
KR1020170154821A 2017-11-20 2017-11-20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21A KR102500613B1 (ko) 2017-11-20 2017-11-20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21A KR102500613B1 (ko) 2017-11-20 2017-11-20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40A true KR20190057640A (ko) 2019-05-29
KR102500613B1 KR102500613B1 (ko) 2023-02-15

Family

ID=6667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21A KR102500613B1 (ko) 2017-11-20 2017-11-20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6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8392A (ja) * 2002-01-17 2003-07-31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3129A (ko) * 2006-04-18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그 제조방법
KR20110035189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장치
JP2016092110A (ja) * 2014-10-31 2016-05-2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70116633A (ko) * 2016-04-11 2017-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8392A (ja) * 2002-01-17 2003-07-31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3129A (ko) * 2006-04-18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그 제조방법
KR20110035189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장치
JP2016092110A (ja) * 2014-10-31 2016-05-2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70116633A (ko) * 2016-04-11 2017-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613B1 (ko)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252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7490110B2 (ja) 表示装置
US10937815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1398501B2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206234B (zh) 发光二极管芯片及包括该芯片的发光二极管显示设备
US11916173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633079B1 (ko)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CN108269829B (zh) 显示装置以及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KR102527303B1 (ko) 발광 표시 장치
CN109994521A (zh) 有机发光显示装置和有机发光显示面板
KR102500613B1 (ko)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037052A1 (en) Led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40069687A (ko) 발광 다이오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90109984A (ko) 발광 다이오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240186364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