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706A -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706A
KR20190055706A KR1020180072520A KR20180072520A KR20190055706A KR 20190055706 A KR20190055706 A KR 20190055706A KR 1020180072520 A KR1020180072520 A KR 1020180072520A KR 20180072520 A KR20180072520 A KR 20180072520A KR 20190055706 A KR20190055706 A KR 2019005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seed
plug
electrical conductivity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746B1 (ko
Inventor
황승재
정현우
이혜리
정병룡
김혜민
김현민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5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C05G3/0064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액 및 재배 조건을 사용하면 황기 육묘의 생육 증진, 균일묘 생산 및 묘소 질 향상의 효과를 꾀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황기 플러그묘를 효율적으로 대량 재배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Method for cultivating high quality Astragalus membranaceus plug seedling using nutrition solution having controlled electrical conductivity}
본 발명은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 모종(苗種)의 소질이 정식(定植) 후 본포(本圃)에서의 생육이나 수량,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작물재배에 있어서 육묘(育苗)는 매우 중요하며, 양질의 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기술이 필요된다. 최근에는 육묘와 재배가 분업화되어 전문적으로 모종을 생산, 판매하는 플러그 육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플러그묘(plug seedling)란 여러 개의 작은 용기(cell)가 연결된 플러그 트레이라고 불리는 육묘 전용 용기에서 생산된 묘를 말한다. 플러그묘는 양질의 균일한 묘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육묘 전용 시설, 장비 및 자재를 갖추고, 상토 제조 및 충전, 파종, 관수, 시비 및 환경조건 등 파종 준비부터 육묘 종료까지의 작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공정(육)묘라고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농업기계화연구소에서 1990년에 플러그묘 생산기술을 시험적으로 도입하였고, 1992년 흥농종묘에서 플러그묘를 생산,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시설면적 확대 및 연중 묘 생산 증가, 농업 노동력의 감소 등 채소 생산여건의 변화에 따라 채소 플러그묘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공정육묘장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양액재배의 필요성으로는 토양염류집적, 노동력 부족 및 인건비 증가에 의한 생산 자동화의 요구, 인구증가와 공업화로 재배면적의 감소에 따른 생산성 증대 필요, 재배불가능 지역에서의 재배 필요성 증대, 저공해와 고품질의 생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 증대, 각종 설비의 개발과 주변산업의 발달에 따른 자동화 가능성 증가, 그리고 소득의 증대에 따른 원하는 고품질의 농산물에 대한 연중수요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unge)는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러시아, 불가리아 등 유럽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는 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주근은 깊고 길며 막대기 모양이고 약간 목질을 띄고 줄기는 직립하고 지상부에서 많이 분지되며 매끄럽고 광택이 있거나 약간의 털로 덮여 있다. 황기의 생리 활성성분으로서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 계통과 플라보노이드 계통이 주를 이루고 있고, 그 외 사포닌 및 폴리사카라이드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보기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한방에서 이뇨제, 빈혈증, 식욕부진, 지한제, 강장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황기는 신농본초경에 상약으로 수록되어 있어 우리 나라 한방에서는 보증익기탕, 황기건중방, 황기계지오물방, 십전대보탕, 가미대보탕, 황기육일탕, 팔보회춘탕 등 수 백가지 처방에 황기가 인삼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고기능성 식물 소재이다.
나고야 의정서(Nagoya Protocol) 발효 및 해외 생약식물 원재료 가격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내 신의약 산업에 이용되는 고기능성 식물 원료의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수급을 위한 대량생산 시스템의 개발 및 구축이 시급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738541호에는 '고들빼기속 작물의 재배 방법 및 이를 위한 양액'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239500호에는 '마의 우량 플러그묘 조기 대량생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황기의 플러그묘 생산량 증대와 묘소 질 향상을 위한 최적 양액 조건을 선발하기 위하여 전기전도도 수준을 조절한 양액을 파종 직후부터 저면관수로 처리한 결과, 2.0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 조건에서, 황기 육묘의 지상부 생육이 향상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상토가 충진된 플러그 트레이에 황기의 종자를 파종하는 단계; (2)상기 황기 종자가 파종된 플러그 트레이에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적용하여 황기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종자가 발아된 황기 플러그 트레이를 온실로 옮겨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적용하며 육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육이 증가된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를 갖는 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기 플러그묘의 생육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약용작물인 황기의 우량 플러그묘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양액 조건을 제공하여, 황기 육묘의 생육 증진, 균일묘 생산 및 묘소 질 향상의 효과를 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양액 및 재배 조건을 사용하여 양질의 황기 플러그묘를 효율적으로 대량 재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파종 후 35일째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공정묘의 생육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양액의 EC 수준(0.25, 0.5 및 1.0 dS·m-1)에 따른 파종 후 35일째 황기 묘의 생육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양액의 EC 수준(1.0, 1.5, 2.0, 2.5, 3.0 및 3.5 dS·m-1)에 따른 파종 후 35일째 황기 묘의 생육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상토가 충진된 플러그 트레이에 황기의 종자를 파종하는 단계;
(2) 상기 황기 종자가 파종된 플러그 트레이에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적용하여 황기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종자가 발아된 황기 플러그 트레이를 온실로 옮겨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적용하며 육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육이 증가된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육이 증가된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1) 상토가 충진된 플러그 트레이에 황기의 종자를 파종하는 단계;
(2) 상기 황기 종자가 파종된 플러그 트레이를 120 내지 180μmol/m2/s 범위의 광도, 18 내지 22℃의 온도를 유지하는 시스템 내에서,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플러그 트레이에 저면관수로 적용하며 16~20일간 발아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발아시킨 황기 플러그 트레이를 온실로 옮겨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플러그 트레이에 저면관수로 적용하며 15~19일간 육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생육이 증가된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1) 상토가 충진된 128구 플러그 트레이에 황기의 종자를 1립씩 파종하는 단계;
(2) 상기 황기 종자가 파종된 플러그 트레이를 140 내지 160 μmol/m2/s 범위의 광도, 19 내지 21℃의 온도를 유지하는 시스템 내에서, 2.0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플러그 트레이에 저면관수로 적용하며 18일간 발아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발아시킨 황기 플러그 트레이를 유리온실로 옮겨 2.0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플러그 트레이에 저면관수로 적용하며 18일간 육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액은 Ca(NO3)2·4H2O 465~480 ㎎/ℓ, KNO3 250~255 ㎎/ℓ, KH2PO4 65~70 ㎎/ℓ, NH4NO3 35~45 ㎎/ℓ, MgSO4·7H2O 245~250 ㎎/ℓ, Fe-EDTA 10.5~11.5 ㎎/ℓ, H3BO3 1.0~1.5 ㎎/ℓ, MnSO4·H2O 0.5~1.5 ㎎/ℓ, CuSO4·5H2O 0.05~0.15 ㎎/ℓ, ZnSO4·7H2O 0.05~0.15 ㎎/ℓ 및 Na2MoO4·2H2O 0.01~0.05 ㎎/ℓ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Ca(NO3)2·4H2O 472.5 ㎎/ℓ, KNO3 252.5 ㎎/ℓ, KH2PO4 67.5 ㎎/ℓ, NH4NO3 40.0 ㎎/ℓ, MgSO4·7H2O 247.5 ㎎/ℓ, Fe-EDTA 11.1 ㎎/ℓ, H3BO3 1.3 ㎎/ℓ, MnSO4·H2O 1.0 ㎎/ℓ, CuSO4·5H2O 0.1 ㎎/ℓ, ZnSO4·7H2O 0.1 ㎎/ℓ 및 Na2MoO4·2H2O 0.03 ㎎/ℓ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전기전도도'는 단면적 1cm2인 전극이 1cm 떨어져 있을 때, 전극간의 전기저항의 역수를 의미한다. 단위는 mho이지만, 양액의 전기전도도는 편의상 mS/cm= dS/m를 사용한다. 양액에 녹아있는 이온이 많아지면 그만큼 전기가 통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전기전도도가 높다는 것은 이온량이 많고 양분 농도가 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전도도가 너무 높으면 생육이 억제되고 잎이 노랗게 타죽기도 하며, 전기전도도가 너무 낮으면 양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역시 생장이 느려지게 된다.
용어 '플러그묘'는 응집성이 있는 소량의 배지가 담긴 개개의 셀에서 생육된 묘를 의미하는 것으로, 플러그묘 생산시스템에서는 종자를 기계적으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셀을 가진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여 한 셀에서 하나의 식물체가 생산된다. 재배방식과 비교하여 파종 속도와 정확성이 높고, 묘가 균일하며, 이식작업 시 상처를 줄이고, 묘의 생장속도가 빠르고, 묘의 수송과 취급이 용이하며, 공간 이용 효율이 좋고, 노동력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가된 생육은 초장, 근장, 엽면적, SPAD 값, 지상부의 생체중 및 지상부의 건물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엽장, 엽폭 또는 엽수와 같은 황기 플러그묘의 지상부 생육의 증가가 특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를 갖는 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기 플러그묘의 생육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기의 생육을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면 황기 플러그묘의 생육이 증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험 방법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Danong Co., 한국)는 2017년 8월 24일에 상토(Tosilee, ShinanGro Co. Ltd., 한국)를 충진시킨 128구 플러그 트레이(54x28x4.8 cm)에 1구당 1립씩 파종하였다. 파종 후 경상대학교 시설원예학연구실의 밀폐형 식물생산 시스템(C1200H3, FC Poibe Co. Ltd., 한국)에서 18일간 발아시켰다. 발아환경은 온도 20±1℃, 광도 150±10μmol·m-2·s-1 PPFD, 광주기 10/14시간(명기/암기), 광원 형광등(FHF32SSEX-D, Osram Co. Ltd., 독일)으로 설정하였다. 발아 이후 경상대학교 부속농장 양지붕형 유리온실에서 2017년 9월 27일까지 17일간 육묘 하였다. 양액은 EC 0.25, 0.5 또는 1.0 dS·m-1 수준으로 파종 직후부터 3일 간격으로 저면관수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양액 조성
Chemical 농도(㎎/ℓ) Chemical 농도(㎎/ℓ)
Ca(NO3)2·4H2O 472.5 Fe-EDTA 11.10
KNO3 252.5 H3BO3 1.30
KH2PO4 67.5 MnSO4·H2O 1.00
NH4NO3 40.0 CuSO4·5H2O 0.10
MgSO4·7H2O 247.5 ZnSO4·7H2O 0.10
Na2MoO4·2H2O 0.03
양액의 EC 수준의 조절은 양액 조성표에 근거한 양액 농축액을 조제한 후 희석을 통하여 원하는 수준의 EC와 pH를 조절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화합물의 농도 즉, 다량원소와 미량원소의 배합비율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EC수준이 달라져도 동일하며, EC 수준의 변화에 따라 화합물의 농도도 함께 변하게 된다.
2. 조사항목
양액 EC 수준에 따른 황기의 초기발아율은 파종 후 5일까지 발아된 종자수를 조사하였으며, 최종발아율은 파종 후 18일까지 발아된 종자수를 조사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평균발아수는 발아된 종자수를 조사한 날의 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으며, T50은 최종발아율의 50% 발아시 까지 소요된 일수를 조사하였다. 묘의 생육은 파종 후 35일째에 초장, 엽장, 엽폭, 최대근장, 엽수,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SPAD 값을 측정하였고, 엽면적은 엽면적 측정기(LI-3000, LI-COR Inc., 미국)를,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전자저울(EW220-3NM, Kern&Sohn GmbH., 독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물중은 시료를 70℃ 항온 건조기(Venticell-222, MMM Medcenter Einrichtungen GmbH., 독일)에서 72시간 건조한 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PAD 값은 엽록소 측정기(SPAD-502, Konica Minolta Inc.,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묘의 스트레스 지수를 확인하기 위해 처리별 6개체를 선발하여 30분간 암적응 후 엽록소형광분석기(PAM-2100, Heinz Walz GmbH Co. Ltd., Effeltrich, 독일)를 이용하여 엽록소 형광값(Fv/Fm)을 측정하였다. 최소 형광값(Fo)은 0.6kHz의 측정 광을 광섬유로 하여 0.1mol·m-2·s-1 보다 낮은 PPFD로 LED를 조사하여 측정하였으며, 최대 형광값(Fm)은 20kHz로 7,000mol·m-2·s-1의 포화 광을 0.8초 동안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Fv/Fm값은 Fv/Fm = (Fm-Fo)/Fm 공식으로 산출되었다
실시예 1. 전기전도도 수준에 따른 황기 플러그묘의 생장 특성 분석
황기의 초기발아율, 최종발아율, 평균발아수는 모든 EC 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황기의 초장은 EC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근장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면적, SPAD 값,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EC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물체의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엽록소형광 값은 모든 EC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통해 황기의 육묘시 양액의 전기전도도를 1.0 dSm-1 이상으로 관리하는 것이 지상부 생육에 적절하다는 것을 구명하였다.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황기 종자의 초기 발아율과 최종 발아율, 평균 발아수, T50.
EC (dS/m) 초기 발아율(%) 최종 발아율(%) 평균 발아수 T50
0.25 10.4 a* 47.9 a 2.9 a 9.0 a
0.50 8.6 a 45.8 a 2.8 a 9.7 a
1.00 10.4 a 50.3 a 3.0 a 9.7 a
* : p=0.05에서 던컨의 다중검정에 의한 컬럼 간 평균치 검정.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황기 묘의 생육(파종 후 35일째)
EC (dS/m) 초장 (cm) 엽면적 (cm2) 근장 (cm) SPAD 엽록소형광값
(Fv/Fm)
0.25 7.3 c* 5.3 c 6.7 a 25.1 c 0.76 a
0.50 10.1 b 7.8 b 7.0 a 29.5 b 0.79 a
1.00 14.4 a 14.0 a 6.9 a 38.2 a 0.78 a
* : p=0.05에서 던컨의 다중검정에 의한 컬럼 간 평균치 검정.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황기 묘의 생육(파종 후 35일째)
EC (dS/m)
생체중 (g) 건물중 (g)
줄기 뿌리 줄기 뿌리
0.25 0.1 cz 0.06 a 0.02 c 0.007 b
0.50 0.2 b 0.08 a 0.03 b 0.009 a
1.00 0.3 a 0.10 a 0.05 a 0.010 a
* : p=0.05에서 던컨의 다중검정에 의한 컬럼 간 평균치 검정.
실시예 2. 높은 전기전도도 조건에서 황기 플러그묘의 생장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양액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기 플러그묘의 생육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상기 실시예 1의 전기전도도보다 높은 조건에서 황기 플러그묘의 생육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1.5, 2.0, 2.5, 3.0 또는 3.5 dS·m-1 의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황기 플러그묘의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2017년 12월 18일부터 2018년 1월 21일까지 이루어졌다.
그 결과, 하기 표 5 및 표 6과 같이, 초장, 근장,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2.0 dS·m-1의 전기전도도 조건일 때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고로,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는 실험이 하절기에 수행되어 전반적인 생육지표의 수치가 동절기에 수행된 표 5 및 표 6의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하기 표 5 및 6을 보면, 하절기에 가장 우수한 생육 특성을 보였던 1.0 dS·m-1의 전기전도도 조건에 비해 2.0 dS·m-1의 전기전도도 조건에서 대부분의 생육 특성이 우수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황기 플러그묘의 육묘 시 양액의 최적 전기전도도는 2.0 dS·m-1의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황기 묘의 생육(파종 후 35일째)
EC (dS/m) 초장 (cm) 엽면적 (cm2) 근장 (cm) SPAD 엽록소형광값
(Fv/Fm)
1.0 11.0 b 7.3 a 4.1 b 23.3 abc 0.807 a
1.5 11.6 ab 5.0 b 5.3 ab 25.1 abc 0.814 a
2.0 12.3 a 6.8 a 5.9 a 26.9 a 0.819 a
2.5 10.7 b 4.1 b 4.7 ab 26.5 ab 0.825 a
3.0 9.5 c 3.9 b 5.2 ab 21.9 c 0.818 a
3.5 9.3 c 4.0 b 4.7 ab 22.2 bc 0.818 a
* : p=0.05에서 던컨의 다중검정에 의한 컬럼 간 평균치 검정.
양액의 EC 수준에 따른 황기 묘의 생육(파종 후 35일째)
EC (dS/m)
생체중 (mg) 건물중 (mg)
줄기 뿌리 줄기 뿌리
1.0 173.8 ab 26.5 a 22.2 ab 2.2 ab
1.5 154.1 bc 27.7 a 18.3 bc 2.2 ab
2.0 202.3 a 35.3 a 25.3 a 2.9 a
2.5 145.9 bc 29.3 a 15.5 cd 1.8 b
3.0 139.5 c 35.1 a 14.1 cd 2.3 ab
3.5 127.4 c 29.3 a 12.8 d 1.9 b
* : p=0.05에서 던컨의 다중검정에 의한 컬럼 간 평균치 검정.

Claims (5)

  1. (1) 상토가 충진된 플러그 트레이에 황기의 종자를 파종하는 단계;
    (2) 상기 황기 종자가 파종된 플러그 트레이에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적용하여 황기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종자가 발아된 황기 플러그 트레이를 온실로 옮겨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적용하며 육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육이 증가된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은 Ca(NO3)2·4H2O 465~480 ㎎/ℓ, KNO3 250~255 ㎎/ℓ, KH2PO4 65~70 ㎎/ℓ, NH4NO3 35~45 ㎎/ℓ, MgSO4·7H2O 245~250 ㎎/ℓ, Fe-EDTA 10.5~11.5 ㎎/ℓ, H3BO3 1.0~1.5 ㎎/ℓ, MnSO4·H2O 0.5~1.5 ㎎/ℓ, CuSO4·5H2O 0.05~0.15 ㎎/ℓ, ZnSO4·7H2O 0.05~0.15 ㎎/ℓ 및 Na2MoO4·2H2O 0.01~0.05 ㎎/ℓ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1) 상토가 충진된 플러그 트레이에 황기의 종자를 파종하는 단계;
    (2) 상기 황기 종자가 파종된 플러그 트레이를 120 내지 180μmol/m2/s 범위의 광도, 18 내지 22℃의 온도를 유지하는 시스템 내에서,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플러그 트레이에 저면관수로 적용하며 16~20일간 발아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발아시킨 황기 플러그 트레이를 온실로 옮겨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양액을 플러그 트레이에 저면관수로 적용하며 15~19일간 육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육이 증가된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된 생육은 초장, 근장, 엽면적, SPAD 값, 지상부의 생체중 및 지상부의 건물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방법.
  5. 1.8 내지 2.3 dS·m-1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를 갖는 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기 플러그묘의 생육 증진용 조성물.
KR1020180072520A 2017-11-15 2018-06-25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 KR102049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1982 2017-11-15
KR1020170151982 2017-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06A true KR20190055706A (ko) 2019-05-23
KR102049746B1 KR102049746B1 (ko) 2019-11-28

Family

ID=6668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520A KR102049746B1 (ko) 2017-11-15 2018-06-25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2568A (zh) * 2020-06-24 2020-09-01 黑龙江省科学院大庆分院 一种高寒地区黄芪栽植方法
CN111662143A (zh) * 2020-07-22 2020-09-15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黄芪专用肥、提高黄芪产量的施肥方法
CN112088741A (zh) * 2020-08-31 2020-12-18 内蒙古绿药园中药材有限公司 一种黄芪栽培模式及其黄芪枝叶修剪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081B1 (ko) * 2021-05-14 2024-01-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넥스트온 황기 배양액을 이용한 생장이 증진된 황기의 재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924A (ja) * 1997-03-31 1998-10-13 Japan Tobacco Inc 養液栽培による高糖度トマトの生産方法
JP2013212060A (ja) * 2012-04-02 2013-10-17 Iej:Kk 水耕栽培用苗の栽培培地
KR101439009B1 (ko) * 2013-03-05 2014-09-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공장 시스템 내 씀바귀의 재배 방법
KR20160088048A (ko) * 2015-01-15 2016-07-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Lep 또는 적색광 파장의 led 조사를 이용한 생육이 증진된 황기의 재배방법
KR20170141974A (ko) * 2016-06-16 2017-12-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돌미나리를 재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924A (ja) * 1997-03-31 1998-10-13 Japan Tobacco Inc 養液栽培による高糖度トマトの生産方法
JP2013212060A (ja) * 2012-04-02 2013-10-17 Iej:Kk 水耕栽培用苗の栽培培地
KR101439009B1 (ko) * 2013-03-05 2014-09-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공장 시스템 내 씀바귀의 재배 방법
KR20160088048A (ko) * 2015-01-15 2016-07-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Lep 또는 적색광 파장의 led 조사를 이용한 생육이 증진된 황기의 재배방법
KR20170141974A (ko) * 2016-06-16 2017-12-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돌미나리를 재배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2568A (zh) * 2020-06-24 2020-09-01 黑龙江省科学院大庆分院 一种高寒地区黄芪栽植方法
CN111602568B (zh) * 2020-06-24 2022-02-22 黑龙江省科学院大庆分院 一种高寒地区黄芪栽植方法
CN111662143A (zh) * 2020-07-22 2020-09-15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黄芪专用肥、提高黄芪产量的施肥方法
CN111662143B (zh) * 2020-07-22 2022-05-31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黄芪专用肥、提高黄芪产量的施肥方法
CN112088741A (zh) * 2020-08-31 2020-12-18 内蒙古绿药园中药材有限公司 一种黄芪栽培模式及其黄芪枝叶修剪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746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6379B (zh) 一种薇菜孢子漂浮式两段育苗方法
KR20190055706A (ko) 조절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양액을 이용한 우량 황기 플러그묘의 재배 방법
CN110122297A (zh) 一种薄壳山核桃两段容器育苗方法
US20230247993A1 (en) Plant growth regulato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694513B1 (ko) 혼합 배양토를 이용한 실내식물용 황칠나무의 화분 재배방법
CN111685127B (zh) 一种促使植物无性繁殖的诱导剂及其应用
CN108605617B (zh) 欧洲花楸设施播种育苗方法
KR102163281B1 (ko) 주야간 온도 조절에 의한 토마토 플러그묘의 도장 억제 방법
CN103070070A (zh) 一种无籽刺梨的栽培方法
CN108432534A (zh) 美国山核桃提早结果的促进方法
CN107926530B (zh) 一种番茄育苗方法
CN115989784A (zh) 一种提高丁香叶忍冬种子萌发率和幼苗存活率的方法
CN113940273B (zh) 一种高产优质番茄选育种植方法
CN102301885A (zh) 一种淡水盆栽桐花树的方法
CN110393122B (zh) 一种富硒油茶的栽培方法
CN110178681B (zh) 一种利于角堇生长开花的种植方法
CN113924914A (zh) 苹果的矮化高效密植栽培方法
KR20140057917A (ko) 백합 구근의 재배방법
CN112616601A (zh) 一种防止大豆爬蔓加速大豆生长的室内种植方法
KR102629081B1 (ko) 황기 배양액을 이용한 생장이 증진된 황기의 재배방법
KR102071287B1 (ko) 정식 전 양액 공급 시기 조절을 통한 딸기의 조기개화 유도 및 과실 수확량 향상 방법
KR102088834B1 (ko) 진동 자극에 의한 오이 플러그묘의 도장 억제 및 묘소질 향상 방법
Sihotang et al. The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LED) White and Blue Spectrum on The Characteristics of Lettuce Grown in The Deep Flow Hydroponic: Deep Flow Hydroponic of Lactuca
KABIR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LIGHT INTENSITY ON MORPHO
KR20200037572A (ko) 광질 조절에 의한 토마토 플러그묘의 도장 억제 및 묘소질 향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