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604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6604A KR20190056604A KR1020170153717A KR20170153717A KR20190056604A KR 20190056604 A KR20190056604 A KR 20190056604A KR 1020170153717 A KR1020170153717 A KR 1020170153717A KR 20170153717 A KR20170153717 A KR 20170153717A KR 20190056604 A KR20190056604 A KR 201900566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amper
- space
- outdoor
- in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24F2003/146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using rotating re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유로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댐퍼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adjusts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r keeps the room pleasant by ventilating the room air.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냉방, 난방,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cooling, heating, air purification, ventilation and the like have been added to the air conditioner to develop a technique for keeping indoor air pleasantly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종래의 공기조화기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2838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이 공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2838 entitled "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 is disclosed as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상기 종래기술의 공기조화기에는 양단이 실내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1영역과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습로터가 나타나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related art includes a first air passage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 second air passage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 first area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A dehumidifying rotor including a second region is shown.
상기 공기조화기가 제습모드로 가동되는 경우, 제습로터의 제1영역에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시키고, 상기 흡착된 습기는 제습로터가 회전되어 제2영역에서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된다.Wherein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in the dehumidification mode, moisture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adsorb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the adsorbed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gion in the second region by the rotation of the dehumidifying rotor .
이 경우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gion are disposed so as to be the same,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is reduced.
이러한 문제점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is probl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1공기유로(1)를 유동하는 실내공기는 제습로터(3)의 제1영역(3a)의 일측면(A)을 지나 타측면(C)을 순차 통과한다. 따라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습기는 일측면(A)에서 다량 흡착되고, 타측면(C)에는 소량 흡착된다.The room air flowing through the
이와 같이 습기가 다량 흡착된 제습로터(3)의 일측면(A)이 회전하여 제2영역(3b)의 B 지점에 위치하고, 습기가 소량 흡착된 제습로터(3)의 타측면(C)이 제2영역(3b)의 D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one side A of the
이 상태에서 제2공기유로(2)를 유동하는 실외공기가 다량의 습기가 흡착되어 있던 제2영역(3b)의 일측면(B)을 통과하면서 습도가 높아진 후 제2영역(3b)의 타측면(D)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높아진 습도로 인해 제2영역(3b)의 타측면(D)에 흡착되어 있던 습기가 제2영역(3b)의 타측면(D)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되는 비율이 떨어져 재생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그 후 제습로터(3)가 더 회전하면, 제2영역(3b)의 타측면(D)에서 공기에 방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습기가 제1영역(3a)의 타측면(C)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공기유로(1)를 유동하는 실내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The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2 passes through one side B of the
또한, 공기조화기가 환기모드가 가동되는 경우에는 전열교환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겨울철에 환기모드로 가동되면 제1공기유로(1)를 통해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제2공기유로(2)를 통해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 실내공기가 제1영역(3a)을 통과함에 따라 일측면(A)의 온도는 많이 올라가는 반면, 타측면(C)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올라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습로터(3)가 회전하여 온도가 많이 올라간 일측면이 B위치가 되고, 온도가 덜 올라간 타측면이 D위치가 되면,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제2공기유로(2)를 유동하여 먼저 B위치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온도가 어느 정도 상승하나, 실내로 유입되기 직전에 온도가 상대적으로 덜 올라간 타측면(D)을 통과해야 하므로, 실내공기에서 실외공기로의 열전달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in the ventilation m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total heat exchange is deteriorated. That is,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in the ventilation mode in winter, the warm air in the roo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공기조화기에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부가 나타나 있다.Further, the air conditioner of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has a flow path switching portion for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first air path and the second air path.
상기 유로전환부가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면,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공기유로의 방향 전환을 위한 댐퍼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공기조화기 내부에 이와 같은 복수의 연결부 및 댐퍼가 구비되면 공기조화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장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air passage switch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air passage and the second air passage and a damp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air passage should be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becomes complicated and the apparatus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조화기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로를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전환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witch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flowing into an air conditioner throug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부를 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can simplify the structure by integrally providing the air introduction par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re introduc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댐퍼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유로전환시간을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a load of a driving unit for driving a damper for switching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and reducing the time for switching the air pass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대향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by allowing room air and outdoor air passing through a dehumidification rotor to form a counter flow.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공기가 대향류를 형성하면서도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iz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can be reduced while forming a countercurrent f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회전에 의해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상기 흡착된 수분을 방출하는 제습로터,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일측인 실내측과 타측인 실외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일측인 실내측과 타측인 실외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3공간부와 제4공간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실내에서 유입된 실내공기를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실외에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댐퍼가 구비된 공기도입부; 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humidification rotor for absorbing moisture or releasing moisture adsorbed thereto while alternately passing through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by rotation,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air flow path and at the other side of the air flow path respectively,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third space portion and a fourth space portion; An air introducing unit having a damper for guid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to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guid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 to the other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channels; .
상기 공기도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구비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with a partition wall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댐퍼는 상기 공기도입부 내부공간을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로 분할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로 각각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damper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air introduction part into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to guide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to flow into any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the other one .
상기 댐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와 제3댐퍼부재와 제4댐퍼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댐퍼의 양측단이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댐퍼를 기준으로 나뉘어진 공기도입부 내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댐퍼가 회전하여 상기 댐퍼의 양측단이 상기 제3댐퍼부재와 제4댐퍼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댐퍼를 기준으로 나뉘어진 공기도입부 내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A first damper member, a second damper member, a third damper member, and a fourth damper member are provided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damper, respectively; Both side ends of the damper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damper member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respectively, to block the flow of air between the air-introducing-portion internal spaces divided by the damper; The damper rotates so that both side ends of the damp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damper member and the fourth damper member, respectively, so that the flow of air can be blocked between the air introducing portion internal spaces divided by the damper.
상기 제3댐퍼부재는, 상기 댐퍼의 일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와, 상기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댐퍼부재는, 상기 댐퍼의 타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와, 상기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third damper member comprises a damper abutt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damper abuts and an air interrupting portion extending in a bent shape at the end of the damper abutting portion to block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port; The fourth damper member may include a damper contact portion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damper contacts and an air shutoff portion that extends in a bent shape at the end of the damper contact portion and block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상기 제3댐퍼부재의 공기차단부는 상기 제3댐퍼부재의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댐퍼부재의 공기차단부는 상기 제4댐퍼부재의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3댐퍼부재의 공기차단부와 상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Wherein the air damper of the third damper member extends upward or downward at the end of the damper contact portion of the third damper member and the air damper of the fourth damper member extends from the end of the damper abutment portion of the fourth damper member And can exten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blocking portion of the third damper member.
상기 본체부와 공기도입부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에서, 상기 제1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1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4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ace portion in the partition wall that blocks the body portion and the air introduction portion, A second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fourth space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댐퍼는,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4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로 설정되거나;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4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Wherein the damper causes the indoor air flowing through the indoor inlet port to flow to the first space portion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outdoor inlet port to flow into the fourth space portio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Or to a first position for actuating the actuator; A second space for flow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space for flow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sition.
상기 댐퍼는,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실내측 댐퍼와,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실외측 댐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damper includes an indoor damper for guiding either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port and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port to flow through any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an outdoor damper for guiding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to flow through the other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상기 실내측 댐퍼와 실외측 댐퍼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연결부재의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실내측 댐퍼가 상기 실내측 댐퍼의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 중 어느 하나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측 댐퍼가 상기 실외측 댐퍼의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실외공기를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 중 어느 하나로 유동시킬 수 있다.Wherein the indoor damper and the outdoor damper are hinged to both ends of a connecting member for vertically dividing an inner space of the air inlet portion; Wherein the indoor damper is rotated to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with the hinge of the indoor damper as a center of rotation to cause the indoor air to flow into either the upper space or the lower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 And the outdoor damper is rotated such that the hinge of the outdoor side damper is positioned at either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hinge of the outdoor side damper to flow the outdoor air into any one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
상기 실내측 댐퍼와 실외측 댐퍼가 회전하는 경우 상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nd a rotation restricting member for restricting the up-and-down rotation angle when the indoor damper and the outdoor-side damper rotate.
상기 본체부와 공기도입부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에서, 상기 제3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3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2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open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third space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pace portion in the partition wall that blocks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ir introduction portion, A second opening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second space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실내측 댐퍼와 실외측 댐퍼는,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로 설정되거나;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Wherein the indoor damper and the outdoor damper allow the indoor air flowing through the indoor inlet port to flow into the third space portion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outdoor inlet port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Or to a first position fo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part; A second space for flow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into the third spac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space for pass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through the second opening to the second space, Position.
상기 제1공간부는 제3공간부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2공간부는 제4공간부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The first space portion may be stacked on the third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may be stacked on the fourth space portion.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는 단차를 가지고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대향류를 형성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gion may form a counterflow that flows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 step difference.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제1공기와 제2공기가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2개의 공기유로;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댐퍼;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댐퍼;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air passages formed so that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flow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first damper for guiding either one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through any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a second damper for guiding the remaining one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through the other of the two independent air channels.
상기 제1댐퍼는 일측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2댐퍼는 일측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1댐퍼의 회전축과 상기 제2댐퍼의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damper is hingedly coupled to a rotary shaft on one side so as to guide any one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into one of the two air flow paths; Wherein the second damper is hingedly coupled to a rotary shaft on one side to guide the other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to the other one of the two air channels;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dampe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amper.
이 경우 상기 2개의 공기유로는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wo air flow paths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the connecting member therebetween.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로를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전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er can be switched using a simple structure.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부를 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하고, 공기도입부의 내부에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simplified by providing the air introduction part in which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re introduce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damper inside the air introduction part.
또한, 실내측과 실외측에 댐퍼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댐퍼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유로전환시간을 줄일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damper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the load of the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damper for switching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flow path can be reduced, and the flow path switching time can be reduced.
또한,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대향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room air and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to form a counter flow.
또한,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공기가 대향류를 형성하면서도 제습로터 전후의 공간을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forms a counter flow,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reduced by making the space before and after the dehumidification rotor a laminated structure.
또한, 본체부와 공기도입부 사이에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로의 경로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시 정압손실을 최소화시켜 송풍기의 부하를 줄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air to flow through the opening por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air introduction portion, the path of the air flow path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static pressure loss during the air flow,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blower,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도 1은 종래의 제습로터에서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도입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도입부의 댐퍼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도입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도입부의 댐퍼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C-C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D-D 단면도
도 13은 제1실시예의 본체부와 제2실시예의 공기도입부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도입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ir flow in a conventional dehumidification rotor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amper of the air introduction part is rotat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amper of the air introduction part is rotat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8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8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8
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air inlet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combined;
1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introdu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는, 그 내부에 제습로터(121)와 제1열교환기(122)와 제2열교환기(123)가 구비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부(150)로 이루어진다.2, the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일측면에는 실내공기(제1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유입구(10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타측면에는 실외공기(제2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유입구(103)가 구비된다. An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는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실내 배출구(10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면에는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실외 배출구(104)가 구비된다.An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회전에 의해 제1영역(121a)과 제2영역(121b)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상기 흡착된 수분을 방출하는 제습로터(121)가 구비된다. 상기 제습로터(121)에는 그 내부에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A
제습 모드시 제1영역(121a)에 위치한 흡착재는 제1영역(121a)을 통과하는 실내공기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을 흡착한다. 상기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가 회전하여 제2영역(121b)에 위치하게 되면, 제2영역(121b)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제습하게 된다. In the dehumidifying mode, the adsorbent located in the
상기 제습로터(121)는 중앙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The
이 경우 제1영역(121a)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영역(121b)을 통과하는 공기는 대향류를 형성한다. 여기서 대향류(對向流)란 공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습로터(121)를 통과하는 공기가 대향류를 형성하면 제습효율 및 전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cas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본체부(110)에는 제1영역(121a)과 제2영역(121b)을 통과하는 공기의 가열 또는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트펌프가 구비된다.The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26), 상기 압축기(126)에서 압축된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제1열교환기(122; 난방시) 또는 제2열교환기(123; 제습/냉방시), 상기 제1열교환기(122) 또는 제2열교환기(123)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124), 상기 팽창밸브(124)에서 감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제2열교환기(123; 난방시) 또는 제1열교환기(122; 냉방시), 상기 압축기(126)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냉방과 난방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열교환기(122)와 제2열교환기(123)는 응축기와 증발기로 교대로 작동한다. The heat pump includes a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제1송풍기(141)와 제2송풍기(142)가 구비된다. A
상기 제1송풍기(141)와 제습로터(121)의 제1영역(121a) 사이에는 실내로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145)는 수조에 채워진 물에 침지되어 수분이 흡착된 가습필터를 공기가 통과함으로써 습도를 높이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145)에 의해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다.Between the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 상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126a,126b,126c)가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도 3을 참조하여, 본체부(1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공간이 제1 내지 제4공간부(111,112,113,114)가 2층의 육면체 적층구조로 되어 있고, 외부커버(135)로 둘러싸여 있다.The
상기 제1공간부(111)와 제2공간부(112)는 상기 제습로터(121)의 제2영역(121b)을 사이에 두고, 제2영역(121b)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일측인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제3공간부(113)와 제4공간부(114)는 상기 제습로터(121)의 제1영역(121a; 도 6)을 사이에 두고, 제1영역(121a)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일측인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The
상기 제1공간부(111)와 제2공간부(112)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공간부(111)의 하부에는 제3공간부(113)가 적층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112)의 하부에는 제4공간부(114)가 적층 구조로 배치된다.The
상기 제1공간부(111)와 제3공간부(113)는 제1분리판(131)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공간부(112)와 제4공간부(114)는 제2분리판(132)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부(111)와 제2공간부(112)는 제3분리판(133)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3공간부(113)와 제4공간부(114)는 제4분리판(134; 도 7)에 의해 구획된다.The
상기 제1영역(121a)은 본체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영역(121b)은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영역(121a)과 제2영역(121b)은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연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제1열교환기(122; 도 6)는 제4공간부(114)에 구비되어 제1영역(121a)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킨다. 상기 제2열교환기(123)는 제1공간부(111)에 구비되어 제2영역(121b)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킨다.The first heat exchanger 122 (FIG. 6) is provided in the
상기 제1송풍기(141)는, 실내공기를 실내 유입구(101)로부터 흡입하여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유동시키거나, 실외공기를 실외 유입구(103)로부터 흡입하여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제3공간부(113)에 구비된다. 상기 제1송풍기(141)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제3공간부(113)에 연통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는 실내 배출구(102)에 연결되어 있다.The
상기 제2송풍기(142)는 실내공기를 실내 유입구(101)로부터 흡입하여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유동시키거나, 실외공기를 실외 유입구(103)로부터 흡입하여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유동시키기 위해 제2공간부(112)에 구비된다. 상기 제2송풍기(142)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제2공간부(112)에 연통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는 실외 배출구(104)에 연결되어 있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송풍기(141)와 제2송풍기(142)는 단차를 갖는 서로 다른 높이의 제3공간부(113)와 제2공간부(11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제3공간부(113)에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본체부(110)와 공기도입부(150) 사이를 구획하기 위해 격벽(13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도입부(150)는 격벽(130)을 경계로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A
상기 격벽(130)에는 제1개구부(130a)와 제2개구부(130b; 도 6)가 형성되어 있어,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과 제1공간부(111)가 상기 제1개구부(130a)를 통해 연통하고,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과 제4공간부(114)가 상기 제2개구부(130b)를 통해 연통한다. 또한,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과 제2공간부(112) 사이,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과 제3공간부(113) 사이는 상기 격벽(130)에 의해 각각 차단된다. 상기 제1개구부(130a)와 제2개구부(130b)는 격벽(130)에서 제1공간부(111)와 제4공간부(114)에 각각 연통하도록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일측면으로서 실내측에는 실내 유입구(10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타측면으로서 실외측에는 실외 유입구(103)가 구비된다.One side of the
상기 실내 유입구(101)는 상기 제1공간부(111) 및 제3공간부(113)에 인접한 실내측에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실외 유입구(103)는 상기 제2공간부(112) 및 제4공간부(114)에 인접한 실외측에 구비되어 실외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실내 유입구(101)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외 유입구(103)에도 실외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door air inlet (101) is provided on the indoor side adjacent to the first space portion (111) and the third space portion (113), and room air flows i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습로터(121)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대향류를 형성하여 제습 효율 및 전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를 육면체로 구성하고, 제1 내지 제4공간부(111,112,113,114)를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와 공기도입부 사이에 개구부(130a,130b)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로의 경로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시 정압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oom air passing through the
또한, 제1개구부(130a)와 제2개구부(130b)는 격벽(130)에서 단차를 갖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송풍기(141)와 제2송풍기(142)는 단차를 갖는 공간부(113,112)에 각각 구비되며, 제습로터(121)의 제1영역(121a)과 제2영역(121b)도 단차를 갖도록 구비되어, 공기조화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대향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공기유로의 경로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시 정압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송풍기의 부하를 줄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도 4를 참조하여 공기도입부(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실내 유입구(101)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와, 상기 실외 유입구(103)로부터 유입된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가 댐퍼(151)를 경계로 서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독립적으로 유동하게 된다.An air passag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flowing from the
이와 같이 2개의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경우, 댐퍼(151)를 구비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독립된 공기유로를 각각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two air flow paths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댐퍼(151)는 판 형상으로서 회전축(15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환기모드시 도 5(a)와 같이 댐퍼(151)가 수직방향이 되는 제1위치로 설정되고, 제습모드시 도 5(b)와 같이 댐퍼(151)가 수평방향이 되는 제2위치로 설정됨으로써 공기유로의 방향을 전환시킨다.5 (a), the
상기 댐퍼(151)가 제1위치가 되는 경우 댐퍼(151)의 양측 단부와 접촉되는 제1댐퍼부재(152)와 제2댐퍼부재(153)가 회전축(15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A
또한, 상기 댐퍼(151)가 제2위치가 되는 경우 댐퍼(151)의 양측 단부와 접촉되는 제3댐퍼부재(154)와 제4댐퍼부재(155)가 회전축(151a)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When the
상기 제1댐퍼부재(152)와 제2댐퍼부재(153)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151a)을 통과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외부커버(156)와 격벽(130)에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제3댐퍼부재(154)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151)가 수평방향이 되었을 때 댐퍼(151)의 일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154a)와, 상기 댐퍼접촉부(154a)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154b)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접촉부(154a)는 댐퍼(151)와 접촉될 수 있도록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있다.The
상기 공기차단부(154b)는 공기도입부(150)의 실내측 내부공간의 상부를 막도록 구비되어, 실내 유입구(101)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공기차단부(154b)에 의해 가로막혀 공기차단부(154b)의 하부에 형성된 제1공기도입공간(150a)으로 유동한다. The
상기 제4댐퍼부재(155)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151)가 수평방향이 되었을 때 댐퍼(151)의 타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155a)와, 상기 댐퍼접촉부(155a)의 실외측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15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접촉부(155a)는 댐퍼(151)와 접촉될 수 있도록 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있다.The
상기 공기차단부(155b)는 공기도입부(150)의 실외측 내부공간의 하부를 막도록 구비되어, 실외 유입구(103)로부터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공기차단부(155b)에 의해 가로막혀 공기차단부(155b)의 상부에 형성된 제3공기도입공간(150c)으로 유동한다.The air cut-off
상기 제3댐퍼부재(154)의 공기차단부(154b)와 상기 제4댐퍼부재(155)의 공기차단부(155b)는 각각의 댐퍼접촉부(154a,155a)로부터 상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The
상기 댐퍼(151)가 도 4와 같이 수직방향이 되었을 때 댐퍼접촉부(154a)를 기준으로 그 하부의 공간은 제1공기도입공간(150a)이 되고, 그 상부의 공간은 제2공기도입공간(150b)이 된다. 또한, 댐퍼접촉부(155a)를 기준으로 그 상부의 공간은 제3공기도입공간(150c)이 되고, 그 하부의 공간은 제4공기도입공간(150d)이 된다.When the
상기 댐퍼(151)의 양측 단부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되어 있어, 상기 제1댐퍼부재(152)와 제2댐퍼부재(153)와 제3댐퍼부재(154) 및 제4댐퍼부재(155)의 대응되는 단부에 접촉시 공기유동이 차단되도록 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부를 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도입부 내부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는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제습과 환기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다양한 기능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simplified by providing the air introducing portion into which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re introduce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by providing the damper that can switch the flow path of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nside the air introduction part, various functions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ing dehumidification and ventilation can be realized by a simp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가 환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when the
환기모드시 댐퍼(151)는 도 5(a)와 같이 제1위치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송풍기(141)와 제2송풍기(142)가 가동된다.In the ventilation mode, the
상기 제2송풍기(142)가 가동되면,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 유입구(101)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공기차단부(154b)에 의해 제1공기도입공간(150a)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되고, 그 후 제2공기도입공간(150b)으로 상향 유동한 후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1개구부(130a)를 통해 제1공간부(111)로 유동한다. 상기 제1공간부(111)로 유동한 실내공기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습로터(121)의 제2영역(121b)을 통과한 후 제2공간부(112)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간부(112)의 실내공기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송풍기(142) 및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When the
상기 제1송풍기(141)가 가동되면,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외 유입구(103)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공기차단부(155b)에 의해 제3공기도입공간(150c)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되고, 그 후 제4공기도입공간(150d)으로 하향 유동한 후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2개구부(130b)를 통해 제4공간부(114)로 유동한다. 상기 제4공간부(114)로 유동한 실외공기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Y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습로터(121)의 제1영역(121a)을 통과한 후 제3공간부(113)로 유동한다. 상기 제3공간부(113)의 실외공기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송풍기(141) 및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환기모드가 수행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영역(121a)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영역(121b)을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반대 방향인 대향류가 되므로, 환기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전열교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ventilation mode in which the outdoor air flows into the room is perform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즉, 겨울철에 환기모드로 가동되면 실내공기가 제2영역(121b)을 통과함에 따라 제1공간부(114)의 일측면(A)의 온도는 실내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많이 올라가는 반면, 제2공간부(112)의 타측면(C)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올라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습로터(121)가 회전하여 온도가 많이 올라간 일측면(A)이 제3공간부(113)의 B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온도가 덜 올라간 타측면(C)이 제4공간부(114)의 D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먼저 제4공간부(114)에 위치한 제1영역(121a)의 타측면(D)에 접촉하여 온도가 약간 상승한 다음, 실내로 유입되기 직전에 온도가 많이 올라간 제3공간부(113)에 위치한 일측면(B)을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많은 양의 열을 전달받게 되어, 전열교환의 효율이 향상된다.That is, when the indoor air is operated in the ventilation mode in winter, the temperature of the one side A of the
제습모드시 댐퍼(151)는 도 5(b)와 같이 제2위치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송풍기(141)와 제2송풍기(142)가 가동된다.In the dehumidification mode, the
상기 제1송풍기(141)가 가동되면,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 유입구(101)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공기차단부(154b)에 의해 제1공기도입공간(150a)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되고, 그 후 댐퍼(151)에 의해 (+)Y축방향인 수평방향을 따라 가이드되어 제4공기도입공간(150d)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4공기도입공간(150d)의 공기는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2개구부(130b)를 통해 제4공간부(114)로 유동한다. 상기 제4공간부(114)로 유동한 실내공기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습로터(121)의 제1영역(121a)을 통과한 후 제3공간부(113)로 유동한다. 상기 제3공간부(113)의 실내공기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송풍기(141) 및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내공기는 제1영역(121a)을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실내공기는 제1영역(121a)의 전단에 구비된 제1열교환기(122)에 의해 냉각된 후 제1영역(121a)을 통과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제2송풍기(142)가 가동되면,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외 유입구(103)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공기차단부(155b)에 의해 제3공기도입공간(150c)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되고, 그 후 댐퍼(151)에 의해 (-)Y축방향인 수평방향을 따라 가이드되어 제2공기도입공간(150b)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기도입공간(150b)의 공기는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1개구부(130a)를 통해 제1공간부(111)로 유동한다. 상기 제1공간부(111)로 유동한 실내공기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Y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습로터(121)의 제2영역(121b)을 통과한 후 제2공간부(112)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간부(112)의 실외공기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송풍기(142) 및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 경우 실외공기는 제2영역(121b)의 전단에 구비된 제2열교환기(123)에 의해 가열된 후 제2영역(121b)을 통과함으로써 제습로터(121)에 흡착되어 있던 실내공기의 수분을 실외로 방출시킴으로써 제습로터(121)를 재생시킨다.When th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습모드가 수행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영역(121a)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영역(121b)을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반대 방향인 대향류가 되므로, 제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ehumidification mode is perform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즉, 실내공기는 제습로터(121)의 제1영역(121a)의 일측면(D)을 지나 타측면(B)을 순차 통과한다. 따라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습기는 일측면(D)에서 다량 흡착되고, 타측면(B)에는 소량 흡착된다. 이와 같이 습기가 다량 흡착된 제습로터(121)의 일측면(D)이 회전하여 제2영역(3b)의 C 지점에 위치하고, 습기가 소량 흡착된 제습로터(121)의 타측면(B)이 제2영역(3b)의 A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실외공기가 소량의 습기가 흡착되어 있던 제2영역(3b)의 타측면(A)을 통과하더라도 습도가 약간만 높아지게 되고, 그 후 습기가 다량 흡착되어 있던 제습로터(121)의 일측면(C)을 통과하면서 다량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습효율이 증가하게 된다.That is, the room air passes through one side (D) of the first region (121a)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1) and the other side (B) sequentially. Therefor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room air is adsorbed in a large amount on one side (D), and adsorbed in a small amount on the other side (B). The other side B of the
<제2실시예>≪ Embodiment 2 >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Fig.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200)는, 본체부(210)와 공기도입부(250)가 격벽(230)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210)는 내부공간이 제1 내지 제4공간부(211,212,213,214)가 적층구조의 육면체로서 외부커버(235)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8, the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공기조화기(200)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 배출구(202)는 제1공간부(21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공기조화기(200)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배출구(204)는 제4공간부(214)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The
상기 본체부(210)와 공기도입부(250)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230)에는 상기 제3공간부(213)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공기도입부(250) 내부의 공기유로와 제3공간부(213)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230a)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21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250) 내부의 공기유로와 제2공간부(212)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230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개구부(230a)와 제2개구부(230b)는 격벽(230)에서 제3공간부(213)와 제2공간부(212)에 각각 연통하도록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제2공간부(212)에는 제1열교환기(222)가 구비되어 제습로터(221)의 제2영역(221b)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킨다. 상기 제3공간부(213)에는 제2열교환기(223; 도11)가 구비되어 제습로터(221)의 제1영역(221a; 도11)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킨다.A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송풍기(241)는 제1공간부(211)에 구비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제1공간부(211)에 연통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는 실내 배출구(202)에 연결되어 있어, 제1공간부(211)의 공기를 실내 배출구(202)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킨다. The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송풍기(242)는 제4공간부(214)에 구비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제4공간부(214)에 연통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는 실외 배출구(204)에 연결되어 있어, 제4공간부(214)의 공기를 실외 배출구(204)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The
상기 공기도입부(250)에는, 실내 유입구(201)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공기도입부(250) 내부의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실내측 댐퍼(251a; 제1댐퍼)와, 실외 유입구(203)로부터 유입된 실외공기를 공기도입부(250) 내부의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실외측 댐퍼(251b; 제2댐퍼)가 구비된다. The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개구부(230a)와 제2개구부(230b)는 격벽(230)에서 단차를 갖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송풍기(241)와 제2송풍기(242)는 단차를 갖는 공간부(211,214)에 각각 구비되며, 제습로터(221)의 제1영역(221a)과 제2영역(221b)도 단차를 갖도록 구비되어, 공기조화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대향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공기유로의 경로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시 정압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송풍기의 부하를 줄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도 9를 참조하여 공기도입부(25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실내측 댐퍼(251a)와 실외측 댐퍼(251b)는 상기 공기도입부(25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연결부재(252)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회전축(251-1a,251-1b)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The
상기 실내측 댐퍼(251a)는 회전축(251-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환기모드시 도 10(a)와 같이 실내측 댐퍼(251a)가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는 제1위치로 설정되고, 제습모드시 도 10(b)와 같이 실내측 댐퍼(251a)가 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는 제2위치로 설정됨으로써 공기유로의 방향을 전환시킨다.The
상기 실외측 댐퍼(251b)는 회전축(251-1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환기모드시 도 10(a)와 같이 실외측 댐퍼(251b)가 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는 제1위치로 설정되고, 제습모드시 도 10(b)와 같이 실외측 댐퍼(251b)가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는 제2위치로 설정됨으로써 공기유로의 방향을 전환시킨다.The
상기 실내측 댐퍼(251a)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가 되는 경우 실내측 댐퍼(251a)의 상향 회전 각도 또는 하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실내측 댐퍼(251a)가 접촉되는 제1회전제한부재(254a)와 제2회전제한부재(254b; 도10)가 회전축(251-1a)을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실외측 댐퍼(251b)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가 되는 경우 실외측 댐퍼(251b)의 상향 회전 각도 또는 하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실외측 댐퍼(251b)가 접촉되는 제1회전제한부재(255a)와 제2회전제한부재(255b)가 회전축(251-1b)을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When the
따라서 상기 실내측 댐퍼(251a)가 상기 회전축(251-1a)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연결부재(252)의 상부공간인 제2공기도입공간(250b)과 상기 연결부재(252)의 하부공간인 제4공기도입공간(250d)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고, 상기 실외측 댐퍼(251b)가 상기 회전축(251-1b)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실외공기가 상기 제2공기도입공간(250b)과 제4공기도입공간(250d)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한다.Therefore, whe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200)가 환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환기모드시 실내측 댐퍼(251a)와 실외측 댐퍼(251b)는 도 10(a)와 같이 제1위치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송풍기(241)와 제2송풍기(242)가 가동된다.In the ventilation mode, the
상기 제2송풍기(242)가 가동되면,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 유입구(201)를 통해 제1공기도입공간(250a) 유입된 실내공기는 실내측 댐퍼(251a)에 의해 하향 가이드되어 제4공기도입공간(250d)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4공기도입공간(250d)의 공기는 유동방향이 (+)X축 방향으로 90도 전환되어 제1개구부(230a)를 통해 제3공간부(213)로 유동한다. 상기 제3공간부(213)로 유동한 실내공기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제습로터(221)의 제1영역(221a)을 통과한 후 제4공간부(214)로 유동한다. 상기 제4공간부(214)의 실내공기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송풍기(242) 및 실외 배출구(2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When the
상기 제1송풍기(241)가 가동되면,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외 유입구(203)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실외측 댐퍼(251b)에 의해 상향 가이드되어 제2공기도입공간(250b)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공기도입공간(250b)의 공기는 유동방향이 (+)X축 방향으로 90도 전환되어 제2개구부(230b)를 통해 제2공간부(212)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간부(212)로 유동한 실내공기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Y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습로터(221)의 제2영역(221b)을 통과한 후 제1공간부(211)로 유동한다. 상기 제1공간부(211)의 실내공기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송풍기(241) 및 실내 배출구(20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10 (a),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환기모드가 수행된다. 이 경우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영역(221a)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영역(221b)을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반대 방향인 대향류가 되므로, 환기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전열교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ventilation mode in which the outdoor air flows into the room is performed. 11,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제습모드시 실내측 댐퍼(251a)와 실외측 댐퍼(251b)는 도 10(b)와 같이 제2위치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송풍기(241)와 제2송풍기(242)가 가동된다.In the dehumidification mode, the
상기 제1송풍기(241)가 가동되면,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 유입구(201)를 통해 제1공기도입공간(250a)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실내측 댐퍼(251a)에 의해 상향 가이드되어 제2공기도입공간(250b)으로 유입된 후 제2공기도입공간(250b)의 실외측 단부까지 (+)Y축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기도입공간(250b)의 공기는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제2개구부(230b)를 통해 제2공간부(212)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간부(212)로 유동한 실내공기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Y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습로터(221)의 제2영역(221b)을 통과한 후 제1공간부(211)로 유동한다. 상기 제1공간부(211)의 실내공기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송풍기(241) 및 실내 배출구(201)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내공기는 제2영역(221b)을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실내공기는 제2영역(221b)의 전단에 구비된 제1열교환기(222)에 의해 냉각된 후 제2영역(221b)을 통과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제2송풍기(242)가 가동되면,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외 유입구(203)를 통해 제3공기도입공간(250c)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실외측 댐퍼(251b)에 의해 하향 가이드되어 제4공기도입공간(250d)으로 유입된 후 제4공기도입공간(250d)의 실내측 단부까지 (-)Y축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4공기도입공간(250d)의 공기는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제1개구부(230a)를 통해 제3공간부(213)로 유동한다. 상기 제3공간부(213)로 유동한 실내공기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Y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습로터(221)의 제1영역(221a)을 통과한 후 제4공간부(214)로 유동한다. 상기 제4공간부(214)의 실내공기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송풍기(242) 및 실외 배출구(2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 경우 실외공기는 제1영역(221a)의 전단에 구비된 제2열교환기(223)에 의해 가열된 후 제1영역(221a)을 통과함으로써 제습로터(221)에 흡착되어 있던 실내공기의 수분을 실외로 방출시킴으로써 제습로터(221)를 재생시킨다. When th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습모드가 수행된다. 이 경우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영역(221a)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영역(221b)을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반대 방향인 대향류가 되므로, 제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ehumidification mode is perform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2개의 독립된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댐퍼를 실내측 댐퍼(251a)와 실외측 댐퍼(251b)로 분리함으로써 댐퍼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유로전환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damper for guiding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to flow into any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the other one is separated into an
<변형 실시예 1>≪
도 13은 제1실시예의 본체부(110)와 제2실시예의 공기도입부(250)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a)는 환기모드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b)는 제습모드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13A and 13B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즉, 공기도입부(250)에는 실내측 댐퍼(251a)와 실외측 댐퍼(251b)가 구비되고, 제1개구부(130a)는 제2공기도입공간(250b)과 제1공간부(111)가 서로 연통하도록 격벽(130)에 형성되고, 제2개구부(130b)는 제4공기도입공간(250b)과 제4공간부(114)가 서로 연통하도록 격벽(130)에 형성된다. 또한, 제1송풍기(141)와 제2송풍기(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제3공간부(113)와 제2공간부(112)에 각각 구비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공기도입부(250)에 2개의 댐퍼(251a,251b)를 구비하면, 제1실시예의 본체부(110)와 제2실시예의 본체부(210)에 각각 호환되도록 결합될 수 있어 환기모드와 제습모드로의 가동이 가능하다.When the
<변형 실시예 2>≪ Modified Embodiment 2 &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공기도입부(150)와 제2실시예의 본체부(210)가 결합된 구조와 유사하나, 공기도입부(350)의 제3댐퍼부재(354)와 제4댐퍼부재(355)가 제1실시예의 제3댐퍼부재(154) 및 제4댐퍼부재(155)와 상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14 is similar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도 14(a)는 환기모드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b)는 제습모드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14 (a) shows a flow path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 a ventilation mode, and FIG. 14 (b) shows a flow path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 a dehumidification mode.
상기 제3댐퍼부재(354)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구비되어, 댐퍼(351)가 수평방향이 되었을 때 댐퍼(351)의 일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354a)와, 상기 댐퍼접촉부(354a)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내 유입구(30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354b)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접촉부(354a)는 댐퍼(351)와 접촉될 수 있도록 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있다.The
상기 공기차단부(354b)는 공기도입부(350)의 실내측 내부공간의 하부를 막도록 구비되어, 실내 유입구(301)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공기차단부(354b)에 의해 가로막혀 공기차단부(354b)의 상부에 형성된 제2공기도입공간(350b)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기도입공간(350b)의 공기는 제1공기도입공간(350a)으로 하향 유동한 후 제1개구부(230a)를 통해 제3공간부(213)로 유동한다.The air cut-off
상기 제4댐퍼부재(355)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351)가 수평방향이 되었을 때 댐퍼(351)의 타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355a)와, 상기 댐퍼접촉부(355a)의 실외측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실외 유입구(30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35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접촉부(355a)는 댐퍼(351)와 접촉될 수 있도록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있다.The
상기 공기차단부(355b)는 공기도입부(350)의 실외측 내부공간의 상부를 막도록 구비되어, 실외 유입구(303)로부터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공기차단부(355b)에 의해 가로막혀 공기차단부(355b)의 하부에 형성된 제4공기도입공간(350d)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4공기도입공간(350d)의 공기는 제3공기도입공간(350c)으로 상향 유동한 후 제2개구부(230b)를 통해 제2공간부(212)로 유동한다. The air cut-off
상기 제3댐퍼부재(354)의 공기차단부(354b)와 상기 제4댐퍼부재(355)의 공기차단부(355b)는 각각의 댐퍼접촉부(354a,355a)로부터 상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 공기조화기
101, 201, 301 : 실내 유입구
102, 202 : 실내 배출구
103, 203, 303 : 실외 유입구
104, 204 : 실외 배출구
110, 210 : 본체부
111, 211 : 제1공간부
112, 212 : 제2공간부
113, 213 : 제3공간부
114, 214 : 제4공간부
121, 221 : 제습로터
121a, 221a : 제1영역
121b, 221b : 제2영역
122, 222 : 제1열교환기
123, 223 : 제2열교환기
130, 230 : 격벽
141, 241 : 제1송풍기
142, 242 : 제2송풍기
150, 250, 350 : 공기도입부
150a, 250a, 350a : 제1공기도입공간
150b, 250b, 350b : 제2공기도입공간
150c, 250c, 350c : 제3공기도입공간
150d, 250d, 350d : 제4공기도입공간
151, 251, 351 : 댐퍼
152, 352 : 제1댐퍼부재
153, 353 : 제2댐퍼부재
154, 354 : 제3댐퍼부재
154a, 155a, 354a, 355a : 댐퍼접촉부
154b, 155b, 354b, 355b : 공기차단부
254a, 255a : 제1회전제한부재
254b, 255b : 제2회전제한부재 100, 200:
102, 202:
104, 204:
111, 211: a
113, 213: third
121, 221:
121b, 221b:
123, 223:
141, 241:
150, 250, 350:
150b, 250b, 350b: the second air introduction space
150c, 250c, and 350c: a third air introduction space
150d, 250d, 350d: fourth air introduction space
151, 251, 351:
153, 353:
154a, 155a, 354a, 355a:
154b, 155b, 354b, and 355b:
254a, 255a: first
Claims (18)
실내에서 유입된 실내공기를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실외에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댐퍼가 구비된 공기도입부;
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A dehumidification rotor for sucking moisture or releasing the adsorbed moisture while alternately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y rotation;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which are located at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respectively, and a third space portion and a fourth space portion which are respectively located at one side of the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 air introducing unit having a damper for guid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to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guid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 to the other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channels;
An air conditioner
상기 공기도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introducing por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with a partition wall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댐퍼는 상기 공기도입부 내부공간을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로 분할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로 각각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mper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air introduction part into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to guide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to flow into any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the other one An air conditioner
상기 댐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와 제3댐퍼부재와 제4댐퍼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댐퍼의 양측단이 제1댐퍼부재와 제2댐퍼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댐퍼를 기준으로 나뉘어진 공기도입부 내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댐퍼가 회전하여 상기 댐퍼의 양측단이 상기 제3댐퍼부재와 제4댐퍼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댐퍼를 기준으로 나뉘어진 공기도입부 내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damper member, a second damper member, a third damper member, and a fourth damper member are provided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damper, respectively;
Both side ends of the damper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damper member and the second damper member, respectively, to block the flow of air between the air-introducing-portion internal spaces divided by the damper;
The damper is rotated so that both side ends of the damp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damper member and the fourth damper member, respectively, thereby blocking air flow between the air introducing portion internal spaces divided by the damper Air conditioner
상기 제3댐퍼부재는, 상기 댐퍼의 일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와, 상기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댐퍼부재는, 상기 댐퍼의 타측단이 접촉되는 댐퍼접촉부와, 상기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rd damper member comprises a damper abutt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damper abuts and an air interrupting portion extending in a bent shape at the end of the damper abutting portion to block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port;
Wherein the fourth damper member comprises a damper abutting portion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damper abuts and an air blocking portion extending in a bent shape at the end of the damper abutting portion to block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flow opening Harmonizer
상기 제3댐퍼부재의 공기차단부는 상기 제3댐퍼부재의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댐퍼부재의 공기차단부는 상기 제4댐퍼부재의 댐퍼접촉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3댐퍼부재의 공기차단부와 상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damper of the third damper member extends upward or downward at the end of the damper contact portion of the third damper member and the air damper of the fourth damper member extends from the end of the damper abutment portion of the fourth damper member Wherein the air damper is exten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blocking portion of the third damper member
상기 본체부와 공기도입부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에서, 상기 제1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1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4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ace portion in the partition wall that blocks the body portion and the air introduction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fourth space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 inlet
상기 댐퍼는,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4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로 설정되거나;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4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8. The method of claim 7,
The damper includes: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port flows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flows into the first space for flow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port into the fourth space portio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Set;
A second space for flow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space for flow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the air conditioner
상기 댐퍼는,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실내측 댐퍼와,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실외측 댐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er includes an indoor damper for guiding either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port and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port to flow through any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nd an outdoor side damper for guiding the other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to flow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상기 실내측 댐퍼와 실외측 댐퍼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연결부재의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실내측 댐퍼가 상기 실내측 댐퍼의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 중 어느 하나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측 댐퍼가 상기 실외측 댐퍼의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실외공기를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 중 어느 하나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door damper and the outdoor damper are hinged to both ends of a connecting member for vertically dividing an inner space of the air inlet portion;
Wherein the indoor damper is rotated to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with the hinge of the indoor damper as a center of rotation to flow the indoor air into any one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outdoor damper is rotated such that the damper of the outdoor damper is positioned at either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with the hinge of the outdoor damper as a center of rotation to flow the outdoor air into either the upper space or the lower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 air conditioner
상기 실내측 댐퍼와 실외측 댐퍼가 회전하는 경우 상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rotation restricting member for limiting an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angle when the indoor damper and the outdoor damper rotate,
상기 본체부와 공기도입부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에서, 상기 제3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3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공기유로와 제2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open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third space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pace portion in the partition wall that blocks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ir introduction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air passage of the air introducing portion with the second space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 inlet
상기 실내측 댐퍼와 실외측 댐퍼는,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로 설정되거나;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door damper and the outdoor-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flows into the third spac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flows into the first space for flow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second opening Set;
A second space for flow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let into the third spac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space for pass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through the second opening to the second space, And the air conditioner
상기 제1공간부는 제3공간부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2공간부는 제4공간부의 상부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pace portion is stacked on the third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is stacked on the fourth space portion.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공기는 단차를 가지고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대향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gion form counterflows flow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 step difference.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댐퍼;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독립된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댐퍼;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Two air passages formed so that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flow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first damper for guiding either one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through any one of the two independent air flow paths;
A second damper for guiding the other one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through the other of the two independent air channels;
An air conditioner
상기 제1댐퍼는 일측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2개의 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2댐퍼는 일측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공기와 제2공기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2개의 공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1댐퍼의 회전축과 상기 제2댐퍼의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damper is hingedly coupled to a rotary shaft on one side so as to guide any one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into one of the two air flow paths;
Wherein the second damper is hingedly coupled to a rotary shaft on one side to guide the other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air to flow to the other one of the two air channels;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dampe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damper.
상기 2개의 공기유로는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wo air flow path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the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3717A KR102185231B1 (en) | 2017-11-17 | 2017-11-17 | Air conditioner |
CN201811353295.5A CN109780634A (en) | 2017-11-14 | 2018-11-14 | Air-conditio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3717A KR102185231B1 (en) | 2017-11-17 | 2017-11-17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6604A true KR20190056604A (en) | 2019-05-27 |
KR102185231B1 KR102185231B1 (en) | 2020-12-01 |
Family
ID=6667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3717A KR102185231B1 (en) | 2017-11-14 | 2017-11-17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5231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2882A (en) * | 2005-12-14 | 2008-08-07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
KR20170058155A (en) * | 2015-11-18 | 2017-05-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KR20170095101A (en) * | 2016-02-12 | 2017-08-2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
-
2017
- 2017-11-17 KR KR1020170153717A patent/KR1021852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2882A (en) * | 2005-12-14 | 2008-08-07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
KR20170058155A (en) * | 2015-11-18 | 2017-05-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KR20170095101A (en) * | 2016-02-12 | 2017-08-2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5231B1 (en) | 2020-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709815B2 (en) | Air conditioner | |
US6978635B2 (en) | Adsorption elemen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 |
EP1443281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742074B1 (en) | Humidity controller | |
JP5018402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2009109118A (en) | Humidity conditioner | |
KR100740770B1 (en) | Humidity controller | |
JP2005283041A (en) | Humidity controller | |
JP3807409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4225181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CN109780634A (en) | Air-conditioning | |
KR20190056604A (en) | Air conditioner | |
KR102216718B1 (en) | Air conditioner | |
JP2005188915A (en) | Humidity controller | |
JP2010286197A (en) | Humidity controller | |
JP3742895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4569150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2006023079A (en) | Humidity controller | |
JP4507667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4281448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KR20210085071A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
JP2006349326A (en) | Humidity conditioner | |
JP2003139348A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