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148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148A
KR20190056148A KR1020170153297A KR20170153297A KR20190056148A KR 20190056148 A KR20190056148 A KR 20190056148A KR 1020170153297 A KR1020170153297 A KR 1020170153297A KR 20170153297 A KR20170153297 A KR 20170153297A KR 20190056148 A KR20190056148 A KR 2019005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ret
assembly
support
bearing assembly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735B1 (ko
Inventor
정성훈
신상명
오환엽
최봉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선박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터렛 어셈블리와, 상기 선박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터렛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터렛 지지부, 및 상기 터렛 지지부에 대한 상기 터렛 어셈블리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터렛 지지부에 탈착 가능한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부유식 오일 생산 저장 하역 설비로서, 해양 플랜트(plant) 또는 드릴쉽(drill ship)에서 채굴한 오일을 정제 및 저장하여, 셔틀 탱커(shuttle tanker) 또는 기타 이송 장소에 하역하는 특수 선박이다.
저장 능력에 따라 100만 배럴 미만의 소형 FPSO, 100~150만 배럴의 중형 FPSO, 150~200만 배럴의 대형 FPSO, 및 200만 배럴 이상의 초대형 FPSO로 구분될 수 있다. FPSO는 주요 석유업체들이 심해저 유전에 눈길을 돌리면서 각광 받게 되었다.
FPSO의 경우, 해상에 정박하여 해저로부터 오일(oil) 또는 가스(gas)를 추출하기 위해 터렛 터미널(turret terminal)을 선박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한다. 터렛 터미널을 통해 채굴한 오일 또는 가스는 FPSO로 이송되어 정제 및 저장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151호 (2015.09.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박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터렛 어셈블리와, 상기 선박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터렛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터렛 지지부, 및 상기 터렛 지지부에 대한 상기 터렛 어셈블리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터렛 지지부에 탈착 가능한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터렛 어셈블리는, 상부 터렛과, 상기 상부 터렛에 탈착 가능하고, 계류선에 연결되어 해상에 고정된 하부 터렛, 및 상기 상부 터렛에 탈착 가능하고, 부착된 상기 상부 터렛과 함께 회전하는 터렛 디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터렛 디스크는 제 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터렛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터렛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터렛은 상기 터렛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터렛 및 상기 터렛 디스크에서 상기 상부 터렛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터렛 지지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터렛 지지부에서 방출된다.
상기 선박은 상기 상부 터렛의 리프팅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하부 터렛에서 분리된 상기 상부 터렛을 지지하는 승강 갠트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베어링 몸체와, 상기 베어링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터렛 디스크와 상기 베어링 몸체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은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터렛 지지부에 구비된 개구를 통하여 삽입 또는 방출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해상에 계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렛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터렛이 리프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어셈블리가 터렛 지지부에서 방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어셈블리가 카트리지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해상에 계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터렛 어셈블리(100)에 의하여 해상에 계류할 수 있다.
터렛 어셈블리(100)는 선박(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터렛 어셈블리(100)는 계류선(MC)에 연결될 수 있다. 계류선(MC)의 일측은 터렛 어셈블리(10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해저지반(S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터렛 어셈블리(100)는 해상의 특정 지점에 위치 및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선박(10)은 터렛 어셈블리(10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터렛 어셈블리(100)의 위치 및 자세가 고정됨에 따라 선박(10)은 터렛 어셈블리(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렛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터렛 어셈블리(100), 터렛 지지부(200), 베어링 어셈블리(300), 카트리지(400) 및 승강 갠트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렛 어셈블리(100)는 선박(10)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렛 어셈블리(100)는 계류선(MC)에 의하여 해저지반(SB)에 연결되는데, 선박(10)은 터렛 어셈블리(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터렛 어셈블리(10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터렛 어셈블리(100)는 상부 터렛(110), 하부 터렛(120) 및 터렛 디스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은 선박(10)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박(10)은 상부 터렛(110)을 중심으로 해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 터렛(120)은 상부 터렛(110)에 탈착될 수 있다. 특히, 하부 터렛(120)은 계류선에 연결되어 해상에 고정되는데, 상부 터렛(110)과 하부 터렛(120)의 결합체는 선박(10)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터렛(120)은 터렛 지지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과는 별도로 하부 터렛(120)은 터렛 지지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부 터렛(120)과 터렛 지지부(200)의 사이에는 보조 베어링(210)이 구비될 수 있다.
터렛 디스크(130)는 터렛 어셈블리(100)를 터렛 지지부(200)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렛 디스크(130)를 통하여 터렛 어셈블리(100)가 터렛 지지부(200)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터렛 디스크(130)와 터렛 지지부(200)의 사이에는 베어링 어셈블리(300)가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300)로 인하여 터렛 디스크(130)는 터렛 지지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터렛 디스크(130)는 상부 터렛(110)에 탈착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에 부착된 터렛 디스크(130)는 상부 터렛(110)과 함께 일체형으로 운용될 수 있다. 즉, 상부 터렛(110)과 터렛 디스크(130)의 결합체는 터렛 지지부(2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부 터렛(110), 하부 터렛(120) 및 터렛 디스크(130)의 결합체가 선박(10)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터렛 디스크(130)는 제 1 관통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은 제 1 관통홀(H1)을 관통하여 하부 터렛(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터렛(120)에서 분리된 상부 터렛(110)은 제 1 관통홀(H1)을 관통하여 터렛 디스크(130)에서도 분리될 수 있다.
터렛 지지부(200)는 선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터렛 어셈블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터렛 지지부(200)는 터렛 어셈블리(100)를 관통시키는 제 2 관통홀(H2)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관통홀(H2)은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터렛 어셈블리(100)도 전체적으로 제 2 관통홀(H2)에 유사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렛 지지부(200)는 선수에 구비되어 터렛 어셈블리(100)를 지지할 수 있으나, 터렛 지지부(200)의 위치가 선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렛 지지부(200)에 대한 터렛 어셈블리(100)간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터렛 지지부(200)와 터렛 어셈블리(100)의 사이에는 베어링 어셈블리(300)가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터렛 지지부(200)에 대한 터렛 어셈블리(10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베어링 몸체(310) 및 롤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몸체(310)에는 제 3 관통홀(H3)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은 제 3 관통홀(H3)을 관통하여 하부 터렛(12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몸체(310)는 롤러(3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롤러(320)는 베어링 몸체(310)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터렛 디스크(130)와 베어링 몸체(310)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렛 디스크(130)가 회전함에 있어서 롤러(320)에 의하여 터렛 디스크(130)와 베어링 몸체(310)간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롤러(3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롤러(320)는 터렛 디스크(130)의 3면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롤러(320)는 터렛 디스크(130)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어링 몸체(310)는 터렛 지지부(200)에 수용되는데, 터렛 어셈블리(100)는 터렛 지지부(200)에 대한 마찰력이 감소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터렛 지지부(200)의 내부 공간(SP)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터렛 지지부(200)에 탈착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터렛 지지부(200)의 내부 공간(SP)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베어링 어셈블리(300)의 출입을 위하여 터렛 지지부(200)에는 개구(OP)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OP)를 통하여 베어링 어셈블리(300)가 터렛 지지부(200)로 삽입되거나 터렛 지지부(200)에서 방출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300)가 터렛 지지부(200)에 삽입되거나 터렛 지지부(200)에서 방출될 때 상부 터렛(110)은 하부 터렛(120) 및 터렛 디스크(1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이 하부 터렛(120) 및 터렛 디스크(13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부 터렛(110)이 베어링 몸체(310)의 제 3 관통홀(H3)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상부 터렛(110)에 간섭되어 수평 이동할 수 없다. 상부 터렛(110)이 하부 터렛(120)에서 분리되고, 제 3 관통홀(H3)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경우 상부 터렛(110)에 의한 간섭이 해소되기 때문에 베어링 어셈블리(300)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카트리지(400)는 베어링 어셈블리(300)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트리지(400)는 터렛 지지부(200)에 구비된 개구(OP)를 통하여 삽입 또는 방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400)는 개구(OP)를 통하여 터렛 지지부(200)의 내부 공간(SP)으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터렛 지지부(200)의 내부 공간(SP)으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400)의 이동 경로를 위하여 터렛 지지부(200)에는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400)는 레일을 통하여 터렛 지지부(200)의 개구(OP)를 출입할 수 있다.
카트리지(400)에는 제 4 관통홀(H4)이 구비될 수 있다. 제 4 관통홀(H4)을 관통하여 상부 터렛(110)은 하부 터렛(12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갠트리(500)는 상부 터렛(110)의 리프팅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승강 갠트리(500)는 하부 터렛(120)에서 분리된 상부 터렛(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터렛(110)은 하부 터렛(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하부 터렛(120)에서 분리된 상부 터렛(110)은 승강 갠트리(500)를 따라 리프팅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을 리프팅하기 위하여 연결부(510) 및 구동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510)가 상부 터렛(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5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부 터렛(110)은 승강 갠트리(500)를 따라 리프팅될 수 있다. 승강 갠트리(500)에는 랙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520)는 랙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 갠트리(5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리프팅된 상부 터렛(110)은 승강 갠트리(5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이 승강 갠트리(500)에 지지됨에 따라 베어링 어셈블리(300)를 터렛 지지부(200)에서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터렛 지지부(200)에서 베어링 어셈블리(300)가 방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터렛이 리프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어셈블리가 터렛 지지부에서 방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어셈블리가 카트리지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터렛(110)은 승강 갠트리(500)를 따라 리프팅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는 연결부(5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5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 갠트리(500)를 따라 리프팅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이 리프팅되기 이전에 상부 터렛(110)은 하부 터렛(120) 및 터렛 디스크(1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터렛(110)은 하부 터렛(120) 및 터렛 디스크(13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데, 볼트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부 터렛(110)은 하부 터렛(120) 및 터렛 디스크(1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의 리프팅은 상부 터렛(110)에 의한 베어링 어셈블리(300)의 수평 이동 간섭이 해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터렛 지지부(200)에서 방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카트리지(400)와 함께 터렛 지지부(200)에서 방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400)는 터렛 지지부(200)의 개구(OP)를 통하여 방출될 수 있다.
상부 터렛(110)이 리프팅되어 터렛 디스크(130)의 제 1 관통홀(H1), 터렛 지지부(200)의 제 2 관통홀(H2), 베어링 어셈블리(300)의 제 3 관통홀(H3) 및 카트리지(400)의 제 4 관통홀(H4)에서 제거되었기 때문에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자유롭게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카트리지(4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크레인(미도시)과 같은 운반 장치의 케이블(CB)에 의하여 운반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크레인에 의하여 지면으로 운반될 수 있다.
터렛 어셈블리(100)와 터렛 지지부(200)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베어링 어셈블리(30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도 5 내지 도 7의 과정을 통하여 간편하게 터렛 지지부(200)에서 베어링 어셈블리(3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베어링 어셈블리(300)만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리가 완료된 베어링 어셈블리(300)는 크레인에 의하여 운반되어 카트리지(400)에 수용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300)가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경우 카트리지(400)를 터렛 지지부(200)의 내부 공간(SP)에 삽입함으로써 베어링 어셈블리(300)를 터렛 지지부(20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100: 터렛 어셈블리
110: 상부 터렛 120: 하부 터렛
130: 터렛 디스크 200: 터렛 지지부
210: 보조 베어링 300: 베어링 어셈블리
310: 베어링 몸체 320: 롤러
400: 카트리지 500: 승강 갠트리
510: 연결부 520: 구동부
H1: 제 1 관통홀 H2: 제 2 관통홀
H3: 제 3 관통홀 H4: 제 4 관통홀
OP: 개구 SP: 내부 공간

Claims (8)

  1. 선박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터렛 어셈블리;
    상기 선박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터렛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터렛 지지부; 및
    상기 터렛 지지부에 대한 상기 터렛 어셈블리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터렛 지지부에 탈착 가능한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렛 어셈블리는,
    상부 터렛;
    상기 상부 터렛에 탈착 가능하고, 계류선에 연결되어 해상에 고정된 하부 터렛; 및
    상기 상부 터렛에 탈착 가능하고, 부착된 상기 상부 터렛과 함께 회전하는 터렛 디스크를 포함하는 선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렛 디스크는 제 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터렛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터렛에 결합되는 선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터렛은 상기 터렛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선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터렛 및 상기 터렛 디스크에서 상기 상부 터렛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터렛 지지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터렛 지지부에서 방출되는 선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터렛의 리프팅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하부 터렛에서 분리된 상기 상부 터렛을 지지하는 승강 갠트리를 더 포함하는 선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베어링 몸체;
    상기 베어링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터렛 디스크와 상기 베어링 몸체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선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터렛 지지부에 구비된 개구를 통하여 삽입 또는 방출되는 선박.
KR1020170153297A 2017-11-16 2017-11-16 선박 KR10200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97A KR102007735B1 (ko) 2017-11-16 2017-11-16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97A KR102007735B1 (ko) 2017-11-16 2017-11-16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48A true KR20190056148A (ko) 2019-05-24
KR102007735B1 KR102007735B1 (ko) 2019-08-12

Family

ID=6668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97A KR102007735B1 (ko) 2017-11-16 2017-11-16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015A1 (en) * 2012-03-01 2013-09-05 Hendricus Hogewoning Buoy
KR101549151B1 (ko) 2013-06-21 2015-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015A1 (en) * 2012-03-01 2013-09-05 Hendricus Hogewoning Buoy
KR101549151B1 (ko) 2013-06-21 2015-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35B1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480B2 (en) Detachable mooring and fluid transfer system
US7717762B2 (en) Detachable mooring system with bearings mounted on submerged buoy
US7513208B1 (en) Disconnectable mooring system with vessel-mounted tensioning device
RU2010151971A (ru) Отсоединяемая турельная якорная система с вращаемой поворотной платформой
PT1803641E (pt) Sistema de amarração desligável para uma embarcação
US6200180B1 (en) Mooring system for tanker vessels
CN103189272B (zh) 可分离转塔系泊系统
KR20190056148A (ko) 선박
US4677930A (en) Apparatus for quick-release of a storage vessel from a riser
KR101722197B1 (ko) 계류 장치
KR101741525B1 (ko) 계류 장치
KR101988533B1 (ko) 터렛 무어링 시스템
EP3571117B1 (en) Chain table for a turret of a vessel
KR101985240B1 (ko) 베어링 구조체
KR101616848B1 (ko) 스위블 스택
KR101454375B1 (ko) 터렛 터미널
EP2611724B1 (en) A slewing apparatus
KR101531582B1 (ko) 비접촉식 전력 스위블
CN217533172U (zh) 一种系泊式井口作业平台的转台结构
KR20180095980A (ko) 스러스터 고정 장치
KR101985226B1 (ko) 베어링구조체
KR101985235B1 (ko) 베어링구조체
KR101964203B1 (ko) 선박
KR101784814B1 (ko)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KR101933680B1 (ko) 계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