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257A - 유아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257A
KR20190057257A KR1020190058951A KR20190058951A KR20190057257A KR 20190057257 A KR20190057257 A KR 20190057257A KR 1020190058951 A KR1020190058951 A KR 1020190058951A KR 20190058951 A KR20190058951 A KR 20190058951A KR 20190057257 A KR20190057257 A KR 20190057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trap
string
wearer
swad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874B1 (ko
Inventor
김영란
Original Assignee
김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란 filed Critical 김영란
Priority to KR102019005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8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를 업을 때 사용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이 쉬우면서도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도 혼자서 변형 사용이 손쉽게 가능하도록 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포대기 몸체; 상기 포대기 몸체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착용끈; 및 상기 포대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허리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벨트에는 착용끈을 'X'자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교차 부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벨트는 포대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제1 벨트끈과 포대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2 벨트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벨트끈과 제2 벨트끈에는 상호 결합되는 스냅단추가 마련되어, 착용끈의 고정과 해제를 신속히 할 수 있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포대기{BABY WRAPPER}
본 발명은 유아를 업을 때 사용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유아를 업을 때 사용한다. 포대기는 유아의 무게가 아래로 쏠리는 것을 잡아주기 위한 수단으로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 또는 어깨에 착용하는 길이가 긴 착용끈이 마련된다. 허리벨트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하고 긴 착용끈은 어깨에 걸쳐서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착용자가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포대기를 혼자서 착용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긴 착용끈이 이리저리 움직이기 때문에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포대기를 착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5694호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이 쉬우면서도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도 혼자서 변형 사용이 손쉽게 가능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포대기 몸체; 상기 포대기 몸체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착용끈; 및 상기 포대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허리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벨트에는 착용끈을 'X'자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교차 부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벨트는 포대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제1 벨트끈과 포대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2 벨트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벨트끈과 제2 벨트끈에는 상호 결합되는 스냅단추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착용끈에는 착용끈을 여러 겹으로 접은 상태로 스냅단추 또는 원터치 탈착 착용장치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대기 몸체의 하부에는 일측 단부가 포대기 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타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대기 몸체 내부 충전재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1 조임줄과, 타측 단부가 포대기 몸체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일측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포대기 몸체 내부 충전재를 감싸는 외피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조임줄을 포함하여, 제1 조임줄과 제2 조임줄을 동시에 잡아당겨 포대기 몸체의 가로 폭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임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벨트끈과 제2 벨트끈에 구비된 스냅단추를 통해 착용끈을 'X'자 형태로 신속히 고정하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어,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도 혼자서 손쉽게 포대기식 또는 아기띠식으로 변형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끈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필요시 손쉽게 착용끈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임줄을 통해 포대기 몸체의 가로 폭 사이즈를 동시에 줄일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고, 조임장치에 의해 유아와 착용자의 불편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끈으로 착용끈을 고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끈으로 착용끈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벨트로 착용끈을 고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벨트로 착용끈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보호망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보호망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보호망의 당김줄을 당겨 머리보호망 상부를 조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유아용 포대기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유아용 포대기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보호망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끈에 원터치 탈착 착용장치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다양한 착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 몸체를 일부 절개하여 조임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장치의 착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는 포대기 몸체(10), 착용끈(20) 및 허리벨트(30)를 포함한다. 착용끈(20)에는 고정끈(21)이 구비되고 허리벨트(30)에는 고정벨트(31)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포대기 몸체(10)는 유아 신체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포대기 몸체(10)의 착용시 대략 착용자의 배와 가슴 부위에 위치하는 포대기 몸체(10) 부위 내부에는 수납부(12)가 구비된다. 수납부(12)에는 아이스 팩이 수용될 수 있다. 아이스 팩을 통해 여름에 시원한 상태로 포대기를 착용할 수 있다. 수납부(12)의 입구에는 지퍼(11)가 구비된다. 수납부(12)는 지퍼(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기 몸체(10)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착용끈(20)에는 일체로 고정끈(21)이 구비되어, 고정끈(2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끈(21)은 착용끈(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끈(20)의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끈(20)의 양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끈(21)은 착용끈(20)을 여러 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착용끈(20)을 여러 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고정끈(21)으로 고정하면 포대기의 착용이 매우 쉽다. 예를 들면 착용끈(20)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바닥에 끌리게 되면 유아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포대기 착용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고정끈(21)에 의해 여러 겹으로 정리된 착용끈(20)은 바닥에 끌리지 않기 때문에 포대기의 착용이 매우 쉽다.
그리고 포대기 착용시 고정끈(2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면 되므로 포대기를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다.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길게 늘어진 착용끈(20)을 유아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누구의 도움없이 혼자서 착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고정끈(210)을 통해 여러 겹으로 접힌 착용끈(20)을 고정하거나 이를 해제함에 있어, 스냅단추(50) 또는 원터치 탈착 착용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단추(50) 또는 원터치 탈착 착용장치는 고정끈(21)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허리벨트(30)는 포대기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된다. 허리벨트(30)의 끝단에는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착용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장치는 등산용 벨트에 구비되는 원터치 탈착 착용장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착용장치는 이미 알려진 기술로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벨트(30)에는 착용끈(2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31)가 구비되며, 도 4와 같이 포대기 착용시 착용끈(20)을 어깨에 걸친 다음 좌우 양측의 착용끈(20)을 'X'자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교차 부위를 고정벨트(31)로 고정한다.
고정벨트(31)는 일 예로 포대기 몸체(10)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제1 벨트끈과 포대기 몸체(10)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2 벨트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벨트끈과 제2 벨트끈의 단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스냅단추(50)가 마련되며, 스냅단추(50)에 의해 제1 벨트끈과 제2 벨트끈을 결합시킴으로써 착용끈(20)을 'X'자 형태로 신속히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도 혼자서 손쉽게 포대기식 또는 아기띠식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다.
고정벨트(31)로 "X"로 교차시킨 착용끈(20)을 고정함으로써 유아나 포대기 착용자 모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끈(20)이 교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아의 무게가 아래로 쏠리지 않도록 지탱해주기 때문에 포대기 착용자는 한결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포대기 몸체(10)의 상부에는 포대기 몸체(10)와 탈부착 가능하거나 별도 분리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머리보호망(40)이 구비된다. 일 예로 머리보호망(40)이 포대기 몸체(10)와 분리될 경우 잃어버리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냅단추 또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 등과 같은 탈부착 수단으로 머리보호망(40)을 포대기 몸체(1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보호망(40)은 메시원단부(41), 당김줄(42) 및 착용벨트부(43)를 포함한다. 메시원단부(41)는 유아의 머리 부위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당김줄(42)은 메시원단부(41)의 상부 내부를 통과한다. 당김줄(42) 양단은 메시원단부(41)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노출된다. 착용벨트부(43)는 메시원단부(41)의 하부에 구비된다. 착용벨트부(43)에는 허리벨트(30)에 구비된 원터치 탈착 착용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메시원단부(41)가 펼쳐진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당김줄(42)을 당기면 착용벨트부(43)의 상부를 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당김줄(42)을 당겨서 착용벨트부(43)의 상부를 조임으로써 유아가 잠들었을 때 고개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 줄 수 있다. 메시원단부(41)는 원단 자체가 메시(mesh) 구조로서 유아가 숨 쉬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다. 메시원단부(41)는 어느 정도 쿠션 및 신축감이 있는 원단이어야 한다.
도 16,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기 몸체(10)의 하부에는 포대기 몸체(10)의 가로 폭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임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임장치(60)는 제1 조임줄(61) 및 제2 조임줄(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임줄(61)은 일측 단부가 포대기 몸체(10)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타측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포대기 몸체(10) 내부의 충전재(14)의 타측에 고정되며, 제2 조임줄(62)은 타측 단부가 포대기 몸체(10)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일측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포대기 몸체(10) 내부의 충전재(14)를 감싸는 외피(13)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 조임줄(61) 및 제2 조임줄(62)은 좌우 양측에서 동시에 잡아당길 수 있도록 끝단 부위가 포대기 몸체(10)의 좌우 양측으로 노출되어 있는바, 제1 조임줄(61)과 제2 조임줄(62)을 동시에 잡아당김으로써 포대기 몸체(10)의 가로 폭을 균형있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임줄(61)과 제2 조임줄(62)로 구성된 조임장치(60)는 포대기 몸체(10)의 가로 폭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다른 부속품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부속품에 따른 걸림으로 유아와 착용자의 불편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착용과정을 설명한다.
착용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포대기 몸체(10)로 유아의 신체를 감싼다. 이와 동시에 도 3과 같이 고정끈(21)에 의해 여러 겹으로 접힌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착용끈(2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서 착용끈(20)을 어깨에 착용한다.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착용끈(20)이 고정끈(21)에 의해 정돈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에 끌리지 않아 포대기 착용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착용끈(20)을 어깨에 걸쳐서 앞으로 "X"와 같은 형태로 교차하여 착용할 경우 착용끈(20)의 교차 부위를 도 4, 5와 같이 고정벨트(31)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착용끈(20)의 교차 부위를 한번 잡아줌으로써 착용끈(2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치하고 이로 인해 유아는 물론 착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9, 10과 같이 고정끈(21) 및 고정벨트(31)를 통해 유아를 안은 상태 또는 업은 상태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유아용 포대기를 착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8과 같이 머리보호망(40)으로 유아의 머리를 감싼 다음 당김줄(42)을 당겨서 메시원단부(41) 상부를 조인다. 이와 같이 메시원단부(41) 상부를 조임으로써 잠든 유아의 머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 줄 수 있다. 머리보호망(40)의 착용벨트부(43)를 착용자의 겨드랑이 부위 둘레를 감싸도록 착용하면 도 11과 같이 유아의 머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착용자의 안정감은 더욱 배가될 수 있다.
유아용 포대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착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의 (a)와 같이 착용끈(20)을 도 13의 (b)와 같이 백팩의 어깨 끈 형태로 만든 상태에서 허리벨트(30)를 먼저 착용하고, 착용자 어깨에 어깨 끈 형태의 착용끈(20)을 어깨에 착용하면 착용이 매우 편하다. 또한, 도 14의 (a), (b), (c), (d) 순서대로 유아용 포대기를 착용하거나, 도 15의 (a), (b), (c), (d) 순서대로 유아용 포대기를 착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조임장치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임장치를 통해 아이 월령별 체격에 상관없이 포대기를 착용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격이 작은 아이의 경우에는 도 18의 (a)와 같이 노출된 제1 조임끈(61)의 일측 단부와 제2 조임끈(62)의 타측 단부를 잡아당겨 포대기 몸체(10)의 가로 폭 사이즈를 아이의 가랑이 사이즈에 맞추어 줄인다. 그런 다음 도 18의 (b)와 같이 사이즈가 줄여진 가로 폭 부위를 아이의 가랑이 사이로 넣어 허리벨트(30)를 착용한다. 줄여진 가로 폭 부위가 아이의 엉덩이 부위를 받쳐주면서 아이의 다리 벌어짐을 안정적으로 조여줄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착용자의 힘도 덜 들 수 있다. 체격이 큰 아이의 경우에는 도 18의 (c)와 같이 조임장치를 조절하지 않고 도 18의 (d)와 같이 포대기 몸체(10) 하부 양측으로 아이의 양쪽 발이 나오도록 유아용 포대기를 착용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는 착용이 매우 쉽고 착용 후 유아는 물론 착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착용끈을 여러 겹으로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 및 착용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를 통해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포대기를 혼자서도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에 아이스 팩을 넣어 무더운 여름철에도 포대기를 시원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머리보호망을 통해 유아 머리를 부위를 감싸 유아에게 안정감을 주고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포대기 몸체 11: 지퍼
12: 수납부 13: 외피
14: 충전재
20: 착용끈 21: 고정끈
30: 허리벨트 31: 고정벨트
40: 머리보호망 41: 메시원단부
42: 당김줄 43: 착용벨트부
50: 스냅단추
60: 조임장치 61: 제1 조임줄
62: 제2 조임줄

Claims (3)

  1. 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포대기 몸체; 상기 포대기 몸체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착용끈; 및 상기 포대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허리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벨트에는 착용끈을 'X'자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교차 부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벨트는 포대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제1 벨트끈과 포대기 몸체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2 벨트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벨트끈과 제2 벨트끈에는 상호 결합되는 스냅단추가 마련되어, 착용끈의 고정과 해제를 신속히 할 수 있는 유아용 포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끈에는 착용끈을 여러 겹으로 접은 상태로 스냅단추 또는 원터치 탈착 착용장치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이 일체로 구비되는 유아용 포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기 몸체의 하부에는 일측 단부가 포대기 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타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대기 몸체 내부 충전재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1 조임줄과, 타측 단부가 포대기 몸체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일측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포대기 몸체 내부 충전재를 감싸는 외피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조임줄을 포함하여, 제1 조임줄과 제2 조임줄을 동시에 잡아당겨 포대기 몸체의 가로 폭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임장치가 마련되는 유아용 포대기
KR1020190058951A 2019-05-20 2019-05-20 유아용 포대기 KR102134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51A KR102134874B1 (ko) 2019-05-20 2019-05-20 유아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51A KR102134874B1 (ko) 2019-05-20 2019-05-20 유아용 포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17A Division KR20180050200A (ko) 2016-11-04 2017-06-29 유아용 포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57A true KR20190057257A (ko) 2019-05-28
KR102134874B1 KR102134874B1 (ko) 2020-07-16

Family

ID=6665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951A KR102134874B1 (ko) 2019-05-20 2019-05-20 유아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8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2814A (ko) * 2006-12-08 2008-06-12 이진섭 발열기능을 가지는 아기 포대기
KR20100007076U (ko) * 2008-12-31 2010-07-08 권오용 유아용 포대기
KR101125694B1 (ko) 2011-08-08 2012-03-27 유지호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101558175B1 (ko) * 2015-05-29 2015-10-08 황경희 포대기
KR20150004498U (ko) * 2014-06-09 2015-12-17 임지연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2814A (ko) * 2006-12-08 2008-06-12 이진섭 발열기능을 가지는 아기 포대기
KR20100007076U (ko) * 2008-12-31 2010-07-08 권오용 유아용 포대기
KR101125694B1 (ko) 2011-08-08 2012-03-27 유지호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20150004498U (ko) * 2014-06-09 2015-12-17 임지연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KR101558175B1 (ko) * 2015-05-29 2015-10-08 황경희 포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874B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0352B2 (en) Baby carrier
US7287676B2 (en) Baby blanket for use with front-worn baby carrier
US9750353B2 (en) Child carrier and methods of use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ES2655879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para un bebé o un niño pequeño
US20110240693A1 (en) Baby carrier with tie straps
JP2007503879A (ja) 外囲システムを備えたベビーキャリア
US10165802B2 (en) Infant positioning and swaddling wrap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101521766B1 (ko)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US20140283277A1 (en) Medical wrap for neonatal kangaroo care
US3769938A (en) Safety support for babies
US5715535A (en) Apparatus for cradling a baby
CA1332928C (en) Baby carrier
US20190246811A1 (en) Infant carrier
RO134871A2 (ro) Sistem de purtat copiii care cuprinde un sistem de prindere şi ajustare progresivă simultană a lăţimii şi lungimii panoului de susţinere dorsală
KR20150004498U (ko)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KR20190057257A (ko) 유아용 포대기
KR20100044985A (ko) 아기띠
RO132963A2 (ro) Sistem de purtat copii, cuprinzând mecanisme de ajustare multiplă
CN107536339A (zh) 一种婴儿抱被
KR20180050200A (ko) 유아용 포대기
KR200289461Y1 (ko) 유아용 포대기
CN218164727U (zh) 一种婴儿背带
JPS61274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