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583A -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583A
KR20190056583A KR1020170153679A KR20170153679A KR20190056583A KR 20190056583 A KR20190056583 A KR 20190056583A KR 1020170153679 A KR1020170153679 A KR 1020170153679A KR 20170153679 A KR20170153679 A KR 20170153679A KR 20190056583 A KR20190056583 A KR 2019005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kin elasticity
deformation
product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534B1 (ko
Inventor
김상헌
강나영
연영민
김은주
이해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5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5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총 변형 및 점탄성 변형을 반영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의 실제 총 변형과 점탄성 변형을 반영하는 탄력 지표를 이용함으로써, 유의한 탄력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종래의 지표들에 비하여 피부 탄력 변화를 직관적으로 수치화하여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질 또는 제품의 피부 탄력 개선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는 물질 테스트 및 제품의 효능 검증에 용이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알맞은 물질 또는 제품 선택, 미용 정보 등 적절한 피부 미용법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SYSTEM FOR EVALUATING IMPROVING ABILITY OF SKIN ELASTICITY, AND METHOD FOR EVALUATING IMPROVING ABILITY OF SKIN ELASTICI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총 변형 및 점탄성 변형을 반영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딱딱한 표피를 가진 곤충 등의 경우와 다르게 내골격 구조로, 골격과 근육 바깥쪽으로 부드럽지만 탄성을 가진 세포조직으로 이루어진 몇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는 해당 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나 조직간의 결합 정도, 두께 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피부의 단단한 정도나 늘어나는 정도 등의 다양한 점성이나 탄성 등의 탄력 관련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 부위, 개체 등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피부의 이러한 탄력 특성 들은 피부 자체의 노화와 상처 회복 등에 의한 조직 변화 등에 감소하거나 변화하는 특성이 나타나며, 연령 증가 등에 따라 근육 변화 같은 다른 조직 변화와 더불어 피부의 탄력저하, 처짐이나 주름 발생 등과 함께 노화의 지표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노화에 따른 탄력 저하를 개선하는 것이 화장품에 있어 주요한 효능 특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피부탄력 개선 효능을 갖거나 가질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예컨대, 인공합성화합물, 천연 추출물 등) 또는 제품 효능 평가에 있어 피부 탄력을 측정하는 것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피부 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종 측정 기기가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피부에 일정한 음압을 가함으로써,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측정 기기를 통해 탄력을 분석하는 지표들은 다양하며, 그 중 피부 변형을 통한 피부 신장성/유연성을 나타내는 R0의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음압에 의해 변형된 총 피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탄성적 변형(Ue, immediate deformation)과 점성적 변형(Uv, viscoelastic contribution in deformation of skin)의 합을 의미한다. 또한 두 구성요소의 비율을 이용한 R6는 피부 점탄성 변형(Uv/Ue)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피부가 노화 시, 탄성적 변형은 감소하며, 점성적 변형은 증가하게 되기에, 두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증감 시, 기존의 R0 및 R6로는 피부 노화로 인한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DOBREV, Hristo. Cutometer®. In: Non Invasive Diagnostic Techniques in Clinical Dermatology.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4. p. 315-338.; AKHTAR, NAVEED, et al. Calendula extract: effects on mechanical parameters of human skin. Acta Pol. Pharm, 2011, 68.5: 693-7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62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1876호
본 발명은 피부의 실제 총 변형과 점탄성 변형을 반영하는 탄력 지표를 이용함으로써, 유의한 탄력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종래의 지표들에 비하여 피부 탄력 변화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질 또는 제품의 피부 탄력 개선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은,
피부에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하는 피부 탄력 측정부;
상기 피부 탄력 측정부에서 도출된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하기 식(1)로 처리하여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 = R0/R6 = {Ue(Uv+Ue)}/Uv …… 식(1)
여기서, Ue(immediate deformation)는 피부의 탄성적 변형을 나타내고, Uv(viscoelastic contribution in deformation of skin)는 피부의 점성적 변형을 나타내며, R0는 Uv+Ue이고, R6는 Uv/Ue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은,
(1) 피부 탄력 측정부가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물질 또는 제품의 적용 전후의 피부에 각각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하는 단계;
(2) 연산부가 상기 단계 (1)에서 도출된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각각 하기 식(1)로 처리하여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는 단계; 및
(3)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가 상기 단계 (2)에서 산출된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비교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 = R0/R6 = {Ue(Uv+Ue)}/Uv …… 식(1)
여기서, Ue(immediate deformation)는 피부의 탄성적 변형을 나타내고, Uv(viscoelastic contribution in deformation of skin)는 피부의 점성적 변형을 나타내며, R0는 Uv+Ue이고, R6는 Uv/Ue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의 실제 총 변형과 점탄성 변형을 반영하는 탄력 지표를 이용함으로써, 유의한 탄력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종래의 지표들에 비하여 피부 탄력 변화를 직관적으로 수치화하여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피부 탄력 개선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는 물질 테스트 및 제품의 효능 검증에 용이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알맞은 제품 선택, 미용 정보 등 적절한 피부 미용법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cutometer 센서에서 이용하는 탄력 측정 방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시험예 1에 따라 기존의 탄력 지표를 부위별로 비교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시험예 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의 연산부에서 사용하는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부위별로 비교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시험예 2에 따라 제품의 피부 탄력 개선 효능을 기존의 탄력 지표 및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이용하여 평가한 것을 비교 분석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질은, 별도 정의하지 않는 한, 피부탄력 개선 효능을 갖거나 가질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이 물질은 피부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주성분의 피부탄력개선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부스팅시키는 목적의 보조성분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은, 피부 탄력 측정부(100), 연산부(200) 및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부 탄력 측정부(100)는, 피부에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한다. 이러한 피부 탄력 측정부(100)는, 종래 알려진 cutometer 센서에서 이용하는 탄력 측정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utometer 센서에서 이용하는 탄력 측정 방식에서, 피부 탄력도는 피부의 총 변형(R0)와 피부의 점탄성 변형율(R6)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피부의 총 변형(R0)은 피부의 신장성과 유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도 2의 Ue+Uv로 표현된다. 상기 피부의 점탄성 변형율(R6)은 피부의 점성적 변형과 탄성적 변형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도 2의 Uv/Ue로 표현된다.
상기 도 2에서 표시된 각 지표는 다음과 같다.
Ue: 즉각적 변형(immediate deformation)
Uv: 지연적 변형(viscoelastic contribution in deformation of skin)
Uf(=R0): 총 변형(total distention)
Ur: 즉각적 수축(immediate recovery of skin after vacuum removal)
Ua: 총 회복력(viscoelastic contribution in recovering of skin)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 2에 표시된 지표 중에서도, Ue와 Uv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변화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탄력 지표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시험예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연산부(200)는, 피부 탄력 측정부(100)에서 도출된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하기 수학식 1로 처리하여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한다.
[수학식 1]
A = R0/R6 = {Ue(Uv+Ue)}/Uv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는, 연산부(200)에서 산출된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 탄력 측정부(100)는,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임의의 물질 또는 제품의 적용 전후의 피부에 대하여 각각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할 수 있고, 연산부(200)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각각 상기 수학식 1로 처리하여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며,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비교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때,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의 증가율이 5% 이상일 경우,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즉,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의 차이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물질 또는 제품의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은,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미리 지정된 특정한 공식으로 처리하여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 개선도를 평가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는 물질 테스트 및 제품의 효능 검증에 용이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은, 상기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에서의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결과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방식으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상기 출력부(4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은, 피부 탄력 측정부(100)가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물질 또는 제품의 적용 전후의 피부에 각각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하는 단계(S100), 연산부(200)가 단계 S100에서 도출된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각각 미리 지정된 공식으로 처리하여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는 단계(S200), 및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가 단계 S200에서 산출된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비교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가 단계 S200에서 산출된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비교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0 내지 S400은 각각 피부 탄력 측정부(100), 연산부(200),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 및 출력부(400)에 의하여 수행되며,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위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이하,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기존의 탄력 지표와의 유의차 비교 시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피부 탄력 측정값(A)이 기존의 탄력 지표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피부 탄력 변화를 나타냄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피험자 20대 36명과 50대 10명을 대상으로 눈가, 뺨 정면, 팔자주름, 전박(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부분) 부위를 세안제를 이용하여 세안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간 대기시켰다. 피험자의 눈가, 뺨 정면, 팔자주름, 전박의 탄력을 cutometer(Courage & Khazaka, 독일) 2mm probe를 사용하여 피부의 탄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450mbar, suction/relaxation 2s, 3 cycles의 설정을 사용하였다. 피험자의 피부 탄력을 측정한 후, 기존의 탄력 지표인 R0 및 R6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측정값인 R0/R6(=A)에 대하여, T-test에 의한 통계 분석을 한 결과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유의차를 보이는 것으로 표시하여,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utometer 센서에서 이용하는 기존의 탄력 지표 R0 및 R6는 탄력 측정 부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부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0의 경우 뺨 정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6의 경우 눈가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산부(200)에서 사용하는 피부 탄력 측정값(A=R0/R6)을 비교 분석한 경우에는, 모든 부위에서 유의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도 4 및 도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연산부(200)에서 사용하는 피부 탄력 측정값(A)은, 얼굴 피부와 팔 피부 모든 부위에서 20대와 50대의 유의적 차이를 보여 기존 탄력 지표에 비하여 보다 정확하게 탄력 변화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산부(200)는, 상기 기존의 탄력 지표에 해당하는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로부터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고,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300)는, 상기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직관적인 탄력 개선도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시험예 2] 제품의 탄력 개선 효능 평가 시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피부 탄력 측정값(A)을 통해 제품의 피부 탄력 개선도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피험자 40-50대 10명을 대상으로 눈가 부위를 세안제를 이용하여 세안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간 대기시켰다. 피험자의 눈가의 탄력을 cutometer(Courage & Khazaka, 독일) 2mm probe를 사용하여 피부의 탄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450mbar, suction/relaxation 2s, 3 cycles의 설정을 사용하였다. 측정 부위에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제품을 하루 2회씩 28일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28일 후, 피부 탄력을 다시 측정하여, 이를 paired T-test에 의한 통계 분석을 한 결과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유의차를 보이는 것으로 표시하여,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탄력 지표인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분석한 경우, 점탄성 변형율(R6)은 유의차를 보이지 못했으며, 피부의 총 변형(R0)의 경우, 유의차는 보였으나 제품 적용 전과 후의 변화율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값(A)대비 현저히 낮아 탄력 개선 효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탄력 측정값(A)의 경우 제품 도포 전에 비해 도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그 변화율 또한 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해당 제품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00: 피부 탄력 측정부 200: 연산부
300: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 400: 출력부
S100: 피부 탄력 측정부가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물질 또는 제품의 적용 전후의 피부에 각각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하는 단계
S200: 연산부가 단계 S100에서 도출된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각각 미리 지정된 공식으로 처리하여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는 단계
S300: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가 단계 S200에서 산출된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비교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단계
S400: 출력부가 단계 S300에서의 피부 탄력 변화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Claims (9)

  1. 피부에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하는 피부 탄력 측정부;
    상기 피부 탄력 측정부에서 도출된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하기 식(1)로 처리하여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A = R0/R6 = {Ue(Uv+Ue)}/Uv …… 식(1)
    여기서, Ue(immediate deformation)는 피부의 탄성적 변형을 나타내고, Uv(viscoelastic contribution in deformation of skin)는 피부의 점성적 변형을 나타내며, R0는 Uv+Ue이고, R6는 Uv/Ue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측정부는,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물질 또는 제품의 적용 전후의 피부에 대하여 각각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각각 상기 식(1)로 처리하여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비교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의 증가율이 5% 이상일 경우,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에서의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7. (1) 피부 탄력 측정부가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물질 또는 제품의 적용 전후의 피부에 각각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피부의 변형을 유도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도출하는 단계;
    (2) 연산부가 상기 단계 (1)에서 도출된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의 총 변형(R0) 및 점탄성 변형율(R6)을 각각 하기 식(1)로 처리하여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산출하는 단계; 및
    (3)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가 상기 단계 (2)에서 산출된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을 비교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A = R0/R6 = {Ue(Uv+Ue)}/Uv …… 식(1)
    여기서, Ue(immediate deformation)는 피부의 탄성적 변형을 나타내고, Uv(viscoelastic contribution in deformation of skin)는 피부의 점성적 변형을 나타내며, R0는 Uv+Ue이고, R6는 Uv/Ue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부는, 상기 물질 또는 제품 적용 전후의 피부 탄력 측정값(A)의 증가율이 5% 이상일 경우,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4) 출력부가 상기 단계 (3)에서의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KR1020170153679A 2017-11-17 2017-11-17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KR10239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79A KR102394534B1 (ko) 2017-11-17 2017-11-17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79A KR102394534B1 (ko) 2017-11-17 2017-11-17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83A true KR20190056583A (ko) 2019-05-27
KR102394534B1 KR102394534B1 (ko) 2022-05-06

Family

ID=6667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679A KR102394534B1 (ko) 2017-11-17 2017-11-17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446B1 (ko) 2022-06-23 2023-01-19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탄력 측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7098A1 (en) * 2006-10-11 2008-04-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Methods for determining elastic and viscoelastic properties of skin
JP2009268501A (ja) * 2008-04-30 2009-11-19 Kao Corp 皮膚性状測定装置
KR101116204B1 (ko) 2009-10-30 2012-03-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피부 탄성과 점성 측정장치 및 그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KR20120059122A (ko) * 2010-11-30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의 유연성 및 화장료의 유연성 개선도 평가방법
KR20150041876A (ko) 2013-10-10 2015-04-20 (주)아모레퍼시픽 금형을 이용한 피부 탄력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7098A1 (en) * 2006-10-11 2008-04-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Methods for determining elastic and viscoelastic properties of skin
JP2009268501A (ja) * 2008-04-30 2009-11-19 Kao Corp 皮膚性状測定装置
KR101116204B1 (ko) 2009-10-30 2012-03-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피부 탄성과 점성 측정장치 및 그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KR20120059122A (ko) * 2010-11-30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의 유연성 및 화장료의 유연성 개선도 평가방법
KR20150041876A (ko) 2013-10-10 2015-04-20 (주)아모레퍼시픽 금형을 이용한 피부 탄력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446B1 (ko) 2022-06-23 2023-01-19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탄력 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534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raaijers et al. Skin elasticity meter or subjective evaluation in scars: a reliability assessment
Nedelec et al. Longitudinal burn scar quantification
Nedelec et al. Quantitative measurement of hypertrophic scar: intrarater reliabil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Zhang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scleroderma by surface wave technique
US7556605B2 (en) Methods for determining elastic and viscoelastic properties of skin
Anthonissen et al. Measurement of elasticity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rate of burn scars with the Dermalab®
US11779269B2 (en) Pain estimating device, pain estimating method, and pain classification
US20130197397A1 (en) Methods and Assessment Scales for Measuring Wrinkle Severity
WO2007026884A1 (ja) 皮膚の状態の判定方法及び皮膚の厚みの予測方法
Ryu et al. Study on the validit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as assessment tools for facial nerve palsy
JP2012161371A (ja) 皮膚表層の粘弾性を調べることによる肌理評価法
KR20190056583A (ko)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US20190059857A1 (en) Surface property measurement method, surface property measur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Deleixhe‐Mauhin et al. Influence of chronic hemodialysi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kin
Rosicka et al. Skin anisotropy: Finding the optimal incision line for volar forearm in males and females
WO2001052724A1 (en) Device for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of elastic bodies
JP7454076B2 (ja) ストレス緩和性基剤又は化粧料の評価方法
KR101758203B1 (ko) 피부의 유연성 및 화장료의 유연성 개선도 평가방법
KR20150122936A (ko) 압통계를 사용하여 인가한 압력자극 신호와 피부전기활동 신호 계측에 의한 통증 환자의 통증유발점 검출 시스템
Dobrev Cutometer®
Trninić et al. Pain intensity scales comparison in patient with abdominal pain
WO2017217353A1 (ja) 頭蓋内圧推定方法及び頭蓋内圧推定装置
Hara et al. Visualization of viscoelastic behavior in vivo skin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based straingraphy combined with suction device
Xie et al. Continuous systol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based on improved pulse transit time
Lee et al. The comparison of skin physical parameters in Asian wo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